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581B1 - 적외선을 이용한 직물의 요철 무늬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적외선을 이용한 직물의 요철 무늬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581B1
KR920008581B1 KR1019900007394A KR900007394A KR920008581B1 KR 920008581 B1 KR920008581 B1 KR 920008581B1 KR 1019900007394 A KR1019900007394 A KR 1019900007394A KR 900007394 A KR900007394 A KR 900007394A KR 920008581 B1 KR920008581 B1 KR 920008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infrared
absorbing material
adhesive
infrare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7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250A (ko
Inventor
신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화상사
신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화상사, 신응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화상사
Priority to KR1019900007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581B1/ko
Publication of KR910020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5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1/00Shrinking by compress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4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hrinking, embossing, moiréing, or crê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loring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적외선을 이용한 직물의 요철 무늬 형성방법
본 발명은 편직물의 엠보싱 가공방법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히 적외선을 이용하여 열용융성 또는 열수축성 직물에 요철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가공되는 직물은 의류, 포장류, 가방, 신발등의 잡화류, 책표지 등의 문방구류, 벽지, 가구용 외피지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직물에 요철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직조시 요철 무늬가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 가열 엠보싱 로울러를 이용하는 방법, 주름가공방법 및 섬유를 팽윤 또는 수축시키는 약품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알려졌다. 직조시 요철 무늬가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은 특수한 직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무늬 형태가 한정될 뿐 아니라 소량의 무늬 직물을 생산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요철 무늬를 갖는 가열 로울러를 이용하는 방법은 로울러의 제작비가 비싸고 일정한 무늬의 대량 생산에는 유리하지만 각종 무늬를 갖는 제품을 소량 생산하는 데는 부적당하며 주름가공방법은 전면적인 주름 상태의 요철 효과밖에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화공약품에 의한 방법은 요철 효과가 낮은 제품밖에 얻을 수 없고 경우에 따라서 약품 배합량의 차이로 인하여 직포 원단 자체가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숙련된 기술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방법의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열감응성 물질을 직포에 도포하고 적외선을 조사하므로서 도포부분이 열수축되면서 요철 무늬가 형성되도록 하는 방법(일본공개특허공보,평1-162861호)이 알려졌다. 그러나 이 방법에 의하면 열수축 부분에 처리되는 열감응성 물질이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열감응성 물질이 유색 물질이므로 이들 열감응성 물질이 열 수축부분의 섬유사이에 침투 고착되므로 착색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방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요철 무늬 형성후 유색 적외선 흡수물질이 완전히 제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직물에 처리되는 적외선 흡수 물질의 입도를 30-80μ의 범위로 제한하므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열용융성 또는 열수축성 섬유로 구성된 직물의 표면에 적외선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호제 또는 점착제를 도포하고 적외선을 조사하여 적외선 흡수 물질이 도포된 부분이 적외선을 의하여 가열되어 부분적으로 용융되거나 열수축되면서 요철 무늬가 형성되도록 하는 직물의 요철 무늬 형성 방법에서 적외선 흡수 물질을 50-80μ의 입도 범위를 한정시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적외선은 0.8-3μ의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에 가까운 적외선을 사용한다. 