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506B1 - 영상 형성 장치의 휴저기(fuser)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형성 장치의 휴저기(fuser)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506B1
KR920008506B1 KR1019890006578A KR890006578A KR920008506B1 KR 920008506 B1 KR920008506 B1 KR 920008506B1 KR 1019890006578 A KR1019890006578 A KR 1019890006578A KR 890006578 A KR890006578 A KR 890006578A KR 920008506 B1 KR920008506 B1 KR 920008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eriod
rollers
heat roller
se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7587A (ko
Inventor
신이찌 와따라이
메구미 야스다
요오지 호오끼
마꼬도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7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7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f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영상 형성 장치의 휴저기(FUSER)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휴저기에 대한 제어 시스템의 원리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제2도는 레이저 인쇄기의 측면도.
제3도는 레이저 인쇄기의 제어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
제4도와 제5도는 각각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시간 흐름도.
제7a도와 7b도는 각각 종이 매체에 토너를 고정시키는 것을 보여주는 휴저기의 측면도.
제8도는 종래 기술에서 보여주는 열로울러와 보조로울러의 온도 변동을 보여주는 그래프.
제9도는 종래 기술에서 볼 수 있는 휴저기의 제어단계를 설명하는 흐름도.
본 발명은 영상 형성 장치의 휴저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치의 예열단계에서의 휴저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인쇄기 또는 팩시밀리 기계와 같은 전자공학적인 영상 형성 장치에서, 광전도성 드럼(drum)에 형성된 토너(toner)영상은 종이 매체에 옮겨지고, 휴저기에 의해서 그위에 고정된다.
제7a도와 제7b도에서서는 토너 고정 과정의 원리를 보여주고 있고, 휴저기(14)는 열로울러(10)와 보조로울러(12)의 한쌍으로 구성된다.
열로울러(10)는 내열성 송진으로 한겹 덮힌 알루미늄 튜브와 같은 열전도성 물질로 만들어지고, 내부에 설치된 히터와 조립된다.
보조로울러(12)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 중합체로 만들어지고, 열로울러(10)의 표면을 누르고 있어 열로울러(10)의 회전에 의해서 마찰력으로 구동된다.
열로울러(10)는 장치의 주모터에 의해서 구동된다.
따라서 로울러(10,12)는 인쇄과정동안 같이 회전하고, 그 사이에 종이 매체(16)를 끼우고 그 종이 매체(16)에 있는 토너 영상(18)을 열고정시킨다.
양질의 인쇄가 되도록 인쇄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이 기계의 기계적, 정전기적 조건을 초기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화에서, 이 장치의 단일 주모터는 회전되어 열로울러(10) 및 기계의 모든 회전부분을 구동시킨다.
동시에 내장된 열로울러(10)의 히터는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초기화는 광전도성 드럼이나 현상기와 같은 처리 부분에 좋지 않은 압박을 가하여 수명을 단축시키기 때문에 짧은 시간동안만 지속된다.
그러므로 주모터는 초기화가 끝난 직후 정지되어 이 장치의 회전하는 부분은 모두 정지된다.
그러나 내장된 열로울러(10)의 히터는 그 로울러(10)의 표면온도가 센서(Sensor)에 의해서 감시되는 동안 계속 가열되어 감시된 온도가 선결된 값에 도달할 때 예열단계는 끝나게 되고, 이 장치가 인쇄 과정을 시작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결정된다. 그렇지만 위의 단계에서는 초기화가 끝난 후에 열로울러(10)가 정지되어 있는 동안, 열로울러(10)의 히터가 가열된다는 점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제7a도에 보여진 것처럼 이 경우에 열로울러(10)와 보조로울러(12)의 온도 분포를 보면, 최상위점(HT 10)과 최하위점(HB 10)을 포함하여 열로울러(10)의 전주변은 내장된 히터에 의하여 똑같이 가열되는 데 비해, 보조로울러(12)에서는 열로울러(10)로부터 열전도에 의해서 최상위점(HT 12)근방의 영역은 실질적으로 열로울러(10)와 같은 레벨로 가열되지만 보조로울러(12)의 아래 영역은 실리콘고무의 비교적 나쁜 열전도성 때문에 온도가 더 낮다.
이 때문에 보조로울러(12)에는 최상위점(HT 12)에서 최하위점(HB 12)에 이르기까지 온도의 변화가 형성된다.
