KR920010255B1 - 제본용 스트립 및 그 사용책자 - Google Patents

제본용 스트립 및 그 사용책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10255B1
KR920010255B1 KR1019860004538A KR860004538A KR920010255B1 KR 920010255 B1 KR920010255 B1 KR 920010255B1 KR 1019860004538 A KR1019860004538 A KR 1019860004538A KR 860004538 A KR860004538 A KR 860004538A KR 920010255 B1 KR920010255 B1 KR 920010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tud
groove
length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840A (ko
Inventor
에이춰. 아빌드 가아드 윌리암
Original Assignee
벨로-바인드, 인코포레이티드
릿지 엘. 하트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벨로-바인드, 인코포레이티드, 릿지 엘. 하트란 filed Critical 벨로-바인드,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70004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10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0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CBOOKBINDING
    • B42C13/00Bookbinding presses; Joint-creasing equipment for bookbinding; Drying or setting devices for b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3/00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 B42F13/02Filing appliances with means for engaging perforations or slots with flexible or resilient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B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R PERMANENTLY ATTACHING OBJECTS THERETO
    • B42B5/00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 B42B5/08Permanently attaching together sheets, quires or signatures otherwise than by stitching by finger, claw or ring-like elements passing through the sheets, quires or sign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heet Holders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본용 스트립 및 그 사용책자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2-2선을 따라 도시된 암 스트립의 저면도.
제3도는 제1도의 3-3선을 따라 도시된 암 스트립의 부분도.
제4도는 제2도의 4-4선을 따라 취해진 부분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제본된 책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제5도의 6-6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
제7도는 제5도 일부의 확대도.
제7a도는 제7도와 유사한 것으로 한 변형을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본 발명의 요홈과 스터드를 통한 확대단면도.
제9도는 제5도와 유사한 것으로 또다른 한변형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숫스트립(male strip) 22 : 스터드(stud)
26 : 암스트립(female strip) 27 : 암스트립상의 구멍
29 : 요홈 31 : 돌출립(projection lip)
본 발명은 제본용 스트립 및 제본방법의 제목으로 1984년 10월 22일 출원된 동시계류출원 제06/663,214호의 일부계속출원이다.
본 발명은 새롭고 개선된 제본용 스트립 및 제본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제본에 있어서는 한쌍의 스트립을 사용하며, 한스트립이 스트립으로부터 돌출한 비교적 단단한 열가소성 스터드(stud)를 포함하며, 다른 한 스트립이 스터드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갖는다. 스터드를 보충하는 구멍을 갖는 종이는 한쌍의 스트립 사이에서 조여지며, 과잉의 스터드 길이는 잘려지고 제본을 끝내면서 스터드 단부는 리벳헤드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은 가요성 스터드를 사용하며 요홈이 스터드 길이를 초과한 만곡부를 수용하도록 제2스트립내에 형성된다. 따라서 과잉의 스터드 길이가 절단되지 않는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국 특허 제4,369,013호에서와 같은 플래스틱 스트립쌍은 제본기계에서 사용하기 위해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두가지 점에서 그와 같은 스트립과는 다른 것으로, 첫째 스터드가 가요성이 있으며, 둘째 스터드를 수용하기 위해 암스트립내에 요홈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가요성의 금속 스터드는 접책내로 종이를 제봉하되 비영구적으로 하기 위해 통상 사용되어 왔다. 이같은 형태로 통상 사용되고 있으며 ACCOPRESS상표로 팔리고 있는 바인더는 제2의 스트립에 없이도 사용될 수 있거나 제2의 스트립이 사용되는 때에는 제2스트립이 적소에 제본 스트립을 초과한 만곡부를 보지하는 이동가능의 슬라이드가 있는 복잡한 형태를 가졌다.
야신도(Jacinto)의 특허 제4,305,675호는 앞선 구조의 변경을 도시한 것으로, 한 변경에서 포크모먕의 얇은 박판금속이 톱니모양을 하게되며 암 스트립 가장자리가 대응 톱니모양을 갖는다. 날카로운 포크모양 가장자리는 위험하기도 하며 가구에 자국을 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밀어넣기(snap-in)특성이 없으며, 포크모양의 것을 보지하도록 분리커버가 적소에 필요하게 된다. 야신도(Jacinto) 발명에서는 포크모양의 부분이 겹치며, 본 발명에서는 각 포크모양은 그 자신의 개별 요홈을 갖는다. 야신도에서 제본의 견고함은 톱니모양 사이의 간격에 달려 있으며, 본 발명에서 묶음은 무한조절로 고정된다.
