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8383B1 - L-라이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L-라이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8383B1
KR920008383B1 KR1019900022966A KR900022966A KR920008383B1 KR 920008383 B1 KR920008383 B1 KR 920008383B1 KR 1019900022966 A KR1019900022966 A KR 1019900022966A KR 900022966 A KR900022966 A KR 900022966A KR 920008383 B1 KR920008383 B1 KR 920008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ysine
corynebacterium
corynebacterium glutamicum
pak12
st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2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2424A (ko
Inventor
한종권
오종원
이현환
정 스테펜
현형환
Original Assignee
제일제당 주식회사
김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제당 주식회사, 김정순 filed Critical 제일제당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22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8383B1/ko
Publication of KR920012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2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8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8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06Alanine; Leucine; Isoleucine; Serine; Homoser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L-라이신의 제조방법
제1도는 pAK12의 제한효소 EcoR I, Xba I 및 Sac I의 절단 지도 및 그의 형성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코리네박테리움 또는 브레비박테리움 속의 코리네형 글루타메이트-생산 박테리아를 사용하여 발효시킴으로써 L-라이신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L-라이신의 생성능을 가지며, 이들 박테리아의 야생형 균주로부터 유도된 변이주를 사용하고 있다.
L-라이신 생산 변이주는 아미노산 유사체, 핵산 유사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갖는 변이주를 라이신 생합성 경로의 곁가지 부산물인 L-스레오닌, L-메치오닌 및 기타 아미노산에 대한 영양요구성을 부여함으로써 얻어진 변이주가 일본국 특허공기 제55-9759호, 일본국 특허공개 제56-8692호 및 대한민국 특허공고 제79-1782호등에 공지되어 있다.
DNA 재조합 기술에 의해 형성된 균주가 L-라이신의 재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라이신 생합성에 관여하는 여러 유전자를 오페론(operon)을 형성하지 않고 염색체 DNA상에 퍼져 있는 것으로 대장균의 경우는 보고되어 있으나 아미노산 및 핵산 생산에 널리 쓰이는 코리네형글루타메이트-생산 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orynebacterium glutamicum), 브레비박테리움 프라붐(Brevibacterium flavum), 브레비박테리움 락토퍼멘툼(Brevibvacterium lactorfermentum) 등의 L-라이신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정보 및 기타 유전현상의 정보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코리네형 세균에서의 숙주-벡타계(host-vector system)가 개발됨에 따라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L-스레오닌, L-페닐알라닌, 및 L-아르기닌 등의 생산균주가 응용한 예가 보고되고 있다.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에서도 라이신 생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중 lysA(diaminopimelate decarboxylase). dapA(dihy drobipicolinate synthetase)등의 클로닝의 결과가 보고된 바가 있으나 아스파토키나제에 대한 유전자의 클로닝 및 발현에 대한 보고는 없다.
아스파테이트 계열(aspartate family)의 아미노산들인 L-라이신, L-스레오닌, L-이소루이신 및 L-메치오닌 생합성의 첫단계 효소인 아스파토키나제는 대장균에서는 그 산물들인 L-라이신, L-스레오닌 및 L-메치오닌에 의해 각각 조절을 받는 세가지의 동성효소(isoenzyme)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효소들은 다른 기능을 갖는 효소와도 결합되어 있어 매우 복잡한 조절 기작을 보이고 있으나[Ann, Rev, Biochem. 47, 533,(1978)]코리네박테리움 및 브레비박테리움속의 코리네형 글루타메이트-생산 박테리아의 아스파토키나제(EC 1.7.2.4)는 이와는 달리 훨씬 단순한 조절 기작을 보이며, 각 속의 미생물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그 산물들인 L-라이신과 L-스레오닌에 의해 공동으로 저해(concerted feedback innibition)를 받는다는 특징을 갖는다.[J. Biochem. 65,849,(1969)]
본 발명자들은 L-라이신 생산균주로서 야생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 13032를 인공변이시켜 L-라이신에 의한 효소 활성 저해(feedback inhibition)현상을 해제시키기 위해 L-라이신의 아나로그인 s-β-아미노에틸-L-시스테인(이후 AEC라 칭한다)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고 L-스레오닌 및 L-메치오닌으로 가는 곁가지 반응경로(side chaia reaction)를 차단시켜 이들에 대한 영양요구성 균주를 제작하여 특허균주로 등록하였으며(대한민국 특허공보 제79-1782호), L-라이신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스레오닌의 아나로그인 α-아미노-β-히드록시발레린산(이후 AHV라 칭한다)에 대한 내성과 아르기닌의 아나로그들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여 CS755 균주를 제작하였으며, 균주의 효소역가 분석결과 AEC와 AHV에 대한 내성이 아스파토키나제의 L-라이신 및 L-스레오닌에 의한 공동 저해작용의 해제에 의해 기인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수행하게 되었다.