따라서 열로울러(10)의 표면 온도가 선결된 값에 이른 직후에 인쇄과정이 시작된다면 열로울러(10)의 몸체에 저장된 열은 제7b도에서 보여진 것처럼 HB 12점이 열로울러(10)와 접촉할때마다 보조로울러(12)의 한점 HB 12 근방의 보다 낮은 온도영역에 전달된다.
이 때문에 종이 매체(16)에 토너(18)를 고정시키는데 필요한 열로울러(10)의 표면 온도는 선결된 하한값이하로 떨어진다. 이런 현상은 장치가 낮은 온도로 오랫동안 작동되지 않을 때에 특히 심각한 문제가 된다.
초기화와 예열단계동안에 로울러(10,12)의 각각의 온도변화는 제 8 도에 나타내져 있다.
열로울러(10)의 표면 온도는 선결된 온도가 일단 얻어진후라 해도 t기간동안 하한값보다 더 낮게 된다.
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 9 도에서 보여진대로 일본 심사특허공보(KOKOKU)번호 61-31462(미국대응 특허 4,385,826)에는 로울러가 정지되어 있는 동안, 열로울러에 있는 히터의 가열이 시작되고(단계 900), 이 가열은 선결기간동안 게속되며(단계 902), 그리고나서 양쪽 로울러가 균일하고 충분하게 가열될때까지 보조로울러와 함께 열로울러를 회전시키도록 주모터를 구동한다(904)고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에 따르면 처리부분들이 보다 긴 기간동안 열로울러와 함께 구동되어야하기 때문에 처리부분에 저장된 기계적, 정전기적 압박이 보통때의 경우때보다 크다.
순환온도가 그렇게 낮지 않거나, 기계의 일시적 정지후에 곧 기계가 다시 가동된다할지라도 선결된 주기동안 판에 박힌 것처럼 히터의 가열이 강제적으로 수행된다.
이것은 인쇄작업의 시작을 지연시키고, 기계의 능률을 낮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목적은 위에 보여준 것 같은 종래 기술의 결점을 없애고, 영상 형성 장치의 휴저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열로울러를 가열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줄이고, 처리부분에 가해지는 압박을 최소하면서 장치가 낮은 순환 온도일때에도 인쇄의 질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은 예열단계에서 영상 형성 장치의 휴저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휴저기는 열로울러와, 이 열로울러를 누르고 있는 보조로울러로 구성되며, 종이 매체에 있는 토너 영상이 고정되도록 이 로울러들 사이에 종이 매체가 끼워진다.
이 방법은, 열로울러와 보조로울러를 함께 회전시키는 동안, 이 기계의 기계적, 정전기적 조건의 초기화의 시간과 거의 동시에 열로울러의 히터를 가열하기 시작하는 단계, 초기화가 끝난 후 이 로울러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단계, 초기화 과정이 끝난 후에 최초의 선결 기간동안 열로울러의 표면 온도를 감시하는 단계, 최초의 선결 기간내에 표면 온도가 세트값으로 상승되면 휴저기가 작동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세트값이 얻어지지 않으면, 최초의 선결 기간 만료다음에 두 번째 선결 기간이 만료되지 않는 한, 세트값이 얻어질때까지 열로울러와 보조로울러를 다시 회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일단 초기화가 완성되면 최초의 선결 기간내의 열로울러의 표면 온도가 세트값으로 상승될 수 없을때에만 예열을 위하여 열로울러와 보조로울러의 회전이 다시 시작되고, 세트값이 도달된 후에는 열로울러와 보조로울러의 추가적인 회전이 곧 정지된다.
이것은 장치가 통상의 주변온도 조건에서 예열될때, 또는 종이가 걸려 있는 것을 청소한다든가 하는 일시적 기계의 정지후에 장치가 다시 가동될 때 로울러 온도는 첫 번째 선결 기간내에 세트값을 얻을 정도로 충분히 높기 때문에 주변 조건하에서 오랫동안 장치가 수리되는 때를 제외하면, 열로울러의 추가 회전은 거의 필요하지 않다는 현상에 근거를 두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에 추가의 초기화 과정에 의해 생기는 지나친 압박없이 장치가 예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과 장점은 본 발명의 우수한 실현을 보여주는 도면에 관한 설명에서 더욱 분명하게 된다.