야신도에서 사용되는 스터드의 숫자는 두 개로 한정되며, 본 발명에서는 보다 많은 스터드가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책의 등가장자리에서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한다.
길고 가요성인 스터드는 컴퓨터용지를 제본하는 데에도 사용되어 왔으나 그와 같은 제본 스트립은 적소에서 스터드를 초과한 만곡부를 보지하기 위해 복잡한 장치를 필요로 한다.
영국특허 제1,400,460호는 앞서 설명된 발명의 한 변경으로 포스트(post)를 지지하는 아무런 스트립이 없다. 앞뒤커버는 책등가장자리로부터 돌쩌귀를 움직인다. 요홈의 길이를 연장시킨 밀어넣기 리테이너(retainer) 립(lip) 대신에 각 포크모양에 대해 한쌍의 짧은 돌기부가 제공된다. 따라서 제본의 견고함 및 안전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맞은편 부재의 가요성 스터드를 수용하기 위해 이후로 상세히 설명될 형태를 갖는 요홈과 레치수단으로 형성된 암부재를 제공한다. 따라서 복잡한 기계나 복잡한 스터드 만곡부를 보지하는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극히 안전한 제본이 성취된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한쌍의 스트립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중 하나가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둔 가요성 플라스틱 스터드를 가지면 다른 하나가 인접한 스터드의 간격에 대응하는 구멍과 스터드를 초과한 만곡부가 삽입될 수 있으며 또한 위치를 초과할 만곡부에서 스터드를 지지하는 매우 단순한 특성의 보지수단을 갖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홈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스터드의 절단 또는 헤드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제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본은 수동에 의하거나 또는 종전에 사용되었던 것과 비교하여 비교적 단순한 기계장치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스트립의 기계학적 단순도 또한 본 발명의 한 특징이다. 잠금 수단이 스트립내로 세워지며, 리넷이 필요하지 않다.
남는 스트립 길이를 자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트립의 처분이 문제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요성 가요성 스터드를 사용하여 보지수단으로부터 만곡의 스터드 단부를 처리하지 않음을 허용하고, 암스트립을 제거함을 허용하며 박판을 더하고 감하여 책을 다시 제본함을 허용한다. 만약 영구한 제본이 필요하다면, 스터드 단부 또는 스트립이 영구히 변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점중에는 제본된 책의 최종 외관에도 있다.
스터드 단부의 만곡부는 다듬질 된 제본을 닯는다.
제본의 튼튼함은 매우 만족스러우며, 스터드의 단부가 보지수단으로부터 움직여서가아니라 스터드가 깨어지므로써(이들 단면부의 기능) 파손이 발생된다.
요홈의 길이는 스터드 일부위의 만곡부보다 길며, 책의 제본을 풀 필요가 있을 때 스터드의 단부를 속박시키어 요홈으로부터 이것을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할 공간을 남긴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스터드의 베이스 주위로 숫스트립내에 침강부를 형성시킴이다. 특히 얇은 책이 제본되었을 때 이같은 침강부는 스터드에 직각 만곡부가 아닌 곡선만곡부를 제공하며 스터드가 그 만곡부에서 깨어지는 어떤 경향도 감소시킨다.
요홈의 측단면과 암부재의 돌출립은 스터드 위의 만곡부가 요홈내측으로 끼워질 때 요홈의 하부에 그리고 각 돌출립상의 한 위치에서 스터드에 3점의 접촉이 발생하도록 된다.
스터드 및 요홈길이의 허용오차는 대량생산의 경우 유지 시키기가 어려우며 세점에서의 접촉이 이와 같은 길이 변동을 조절하여 요옴내에 스터드의 잔류를 허용케한다. 한편 제본된 책을 풀 필요가 있을 때에는 스터드가 요홈으로부터 벗겨지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로 요홈의 기저부나 제본된 책을 잡아 당기는 힘이 스터드를 요홈의 길이 방향으로 빠지게하는 것을 막아 스터드를 잡아두게 하기 위해 가로의 나삿니 모양으로 거칠게 만들어진다. 요홈의 길이는 스터드의 구부러진 부분보다 길며, 제본된 책을 풀 필요가 있을 때 요홈으로부터 스터드를 당기기 위해 스터드의 끝단을 잡을 수 있는 공간을 남기도록 만들어진다.