또한 코리네형 글루타메이트-생산균의 숙주-벡터계의 개발을 위해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 13058 균주로부터 크립틱 플라스미드(cryptic plasmid)인 pCG1을 분리한 뒤 에쉐리시아 콜리속 균주의 클로닝 벡터(cloning vector)인 pACTC177과 결합시켜 코리네박테리움과 에쉐리시아속의 균주들에서 모두 형질전환 및 발현이 가능한 셔틀벡터인 pECCG1을 제조하였으며 pECCG1으로부터 앰피실린 내성 유전자 부분을 제거하고 다발성 절단부위(multicloning site)를 도입하여 코리네박테리움속에서 안정하게 발현되는 셔틀벡터 pECCG117를 제조하여 본 발명에 이용하였다.
즉 본 발명은 AEC 및 AHV에 대하여 내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CS755 균주의 염색체 DNA로부터 에쉐리시아 및 코리네박테리움 속의 균주들에 형질전환이 가능한 셔틀벡터 pECCG117을 이용하여 아스파토키나제에 대한 유전정보를 갖는 재조합 플라스미드 pAK 12를 분리하고, 이 pAK12를 야생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에 형질전환시켜 AEC 및 AHV에 대한 내성 부여와 함께 아스파토키나제의 비효소활성(specific enzyme activity)을 증가시킴으로써 L-라이신의 생산능력을 부여하거나, 또한 재조합 플라스미드 pAK12를 L-라이신 생산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CS 755에 형질전환시켜 향상된 L-라이신 생산성을 부여하고, 이 미생물들을 배양배지에 배양하여 배양액에 축적된 L-라이신을 회수함을 특징으로 하는 L-라이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사용된 균주 및 플라스미드는 표 1과 같다.
[표 1]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운반하는 형질전환체에 의한 L-라이신의 생산은 발효에 의해 L-라이신을 제조하는 공지의 방법과 같은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형질전환체를 온도, pH등을 조절하면서 호기성 조건하에 탄소원, 질소원, 무기화합물, 아미노산, 비타민 및 기타 영양물질을 함유한 통상의 배양배지에서 배양하고, 배양배지에 축적된 L-라이신을 회수한다. 탄소원으로는 글루코오즈, 프럭토오즈, 슈크로오즈, 말토오즈, 만노오즈, 및 당밀등과 같은 각종 탄수화물, 피루브산, 푸마르산, 락트산, 및 아세트산과 같은 각종 유기산이 사용될 수 있고, 질소원으로는 암모니아,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초산암모늄과 같은 각종 무기 및 유기 암모늄염, 우레아 및 기타 질소함유물질 및 펩톤, NZ-아민, 육류 추출물, 이스트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가세인 가수분해물, 어류 또는 그의 분해 생성물, 탈지 대두케이크 또는 그의 분해 생성물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무기 화합물로는 인산1 수소칼륨, 인산2 수소칼륨,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황산마그네슘, 염화나트륨, 황산 제1철, 황산망간, 탄산칼슘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 필요에 따라 비타민 및 기타 아미노산이 첨가될 수 있다. 배양은 호기적 조건하에, 예를 들어, 진탕배양 또는 통기교반 배양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20-4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배지의 pH 배양동안 중성 근처에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L-라이신은 보통 1-5일간 배양하므로써 배지에 축적된다. 배양 후 배양액으로부터 균체를 제거하고 활성탄 또는 이온교환수지 처리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L-라이신을 회수한다.
그러므로, 글루타메이트-생산 코리네형 박테리아로부터 유도된 라이신의 생합성에 관한 효소의 합성에 관한 유전정보를 갖는 유전자를 함유하는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운반하는 미생물을 사용함으로써 이런 제조합 플라스미드를 운반하지 않는 균주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고수율로 L-라이신을 생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상술하면 다음과 같고, 본원에서 사용한 유전자 조작방법은 주로 분자 클로닝 실험조작법(Mulecular Cloning : A laboratory Manual, 2nd. ed. , J. Sambroek, EP. Pritch. T. Maniatis) 및 분자 클로닝 기술의 지표(Guide to Molecular Cloning Techulques, Methods in Enzymology. vol. 152, S. L. Berger. A. R. Kimme)등의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으며, 본 발명에 사용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pAK12 균주는 1990년 12월 27일자로 한국 종균 협회에 제10721호에 기탁되었다.
