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9015B1 -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9015B1
KR920009015B1 KR1019890005390A KR890005390A KR920009015B1 KR 920009015 B1 KR920009015 B1 KR 920009015B1 KR 1019890005390 A KR1019890005390 A KR 1019890005390A KR 890005390 A KR890005390 A KR 890005390A KR 920009015 B1 KR920009015 B1 KR 920009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roller
thickness
movable roller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731A (ko
Inventor
츄지 케이지
Original Assignee
로렐 뱅크머신 가부시끼가이샤
이와오 이께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렐 뱅크머신 가부시끼가이샤, 이와오 이께베 filed Critical 로렐 뱅크머신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6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9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6Testing the dimensions
    • G07D7/164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1Photoelectric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지폐두께 검출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지폐두께 검출장치에 사용되는 지폐두께 검출장치를 나타낸 블록선도이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지폐두께 검출장치에 의해 검출한 가동롤러의 변위를 나타낸 데이터의 그래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종이반송로 2 : 기준롤러
3 : 가동롤러 4 : 기준축
5 : 고정축 6 : 연결암
7 : 가동축 8, 15 : 압축스프링
9 : 포토센서 10 : 축
11 : 보조롤러 12 : 검출암
13 : 각도센서 14 : 회전축
21, 25, 26 : 증폭기 27 : A/D콘버터
20 : 지폐두께 검출장치 23 : CPU
24 : 기준펄스발생용 포토센서 28 : RAM
23A : 보정데이타의 메모리 28B : 제폐두께 데이터 메모리
29 : ROM 30 :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종이의 두께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폐의 이중송부나 접착성 테잎을 사용한 위조지폐를 검출하는데 적당한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폐계수기등의 지폐처리기에 있어서, 지폐두께의 검출은 지폐의 이중송부를 검출하고, 또는 지폐 한 장을 가느다란 조작으로 잘라 접착성 테잎을 사용하여 그것들의 일부를 붙이거나 접착성테잎을 사용하여 이들을 합쳐 위조한 지폐를 검출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아직 심사되지 않은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59(1984)-60592호에는 지폐계수기등의 지폐처리기에 있어서 지폐의 이중송부를 검출하거나 접착성테잎이 부착된 위조지폐를 검출하는데 적당한 지폐두께 검출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이 장치에서는, 복수의 반송벨트가 복수의 지지롤러상에 운반되어 두쌍의 벨트를 형성하고, 각쌍의 벨트를 이루는 벨트들은 부분적으로 서로 접촉되며, 두께를 검출하여야 할 종이의 위쪽과 밑쪽끝을 이들 두쌍의 벨트의 사이에 끼워 반송하도록 하고 있으며, 하나의 기준롤러는 지지롤러중의 하나를 회전시키면서 지지하는 지지축상에 설치되고 지지축 둘레를 회전하지 않도록 한다.
더욱이, 소정의 축둘레를 회전할 수 있는 방식으로 다른 축상에 레버가 설치되고, 기준롤러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편중되어 있다.
종이류가 기준롤러와 레버사이를 통과할때대 기준롤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발생되는 축둘레의 레버회전이 전위차계축의 회전각에서 생간 변화량으로 변환함으로써 종이두께의 검출을 실행한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는, 기준롤러가 회전할 수 없도록 지지축상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종이류는 가끔 기준롤러와 종이사이에서 생기는 마찰력에 의해 기준롤러와 레버사이에 끼이게 될 염려가 있다.