제1-7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얇고 가느다란 플라스틱 재료의 숫스트립(21)이 제공되어 있다. 끝이 뽀족한 단부(23)를 갖는 가요성의 플라스틱 스터드(22)가 스트립(21)을 따라 이격된 간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터드(22)의 재료는 폴리프로필렌, K레진 그리고 어느 한 탄성중합체로 이루어진다.
제본될 페이지를 수용하기 위해 필요한 길이를 초과한 스터드길이(24)는 구부려진다. 스터드가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지므로써, 그 가요성 특징이 스터드를 비교적 돌연한 각도로 구부릴 수있도록 허용케한다.
암스트립(26)도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으며, 스터드의 간격에 대응하는 이격된 간격의 구멍(27)을 갖추어 형성된다. 선단(23)이 구멍(27)내로 삽입되어짐을 돕기 위해 스트립(26)의 저면은 각 구멍(27) 주위의 대응보어(counter bore) 또는 대응싱크(sink)를 갖추어 형성된다. 스트립(26)의 상측면은 만곡부(24)를 받아들이기 위해 구멍(27)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요홈(29)을 갖추어 형성된다. 제1-3도는 여섯 개의 스터드(22)를 도시한 것으로, 왼쪽에 오른쪽을 향하여 연장된 세 개와 오른쪽에 왼쪽을 향해 연장된 세 개가 있다.
요홈(29)은 각 상측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립(lip)(31)을 가지며 형성된다. 따라서 만곡부(24)가 돌출립(31) 사이에 끼이며 적소에 보지되어진다. 각 요홈의 길이는 제본을 풀기 위한 기구가 요홈(29)에 들어가 단부(23)를 속박시키어 스터드 단부를 요홈(29)으로부터 끌어당길 수 있도록 스터드(22)보다 다소 길이가 긴 것이 좋다.
스트립(21과 26)은 사출성형에 의해 대량으로 제조되는 것이 좋다. 플라스틱 방식으로 사용되는 착색과 같은 문제에 조차 원인으로 돌려지는 조기의 수축 또는 변화의 문제가 이같은 성형에 있어 고질적인 것이다. 따라서 요홈(29)의 형태는 스터드(22)와 요홈(29)의 크기가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그 속에서 스터드 단부(24)를 보지하도록 형성된다.
제8도에서, 만곡된 부(24)는 단면이 원형을 이루며 원형의 반경(R1)과 그 중심(C1)이 도시되어 있으며 요홈(29)내로의 삽입이전에 단부(24)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요홈(29)의 하부는 R1의 반경보다 다소 큰 반경(R4)을 가지며 따라서 그 중심(C2)이 C1인 중심보다 큰 호로 이루어지므로써 스터드단부(24)의 외부가 T1인 점에서 요홈(29)의 하부에 접하게 된다.
돌출부(31)는 거울상이 좋으며, 돌출립(31)의 상측부는 중심이 C3인 R2의 반경을 가지며 돌출립(31)의 하측부는 C1과 C2사이의 거리와 대략 같은 거리로 C3아래의 중심(C4)을 가지며 R2와 실제 동일한 반경(R3)을 갖는 호를 갖는다. 따라서 돌출립(31)의 하측부는 T2및 T3의 점에서 스터드 단부(24)의 외부와 접촉한다. 따라서 스터드단부(24)와 요홈(29) 사이에는 단지 세점(T1,T2및 T3)에서만의 접촉이 존재하고 이들 접촉점들이 허용한도내에서 크기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스터드 단부(24)를 요홈(29)내에 안전하게 보지한다.
스터드단부(24)가 내리 눌려질 때 스터드단부 R인 반경에 의해 속박된 표면에 접촉하므로써 그리고 단부(24)가 돌출립(31)을 통과하여 요홈(29)의 하부로 들어가도록 돌출립(31)에 충분한 힘을 가하므로써 제8도의 점선위치에서 실선위치로 이동한다. 비록 돌출립(31)이 떼어지도록 힘이 가해진다고 설명되었으나, 이같은 이동을 가능케하기 위해서는 스터드(24)의 작은 변형이 있게 마련이다.
