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461B1 - 이앙기의 상하요동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이앙기의 상하요동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461B1
KR920009461B1 KR1019850006522A KR850006522A KR920009461B1 KR 920009461 B1 KR920009461 B1 KR 920009461B1 KR 1019850006522 A KR1019850006522 A KR 1019850006522A KR 850006522 A KR850006522 A KR 850006522A KR 920009461 B1 KR920009461 B1 KR 920009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
sensor
freely
swing
hydraulic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001A (ko
Inventor
요오이찌로오 니시
아끼라 호시사와
히로유끼 다까하시
다다시 곤도오
Original Assignee
얀마-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오까 다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야마오까 다다오 filed Critical 얀마-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0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앙기의 상하요동 제어장치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이앙기의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Ⅱ)-(Ⅱ)선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Ⅲ)-(Ⅲ)선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Ⅳ)-(Ⅳ)선 중요부분확대 측면도.
제5도는 제2도의 (Ⅴ)-(Ⅴ)선 단면도.
제6도는 제2도의 (Ⅵ)-(Ⅵ)선 중요부분 확대측면도.
제7도는 제2도의 (Ⅶ)-(Ⅶ)선 확대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Ⅷ)-(Ⅷ)선 중요부분 측면도.
제9도는 유압회로도.
제10도는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중요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앙기 6 : 기체
7 : 차륜 8 : 중앙 플로우트
9 : 모심는 기구 16 : 상하요동용 유압실린더
17a, 17b : 플로우트 형상센서 22 : 상하요동센서기구
62 : 천평식 링크기구
본 발명은 이앙기의 상하요동 제어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논바닥면위를 주행하여 이양작업할 때 경작지반의 요철이나 경사에 의하여 기체가 좌우로 경사되어서 불안정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예컨데, 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소화 56년 제2811호의 고안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즉, 기체의 좌우방향 길이가 긴쪽으로 배설하는 천평간(天枰杆)을 승강용 유압실린더에 추착하여 전후이동이 자유자재롭게 하고, 그 천평간의 좌우양쪽끝과 차륜이 각각 부착하는 좌우양쪽 스윙아암을 연결하여 좌우양쪽 차륜이 일제히 승강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전기한 천평간에 한개 또는 두개의 상하요동용 유압실린더를 장착하며, 기체의 좌유양쪽에 좌우 1쌍의 플로우트형상 센서를 배설하여 기체가 왼쪽으로 가라앉으면 왼쪽의 센서가 윗쪽방향으로 상승하는 등 좌우의 센서의 상하방향의 운동에 따라서 전기한 유압 실린더의 변환밸브에 관련 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앙기를 지지하는 차륜을 상하작동하에서 논바닥면에 대한 보행형 이앙기의 기체의 좌우높이를 대략 일정하게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전기한 선행기술에서는 상하요동을 좌우 1쌍의 플로우트센서를 기체아래면의 중앙플로우트의 좌우양쪽에 절결형성한 오목한 장소에 핀을 개재하여 축착되어서 플로우트센서가 그 핀둘레에 상하요동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이 구성이면 전기한 중앙플로우트의 아래면보다 플로우트센서의 아래면이 아래위치에 있을때에는 기체의 좌우방향의 경사에 따라 논바닥면에서 앞쪽센서를 밀어올리나, 그 밀어올리는 것도 중앙 플로우트의 아래면까지이며, 플로우트센서가 중앙플로우트에 부착하고 있으므로, 플로우트센서의 아래면과 중앙플로우트의 아래면이 일치하면 그이상 플로우트센서는 상승할 수 없다.