그러한 문제점이 기준롤러를 회전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될지 모르지만, 기준롤러가 회전가능할 경우 그 진원도(眞圓度 : roundness)를 충분히 높게 하기 위하여 기준롤러를 아주 정확하게 제조하거나 지지축상에 어떠한 편심이 없이 기준롤러를 설치해야만이 종이의 두께를 충분히 높은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충분히 높은 진원도를 갖도록 요구된 높은 진원도의 기준롤러를 만드는 것은 가격이 비싸지는 결과를 초래하고, 또한 이것을 지지축상에 어떠한 편심없이 기준롤러를 설치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가 지폐의 이중송부 또는 접착성 테잎을 사용하여 위조한 지폐를 검출하는데 사용될 경우에는, 매우 정확히 100마이크론 이하의 지폐두께를 검출한다거나, 실수없이 지폐의 이중송부 또는 접착성 테잎을 사용한 위조지폐를 검출하기란 불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이의 두께를 매우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종이두께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이의 반송로를 사이에 두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된 한쌍의 롤러중 한쪽변위를 검출함으로써 종이의 두께를 검출하는 종이두께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써, 상기 한쌍의 롤러는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종이두께 검출장치는 고도의 정확성을 가지고 종이의 두께를 검출함과 동시에 종이가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거듭,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롤러가 고도로 정밀하게 제조되지 못하거나 또한 고도로 정밀하게 장치상에 설치되지 않은 경우일지라도, 한쌍의 롤러를 구동수단으로 구동하고 종이두께 검출장치는 고도로 정밀하게 종이의 두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종이의 반송로를 사이에 두어 서로 접하도록 설치된 한쌍의 롤러의 변위를 검출하여 종이의 두께를 검출하는 종이두께 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이의 반송로를 사이에 두어 서로 접하도록 배치된 한쌍의 롤러중의 한쪽변위를 검출하여 종이의 두께를 검출하는 장치로써 상기 또는 기타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한쌍의 롤러는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한쌍의 롤러는 고정축 주위의 회전가능한 기준롤러와, 이 기준롤러에 대해 변위가능하게 가동축상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기준롤러와 접촉가능하게 설치된 가동롤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장치는 상기 기준롤러와 상기 가동롤러의 회전에 따라 동기된 타이밍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밍신호 발생수단과, 상기 타이밍신호에 동기되어 상기 가동축의 변위량을 검출하는 변위검출수단과, 상기 기준롤러와 상기 가동롤러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종이가 있는지 없는지를 검출하는 종이검출수단과, 상기 기준롤러와 상기 가동롤러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종이 검출수단이 종이를 검출할 때 상기 변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가동롤러의 변위량과 상기 기준롤러와 상기 가동롤러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종이 검출수단이 어떤 종이도 검출하지 못했을 때 상기 변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가동롤러의 변위량을 타이밍신호에 따라 감산하여 종이의 두께를 계산하는 종이두께 계산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및 기타목적과 특징은 이하 도면의 설명에서 더욱 명백하게 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지폐의 두께를 검출하는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지폐두께 검출장치에는 지폐의 표면이 실제로 수직이 되도록 구동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는 다수의 벨트(도시되지 않음)와 다수개의 반송롤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폐가 지폐반송로(1)를 따라 운반되며, 이 지폐반송로(1)를 사이에 두어 배치된 동일지름의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준롤러(2)는 지폐의 반송속도에 동기하여 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기준고정축(4)의 둘레에 회전가능하게 되도록 기준고정축(4)상에 설치된다.
상기 가동롤러(3)는 지폐의 반송속도에 동기하여 구동수단에 의해 가동축(7)둘레에 회전할 수 있도록 가동축(7)상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축(7)은 한쪽끝이 고정축(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연결암(6)의 다른 끝에 연결된다.
연결암(6)은 압축스프링(8)에 의해 기준롤러(2)쪽을 향하여, 즉 도시된 화살표(YI)방향의 반대쪽으로 편중된다.
여기서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사이에 지폐가 없으면 가동롤러(3)는 기준롤러(2)의 표면에 닿게 된다.
한편 지폐반송로(1)을 따라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지폐가 공급되면, 가동롤러(3)는 지폐에 의해 밀리게 되어 가동롤러(3)와 연결암(6)은 화살표(YI)의 방향으로 고정축(5)의 둘레를 요동(Swing)하게 된다.
포토센서(9)는 지폐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설치된다.
가동롤러(3)에 대해 기준롤러(2)의 반대쪽에는 보조롤러(11)가 설치되는데 이것은 축(10)상을 회전하며 작은 지름을 가지고 있고, 그 축(10)상에 검출암(12)의 한쪽이 고정되고, 검출암(12)의 다른쪽끝은 각도센서(13)의 회전축(14)상에 연결된다.
압축스프링(15)는 가동롤러(3)쪽을 향하여 검출암(12)이 편중되도록 검출암(12)과 고정되어 있고, 그것은 화살표(Y2)의 반대방향으로 눌러주므로써 보조롤러(11)가 항상 가동롤러(3)의 표면에 닿게한다.
따라서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지폐가 공급되면 연결암(6)과 가동롤러(3)는 화살표(Y1)의 방향으로 고정축(5)의 둘레를 요동(Swing)하게 된다.
그 결과, 보조롤러(11)와 검출암(12)은 가동롤러(3)와 연결암(6)의 회저에 동기하여 화살표(Y2)방향으로 요동(Swing)하게 되어 각도센서(13)의 회전축(14)이 회전한다.
따라서 가동롤러(3)의 변위량, 즉 가동축(7)의 변위량은 각도센서(13)의 회전축(14)의 회전각을 검출하므로서 검출할 수 있고, 그 결과 지폐의 두께를 검출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지폐의 두께를 검출하는 장치에서 사용되는 지폐두께 검출장치(20)의 블록선도를 나타낸다.