제1도에서, 본 발명의 휴저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원리가 설명된다. 여기에 보면, 인쇄기(20)의 휴저기(14)는 열로울러(10)와 보조로울러(12)로 구성된다.
이들 로울러사이의 종이 매체(16)에 있는 토너(18)는 압력과 열의 영향을 받고, 종이 매체(16)에 고정된다.
인쇄기(20)의 작동개시때에 내장된 열로울러(10)의 히터는 가열되고, 열로울러(10)는 구동되어, 보조로울러(12)와 함께 회전된다. 기계 조건의 초기화가 끝날때(단계 100), 로울러(10,12)의 회전은 정지된다.
열로울러의 표면온도는 센서에 의해서 끊임없이 감시되며(단계 102), 로울러(10,12)의 회전이 정지된 후에 첫 번째 선결 기간내에 열로울러(10)의 표면온도가 세트값에 도달한다면 휴저기는 작동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이 결정된다.
역으로, 첫 번째 선결 기간내에 표면 온도가 세트값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로울러(10,12)의 회전은 반복되고, 두 번째 선결 기간내에 열로울러(10)의 표면온도가 세트값에 도달했다면, 로울러(10,12)의 회전은 정지된다.
그러나, 두 번째 선결 기간내에 열로울러(10)의 표면 온도가 세트값에 도달할 수 없다면, 휴저기가 비정상이라고 결정되어 장치에 있는 처리부분에의 지나친 압박을 피하기 위해, 로울러들의 회전은 강제적으로 정지된다(단계 104).
제2도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레이저 인쇄기(200)의 대표적인 내부구조를 보여준다.
여기에 보면, 종이(202)가 카세트형 상자에 쌓여 있고, S형의 통로(204)를 따라 한 장씩 운반되어, 인쇄기(200)의 상단에 있는 접시(206)로 간다.
종이(202)는 픽업로울러(208)에 의하여 들어 올려져, 서플라이 로울러(210)에 의해 통로(204)로 옮겨진다.
제2도에 보여진 것처럼, 다른 방법으로는 인쇄기(200)의 좌측에 있는 종이 삽입구멍을 통하여 종이(202)가 인쇄기(200)의 안쪽으로 입력되어, 서플라이 로울러(214)를 지나 통로(204)로 옮겨진다.
종이(202)는 통로(204)를 따라 이동되어, 광전도성 드럼(216) 아래를 통과한다.
광전도성 드럼(216)의 표면은 처음에 방출기(218)에 의해서 방출되며, 청소기(220)에 의해서 청소되고 나서, 프리챠지(222)에 의해서 충전된다.
레이저빔이 광장치(224)로부터 방사되어, 드럼(216)의 표면을 횡으로 조사하여, 정전기적으로 보이지 않는 영상을 만들고, 이 보이지 않는 영상은 현상기장치(226)에 의해 토너 영상으로서 현상된다.
광전도성 드럼(216)의 표면에 형성된 토너 영상은 트랜스퍼차저(238)에 의해서 종이에 전달된다.
그리고나서, 종이(202)는 열로울러(10)와 보조로울러(12)로 구성되는 휴저기(14)로 가게 되고, 여기서 토너영상이 종이(202)에 고정되며, 이 종이는 두쌍의 출력 로울러(240,242)를 통하여 받침 접시(206)로 방출된다.
제어장치(244)는 인쇄기(200)의 최하위에 있고, 종이 탐지 센서(246,248)가 있어서, 제어장치(244)와 협력한다.
또한, 센서(250)는 열로울러(10) 근처에 있어서 표면 온도를 감시한다.
레이저 인쇄기(200)의 제어 시스템은 제 3 도에 있다.
인쇄기(200)에 있는 모든 회전부분은 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각각의 전달 시스템을 통하여 단일의 주모터(300)에 의하여 구동된다.
로울러(200,210,214)는 각각 클러치(302,304,306)을 통하여 구동되고, 이들 클러치들은 온 또는 오프로 전환될 수 있어, 로울러(208,210,214)는 영상 형성 처리에 관계되는 부분들(예를들어, 광전도성 드럼(216), 현상기장치(226) 또는 청소기(220), 이것들은 이후에는 처리부분으로 명명된다)의 작동에 관계없이 작동될 수 있다.
주모터(300)와 클러치(302,304,306)의 작동은 마이크로 프로세서장치(308) - 이후에는 MPU로 명명 - 에 의해 제어된다.
