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447B1 - 다중처리 시스템에서의 입출력 전담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처리 시스템에서의 입출력 전담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447B1
KR920009447B1 KR1019900021865A KR900021865A KR920009447B1 KR 920009447 B1 KR920009447 B1 KR 920009447B1 KR 1019900021865 A KR1019900021865 A KR 1019900021865A KR 900021865 A KR900021865 A KR 900021865A KR 920009447 B1 KR920009447 B1 KR 920009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iop
message
b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1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3143A (ko
Inventor
채미옥
김중배
김길호
안대영
설대학
구교선
안희일
박승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경상현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to KR1019900021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9447B1/ko
Publication of KR920013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3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447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 Process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중처리 시스템에서의 입출력 전담 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입출력 처리장치를 이용한 공유 메모리 다중 처리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입출력 처리 장치의 불럭 다이어그램.
제3도는 본 발명의 입출력 처리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입출력 처리장치의 입출력 메시지 및 제어 흐름도.
본 발명은 입출력 전담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유 메모리를 이용하는 다중처리 시스템에서 각종 입출력 장치들을 제어하면서 입출력 서비스를 전담하도록한 다중처리기 시스템에서의 입출력 전담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입출력의 종류에 따라서 각기 다른 입출력 처리기를 시스템버스(System Bus)에 연결하여 이것에 대한 제어를 CPU가 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방식은 CPU가 입출력 관련 서어비스를 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용하게 되고, 다양한 입출력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서어비스가 요구되었다.
또한 빈번한 입출력 작용을 위해서 시스템버스를 사용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시스템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출력 전용 버스를 지원하면서 다양한 입출력 디바이스를 제어하여, CPU의 입출력 관련 부하를 줄이고, 또 입출력 서비스를 일관성 있게 하도록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입출력 전담 처리기를 통하여 모든 종류의 입출력 장치를 연결할 수 있어서 한정된 시스템버스를 슬롯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새로운 입출력 장치를 이식할 때에도 운영체제를 거의 바꾸지 않고 입출력 처리 장치내의 퍼엄웨어(Firmuware)만을 교체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입출력 전담 처리 장치(이하 IOP로 씀)를 이용한 일반적인 공유 메모리 다중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IOP(1)는 CPU(2) 및 메모리(MEM)(3)등은 시스템버스(SYSTEM bus)를 통하여 상호 연결되어 있다.
또한, IOP(1)는 입출력버스(I/O bus)를 통하여 디스크(4), 자기테이프(5), 모니터(6), 및 네트워크(7)들의 모든 입출력 장치들과 데이타를 교환한다.
IOP(1)와 CPU(2)사이에 통신을 하기 위해서 인터럽트와 공유 메모리를 이용한다.
즉, 각 CPU(2)들과 IOP(1)는 서로 인터럽트를 주골 받을 수 있고, 또 메모리(3)내의 시스템 영역에 액세스 하여 통신에 필요한 정보 및 데이타를 쓴다.
제2도는 IOP의 구성중 나타낸 것으로, IOP는 시스템버스 정합 모듈(12), 및 MPU(Micro Processing Unit)(3)와 주변회로 등으로 구성한다. IOP(1)의 퍼엄웨어는 국부(Local ROM)(14)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고 자체테스트(Self-test)가 끝나면 국부램(Local RAM)(15)으로 복사된 후 MPU(13)에 의해서 실행된다.
IOP(1)의 프로세서인 MPU(13)는 데이타 입출력을 수행하기 위해 IOP(1)내부의 모든 자원(16)∼(20)은 물론 정합부(21)∼(24)를 통하여 시스템 메모리를 액세스하고, 입출력버스에 연결된 입출력 디바이스(25)∼(27)에도 액세스할 수 있다.
MPU(13)가 처리할수 있는 인터럽트의 종류는 크게 세가지 그룹이 있는데 즉, 시스템 버스로 부터의 인터럽트, 로컬 인터럽트 그리고 입출력버스로 부터의 인터럽트 등이다. 인터럽트 처리 우선 순위는 그룹 간에서는 시스템버스 인터럽트가 가장 높고, 다음에 로컬 인터럽트, 로컬 인터럽트, 입출력버스로 부터의 인터럽트 순이다.
각 그룹 내에서 다시 7가지 레벨의 인터럽트가 있다.
데이타 버퍼램(Data Buffer RAM)(28)은 블럭 단위 입출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완충 기능을 해준다.