비록 상승할 수 있었다 하더라도 그 상승량은 극히 근소하여 기체의 좌우경사를 수정하는 소위 상하요동 제어가 정확하게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모심는 기구를 장착한 기체의 아래면에 중앙플로우트를 상하작동이 자유자재롭게 장착하고, 또한 기체의 좌우양쪽에 좌우 1쌍의 센서를 배설하며, 그 좌우양쪽 센서의 상하요동에 관련시킨 상하요동용 유압실린더를 기재하여 기체의 좌우양쪽에 상하작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우 양쪽차륜을 설치하고, 전기한 중앙플로우트의 상하작동량 및 좌우양쪽센서의 상하요동량을 각각 적당하게 규제하는 한편, 전기한 좌우양쪽센서의 윗쪽으로의 요동량을 전기한 중앙플로우트의 윗쪽으로의 이동량보다도 크게 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중앙플로우트를 상하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면 기체아래면에 대한 중앙플로우트의 상하높이를 적당하게 조절하여 모심는 기구에 의한 논바닥면에의 모심는 깊이를 조절할 수가 있다.
중앙플로우트의 상하작동량 및 좌우센서의 각각 그 상하요동량중에서 그 아래쪽으로의 이동 및 아래쪽으로의 요동량에 규제에 의하여, 좌우양쪽차륜을 일제히 하강시켜서 기체를 상승시킨 소위 기체상승의 상태에 있어서 중앙플로우트의 아래면 및 센서의 아래쪽끝이 논바닥면이나 도로면에 맞닿지 않는다. 따라서 논바닥 내에서의 기체가 방향전환할때나 도로상을 주행할때에 중앙플로우트 및 센서가 아래로 드리워지는 것에 의한 불편이 없게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센서의 윗쪽으로의 요동량이 중아플로우트의 윗쪽으로의 이동량보다도 크게하였으므로, 논바닥면에 중앙플로우트 및 좌우양쪽센서를 함께 맞닿게 한 상태로서 기체가 좌우로 경사되었을때 그 경사를 감지하는 좌우센서가 중앙플로우트의 상하작동에 불구하고 그것과는 관계없이 또한 중앙플로우트보다도 윗쪽으로 센서가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기한 기체의 좌우경사를 센서에 의하여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중앙플로우트가 기체의 아래면에 대해서 가장 접근하도록 상승한 상태 바꾸어말하면, 모심는 깊이가 가장 깊은 상태에 있어서도 기체의 좌우상하요동을 제어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면, 도면에 있어서(1)은 밋숀케이스(2)의 앞부분에 앞부분프레임인 단면이 아래로 향한 ㄷ자모양의 엔진대(3)를, 뒷부분에 프레임(4)을 개재하여 전동케이스(5)를 각각 붙었다, 떼었다 하는 것이 자유자재롭게 연결한 기체(6)와, 그 기체(6)의 좌우양쪽의 좌우 1쌍의 차륜(7)(7) 및 기체(6)의 아래면에 전후길이가 긴쪽으로 배설되는 중앙플로우트(8)로서 구성되는 보행형 이앙기를 표시하며, 전기한 전동케이스(5)에는 좌우 1쌍의 상하요동식 모심는 기구(9)가 부착되고, 그 각 모심는 기구(9)로서 전기한 중앙플로우트(8)의 좌우양편 바깥부분에 있어서 모를 심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동케이스(5)의 뒷부분에는 좌우 1쌍의 조종핸들(11)(11)이 부착되어 있으며, 그 1쌍의 조종핸들(11)(11)의 윗면에는 모재치대(10)가 좌우왕복운동이 자유자재롭게 장착되어 있다. 전기한 엔진대(3)의 앞쪽끝에 밤바(12)를 좌우양쪽에 돌출시켜서 설치하는 한편, 그 엔진대(3)위에는 유압유니트(13)를 앞으로 하고, 여기에 인접하여 엔진(14)을 각각 탑재한다.
