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103B1 -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영상 신호에 대한 시간축 보정 회로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영상 신호에 대한 시간축 보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103B1
KR920009103B1 KR1019890009157A KR890009157A KR920009103B1 KR 920009103 B1 KR920009103 B1 KR 920009103B1 KR 1019890009157 A KR1019890009157 A KR 1019890009157A KR 890009157 A KR890009157 A KR 890009157A KR 920009103 B1 KR920009103 B1 KR 920009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correction
error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0891A (ko
Inventor
다카시 고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마
아오이 죠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마, 아오이 죠이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마
Publication of KR900000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2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for correction of skew for multitrack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5Time-base error compensation
    • H04N5/953Time-base error compensation by using an analogue memory, e.g. a CCD shift register, the delay of which is controlled by a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6Angle-modulation recording or reproduc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영상 신호에 대한 시간축 보정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영상 신호에 대한 시간축 보정 회로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정정 신호 생성 회로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회로도.
제3도 및 제4도는 제1도의 실시예 회로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챠트.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6도는 제5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챠트.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8도는 제7도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챠트.
제9도는 스큐 변형을 도시하는 파형도.
제10도는 종래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영상 신호에 대한 기간축 보정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11도는 오차 신호 발생 회로(PLL)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제12도는 제10도의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CD 2 : 동기 분리 회로
3 : 수평 동기 분리 회로 4 : PC
5 : 제1VCO 6 : 제2VCO
7 : LPF 8 : 오차 신호 발생 회로(PLL)
9 : 지연 회로 10 : 정정 신호 생성 회로
본 발명은 CCD(전하 결합 소자)에 의한 지연 회로를 사용하여 스큐 변형을 보정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영상 신호에 대한 시간축 보정 회로에 관한 것이다.
가정용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이하, VTR)에 있어서는, 통상 2개 이상의 비디오 헤드에 의하여 영상 신호의 자기 기록 또는 재생이 실시된다. 이로 인해 비디오 헤드의 절환점에 있어서 영상 신호가 불연속되는 스큐 변형이 발생한다. 이 스큐 변형은 비디오 헤드의 전환점, 즉 수직 귀선 기간의 근방에 있어서 발생되므로, 통상의 재생에 있어서는 화면상으로 별문제가 안된다. 그러나 속송 재생과 같은 특수 재생시에는 화면상에 스큐 변형이 나타나므로 보기 힘든 화상이 된다.
제9도는 A헤드 및 B헤드의 2개의 비디오 헤드에 의한 절환 재생에 의한 VTR의 재생 영상 신호에 스큐 변형을 표시하는 파형을 도시하는 것이다. 통상의 수평 주사 주기는 TH이고, A헤드와 B헤드와의 절환점에 있어서의 수평 주사 주기는 TH-ts로 되어 있다. 제9도는 헤드 절환점에서 영상 신호가 시간 ts만큼 짧아진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또 도시는 생략했으나, 헤드 절환점에 있어서 영상 신호의 시간축이 신장하는 일도 있다. 이와 같이 영상 신호의 수평 주사 기간이 변화되면 화면상에 있어서 화상이 이그러진다. 이 스큐 변형을 보정하기 위하여 비디오 헤드로 재생된 재생 영상 신호의 시간축을 보정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제10도는 이러한 재생 신호의 시간축을 보정하는 종래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영상 신호의 시간축 보정 회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2개의 비디오 헤드(도시생략)로 교대로 재생된 재생 복합 영상 신호는 지연 회로(9)를 구성하는 CCD(전하 결합 소자)(1) 및 동기 분리 회로(2)에 도입된다. 동기 분리 회로(2)에 있어서 분리된 복합 동기 신호는 수평 동기 분리 회로(3)에 도입된다. 이 회로(3)에서는 수직 동기 신호 및 등가 펄스가 제거되고, 연속된 수평 동기 신호만이 출력된다. 이 수평 동기 신호는 오차 신호 발생 회로(이하, PLL로 호칭)(8)를 구성하는 위상 비교 회로(이하, PC로 호칭)(4)에 입력된다. PC(4)는 전압 제어 발진기(제1VCO로 호칭)(5)로부터의 발진 신호의 위상과 수평 동기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오차 출력을 상기 지연 회로(9)내의 VCO(이하 제2VCO로 호칭)(6) 및 PLL(8)의 로우패스 필터(이하, LPF로 호칭)(7)에 부여한다. LPF(7)는 오차 출력을 평활하여 이것을 제1VCO(5)에 제어 전압으로서 부여한다. 이 결과로 제1VCO(5)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는 LPF(7)로부터의 제어 전압에 따라 수평 동기 분리 회로(3)에서 PC(4)에 도입된 수평 동기 신호의 평균 주파수에 일치하도록 안정화된다. 따라서 헤드 절환에 의하여 수평 주사 기간이 변화되면 그 변화량에 따른 오차 출력이 제2VCO(6)에 도입된다. 제2VCO(6)는 오차 출력에 따른 주파수의 구동 펄스를 CCD(1)에 부여한다. CCD(1)는 이 구동 펄스의 주파수에 따른 지연량으로 재생 영상 신호를 지연시킨다.