책의 제본을 풀 필요가 있을 때, 기구 또는 다른 3장치가 뾰족한 단부(23)를 속박하여 요홈(29)의 하부로부터 그 단부를 상측으로 잡아당긴다. 암스트립(26)이 제거되며, 페이지(33)가 바뀌거나 페이지가 더해지고 감해진 다음 동 스트립이 책을 재제본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의 스트립은 스터드(22)의 공간에 대응하는 구멍(34)을 갖는 여러장의 페이지를 제본하도록 사용된다. 스트립(21)은 스터드(22)와 함께 상향하여 똑바로 위치되며, 페이지(33)는 스터드(22)위에 모아진다. 다음 제2스트립(26)이 스터드(22)위에 설치되고, 대응보어(27)가 끝이 뾰족한 단부(23)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그래서 스터드(23)가 요홈(29)내 오른족으로 구부려진다.
제7도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듯이 침강부(depression)(36)은 스터드가 비교적 덜 돌연한 각도로 구부려지도록 하며 스터드가 부러짐을 막는다. 이같은 각도는 침강부(36)이 사용되지 않으며 따라서 스터드의 구부림이 더욱 직각에 접근하는 제7a도의 것과 잘 대조된다. 침강부(36)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페이지의 숫자(33)가 작을수록 스터드를 갑작스레 구부리기 때문에 형성될 억압을 피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과잉의 스터드(24)는 돌출립(31) 사이에 끼이며 세점 접촉이 크기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스터드의 만곡부(24)를 적소에 보지한다.
모아진 페이지 위의 안장력이 극도에 달할 때, 제9도의 구조가 사용될 수있다. 제9도의 왼쪽 반부분을 보게되며, 요홈(29b) 하부가 다수의 치아와 같은 돌기(46)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스터드(22b)가 제9도의 오른쪽에 도시된 위치로 구부려질 때, 돌기(46)가 스터드단부(24b)를 속박시킨다. 이같은 속박이 스터드단부(24b)가 왼쪽으로 미끄러지고 제본이 풀어지는 것을 막는다. 다른점을 본다면, 제9도의 구조는 상응하는 부분을 나타내기 위해 선행의 변경을 닮도록 한 것이며 문자b로 같은 참조번호를 사용하였다.

Claims (8)

  1. 숫스트립(21)과 암스트립(26)으로 구성되고, 암스트립(26)에는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구멍(27)과 동스트립의 외측표면에 나있는 하나의 요홈(29)가 있으며, 상기 다수의 구멍(27)과 같은 위치상에 단면반경이 R1인 둥글고 유연한 프라스틱 스터드(22)가 상기 숫스트립(21)과 일체를 이루고 있고, 이같은 스터드, (22)가 수직하향하여(제1도) 뻗어있으며 약 90도의 각도로 구부려질 수 있고, 각 요홈(29)의 길이는 스터드(22)의 길이보다는 다소 길고 유연한 표면의 돌출립(31)이 요홈의 바깥측에 인접한 요홈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나있으며, 요홈이 유연한 벽을 가지므로, 구멍(27)을 통과한 스터드(22)의 단부들이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질 수 있으며 돌출립(31) 아래로 끼워 넣어지게 되고, 둘출립의 연장길이는 요홈의 연장길이와 같아지도록 하며, 요홈의 저부반경은 상기 단면반경(R1)보다는 큰 반경의 호를 그리도록 하고, 돌출립의 바깥측 가장자리는 둥글게 곡선처리 되며 돌출립의 아래측은 반경(R3)의 호를 그리도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스트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스트립(26)에 나있는 돌출립(31)에 대하여 어느 한측면 길이를 전부 더한 것은 상기 요홈(29) 모두의 길이를 전부 더한것과 같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스트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29) 모두가 상기 구멍(27)로부터 암스트립(26)의 중심을 향해 내향하여 뻗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스트립.
