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925Y1 - 계기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계기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925Y1
KR920007925Y1 KR2019910019703U KR910019703U KR920007925Y1 KR 920007925 Y1 KR920007925 Y1 KR 920007925Y1 KR 2019910019703 U KR2019910019703 U KR 2019910019703U KR 910019703 U KR910019703 U KR 910019703U KR 920007925 Y1 KR920007925 Y1 KR 9200079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dial
light guide
guide plate
instr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9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까에 쯔까모도
쓰요시 오자끼
다까히로 마스다
히로요시 겐모쓰
Original Assignee
야자끼 소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야자끼 야스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03069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342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68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15721U/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48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15720U/ja
Priority claimed from JP602587U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15719U/ja
Application filed by 야자끼 소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야자끼 야스히꼬 filed Critical 야자끼 소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910019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9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9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계기의 조명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를 채용한 계기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문자판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문자판의 정면도.
제4도는 내지 제9도는 제1도의 문자판의 다른예를 각각 나타내는 단면도.
제10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를 채용한 계기의 단면도.
제1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도광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2도는 제11도중의 일부분의 평면도.
제13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를 채용한 계기의 단면도.
제14도는 제13도중의 일부분의 다른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제15도는 제13도의 일부분의 평면도.
제16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조명장치를 적용한 계기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중의 일부분의 다른 단면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제18도는 종래의 조명장치를 채용한 계기의 첫째 예의 단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문자판의 정면도.
제20도는 제18도의 문자판의 단면도.
제21도는 종래의 조명장치를 채용한 계기의 둘째 예의 단면도.
제22도는 제21도중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23도는 제21도의 도광판의 평면도.
제24도는 종래의 조명장치를 채용한 계기의 셋째 예의 단면도.
제25도는 제24도중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
제26도는 제24도의 도광판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계기케이스 3,3a : 도광판
4,20 : 문자판 5a,5b : 전구
9 : 지침
본 고안은 자동차용 계기등에 사용되기에 호적한 계기 특히 문자판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첫째 예로 차재용(車載用)의 스피드미터, 연료계기등의 계기에 있어서는 계기의 문자판상의 문자, 눈금등의 부분을 투과성, 그 이외의 부분에 투과시킴으로써 문자, 눈금등을 알아볼수 있도록 해왔다.
그러나 투과조명되는 문자, 눈금등의 부분과 그 이외의 부분과의 사이에 큰명암의 차가 생기고 이것이 눈을 피로케한다는 결점이 있었다.
그래서 문자판을 전면측으로 부터도 조명함으로써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도록 한 제18도에 나타낸 바와같은 조명장치가 채용되었다.
즉, 계기케이스(1)의 저부에 고정된 계기내기(內機)(2)에 도광판(3a)을 끼우도록 문자판(4)을 장착하고, 계기케이스(1)의 저부에 설치된 전구(5a)로 부터의 빛을 도광판(3a)의 주변부의 광도입부로부터 도입하여 도광판(3)을 통과시켜 문자판(4)의 배면과 도광판(3a')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으로된 광도출부에 인도하여, 문자판(4)의 투광성을 가진 문자, 눈금등을 통하여 문자판(4)의 전면에 투과시킴과 동시에 광도출부에 배치된 투광성 재료로된 지침의 수광부에 입사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전구(5a)와는 별도로 계기케이스(1)의 저부에 설치된 전구(5b)로 부터의 빛을 상기 도광판(3a)과는 별도로 계기케이스(1) 또는 안단(6)에 설치한 도광판(3b)을 통해서 안단(6)의 입벽(6b)에 뚫은 구멍(6b)까지 인도하고 이 구멍(6b)을 통해서 문자판(3)의 전면에 광을 조사하여 조명하고 있었다.
상기 안단(6)은 계기케이스(1)의 전면 개구부에 설치되어 문자판(4)의 여분의 부분과 계기내기(2)를 보이지 않게하는 마스크 역할을 한다.
이 안단(6)의 전면에는 다시 문자판(4)에의 분진의 부착, 계기케이스(1)내에의 분진의 침입을 막는 겉유리판(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광판(3)의 구멍 및 문자판(4)의 구멍을 통해서 계기내기(2)에서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8)에는 자조식(自照式)지침(9)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전구(5a),(5b)는 계기케이스(1)의 배면에 급전용 배선판(10)을 끼우기 위해 착설된 소케트(11a),(11b)에 각각 장착되어 주위가 어두어지는 야간등에 점등된다.
또한 (12)는 구멍(6b)과 도광판(3b)와의 사이에 배설되어 구멍(6b)을 통해 문자판(4)의 전면에 조사하는 빛을 착색하는 착색필터, (13)은 구멍(6b)을 통해 조사하는 빛이 겉유리판(7)측에 직접새어 차량의 프론트글라스등에 반사하여 운전사의 운전시 전방시계를 막는 것을 방지하는 차광판이다.