적외선은 열작용이 큰 전자파로서 태양 광선중에도 포함되어 있으므로 태양 광선중의 적외선을 흡수하여 이용하거나 또는 적외선 조사기로 조사되는 인공 적외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있다. 태양광선중의 적외선을 이용하는 방법으로는 적외선 흡수 물질인 흑색 도료를 도포한 가열관으로 태양광선중의 적외선을 흡수하여 가열관내의 물을 가열하는 온수기와 탄화 지르코늄같은 태양열 흡수제 분말을 의류 표면에 처리하므로서 태양광선중의 적외선을 흡수하여 가열도는 옷이 알려졌다. 그리고 인공 적외선을 이용하는 방법은 적외선 조사기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방법으로서 건조용 또는 의료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적외선 흡수 물질이 유색 물질인 경우에는 피처리 직물에 처리하였을때 안료와 같은 착색 작용을 하게 되는바, 흡수 물질의 50μ이하로 미세하면 직물의 섬유 조직내에 침투되어 적외선 처리후 섬유 조직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잔류하면서 직물의 색상을 변화시키고 80μ 이상으로 크면 요입부가 매끄럽지 못하므로 직물의 섬유 조직내로 침투되지 않으면서 무늬 표면이 균일하게 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적외선 흡수 물질의 입도가 50-80μ의 범위내로 되게 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외선 흡수 물질은 호제 또는 점착제와 혼합하여 직물의 표면에 처리한다. 처리방법은 스크린 인쇄, 페인팅, 분무등과 같은 통상의 날염 방법으로 처리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사용되는 호제나 점착제로는 섬유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료 날염용호나 염료날염호가 유리하게 사용되는바, 예를 들면 전분호료, 폴리에틸렌옥사이드계의 호료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호제나 점착제는 적외선을 차단하여 적외선 흡수 물질의 적외선 흡수를 방해하지 않아야 하고 요철 무늬 형성후 수세하여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호제나 점착제는 적외선 흡수 물질이 적외선에 조사되면 순간적으로 고온으로 승온되므로 고온에서 물불용성으로 변하지 않아야 하고 가열되었을때 직물 섬유에 융착되거나 접착 고정되지 아니하는 물질이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호제나 점착제가 수세시 직물의 표면에서 쉽게 탈락되고 가열 되었을때 직물에 고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적외선 흡수제와 함께 실리콘 오일을 호제나 점착제에 혼합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물질은 호제나 점착제에 1-50중량%까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2% 내지 10%의 범위내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실리콘 오일은 호제나 점착제의 무게를 기준으로 2-10% 범위내에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방법을 일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50-80μ의 입도를 갖는 적외선 흡수 물질 분말을 호제나 점착제에 혼합하여 열용융성 또는 열수축성 직물 원단의 표면에 요구하는 무늬 형태로 도포하고 건조시킨 다음 0.8-3μ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을 출력 100w/㎠, 조사폭 50mm로 조사하면서 직물 원단이나 적외선 조사기를 5m/min의 속도로 되게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직물 원단의 표면에 요철 무늬가 형성되도록 한 후 원단을 수세하여 도포된 호료 또는 점착제와 적외선 흡수 물질의 분말을 제거하고 건조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직물 원단은 순간적인 고열에 의하여 용융 또는 수축되는 합성 섬유사로 된 직물을 사용하며, 직조 형태는 평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모 직물에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직물의 원단 표면에 도포된 적외선 흡수 물질분말이 적외선을 흡수하여 단 시간내에 합성 수지 섬유의 용융 또는 수축 변형 온도까지 승온되면서 접촉하고 있는 부의의 직물 원단 표면 또는 기모직물의 경우 기모를 용융 또는 수축시키므로 적외선 흡수 물질을 처리한 직물 원단의 표면이나 기모 부분이 함몰 또는 요입되면서 요철 무늬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직물 원단의 표면에 적외선 흡수 물질을 도포하는데 따라 무늬의 형태가 결정되므로 종래의 스크린 인쇄 방법을 이용한 대량 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페인팅 등에 의하여 특수 무늬를 소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적외선 조사 시간과 조사량을 조절하므로서 요입 무늬의 깊이를 조절할 수 있어 종래 일정한 깊이로 된 무늬를 형성하는 경우와는 달리 다양한 입체성을 갖는 무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
40D, 20F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사로 직조하여 표면을 기모 가공한 기모트리코트 원단 표면에 평균 입경 50μ의 목탄분말(소나무 목탄 분말) 3%와 실리콘 오일 5%를 함유하는 폴리에틸렌 옥사이드계 호료를 스크린 인쇄 방법으로 도포하여 요구하는 무늬를 형성하고 건조시킨 다음 출력 100w/㎠의 적외선 조사기로 1μ의 파장을 갖는 적외선을 조사폭 50mm로 되게 조사하면서 조사기를 5mm/min의 속도로 이동시켜 무늬 부분의 기모가 용융되게 한 다음 원단을 수세하여 호료와 목탄 분말을 제거한다.
