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897B1 -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897B1
KR920009897B1 KR1019890019336A KR890019336A KR920009897B1 KR 920009897 B1 KR920009897 B1 KR 920009897B1 KR 1019890019336 A KR1019890019336 A KR 1019890019336A KR 890019336 A KR890019336 A KR 890019336A KR 920009897 B1 KR920009897 B1 KR 9200098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rphous silicon
layer
silicon layer
solar cell
type amorph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9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598A (ko
Inventor
김강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관주식회사
김정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관주식회사, 김정배 filed Critical 삼성전관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90019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9897B1/ko
Publication of KR910013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8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75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IN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5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thin film solar cells, e.g. single thin film a-Si, CIS or CdTe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8Amorphous silicon PV cel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제1도는 본 발명의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개략 단면도,
제2도는 종래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
제4도는 ITO전극과 P층, ITO전극과 N+접합시의 그 계면부근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
제5도는 바이어스가 인가되지 않았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N+층과 P층의 계면부근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
제6도는 바이어스가 인가되었을 경우, 본 발명에 따른 N+층과 P층의 계면부근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글래스기관 2 : ITO 투명전극
3 : n+형 비정질 실리콘층 4 : P형 비정질 실리콘층
5 : i형 비정질 실리콘층 6 : n형 비정질 실리콘층
7 : 금속전극
본 발명은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ITO 투명전극과 P형 비정질 실리콘층 사이에 n+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시킨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기판(21), ITO 투명전극(22), P형 비정질 실리콘층(23), i형 비정질 실리콘층(24), n형 비정질 실리콘층(25) 및 금속전극(26)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에서, i형 비정질 실리콘층(24)과 n형 비정질 실리콘층(25)은 각각 SiH4(모노실란) + H2가스와 SiH4+PH3(포스핀) 가스를 글로우 방전 분해시키는 방법으로 형성하였다. 이러한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실제전지등의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개방전압 또는 출력전압이 요구되는데, 상기한 p-i-n 구조의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서는 개방전압은 단위셀(Cell)에서 약 0.6V 정도로서, 단결정 태양전지에 비해 광전 변환 효율이 작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ITO 투명전극과 P형 비정질 실리콘층의 Ohmic 특성을 향상시키고, 그 계면특성을 개선하여 i형 비정질 실리콘층에서 발생되는 캐리어(Carrier)들이 효과적으로 취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변환효율이 높은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는, 글래스기판 위에 ITO 투명전극과 p-i-n형 비정질 실리콘층 및 금속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 있어서, ITO 투명전극과 P형 실리콘층 사이에 SiH4+PH3의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캐리어의 이동을 돕는 n+형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래스기판(1) 위에 형성된 ITO 투명전극(2)상에 PH3/SiH4=0.02의 도핑(doping)농도를 갖는, 두께 150∼200Å의 n+형 비정질 실리콘층(3)을 형성한다. 그런다음, 상기 n+형 비정질 실리콘층(3)상에 B2H6/SiH4=0.01의 도핑농도를 갖는, 두께 100∼200Å의 P형 비정질 실리콘층(4)을 형성하고, 그 위에 SiH4/H2=0.2의 도핑농도를 갖고, 두께가 4000-5000Å인 i형 비정질 실리콘층(5)을 형성한 다음, PH3/SiH4=0.01의 도핑농도를 갖고, 두께가 500∼700Å인 n형 비정질 실리콘층(6)을 형성하고, 그 위에 금속전극(7)을 형성한다. 상기한 비정질 실리콘층의 제작시 i형 및 n형 비정질 실리콘층(5)의 기판온도를 250℃로 고정시키나, P형 비정질 실리콘층(4) 형성시에는 입사광의 투과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220℃로 한다.
한편, n+형 비정질 실리콘층(3) 형성시 두께가 50Å 미만일 경우 막형성 제어가 어렵고, 두께가 300Å 이상일 경우 막두께가 시리즈 저항으로 작용함으로써 광흡수에 의한 에너지 손실이 발생하여 출력특성 저하가 나타나기 때문에 n+형 비정질 실리콘층(3)의 두께는 150-200Å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본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제3도는 본발명에 따른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3도에서 광입상에 의한 I층에서의 전자, 정공이 각각 확산에 의하여 ITO(2), Al금속전극(7)측으로 이동하여 광기전력을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 PIN구조의 태양전지에서의 낮은 개방전압 및 변환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ITO/P 계면에 N+층(N층에 비해 2배의 도우핑 밀도(doping density)를 가짐)(3)을 삽입형성시킨다.