상기 문자판(4)은 스피드미터의 경우, 그의 정면은 제19도에 표시한 것처럼 되어 있어, 제20도에 나타낸것같이 투명기부재(4a)위에 유채색 반투명층(4b)과 백색 반투명층(4c)이 차례로 형성됨과 동시에 다시 그의 상면을 문자, 눈금 부분을 제하고 흑색 불투명층(4d)에 의해 덮으므로써, 문자, 눈금이 비조명시에는 백색으로 조명시에는 층(4)의 유채색으로 보이게 되어 있다.
상술한 것처럼 종래의 장치에서는 문자판(4)위의 명암의 차를 적게하기 위해 문자, 눈금부분으로 부터 광이 투과되는 문자판(4)의 전면을 도광판(3b), 착색필터(12)를 사용하여 인도한 전구(5b)로 부터의 빛을 안단(6)의 입벽(6a)의 겉유리판(7)에 가까운 부분에 천설한 구멍(6b)을 통해 조사하고 있기 때문에 도광판(3b), 착색필터(12), 차광판(13)등의 추가부분이 필요하게 되어, 그만큼 부품비, 조립비가 증대하여 코스트상승을 초래하는 외에 이들 추가 부품에 의해 계기가 대형으로 되게 된다.
또한 문자판 전면 조사광에 의해 문자, 눈금등의 투과조명의 효과가 얕아지고, 상품성이 하락하는 외에 문자판 조사광의 일부가 프론트글라스에 입사, 반사하여 운전자에게 현혹감을 주는 등의 결점이 있었다.
종래의 제2의 예로서 차재용의 스피드미터, 타코미터등의 계기에 있어서는 제21도 내지 제23도에 나타낸 것처럼 계기케이스(1)의 저부에 고정된 계기내기(2)의 스테이(2a)에 도광판(3) 및 문자판(4)을 순차로 겹쳐서 나사에 의해 장착하고, 계기케이스(1)의 저부에 설치된 광원(5a) 및 (5b)로 부터의 빛을 도광판(3)의 좌우 양단부의 광도입부(3a1) 및 (3a2)로 부터 도입하여 도광판(3)을 통해서 문자판(4)의 배면과 도광판(3)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원추구멍으로된 광도출부(3b)에 인도하여, 문자판(4)의 투광성 부분을 통해 문자판(4)의 전면에 투과시킴과 동시에 광도출부(3b)에 배치된 투광성 재료로된 지침(9)의 수광부(9a)에 입사시키고 있다.
계기케이스(1)의 전면 개구부에 배설되어 있는 양단(6)은 문자판(4)의 여분의 부분과 계기내기(2)를 보이지 않게하는 마스크 역할을 한다.
이 안단(6)의 전면에는 다시 문자판(4)에의 분진의 부착, 계기케이스(1)내에서 분진의 침입을 막는 겉유리판(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침(9)은 도광판(3)의 광도출부(3a)의 구멍과 문자판(4)의 구멍(4a)를 통해 계기내기(2)로 부터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8)에 부착되어 있다.
광원(5a) 및 (5b)는 계기케이스(1)의 배면에 급전용 배선판(10)을 끼우도록 착설된 소케트(11)에 각각 장착되어 주위가 어두어지는 야간등에 점등된다.
상기 문자판(4)은 그위의 문자, 눈금등의 부분 또는 그 이외의 부분의 한쪽이 투광성, 다른쪽이 비투광성으로 되어, 야간, 도광판(3)에 의해 인도되어 문자판 배면에서 입사된 빛이 문자판의 투광성 부분에서 투광됨에 의해 문자, 눈금등을 알아볼수 있게되어 있다.
한편 지침(9)은 도광판(3)을 통해 광도출부(3b)에 인도되어 광도출부(3b)의 원추구멍을 형성하는 면에서 반사된 빛이 수광부(9a)에 입사됨에 의해 광휘되게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문자판(4)의 배면과 지침(9)의 수광부(9a)에 입사할 빛을 인도하기 위한 도광판(3)에는 제23도에 표시한 것처럼 광도출부(3b)에 빛을 모으기 위해 광도입부(3a1),(3a2)에 곡선상의 반사면(3c)이 형성됨과 동시에 도광판(3)안에 슬리트로된 원호상의 반사면(3d)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문자판(4)을 투과하는 빛의 휘도를 높이기 위해 표면 또는 이면 또는 양면의 적당한 개소에 난반사용의 도톨도톨부(3e)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반사면(3c),(3d)의 존재에 의해 도광판(3)전체에 문자판(4)을 투과시키기 위한 빛을 돌릴수가 없어 문자판(4)의 투광조명이 균일히 행해지지 않게 되기도 하고, 도톨도톨부(3e)의 존재에 의해 광도출부(3b)에의 지침조명용의 빛이 감소하여 지침을 효과적으로 광휘시킬수 없게 되었다.
즉 지침(9) 및 문자판(4)에의 도광의 양립이 곤란하여 결과적으로 언발란스한 조명이 되었었다.