제11도는 PLL(8) 및 이 PLL(8)를 구성하는 LPF(7)의 각 주파수 응답성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제11도에 있어서 파선의 그래프는 LPF(7)의 특성을 표시하고, 실선 그래프는 PLL(8)의 특성을 표시한다.
PLL(8)에 있어서는 그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통상 루프 이득 및 덤핑 계수 등의 정수를 독립해서 조정할 수 있는 래그·리드 필터가 채용된다. 이 래그·리드 필터에 있어서는 제11도의 파선 그래프의 도시와 같이 소정의 주파수 fp, fz에 있어서 각각 극점 및 영점을 가진다.
여기에서, PLL(8)로 안정화된 제1VCO(5)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 즉 수평 동기 분리 회로(3)에서 PLL(8)에 도입되는 스큐 변형을 함유하는 수평 동기 신호의 평균 주파수를 평균 수평 주사 주파수로 한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PLL(8)에 도입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주파수와 PLL(8)의 제1VCO(5)가 발진하는 평균 수평 주사 주파수와의 차의 주파수가 제11도에 도시하는 영점 주파수 fz 이상인 경우, 이 오차 출력은 LPF(7)에 있어서 평활되어 제1VCO(5)를 제어한다. 이것으로 의하여 제1VCO(5)로부터의 발진 신호의 주파수는 평균 수평 주사 주파수에 일치하게 된다. 따라서, PC(4)의 오차 출력은 수평 동기 분리 회로(3)에서 도입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주파수의 변동, 즉 재생 영상 신호의 시간축의 변동에 추종해서 변화한다.
이 오차 출력이 제2VCO(6)에 도입되고, 제2VCO(6)가 출력하는 지연 제어 펄스 주파수가 오차 출력에 따라 변화한다. 이 펄스는 CCD(1)의 클럭 입력단에 도입되고, 그 주파수에 따라 CCD(1)의 지연 시간이 재생 복합 영상 신호의 시간축의 변동을 지우도록 변화한다. 이와 같이 지연 회로(9)로부터 시간축 변동이 보정된 영상 신호가 출력된다.
PLL(8)에 도입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주파수와 PLL(8)의 제1VCO(5)가 발진하는 평균 주사 주파수와의 차의 주파수가 제11도의 극점 주파수 fp 이하인 경우에 PLL(8)는 이 수평 주사 주파수의 변동에 대하여 완전히 추종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 PC(4)로부터의 오차 출력은 약 0이다. 그 결과 제2VCO(6)에 도입되는 오차 출력에 변화가 없으므로 제2VCO(6)에서 일정한 주파수의 지연 제어 펄스가 CCD(1)에 주어지고, CCD(1)의 지연량은 변화되지 않고, 영상 신호의 시간축 변동의 보정은 실시되지 아니한다.
그런데, VTR 재생 신호의 스큐 변형에 의한 주파수 편이는 통상 60∼300Hz의 낮은 주파수 범위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시간축 변동에 정확히 추종하는 시간축 보정을 실시하려면 영점 주파수 fz로서, 상기 스큐 변형에 의한 주파수 편이의 주파수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영점 주파수 fz를 낮은 주파수로 설정하면 당연히 극점 주파수 fp도 낮아지고, PLL(8)의 동작은 극히 불안정해진다. 안정성이 다른 PLL는 전원의 온시 또는 큰 스큐 변형 등의 외란에 의하여 록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종래는 PLL(8)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영점 주파수 fz가 수백 Hz이상으로 설정되었다.
제12도는 수평 주기가 시간 ts만큼 단축되었을 때의 스큐 변형과 시간 ts만큼 신장되었을 때의 스큐 변형이 주기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경우의 PC(4)로부터의 오차 출력 파형을 도시한다. V+는 시간축의 TH+ts의 스큐가 발생했을 경우에 이 시간 ts를 보정하도록 발생하는 오차 출력, V-는 tH-ts의 스큐가 발생했을 경우에 이것을 보정하도록 발생하는 오차 출력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차 출력은 그후 그들의 평균치 Vp에 수속되고 말기 때문에 정확한 보정을 할 수 없다.
