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889B1 - 테이프 와인더를 갖는 권선기 - Google Patents

테이프 와인더를 갖는 권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889B1
KR920008889B1 KR1019880005465A KR880005465A KR920008889B1 KR 920008889 B1 KR920008889 B1 KR 920008889B1 KR 1019880005465 A KR1019880005465 A KR 1019880005465A KR 880005465 A KR880005465 A KR 880005465A KR 920008889 B1 KR920008889 B1 KR 920008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winding
pad
substrate
w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5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802A (ko
Inventor
교지 다께다
요지 슈까네
Original Assignee
다나까 세이끼 캄파니 리미티드
다께다 구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1151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9341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70294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34938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24558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21857Y2/ja
Application filed by 다나까 세이끼 캄파니 리미티드, 다께다 구이치 filed Critical 다나까 세이끼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880013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12Insulating of windings
    • H01F41/125Other insulating structures; Insulating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1/00Methods, apparatus, or devices for covering or wrapping cores by wind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2/00Winding, tensioning, or guiding
    • Y10S242/911Cut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 Winding Of Web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Storage Of Web-Like 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와인더를 갖는 권선기
제1도는 본 발명인 권선기의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중에서 중간지지판을 설치하기전 상태를 나타낸 개략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에 따라 절단한 측면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요부의 저면사시도.
제6a도 및 제6b도는 제1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테이프 권회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제7도는 테이프 권회동작중 테이프 와인더 기구의 이동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8a도는 본 발명에 따른 권선기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제8b도는 제8a도의 권선기에 있어서 테이프 와인딩 기구의 부착위치를 변경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핀들 200 : 노즐홀더지지부
210 : 노즐홀더 211 : 노즐
300 : 중간지지판 400 :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
500 : 테이프 와인딩 기구 510 : 테이프 지지부
520 : 테이핑 헤드지지부 522 : 에어실린더
530 : 테이핑 헤드 531 : 테이프 가이드 기구
533 : 패드 534 : 컷터
본 발명은 권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권선이 완료된 코일이나 권선 도중의 코일에 외장 테이프 혹은 내압 테이프를 감아주기 위한 테이프 와인더를 권선기내에 복합설치하여 권선작업과 테이핑작업을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한 테이프 와인더를 갖는 권선기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코일의 권선작업은 권선기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수행되어 왔으며, 권선된 코일에 외장테이프를 감아주는 작업 또한 자동화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코일권선 및 권선된 코일상에 테이프를 감아주는 각각의 작업효율은 자동화에 의하여 현저하게 향상되었으나, 권선기와 테이프 와이더간의 코일이동은 수작업 또는 운반기에 의한 이동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권선기의 코일 착탈작업이나 테이프 와인더 측의 코일 착탈작업도 수작업이나 별도의 기계작업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종래 장치는 코일권선의 일관된 작업을 위한 완전 자동화를 이루지 못하고 시간, 노력, 설치공간등에 대한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권선기에 테이프 와인더를 복합설치하여 권선된 코일에 테이프를 감아주는 작업이나 권선도중의 코일에 내압테이프를 감아주는 작업을 권선작업과 연속적으로 자동실시할 수 있는 권선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개조의 테이프 와인딩 기구로서, 복수개에 스핀들에 장착된 코일 보빈상에 테이프를 감아주는 작업이 가능한 권선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품종의 코일에 대응하여 테이핑 헤드를 용이하게 교환하거나 원하는 방향을 바꾸어 설치할 수 있는 권선용 테이프 와인딩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테이프 와인더를 갖는 본 발명의 권선기는 코일보빈을 지지하면서 회전가능한 복수개의 스핀들, 상기 코일보빈에 선재를 안내하는 노즐을 갖고 복수개의 노즐홀더를 지지하는 노즐홀더지지부, 상기 노즐홀더에 대응하여 적어도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단수), 상기 기판에 설치된 1개 이상의 테이프 와인딩 기구를 갖는다.
또한, 테이프 와인딩 기구는 테이프를 지지하는 테이프 지지부(단수), 복수개의 로울러를 갖는 테이프 가이드 기구(단수), 상기 코일보빈상의 코일권선에 상기 테이프를 부착하기 위한 패드(단수), 상기 패드에 근접하여 설치되어져 전후진 가능한 컷터(단수)를 갖는다.
