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379B1 - 가변 대역폭 핸드프리 전화기 회로 - Google Patents

가변 대역폭 핸드프리 전화기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379B1
KR920009379B1 KR1019850009749A KR850009749A KR920009379B1 KR 920009379 B1 KR920009379 B1 KR 920009379B1 KR 1019850009749 A KR1019850009749 A KR 1019850009749A KR 850009749 A KR850009749 A KR 850009749A KR 920009379 B1 KR920009379 B1 KR 920009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s
bandwidth
free telephone
ha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9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792A (ko
Inventor
오소 스토트레미어 윌리엄
Original Assignee
알카텔 엔.브이.
게오르그 그라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카텔 엔.브이., 게오르그 그라프 filed Critical 알카텔 엔.브이.
Publication of KR86000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04B1/46Transmit/receive switching by voice-frequency signals; by pilot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변 대역폭 핸드프리 전화기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대역폭 핸드프리 전화기의 송신회로에 대한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대역폭 핸드프리 전화기의 수신회로에 대한 개략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기술된 본 발명에 유용한 클록회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장점을 예시한 송신 및 수신 주파수 대 dB 분리곡선을 나타전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일렉트렛 마이크로폰 14 : 전치증폭기
16, 104 : 절환 캐패시터 필터 18,176 : 능동 다이오드
22, 110 : 캐패시터 26 : 선 증폭기
28 : 하이브리드 변성기 100 : 수신채널
102, 118, 310 : 전위차계 112 : 오디오 전력증폭기
300 : 공통클록회로 306 : 제어용 차동증폭기
308 : 전압제어 발진기
본 발명은 다중 채널을 가진 핸드프리(handsfree)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종래 기술의 핸드프리 전화기술은 마이크로폰 및 라우드스피커사이의 음향통로에 의해 부과된 제한과 하이브리드에 의해 제공된 불충분한 측음삭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음성절환이나 혹은 이득변화기술을 활용한다. 이러한 음성절환은 채널을 교대로 턴온 및 턴오프시키는 아날로그 스위치 또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FET)를 사용함으로써 성취된다. 상기 스위치는 송신신호, 수신신호 또는 비교기회로내에서의 양신호의 조합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송신통로를 온 및 오프시키는 주지원 절환공정은 클리핑으로 주지된 불필요하고 귀잖은 측음효과를 초래한다.
상기 클리핑은 절환된 파형의 리딩에지(leading edge)부에서 발생하며, 통상 구독(spoken)되는 교재의 일부분을 잘려지게 한다.
또한, 비록 종래기술에 주지된 이득가변방법이 클리핑을 작게 발생시킨다해도 이득을 끌어올리거나 내릴때 "펌핑(Pumping)" 또는 "브레딩(breading)"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고, 아울러 핸드프리 전화 사용자는 물론 개별전화 가입자에게도 혼선을 초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해서 핸드프리 전화방식의 사용으로 알게 되는 대부분의 전화가입자에게는 절환 또는 이득변화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전이중 서브세트가 오히려 나을 수도 있다. 그러나, 최근의 전이중 핸드프리 전화기는 음향분리 결핍에 의해 지시되는 저 송신레벨을 제공한다. 디지탈 신호처리는 이 와 같은 제한을 조만간 극복할 수 있게될 것이다