주모터(300)의 회전수를 탐지함으로 광전도성 드럼(216)의 전체 회전수를 계산하고, 위의 처리부분에 정해진 각각의 세트값과 이 숫자를 비교함으로서 MPU(308)는 처리부분 각각에 대하여 수명이 만료되었는지를 예측할 수 있다. 그외에 센서(246,248,250)의 출력은 MPU(308)에 가해지고, 내장된 열로울러(10)의 히터로서 사용되는 할로겐램프(310)의 가열은 MPU(308)에 의하여 제어된다.
MPU(308)은 또한 광장치(224)와 미러모터(314)를 제어한다. 이 미러모터(314)는 레이저빔으로 광전도성드럼(216)을 횡적으로 조사하는데 사용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서 메모리(312)가 제어장치(244)에 있다. 주스위치(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음)가 인쇄기(200)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주스위치가 온이면, MPU(308)와, 저 전압으로 작동 가능한 부분(예를들면 메모리(312) 또는 오퍼레이터(도면에 표시되지 않음)용의 패널)이 에너지를 받는다.
인쇄기(200)는 또한 연동스위치(도면에 표시되지 않았음)을 갖고 있는데, 이 스위치는 인쇄기(200)의 덮개를 열고 닫을 때, 온 또는 오프로 된다. 덮개를 닫을때, 연동 스위치는 닫히고 주스위치가 온으로 되므로 프리차저(222) 또는 할로겐램프(310)와 같은 고전압 작동부분에 에너지가 가해진다.
역으로 덮개가 열릴 때 고전압 부분으로서 전류공급이 정지되어, 전기 쇼크의 위험을 피하게 된다. 주스위치가 온이 되고, 연동 스위치가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될 때 MPU(308)는 인쇄기(200)이 초기화를 시작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제4도와 5도에서 본 발명의 예시적 흐름도를 보여주고 있고, 제6도는 시간 흐름도를 보여준다.
주스위치가 닫혀 인쇄기(200)의 전류를 가할 때, 또는 일시적인 기계 정지후에 덮개가 덮혀 연동스위치가 닫힐 때, 할로겐램프(310)의 가열이 시작되어(단계 400), 열로울러(10)를 가열시킨다.
그리고나면, 제 6 도에서 보여준 것처럼, 미러모터(314) 구동, 주모터(300) 구동, 프리차저(222)의 작동개시, 현상 바이어스 입력, 트랜스퍼차저(238)의 작동개시, 그리고 경보수단(단계 402)의 점검의 순서로 초기화단계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위의 단계에서 할로겐램프(310)와 미러모터(314)가 작동된 후에 주모터(300)가 주기(T2)에서 작동되어, 초기의 최대 전류가 두배로 되는 것을 피하고, 주기(T9)(예를들면 17초)동안 구동된다.
이로서, 열로울러(10)와 보조로울러(12)는 주기(T9-T2) 동안 회전된다. 비슷하게 현상기(226)에 있는 현상 로울러(230)와 청소기(220)는 또한 주기(T9-T2) 동안 회전된다.
MPU(308)는 그 로울러들의 회전수를 계산한다. 초기화 과정(402) 동안 센서(250)에 의해서 온도가 탐지되고, 주기(T9)내에 열로울러(10)의 표면온도가 세트값(190℃)에 도달하면, 제 5 도에 보여진 것처럼, 열로울러(10)를 정지시킨 직후에 단계(500)으로 간다.
인쇄기(200)의 다른 부분들이 제어장치(244)로부터 출발신호를 받도록 리세트된다면, 할로겐램프(310)는 오프로 되고, 인쇄기(200)는 인쇄작동을 시작할 준비가 된다. 초기화 과정(단계 402)을 마친후에 MPU(308)는 선결주기(T1)(예를들면 60초)가 통과됐는지를 결정한다. 음(negative)이면 , MPU(308)는 열로울러(10)의 표면온도가 위의 세트값(단계 404)에 도달했는지를 계속해서 결정한다. 양(positive)이면, 단계(500)로 가고, 인쇄기(200)는 인쇄(단계500)할 준비가 된다.
즉, 할로겐램프의 가열후에 열로울러(10)의 표면온도가 선결주기(T1)내에 세트값에 도달한다면, 제 8 도에서 보여준 것처럼 대체로 인쇄기(200)는 인쇄를 시작한 직후에 비정상적인 온도 하강이 일어나지 않을 만큼 충분히 가열됐기 때문에 인쇄기(200)는 추가적인 예열 단계없이 인쇄 작동할 준비가 되어있다.