제2도에서는,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최소 1매이상의 지폐가 포토센서(9)에 검출될때 포토센서(9)로부터 출력된 지폐검출신호는 증폭기(21)에 의해 증폭되어 버스(22)를 거쳐 CPU(23)에 입력된다.
여기에,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회전, 즉 지폐반송속도에 동기된 타이밍 신호로서 기준펄스를 발생하는 기준펄스 발생용 포토센서(24)가 설치되며, 여기서 지폐반송속도는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등의 지폐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의 기어치차수를 검출하므로서 검출되며, 상기 기준펄스 발생용 포토센서(24)로부터 출력된 기준펄스는 증폭기(25)에 의해 증폭되어 버스(22)를 거쳐 CPU(23)에 입력된다.
각도센서(13)로부터 출력된 회전각도신호는 증폭기(26)에서 증폭되고 A/D콘버터(27)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버스(22)에 공급된다.
상기 버스(22)에 공급된 디지털신호는 기준펄스 발생용 포토센서(24)로부터 출력된 기준펄스에 동기하여 가동롤러(3)의 변위를 나타내는 변위데이타로서 CPU(23)에 의해 독취할 수 있게 되어있다.
지폐 무검출신호가 포토센서(9)에 의해 출력되어 CPU(23)가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지폐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CPU(23)는 각도센서(13)로부터 도출한 변위데이타를 보정데이타로서 보정데이타가 저장되는 RAM(28)의 보정데이타 메모리(28A)에 출력한다.
이들 보정데이타는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지폐가 없을 때, 서로 접하고 있는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가동롤러(3)의 변위량을 나타내며, 또한 이 보정데이타는 축(4) 또는 축(7)상에 약간의 편심으로 설치된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중의 적어도 어느하나 혹은 그 모두가 충분한 진원도(roundness)를 갖지못하고 제조된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중의 적어도 어느하나에서 생기는 가동롤러(3)의 변위량에 해당한다.
반면, 지폐거물신호가 포토센서(9)로부터 출력되어 CPU(23)가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지폐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CPU(23)는 각도센서(13)로부터 독출한 변위데이타로부터 RAM(28)의 보정데이타 메모리(28A)에 저장된 보정데이타를 감산하여 그 얻어진 데이터를 지폐두께 데이터 메모리(28B)에 지폐두께 데이터로서 출력하여 지폐두께 데이터 메모리(28B)에 저장한다.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지폐가 있는 경우 CPU(23)에 의해 독출된 변우데이타는, 축(4) 또는 축(7)상에 약간의 편심으로 설치된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중의 어느하나 혹은 모두가 충분한 진원도를 갖지못하고 제조된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중의 어느하나에 의해 생기는 변위량과, 지군롤러(2)와 가동롤러(3)사이에 통과하는 지폐에 의해 가동롤러(3)가 밀려서 생기는 가동롤러(3)의 변위량을 나타낸다.
그 결과, 각도센서(13)에서 독취되어 지폐두께 데이터 메모리(28B)에 저장된 변위데이타로부터 RAM(28)의 보정데이타 메모리(28A)에 저장된 보정데이타를 감산함으로써 얻어진 지폐두께 데이터는,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설치오차 또는 제조오차에 의해 생기는 오차와는 무관하게 된다.
제2도에서, (29)는 여러기준값과 제어프로그램을 내장한 ROM이고, (30)은 지폐두께 검출장치(20)가 접착성 테잎 사용의 위조지폐나 지폐의 이중송부를 검출할 때 조작에게 통보하는 디스플레이이다.
제3도는 CPU(23)에 의해 독취된 가동롤러(3)의 변위데이타의 예를 나타낸 도표이다.
제3도에서 곡선 L1은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지폐가 없을 때 CPU(23)에 의해 독취된 가동롤러(3)의 변위데이타를 나타내고, 곡선 L2은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최소 1매이상의 지폐가 있을 때 CPU(23)에 의해 독취된 가동롤러(3)의 변위데이타를 나타낸다.
이예에 있어서, 기준펄스 발생용 포토센서(24)는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회전당 16기준펄스를 출력하도록 세트된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회전주기T(N)에서 기준펄스 0∼9번 사이의 기간동안에 포토센서(9)는 기준롤러(2)과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어떤 지폐도 감지하지 않으므로, 지폐검출신호를 출력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이 부분에 지폐가 없으므로, CPU(23)는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중의 적어도 하나의 설치오차 또는 제조오차에 의해 생기는 가동롤러(3)의 변위데이타(L1)만을 읽는다. CPU(23)는 이와같이 독취된 변위데이타(L1)를 보정데이타로서 보정데이타를 저장하는 RAM(28)의 보정데이타 메모리(28A)에 출력된다.