종래의 시간축 보정 회로에서는 PLL(8)에 설치되는 LPF(7)의 특성에 의하여 입력 신호의 시간축 변동에 완전 추종하는 극점 주파수 fp와, 어떤 오차분을 가지고 추종하는 영점 주파수 fz를 가진다. 스큐에 의한 주파수 편이의 60∼30 [Hz]는 상기 영점 주파수 fz보다 낮은 주파수이므로, 이와 같은 낮은 주파수대에서의 스큐를 고정밀도로 보정하려면, 영점 주파수 fz를 내려야 한다. 그러나 영점 주파수 fz를 내린다는 것은 PLL가 완전 추종 동작을 실시할 때의 극점 주파수 fp도 내리게 되고 PLL 동작의 안정성이 나빠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회로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연구된 것으로, 확실히 스큐 변형을 보정할 수 있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영상 신호의 시간축 보정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재생 영상 신호에서 분리된 수평 동기 신호를 입력하여 자기 루프내에 설정한 평균 수평 주파수 신호와의 주파수 및 위상차를 표시하는 오차 출력을 도출하는 PLL 회로와 이 PLL 회로로부터의 오차출력을 입력하여 비디오 헤드의 절환시에 있어서의 오차 전압의 변화분을 절환전의 홀드 전압에 가산하여 새로운 홀드 전압으로 하는 정정 신호 생성 회로와, 이 정정 신호 생성 회로의 출력 전압에 따라 상기 재생 영상 신호의 시간축을 보정하는 지연 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별도의 실시예는 통상 속도 재생시와 특수 속도 재생시에서 PLL 회로로부터의 출력과 정정 신호 생성 회로로부터의 출력을 선택하여 지연 회로를 제어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헤드 절환시에 발생한 수평 동기 신호 주파수 변동분을 홀드하여 차례로 적분해서 각 절환시의 영상 신호로 그 시점에서의 적분 출력에 따라 지연한다.
이것에 의하여 헤드 절환시의 스큐에 따른 보정이 가능해진다. 또 지연 회로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드롭아웃 보정 회로로 도입하는 양태에서는 이 드롭 아웃 보정 회로에서 지연 회로가 보정을 완료한 신호를 출력할 때까지 1 수평 주사 기간 전의 영상 신호를 선택하고 있다. 이로인해 헤드 절환 직후의 스큐변형도 없앨 수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영상 신호의 시간 보정 회로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그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하여 제10도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재생 복합 영상 신호가 도입되는 지연 회로(9), 동기 분리 회로(2), 연속된 수평 동기 신호를 출력하는 수평 동기 분리 회로(3) 및 PLL(8)의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PLL(8)를 구성하는 PC(4)로부터의 오차 출력은 변동적분형 정정 신호 생성 회로(10)를 통하여 지연 회로(9)에 주어진다.
제2도는 이 변동적분형 정정 신호 생성 회로(10)를 구체적으로 도시하는 회로이다. 이 변동적분형 정정 신호 회로(10)는, 샘플용 스위치 S1및 홀드 콘덴서 CH로 구성되는 샘플 홀드 회로(이하, S/H 회로로 약칭), 저항 R1및 콘덴서 C1로 구성되는 적분 회로 및 귀환 저항 Rf를 주요소로 하고 있다. 이 변동적분형 정정 신호 생성 회로(10)의 입력 단자(11)에는 PC(4)로부터 오차 출력이 도입된다. 이 오차 출력은 결합 콘덴서 CC를 통하여 버퍼앰프 B1에 도입된다. 버퍼앰프 B1의 출력은 S/H 회로를 통하여 버퍼앰프 B2에 주어진다. 샘플 스위치 S1은 앤드 회로(12)에서 도입되는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된다. 즉 제어 신호가 하이레벨(이하 "H"로 약칭)의 경우 온이 되고, 로우 레벨(이하, "L"로 약칭)의 경우 오프가 된다. 앤드 회로(12)의 한쪽 입력단에는 세트 입력 단자(13)로부터 스큐 변형 검출 펄스 S가 도입되고, 타단에는 리세트 입력 단자(14)에서 도입된 리세트 펄스 R가 인버터(15)를 통하여 입력된다. 입력 단자(11)에 도입된 오차출력은 샘플 스위치 S1이 온시에 샘플되고, 홀드 콘덴서 CH에 홀드된다. 이 홀드 전압은 버퍼 앰프 B2의 출력단을 통하여 출력 단자(16)에 접속되는 동시에 귀환 저항 Rf를 통하여 버퍼 앰프 B1에 귀환되고 있다. 또 버퍼 앰프 B1의 출력은 적분 회로 및 리세트 스위치 S2를 통하여 홀드콘덴서 CH에 부여되고, 적분 회로를 구성하는 적분 저항 R1및 적분 콘덴서 C1의 직렬 회로를 통하여 기준 전위점에 접속된다. 이 적분 저항 R1및 적분 콘덴서 C1의 접속점은 리세트 스위치 S2를 통하여 버퍼 앰프 B2의 입력단에 접속된다. 리세트 스위치 S2는 리세트 입력 단자(14)로부터의 리세트 펄스 R에 의하여 제어된다. 즉 리세트 펄스 R가 "H"인 경우 온, "L"의 경우 오프가 된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변동적분형 정정 신호 발생 회로의 동작을 제3도의 타이밍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3a도는 스큐 변형 검출 펄스 S를 도시하고, 제3b도는 PC(4)로부터의 오차 출력을 도시하고, 제3c도는 변동적분형 정정 신호 발생 회로(10)로부터의 출력을 도시한다. 제3b도, 제3c도에 있어서, 전압 V1-V5는 각각 헤드 절환시에 있어서의 재생 영상 신호의 시간축의 변동에 대응하는 PC(4)로부터의 오차 출력이다.