예를들면 이것은 전류를 가하기전에 인쇄기(200)가 정상적인 주변 실내온도로 유지될 때, 또는 일시적인 기계 정지후에 인쇄기(200)가 다시 가동될 때 일어난다. 역으로, 위의 선결주기(T1)내에 열로울러(10)의 표면온도가 세트값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추가적인 예열과정으로서 초기화과정이 다시 시작된다(단계 408,414,420,426,432).
즉 미러모터(10)와 보조로울러(12)는 다시 회전된다. 제 4 도에서처럼 시간흐름도에 정해진대로, 선결기간(T2,T3,T4,T5 또는 T6)동안 각각의 예열단계가 연속적으로 실행된다. 각각의 단계(408,412,420,426,432)동안, MPU(308)는 시간경과를 감시하고, 선결된 기간이 만료되었는지를 결정한다 (단계 410,416,422,428,436).
양(positive)이면, 다음 단계(414,420,426 또는 432)가 시작된다. 음이면, MPU(308)는 열로울러(10)의 표면 온도가 세트값(단계 412,418,424,430)에 도달됐는지를 결정한다. 단계(412,418,424,430)가운데 어느하나가 양이면 제 4 도에서 설명된 것처럼 제5b도의 단계(504)로 가고, 할로겐램프(310)는 오프(단계 504)로 되고, 프리차저는 오프(단계 506)로 되고, 선결주기(T7)(단계 508)의 만료후에 주모터(300)는 오프(단계 510)로되고, 따라서 인쇄기(200)는 인쇄작동을 시작할 준비가 된다(단계 512).
즉 할로겐램프(310)를 가열한후, 선결주기(T1)내에 열로울러(10)의 표면온도가 세트값에 도달하지 않는다면, 인쇄기(200)는 오랫동안 낮은 주변온도조건에 있었고, 제 8 도에서 보여진 것처럼 인쇄를 시작한 직후, 비정상적인 온도 강하가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MPU(308)는 추가적인 예열 과정이 필요하다고 결정한다.
할로겐램프(310)를 가열한후, 선결주기(T6)(예를들면, 90초)의 만료후까지도 열로울러(10)의 표면온도가 세트값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즉 단계(436)에서 양일 때 MPU(308)는 휴저기(14)가 오동작(제5c도의 단계 514)했다고 결정하여, 할로겐램프(310)의 가열 단계를 거치게 한다(단계 516).
위에서 말한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최초의 초기화 과정에서 열로울러(10)가 충분히 가열된다면 추가적인 예열단계 없이 인쇄기는 인쇄작동을 시작한다.
그러나 추가적인 예열 과정이 요구될때도 세트 온도에 도달하여, 처리부분에 가해지는 기계적 및 정전기적 압박이 최소화된 직후에 이런 과정이 방해받을 수 있다. 이는 또한 예열시간을 줄이고, 처리부분과 할로겐램프의 수명을 연장시킨다. 게다가, 기계 예열을 끝내는데 필요한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인쇄기(200)의 능률이 개선된다.
이와 관련하여 최초의 초기화 과정동안 열로울러(10)의 세트 온도에 도달되지 않을때, 제7a도에 보여진 것을 제7(B)도에 보여진 것으로 로울러의 위치를 바꾸어놓음으로서 로울러(10,12)를 반회전시킴으로서, 크게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자는 실험에 의하여 확인했다.

Claims (5)

  1. 휴저기는 열로울러(10)와, 이 열로울러(10)를 누르고 있는 보조 로울러(12)로 구성되고, 이 로울러들 사이에 종이매체(16,202)가 끼워져 이 종이 매체(16,202)에 있는 토너 영상이 고정되는 예열 단계에서 영상형성장치의 휴저기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열로울러(10)와 보조로울러(12)를 함께 회전시키는 동안, 이 기계의 기계적 및 정전기적 조건의 초기화 과정의 시작과 거의 동시에 열로울러(10)의 히터(310)에 가열을 시작하는 단계 ; 초기화 과정이 끝난후에 로울러(10,12)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단계 ; 초기화 종료후에 최초의 선결기간(T1-T9) 동안, 열로울러(10)의 표면 온도를 감시하는 단계 ; 및 최초의 선결기간(T1-T9)내에 표면 온도가 세트값에 도달할때, 휴저기(14)가 작동될 준비가 되어 있다는 것을 결정하는 단계 ; 최초의 선결 기간내에 세트값에 도달하지 않을 때, 최초의 선결 기간의 만료 다음에 두 번째 선결기간(T6-T1)이 만료되지 않는한, 세트값이 도달될때까지 열로울러(10)와 보조로울러(12)를 다시 회전시키는 추가적인 예열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형성장치의 휴저기 제어방법.