또 전기한 엔진대(3) 아래면에는 좌우양쪽차륜(7)(7)을 일제히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용 유압실린더(15)와 기체(6)의 좌우경사를 제어하는 소위 상하요동용 유압실린더(16)를 장착한다. 그리고 또 중앙플로우트(8)의 좌우위치에 있어서의 차륜(7)(7)의 앞쪽위치에는 전기한 상하요동용 유압실린더(16)에 관련시키는 상하요동 센서기구(22)에 있어서의 좌우 1쌍의 플로우트형상 센서(17a)(17b)를 배설하고, 그 양쪽플로우트 형상센서(17a)(17b)의 앞쪽끝부분을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추착아암(70)(70)을 개재하여 전기한 밤바(12)의 뒷면쪽에 상하외동이 자유자재롭게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그 밤바(12)를 기체(6)앞쪽끝의 보호와 플로우트형상센서의 지지부재의 역할을 겸용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전기한 중앙플로우터(8)의 앞쪽끝부분은 거기에서 돌출설치하는 링크(51)를 전기한 엔진대(3)의 앞쪽끝과 밤바(12)와의 사이의 상하연통하는 간극에 면하게 하고, 링크(51)에 있어서의 상하길이가 긴구멍(52)에 전기한 간극내에 설치한 핀(53)을 끼워넣어서 상하작동이 자유자재롭게 연결하는 한편, 그 상하길이가 긴 구멍(52)에 의하여 중앙플로우트(8) 앞부분의 상하작동의 치수를 규제하고 있다.
또 조종핸들(11)(11)사이에 설치한 모심는 깊이 조절간(54)의 아래쪽끝을 중아플로우트(8) 뒷부분 윗면에 추착하고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중앙플로우트(8)의 뒷부분의 기체(6) 아래면에 대한 높이를 조절하여 전기한 모심는 기구(9)에 의한 논바닥면에의 모심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전기한 양쪽 차륜(7)(7)은 전기한 밋숀케이스(2)의 좌우양쪽면에는 돌출하는 구동축(19)에, 기단(基端)에 있어서 상하회동이 자유자재롭게 추착되고, 또한 뒷쪽으로 연장된느 스윙아암(18a)(18b)의 앞쪽끝에 각각 부착하며, 전기한 엔진대(3)위의 엔진(14)에서 밋숀 케이스(2)의 한쪽면의 풀리(20)에 벨트(21)로 전동되는 밋숀케이스(2)내의 전동기구로 부터의 동력에 의해서 회전구동된다.
전기한 좌우양쪽 스윙아암(18a)(18b)를 동일한 방향으로 상하회동하여 좌우양쪽 차륜(7)(7)을 일제히 승강하기 위한 복동식 승강용 유압실린더(15)는 전기한 엔진대(3)의 아래면 위치에 있어서, 그 뒷쪽끝을 전기한 엔진대(3)의 뒷판(23)에 장착되어 있다.
승강용 유압실린더(15)의 피스톤로드(24)는 이앙기(1)의 앞방향으로 돌출작동하도록 배설되고, 이 피스톤로드(24)에 부착편(25)을 개재하여 부착하는 좌우길이가 긴 파이프부재(26)의 중간부분을 엔진대(3)의 좌우수직판(27)(27)에 있어서의 전후 길이가 긴 안내홈(28)(28)에 전후작동이 자유자재롭게 끼워넣는다.
전기한 파이프부재(26)내에 그 축선둘레에 회동이 자유자재롭게 끼워넣어진 내부축(29)의 기체진행방향의 왼쪽끝에서 윗쪽방향으로 돌출하는 브라켓(30)과, 왼쪽의 스윙아암(18a) 기단의 아암(31)을 연결간(32a)으로서 연결하는 한편, 전기한 내부축(29)의 오른쪽끝에 피복되도록 끼워 핀(33)으로 고정부착된 보스(34)에서 아래방향으로 돌출하는 브라켓(30)과, 오른쪽의 스윙아암(18b) 기단의 아암(31)을 연결간(32b)으로서 연결한다.