데이타 버퍼램(28)은 MPU(13) 혹은 입출력버스에 연결된 입출력 장치(20)∼(27)들이 모두 액세스 할 수 있으나, 만약 동시에 요청 했을 경우엔 MPU(13)의 우선 순위가 높다.
제3도는 퍼업웨어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IOP(1)와 다른 프로세서들 사이에 통신을 하기위한 기본적인 기능 즉, 시스템 버스로부터의 인터럽트에 대한 서비스기능, 서비스 완료후 상태를 반환하는 기능 및 공유영역내의 채널을 조작하기 위한 루틴등을 수행하는 메시지 처리수단(31)과, 입출력 요구 메시지들을 처리하기 위해서 서비스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그 프로세스를 관리, 및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입출력 제어수단(32)과, 디스트(4), 자기 테이프(5), 모니터(6) 및 네트워크(7) 등을 제어하는 입출력 디바이스에 따라서 실질적인 입출력 서비스를 수행하는 부분으로서 새로운 입출력 장치를 입출력버스에 연결할 경우에 그에 해당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추가할 수 있는 구동 디바이스(32)들로 구성한 것이다.
제4도는 IOP가 입출력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한 메시지 및 제어 흐름을 나타낸 것으로, IOP(1)의 기능은 호스트 CPU(2)로부터 일련의 입출력 요구 메시지를 받아서 그 명령의 종류에 따라서 적절한 입출력 서비스를 한 후, 그 결과를 반환하는 것이다.
메시지 전달을 위한 수단으로 CPU(2)와 IOP(1)사이의 공유영역에 요구 채널(4)과 서비스 채널(40)을 둔다. 요구 채널(41)은 호스트 CPU(2)가 IOP(1)에게 입출력 요구를 위한 메시지를 보내는 창구이고, 서비스채널(42)은 IOP(1)가 그 메시지를 받아서 처리한 결과를 반환하는 곳이다. 이 채널(41), (42)은 링크트 리스트로 구현되었고, CPU(2)는 IOP(1)의 초기화 시에 두 채널의 시작 주소를 IOP(1)에게 알려준다.
호스트 프로세서는 입출력 요구가 발생하면 메시지를 요구 채널에 삽입하고 IOP(1)에게 인터럽트를 보낸다. IOP(1)의 메시지 처리기(43)는 요구 채널(41)로부터 메시지를 가져와서 IOP(1)내의 명령큐(44)로 삽입함으로서 인터럽트에 대한 처리를 끝낸다.
IOP(1)내의 명령큐(44)에 있는 입출력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서 MPU(13)는 그 메시지를 위한 서비스프로세스 처리기(45)에서 처리하도록 한다.
이 메시지를 위한 입출력 서비스가 완료되면 그 결과를 서비스 채널(42)에 반환하고 CPU(2)에게 인터럽트를 보낸다.
IOP(1)내의 명령큐(44)에 들어온 메시지는 FIFO(First In Firstout) 형식으로 처리된다.
원칙적으로 IOP(1)의 프로세스는 하나이나, 그 프로세스 수행 도중에 원하는 자원이나 어떤 조건이 만족되지 않아서 더 이상 프로세스가 진행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그 프로세스를 잠시 중단하고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거나 수행 대기중인 다른 프로세스를 선정하여 다시 그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한다.
수행이 완료된 프로세스는 즉시 소멸시켜서 궁극적으로는 하나의 프로세스만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MPU(13)는 입출력버스(I/O bus)에 연결된 여러 가지 입출력(4)∼(7)들로부터 인터럽트를 받을 수 있다. 입출력 장치(4)∼(7)는 크게 나누어 문자단위 입출력 장치와 블럭단위 입출력 장치로 나눌수 있다.
이 두가지 종류의 입출력 장치의 입출력 처리 과정의 차이는 블럭 단위 입출력 장치는 IOP(1)내의 데이터버퍼램(29)을 이용하여 입출력 요구를 처리하나 문자단위 입출력 장치는 데이타 버퍼램(28)을 이용하지 않고 입출력을 한다.