기준펄스 10번이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회전주기 T(N)에서 기준펄스 발생용 포토센서(24)에 의해 출력될 때, 포토센서(9)는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지폐를 감지하여 지폐검출 신호를 출력하지 시작한다.
이와같아, 지폐의 두께에 따른 변위량과,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중의 적어도 어느하나의 제조오차 또는 설치오차에 의해 생기는 가동롤러(3)의 변위량의 합계와 같은 가동롤러(3)의 변위데이타(L2)를 CPU(23)가 받게 된다.
다음으로,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이전 회전주기 T(N-1)에서 기준펄스 발생용 포토센서(24)에 의해 기준펄스 10번이 출력될 때 CPU(23)는 보정데이타 메모리(28A)에 저장된 보정데이타를 독출하고, 현재 주기 T(N)에서 기준펄스 10번이 출력될 때 독취된 변위데이타(L2)로부터 상기 독출 보정데이타를 감산하고, 상기와 같이 얻어진 데이터(L2-L1)를 지폐두께 데이터가 저장되는 RAM(28)의 지폐두께 데이터 메모리(28B)에 지폐두께 데이터로서 출럭한다.
제3도에서 도시된 바와같이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다음 회전주기 T(N+1)에서 일정시간이 흐른다음, 기준펄스 7번이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최소 1매이상의 지폐가 존재하여 포토센서(9)가 지폐검출신호를 CPU(23)에 출력하므로, CPU(23)가 가동롤러(3)의 변위데이타(L2)를 독취하게 된다.
이 독출데이타(L2)는 지폐의 두께에 일치하는 변위량과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중의 적어도 하나의 설치오차 또는 제조오차에 따른 가동롤러(3)의 변위량을 합친것과 같아진다.
따라서 각 시간마다 CPU(23)는 가동롤러(3)의 변위데이타를 독취하고, 또한 기준롤러(3)의 이전회전주기 T(N-1) 혹은 T(N)에서 기준펄스 발생용 포토센서(24)에 의해 같은수를 갖는 기준펄스가 출력될 때 CPU(23)는 보정데이타 메모리(28A)에 저장된 보정데이타를 독출하고, 변위데이타(L2)로부터 상기와같이 독출된 보정데이타를 감산하여, 그 얻어진 데이터(L2-L1)를 지폐두께 데이터로써 지폐두께 데이터가 저장된 RAM(28)의 지폐두께 데이터 메모리(28B)에 출력한다.
곡선(L3)은 상술한 방식으로 RAM(28)의 지폐두께 데이터 메모리(28B)에 계산되어 저장된 지폐두께 데이터를 나타낸다.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회전주기 T(N+1)에서 기준펄스 발생용 포토센서(24)로부터 기준펄스 8번이 출력될 때, 포토센서(9)는 지폐검출신호의 출력을 중지하고 한 장의 지폐에 대한 두께감지가 완료된다.
다음, CPU(23)는 회전주기 T(N)에서 기준펄스 10번이 출력될때부터 회전주기 T(N+1)에서 기준펄스 7번이 출력될때까지의 기간동안에 RAM(28)의 지폐두께 데이터 메모리(28B)에 저장된 지폐두께 데이터를 독출하고, 미리 ROM(29)에 저장했던 지폐의 길이에 따른 기준펄스의 기준숫자와 기준지폐두께 데이터를 독출한다.
이때 CPU(23)는 포토센서(9)가 기준지폐두께 데이터와 기준펄스의 기준숫자로 각각 지폐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기간동안에 기준펄스 출력의 검출된 숫자와 지폐두게 데이터를 비교한다.
그 결과 포토센서(9)가 지폐검출산호를 출력하는 기간중 어느 일부분동안에서 기준펄스의 검출된 숫자가 기준펄스의 기준숫자와 실제로 일치한다 하더라도, 지폐두께 데이터의 크기가 기준두께 데이터의 크기에 두배가 되는 경우가 혹은 기준펄스의 검출된 숫자가 기준펄스의 기준숫자보다 크고 지폐두께 데이터의 크기가 기준지폐두께 데이터의 크기보다 큰 경우에는, CPU(23)는 지폐의 이중송부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고 지폐의 이중송부가 발생했음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30)에 이중송부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다른 한편 기준펄스의 검출된 숫자가 실제로 기준펄스의 기준숫자에는 일치하지만 지폐두께 데이터의 크기가 기준지폐 두께데이타를 부분적으로 초과하는 경우에는 CPU(23)는 접착테이프를 사용한 위조지폐가 공급된 것으로 판단하고 위조지폐가 송부된 것으로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29)에 위조지폐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RAM(28)의 보정데이타 메모리(28A)는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일회전에 의해 저장데이타가 얻어질 수 있는 링카운터로 구성되고, 그 저장된 데이터는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매회전에 동기되어 갱신될 수 있다.