상기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은 상하 및 수평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노즐홀더지지부에는 중간지지판이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중간지지판에는 상기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권선기는 권선작업 완료후나 권선작업 도중에 코일보빈을 스핀들에 장착한 상태로 계속적인 테이핑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에 비하여 권선기 이외에 별도로 테이프 와인더를 감시할 필요가 없으며, 또한 권선기와 테이프 와인더간의 코일 이동 및 코일의 착탈작업을 수작업으로 실시해줄 필요가 없게 된다.
그 결과, 권선과 테이프 와인딩의 작업이 일관적으로 단시간 내에 자동 수행된다.
특히, 권선작업과 권선작업 사이에 내압 테이트를 와인딩하는 경우에 효과가 매우 크다.
상기 스핀들 숫자는 상기 테이프 와인딩 기구의 n(n=2,3,4…)배로 하는 것이 좋고, 이에따라 기판을 수평방향으로 순차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1개조의 테이프 와인딩 기구로서 복수의 스핀들로 테이프를 감아주는 작업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서 길이가 긴 테이프를 감아 외경이 큰 공급로울러를 사용하여 고밀도로 배치된 다수의 스핀들(공급 테이프 롤의 정수배의 수)에 테이프 와인딩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와인딩 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코일보빈을 지지하며 회전 가능한 스핀들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스핀들에 직교하는 평면내의 임의 위치로 이동 가능한 기판이 설치된 테이프 지지부와 함께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홀을 갖는 테이핑 헤드지지부를 갖는다. 테이핑 헤드는, 상기 코일보빈상의 코일권선에 테이프를 부착하기 위한 패드(이때 패드는 헤드의 표면과 관통되는 복수개의 공기홀을 갖는다), 상기 테이핑 헤드지지부의 홀에 끼워지는 봉형상의 돌출부로서 상기 공기홀과 통하는 공기흡입관통홀을 갖는 봉형상의 돌출부, 복수개의 로울러를 갖는 테이프의 가이드부, 상기 패드에 근접되어져 패드로 전후진이 가능한 컷터를 갖는다. 또한, 상기 테이밍 헤드를 상기 테이핑 헤드지지부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주는 수단을 갖는다.
이와 같은 테이프 와인딩 기구로서, 테이핑 헤드가 자유롭게 착탈되면서, 종류가 다른 예를들면 테이프의 폭이 다르거나 테이프를 감는 방향이 다른 경우에도 테이프 헤드의 교환, 혹은 방향을 바꾸어주는 장착작업등의 조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특히 다품종 소량 생산의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특징과 장점을 첨부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3도에 있어서,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400)을 설치하기 위한 중개역할의 중간지지판(300)은,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더(220)(320) 및 슬라이더 설치대(230)를 경유하여 노즐홀더지지부(200)에 설치된다.
또한, 슬라이더(220)(320)에 근접되어 로드없는 실린더(240)가 설치된다. 로드없는 실린더(240)의 구동에 따라 중간지지판(300)이 상하로 이동한다. 중간지지판 (300)상에는 슬라이더(330)(430)를 경유하여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400)이 좌우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중간지지판(300) 상에는 에어실린더(340)가 설치되며, 에어실린더 (340)의 구동에 따라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400)은 중간지지판(300)상의 좌우로 이동된다.
노즐홀더지지부(200)는 노즐(211)을 갖는 노즐홀더(210)가 노즐(211) 자세를 90도씩 일제히 변경할 수 있도록 지지함과 함께, 노즐(211)의 위치가 대향하는 스핀들(100)에 대하여 임의적으로 변경될 수 있도록 전후, 좌우, 상하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동을 필요로 하는 권선동작 및 테이핑 작업등은 도면상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제2도상에 나타난 모터(250)(260)(270)들에 의하여 수행된다.