본 발명은 신호송신통로에서 이득절환 또는 이득변화에 의존하지 않고 핸드프리 전화서브세트의 2채널들 사이에 제공하는 분리방법을 기술한 것이다. 본 발명에 활용되는 방법은 주파수 스펙트럼을 2개의 부분으로 분리하며, 이 스펙트럼을 이용할 수 있는 주부분을 얻기 위해 더 강한 신호를 허용한다. 또한, 절환된 캐패시터 필터가 각각의 채널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폭의 등급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반면에 이러한 필터는 그 주파수 스펙트럼에 전혀 중첩 가능성을 없도록 하기 위해 공통소오스로 부터 클록된다. 따라서, 전화가입자에게는 신호의 대역폭을 변화시키는 영향이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영향보다 상당히 덜 현저하므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조지된 종래기술의 시스템보다 사용자에게 더욱 쓸모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서는 본 발명의 송신통로, 즉 채널의 회로도가 도면번호(10)로 예시된다. 일렉트렛(electret) 마이크로폰(12)은 전치 증폭기(14)에 결합된다. 관련된 저항성회로망으로 부터 얻어지는 회로이득은 전치증폭기(14)의 출력에서의 대략 -30dBV 신호와 마이크로폰(12)의 다이어프램에서의 74dB SPL 음향구동신호를 제공하도록 조정된다. 이상적인 상태에서는 송신 절환된 캐패시터 필터(SCF ) (16)가 하나의 통과대역 이득과 2KHZ의 절점주파수를 지닌 4극 고역필터가 되도록 형성되는데, 이것은 전치중폭기(14)의 출력을 가진다. 상기 전치증폭기(14)의 출력은 또한 30dB의 신호 증폭을 제공하고 아울러 오디오신호를 정류시키는 도면번호(18)에서의 능동 다이오드 A3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다이오드(18)로 부터 정류된 출력은 저항(20) 및 캐패시터(22)로 이루어진 필터에 의해 여파되는데, 이것은 입력 신호 시간 및 증폭기 이득의 최대치와 거의 같은 신호이다. 이러한 직류전압은 제3도를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TXCON(송신제어 전압)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제어용 차동증폭기(306)의 비 반전입력에 연결되고, 이것은 VCO(전압제어 발진기)(308)를 구동시키도록 사용된다.
절환 캐패시터 필터(16)의 출력은 선 증폭기(26)에 의해 증폭된 다음, 변성기(28)에서 차동중폭기(306)를 제어하기 위한 수신제어전압(RXLN)으로서 변성기 결합된다.
이제 2도를 참조하면, 수신채널이 도면번호(100)로 예시된다. 이 수신채널은 하이브리드 변성기(28)의 수신포트로 부터 그것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레벨제어부로서 제공하는 전위차계(102)를 공급한다. (104)에서의 절환 캐패시터 필터 SCF 는 무부하 상태에서 하나의 통과대역 이득 및 500HZ의 절점주파수를 지닌 4극 저역필터로서 구성된다. 수신레벨 제어 전위차계 출력은 또한 30dB의 신호증폭을 제공하고 아울러 신호를 정류시키는(106)에서의 능동 다이오드(A3)에 신호의 일부분으로서 결합된다. 이러한 능동다이오드(106)으로부터 정류된 출력은 저항(108) 및 캐패시터(110)로 이루어진 필터에 의해 여파되는데, 이것은 입력신호 시간 및 중폭기 이득의 최대치와 거의 같다. 이와 같은 직류전압은 RXCON(수신제어 전압)으로 지정되며, 제어용 차동증폭기(306)의 반전입력에 연결된다. 수신 절환 캐패시터 필터 (104)의 출력은 라우드스 피커(114)를 구동시키기 위해 34dB의 신호 증폭을 제공하는 오디오 전력증폭기(112)를 구동한다. 2개의 카운터(116)에 의한 분할은 예시된 바와 같은 클록을 제공한다.
이제 제3도를 참고하면, 대역폭 제어를 제공하는 절환된 캐패시터 필터(16) 및 (104)를 제어하기 위하여 전압 제어발진기(VCO)(308)를 포함하는 클록회로(300)와, 차동증폭기(306)가 예시된다.
효과적인 채널분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2개의 채널(송신 및 수신)이 오디오주파수 스펙트럼의 동일부분을 동시에 점유하는 그들 각각의 신호를 결코 허용하지 않도록 요구된다. 이와 같은 요구는 2개의 단일 채널필터(16) 및 (104)를 공통클록 제어회로(300)로 링크함으로써 보증된다. 상기 클록회로(300)는 2개의 채널(선로 302상의 송신 및 선호 304상의 수신)의 신호레벨을 모니터하고 더 강한 신호에 따라 클록주파수를 변화시킨다. 전술한 것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동증폭기(306)가 VCO(308)를 제어하기 위한 출력을 발생시킨다. 전위차계(118)는 VCO의 지연 주파수를 200KHZ로 설정하는 VCO(308)의 핀(6)에서 이상적인 상태의 직류전압, 즉 -1볼트의 전압을 제공하도록, 조정된다. 이와 같은 클록주파수에 따라 송신 절환된 캐패시터 필터(16)가 그것의 절점주파수를 2KHZ로 설정하고 반면에 수신절환 캐패시터 필터(104)가 그것의 절점주파수를 500HZ로 설정한다. 제4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대역폭 엔벨로우프가 교차하는 지점에서는 응답이 통과대역이득을 24dB 이하로 되게 할 것이다.
