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499B1 - 직물의 주름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직물의 주름 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499B1
KR101064499B1 KR1020090098383A KR20090098383A KR101064499B1 KR 101064499 B1 KR101064499 B1 KR 101064499B1 KR 1020090098383 A KR1020090098383 A KR 1020090098383A KR 20090098383 A KR20090098383 A KR 20090098383A KR 101064499 B1 KR101064499 B1 KR 101064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aper
processing method
glycol
g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8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1289A (ko
Inventor
정인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상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상실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상실업
Priority to KR1020090098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4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41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5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nitrogen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nitrides
    • D06M11/5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nitrogen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nitrides with ammonia; with complexes of organic amines with inorganic substances
    • D06M11/61Liquid ammonia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7/00Heating or cooling textile fabrics
    • D06C7/02Set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J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00Pleating, kilting or goffering textile fabrics or wearing apparel
    • D06J1/12Forms of pleat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20Treatment influencing the crease behaviour, the wrinkle resistance, the crease recovery or the ironing eas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10Bamboo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11/00Protein-based fibres, e.g. animal fibres
    • D10B2211/01Natural animal fibres, e.g. keratin fibres
    • D10B2211/02Woo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1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eth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의 주름 가공방법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수축성 필름, 직물 또는 열수축성 실을 매개제로 사용하지 않고도 자유롭고 다양한 무늬의 주름을 형성하는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름 가공방법은 기존의 합성섬유 뿐만 아니라 합성섬유 또는 셀룰로스섬유를 함유한 직물, 교직물, 편직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직물에 자연스러운 주름형성 뿐만 아니라 의장성 및 볼륨감이 훌륭하고 촉감이 부드러운 주름 직물을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직물, 합성섬유, 셀룰로스섬유, 주름

Description

직물의 주름 가공방법{Pleated fabric preparation}
본 발명은 직물의 주름 가공방법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열수축성 필름, 직물 또는 열수축성 실을 매개제로 사용하지 않고도 자유롭고 다양한 무늬의 주름을 형성하는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름 직물은 의복 제조용 뿐만 아니라 장식용을 비롯한 다양한 용도로 이용된다. 통상 직물에 주름무늬 형성을 위한 가공방법은 열수축성 필름이나 직물 또는 열수축성 실을 각각 점착제를 사용하여 합지시키거나 수용성 실을 직물에 박음질하여 대상직물에 일정 무늬형태로 표현하고 열처리 후, 열수축성 필름이나 직물을 제거 및 수용성 실을 용해박리 시키는 방법을 사용할 때 공통적으로 열수축성 필름이나 실을 매개제로 사용하여 매개제가 열수축이 일어날 때 대상직물의 주름을 유도하고 대상직물에 형성된 주름을 다시 열 세팅하여 대상직물의 주름을 완성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열수축성 필름 및 직물을 이용하여 주름을 형성할 경우에는 대상직물에 점착제를 원하는 문양으로 날염하고 열수축성 필름이나 직물을 합지시키켜야 하는 공정과 열처리 후 수축된 필름 및 직물을 분리시키는 박리 공정이 필요하다.
또한 주름을 형성 후 대상직물의 용량에 해당하는 많은 양의 필름 및 열수축된 직물을 폐기물로 처리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수용성 실을 매개제로 하여 대상직물에 주름을 부여하려면 대상직물에 일정모양의 무늬를 형성하는 자수장비가 필요하여 많은 준비 시간과 경비가 소요되며, 다양한 형상으로 원하는 모양을 갖는 주름 원단을 제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열수축성 필름, 직물 또는 열수축성 실을 매개제로 사용하지 않고도 자유롭고 다양한 무늬의 주름을 형성하는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섬유 또는 셀룰로스섬유를 함유하는 직물, 교직물, 편직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직물에 자유롭고 다양한 무늬의 주름을 형성하는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열수축성 필름, 직물 또는 열수축성 실을 매개제로 사용하지 않고도 자유롭고 다양한 무늬의 주름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은 직물을 요소용액을 이용하여 요소의 분해시 생성되는 암모니아 가스에 의한 섬유의 열충격을 완화에 따른 자유롭고 다양한 무늬의 주름을 형성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은 호료가 인날된 무늬직물의 수축율과 호료가 인날되지 않는 직물의 수축율간의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의 열수축 편차를 이용해 주름을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직물지에 주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a) 직물을 요소용액에 침지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전처리된 직물을 호료로 인날하는 단계;
c) 상기 인날된 직물을 건조 후, 열처리(TP)하여 주름을 부여하는 단계; 및
d) 상기 주름이 부여된 직물을 수세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직물지의 주 름 가공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한다.