종래의 제3의 예로는 차재용의 스피드미터, 타코미터등에 계기에 있어서는 제24도 내지 제26도에 표시하는 것처럼 계기케이스(1)의 저부에 고정된 계기내기(2)의 스테이(2a)에 도광판(3) 및 문자판(4)을 순차 겹쳐서 나사에 의해 부착하고 계기케이스(1)의 저부에 설치된 광원(5a),(5b)로 부터의 광을 도광판(3)의 좌우 양단부에 광도입부(3a1),(3a2)로 부터 도입하여 도광판(3)을 통해서 문자판(4)의 배면과 도광판(3)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원추구멍으로된 광토출부(3b)와에 인도하여, 문자판(4)의 투광성 부분을 통해 문자판(4)의 전면에 투과시킴과 동시에 광도출부(3b)에 배출된 투광성 재료로된 지침(9)의 수광부(9a)에 입사시키고 있다.
계기케이스(1)의 전면 개구부에 설치되어 있는 양단(6)은 문자판(4)의 나머지 부분과 계기내기(2)를 보이지 않게하는 마스크의 역할을 한다.
이 안단(6)의 전면에는 다시 문자판(4)에의 먼지의 부착, 계기케이스(1)내에의 먼지의 침입을 막는 겉유리판(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침(9)은 도광판(3)의 광도출부(3a)의 구멍과 문자판(4a)를 통해서 계기내기(2)로 부터 돌출되어 있는 회전축(8)에 부착되어 있다.
광원(5a),(5b)은 계기케이스(1)의 배면에 급전용 배전판(10)을 끼우도록 부착된 소케트(11)에 각각 장착되어, 주위가 어두어지는 야간등에 접등된다.
상기 문자판(4)은 그위의 문자, 눈금등의 부분 또는 그외의 부분의 한쪽이 투광성, 다른쪽이 비투광성으로 이루어지고, 야간 도광판(3)에 의해 인도되어 문자판 배면측에서 입사된 빛이 문자판의 투광성 부분에서 투과됨에 의해 문자, 눈금등을 알아볼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지침(9)은 도광판(3)을 통해 광토출부(3b)에 인도되어 광토출부(3b)의 원추구멍을 형성하는 면에서 반사된 빛이 수광부(9a)에 입사됨에 의해 광휘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도광판(3)은 그의 광도입부(3a1),(3a2)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전표면이 문자판(4)과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도광판(3)을 통해 문자판(4)의 배면에 입사되는 빛은 도광판(3)과 문자판(4)과의 접촉면에서 강하나, 비접촉부에서 약해져 있다.
한편 도광판(3)을 거치지 않고 광원(5a),(5b)으로 부터의 빛이 계기케이스(1)의 내부면에서 반사되어 문자판(4)의 배면에 입사되는 빛은 도광판(3)과 문자판(4)의 비접촉부에서 강하나 접촉부에서는 거의 얹어진다.
또한 이 계기케이스(1)에 의한 반사광은 도광판(3)과 문자판(4)과의 사이의 틈이 작은데 까지는 충분히 이루지 못하고, 이 때문에 문자판(4)에 입사하는 빛은 도광판(3)과 문자판(4)과의 접촉부와 비접촉부와이 경계선에 가까워짐에 따라 약해진다.
이 때문에 문자판(4)의 배면에 입사하는 합성광은 도광판(3)과 문자판(4)과의 접촉 경계에 따라서 약해져있다.
이러한 현상은 문자판(4)위의 투광성 부분이 도광판(3)과 접촉해 있는 면에만 있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으나, 투광성 부분이 도광판(3)과의 접촉부와 비접촉부에 걸쳐서 존재하는 경우에는 문자판(4)의 투광성 부분에 명암이 생겨 투광조명이 균일히 행해지지 않게 된다. 특히, 전면이 투과조명되도록 이루어진 문자판(4)에 있어서는 제26도에 표시한것 같은 빗살상의 암부(4b)가 문자판(4)에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암부가 되는 부분에 가까운 도광판 면에 도톨도톨부, 즉 난반사용 요철을 둔다던지, 암부가 되는 문자판 부분의 배면에 난반사용의 백색인쇄를 함에 의해 어느정도 해소할수 있으나, 이러한 수단으로는 코스트가 상승하고 또한 효과가 충분히 없거나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첫째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것의 결점을 감안하여 다수의 추가부품을 사용하여 문자판 전면에 빛을 조사함이 없이, 문자판의 문자, 눈금등의 부분과 그외의 부분과의 사이의 명암의 차를 적게하여 눈에 피로를 생기지 않게한 계기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둘째 목적은 문자판을 균일하게 조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지침을 효율좋게 광위시킬수 있는 계기의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셋째 목적은 문자판을 투과조명하기 위한 문자판 배면에의 입사광선을 간단한 수단에 의해 전면에 걸쳐 대략 균일히 할수 있는 계기의 조명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첫째 목적을 달성키 위해 본 고안의 일 구체예에 의해 이루어진 장치는 이면에 입사되어 전면에 투과된 빛에 의해서 문자판을 조명하는 계기의 문자판 조명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문자판의 문자, 눈금등 이외의 부분을 투광성으로 형성하고 이 투광성 부분을 투과한 빛에 의해서 문자판 전면을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자, 눈금등에 비해 큰 면적의 부분이 투과성으로 되어 있어 그부분을 투과한 빛에 의해서 문자판 전면이 조명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판 전면을 조명하기 위해 문자, 눈금등만에 빛을 투과시키고 있는 종래의 것에 비해 약한 빛으로 충분한 조명 효과를 얻을수 있어 눈의 피로를 수반함이 없이 시각적 인식성이 좋은 조명을 행할수 있다.