[실시예 1]
[아스파토키나제 유전자의 클로닝]
(1)코리네박테리움 CS755의 염색체 DNA 및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pECCG117로부터 pECCG117분리
CS755 균주를 LB 배지(1% 트립톤, 0.5% 이스트 추출물, 1% 염화나트륨 : pH 7.4)에서 32℃, 18시간 진탕배양하여 원심분리로 균체를 회수하고 10ml 트리스 완충액(pH 8.0)으로 세척한 뒤 40ml의 라이소자임 반응 완충액(10mM 트리스(pH 8.0), 5mM 염화나트륨, 1mM EDTA, 0.5mM 슈크로오즈, 10mg/ml라이소자임)에 현탁시킨 뒤 37℃, 90분간 처리하였다. 이 세포를 원심분리로 회수하고 10ml의 슈크로오즈와 라이소자임이 배제된 라이소자임 반응 완충액에 현탁시키고 0.5M EDTA를 0.6ml, 4% SDS를 4.4ml에 넣어 세포를 분해시켰다. 여기에 염화세륨을 ml당 1g씩 첨가하고 2ml의 에티디움 브로마이드 농축액(10mg/ml)을 섞어주고, 이 혼합액을 초고속 원심분리기(ultracentrifuge)를 사용하여 16℃에서 50,000rpm으로 48시간 원신분리시킨 뒤, 주가시를 이용하여 염색체 DNA를 취하였다. 이소프로필 알코올로 3-4회 처리하여 에티디움 브로마이드를 제거한 후 TE 완충액(10mM 트리스(pH 8.0), 1mM EDTA)하에서 3회 완충용액을 바꾸어 가며 24시간 투석하여 염색체 DNA를 분리 정재하였다. 셔틀벡터 pECCG117도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분리했으며, 이때 배양배지에 가나마이신을 50㎍/ml되게 첨가하였다.
(2) 유전자 라이브러리(genomic library)의 제조
CS755로 부터 분리 정제된 염색체 DNA를 제한효소 Mbo I으로 미디움염 제한효소 완충액(50mM 염화나트륨, 10mM 트리스(pH 7.5), 10mM 염화마그네슘, 1mM 디티오쓰레이톨)에서 37℃, 15-30분간 부분절단(partical digestion)하고 이 제한효소를 65℃에서 20분간 가열하여 불활성화 시킨 다음, 0.7% 저융점 아가로오즈 겔(low-melting point agarose gel)에서 전기영동한 뒤 3-6kb 크기의 DNA 절편을 취하였다. 이를 68℃에서 10분간 물로 중탕 가열하여 겔을 녹인 뒤 동일 부피의 트리스 완충액(pH 8.0)으로 포화된 페놀을 섞어 준뒤 12,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고 다시 크로로포름 처리 및 에탄올로 침전시켜 목적 유전자원으로 사용하였다. 목적 유전자 분리를 위하여 프라스미드 pECCG117을 제한효소 BamH I으로 고농도염 제한효소 완충액(100mM 염화나트륨, 50mM 트리스(pH 7.5), 10mM 염화마그네슘, 1mM 디티오쓰레이톨)에서 37℃, 2시간 처리하여 완전 절단하고, 카프 인테스틴 포스파타제(calf-intestine phosphatase)를 처리한 뒤 3-6kb의 DNA 절편과 혼합하여 리가제 완충액(0.5M 트리스(pH 7.4), 0.1M 염화마그네슘, 0.1M 디티오쓰레이톨, 10mM 스퍼미딘, 10mM 스퍼미딘, 10mM ATP, 1mg/ml 소혈청 알부민)에서 T4 DNA 리가제로 14℃에서 16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유전자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였다.