  2. 이 장치에 있는 거의 모든 회전 부분은 단일 주 모터(300)에 의해서 구동되고, 휴저기는 열로울러(10)와, 이 열로울러(10)를 누르고 있는 보조로울러(12)로 구성되어 있고, 이 로울러(10,12) 사이에 종이 매체가 끼워져 있어, 종이 매체에 있는 토너 영상이 고정되는 예열 단계에서 영상 형성장치의 휴저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열로우러(10)와 보조로울러(12)를 함께 회전시키는 동안, 이 기계의 기계적 및 정전기적 조건의 초기화 과정의 시작과 거의 동시에 열로울러(10)의 히터(310)에 가열을 시작하는 단계, 초기화가 끝난후에 로울러(10,12)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단계, 초기화 과정의 종료후에 최초의 선결주기(T1-T9)동안, 열로울러의 표면 온도를 감시하는 단계, 최초의 선결기간(T1-T9)내에 표면 온도가 세트값에 도달할때, 류저기(14)가 작동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 최초의 선결기간내에 세트값에 이르지 못했을 때, 최초의 선결주기(T1-T9)의 만료 다음에 두 번째 선결주기(T6-T1)가 만료되는한, 세트값이 도달될때까지 열로울러(10)와 보조로울러(12)를 회전시키는 추가적인 예열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형성 장치의 휴저기 제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초기화 과정이 할로겐램프(310)의 가열단계, 미러모터의 구동단계(단계 408), 주 모터의 구동단계(단계 414), 프리차저에 에너지를 가하는 단계(단계 400), 현상 바이어스를 가하는 단계(단계 426) 및 트랜스퍼차저에 에너지를 가하는 단계(단계 4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열로울러(10)의 히터가 할로겐램프(3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추가적인 예열과정이 초기화 과정의 최소한의 일부분의 반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890006578A 1988-05-17 1989-05-17 영상 형성 장치의 휴저기(fuser) 제어방법 KR9200085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19878 1988-05-17
JP63119878A JPH0766222B2 (ja) 1988-05-17 1988-05-17 トナー定着器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7587A KR890017587A (ko) 1989-12-16
KR920008506B1 true KR920008506B1 (ko) 1992-09-30

Family

ID=14772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6578A KR920008506B1 (ko) 1988-05-17 1989-05-17 영상 형성 장치의 휴저기(fuser) 제어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4996567A (ko)
EP (1) EP0343827B1 (ko)
JP (1) JPH0766222B2 (ko)
KR (1) KR920008506B1 (ko)
AU (1) AU597528B2 (ko)
CA (1) CA1326878C (ko)
DE (1) DE68908954T2 (ko)
ES (1) ES2044111T3 (ko)
NO (1) NO891953L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43806B1 (en) * 1990-02-20 1996-07-3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fixing means error detector
JPH03288867A (ja) * 1990-04-06 1991-12-19 Fuji Xerox Co Ltd 画像記録装置
EP0681265B1 (en) 1990-05-21 2004-11-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H04282653A (ja) * 1991-03-12 1992-10-07 Casio Electron Mfg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622314B2 (ja) * 1991-03-12 1997-06-18 三田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125237B2 (ja) * 1991-11-21 2001-01-15 コニカ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940277B2 (ja) * 1992-01-27 1999-08-25 岩崎通信機株式会社 熱定着装置用制御装置
JP2991317B2 (ja) * 1993-03-19 1999-12-20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0141675B1 (ko) * 1993-12-30 1998-07-15 김광호 전자 사진 기록장치의 절전 프린팅방법
DE69620290T2 (de) * 1995-05-19 2002-11-28 Sharp Kk Tonerbildfixiervorrichtung für Bilderzeugungsgerät
JP3397517B2 (ja) * 1995-06-14 2003-04-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189757B1 (ko) * 1996-03-29 1999-06-01 윤종용 전자사진 장치의 정착불량 방지 장치 및 방법
JP3387328B2 (ja) * 1996-09-03 2003-03-17 ミノルタ株式会社 定着装置
US6078781A (en) * 1998-01-09 2000-06-20 Kabushiki Kaisha Toshiba Fixing device using an induction heating unit
JP3399358B2 (ja) * 1998-04-16 2003-04-21 富士通株式会社 現像装置
JP2000221830A (ja) * 1999-02-01 2000-08-11 Canon Inc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6462317B1 (en) 2001-05-03 2002-10-08 Hewlett-Packard Company Heater bar utilizing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ing element
JP3689680B2 (ja) 2002-03-25 2005-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誘導加熱装置を用いた定着装置
CN100338536C (zh) * 2002-10-21 2007-09-19 佳能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