다시말하면, 중간지지판(300)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주로 권선작업이나 혹은 권선단말 작업시의 묶음처리를 시행할 경우, 테이프 와인딩 기구가 방해를 일으키지 않도록 로드없는 실린더(240)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후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400)을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중간지지판(300)의 상하이동과 조합하면서 스핀들(100)에 대하여 테이프 와인딩 기구가 상대적으로 임의적인 2차원의 위치를 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에어실린더(340)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같은 2차원적 이동에 따라 스핀들수가 테이프 와인딩 기구수의 n(n=2,3,4…)배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테이핑 와인딩 기구가 전체적인 스핀들(100)에 끼워진 권선완료된 코일이나 권선도중의 코일상에 각각 테이핑 작업을 실시해 주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스핀들(100)위치로부터 근접하는 스핀들(100)위치로 테이핑 와인딩 기구가 이동하면서 테이핑, 테이프 절단, 코일상에 감아진 테이프의 단말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제4도상의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400)에는 테이프 와인딩 기구(500)가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 와인딩 기구(500)는 테이프 지지부(510), 테이핑 헤드지지부(520)와 테이핑 헤드(530)로 구성된다.
제4도와 제5도에 있어서, 테이핑 헤드지지부(520)에는 테이핑 헤드(530)의 봉형상 돌출부(532)가 끼워지는 홀(5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핑 헤드지지부(520)에는 에어실린더(522)와 전진 및 후퇴하는 역 ㄷ자형의 컷터 구동판(523)이 설치되어 있다.
컷터구동판(523)의 양선단(523a)에는 컷터(534)의 홈(534a)로 걸어지는 걸림부(523b)가 설치되어 있다.
컷터구동판(523)과 걸림부(523b)는 에어실린더(522)에 의해 구동되어져 전진, 후퇴동작을 실시한다.
또한, 수납부(524)는 홀(521)에 끼워진 테이핑 헤드(530)의 봉형 돌출부 (532)가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봉형 돌출부(532)의 환상홈(532a)에 걸어지는 스틸볼(도시는 생략됨)과 그 스틸볼이 봉형 돌출부(532)에 대하여 힘을 가하는 스프링(도시는 생략됨)을 수납하고 있다.
테이핑 헤드(530)는 가이드 로울러(531a)(531c) 및 텐숀로울러(531b)를 갖는 테이프 가이드 기구(531)와 테이프 가이드 기구(531)의 일부에 고정되어 있는 패드(533) 및 패드(533)의 측면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된 컷터(534) 또한 테이핑 헤드지지부(520)의 홀(521)로 끼워지며 그 내부에 공기흡입관통공(532b)이 형성된 봉형 돌출부(532)를 포함한다.
테이프 가이드 기구(531)의 선단에 설치된 가이드로울러(531a)는 지축(531d)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스프링(531e)의 장력에 의하여 항시 테이프 지지부(510)에 지지된 테이프(511)의 외주면과 접촉하면서, 테이프(511)가 정상적인 위치에 있도록 유지시켜 준다.
가이드로울러(531a)(531c)는 항시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나, 텐숀로울러 (531b)는 회전하는 동안 마찰이 가감되기 때문에 이를 통과하는 테이프(511)의 주행에 브레이크를 걸어주어 코일표면에 접착되는 테이프(511)의 적당한 장력을 부여하여 준다.
패드(533)상에는 테이프(511) 접착면의 이면을 향하는 다수의 미세공(533a)이 형성되어 있어, 미세공(533a)과 봉형 돌출부(532)내부를 관통하는 공기흡입공 (532b)을 통하여 진공펌프(도시는 생략됨)로서 패드(533)의 표면부근 공기를 빨아들이면서 부압을 발생시켜 준다.
따라서 패드(533)는 언제나 테이프(511)를 흡인하여 간직할 수 있게 된다.
컷터(534)는 패드(533)측면을 따라 컷터가이드부(535)의 내부를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컷터(534)의 상측부 상에는 홀(534a)이 형성되어 있어 에어실린더(522)에 의해 구동되는 역 ㄷ자형 컷터 구동판(523)의 걸림부(523b) 좌우측중 어느 일축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테이프(511)를 절단하고자 할 경우에는, 컷터구동판(523)의 선단(523a)이 컷터(534)의 최상부(534b)를 눌러주는 것에 따라 컷터(534)의 날(534c)이 하강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테이프(511)를 절단시켜 준다.