비디오 헤드(도시생략)에 의하여 재생된 재생 복합 영상 신호가 동기 분리 회로(2)에서 동기 신호가 분리되고, 다시 수평 동기 분리 회로(3)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가 출력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또 PLL(8)의 제1VCO(5)가 발진하고 있는 평균 수평 주사 주파수와 수평 동기 분리 회로(3)에서 도입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주파수와의 차에 따르는 오차 출력이 스큐 변형 발생 직후에 PC(4)에서 출력되는 것도 종래와 동일하다(제3b도 참조).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동적분형 정정 신호 생성 회로(10)에 도입되는 스큐 변형 검출 펄스 S는 헤드 절환시에 동기해서 발생된다. 이 검출 펄스 S가 변동적분형 정정 신호 생성 회로(10)에 도입되고, 이 검출 펄스 S가 "H"일 때 샘플 스위치 S1이 오차 출력을 샘플링한다. 그러기, 제3c도의 도시와 같이 검출 펄스 S가 "L"가 되면 샘플 스위치 S1이 샘플링한 오차 출력을 홀드 콘덴서 CH가 홀드한다.
따라서, 지연 회로(9)에는 스큐 변형이 발생하고 나서 다음의 스큐 변형이 발생할 때까지 일정한 홀드 전압이 도입된다. 이로인해, 지연 회로(9)의 제2VCO(6)으로부터 발진되는 지연 제어 펄스의 주파수는 각 헤드에서의 재생 중에는 각각 일정하고, CCD(1)는 각각의 재생 기간중 일정한 지연량으로 영상 신호의 시간축을 보정할 수 있다.
또, 제4도의 타이밍 챠트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a도는 리세트 펄스 R를 도시하고, 제4b도는 스큐 변형 검출 펄스 S를 도시하고, 제4c도는 샘플 스위치 S1에 도입되는 제어 신호를 도시하고, 제4d도는 PC(4)로부터의 오차 출력을 표시하고, 제4e도는 버퍼 앰프 B1에 도입되는 신호를 도시하고, 제4f도는 변동적분형 정정 신호 생성 신호(10)의 출력을 도시한다.
입력 단자(11)로부터 결합 콘덴서 CC를 통하여 버퍼 앰프(B1)의 입력단에 제4d도에 도시되는 오차 출력이 입력된다. 헤드 절환시, 이 오차 출력은 첨두치 V1, V2…를 가지고, 이들의 시점에서 스큐 변형 검출펄스 S는 "H"이다. 이 검출 펄스 S에 의하여 샘플 스위치 S1이 온이 되고, 오차 출력의 최초의 변화분 V1,이 홀드 콘덴서 CH에 홀드된다. 이것으로, PC(4)로부터의 오차 출력이 그 정상치인 첨두치 V1에서 변화해도, 출력 단자(16)로부터는 홀드 콘덴서 CH에 홀드된 정상의 오차 출력의 변화분 V1이 버퍼 앰프 B2를 통하여 출력된다.
이 홀드 전압 V1은 귀환 저항 Rf를 통하여 버퍼 앰프 B1의 입력단에 귀환된다. 이 귀환 신호에 대해서는 귀환 저항 Rf 및 결합 콘덴서 Cc에 의하여 적분 회로가 구성된다. 이 적분 회로를 통하여 오차 출력이 귀환되므로써 버퍼 앰프 B1의 입력단의 레벨은 제4e도의 도시와 같이 변화하여 결국 버퍼 앰프 B1의 입력단 레벨은 전압 V1과 동일한 레벨이 된다.