입출력버스(I/O bus)로 부터의 인터럽트가 들어오면 각 입출력 장치를위한 인터럽트 처리기(46)가 적절한 서비스를 한다. 이와같이 IOP(1) 내 MPU(13)는 평상시에는 명령큐(44)에 있는 메시지들을 처리하기 위해서 서비스 처리기 프로세스(45)에서 프로세스를 수행하다가 시스템버스(System Bus)나 입출력버스로 (I/O bus)로부터 인터럽트가 들어오면 그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하고 입출력버스 인터럽트 처리기(46)에서 수행하도록 한 후 다시 중단된 서비스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입출력 전담처리 장치에 의하여서는, CPU(2)와, 시스템버스를 통하여 연결된 IOP(1)에서 입출력버스를 통하여 연결된 디코더(4), 자기테이프(5), 모니터(6) 및 네트워크(7)들의 입출력 장치들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서 입출력 관련 부하를 줄이면서 입출력 서비스를 일관성 있게 수행하도록 함은 물론, 모든 종류의 입출력 장치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다중처리 시스템의 입출력 처리기에 있어서, CPU(2)로부터 입출력 요구를 위한 메시지를 전달받는 요구채널(41)과, 상기 요구 채널(41)에 입력된 메시지를 명령큐(44)로 전달하면서 CPU(2)로부터의 입출력에 대한 인터럽트를 해제하는 메시지 처리기(43)와, 상기 명령큐(44)에 들어온 메시지에 대해 FIFO방식으로 하나씩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서비스 프로세스 처리기(45)와, 상기 서비스 프로세스 처리기(45)에서 처리한 결과를 상기 CPU(2)로 전달하는 서비스 채널(42)과, 시스템버스 또는 입출력버스를 통해 인터럽트가 들어오면 그에 대한 처리중 MPU(13)의 제어에 의해 수행하는 입출력버스 인터럽트 처리기(46)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처리기 시스템에서의 입출력 전담 처리장치.
KR1019900021865A 1990-12-26 1990-12-26 다중처리 시스템에서의 입출력 전담 처리장치. Expired KR920009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1865A KR920009447B1 (ko) 1990-12-26 1990-12-26 다중처리 시스템에서의 입출력 전담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1865A KR920009447B1 (ko) 1990-12-26 1990-12-26 다중처리 시스템에서의 입출력 전담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143A KR920013143A (ko) 1992-07-28
KR920009447B1 true KR920009447B1 (ko) 1992-10-16

Family

ID=1930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1865A Expired KR920009447B1 (ko) 1990-12-26 1990-12-26 다중처리 시스템에서의 입출력 전담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94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3143A (ko) 199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8799A (en) Redirection of interrupts to microprocessors
DE69727407T2 (de) Verteilte Ausführung von modusungeeigneten Befehlen in Multiprozessorsysteme
US67116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rupt redirection for arm processors
US4318174A (en) Multi-processor system employing job-swapping between different priority processors
US5911065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operative interrupts in a preemptive task scheduling environment
JPH1097490A (ja) スケーラブル対称型マルチプロセッサにおいてバス幅またはバス・プロトコルを変更せずに割り込みを分散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H1097509A (ja) 対称型マルチプロセッサ・システムにおいて割り込みを分散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5507032A (en) Multiprocessor I/O request control system forming device drive queue and processor interrupt queue from rows and cells of I/O request table and interrupt request table
US647040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livering interrupts via an APIC bus to IA-32 processors
US4855899A (en) Multiple I/O bus virtual broadcast of programmed I/O instructions
US5524211A (en) System for employing select, pause, and identification registers to control communication among plural processors
EP0049521A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920009447B1 (ko) 다중처리 시스템에서의 입출력 전담 처리장치.
US6675238B1 (en) Each of a plurality of descriptors having a completion indicator and being stored in a cache memory of an input/output processor
KR920008602A (ko) 번지공간을 공유하는 다수의 입출력장치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 및 입출력장치와 프로세서간의 통신 관리방법
Ahuja et al. A multi-microprocessor architecture with hardware support for communication and scheduling
KR940009104B1 (ko) 시스템간의 데이타 전송방법
JPS59188749A (ja) デ−タ転送制御方式
JP2864255B2 (ja) 仮想計算機方式の計算機システム
KR0171772B1 (ko) 입출력 디바이스보드의 식별방법
RU6925U1 (ru) Процессор ввода-вывода
KR19990061480A (ko) 로컬 인터럽트 제어기에서 인터럽트 처리방법
JPH056333A (ja) マルチプロセサシステム
KR0131860B1 (ko) 다중처리기 시스템의 콘솔 입출력 구동장치 및 그 방법
JPS61143858A (ja) 複数のオペレ−テイングシステムの下におけるフアイルの共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1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01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92092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2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30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30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09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9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9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