따라서, 기준고정축(4)과 거기에 설치된 기준롤러(2) 및 가동축(7)과 거기에 설치된 가동롤러(3)사이의 위치관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환된다하더라도, 그 위치관계에서 어떠한 변동에 따른 검출오차는 극소화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롤러92)와 가동롤러(3)중의 적어도 하나가 약간의 편심으로 기준고정축(4) 혹은 가동축(7)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중의 적어도 하나가 고정밀도로 제조되지 못한 경우라 할지라도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지폐가 없을 때 검출된 가동롤러(3)의 변위량이 보정데이타로서 저장되고,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 지폐가 있을 때 검출되는 가동롤러(3)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보정데이타를 감산함으로서 지폐두께를 알아낼 수 있기 때문에,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제조 혹은 설치오차에 의해 생기는 오차를 제거할 수있으며 지폐의 두께를 고도로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지폐의 이중송부이나 접착성 테잎을 사용한 위조지폐를 실수없이 검출할 수 있는 것이다.
더욱이,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어, 지폐반송속도와 동기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되기 때문에 지폐가 끼이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기준롤러(2)와 기준고정축(4) 혹은 가동롤러(3)와 가동축(7)사이의 위치관계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된다 할지라도 보정데이타 메모리(28A)에 저장된 보정데이타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갱신되기 때문에 고정밀도로 지폐의 두께를 검출할 수 있고, 따라서 지폐의 이중송부나 접착성 테잎의 사용으로된 위조지폐를 실수없이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종이가 끼이는 것을 방지하면서 또한 고정밀도로 종이의 두께를 검출하는 종이두께 검출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실시예를 참조로 도시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설명된 장치의 내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변화와 수정이 가능한 것이다.
예를들면,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가동롤러(3)의 주위에 서로 접하는 보조롤러(11)의 축(10)에 한쪽이 고정된 검출암(12)이 그 다른끝이 각도센서(13)의 회전축(14)에 설치되고, 가동롤러(3)의 변위량이 검출암(12)의 회전으로 발생하는 각도센서(13)의 회전축(14)의 회전으로 변화량을 검출하므로서 검출되지만, 가동롤러(3)의 변위량은 각도센서(13)의 회전축(14)상에 회전가능하게 한쪽이 가동롤러(3)을 지지하는 연결암(6)에 직접 설치하고, 연결암(6)의 회전으로 생기는 각도센서(13)의 회전축(14)의 회전으로 변위량을 검출하므로서 검출될 수도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폐의 표면이 실제로 수직이 되고 연결암(6)과 검출암(12)의 압축스프링(8)(15)에 의해 각각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쪽으로 편중되는 방식으로 지폐가 반송되지만, 지폐가 실제로 수평으로 송부하는 방식으로 지폐가 반송되지만, 지폐가 실제로 수평으로 송부하는 방식으로 지폐를 반송하고 기준롤러(2)를 지폐반송로(1)아래에 설치하고 가동롤러(3)에 대해 가동롤러(3)와 보조롤러(11)가 서로 접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에 대해 연결암(6)과 검출암(12)을 각각 편중시키도록 스프링같은 편중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반송롤러, 벨트, 기준롤러(2) 및 가동롤러(3)는 모두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지만, 이들중의 하나이상을 다른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할 수도 있고, 또한 각각을 다른 구동수단으로 구동할 수도 있다. 더구나,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지폐두께 데이터와 기준펄스의 검출된 숫자를 기준지폐 두께데이타와 기준펄스의 기준숫자를 각각 비교함으로써, 지폐의 이중송부와 접착성 테잎을 사용한 위조지폐를 검출할 수 있지만, 지폐두께 데이터만을 기준두께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도 가능하므로, 따라서 만일 지폐두께 데이터의 크기가 기준지폐두께 데이터의 크기에 약 두배라면 지폐의 이중송부가 일어났다고 판단할수 있고, 만일 기준지폐 두께 데이터의 크기보다 큰 크기의 지폐두께 데이터가 기준펄스의 일정숫자보다 많이 검출되었다면 접착성 테잎을 사용한 위치지폐가 반송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지름이 동일하게 정해져 그들의 회전주기가 서로 일치하기 때문에, 가동롤러(3)의 변위량의 검출이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회전주기와 같은 주기로 수행된다.