상기 첫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안의 타 구체예에 의해 이루어진 장치는 투과성 재료로되고 주변부에 형성된 광도입부와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광도출부를 가진 도광판의 전면에 문자판을 설치하고, 후면에 투과성 재료로된 지침을 구동하기 위한 지침 구동부를 부착하고, 상기 광도출부에 상기 지침 구동부의 지침축을 관통시킴과 동시에 상기 지침의 수광부를 배치하여, 상기 도광판의 광도입부에 광원으로부터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의 적어도 문자, 눈금등 이외의 부분을 투과성으로 형성하고, 이 투과성 부분을 투과한 빛에 의해서 문자판 전면을 조명하고, 상기 도광판의 광도입부는 공원으로 부터의 빛을 상기 광도출부에 집광하는 곡면과 광원으로 부터의 빛을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 확산하는 곡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문자, 눈금등에 비해 큰 면적의 부분이 투과성으로 되어 있어, 이 부분을 투과한 광에 의해 문자판 전면이 조명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문자판 전면을 조명하기 위해 문자, 눈금등만에 빛을 투과시키고 있는 종래의 것에 비해, 약간 빛으로 충분한 조명효과를 얻을 수 있어 눈의 피로를 수반함없이 알아보기 좋은 조명을 행할수 있다.
또한, 도광판의 공도입부가 광원으로 부터의 빛을 광도출부에 도광하는 곡면과 광원으로 부터의 빛을 도광판의 전면에 확산하는 곡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지침의 광휘를 손실함없이 문자판면의 균일한 조명이 가능해진다.
상기 두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해 된 계기의 조명장치는 광원으로 부터의 빛을 도광판에 의해 도광하여 문자판의 투광성 부분을 투과시켜 문자판의 전면을 투과 조명함과 아울러 투광성 재료로된 지침의 수광부에 입사하여 지침을 광휘시키도록 한 계기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이 광원으로 부터의 빛을 문자판의 전면에 균일히 확산하여 도광하는 문자판 조명을 도광판과 이 문자판 조명용 도광판과 별체로 형성되고 광원으로부터 빛을 지침의 수광부에 대응하는 광도출부에 집광하도록 도광하는 지침조명용 도광판과로 된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문자판 조명용의 빛과 지침조명용의 빛이 각각 독립별체의 도광판의 의해 목적에 맞는 도광이 가능해지고, 문자판의 균일하고 얼룩없는 조명과 지침의 고휘도 조명이 도시에 행해지게 된다.
상기 셋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이루어진 계기의 조명장치는 문자판을 도광판과의 사이에 틈을 형성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문자판의 배면에 도광판에 의해 도광된 빛과 계기케이스의 내벽면에 의해 반사된 빛과의 합성광이 배면 전면에 걸쳐 균일히 입사되게 되어, 문자판의 투광성 부분의 투과조명에 암부가 생기지않게 된다.
(실시예 1)
이하 본 고안의 상기 첫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구체예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에 기준하여 설명하겠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계기의 문자판 조명장치를 나타내고, 도면 가운데, 제18도에 대해서 상술한 것과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쳤다.
제1도에 있어서, 20은 본 고안에 의해 적어도 문자, 눈금등의 부분 이외의 부분이 투광성을 갖도록 구성된 문자판이고, 이 문자판(20)의 사용에 의해 제18도에 대해 상술한 게기에 있어서의 도광판(3b), 전구(5b), 안단(6)의 구멍(6b), 착색필터(12), 차광판(13)이 폐지되어 있다.
제2도 및 제3도는 문자판(20)의 1실시예를 나타낸다.
제2도에 있어서, 20a는 스모크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등으로된 흑색 반투명기부재, 20b는 기부재(20a)의 표면측의 일부분에 인쇄에 의해 형성된 유채색 반투명층 20c는 유채색 반투명층(20b)위에의 중쇄에 의해 형성된 백색 반투명층, 20d는 백색 반투명층(20c)의 위에 그보다 한둘레 크고 또한 제3도에 표시한 것처럼 문자, 눈금등의 부분을 남기고 중쇄해서 형성된 흑색 불투명층, 20e는 기부재(20a)의 이면측에 표면측의 유채색 반투명층(20b), 백색 반투명층(20c)에 대응하는 부분을 남기고 인쇄에 의해 전면에 형성된 유채색 반투명층이다.