이어서, 다음의 스큐 변형에 의하여 PC(4)로부터 제4d도에 도시하는 오차 출력의 변화분 V2가 출력되면 버퍼 앰프 B1의 입력단의 레벨은 V1에서 V1+V2로 변화한다. 앞의 오차 출력의 경우와 동일하게 오차 출력이 첨두치 V2를 표시하는 시점에서는 스큐 변형 검출 펄스 S는 "H"이고, 샘플 스위치 S1이 온이되므로, 홀드 콘덴서 CH에서 V1+V2의 전압이 홀드된다. 이것에 의하여 출력 단자(16)로부터는 다음의 스큐 변형이 발생할 때까지 V1+V2의 출력이 도출된다. 이후 이 동작이 반복되어 결국 각 헤드에서의 재생시에 일정한 적정 지연량으로 영상 신호의 시간축 보정이 실시된다. 이로이내 스큐 변형은 보정되고, 종래와 같이 새로운 시간축의 변동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 결합 콘덴서 CC및 귀환 저항 Rf에 의한 회로의 시정수는 스큐 변형이 발생하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시정수보다 충분히 작은 값으로 설정되고 있다.
그런데, 제4d도에 도시하는 오차 출력의 첨두치 V1∼V2중 한쪽의 헤드에 의한 전압 V1, V3은 정전압이고, 다른쪽 헤드에 의한 전압 V2, V4는 부전압이다. 그런데 각 헤드에서의 오차 출력의 총합, V1+V3…와 V2+V4…의 절대치가 같은 전압으로 한정되지 않고, 스큐 변형의 보정 회수가 증가하면 지원 회로(9)에의 제어 신호의 전압이 정 또는 부로 포화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소정회수의 스큐 변형 발생시 때마다, 예를 들면 리세트 동작을 실시하도록 하고 있다. 즉, 리세트 입력 단자(14)에 제4a도에 도시하는 리세트 펄스 R를 도입한다. 리세트 펄스 R이 "H"가 되면 리세트 입력 단자(14)에 인버터(15)를 통하여 접속되는 앤드 회로(12)로부터의 제어 신호는 "L"이 되고, 샘플 스위치 S1은 오프가 된다. 한편 리세트 스위치 S2는 리세트 펄스 R의 "H"에 의하여 온이 된다. 이것에 의하여 버퍼 앰프 B1의 출력은 저항 R1및 콘덴서 C1에 의하여 적분되어 홀드 콘덴서 CH에 주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홀드 콘덴서 CH는 리세트 펄스 R의 "H"기간만 버퍼 앰프 B1에서 적분 회로를 통하여 오차 출력을 도입한다. 따라서 이 적분 회로의 시정수 R1×C1를 스큐 변형의 발생 주기보다 충분히 큰 값으로 설정하면 홀드 콘덴서 CH에는 오차 출력의 평균 전압 VD와 동일한 전압이 홀드되어 리세트 동작 해제후의 응답성이 양호해진다. 또, 리세트 동작시에는 정상의 스큐 변형 보정 동작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나, 리세트 동작을 수직 귀선 기간에 실시하므로써 화면상에 스큐 변형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5도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5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로 표시한다.
제5도의 실시예에는 제3 및 제4스위치 S3, S4를 부가한 점이 제1도의 실시예와 다르다. 즉 PC(4)로부터의 오차 출력은 변동적분형 정정 신호 생성 회로(10)에 도입되는 동시에 제3스위치 S3의 한쪽단에도 주어진다. 제3스위치 S3의 타단은 제4스위치 S4의 제1입력단 a에 접속되어 있고, 제3스위치 S3에는 스큐변형 검출 펄스 S가 도입되고, 이 검출 펄스 S가 "H"일 때 도통되지 않는다. 제4스위치 S4의 제2입력단 b에는 변동적분형 정정 신호 생성 회로(10)의 출력이 도입되고, 제4스위치 S4의 공통단 C는 통상 속도 재생시에는 단자 a에 접속되고, 속송 재생시에는 단자 b에 접속된다. 이것으로 통상 속도 재생시에는 제3스위치 S3을 통하여 PC(4)로부터의 오차 출력 신호가 지연 회로(9)에 주어지고, 속송 재생시에는 변동적분형 정정 신호 생성 회로(10)의 출력이 지연 회로(9)에 주어진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의 동작을 제6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6a도는 도시를 생략한 비디오 헤드의 절환 신호를 도시하는 것이고, 제6b도는 제3스위치 S3에 도입되는 스큐 변형 검출 펄스 S를 도시하고 제6c도는 PC(4)로부터의 오차 출력을 도시하고, (4) 제6d도는 제4스위치 S4의 제1입력단 a에 도입되는 오차 출력을 도시한다.