그러나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지름과 회전주기가 같아야 한다고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롤러중 하나의 지름과 회전주기가 나머지 다른하나의 그것을 보다 작고, 또한 그들 지름에서의 비율과 그들 회전수가 L이라 할지라도(여기서 L은 1보다 크다)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사이의 위치관계가 작은 지름과 회전주기를 갖는 롤러중의 하나가 L과 1의 최소공배수에 일치하는 배수로 회전하는 각 시간마다 반드시 일치해야하므로, 만일 기준롤러(2)와 기준고정축(4) 및 가동롤러(3)와 가동축(7)사이의 위치관계가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L과 1의 최소공배수와 같은 배수로 회전하도록 작은 지름과 회전주기를 갖는 상기 그 하나의 롤러에 필요한 기간에 일치하는 주기로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중의 적어도 하나의 제조오차 혹은 설치오차에 의해 생기는 동일 오차를 가지고, 가동롤러(3)의 변위량이 검출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L과 1의 최소공배수와 같은 배수로 회전하도록 작은 지름과 회전주기를 갖는 상기 그 하나의 롤러에 필요한 기간에 일치하는 주기에 따라 가동롤러(3)의 변위량의 검출이 이루어진다면, 포토센서(9)가 지폐검출신호를 출력할 때 검출된 가동롤러(3)의 변위데이터로부터 포토센서(9)가 지폐검출신호를 출력하지 않았고 같은수를 갖는 기준펄스가 최종주기에서 기준펄스 발생용 포토센서924)로부터 출력되었을때의 보정데이타 메모리(28A)에 저장되어 독출된 보정데이타를 감산함으로써 고도의 정밀도로 지폐의 두께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L과 1의 최소공배수가 너무 큰 경우에 가동롤러(3)의 변위량을 검출하기 위한 주기가 더욱 커지고 보정데이타 메모리(28A)에 저장될 보정데이타의 량이 불가피하게 증가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아도 보정데이타 메모리(28A)로서 대용량을 갖는 메모리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L과 1의 최소공배수가 작으면 작을수록 더욱 바람직하고, 통상적으로 최소공배수가 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이상적인 것은 최소공배수가 1인 것 즉 다시 말해서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지름이 같은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링카운터가 보정데이타 메모리(28A)에 사용되지만, 보다 긴 회전주기로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중의 하나의 회전주기중 검출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이들을 갱신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메모리 장치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지폐의 두께를 검출하는 장치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지폐이외의 여러 가지 종이의 두께를 검출하는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더구나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각 장치는 반드시 유형의 장치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각 장치의 기능이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들어간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예를들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하나의 수단의 기능은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유형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청구범위에서 정의된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수단은 본 발명에 하나의 유형의 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Claims (12)

  1. 종이 반송로(1)의 사이에 서로 접하며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한쌍의 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한쌍의 롤러는 고정축(4)둘레의 회전가능한 기준롤러(2)와 이 기준롤러(2)에 대하여 접촉가능함과 동시에 변위가능한 가동축(7)상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는 가동롤러(3)로 구성되며 이 한쌍의 롤러의 한쪽변위를 검출함으로써 종이의 두께를 검출하도록 하는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회전에 동기하는 타이밍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밍신호 발생수단(24)과, 상기 타이밍신호와 동기하여 상기 가동축(7)의 변위량을 검출함으로서 상기 가동롤러(3)의 변위량을 검출하는 변위검출수단(13)과, 상기 기준롤러(2)와 상기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종이의 유무를 검출하는 종이검출수단(9)과, 상기 기준롤러(2)와 상기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종이검출수단(9)이 종이를 검출할 때 상기 변위검출수단(13)에 의해 검출된 상기 가동롤러(3)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기준롤러(2)와 상기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종이검출수단(9)이 어떠한 종이도 검출하지 않을 때 상기 변위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가동롤러(3)의 변위량을 타이밍신호에 일치하여 감산함으로써 종이의 두께를 계산하는 종이두께 계산수단(23)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지름의 비가 L이거나 가동롤러(3)와 기준롤러(2)의 지름의 비가 L이고, L이 1보다 크고, L과 1의 최소공배수가 1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롤러(2)에 대해 상기 가동롤러(3)의 가동축(7)의 변위에 따라 회전축의 주위에 요동가능한 요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변위검출수단(13)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검출함으로써 