(3) 아스파토키나제의 유전자 클로닝
LB 배제에서 14-15시간 배양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를 1ℓ의 LB 배지에 흡광도(600nm)가 0.1 이하가 되도록 접종하고 32℃에서 진탕배양한 뒤 흡광도가 0.3에 도달했을때 페니실린을 0.3U/ml 첨가하고 0.6까지 배양한 뒤 사용하였다. 이 균체를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뒤 1ℓ의 1mM N-(2-히드록시에틸)피페라진-N'-(2-에탄설폰산)(이후 HEPES라 칭한다) 완충액에 현탁하여 재차 원심분리하고 다시 500ml의 냉각된 멸균 탈이온 증류수에 현탁하였다. 이를 다시 원심분리한 뒤 균체를 20ml의 10% 글리세롤 용액에 2회 세척시켜 최종 2-3ml의 10% 글리세롤 용액에 현탁시켜 최종 균체농도를 1-2×1010/ml이 되도록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이 현탁액을 적당량으로 나누어 드라이아이스-에탄올로 급속 냉동시킨 뒤 -70℃에 보관하면, 약 1개월 동안 형질전환빈도의 감소없이 사용가능하다. 냉동된 균체의 현탁을 얼음속에서 서서히 녹인 뒤 여기에 적당량의 플라스미드 DNA를 첨가해 잘 섞어준 뒤 전기장 충격장치(Bio-Rad, Gene pulser)로 1회 전기장 충격을 가한 뒤 1ml의 SOC 배지(2% 트립톤, 0.5% 효모추출물, 10mM 염화나트륨, 2.5mM 염화칼륨, 10mM 염화마그네슘, 10mM 황산마그네슘, 20mM 글루코오즈)에 현탁하여 32℃에서 1시간 배양한뒤 5mM AEC, 5mM AHV 및 50㎍/ml의 가나마이신이 포함된 하기 조성의 최소한 천 평판배지도 도말하여 1-2일 32℃네서 배양하여 형질전환체를 얻을 수 있었다.
-최소 평판배지 : 글루코오즈 10g/ℓ, 황산암모늄 2g/ℓ, 요소 2g/ℓ, 인산1 수소칼륨 0.2g/ℓ, 인산2 수소칼륨 0.2g/ℓ, 황산마그네슘 0.1g/ℓ, 염화칼슘 0.1g/ℓ, d-비오틴 100㎍/ℓ, 염산디아민 100㎍/ℓ, 보락스 88mg/ℓ, 몰리브덴산암모늄 36mg/ℓ, 황산아연 8.8mg/ℓ, 황산구리 270mg/ℓ, 염화망간 7.7mg/ℓ, 염화제1철 970mg/ℓ, 한천 18g/ℓ ; pH 7.2
[실시예 2]
코리네박테리움 굴루타미쿰 ATCC13032에서의 아스파토키나제 유전자의 발현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형질전환체들로 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플라스미드 DNA를 분리하여 2.9kb의 염색체 DNA를 포함하는 플라스미드 pAK12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를 포함하는 형질전환체 코리넥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pAK12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CS755/pAK12들의 아스파토키나제의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효소액을 얻기 위하여 형질전환제를 LB 배지(필요한 경우 가나마이신을 50㎍/ml 첨가)에서 대수증식기까지 키운 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회수하고 적당량의 TEM 완충액(10mM 트리스, 1mM EDTA, 5mM 염화마그네슘 pH 8.0)에 현탁하여 초음파 균체 분쇄기(ultrasonicator)로 균체를 분쇄한 뒤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등액에 포화 황산암모늄 용액을 넣고 혼합한 뒤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얻는다. 이 침전물을 소량의 TEM 완충액으로 녹여 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효소액의 적당량을 0.5ml의 아스파토키나제 반응액(0.1M 트리스 pH 8.0), 10m ATP, 10mM 황산마그네슘, 0.1M 히드록실아민(pH 8.0), 0.4M 황산암모늄, 50mM 칼륨아스파테이트)에 첨가하여 37℃에서 30분-1시간 반응시킨뒤 0.75ml의 반응정지 용액(3.3% 트리클로로아세트산, 10% 염화제 2철 0.7N 염산)을 첨가하고 원심분리한 뒤 상등액의 흡광도를 54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형질전환주의 아스파토키나제의 비효소활성(specific enzyme activity)은 비형질전환주에 비해 약 3-5배 증가하였으며 AEC와 AHV에 의한 효소활성의 저해특성은 숙주세포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가 이들에 의해 공동 저해를 받았으나, 형질전환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pAK12에서는 목적유전자의 출처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CS755 균주의 특성과 동일하게 이들에 의해 저해를 받지 않았다. 자세한 결과는 표 2에 기재하였으며, 단위(Unit)는 단위 시간당 540nm에서 증가된 흡광도로써 표시하였다.