본 발명은 요소를 이용하여 고온에서 분해시 생성되는 암모니아가 직물의 표면이 딱딱하게 경화되거나 섬유고분자의 분자쇄가 끊어지게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a) 단계의 전처리시 1 내지 50%의 농도를 가진 요소 수용액을 이용하여 전처리한 후 b) 단계를 진행하는 진행을 하거나, 상기 b) 단계의 진행시 호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비로 첨가된 요소를 더 첨가하여 인날하여 진행을 하며, 상기 b) 단계의 요소 첨가시 보다 바람직하게는 요소를 호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비로 첨가하여 인날하여 직물의 주름이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요소용액 내 요소의 분해로 생성되는 암모니아에 의해 호료 인날 후 진행되는 열처리시 섬유의 열충격을 완화시키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료가 인날되지 않은 부분에는 섬유 표면이 요소에 의해 열충격이 완화되어 섬유의 열취화 (degradation)현상이 감소되고 동시에 촉감도 훨씬 부드러운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호료가 인날된 부분은 섬유의 수축을 방지하여 직물의 형태안정성 즉, S값의 상승으로 자연스럽고 선명한 주름을 형성시키고, 인날부분의 투명감 상승 및 부드러운 촉감도를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은 셀룰로오스섬유로만으로 구성된 직물 또는 합성섬유와 셀룰로스섬유의 교직물로서, 상기 교직물은 합성섬유의 비중이 적어도 10% 이상으로 구성된 교직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 되어야 효율적인 열처리에 의한 주름 작업을 할 수가 있다.
상기 직물은 합성 섬유로 폴리에스테르, 나이론, 아크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섬유로 직조된 직물 또는 상기 그룹에서 선택된 두 섬유의 교직물이거나; 폴리에스테르, 나이론, 아크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섬유와 면, 마, 레이온, 아세테이트, 큐프라, 폴리노직, 텐셀, 대나무 섬유, 옥수수 섬유, 폴리유산 섬유, 콩섬유, 양모 및 견직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섬유의 교직물에서 열처리에 의한 주름가공을 할 수가 있으며, 이때 합성섬유의 비중이 적어도 10% 이상으로 구성된 교직물이어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 되어야 효율적인 열처리에 의한 주름 작업을 할 수가 있으며, 바람직한 합성섬유로의 실의 형태는 폴리에스테르, 나이론, 아크릴로 구성된 실이 가연되지 않은 합사의 형태이거나 가연사를 사용할 수가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연사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주름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호료가 인날된 무늬직물의 수축율과 호료가 인날되지 않는 직물의 수축율간의 열수축 편차가 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상의 열수축 편차를 이용해 주름을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직물에 원하는 문양으로 호료를 날염처리 후, 열처리시 고온의 용매에 침적시켰을 때 직물 전체에 호료가 인날된 무늬 직물의 수축율(Sp = (열처리 후 길이/열처리 전 길이)100))과 호료가 인날 되지 않은 직물의 수축율(Snp = (열처리 후 길이/열처리 전 길이)100))간의 뚜렷한 수축율 편차(S = Snp - Sp)에 의하여 발생하는 시각적 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직물에 의장성이 우수한 주름 직물을 간단 하면서 손쉽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명한 시각적 효과가 나타나는 주름 직물을 만들기 위해는 호료가 인날된 무늬 직물의 수축율(Sp)과 인날 되지 않은 직물의 수축율(Snp)간의 차이 S 가 5% 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에 있어서 직물의 수축을 방지하고, 고온의 열처리 후에도 가교결합이 일어나지 않아 수세가공이 용이해야 하므로, 상기 b) 단계의 호료는 녹는점(melting point)을 제어할 필요가 있으며,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녹는점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 1]
TP < Tm < Tm1 (TP는 열처리 온도, Tm1은 호료의 녹는점 및 Tm은 직물의 녹는점이다.)