  4. 종이 각장의 등마루 가장자리에서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둔 구멍이 형성된 여러창의 종이(33), 숫스트립(21), 상기 여러장의 종이에 형성된 구멍과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멍(27)과 스트립 외측표면내의 요홈(29)를 가지는 암스트립(26) 그리고 상기 숫스트립(21)과 일체로 형성되며 유연하고 둥근 다수의 플라스틱 스터드(22)로 이루어지며, 스터드(22) 각각은 상기 종이 각장에 난 구멍과 동일간격의 암스트립상에 난 구멍(27)을 통해서 숫스트립으로부터 외향하여 뻗어있으며 대략 90도의 각도로 구부려질 수 있으며, 암스트립상에 난 구멍(27)을 통과한 스터드(22)의 단부가 약 90도의 각도로 구부려진 다음에는 상기 요홈(29)속에 수용되고, 요홈의 길이는 스터드의 길이보다는 다소 길도록 하고, 유연한 표면의 돌출립(31)이 요홈의 바깥측에 인접한 요홈의 길이 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나있으며, 상기 스터드(22)가 돌출립(31) 아래로 끼워 넣어지게되고, 돌출립의 연장길이는 요홈의 연장길이와 같아지도록 하며, 상기 스터드(22)가 돌출립(31) 아래로 끼워 넣어지게되고, 돌출립의 연장길이는 요홈의 연장길이와 같아지도록 하며, 요홈의 저부반경은 스터드의 반경(R1)보다는 큰 반경의 호를 그리도록 하고, 돌출립 각각의 바깥측 가장자리는 둥글게 곡선처리되며 돌출립의 아래측 역시 둥글게 곡선처리하여 상기 돌출립의 아래측이 스터드(22)와 단면상으로 단 한점에서만 접하게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사용책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암스트립(26)에 나있는 돌출립(31)에 대하여 어느한 측면 길이를 전부 더한 것은 상기 요홈(29) 모두의 길이를 저부 더한것과 같음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스트립 사용책자.
  6. 숫스트립(21)과 암스트립(26)으로 구성되고, 암스트립(26)에는 스트립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구멍(27)과 동스트립의 외측표면에 나있는 하나의 요홈(29)가 있으며, 상기 다수의 구멍(27)과 같은 위치상에 단면 반경이 둥글고 유연한 플라스틱 스터드(22)가 상기 숫트립(21)과 일체를 이루고 있고, 이같은 스터드(22)가 수직하향하여(제1도) 뻗어있으며 약 90도의 각도로 구부려질 수 있으므로써 암스트립상에 난 구멍(27)을 통과한 스터드(22)의 단부가 약 90도의 각도로 구부려진 다음에는 상기 요홈(29)속에 수용되고, 요홈의 길이는 스터드의 길이보다는 다소 길도록 하고, 유연한 표면의 돌출립(31)이 요홈의 바깥측에 인접한 요홈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나 있으며, 상기 스터드(22)가 돌출립(31) 아래로 끼워 넣도록 유연하고, 돌출립의 연장길이는 적어도 요홈의 연장길이와 같아지도록 하며, 숫스트립(21)의 스터드(22) 연결부 둘레로 환상의 침강부(36)이 형성되므로써 스터드가 90도로 구부려지는 때에는 스터드에 돌연한 억압을 주지않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스트립.
  7. 종이 각장의 등마루 가장자리에서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둔 구멍이 형성된 여러장의 종이(33), 숫스트립(21), 상기 여러장의 종이에 형성된 구멍과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멍(27)과 스트립 외측표면내의 요홈(29)를 가지는 암스트립(26) 그리고 상기의 숫스트립(21)과 일체로 형성되며 유연하고 둥근 다수의 플라스틱 스터드(22)로 이루어지며, 스터드(22) 각각은 상기 종이 각장에 난 구멍과 동일간격의 암스트립상에 난 구멍(27)을 통해서 숫스트립으로부터 외향하여 뻗어있으며 대략 90도의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암스트립상에 난 구멍(27)을 통과한 스터드(22)의 단부가 약 90도의 각도로 구부려진 다음에는 상기 요홈(29)속에 수용되고, 숫스트립(21)의 스터드(22) 연결부둘레로 환상의 침강부(36)이 형성되므로써 스터드가 90도로 구부려지는 때에는 스터드에 돌연한 억압을 주지 않게함을 특징으로 제본용 스트립 사용 책자.