만일 송신신호가 진폭에서 증가한다면, 응답은 VCO(308)의 핀(6)상의 직류전압이 클록주파수를 차례로 감소시키도록 더 많이 양(+)으로 되게 할 것이다. 클록주파수가 강하할때 송신응답곡선의 하부단부는 수신채널에 의해 미리 점유되었던 오디오 스펙트럼의 하부단부를 향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수신곡선의 상부단부는 24dB의 분리눈금을 유지하는 송신곡선으로 부터 동시에 물러가게 된다.
역으로, 만일 수신신호 진폭이 증가하면, VCO(308)의 핀(6)상의 전압은 클록주파수를 증가시키도록 더 많이 음(-)으로 되게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은 송신곡선의 하부단부를 확대 수신곡선을 위한 오디오 스펙트럼 허용장소안으로 더 높이 이동시킨다.
전위차계(310)는 제어차동증폭기(306)의 출력 스윙(swing)을 제한하고 따라서 VCO(308)의 주파수 스윙도 제한한다.
정상동작 상태하에서의 VCO(308)의 클록주파수는 성신 절점주파수를 400HZ에서 12KHZ까지 스윙하고 수신 절감주파수를 100HZ에서 3000HZ까지 스윙하도록 하기 위하여 대략 20KHZ에서 600 KHZ까지 스윙할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로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 분야의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는 추가의 실시예와, 여러가지 변경 및 응용이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이내에 포함된다는 것이 명백하게 이해될 것이다.

Claims (8)

  1. 송신통로내의 2개의 통신채널을 분리하도록 제공하는 가변대역폭 핸드프리 전화기회로에 있어서, 상기 통신 채널내의 신호주파수 대역폭의 일부분을 상기 각각의 채널로 할당하는 수단과, 통신 채널내의 신호주파수 스펙트럼을 2개의 부분으로 분리하는 수단과, 상기 신호의 각각의 대역폭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2개의 채널내의 주파수 스펙트럼의 중첩을 방지하도록 상기 분리 및 할당수단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대역폭 핸드프리 전화기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채널의 신호주파수 대역폭의 일부분을 할당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절환 캐패시터 필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대역폭 핸드프리 전화기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통신채널내의 신호주파수 스펙트럼을 2개의 부분으로 분리하기 위한 상기 수단이 상기 2개의 채널의 신호레벨을 모니터하고 2개의 신호중 더 강한 신호를 기초로해서 출력을 발생하기 위한 클록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대역폭 핸드프리 전화기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채널들 사이에 소정의 신호분리 등급을 유지하도록 각각의 채널에서 절환캐패시터의 주파수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록회로의 출력에 응답하는 전압제어 발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대역폭 핸드프리 전화기회로.
  5. 핸드프리 전화기내의 송신 및 수신채널을 분리하도록 제공하는 가변대역폭 전화기회로에 있어서, 오디오 주파수 스펙트럼의 주파수 대역폭의 일부분을 상기 송신 채널로 할당하는 수단과, 오디오 주파수 스펙트럼의 주파수 대역폭의 또다른 부분을 상기 수신패널로 할당하는 수단과, 상기 송신 및 수신채널의 오디오 주파수 스펙트럼의 상기 주파수 스펙트럼 부분을 서로로부터 분리하는 수단과, 송신 및 수신채널의 대역폭을 변화시킴으로써 주파수들의 상기 분리 및 할당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대역폭 핸드프리 전화기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수단이 상기 송신채널을 위한 절환 캐패시터 필터와 상기 수신채널을 위한 절환캐패시터 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대역폭 핸드프리 전화기회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및 수신채널의 주파수 스펙트럼을 2개의 부분으로 분리하는 상기 수단이 송신 및 수신채널 신호레벨을 모니터하고 상기 송신 또는 수신신호 레벨이 신호강도를 더 크게함에 따라서 출력을 발생하는 클록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대역폭 핸드프리 전화기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채널들사이에 소망의 신호분리 등급을 유지하도록 송신 및 수신채널에서 절환 캐패시터 필터의 주파수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클록회로의 출력에 응답하는 전압제어 발진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대역폭 핸드프리 전화기회로.