만약, 상기의 호료의 녹는점이 열처리 온도 보다 낮을 경우, 호료가 직물상에 형성되지 못하여 열처리 과정에서 직물의 수축을 방지하고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만약 호료의 녹는점이 직물의 녹는점 보다 낮을 경우 고온의 열처리 시 호료의 연화현상에 의하여 충분한 S의 값을 얻을 수가 없어 선명한 주름가공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호료는 녹말, CMS, HES, 인산전분, 초산전분, 아라비아검, 구아검, 로쿠스트빈 검, 메이프로검, 크리스탈검, 트라가칸트검, 타마린드검, 브리티시검, 알긴산염, 한천, 메틸셀루로스, 아교, 젤라틴, 폴리비닐알콜, 폴리아 크릴산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호료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검류의 호료인 아라비아검, 구아검, 로쿠스트빈 검, 메이프로검, 크리스탈검, 트라가칸트검, 타마린드검, 브리티시검으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으로, 이는 직물에 인날 후 열처리 하였을 때 S가 15% 이상의 수축율 편차효과를 가질 수 있어 직물을 손쉽게 형성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c) 단계의 열처리(TP) 온도는 1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내지 250℃의 온도로 열처리하여야 하며, 이에 따른 열처리(TP)는 하기 화학식 1의 다가 알코올, 글리콜류 및 이들의 혼합물의 고온의 비활성 용매에 침지 후 수행되며, 이는 비등점이 높고 직물에 비활성인 용매의 매질하에서 진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호료에 따른 적정 비활성 용매는 직물에 호료로 원하는 문양으로 인날 후 비활성 용매를 열처리 시 인날 되지 않는 부분에 자연스러운 수축이 일어나 자연스러운 주름이 형성에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화학식 1]
R(OH)n
(상기 화학식에서 R은 C1 내지 30의 탄소이고, n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상기 글리콜류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 라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및 헥실렌 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물에 물리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화학식 1의 다가알콜과 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부틸렌글리콜 또는 핵실렌글리콜 각각의 단독 글리콜중합체인 폴리글리콜중합체를 사용하거나 혹은 화학식 1의 다가알콜과 에틸렌글리콜 , 프로필렌글리콜 , 부틸렌글리콜 그리고 핵실렌글리콜 중에서 2가지이상의 글리콜이 공중합된 폴리글리콜 중합체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직물에 물리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PEG(평균분자량 200 내지 800), PPG(평균분자량 200 내지 800) 또는 에틸렌글리콜/프로필렌글리콜 공중합물(평균분자량 200 내지 800)이며, 이는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직물의 경우 직물의 촉감이나 직물의 수축 유발 효과 측면에서 아주 우수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은 열수축성 필름, 직물 또는 열수축성 실을 매개제로 사용하지 않고도 자유롭고 다양한 무늬의 주름을 형성할 수 있는 방법으로, 기존의 합성섬유 뿐만 아니라 합성섬유 또는 셀룰로스섬유를 이용한 직물, 교직물, 편직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직물에 자연스러운 주름형성 뿐만 아니라 의장성 및 볼륨감이 훌륭하고 촉감이 부드러운 주름 직물을 손쉽게 제 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4]
하기 표 1과 같이 다양한 직물을 전처리 후 열셋팅하여 호료로 원하는 무늬로 인날 후 200℃로 가열된 PEG 400용매에 10초 동안 침지 후 스퀴징 하고 냉수에 수세 후 호료를 일반적인 방법으로 탈호하여 주름이 형성된 직물을 얻었다.
Figure 112009063295783-pat00001
상기 표 1의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듯이, 합성섬유 뿐만 아니라 합성섬유 또는 셀룰로스섬유를 함유한 직물 및 교직물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방법인 요소용액을 전처리한 후 요소가 포함된 호료액으로 인날하여 주름을 가공한 직물의 경우, 촉감이나 직물의 수축 유발 효과 측면에서 아주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의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으로 가공된 폴리에스테르 주름가공제품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9)

  1. 직물지에 주름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a) 직물을 요소용액에 침지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b) 상기 전처리된 직물을 호료로 인날하는 단계;
    c) 상기 인날된 직물을 건조 후, 열처리(TP)하여 주름을 부여하는 단계; 및
    d) 상기 주름이 부여된 직물을 수세가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호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0 중량비의 요소를 더 첨가하여 인날하는 것인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요소는 요소의 분해로 생성되는 암모니아에 의해 섬유의 열충격을 완화하는 것인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호료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녹는점(melting point)을 가진 것인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
    [식 1]
    TP < Tm < Tm1 (TP는 열처리 온도, Tm1은 호료의 녹는점 및 Tm은 직물의 녹는점이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호료는 녹말, CMS, HES, 인산전분, 초산전분, 아라비아검, 구아검, 로쿠스트빈 검, 메이프로검, 크리스탈검, 트라가칸트검, 타마린드검, 브리티시검, 알긴산염 , 한천, 메틸셀루로스, 아교, 젤라틴,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산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열처리(TP)는 1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인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열처리(TP)는 하기 화학식 1의 다가 알코올, 글리콜류 및 이들의 혼합물의 비활성 용매에 침지 후, 수행되는 것인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
    [화학식 1]
    R(OH)n
    (상기 화학식에서 R은 C1 내지 30의 탄소이고, n은 1 내지 6의 정수이다.)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류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및 헥실렌 글리콜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나이론, 아크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섬유로 직조된 직물 또는 상기 그룹에서 선택된 두 섬유의 교직물이거나; 폴리에스테르, 나이론, 아크릴,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섬유와 면, 마, 레이욘, 아세테이트, 큐프라, 폴리노직, 텐셀, 대나무 섬유, 옥수수 섬유, 폴리유산 섬유, 콩섬유, 양모 및 견직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섬유의 교직물인 것인 직물지의 주름 가공방법.