이것에 의하여 피스톤로드(24)의 앞방향의 돌출작동에 따라서 내부축(29)을 개재하여 양쪽 스윙아암(18a)(18b)가 윗쪽방향으로 회동하여 앞쪽차륜(7)(7)이 일제히 상승하고, 반대로 피스톤로드(24)의 후퇴작동에 따라서 양쪽 스윙아암(18a)(18b)가 아래쪽 방향으로 회동하여 양쪽차륜(7)(7)이 일제히 하강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전기한 파이프부재(26)에 돌출하는 안내체(35)(35)를 엔진대(3) 좌우양쪽수직판(27)(27)에 근접시키는 것에 의하여, 그 파이프부재(26)를 좌우방향으로 위치변경시키는 일없이 전기한 좌우의 양쪽전후 길이가 긴 안내홈(28)(28)에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는 한편, 좌우로 길이가 긴 파이프부재(26)내에 내부축(29)을 끼워넣어져 있으므로, 좌우양쪽의 스윙아암(18a)(18b)가 서로 반대로 도는 것의 축비틀림에 의해서도 승강용 유압실린더(15)의 피스톤로드(24)의 비틀림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전기한 상하요동용 유압실린더(16)는 전기한 내부축(29)의 중간부분의 브라켓에 피스톤로드(36)를 핀으로 추착하는 한편, 그 복동식 상하요동용 유압실린더(16)의 뒷쪽끝은 파이프부재(26)에서 뒷쪽방향으로 돌출한 브라켓(37)에 핀으로 추착하고 있으며, 뒤에서 설명한 상하요동센서기구(22) 및 엔진대(3)위의 유압유니트(13)의 조작에 의하여 전기한 상하요동용 유압실린더(16)를 구동하여 전기한 내부축(29)을 그 축선둘레에 회동시켜서 양쪽차륜(7)(7)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작동하도록 구성한다.
이것에 의하여 기체의 좌우양쪽이 대략 수평상태로 되는 소위 상하요동 제어를 한다.
또한(41)은 전기한 상하요동용 유압실린더(16)의 작동에 우선해서 조종핸들(11) 근처의 손잡이 핸들(42)의 조작에 따라 전기한 내부축(29)의 회동을 억제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한 양쪽 차륜(7)(7)의 상하반대작동을 정지하는 상하요동록크 기구이다.
전기한 승강용 유압실린더(15) 및 상하요동용 유압실린더(16)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회로(43)를 구성하는 유압유니트(13)는 유압펌프(44), 기름탱크(45), 분배밸브(46), 승강용 유압실린더(15)에의 유압의 변환을 행하는 로오타리식 변환밸브(47), 상하 요동용 유압실린더(16)에의 유압의 변환을 행하는 스푸울식 변환밸브(48) 등의 부품을 일체적으로 부착하여 한군데에 집합시킨 것이며, 엔진대(3)위의 엔진(14)보다 앞쪽에 배설하고, 엔진(14)에서 유압펌프(44)에의 동력전달은 벨트(49) 및 풀리(50)를 개재하여 행해진다.
(55)는 전기한 승강용 유압실린더(15)에 대한 유압의 변환을 행하는 로오타리식 변환밸브(47)를 작동시키는 승강용센서를 표시하며, 그 승강용 센서(55)는 엔진대(3)의 한쪽수직판(27)에 추지된 상하회동이 자유자재한 아암(56) 앞쪽끝의 전자(轉字)(57)를 중앙플로우트(8)의 윗면에 맞닿게하는 한편, 아암(56)기단에 부착하는 레버(58)를 전기한 로오타리식 변환밸브(47)의 축에 연결하는 것이다.
또한 조종핸들(11) 근처의 손잡이핸들(59)에 연결하는 조작간(60)을 신축이 자유자재한 접속구(61)를 개재하여 로오타리식 변환밸브(47)의 로오타리축에 연결하고, 손잡이핸들(59)의 조작에 따라 전기한 승강용센서(55)의 작동에 우선해서 전기한 로오타리식 변환밸브(47)를 변환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한 양쪽 차륜(7)(7)의 상하 일제작동을 행하게 할 수가 있다.
정기한 상하요동용 유압실린더(16)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하요동 센서기구(22)는 전기한 중앙플로우트(8)의 좌우양쪽의 논바닥면위를 활주하도록 배설된 좌우 1쌍의 플로우트형상 센서(17a)(17b)와, 전기한 유압유니트(13)위에 장착된 천평식 링크기구(62)로서 이루어진다.