속송 재생시에는 변동적분형 정정 신호 생성 회로(10)의 출력이 제4스위치 S4를 통하여 지연 회로(9)에 주어지고, 제1도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작동한다.
한편, 통상 속도 재생시에 지연 회로(9)에는 제3스위치로부터의 출력이 주어진다. 제6a도에 도시되는 헤드 절환 신호에 의하여 비디오 헤드가 절환되면 스큐 변형이 발생하고, PC(4)로부터는 제6c도에 도시하는 오차 출력이 출력된다. 스큐 변형 직후에는 스큐 변형 검출 펄스 S가 "H"이 되므로(제6b도), 제3 스위치 S3은 오프가 되고, 제4스위치의 제1입력단 a에는 제6d도에 도시하는 출력이 도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수직 귀선 기간에 발생한 스큐 변형에 따르는 PC(4)의 오차 출력이 화면 상부의 화상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속송 재생시에는 제1도의 실시예와 동일하게 스큐 변형을 보정하고 있고, 통상 속도 재생시에는 헤드 절환시의 스큐 변형이 화면상에 그다지 나타나지 않으므로 스큐 변형 이외의 재생 영상 신호 시간축 보정, 예를 들면 지터에 대한 보정을 실시하고 있다. 즉,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1피일드에 있어서의 시간축의 보정량이 일정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통상의 지터에 대해서는 시간축을 보정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통상 속도 재생시에는 지연 회로(9)를 PC(4)의 오차 출력에 따라 제어하고, 종래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재생 영상 신호의 지터 보정 회로와 동일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한 것이다. 또, 스큐 변형 검출 펄스 S의 펄스폭은 헤드 절환시에 있어서의 오차 출력의 펄스폭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한다.
제7도는 제3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제7도에 있어서 IO(17)은 제1도 또는 제5도의 실시예 회로이다.
IO(17)로부터의 시간축 보정된 영상 신호는 드롭 아웃 보정 회로(18)에 도입된다. 드롭 아웃 보정 회로(18)는 메모리를 구비하고, 이 메모리의 동작이 오어 회로(19)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제어된다. 즉 제어 신호가 "H"의 기간에는 메모리에 기억된 1수평 주사 기간 전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L"의 기간에는 IO(17)에서 도입된 영상 신호를 그대로 출력한다. 제1지연 회로(20)는 지연회로(9)의 지연 시간보다 약간 짧은 지연 시간을 가진다. 이 제1지연 회로(20)에는 통상의 드롭 아웃 검출 펄스 D0가 도입되고 그 지연 출력은 오어 회로(19)의 한쪽 입력단에 도입된다. 또, 제2지연 회로(21)는 지연 회로(9)의 지연 시간보다 약간 긴 지연 시간을 가진다. 이 제2지연 회로(21)에는 단자(22)로부터 스큐 검출 펄스 S가 도입되고, 그 지연 출력은 오어 회로(19)의 다른 입력 단자에 도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실시예의 동작을 제8도의 타이밍 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8a도는 스큐변형 검출 펄스 S를 도시하고 제8b도는 제2지연 회로(21)의 출력 펄스를 도시한다.
제1도 및 제5도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IO(17)은 영상 신호의 시간축을 PC(4)의 오차 출력에 따라 지연하여 스큐 변형을 보정한다. 그런데 IO(17)를 구성하는 지연 회로(9)의 CCD(1)은 그 지연 시간이 제2VCO(6)가 발진하는 지연 제어 펄스에 의하여 제어된다. 예를 들면 지연 시간의 제어 범위를 평균 지연 시간의 약 +40%로 하면 평균 지연 시간이 약 40μ초의 경우에 있어서는 약 40+15μ초의 지연 시간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15μ초 이내의 스큐 변형의 보정이 가능하다.