이상의 문자판 구조에 의해, 주간은 흑색 불투명층(20d)으로 둘러싸여 문자판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백색반투명층(20a)에 의해 문자, 눈금등이 백색으로 보이고, 문자, 눈금등 이외의 부분은 흑색 불투명층(20d) 및 흑색 반투명기부재(20a)에 의해 흑색으로 보인다. 여기에 의해 야간은 점등한 전구(5a)로 부터의 빛이 도광판(3a)에 의해 도광되어 문자판(20)의 이면에 입사됨에 의해, 문자, 눈금등은 흑색 반투명한 기부재(20a), 유채색 반투명층(20b), 백색 반투명층(20c)을 투과한 빛의 색으로 보이고 문자, 눈금이외의 부분은 유채색 반투명층(20e) 및 흑색 반투명한 기부재(20a)를 투과한 빛의 색으로 보인다.
또한 흑색 불반투명층(20d)은 야간 빛이 투과되었을 때 문자, 눈금등의 윤곽부분이 2가지의 유채색 반투명층(20b),(20e)의 색의 혼합에 의해 선명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흑색 불투명층(20d)에는 문자판(20)의 이면으로 부터의 유채색 반투명층(20e) 및 (20b)의 조광(調光)때문에, 백색, 회색, 흑색 그물점등의 인쇄물 하는데 그때 흑색 불투명층(20d)의 범위에서 다른 조광색을 랩 또는 분리시킴에 의해 투과광의 얼룩을 알아 볼수 없게 된다.
다시, 흑색 불투명층(20d)은 겉쪽에 인쇄하는 백색 반투명층(20c), 유채색 반투명층(20b)과 뒤쪽에 인쇄하는 유채색 반투명층(20e)과의 인쇄의 어긋남에 의해 문다, 눈금둘레의 유채색 반투명층(20e)을 통과하지 않은 밝은 투과광을 방지한다.
제4도 내지 제9도는 문자판(2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제2도에 대해서 상술한 각층과 동일한 것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제4도의 문자판(20)에 있어서는 기부재(20a)의 겉쪽의 전면에 유채색 반투명층(20b)과 백색 반투명층(20c)을 차례로 인쇄에 의해 형성하고, 다시 그 위에 문자, 눈금등의 부분을 남기고 유채색 반투명층(20e)을 인쇄에 의해 형성하고 있다. 이 예의 경우, 기부재(20a)는 반투명, 투명, 어느것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문자판(20)으로 주간은 문자, 눈금등은 백색으로 문자, 눈금등 이외는 층(20e)의 유채색으로 각각 보인다. 여기에 대해 야간은 문자, 눈금등은 백색과 층(20b)의 채색과의 혼합색으로 문자, 눈금등 이외는 층(20b),(20c),(20e)의 색의 혼합색으로 각각 보인다.
이 예에는 제2도의 흑색 불투명층(20d)이 없으나, 이것은 유채색 반투명층(20b),(20e)이 모두 기부재(20a)의 한쪽면에 배설되어 서로 접근해 있기 때문에, 양층의 유채색의 혼합색이 문자, 눈금등의 부분에 배어나옴이 없기 때문이다.
제5도의 문자판(20)에서는 유채색 반투명층(20b)과 백색 반투명층(20c)이 문자판(20)의 겉쪽 전면이 아니고 문자, 눈금등과 그의 주변부에만 형성되어 이들 위의 문자, 눈금등의 부문을 제하고 겉쪽 전면에 유채색 반투명층(20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는 야간에는 문자, 눈금등 이외의 부분의 색이 유채색 반투명층(20e)과 기부재(20a)의 혼합색으로 되는 이외는 제4도의 예와 거의 같다.
제6도의 문자판(20)에서는 제5도의 유채색 반투명층(20b)를 기부재(20a)의 뒤쪽 전면에 형성하고 있다.
제7도의 문자판에서는 기부재(20a)를 투명으로 하고, 층(20b),(20c) 및 (20e)의 모두를 기부재(20a)의 뒤쪽에 형성하고 있다.
예컨대 제6도에 예에 있어서, 유채색 반투명층(20b)을 블루, 유채색 반투명층(20e)을 앰버로 하면, 주간은 문자, 눈금등은 백색으로 그 이외는 앰버로 각각 보이나, 야간에는 문자, 눈금등은 볼투로 그 이외는 볼투와 앰버의 혼합색인 적색으로 각각 보인다.
제9도의 문자판에서는 기부재(20a)를 흑색 반투명한 재료로 형성하며, 주간은 문자, 눈금을 흑색으로 표시하고, 야간에는 문자, 눈금을 유채색(20b)에 의한 투과색으로 기타의 면을 유채색층(20e)과 백색층(20c)의 혼합색으로 각각으로 해서 표시한다.
또한, 상술의 실시예에서는 야간에는 문자, 눈금등과 그 이외은 부분에서 빛이 투과하도록 되어 있으나, 제8도에 나타내는 것처럼 문자, 눈금등을 형성하는 백색층(20c)의 아래에 불투명층(20d)을 배설하여 문자, 눈금등을 불투광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문자, 눈금등 이외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이들 부분을 투과한 광에 의해 문자, 눈금등을 알아볼 수가 있다.
(실시예 2)
이하 본 고안의 상기 첫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타구체예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준하여 설명하겠다.