전기한 좌우 1쌍의 플로우트형상 센서(17a)(17b)의 각 앞쪽끝에 볼트로 연결한 추착아암(70)(70)기단의 각 부서(75)는 전기한 밤바(12)의 뒷쪽아래면에 부착하는 횡방향 U자모양의 추지부재(76)에 있어서의 수평추축부(76a)에 회동이 자유자재롭게 피복되도록 끼워진다.
그 천평식 링크기구(62)는 전기한 유압유니트(13)위에 돌출설치한 브라켓에 있어서의 기체의 좌우 대략 중앙부에서 기체(6)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축(63)에 회동이 자유자재롭게 피복되도록 끼워지는 보스(64)에 아래쪽끝에 기체 좌우양쪽방향으로 연장되는 통형상의 천평간(65)을 고정부착하여서 상하회동이 자유자재롭게 되도록 구성하며, 그 천평간(65)내에 회동이 자유자재롭게 끼워넣어진 축(66)의 좌우 양쪽끝 부분에 부착하는 아암(67)(67)에는 각각 터언버클(68)이 부착된 링크(69)(69)의 한쪽끝을 축착하고, 양쪽링크(69)(69)의 다른쪽끝을 전기한 좌우축착아암(70)(70)의 감도조절용 부착구멍(71)에 위치변경이 가능하게 끼워맞춘다.
이것에 의하여 한쪽의 플로우트형상 센서의 뒷쪽끝이 하강하고, 다른쪽의 플로우트형상 센서의 뒷쪽끝이 상승하면, 그것에 따라서 전기한 천평간(65)이 수평축(63) 둘레로 상하회동한다.
또 전기한 천평간(65)에 부착하는 브라켓(72)의 계합용구멍(73)에는 스푸울식 변환밸브(48)에 있어서의 스푸울축(74)의 수평 앞쪽끝부분을 계합하는 것에 의하여, 천평간(65)의 기체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상하회동에 따라서 상하요동용 유압실린더(16)에의 유압의 변환을 스푸울식 변환밸브(48)에 행하게 된다. 전기한 축착아암(70)(70)기단의 각 부시(75)는 전기한 밤바(12)의 아래면에 부착하는 횡방향 U자모양의 추지부재(76)에 있어서의 수평추축부(76a)에 회동이 자유자재롭게 피복되도록 끼워진다.
이 각 축착아암(70)의 기단에 절결형성한 윗쪽방향으로 개방된 상태의 규제홈(77)을 전기한 추지부재(76)에 있어서의 돌기부(76b)에 면하게 하고, 각 센서(17a)(17b)의 상하양쪽방향으로의 요동각도를 규제한다.
이중에서 각 플로우트형상 센서(17a)(17b)의 윗쪽방향 요동각도의 규제는 제6도의 2점쇄선으로서 표시한 바와 같이 중앙플로우트(8)가 기체(6) 아래면에 가장 접근한 상태에 있어서도 상하요동규제가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한편 아래쪽방향 요동각도를 규제하는 것에 의하여 도로상의 주행이나 후진 주행할때의 플로우트형상 센서(17a)(17b) 아래쪽끝이 아래로 드리워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 중, (38)은 전기한 유압유니트(13)위의 천평링크기구(62)에서 뒷쪽의 전동케이스(5)의 윗쪽을 피복하는 본넷트커버이다.
이 구성에 의하여, 이앙기(1)의 방향선회 또는 도로위를 주행할때는 조종핸들(11) 근처의 손잡이 핸들(59)을 잡아당기는 것에 의하여 여기에 연결하는 조작간(60)이 신축이 자유자재한 접속구(61)를 개재하여 로오타리식 변환밸브(47)의 로오타리축을 회동시키고, 전기한 승강용센서(55)의 작동에 우선하여 전기한 양쪽 차륜(7)(7)을 일제히 하강시켜서 기체(6)를 크게 상승시키는 작동을 행하게 할 수가 있다.