  8. 종이 각장의 등마루 가장자리에서 세로방향으로 간격을 둔 구멍이 형성된 여러장의 종이(33), 숫스트립(21), 상기 여러장의 종이에 형성된 구멍과 같은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구멍(27)과 스트립 외측표면내의 요홈(29)를 가지는 암스트립(26) 그리고 상기의 숫스트립(21)과 일체로 형성되며 유연하고 둥근 다수의 플라스틱 스터드(22)로 이루어지며, 스터드(22) 각각은 상기 종이 각장에 난 구멍과 동일간격의 암스트립상에 난 구멍(27)을 통해서 숫스트립으로부터 외향하여 뻗어있으며 대략 90도의 각도로 구부려질 수 있으며, 암스트립상에 난 구멍(27)을 통과한 스터드(22)의 단부가 약 90도의 각도로 구부려진 다음에는 상기 요홈(29)속에 수용되고, 요홈의 길이는 스터드의 길이보다는 다소 길도록하고, 유연한 표면의 돌출립(31)이 요홈의 바깥측에 인접한 요홈의 길이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나있으며, 상기 스터드(22)가 돌출립(31) 아래로 끼워 넣어지게되고, 둘출립의 연장길이는 요홈의 연장길이와 같아지도록 하며, 요홈의 저부반경은 스터드의 반경(R1)보다는 큰 반경의 호를 그리도록하고, 숫스트립(21) 중앙의 일측면상에 있는 모든 스터드(22)는 암스트립(26)의 중앙을 내향하여 구부려지고 숫스트립의 타측면상에 있는 모든 스터드는 역시 암스트립의 중앙을 향해 내향하여 구부려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본용 스트립 사용책자.
KR1019860004538A 1985-11-18 1986-06-07 제본용 스트립 및 그 사용책자 KR920010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798,872 US4674906A (en) 1984-10-22 1985-11-18 Bookbinding strips and method of binding books
US798,872 1985-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840A KR870004840A (ko) 1987-06-02
KR920010255B1 true KR920010255B1 (ko) 1992-11-21

Family

ID=2517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538A KR920010255B1 (ko) 1985-11-18 1986-06-07 제본용 스트립 및 그 사용책자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4674906A (ko)
EP (1) EP0223290B1 (ko)
JP (1) JPH0659755B2 (ko)
KR (1) KR920010255B1 (ko)
AT (1) ATE47092T1 (ko)
AU (1) AU590282B2 (ko)
BR (1) BR8603062A (ko)
CA (1) CA1271970A (ko)
DE (1) DE3666184D1 (ko)
ES (2) ES8801998A2 (ko)
IE (1) IE58053B1 (ko)
MX (1) MX16204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4279U (ko) * 1987-03-30 1988-10-11
US4844674A (en) * 1987-11-02 1989-07-04 Velo Bind, Inc. Cassette for bookbinding strips
US4906157A (en) * 1989-02-21 1990-03-06 Velobind, Inc. Bending apparatus for flexible studs of bookbinding strips
US5011318A (en) * 1989-03-29 1991-04-30 Gilmore Peggy M Paper binding fastener
US5017071A (en) * 1989-06-02 1991-05-21 Velobind, Inc. Machine for automatically binding books with flexible stud binding strips
US5015138A (en) * 1990-06-15 1991-05-14 Velobind, Inc. Machine for bookbinding using flexible strips
US5087077A (en) * 1991-02-15 1992-02-11 General Binding Corporation Staple based binding system
US5234232A (en) * 1991-12-30 1993-08-10 Stripbind, Inc. Bookbinding apparatus and method of binding sheets
JPH08508685A (ja) * 1992-11-12 1996-09-17 ヴェロバインド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製本ストリップ用カセット
US5462196A (en) * 1994-05-03 1995-10-31 Velobind, Incorporated Hopper and feed for plastic book-binding strips
US5542801A (en) * 1994-06-27 1996-08-06 Velobind, Inc. Manual binding apparatus for flexible bookbinding strips
US6086280A (en) * 1997-11-17 2000-07-11 Ramich; Craig Reusable binding system and method
US20040018041A1 (en) * 2001-11-20 2004-01-29 Samuel Amdahl Plurality of binding elements for automated processes
US6955493B2 (en) * 2003-01-08 2005-10-18 Xerox Corporation Flexibind books
US20050264000A1 (en) * 2004-05-28 2005-12-01 Garland David J Jr Apparatus for retaining and organizing printed material