제10도는 본 고안에 의해 계기의 조명장치를 표시하고, 도면중, 제18도에 대해 상술한 것과 동등한 부분에는 동일의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10도에 있어서, 20은 문자, 눈금등의 부분 이외의 부분이 투과성을 갖도록 구성된 문자판이고, 이 문자판(20)의 사용에 의해 제18도에 대해서 상술한 계기에 있어서의, 도광판(3b), 전구(5b), 안단(6)의 구멍(6b), 착색 필터(12), 차광판(13)이 폐지되어 있다.
문자판에 관한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와 같다. 즉 제2도 내지 제9도의 도면 및 그들에 대한 실시예 1의 기재는 본실시예와도 그대로 사용된다.
제11도는 도광판(3a)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제12도는 제11도중의 일부분의 평면도이고, 도광판(3a)에는 그의 주변부 한쪽 가장자리에 광도입부(3a-1)가 형성되고, 대략 중앙에 원추 구멍으로된 광도출부(3a-2)가 형성되어 있다. 광도입부(3a-1)는 광원(5a)과 대향한 광도입면을 갖고 있고, 이 광도입면은 광원(5a)의 방향으로 돌출한 제1의 곡면(3a-11)과 광원(5a)(5a')을 중심으로 하는 등축원 또는 이것과 비슷한 곡선의 일부에 의해 상기 제1의 곡면(3a-11)의 양측에 형성된 제2의 곡면(3a-12)으로 되어 있다.
제1의 곡면(3a-11)은 광원(5a)과 광도출부(3a-2)를 잇는 선상에 있고, 이 제1의 곡면(3a-11)에 광원(5a)에서 입사된 빛은 이 곡면(3a-11)의 볼록렌즈 작용에 의해 광도출부(3a-2)에 집광된다.
한편, 제2의 곡면(3a-12)에 광원(5a)으로 부터 입사된 빛은 이 곡면(3a-12)의 오목렌즈 작용에 의해 도광판(3a)의 전면에 균일하게 확산된다. 이상에 의해, 광도출부(3a-2)에는 많은 빛이 집중하고, 광도출부(3a-2)의 원추상 반사면(3a-2')에 의해 반사되어 수광부에 입사된 빛에 의해서 지침(9)이 고휘도 조명되게 됨과 동시에, 도광판(3a)의 전면에 균일하게 확산된 빛에 의해 문자판(4)의 전면이 얼룩없이 균일하게 투과 조명되게 된다.
(실시예 3)
이하, 상기 본 고안의 둘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계기의 조명장치의 일실시예를 제13도 내지 제15도에 기준하여 설명하였는데, 도면중 제21도 내지 제23도에 대해서 상술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도광판(3)은 문자판 조명용 도광판(13)과 지침 조명용 도광판(23)과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문자판 조명용 도광판(13)은 그 좌우 양단부가 아래 쪽으로 굴곡되어 광도입부(13a1),(13a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광도입부에는 계기케이스(1)의 저부에 설치된 광원(5a),(5b)이 각각 대향되어 광원(5a),(5b)로 부터 빛이 도입된다.
광도입부(13a1),(13b2)에 도입된 빛는 도광판(13)안에 균일히 확산되어 진행하여, 문자판(4)의 크기와 대략 같은 크기의 도광판(13)의 표면으로 부터 문자판(4)의 배면에 입사된다.
또한 도광판(13)의 외주면은 반사면으로서 작용하여 도광판(13)내에서의 빛의균일한 확산을 모우고 있다.
한편, 지침 조명용 도광판(23)로 문자판 조명용 도광판(13)과 마찬가지로 그 좌우 양단부가 아래로 굴곡되어 광도입부(13a1),(13b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광도입부에도, 광원(5a),(5b)이 각각 대향되어 광원(5a),(5b)부터의 빛이 도입된다. 도광판(23)은 또한 광원(5a),(5b)로 부터 광도입부(13a1),(13b2)에 입사된 빛을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원추구멍으로된 광도출부(23b)에 효율적으로 집광하도록, 예컨대 광원(5a) 및 (5b)의 위치와 광도출부(23b)를 각각 초점으로 하는 2개의 타원을 오버랩시킨 외형을 갖는다.
광도출부(23b)에 집광된 빛은 원추구멍에 의해 형성된 원추상의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23)의 표면으로 부터 외부에 방출된다.
이 방출광은 도광판(13) 및 문자판(4)의 대략 중앙부에 각각 형성된 구멍(13b) 및 (4a)를 통해 지침(9)의 수광부(9a)에 입사된다.
그래서, 도광판(13) 및 (23)그리고 문자판(4)은 계기내기(2)의 스테이(2a)상에 순차 겹쳐서 나사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광판(13)의 배면과 도광판(23)의 표면이 직접 접촉하여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양자간에 약간의 틈이 형성되어 있는 편이 좋다.
이 처럼 함으로써 도광판(13) 및 (23)사이에 빛의 돌아 빠짐이 적어져 각 도광판에 인도된 빛을 각각의 목적에 유효하게 이용할수 있다.