이 경우에, 승강용 유압실린더(15)에 있어서의 피스톤로드(24)를 크게 후퇴작동시키면 여기에 파이프부재(26), 내부축(29) 및 연결간(32a)(32b)를 개재하여서 연동하는 양쪽 스윙아암(18a)(18b)가 아래쪽방향으로 회동하므로, 그 양쪽 스윙아암의 앞쪽끝에 부착하는 차륜(7)(7)은 일제히 기체(6)에 대하여 하강하고, 기체는 상승한다.
기체가 상승할 때에 있어서는 전기한 중앙플로우트(8) 및 좌우 양쪽 플로우트형상 센서(17a)(17b)가 아래쪽방향으로 이동하여도 논바닥면에 맞닿지 않도록 규제되어 있으므로 이들 플로우트가 흙탕이나 지면에 접촉하는 일이 없다.
이앙작업에 있어서, 승강용 유압실린더(15)에 있어서의 피스톤 로드(24)를 앞으로 돌출작동시켜서 하강한 기체(6) 아래면에 있어서의 중앙플로우트(8)를 논바닥면에 접지시킨 상태로서 차륜(7)(7)을 구동하면 기체는 직진하고, 모심는 기구(9)를 구동하는 것에 의하여, 그 모심는 조(爪)로서 모재치대(10)위의 모매트에서 모를 한포기씩 분할하면서 논바닥면에 복수술(鉥)에 따라 모를 심을 수가 있다.
이때 기체가 상하요동하여 예컨대, 제8도에서 기체(6)의 오른쪽이 아래로 향하도록 경사한 경우에는 오른쪽의 센서(217b)가 논바닥면에 의하여 밀어올려지고, 천평식 링크기구(62)의 링크(69), 통형상 천평간(65)을 개재하여 스푸울식 변환밸브(48)의 스푸울축(74)을 끌어올려서 변환하며, 상하요동용 유압실린더(16)에 유압을 보내어서 전기한 상하요동용 유압실린더(16)의 피스톤로드(36)를 돌출하고, 내부측(29)을 적당히 회동하여 오른쪽의 차륜(7)을 밀어내는 한편, 왼쪽의 차륜(7)을 밀어내리는 것에 의하여(제4도 참조) 기체의 오른쪽을 상승하며, 기체(6)의 좌우를 대략 수평상태로 복원하는 소위 상하요동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좌우 1쌍의 플로우트형상 센서(17a)(17b)를 기체 좌우로 돌출하는 천평식 링크기구(62)에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이 천평식 링크기구(62) 및 스푸울식 변환밸브(48)를 개재하여 상하요동용 유압실린더(16)에 관련시켜서 기체가 좌우로 경사되지 않도록 자동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는, 전기한 좌우 1쌍의 플로우트형상 센서(17a)(17b)의 앞쪽끝부분을 기재(6) 앞쪽끝에 횡방향으로 돌출하는 밤바(12)에 부착하는 횡방향 U자모양의 추지부재(76)에 추착아암(70)(70)을 개재해서 회동이 자유자재롭게 연결지지하는 한편, 추착아암(70)에 있어서의 규제홈(77)이 전기한 추지부재(76)에 있어서의 돌기부(76b)에 끼워넣어서 각 플로우트형상 센서의 상하요동량이 규제되어 있으나, 그 윗쪽으로의 요동량은 중앙플로우트(8)가 기체의 아래면의 가장 접근한 상태에 있어서도 역시 상하요동될 수 있는 것이므로 모심는 길이를 깊게한 상태에 있어서도 기체의 상하요동 제어를 정확하게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들 상하요동의 규제부재는 플로우트형상 센서의 지지부재에의 장착용 추착아암(70)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함과 아울러, 소형으로 된다.
또한 제6도에 표시하는 내부와이어(78)의 한쪽끝을 전기한 좌우양쪽추착아암(70)(70)에 연결하고, 다른쪽끝을 모심는 기구(9)에 있어서의 식재용 클러치의 조작레버(도면표시 하지 않았음)에 접속하며, 식재용 클러치를 오프(OFF)로 하면 양쪽 플로우트형상 센서(17a)(17b)를 강제적으로 들어올리도록 하면, 모심는 작업을 중지할 때에 상하요동제어를 일시 중단하는 것이 간단하게 될 수 있다.