제조된 원단은 무늬 부분의 기모가 용융되면서 함몰된 요철 부늬를 갖고 있었다.
[실시예 2]
폴리에스테르 타프타원단에 실리콘 오일을 함침시킨 80μ의 입도를 갖는 할성탄 분말 10%를 함유하는 써머졸형 분산 염료용 날염 호료를 스크린 인쇄한 후 2μ의 적외선을 조사하여 원단이 수축 현상을 일으킬때 적외선 조사를 중단하고 수세하여 활성탄 분말을 제거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방법을 반복하되 30μ의 목탄 분말 2%를 포함하는 흑색 안료 날염용호를 사용한다. 적외선 조사후 제조된 직물은 수세후에도 흑색을 나타내었다.

Claims (2)

  1. 열 용융성 또는 열수축성 직물의 표면에 적외선 흡수 물질을 포함하는 수용성 호제 또는 점착제를 도포하고 적외선을 조사하여 직물에 요철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에서, 적외선 흡수 물질이 50-80μ의 입도를 갖고 있어서 적외선 조사후 수세 제거할 수 있는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적외선 흡수 물질이 실리콘 오일이 함침된 탄소 분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00007394A 1990-05-23 1990-05-23 적외선을 이용한 직물의 요철 무늬 형성방법 KR920008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7394A KR920008581B1 (ko) 1990-05-23 1990-05-23 적외선을 이용한 직물의 요철 무늬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7394A KR920008581B1 (ko) 1990-05-23 1990-05-23 적외선을 이용한 직물의 요철 무늬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250A KR910020250A (ko) 1991-12-19
KR920008581B1 true KR920008581B1 (ko) 1992-10-01

Family

ID=19299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7394A KR920008581B1 (ko) 1990-05-23 1990-05-23 적외선을 이용한 직물의 요철 무늬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499B1 (ko) * 2009-10-15 2011-09-15 주식회사 유상실업 직물의 주름 가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2513B1 (ko) * 2005-04-28 2006-12-28 주식회사 파코라인 고분자 재료에 색채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499B1 (ko) * 2009-10-15 2011-09-15 주식회사 유상실업 직물의 주름 가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250A (ko) 199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26778A1 (en) Proces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a flocked and dyed cloth backing
US7666231B2 (en) Process for continuous production of a flocked and dyed cloth backing
US4748044A (en) Method for the simultaneous, continuous binding and coating of a nonwoven fabric
KR910004128A (ko) 셔츠류의 완전 합성 고온 실링 안감
KR920008581B1 (ko) 적외선을 이용한 직물의 요철 무늬 형성방법
GB761075A (en) Improvements in the treatment of sheets or webs of thermoplastic materials
US4466860A (en) Method for producing etched patterns on textile fabrics
US4680034A (en) High contrast patterning process and product for disperse dyed polyester
JPH01162882A (ja) 折皺ボカシ染色方法
JPH0571697B2 (ko)
JPS63211359A (ja) 合成繊維乃至高分子物質の加熱処理法
JPH01162881A (ja) 捺染布帛の染色法
CA1230204A (en) Method of producing opaque printed textile fabrics with curing by free radical initiation and resulting printed fabrics
CA1225840A (en) High contrast patterning process and product
GB2193147A (en) Indirectly heating synthetic fiber or high molecular substance compositions
JPH0753472B2 (ja) 繊維製品の柄出仕上法
GB2249994A (en) Colour printing on coated woven flexible glass fibres
JPH01162861A (ja) 合成繊維布帛の凹凸模様付形着色加工法
EP0544925A1 (de) Vorrichtung zum Auf- und Einbringen von Farbstoffen auf bzw. in ein Kunststoff aufweisendes Substrat
JP2002227072A (ja) 皺セット加工法
EP0524324B1 (de)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Farbstoffen auf ein Substrat und eine Vorrichtung zum elektrostatischen Aufladen eines solchen Substrates
JPH04308286A (ja) 熱可塑性合成繊維布帛の皺立加工法
JPH0874167A (ja) 撚糸使い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3291960A (ja) 染料組成物及び染色法
JPH01162862A (ja) 合成繊維布帛の柄出仕上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