또한 23c는 광도출부(23b)을 구성하고 있는 원추구멍에 따라 도광판(23)의 배면축에 원호상으로 돌설된 돌기이다.
이 돌기(23c)는 광원(5a),(5b)로 부터의 빛이 도광판(23)을 거치지 않고 직접 원추구멍내에 들어와 원추구멍과 회전축(8)과의 사이에 틈에서 문자판(4)의 표면에 누출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야간처럼 주위가 어두어지고 라이팅스위치에 의해 광원(5a),(5b)이 점등되면, 광원(5a),(5b)로 부터의 빛이 도광판(13),(23)의 광도입부(13a1),(13a2) 및 (13a1) 및 (13a2)에 각각 입사된다.
광도입부(13a1),(13a2)에 입사된 빛은 도광판(13)을 통해서 그 전체에 균일하게 확산되어 문자판(4)의 배면을 균일히 비친다. 이럼에 의해 문자판(4)의 투광성 부분을 빛이 투과하여 문자판(4)의 전면에 이르고, 문자판(4)의 전면이 조명한다.
이때 문자판(4)의 전면에 투과하는 빛의 세기는 투과성 부분의 각부에서 균일해지고, 조명에 얼룩이 생김이 없이, 문자판(4)의 전면(全面)을 투과 조명하는 조명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특히 유효할 뿐만 아니라, 문자, 눈금만을 투과조명하도록 되어 있는 것에 있어서도 문자, 눈금 상호간의 밝기를 균일하게 할 수 있어서 유효하다.
한편, 광도입부(23a1),(23a2)에 입사된 빛은 도정판(23)을 타원상 외측연의 반사면에 의해 반사된거나 하여 광도출부(23b)에 효율적으로 집관된다.
광도출부(23b)에 집광된 빛은 광도출부(23b)의 원추상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어 도광판(23)의 표면으로 부터 도광판(13)의 구멍(13b) 및 문자판(4)의 구멍(4a)을 통해서 지침(9)의 수광부(9a)에 입사된다.
수광부(9a)에 입사된 빛은 지침(9)전체를 고휘도로 조명한다.
문자판에 관한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의 것과 같다.
즉, 제2도 내지 제9도의 도면 및 그들에 대한 실시예 1의 기재는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쓰인다.
(실시예 4)
이하, 본 고안의 제3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기의 조명장치의 일실시예를 제16도 내지 제17도에 기준하여 설명하는데, 제24도 내지 제26도에 대해 상술한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면에 있어서, 도광판(3)에는 문자판(4)과 대향하는 면에 복수개의 포스트(3c)가 돌설되고, 이 포스트(3c)위에 문자판(4)이 재치되어 있다.
포스트(3c)와 이 포스트위에 실려 있는 문자판(4)의 부분에는 나사(15)를 삽통하기 위한 구멍이 뚫려 있고, 이 구멍에 나사(15)를 삽통하여 계기내기(2)의 스테이(2a)에 나합함에 의해 도광판(3)과 문자판(4)을 계기내기(2)의 스테이(2a)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도광판(3)과 문자판(4)과의 사이에는 포스트(3c)의 높이 만큼의 틈(G)이 형성한다.
이 틈(G)의 크기는 광원(5a),(5b)으로 부터 발사되어 계기케이스(1)의 내벽면에 의해 반사된 빛이 이 틈(G)을 통해 충분히 속까지 진입할 수 있고, 또한 광원(5a),(5b)로 부터 도광판(3)에 도입된 빛이 문자판(4)의 배면에 입사될수 있는 정도로 되어 있다.
따라서, 문자판(4)의 배면은 계기케이스(1)의 내벽면에서 반사된 빛과 도광판(3)에 의해 도광된 빛에 의해 대략 균일하게 비치게 되어, 문자판(4)의 투광성 부분을 투과한 빛에 명암이 생기는 수가 없다.
또한, 상기 틈(G)에 의해 도광판(3)의 광도출부(3b)와 지침(9)의 수광부의 거리가 멀어져 지침(9)에의 광도입 효율이 저하함이 없도록 도광판(3)에는 광도출부(3d)의 부분에서 문자판(4)의 배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광안내로(3d)가 설치되어 있다.
이 광안내로(3d)의 선단은 문자판(4)의 구멍(4a)에 면해 있다.
따라서, 상기 틈(G)을 마련함으로써 지침(9)에의 입사광이 감소하고 지침조명이 손실됨이 없다.
문자판에 관한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와 같다. 즉 제2도 내지 제9도의 도면 및 그들에 대한 실시예 1의 기재는 본 실시예에도 그대로 쓰인다.