제1도 및 제5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큐 변형의 발생과 동시에 제2VCO(6)로부터의 지연 제어 펄스가 스큐 변형량에 따라 변화하고, CCD(1)의 지연 시간이 제어되어 시간축의 보정(스큐 변형 보정)이 실행된다. 즉, 지연 회로(9)가 지연 동작을 개시하면 지연 회로(9)로부터는 시간축이 지연된 신호가 출력된다. 그러나, 지연된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 즉 지연 회로(9)가 지연 동작을 개시하고나서 지연된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의 기간(지연 회로(9)의 지연 시간)은 시간축이 보정되지 않은 영상 신호가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도 및 제5도의 실시예에서 동작 개시 처음에는 보정되지 않은 신호가 출력되고, 스큐 변형이 발생하여 지연 회로(9)의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비로소 시간축이 보정된 영상 신호가 출력된다. 이 스큐 변형이 보정되지 않는 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지연 회로(9)의 지연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지연 회로(9)의 지연 시간에 의하여 보정할 수 있는 스큐 변형의 크기가 결정되므로 가정용의 VTR와 같이 비교적 스큐 변형이 큰 경우에는 지연 회로(9)의 지연 시간을 그다지 짧게 할 수가 없다. 그러므로 본 제3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연 회로(9)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드롭 아웃 보정 회로(18)에 도입하여 스큐 변형을 확실히 보정하고 있다.
여기에서 드롭 아웃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제1지연 회로(20)에 드롭 아웃 검출 펄스 D0가 도입되고, 오어 회로(19)는 "H"이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것에 의하여 드롭 아웃 보정 회로(18)는 통상의 드롭 아웃 보정 동작을 한다.
한편 스큐 변형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제8a도에 도시하는 스큐 변형 검출 펄스 S가 제2지연 회로(21)에 도입된다. 제2지연 회로(21)는 이 검출 펄스 S를 지연시켜서 제8b도에 도시하는 신호를 오어 회로(19)에 부여한다. 이 신호의 "H"기간에 오어 회로(19)로부터는 "H"의 제어 신호가 출력되어 드롭 아웃 보정 회로(18)는 메모리를 이용해서 1수평 주사 기간전의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지연 회로(21)의 지연 시간이 지연 회로(9)의 지연 시간보다도 길기 때문에 IO(17)에 있어서 스큐 변형이 보정된 영상 신호가 출력될때까지의 기간, 오어 회로(19)로부터의 제어 신호는 "H"가 되어 드롭 아웃 보정 회로(18)내의 메모리를 동작시킨다. 이 메모리에 기억되는 1수평 주사 기간전의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 영상 신호에는 스큐 변형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드롭 아웃 보정 회로(18)로부터는 전 기간에 걸쳐서 스큐 변형이 수반되고 있지 아니하거나, 또는 그것이 보정된 영상 신호가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항상 스큐 변형이 없는 영상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큐 변형의 발생에서 다음의 스큐 변형의 발생시까지는 일정한 적정 지연 시간으로 영상 신호를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확실한 스큐 변형의 보정이 가능하다. 또 통상 속도 재생의 경우에는 스큐 변형 이외의 영상 신호의 시간 보정, 즉 지터 보정이 가능하다. 또 지연 회로의 출력을 드롭 아웃 보정 회로로 보정하므로써 스큐 변형의 보정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다.

Claims (8)

  1. 2개 이상의 비디오 헤드로 구성되는 다수의 연속 동기 신호를 가진 재생 복합 영상 신호를 받는 입력수단(IN)과; 이 입력 수단으로 받은 재생 복합 영상 신호에서 상기 각 동기 신호를 차례로 분리하는 동기신호 분리 회로(2,3)와; 이들 각 동기 신호의 평균 기간에 대한 상기 분리된 동기 신호의 기간의 오차를 각각 검출하고 각 오차를 표시하는 오차 신호를 차례로 발생하는 오차 신호 회로(8)와; 이들 오차 신호에 따라 상기 복합 비디오 신호의 시간축을 보정하는 지연 회로(9)로 구성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영상 신호에 대한 시간측 보정 회로에 있어서, 상기 각 오차 신호를 차례로 수신해서 각 오차 신호가 각각 대응하는 동기 신호의 기간중 일정하게 유지되는 정정 신호를 생성하고, 그 신호치를 상기 각 오차 신호의 임펄스피크에 따라서 차례로 수정하는 정정 신호 생성 회로(1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장치의 재생 영상 신호에 대한 시간축 보정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 신호 분리 회로는 상기 재생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수평 동기 신호를 차례로 분리하는 수평 동기 분리 회로(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영상 신호에 대한 시간축 보정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정 신호 생성 회로(10)는 상기 오차 신호를 샘플링하여 상기 정정 신호를 생성하고, 각 수평 동기 신호의 기간 중에 일정하게 유지하는 샘플·앤드·홀드 회로(S1,SH)와; 상기 정정신호에 상기 오차 신호를 차례로 가산하므로써 상기 정정 신호의 신호치를 수정하고 이 수정된 신호치를 각 수평 동기 신호의 기간 중에 일정하게 유지하는 귀환 회로(Rf)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영상 신호에 대한 시간축 보정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정 신호 생성 회로(10)는 상기 정정 신호의 신호치를 소정치로 리세트하는 리세트 회로(S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영상 신호에 대한 시간축 보정 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다시 상기 기록 오차 신호 또는 상기 정정 신호의 한쪽을 선택하여 그 선택된 신호를 상기 지연 회로에 공급하는 제1스위치 수단(S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영상 신호에 대한 시간축 보정 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다시 상기 오차 신호로부터 임펄스를 제거하는 제2스위치 수단(S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영상 신호에 대한 시간축 보정 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다시 상기 재생 복합 영상 신호 생성 회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재생 복합 영상 신호를 소정 시간 지연시키는 제2지연 수단(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영상 신호의 대한 시간축 보정 회로.