KR1019850009749A 1985-03-27 1985-12-24 가변 대역폭 핸드프리 전화기 회로 KR9200093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716,438 1985-03-27
US06/716,438 US4641339A (en) 1985-03-27 1985-03-27 Variable bandwidth handsfree telephone using switched capacitor filtering
US716438 1991-06-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792A KR860007792A (ko) 1986-10-17
KR920009379B1 true KR920009379B1 (ko) 1992-10-15

Family

ID=24877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9749A KR920009379B1 (ko) 1985-03-27 1985-12-24 가변 대역폭 핸드프리 전화기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41339A (ko)
JP (1) JPS61225955A (ko)
KR (1) KR920009379B1 (ko)
DE (1) DE3606973A1 (ko)
ES (1) ES87070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19263A (en) * 1986-06-30 1989-04-04 Cellular Communication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s free telephonic communication
JPH0683305B2 (ja) * 1987-03-12 1994-10-19 日本電気株式会社 拡声電話機
DE3728109C1 (de) * 1987-08-22 1989-03-16 Telefonbau & Normalzeit Gmbh Verfahren fuer die sprachgesteuerte Daempfungsregelung in Fernsprechuebertragungskreisen
US4879746A (en) * 1987-12-30 1989-11-07 Plantronics, Inc. Voice communication link interface apparatus
DE4021787A1 (de) * 1990-07-09 1992-01-16 Telefunken Electronic Gmbh Elektro-akustisches system
US5333194A (en) * 1990-10-15 1994-07-26 Glenayre Electronics, Inc. Autoequalizing bidirectional-to-unidirectional hybrid network
JP2606167B2 (ja) * 1994-12-07 1997-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電話機
US6049561A (en) * 1997-04-30 2000-04-11 Raytheon Company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system
KR200481139Y1 (ko) * 2015-05-28 2016-08-19 주식회사 아가프라 유아용 음료팩 홀더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22003A (en) * 1958-11-12 1963-03-27 Modern Telephones Great Britai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wo-way communication telephone systems
CH492357A (it) * 1966-12-24 1970-06-15 Consiglio Naz Delle Ricerche E Procedimento per migliorare la qualità della trasmissione di circuiti telefonici
JPS4911405A (ko) * 1972-05-30 1974-01-31
JPS5822249A (ja) * 1981-08-03 1983-02-09 Toyo Kikai Kk テンタのア−ム回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47869B2 (ko) 1992-02-13
US4641339A (en) 1987-02-03
KR860007792A (ko) 1986-10-17
ES8707056A1 (es) 1987-07-01
DE3606973A1 (de) 1986-10-09
JPS61225955A (ja) 1986-10-07
ES553429A0 (es) 1987-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9514A (en) Multi-purpose telephone accessory unit
CA1190683A (en) Voice communication instrument system with line- powered receiver conditioning circuit
EP0077688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hearing aids
JP2668633B2 (ja) 信号伸張をともなう微弱電力増幅器/トランスデューサドライバ
CN111954122B (zh) 扬声器系统及包含扬声器系统的通信装置和免提电话
DK145250B (da) Hoereapparat
KR920009379B1 (ko) 가변 대역폭 핸드프리 전화기 회로
US5235637A (en) Voice communication link interface
JPH02500077A (ja) 無線受信機用音声増幅器回路
CA1181541A (en) Loudspeaking telephone
US4490584A (en) Infrared remote telephone system level control
US5170430A (en) Voice-switched handset receive amplifier
EP0380290A2 (en) Voice communication link interface apparatus
GB2174578A (en) Loudspeaking telephone
US3691311A (en) Telephone user set
US5293420A (en) Ring trip circuit
US394474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back suppression
US4518829A (en) Two terminal microphone active load gain regulation circuit
US6931120B1 (en) Telephone-computer interface
JPS6281858A (ja) 電話機の送話器
JPH03151746A (ja) 高齢者用電話機
JPH0723098A (ja) 電話機
JPS61156959A (ja) ユ−ザ通信システム
JPS6226966A (ja) 拡声式同時通話装置
JPS59194597A (ja) ハウリング防止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