JP3901077B2 (ja) * 2002-11-14 2007-04-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035565B2 (en) * 2003-01-28 2006-04-2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Image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a separate fixing unit control section
US7822352B2 (en) * 2005-09-20 2010-10-26 Lexmark International, Inc. Thermally conditioned image forming apparatus
JP4320671B2 (ja) * 2006-11-16 2009-08-26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22842B2 (ja) * 2007-06-06 2012-04-25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温度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5541206B2 (ja) * 2011-03-23 2014-07-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定着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定着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06553A1 (en) * 1978-07-03 1980-01-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heat source in a reproduction machine
JPS56142563A (en) * 1980-04-07 1981-11-06 Canon Inc Fixing device
US4372675A (en) * 1980-11-28 1983-02-08 Xerox Corporation Variable power fuser control
JPS584167A (ja) * 1981-06-30 1983-01-11 Sharp Corp 熱定着ロ−ラ
US4415800A (en) * 1981-08-24 1983-1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heated fusers for copiers
JPS60207173A (ja) * 1984-03-30 1985-10-18 Mita Ind Co Ltd 複写機の制御方法
JPS60239787A (ja) * 1984-05-14 1985-11-28 Sharp Corp 加熱定着装置
US4681423A (en) * 1984-09-14 1987-07-21 Sharp Kabushiki Kaisha Copying machine having a control process to reduce copying time
JPS61277986A (ja) * 1985-05-31 1986-12-08 Mita Ind Co Ltd 定着装置
JPH0814744B2 (ja) * 1986-05-28 1996-02-14 ミノルタ株式会社 定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289988A (ja) 1989-11-21
JPH0766222B2 (ja) 1995-07-19
AU597528B2 (en) 1990-05-31
DE68908954T2 (de) 1994-01-05
DE68908954D1 (de) 1993-10-14
ES2044111T3 (es) 1994-01-01
AU3457789A (en) 1990-02-01
US4996567A (en) 1991-02-26
EP0343827B1 (en) 1993-09-08
EP0343827A3 (en) 1990-05-30
KR890017587A (ko) 1989-12-16
NO891953L (no) 1989-11-20
EP0343827A2 (en) 1989-11-29
NO891953D0 (no) 1989-05-16
CA1326878C (en) 1994-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506B1 (ko) 영상 형성 장치의 휴저기(fuser) 제어방법
JP4351462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77466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heating method for fixation section of the same
US5521686A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wherein image fixing heater temperature is controllable
US4425494A (en) Heat roller fixing unit
US7254352B2 (en)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use in a fusing device of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fusing roller and a heater heating the fusing roll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4887122A (en) Copying machine
US5502546A (en) Image fixing heater having standby temperature control
EP1014222B1 (en) Image heat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heaters
US7088934B2 (en) Fusing system and temperature control method thereof for us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5276482A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 fixing apparatus
EP0070740B1 (en) Fixing and heating device for an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US5832340A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441245B1 (ko) 전자사진장치의정착온도제어방법및장치
JPH0968885A (ja) 加熱定着装置
JPH11202672A (ja) 加熱定着装置
JPH0436384B2 (ko)
JP2744852B2 (ja) 加熱定着器の制御装置
JP2002296953A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H0962136A (ja) 加熱定着装置
JP2945214B2 (ja) 複写機の定着装置
JPS63106683A (ja) 定着装置
JPH07114286A (ja) 定着装置の温度制御装置
JPH10254274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48194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2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