봉형 돌출부(532)에는 상기 공기흡입공(532b)이 형성되어 있는 것 이외에도 테이핑 헤드지지부(520)의 홀(521)내부로 향하여 돌출된 스틸볼(도시는 생략됨)에 의하여 록킹되는 환상홈(532a)과 흡입공기의 기밀성을 유지시켜주는 탄성 O링(536)이 끼워지도록 설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핑 헤드(530)를 유니트화하여 테이핑 헤드지지부 (520)로 착탈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나, 테이핑 헤드(530)를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 (40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스핀들(100) 및 그 구동기구의 구조와 동작은 종래의 자동권선기와 동일하기 때문에 본 설명에서는 생략하였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 테이프를 감고 부착시켜 주는 동작을 설명한다.
제6a도는 코일보빈(110a)이 스핀들(100)에 장착되어 있고, 권선(120a)이 감긴 후 마무리 작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패드(533)는 스핀들(100)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면상에 배치되어지며(제4도의 상태), 테이프(511)의 단(511a)은 패드(533)의 위치까지 인출되어 있다.
이 상태를 초기상태로 하여 제7도에서는 패드(533) 및 컷터(534)의 일부를 실선으로 나타냈으며 하나의 코일보빈(110a)에 대한 위치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기준위치를 패드(533)의 근원에 가까운 하나의 점 P1으로 나타냈다.
이하 제7도에서는 그 기준위치로부터 변화되는 이동상태를 점 P1에 상당하는 P2,P3…P14로 표시하고 있다.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400)이 하방으로 (점 P1에서 P2로)이동하면 패드(533)가 테이프(511)의 단(511a)을 코일보빈(110a)에 감긴 권선(120a)상에 부착하여 준다(제6a도의 상태).
이어서 패드(533)가 (점 P2로부터 P1으로 이동하여)후퇴함과 함께 스핀들 (100)이 제6b도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테이프(511)를 코일보빈(110a)에 감긴 권선(120a)의 외주면상으로 감아준다.
정해진 어느 일정 회전수만큼 스핀들(100)이 회전하면 스핀들(100)의 회전은 정지된다.
그후,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400)이 수평방향(제7도 상의 점 P1에서 P3로)으로 이동함과 함께 하방(제7도의 점 P3에서 P4로)으로 이동하여 제6c도의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에어실린더(522)가 구동되고, 제4도에 도시된 컷터구동판 (523)을 경유하여 컷터(534)가 제6c도의 이점쇄선으로 표시된 위치까지 돌출하면서 테이프(511)를 절단하여 준다.
테이프(511)가 절단된 후,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400)은 하방향(제7도상의 P4에서 P5로)으로 이동하고, 또한 수평방향(제7도 상의 P5에서 P6로)으로 이동하면서, 고무패드(537)를 권선(120a)상에 외장된 테이프(511b)상으로 눌러준다(제6d도의 상태).
이 상태로 스핀들(100)을 수회 회전시켜 주면 테이프(511b)는 권선(120a)상으로 완전 접착된다.
하나의 코일보빈(110a)에 대한 테이프 접착작업이 완료하면,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400)은 다시 상방향(제7도상의 P6에서 P7으로)으로 이동하고, 코일보빈(110a)에 근접하는 다른 코일보빈측(제7도상의 P7으로부터 P8로)으로 이동함과 함께 하방(제7도상의 P8로부터 P9로)으로 이동하여 코일보빈(110a)과 동일한 작업형태로서 패드(533)가 테이프(511)의 단을 코일보빈(110b)에 감긴 권선(120b)상에 부착시켜 준다(제6a도와 동일한 상태).
이어서 패드(533)가 (점 P9로부터 P8로 이동하여)후퇴함과 함께 스핀들(100)이 제6b도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테이프(511)를 코일보빈(110b)에 감긴 권선(120b) 외주면상으로 감아준다(제6b도와 동일한 상태).
정해진 회전수에 따라 스핀들(100)이 회전하면, 스핀들(100)의 회전은 정지된다.
그후,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400)이 수평방향(제7도상의 점 P8에서 P10으로)으로 이동하는 것과 함께 하방(제7도상의 점P10으로부터 P11로)으로도 이동하여 제6c도와 같은 동일한 상태를 이룬다.
이 상태에서 에어실린더(522)가 구동하여 컷터(534)로서 테이프(511)를 절단하여 준다.
테이프(511)가 절단된 후,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400)은 하방향(제7도상의 점 P11로부터 점 P12로)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수평 방향(제7도상의 점 P12로부터 P13)으로 이동하면서 고무패드(537)를 권선(120b)상에 외장된 테이프(511b)상으로 눌러준다(제6d도와 동일한 상태).