또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추지부재(76)의 돌기부(76b)를 고정부착한 그 보스(79)를 밤바(12)에 회동이 자유자재롭게 피복되도록 끼움과 아울러 돌기부(76b)가 밤바(12)의 적당한 원주위치에 설정할 수 있도록 보스(79)를 볼트(80)등으로서 조절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전기한 규제홈(77)에 대한 돌기부(76b)의 중심위치를 조절될 수 있으므로, 플로우트형상 센서(17a)(17b)의 윗쪽으로의 이동가능량과 아래쪽으로의 이동가능량을 변경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전기한 양쪽추착아암(70)(70)에 측면에서보다 L자모양의 규제부재(81)(81)을 전후 길이가 긴홈에 끼워지는 볼트(82)를 기재하여 부착하고, 그 양쪽 규제부재(81)(81)의 돌기부(76b)에 대한 간격(전기한 것과 동일한 규제홈(77)의 폭 치수)을 길고 짧게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하면, 플로우트형상 센서(17a)(17b)의 상하작동 거리, 나아가서는 상하요동 제어가능한 범위를 증감할 수가 있다.

Claims (1)

  1. 모심는 기구(9)를 장착한 기체(6)의 아래면에 중앙플로우트(8)를 상하작동이 자유자재롭게 장착하고, 또한 기체의 좌우양쪽에 센서(17a)(17b)를 배설하며, 그 좌우양쪽센서의 상하요동에 관련시킨 상하요동용 유압실린더(16)를 개재하여 기체의 좌우양쪽에 상하작동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좌우양쪽 차륜(7)(7)을 설치하고, 전기한 중앙플로우트의 상하작동량 및 좌우양쪽센서의 상하요동량을 각각 적당하게 규제하는 한편, 전기한 좌우양쪽센서의 윗쪽으로의 요동량을 전기한 중앙플로우트의 윗쪽으로의 이동량 보다도 크게 되도록 구성하여서 이루어진 이앙기의 상하요동 제어장치.
KR1019850006522A 1985-06-04 1985-09-06 이앙기의 상하요동 제어장치 KR920009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121339A JPH0646890B2 (ja) 1985-06-04 1985-06-04 田植機のロ−リング制御装置
JP121339 1985-06-04
JP???60-121339 1985-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001A KR870000001A (ko) 1987-02-16
KR920009461B1 true KR920009461B1 (ko) 1992-10-17

Family

ID=14808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522A KR920009461B1 (ko) 1985-06-04 1985-09-06 이앙기의 상하요동 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646890B2 (ko)
KR (1) KR9200094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51043B2 (en) 2012-11-15 2017-05-16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ompressor valve system and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3920A (ja) * 1984-08-06 1986-03-03 井関農機株式会社 歩行型の水田用農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280205A (ja) 1986-12-10
KR870000001A (ko) 1987-02-16
JPH0646890B2 (ja) 1994-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461B1 (ko) 이앙기의 상하요동 제어장치
JPH0327382Y2 (ko)
JP3701764B2 (ja) 田植機
JPH0327380Y2 (ko)
JPH0328726Y2 (ko)
JPH0356166Y2 (ko)
JPH0328737Y2 (ko)
JPH0441788Y2 (ko)
JPH0687692B2 (ja) 苗植機
JP2522643B2 (ja) 田植機
JPH088572Y2 (ja) 田植機の植深制御装置
JPH0327381Y2 (ko)
JPH0328739Y2 (ko)
JPH0771417B2 (ja) 農作業機の姿勢制御装置
JP2741207B2 (ja) 田植機のフロート装置
JPH0212817Y2 (ko)
JPH0551246B2 (ko)
JP2781584B2 (ja) 畑用農作業機
JPH01243912A (ja) 苗植機のローリング装置
JPS6242648Y2 (ko)
JPS62118814A (ja) 田植機
JP2695351B2 (ja) 田植機
JPH0811008B2 (ja) 苗植機
JP2549880Y2 (ja) 移植機
JPH035361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