상기 가동롤러(3)의 변위량을 검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종이검출수단(9)이 어떠한 종이도 검출하지 않을 때 검출된 가동롤러(3)의 변위량을 보정데이타로서 저장하는 보정데이타 메모리수단(28A)과, 상기 종이두께 데이터르르 얻기위해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종이검출수단(9)이 최소 1매이상의 종이를 검출할 때 검출된 가동롤러(3)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기준롤러(2) 및 가동롤러(3)중에서 지름이 작은 어느하나의 회전주기의 최종주기에 일치하는 타이밍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보정데이타 메모리수단(28A)에 기억된 상기 정보량을 감산하는 감산수단(23)과, 상기 종이 두께 데이터를 저장하는 종이두께 데이터 메모리수단(28B)과, 상기 종이두께 데이터 메모리수단(28B)에 저장된 상기 종이두께 데이터에 기인하여 종이의 두께를 계산하는 종이두께 계산수단(23)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의 지름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롤러(2)에 대해 상기 가동롤러(3)의 가동축(7)의 변위에 따라 회전축 주위에 요동가능한 요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변위검출수단(13)에 의해 상기 회전축의 회전을 검출함으로서 가동롤러(3)의 변위량이 검출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종이검출수단(9)이 어떠한 종이도 검출하지 않을 때 검출된 가동롤러(3)의 변위량을 보정데이타로서 저장하는 보정데이타 메모리수단(28A)과, 상기 종이두께 데이터를 얻기위해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종이검출수단(9)이 최소 1매이상의 종이를 검출할 때 검출된 가동롤러(3)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기준롤러(2) 및 가동롤러(3)중에서 지름이 작은 어느하나의 회전주기의 최종주기에 일치하는 타이밍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보정데이타 메모리수단(28A)에 기억된 상기 정보량을 감산하는 감산수단(23)과, 상기 종이 두께 데이터를 저장하는 종이두께 데이터 메모리수단(28B)과, 상기 종이두께 데이터 메모리수단(28B)에 저장된 상기 종이두께 데이터에 기인하여 종이의 두께를 계산하는 종이두께 게산수단(23)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종이의 기준두께를 저장하는 기준두께 메모리수단(29)과, 상기 기준두께 메모리수단(29)에 저장된 상기 종이 기준두께와 상기 종이두께 계산수단(23)에 의해 계산된 상기 종이두께를 비교하는 비교수단(23)과, 상기 비교수단(23)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나타내는 표시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롤러(2)에 대해 상기 가동롤러(3)의 가동축(7)의 변위에 따라 회전축(14)주위에 요동가능한 요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변위검출수단(13)에 의해 상기 회전축(14)의 회전을 검출함으로서 가동롤러(3)의 변위량이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종이검출수단(9)이 어떠한 종이도 검출하지 않을 때 검출된 가동롤러(3)의 변위량을 보정데이타로서 저장하는 보정데이타 메모리수단(28A)과, 상기 종이두께 데이터를 얻기위해 기준롤러(2)와 가동롤러(3)가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상기 종이검출수단(9)이 최소 1매이상의 종이를 검출할 때 검출된 가동롤러(3)의 변위량으로부터, 상기 기준롤러(2) 및 가동롤러(3)중에서 지름이 작은 어느하나의 회전주기의 최종주기에 일치하는 타이밍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상기 보정데이타 메모리수단(28A)에 기억된 상기 정보량을 감산하는 감산수단(23)과, 상기 종이두께 데이터를 저장하는 종이두께 데이터 메모리수단(28A)과, 상기 종이두께 데이터 메모리수단(28B)에 저장된 상기 종이두께 데이터에 기인하여 종이의 두께를 계산하는 종이두께 계산수단(23)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종이 기준두께를 저장하는 기준두께 메모리수단(29)과, 상기 기준두께 메모리수단(29)에 저장된 상기 종이 기준두께와 상기 종이두께 계산수단(23)에 의해 계산된 상기 종이두께를 비교하는 비교수단(23)과, 상기 비교수단(23)에 의해 얻어진 결과를 나타내는 표시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종이 기준두께를 저장하는 기준두께 메모리수단(29)과, 상기 기준두께 메모리수단(29)에 저장된 상기 종이 기준두께와 상기 종이두께 계산수단(23)에 의해 계산된 상기 종이두께를 비교하는 비교수단(23)과, 상기 비교수단(23)에서 얻어진 결과를 나타내는 표시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KR1019890005390A 1988-04-26 1989-04-24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KR920009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8-102905 1988-04-26
JP10290588 1988-04-26
JP63-102905 1988-04-26
JP89-87233 1989-04-06
JP1087233A JP2567279B2 (ja) 1988-04-26 1989-04-06 シートの厚み検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731A KR900016731A (ko) 1990-11-14
KR920009015B1 true KR920009015B1 (ko) 1992-10-12

Family

ID=26428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390A KR920009015B1 (ko) 1988-04-26 1989-04-24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567279B2 (ko)
KR (1) KR920009015B1 (ko)
DE (1) DE3913740C2 (ko)
GB (1) GB22185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104989D1 (de) * 1990-10-05 1995-04-27 Ferag Ag Dickenmessung an Druckprodukten in einem Schuppenstrom.