이 상태로 스핀들(100)을 수회 회전시켜 주면, 테이프(511b)는 권선(120b)상에 완전 점착된다.
이와 같이 코일보빈(110b)에 대한 테이프 접착작업이 완전히 완료하면,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400)은 상방향(제7도상의 점 P13으로부터 P14)으로 이동하고, 이어서 수평방향(제7도상의 P14로부터 P1)으로 이동하여 초기 상태로 돌아온다.
이와 같은 작업싸이클에 따라 한 개조의 테이프 와인딩 기구(500)로서 근접하는 두 개의 코일보빈(110a)(110b)에 대한 작업이 끝나게 된다.
또한, 테이핑작업이 코일 권회 작업도중 테이프 내압을 위하여 감아주는 경우에도 연속적인 권선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다음 테이핑 작업이 실행되기 전까지 테이프(511) 선단(511a)은 패드(533)상에 흡입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프(511)의 선단(511a) 패드 위치까지의 인출작업은 최초에 테이프(511)를 테이프 지지부(510)에 장착된 시점 및 테이프(511)를 전부 소모하여 교환하여 주는 시기로 보면 좋다.
한편, 테이프 지지부(510) 및 이에 대응하는 테이프 와인딩 기구(500)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 4개의 조로서 수행하였으나, 그 밖의 조를 짜서 실시하는 것도 좋다.
또한, 테이프 와인딩 기구(500)의 수와 스핀들(100)의 수에 대한 비율을 본 실시예에 있어서, 4개에 대하여 8개를 갖는 1:2의 비율로 하였으나 그 밖의 비율 예를들면 1:3의 경우로 실시하는 것도 좋다.
그리고 이 비율은 근접하는 스핀들간의 간격을 최고로 좁게 하여 배치한 경우의 수치와 사용하는 테이프(511)가 감긴 테이프 롤러외경간의 수치에 의하여 최적인 비율이 결정된다.
제8a도와 제8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8a도에 있어서,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400a)은 노즐홀더지지부(200a)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테이핑 헤드지지부(520a)에는 각각 테이핑 헤드(530a)가 탈착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테이프 지지부(510a), 테이핑 헤드지지부(520a) 및 테이핑 헤드(530a)는 각각 제4도와 제5도에 표시한 각각의 대응부분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다. 제8a도에서 5개의 테이프 지지부(510a)중 첫 번째 테이프 지지부를 제외한 4개의 테이프 지지부(510a)로 테이프(511)가 준비되어 있고, 테이프 지지부(510a)의 좌우에는 대응하는 테이핑 패드지지부(520a)가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코일부분(1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테이핑 작업이 실시된다.
제8b도와 제8a도 권선기의 다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5개의 테이프 지지부(510a)중에서 좌측 첫 번째의 테이프 지지부를 제외한 4개의 테이프 지지부(510a)에 테이프(511)가 준비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핑 헤드(530a)는 봉형 돌출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시킨 역방향으로 고정되었다.
따라서 제8a도의 경우와는 반대로 테이프 지지부(510a)의 좌우에 대응하는 테이핑 헤드지지부(520a)가 위치하는 것이 된다.
이 상태에서는 코일보빈(1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테이핑작업이 실시되어진다.
본 실시예의 권선기는 코일의 다품종 소생산량에 적합하다.
다시말하면, 코일 종류가 바뀜에 따라 테이프의 폭도 달라지고 테이프의 감는 방향도 달라지지만, 이것에 대응하여 착탈 가능한 테이핑 헤드(530a)를 교환하여 주거나 설치방향을 변경시켜 주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에서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5)

  1. 테이프 와인더를 갖는 권선기가, a) 코일보빈을 간직하면서 회전 가능한 복수개의 스핀들(100), b) 상기 코일보빈 선재를 안내하는 복수개의 노즐(211)을 잡아주는 노즐홀더(210)가 지지되는 노즐홀더지지부(200), c) 상기 노즐홀더(210)에 대하여 적어도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된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단수)(400), d) 테이프를 지지하는 테이프 지지부(단수)(510), 복수개의 로울러를 갖는 테이프 가이드 기구(단수)(531), 상기 코일보빈상의 코일 권선에 상기 테이프를 부착시켜 주기위한 패드(단수)(533), 상기 패드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전진, 후퇴 가능한 컷터(단수)(534)들을 갖고 상기 기판에 설치된 한 개 이상의 테이핑 와인딩 기구(500)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와인더를 갖는 권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400)이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와인더를 갖는 권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홀더지지수단에는 중간지지판(단수)(30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중간지지판(300)에는 상기 테이프 와인더용 기판(40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와인더를 갖는 권선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핀들수는 상기 테이프 와인딩 기구수의 n(n=2,3,4)배를 갖도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와인더를 갖는 권선기.