  8. 다수의 연속되는 동기 신호를 갖는 재생 복합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이 재생 복합 영상 신호로부터 상기 각 동기 신호를 차례로 분리하는 단계와; 이들 각 동기 신호와 평균 기간에 대한 상기 각 분리된 동기 신호의 기간의 오차를 각각 검출하여 각 오차를 표시하는 오차 신호를 차례로 발생하는 단계와; 이들의 오차 신호를 수신하고 각 동기 신호의 기간중에 일정하게 유지되는 정정 신호를 생성하여 그 신호차를 상기 각 오차 신호에 따라 차례로 수정하는 단계와; 이 차례로 수정된 정정 신호에 따라 상기 복합 비디오 신호의 시간축을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복합 영상 신호의 시간축 보정 방법.
KR1019890009157A 1988-06-30 1989-06-30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영상 신호에 대한 시간축 보정 회로 KR9200091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63449A JPH0213189A (ja) 1988-06-30 1988-06-30 磁気記録再生装置の時間軸補正回路
JP163449 1988-06-30
JP88-163449 1988-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0891A KR900000891A (ko) 1990-01-31
KR920009103B1 true KR920009103B1 (ko) 1992-10-13

Family

ID=15774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157A KR920009103B1 (ko) 1988-06-30 1989-06-30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영상 신호에 대한 시간축 보정 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109285A (ko)
JP (1) JPH0213189A (ko)
KR (1) KR9200091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3255B2 (ja) * 1990-10-31 2000-10-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ビデオ信号記録装置
JP3157554B2 (ja) * 1991-09-13 2001-04-16 富士フイルムマイクロデバイス株式会社 半導体遅延線装置とその駆動方法
JP2769660B2 (ja) * 1992-09-21 1998-06-25 三菱電機株式会社 Pll回路
US6310660B1 (en) * 1998-03-18 2001-10-30 Sony Corporation Video signal dropout detec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2187A (en) * 1981-06-08 1982-12-10 Victor Co Of Japan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for video signal
JPS58122223U (ja) * 1982-02-08 1983-08-19 パイオニアビデオ株式会社 ドロツプアウト補償回路
JPS5936487A (ja) * 1982-08-24 1984-02-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09285A (en) 1992-04-28
JPH0213189A (ja) 1990-01-17
KR900000891A (ko) 1990-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6272B2 (ko)
JPS6258196B2 (ko)
EP0171759B2 (en) Signal-processing apparatus compensating the distortion in a transmitted or recorded signal
EP013816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mpling and processing a video signal
JP2995923B2 (ja) 同期クロック発生回路
KR920009103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재생 영상 신호에 대한 시간축 보정 회로
EP0210773B1 (en) Error compensation by a ramp waveform having high signal-to-noise ratio
JPH0789668B2 (ja) 映像信号再生装置
KR20020001602A (ko) 수평 편향 회로 및 쌍방향 수평 편향 장치
US5309291A (en) Circuit for compensating the errors occurring when changing the playing back speed of a double azimuth 4-head VTR
JP2548312B2 (ja) 時間軸補正装置
US5293274A (en) Timebase axis error compensation apparatus in an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JP2615794B2 (ja) 時間軸補正装置
KR980013456A (ko) 화상 데이타 처리 장치(Image Data Processing Apaaratus)
KR100475029B1 (ko) 영상신호의기록/재생시지연특성자동보정장치
KR940000979B1 (ko) 영상신호의 시간축 보정 회로
JPH05207413A (ja) 映像信号の処理装置
JP2697070B2 (ja) 色信号処理装置
JPH0141063B2 (ko)
JP2630871B2 (ja) 映像信号時間軸補正回路
JP3049717B2 (ja) 映像信号再生装置
JPH0580877B2 (ko)
JPS6113785A (ja) 時間軸エラ−補正装置
JPH0813121B2 (ja) 時間軸誤差補正装置
JPH0440782A (ja) 画像信号記録再生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