[표 2]
[실시예 3]
형질전환 균주들에 의한 L-라이신의 생산
플라스미드 pAK12로 형질전환하여 얻어진 균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pAK12와 CS755/pAK12 및 에쉐리시아 콜리 TF0601/pAK 균주들을 먼저 전배양으로 가나마이신 50㎍/ml을 포함하는 LB 배지에 한천보존배지로부터 1백금이 식균하여 32℃에서 16시간 200rpm으로 진탕배양기에서 배양하여 이를 종균배양액으로 사용하였다. 다음에 하기조성의 발효배지 50ml을 500ml 진탕플라스크에 분주하여 위의 종균배양액 2ml을 접종하고 32℃에서 48시간 진탕배양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코리네박테리움용 발효배지 : 슈크로오즈 75g/ℓ, 황산암노뮴 20g/ℓ, 효모추출물 5g/ℓ, 요소 4g/ℓ, 염화나트륨 2.5g/ℓ, 황산마그네슘 0.6g/ℓ, 인산2 수소칼륨 0.6g/ℓ, d-비오틴 300㎍/ℓ, 염화티아민 500㎍/ℓ, 황산철 12mg/ℓ, 황산망간 12mg/ℓ,*미량원소액 1ml/ℓ, 탄산칼슘 40g/ℓ ; pH 7.0-8.0. -*미량원소액 : 소디움보레이트 90mg/ℓ, 몰리브덴산암모늄 40mg/ℓ, 황산아연 10mg/ℓ, 황산동 270mg/ℓ, 염화망간 10mg/ℓ, 염화제2철 100mg/ℓ, 염화칼슘 10mg/ℓ.
-에쉐리시아용 발효배지 : 글루코오즈 50g/ℓ, 황산암모늄 15g/ℓ, 인산1수소칼륨 1g/ℓ, 황산마그네슘 0.5g/ℓ, 황산망간 5mg/ℓ, 황산철 5mg/ℓ, 효모추출물 3g/ℓ, 탄산칼슘 30g/ℓ, 필요한 경우 영양 요구성 아미노산 소량첨가, pH 5.5-7.5
[표 3]

Claims (3)

  1. AEC 및 AHV에 내성을 갖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으로부터 클로닝된 아스파토키나제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는 코리네박테리움 및 대장균에서 복제 및 발현이 가능한 발현비히클 pAK12.
  2.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에서 클로닝된 아스파토키나제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는 코리네박테리움 및 대장균에서 복제 및 발현이 가능한 발현비히클로 형질전환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3.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에서 클로닝된 아스파토키나제 유전자를 함유하고 있는 코리네형 글루타메이트-생산 박테리아를 배양배지에 배양하여, 배양액에 L-라이신을 축적하고, 그로부터 L-라이신을 회수함을 특징으로 하는 L-라이신의 제조방법.
KR1019900022966A 1990-12-31 1990-12-31 L-라이신의 제조방법 KR920008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966A KR920008383B1 (ko) 1990-12-31 1990-12-31 L-라이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22966A KR920008383B1 (ko) 1990-12-31 1990-12-31 L-라이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424A KR920012424A (ko) 1992-07-27
KR920008383B1 true KR920008383B1 (ko) 1992-09-26

Family

ID=1930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2966A KR920008383B1 (ko) 1990-12-31 1990-12-31 L-라이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83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424A (ko) 199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8650B2 (en) Microorganism of Corynebacterium genus having enhanced L-lysine productivity and a method of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EP2115135B1 (en) A microorganism of corynebacterium genus having enhanced l-lysine productivity and a method of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US7794990B2 (en) Microorganism of corynebacterium genus having enhanced L-lysine production ability and method of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JPS6279788A (ja) アミノ酸の製造法
JP3369231B2 (ja) 芳香族アミノ酸の製造法
KR900004426B1 (ko) L-티로신의 제조방법
PL183472B1 (pl) Sposób wytwarzania L-aminokwasów
JPH07121228B2 (ja) L−グルタミン酸およびl−プロリンの製造法
KR900004425B1 (ko) L-아르기닌의 제조방법
KR970001238B1 (ko) L-트립토판의 제조방법
US5563052A (en) Process for producing L-tryptophan
JPH0523750B2 (ko)
JP3151075B2 (ja) アラニンの製造法
US4968609A (en) Coryneform bacteria carrying recombinant DNA and a process for producing aromatic amino acids using said bacteria
JPS6291193A (ja) L−スレオニンおよびl−イソロイシンの製造法
JP2000270888A (ja) L−アミノ酸の製造方法
KR900004424B1 (ko) 아미노산의 제조방법
JPS63240794A (ja) L−トリプトフアンの製造法
JP3078312B2 (ja) 物質の製造法
JPS62186795A (ja) アミノ酸の製造法
KR920008383B1 (ko) L-라이신의 제조방법
JPH07121227B2 (ja) L−グルタミン酸の製造法
JPH01160487A (ja) シヤトルベクターpz1、組換えプラミスド、微生物の形質転換法、リシンの製法及びリシン生産性に形質転換した微生物
JPS63105688A (ja) L−フエニルアラニンの製造法
JP2024505267A (ja) L-アミノ酸を生産するコリネバクテリウム属微生物及びこれを用いたl-アミノ酸の生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