  5. 권선용 테이프 와인딩 기구가, a) 코일보빈을 간직하면서 회전 가능한 스핀들(100)에 대하여 적어도 상기 스핀들(100)에 직교하는 평면내의 임의 위치로 이동 가능한 기판이 설치된 테이프 지지부(510), b) 상기 기판에 설치되어 홀을 갖는 테이핑 헤드지지부(520), (c) 패드 표면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공기홀(533a)을 갖고, 상기 코일보빈상의 코일 권선에 테이프를 접착시켜 주기 위한 패드(533), 상기 공기홀로 통하는 공기 흡입공을 갖고 상기 테이핑 헤드지지부의 홀에 끼워지는 봉형상의 돌출부(532), 복수개의 로울러를 갖는 테이프 가이드부(531), 상기 패드에 근접하면서 패드에 대하여 전진, 후퇴 가능한 컷터(534)들을 갖는 테이핑 헤드(530), d) 상기 테이핑 헤드(530)를 상기 테이핑 헤드지지부(52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해 주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와인더를 갖는 권선기.
KR1019880005465A 1987-05-12 1988-05-11 테이프 와인더를 갖는 권선기 KR920008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294/87 1987-05-12
JP70294/87 1987-05-12
JP62115197A JPH0693412B2 (ja) 1987-05-12 1987-05-12 テ−プワインダを有する巻線機
JP115197/87 1987-05-12
JP?115197/87 1987-05-12
JP7029487U JPH0349386Y2 (ko) 1987-05-12 1987-05-12
JP?192455/87 1987-12-18
JP19245587U JPH0521857Y2 (ko) 1987-12-18 1987-12-18
JP192455/87 1987-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802A KR880013802A (ko) 1988-12-21
KR920008889B1 true KR920008889B1 (ko) 1992-10-10

Family

ID=27300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5465A KR920008889B1 (ko) 1987-05-12 1988-05-11 테이프 와인더를 갖는 권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78628A (ko)
KR (1) KR920008889B1 (ko)
CH (1) CH676965A5 (ko)
DE (1) DE3815998A1 (ko)
FR (1) FR2617469B1 (ko)
GB (1) GB22058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66959A1 (de) * 1988-10-31 1990-05-09 Gregory C. Hirschmann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Bandagieren oder Umwickeln von Körpern, insbesondere von mit elektrischen Wicklungen versehenen Spulenkörpern
US5169479A (en) * 1991-04-18 1992-12-08 Crompton & Knowles Corporation Wire take-up apparatus with tape applicator for applying tape to terminal end portion of wire
US5328109A (en) * 1992-10-19 1994-07-12 Nittoku Engineering Kabushiki Kaisha Coil winding device having a turret rotatable between a winding position and a taping position
US5538196A (en) * 1994-06-06 1996-07-23 Bachi, L.P. Spindle coil winding machine
US7596880B2 (en) * 2005-09-13 2009-10-06 Dr. Johannes Heidenhain Gmbh Scanning unit of an optical position measuring device and optical position measuring device
PL2528075T3 (pl) * 2011-05-25 2014-04-30 Abb Schweiz Ag Urządzenie nawijające, sposób nawijania i uzwojenie transformatora
CN108428548B (zh) * 2018-03-21 2020-06-09 永嘉智云科技有限公司 一种电机矩形线圈自动绕缠绝缘布机器人
CN111497218B (zh) * 2020-04-08 2021-11-23 赖伟韶 一种灯杆缠绕保护膜装置
CN116666104B (zh) * 2023-06-30 2024-01-16 珠海市日创工业自动化设备有限公司 无骨架线圈径向缠胶带机构及绕线机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1243A (en) * 1945-03-22 1951-10-16 Lion Mfg Corp Coil winding machine
DE1279156B (de) * 1962-01-15 1968-10-03 Baer Maschf Josef Einrichtung zum Impraegnieren von elektrischen Wicklungen
US3253794A (en) * 1963-04-11 1966-05-31 Midland Engineering & Machine Tape wrapping machine
GB1021729A (en) * 1963-05-21 1966-03-09 Midland Engineering & Machine Tape wrapping machine