DE4213262C2 (de) * 1992-04-22 2002-07-18 Pitney Bowes Technologies Gmbh Einrichtung zur Prüfung der Dicke zu handhabender Objekte in Postbearbeitungsmaschinen, Kuvertiermaschinen und dergleichen
GB9315145D0 (en) * 1993-07-22 1993-09-08 Ncr Int Inc Apparatus for indicating the thickness of record media
EP0650100B1 (en) * 1993-10-22 1999-04-28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thickness detecting device in image forming apparatus
FR2729751A1 (fr) * 1995-01-20 1996-07-26 Perto Sa Dispositif et mesure numerique de l'epaisseur de feuilles
KR100642774B1 (ko) * 1999-11-13 2006-11-13 엘지엔시스(주) 매체의 두께검지장치
US7387236B2 (en) 2001-10-09 2008-06-17 Delaware Capital Formation, Inc. Dispensing of currency
KR20040034887A (ko) * 2002-10-17 2004-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기록장치
DE10345064A1 (de) * 2003-09-26 2005-04-14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zur Messung der Dicke von Blattgut
DE102004030618A1 (de) * 2004-06-24 2006-01-26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zur Messung der Dicke von blattförmigem Material
DE102004045170A1 (de) * 2004-09-17 2006-03-23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die Messung der Dicke von Banknoten
DE102008047156A1 (de) * 2008-09-12 2010-04-15 TRüTZSCHLER GMBH & CO. KG Vorrichtung für eine oder an einer Spinnereivorbereitungsmaschine, insbesondere Karde, Strecke, Kämmmaschine oder Flyer, zur Korrektur eines Messsignals
CN102722933B (zh) * 2012-06-11 2014-08-20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薄片类介质厚度检测装置及其方法
CN103106729B (zh) * 2012-12-24 2015-05-1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薄片类介质厚度鉴别装置及其鉴别方法
JP6354182B2 (ja) * 2014-02-04 2018-07-11 株式会社寺岡精工 位置検出機構、およびラベル貼付装置
CN106017295B (zh) * 2016-07-15 2019-05-14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厚度测量装置及纸币厚度检测方法
CN107481405A (zh) * 2017-08-22 2017-12-15 昆山古鳌电子机械有限公司 一种纸张类厚度检测装置
CN108469242B (zh) * 2018-03-15 2024-04-05 河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在线检测烟叶厚度的装置
CN109440434A (zh) * 2018-11-28 2019-03-08 连云港如年实业有限公司 一种织物缝头感应识别装置
CN112629452B (zh) * 2020-11-17 2022-11-22 安徽力幕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铝板带箔的专用测试台
CN113720286B (zh) * 2021-09-01 2023-10-27 江西铜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铜箔生产的测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1716A (en) * 1977-12-12 1978-10-24 Pitney-Bowes, Inc. Doubles and thickness detector and sorter
JPS57122305A (en) * 1981-01-08 1982-07-30 Ricoh Co Ltd Detection of thickness of sheet-shaped object
GB8432438D0 (en) * 1984-12-21 1985-02-06 De La Rue Syst Sensing sheets
JPS63208710A (ja) * 1987-02-26 1988-08-30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
GB2205649B (en) * 1987-06-12 1991-04-24 Ncr Co Apparatus for detecting the passage of multiple superposed sheets along a feed pa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913740A1 (de) 1989-11-09
GB2218524A (en) 1989-11-15
JPH0249105A (ja) 1990-02-19
KR900016731A (ko) 1990-11-14
JP2567279B2 (ja) 1996-12-25
GB8908793D0 (en) 1989-06-07
GB2218524B (en) 1992-12-02
DE3913740C2 (de) 199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9015B1 (ko) 종이류 두께 검출장치
EP01308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sheets
US5011128A (e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thickness of sheets
US4938071A (en) Device for detecting properties of sheets of paper of the like
EP0280147A2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US6189879B1 (en) Thickness measurement apparatus
JP2002179289A (ja) 紙葉類厚さ検知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扱装置
JPH0585643A (ja) 紙葉類厚さ検出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紙葉類厚さ検出方法
JPH0749950B2 (ja)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
JPH0831158B2 (ja) 紙葉類の厚さ検知装置
JP3772429B2 (ja) 紙葉類の状態検出装置
US6196537B1 (en) Thickness measurement apparatus
JPH0749951B2 (ja)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
JPS63208710A (ja) 紙葉類の厚さ検出装置
JPH0531522Y2 (ko)
JP3270259B2 (ja) 原稿重送検知装置
JP2002230619A (ja) 紙葉類厚さ検出装置
JPH07137858A (ja) 紙幣繰出し装置
JPS636110Y2 (ko)
JPH01204198A (ja) 紙葉類の厚さ検出方法
JPH05294511A (ja) シート厚測定装置
JPH0899744A (ja) 原稿重送検知装置
JPS6186324A (ja) 紙幣類繰出し装置
JP2911137B2 (ja) 紙葉類厚さ検出装置
JPH014200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