KR1020090098383A 2009-10-15 2009-10-15 직물의 주름 가공방법 KR101064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383A KR101064499B1 (ko) 2009-10-15 2009-10-15 직물의 주름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8383A KR101064499B1 (ko) 2009-10-15 2009-10-15 직물의 주름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289A KR20110041289A (ko) 2011-04-21
KR101064499B1 true KR101064499B1 (ko) 2011-09-15

Family

ID=4404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383A KR101064499B1 (ko) 2009-10-15 2009-10-15 직물의 주름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4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3331A (zh) * 2019-01-18 2019-05-17 石家庄常山北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pva绿色环保浆料及其上浆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581B1 (ko) * 1990-05-23 1992-10-01 주식회사 기화상사 적외선을 이용한 직물의 요철 무늬 형성방법
KR19980076682A (ko) * 1996-04-12 1998-11-16 모치츠키아키히로 셀룰로스계 섬유구조물의 내구성 주름부여가공방법
JP2003183976A (ja) 2002-11-18 2003-07-03 Nisshinbo Ind Inc セルロース系繊維構造物の耐久性しわ付け加工方法
KR20090103189A (ko) * 2008-03-27 2009-10-01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셀룰로오스 함유 직물의 방축가공방법 및 방축성형가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8581B1 (ko) * 1990-05-23 1992-10-01 주식회사 기화상사 적외선을 이용한 직물의 요철 무늬 형성방법
KR19980076682A (ko) * 1996-04-12 1998-11-16 모치츠키아키히로 셀룰로스계 섬유구조물의 내구성 주름부여가공방법
JP2003183976A (ja) 2002-11-18 2003-07-03 Nisshinbo Ind Inc セルロース系繊維構造物の耐久性しわ付け加工方法
KR20090103189A (ko) * 2008-03-27 2009-10-01 한국염색기술연구소 셀룰로오스 함유 직물의 방축가공방법 및 방축성형가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3331A (zh) * 2019-01-18 2019-05-17 石家庄常山北明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无pva绿色环保浆料及其上浆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289A (ko)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26386A (zh) 一种混纺面料及其制备方法
WO2016042556A1 (en) Synthetic-textile hybrid fabric and mean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670301B1 (ko) 직물의 주름 가공방법
KR101064499B1 (ko) 직물의 주름 가공방법
JP2018003229A (ja) 編み物の染色仕上げ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所定の色を有する生地、アッパー生地
CN1076418C (zh) 在纤维素纤维织物上形成耐久褶裥的方法
CN103243569A (zh) 一种耐碱性纺织面料
CN107142589A (zh) 一种非碱加工的多层泡泡纱面料及其加工工艺
KR100840339B1 (ko) 나염을 이용한 빈티지 효과를 갖는 직물 및 그 제조방법
US2245289A (en) Production of embossed effects on parchmentized fabrics
WO2017031825A1 (zh) 一种可降解回收再利用布基材及其制备方法
CN107513827A (zh) 串珠的刺绣方法
KR101629252B1 (ko) 염색방법
KR101573642B1 (ko) 대전방지성 및 심색성이 우수한 고밀도 폴리에스테르 직물의 제조방법
JP2006225791A (ja) 高収縮ミシン糸及びそれを用いた膨らみ模様布帛の製造方法
US20080302837A1 (en) Method for Forming Pleat on Fabric Composed of Polylactic Acid Yarn, and Pleated Fabric
JP6358803B2 (ja) 織物製品
EP3392402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dyed textile
CN106637589A (zh) 一种菠萝纤维水溶性pva纤维棉混纺的面料
US2060113A (en) Treatment of fabrics containing organic derivatives of cellulose
JP3198101B2 (ja) セルロース系繊維の形態安定加工方法
CN212124386U (zh) 一种防褶皱印花针织布
CN117507537A (zh) 一种3d可再生涤纶梭织面料的制备方法
CN113846443A (zh) 一种夏布刺绣的制作方法
JPH02307975A (ja) 特殊生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