CH568918A5 (ko) * 1974-04-23 1975-11-14 Meteor Ag
GB1481315A (en) * 1974-07-09 1977-07-27 Tekma Kincmat Spa Taping device particularly applicable to coil winders
US4070227A (en) * 1976-04-19 1978-01-24 Midland Engineering And Machine Co. Taping machine for coils and the like
DE2632671C3 (de) * 1976-07-16 1981-10-22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Spulenwickelmaschine mit mehreren Wickelstationen
CH619407A5 (en) * 1977-05-10 1980-09-30 Bobst Fils Sa J Method for placing a strip of thin material around a stack of sheets and device for implementing this method
JPS546934A (en) * 1977-06-09 1979-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Tape winding apparatus
US4148677A (en) * 1977-10-20 1979-04-10 Western Electric Company, Incorporate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aping an article
DE3115911A1 (de) * 1981-04-22 1982-11-11 Claus Müller GmbH Transportverpackungs-Systeme, 6653 Blieskaste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schrumpfen von plastikfolie auf flachpaletten-ladeeinheiten
DE3129650A1 (de) * 1981-07-28 1983-02-17 Vogt Gmbh & Co Kg, 8391 Erlau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lektronischen bauteilen unter verwendung von vacuumtiefgezogenen verpackungsplatinen
DE3145176C2 (de) * 1981-11-10 1986-02-2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Wickelmaschine zum Wickeln elektrischer Spulen
US4531689A (en) * 1984-07-02 1985-07-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acuum probe for attaching tape to reel hub within a cartridge
IT1196312B (it) * 1984-10-26 1988-11-16 Tekma Kincmat Spa Macchina bobinatrice in linea e procedimento di lavorazione sulla stessa
JPH0238433Y2 (ko) * 1985-01-25 1990-10-17
US4635869A (en) * 1985-10-15 1987-01-13 King Instrumen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nitiating a tape winding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811095D0 (en) 1988-06-15
CH676965A5 (ko) 1991-03-28
DE3815998A1 (de) 1988-12-01
KR880013802A (ko) 1988-12-21
GB2205811A (en) 1988-12-21
DE3815998C2 (ko) 1993-09-09
FR2617469A1 (fr) 1989-01-06
US4878628A (en) 1989-11-07
GB2205811B (en) 1991-11-13
FR2617469B1 (fr) 199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889B1 (ko) 테이프 와인더를 갖는 권선기
KR100407765B1 (ko) 권취장치
CN110844701B (zh) 扁线全自动收线机
JP6016509B2 (ja) 巻取り装置
CN114194934B (zh) 全自动换盘高速收线机及收线方法
CN110275248B (zh) 一种光纤光缆自动裁缆机
CN110540114B (zh) 一种纺织纱线绕线机械
CN110077902B (zh) 一种自动上件的绕线机
CN211846474U (zh) 一种膜收放卷装置及引膜轴组件
JPH0117564Y2 (ko)
CN211945537U (zh) 一种卷取落布自动裁切机构
CN217024856U (zh) 一种90度碳纤维拉伸样条用自动排纱装置
CN100480158C (zh) 用于回转型自动络纱机的纱线引导装置
CN211712310U (zh) 扁线全自动收线机
CN214495246U (zh) 旋转式换盘下线装置
CN209999781U (zh) 一种用于瓦楞纸板生产线上的卷辊更换装置
CN209635588U (zh) 一种主动退解络筒机
CN214827917U (zh) 一种收丝架
CN215207786U (zh) 一种倒丝机收线限位装置
CN210231052U (zh) 一种无氧铜丝的自动切线换盘装置
US5820062A (en) Winding machine
KR20050062347A (ko) 변위가능 얀가이드부착 샘플정경기
CN212768912U (zh) 一种用于复卷机的张力调节装置
CN220811390U (zh) 一种盘带的绕带机
JP3074006B2 (ja) ワイヤーソ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5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