다음에 N+층(3)의 저항성접촉(Ohmic Contact)에 대해 작용 설명한다. 제4도의 제4a도에는 종래 ITO전극(22)과 P층(24)만의 접합시 그 계면(27) 부근에서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으며, 제4b도에는 본발명에 따른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ITO전극(2)과 N+층(3)의 접합시 그 계면(11) 부근에서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이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PIN구조에 의한 태양전지는 제2도 및 제4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ITO전극(22)과 P형 비정질 실리콘(24)의 계면(27)에서 정류성접촉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높은 전위장벽(Potential Barrier)의 발생으로 인하여 캐리어(CARRIER, 전자, 정공)의 이동이 어렵고 결국 개방전압(Voc) 및 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발명에서는 도우핑 밀도가 높은 N+층(3)을 사용하였으며, 제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전위장벽이 낮은 저항성 접촉을 얻을 수 있다.
즉, 접촉영역에서 전압전류특성이 직선적이며 고유접촉저항이 낮은(n+층(3)의 도우핑밀도에 의해) 저항성 접촉을 형성하게 되므로, 제3도의 I층(5)에서 발생한 캐리어의 이동이 ITO/N+계면(11)에 있어 용이하게 되어 개방전압(Voc)이 0.7∼0.8[V]가 되어 효율도 1%가량 향상되게 된다.
다음에 본발명의 개방전압 및 효율향상의 또다른 요인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접촉에 의한 특성향상외에 N+층(3)을 통한 터널효과에 의한 전기전도로 인하여 초기 개방전압의 향상을 얻을 수 있다.
제5도와 제6도는 바이어스가 인가되지 않았을 경우와 바이어스가 인가되었을 경우 각각에 대한 N+/P층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으로서, 제5도에서와 같이 바이어스(BIAS)가 공급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N+층(3)과 P층(4)의 계면(10)을 통한 캐리어의 이동이 없으나, 제6도에서와 같이 초기 바이어스가 N+층(3)에 의하여 좁아진 N+, P층(3,4)의 계면(10)을 통하여 N+층의 전도대에 있는 전자가 P층(4)의 가전자대의 정공(+)으로 터널(Tunnel)효과에 의하여 이동함으로써 터널전류(It)가 발생하게 된다. 바이어스가 더 커지면(전위차가 커지면) 터널효과에 의한 캐리어의 이동은 감소하고 확산(Drift)에 의한 전자, 정공의 이동으로 전기전도가 발생하게 됨으로써 확산전류(If)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본발명에 따른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 의하면, ITO 투명전극과 P형 비정질 실리콘층 사이에 n+형 비정질 실리콘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저항성 접촉효과 및 터널효과로 인하여, 종래의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 비해 개방전압이 0.1∼0.3V 정도 높아지며, 또한 단락 전류밀도 역시 2∼3μA/cm2정도 높아지는등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글래스기판 위에 ITO 투명전극, p-i-n형 비정질 실리콘층 및 금속전극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 있어서, ITO 투명전극(2)과 P형 비정질 실리콘층(4) 사이에 SiH4+PH3의 혼합가스를 이용하여 캐리어의 이동을 돕는 n+형 비정질 실리콘층(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
  2. 제1항에 있어서, n+형 비정질 실리콘층(3)의 두께는 150∼200Å이며, n+형 비정질 실리콘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혼합가스의 도핑농도는 PH3/SiH4=0.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KR1019890019336A 1989-12-22 1989-12-22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KR9200098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9336A KR920009897B1 (ko) 1989-12-22 1989-12-22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19336A KR920009897B1 (ko) 1989-12-22 1989-12-22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598A KR910013598A (ko) 1991-08-08
KR920009897B1 true KR920009897B1 (ko) 1992-11-05

Family

ID=1929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9336A KR920009897B1 (ko) 1989-12-22 1989-12-22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989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598A (ko) 1991-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6340A (en) Photovoltaic device
US4638111A (en) Thin film solar cell module
US6743974B2 (en) Silicon solar cell with germanium backside solar cell
JP2814351B2 (ja) 光電装置
JPH04230082A (ja) 黄銅鉱太陽電池
JPH06151916A (ja) 多接合光電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法
US4500744A (en) Photovoltaic device
JP3646940B2 (ja) 太陽電池
EP0241226A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king it
US4160678A (en) Heterojunction solar cell
US4525593A (en) Inverted, optically enhanced solar cell
EP0248953A1 (en) Tandem photovoltaic devices
JP4158267B2 (ja) 非単結晶太陽電池
KR20180076433A (ko) 양면 수광형 텐덤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KR920009897B1 (ko)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Shen et al. Improving tunneling junction in amorphous silicon tandem solar cells
US4857115A (en) Photovoltaic device
JPH0636429B2 (ja) ヘテロ接合光電素子及びヘテロ接合光電装置
US4672148A (en) Thin-film solar cells
JPS6111475B2 (ko)
Stangl et al. Thin film silicon emitters for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epitaxial, amorphous or microcrystalline?-a simulation study
JPS6074685A (ja) 光起電力装置
Pelanchon et al. The photocurrent and the open-circuit voltage of a silicon solar cell
EP0310353A2 (en) High gain thin film sensor
JPH01211980A (ja) 太陽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6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