본 고안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문자, 눈금등 이외의 부분이 투과성을 가져, 야간 이 투과성을 가진 큰 면적의 부분을 투과한 광에 의해 조명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 처럼 문자, 눈금등만을 투과하는 빛에 의해서 조명 행하는 것에 비해 눈의 피로가 생기지 않게되고, 더구나 종래의 앞면 조명을 겸용하는 것에 비해 부품수가 적고 그 만큼 계기의 코스트 다운 및 소형화를 꾀할수 있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둘째로,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광도입부에 2종류의 곡면을 형성하여, 그의 하나에 의해 광원으로 부터의 빛을 광도출부에 집중하고 다른 하나에 의해 광원으로 부터의 빛을 도광판의 전면에 확산하고 있기 때문에 지침을 고휘도 조명함과 동시에 문자판의 전면을 얼룩없이 균일하게 투과조명할수 있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셋째,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고안에 의하면, 목적을 달리하는 문자판 조명용과 지침용 조명용과의 독립별체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목적에 맞는 도광판으로 할 수 있고, 문자판 투과광의 균일화, 지침조명의 휘도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어, 계기의 상품성의 대폭적 향상에 극기 유효하다.
넷째,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도광판과 문자판과의 사이에 틈이 있기 때문에, 문자판의 배면에는 계기케이스 내벽면에 의한 반사광과 도광판에 의해 도광된 빛과의 합성광이 대략 균일하게 입사되도록 되어 문자판의 투광성 부분의 투과 조명이 간단히 균일하게 얼룩없이 행해질 수 있고, 계기의 상품성의 대폭적 향상에 극히 유효하다.

Claims (4)

  1. 투광성 재료로 되어 있고 광도입부와 광도출부를 가진 도광판의 앞면에 문자판(20)을 배설하고, 뒷면에 투과성 재료로된 지침(9)을 구동하기 위한 지침 구동부(2)를 설치하고, 상기 도광판의 광도입부에 광원(5a)으로 부터의 빛을 도입하여 상기 문자판(20)과 지침(9)의 내부조명을 행하는 계기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20)의 문자, 눈금등 이외의 부분을 문자, 눈금등과는 다른 색의 유채색 반투명층(20a, 20b, 20e)으로 형성하고, 이 부분을 투과한 빛에 의해서 문자판 전면(앞면)을 조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의 문자판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의 광도입부는 광원으로 부터의 빛을 상기 광도출부에 집광하는 곡면(3a-11)과 광원으로 부터의 빛을 상기 도광판의 전면에 확산하는 곡면(3a-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의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이 광원으로 부터의 빛을 문자판의 배면(背面)전면에 균일하게 확산하여 도광(導光)하는 문자판 조명용 도광판(13)과, 이 문자판 조명용 도광판과는 별도로 형성되고 광원으로 부터의 빛을 투광성 재료로된 지침(9)의 수광부에 대응하는 광도출부에 집광하도록 도광하는 지침 조명용 도광판(23)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의 조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판을 상기 도광판의 사이에 틈(G)을 형성하도록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기의 조명장치.
KR2019910019703U 1986-02-17 1991-11-16 계기의 조명장치 KR9200079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9703U KR920007925Y1 (ko) 1986-02-17 1991-11-16 계기의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6-30699 1986-02-17
JP61030699A JPH083428B2 (ja) 1986-02-17 1986-02-17 計器の文字板照明装置
JP602687U JPS63115721U (ko) 1987-01-21 1987-01-21
JP87-6026(U) 1987-01-21
JP602487U JPS63115720U (ko) 1987-01-21 1987-01-21
JP87-6025(U) 1987-01-21
JP87-6024(U) 1987-01-21
JP602587U JPS63115719U (ko) 1987-01-21 1987-01-21
KR870001302A KR870007803A (ko) 1986-02-17 1987-02-17 계기의 조명장치
KR2019910019703U KR920007925Y1 (ko) 1986-02-17 1991-11-16 계기의 조명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70001302A Division KR870007803A (ko) 1986-02-17 1987-02-17 계기의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7925Y1 true KR920007925Y1 (ko) 1992-10-22

Family

ID=27547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9703U KR920007925Y1 (ko) 1986-02-17 1991-11-16 계기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9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1368A (en) Meter dial illuminating device
US4875433A (en) Illumination meter dial device
EP1258712B1 (en) Meter for vehicle
KR970000113B1 (ko) 조광손잡이 장치
KR20030047868A (ko) 조명장치
US4845595A (en) Meter device for vehicle
US10260917B2 (en) Structure of scale graduation and vehicle instrument
JP2000205897A (ja) メ―タ装置の照明構造
KR920007925Y1 (ko) 계기의 조명장치
JP3714640B2 (ja) 計器装置
JPH05248896A (ja) 指示計器
JP3456258B2 (ja) 計器用指針
JP2005300361A (ja) 車両用指針計器
JPH0996551A (ja) 発光指針
JP2004226363A (ja) 車両用計器
JPS62190416A (ja) 計器の文字板照明装置
KR0132764Y1 (ko) 자동차 계기류의 지침 조명장치
JPH07218296A (ja) 指針照明装置
JP2645234B2 (ja) 計器の文字板照明装置
JPH0922263A (ja) 表示装置
JPH04120990U (ja) 透過照明式表示板
CA1285918C (en) Meter dial illuminating device
JPS6085326A (ja) 車両用計器類における照明装置
JP3052868B2 (ja) 計器照明装置
JPH03486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