CA2573096A1 (en) * 2004-07-12 2006-02-16 General Binding Corporation Binding element and plurality of binding elements particularly suited for automated processes
WO2007021578A2 (en) * 2005-08-16 2007-02-22 General Binding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binding a stack of sheets with a nonspiral binding element
USD620977S1 (en) 2006-08-04 2010-08-03 General Binding Corporation Binding element
US20100226735A1 (en) * 2009-03-06 2010-09-09 Colin Knight Apparatus and method for binding sheets
DE102015107684A1 (de) * 2015-05-15 2016-11-17 Bundesdruckerei Gmbh Buchblock, buchartiges Dokument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uchartigen Dokument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53721A (de) * 1956-10-04 1961-04-30 Kyburz Hans Schnellhefter
US2911977A (en) * 1957-08-29 1959-11-10 Hector E French Loose-leaf binders
US3285250A (en) * 1965-02-24 1966-11-15 Boorum & Pease Company Loose leaf binder
GB1137259A (en) * 1966-03-29 1968-12-18 Internat Aeradi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vices for fastening sheets in a stack
US4369013A (en) * 1969-02-13 1983-01-18 Velo-Bind, Inc. Bookbinding strips
GB1400460A (en) * 1972-10-17 1975-07-16 Twinlock Ltd Looseleaf binding
DE2409310A1 (de) * 1974-02-27 1975-09-04 Brinkmann To Broxten Axel Loseblatthefter fuer numerisch gelochtes schriftgut, insbesondere fuer grundbuchblaetter
AU4482085A (en) * 1984-07-12 1986-01-16 Nemeth, C.P. Foldable tent
US4685700A (en) * 1984-10-22 1987-08-11 Velo Bind, Inc. Bookbinding strips and method of binding boo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23290A1 (en) 1987-05-27
ATE47092T1 (de) 1989-10-15
IE861500L (en) 1987-05-18
ES556349A0 (es) 1988-03-16
MX162048A (es) 1991-03-25
EP0223290B1 (en) 1989-10-11
DE3666184D1 (en) 1989-11-16
IE58053B1 (en) 1993-06-16
ES8801998A2 (es) 1988-03-16
ES297016U (es) 1989-03-16
AU5891086A (en) 1986-10-23
CA1271970A (en) 1990-07-24
BR8603062A (pt) 1987-11-17
AU590282B2 (en) 1989-11-02
ES297016Y (es) 1989-10-01
JPH0659755B2 (ja) 1994-08-10
JPS62121098A (ja) 1987-06-02
KR870004840A (ko) 1987-06-02
US4674906A (en) 198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10255B1 (ko) 제본용 스트립 및 그 사용책자
GB2183405A (en) Strain relief bushing for clamping an electrical cable
EP0646067B1 (en) A paper fastener
KR890009657A (ko) 서류보관대용 홀더
KR930000558B1 (ko) 책철용 스트립과 책철방법과 이렇게 이루어진 책
US7389598B2 (en) Sliding identifier for file folders
US5257870A (en) Paper retaining means
CA2086265C (en) Clamp means for holding objects or joining objects together
US4928361A (en) Paper clip
US4625996A (en) Bookbinding strips and method of binding books employing serrated studs
JP3519016B2 (ja) 合成樹脂製事務用クリップ
US5265968A (en) File clip
JP2728851B2 (ja) 書類綴り具
US4579472A (en) Devices for holding sheets
KR200217559Y1 (ko) 클립
KR940004514Y1 (ko) 탁상일기의 일지결속장치
KR200300463Y1 (ko) 서류클램핑기구
KR0127752Y1 (ko) 서류제본물
KR200186087Y1 (ko) 클립
AU648190B2 (en) Paper retaining means
KR920002518Y1 (ko) 화일표지용 서류철 파스너
KR900000130Y1 (ko) 압압식 지철구
GB2260513A (en) Device for fastening a cheque book to a cover
KR19990004442U (ko) 책갈피 클립
JPH0825874A (ja) ファイ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