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910Y1 - 자동차용 후사 경의 절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사 경의 절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910Y1
KR920007910Y1 KR2019900021092U KR900021092U KR920007910Y1 KR 920007910 Y1 KR920007910 Y1 KR 920007910Y1 KR 2019900021092 U KR2019900021092 U KR 2019900021092U KR 900021092 U KR900021092 U KR 900021092U KR 920007910 Y1 KR920007910 Y1 KR 920007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housing
rearview mirror
folding device
view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210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812U (ko
Inventor
김하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전성원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000210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910Y1/ko
Publication of KR9200118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8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9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7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yieldable to excessive external force and provided with an indexed us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후사 경의 절첩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후사경 절첩장치의 횡 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후사경 절첩장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플레이트 11 : 하우징
12 : 부라켓트 13 : 회동판
16 : 반송부 20 : 스프링
본 고안은 자동차용 후사경의 절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유효길이를 최대화하여 영구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공간활용도를 높이고, 노이즈를 최대한 억제함으로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후사경의 절첩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설치되는 후사경은 선적시등에 점유공간을 최소화시키고, 또 차체의 돌출부위가 주위물체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첩하도록 하고 있더.
제2도는 종래의 후사경 구성을 나타내는 측 단면도로서, 차체에 고정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와 이 베이스 플레이트(1)에 전, 후 절첩이 가능한 하우징(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하우징(2)의 내측에는 브라켓트(3)에 힌지결합된 회도판(4)이 위치하여 있으며, 이 회동판(4)에 플레이트(5)가 직교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플레이트(5)의 자유단측에는 스프링(6)의 일측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6)의 타측단은 부라켓트(3)에 고정되어 인장상태를 이루고 있다.
도면에서 부호(7)는 후사경(8)을 보전시키는 홀더를 지칭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후사경은 하우징(2)을 접게되면 스프링(6)이 신장하게 되는데, 이때 스프링(6)의 신장이 탄상한도를 넘게되면 스프링(6)은 소성변혁을 일으켜 스프링으로서의 기능을 잃게된다.
그리고 플레이트(5)가 회동판(4)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착하증이 불균일하게 분포되어 주행중 떨림이 발생하여 노이즈 발생의 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프링 변형에 따른 절첩기능의 상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장착하중을 균일하게 분포시켜 제품의 신뢰도를 높이고, 주행중 떨림현상에서 오는 노이즈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사경의 절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우징내에 반송부를 갖는 회동판을 설치하고, 이 반송부를 중심으로 감겨지는 스프링의 양끝단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고정된 부라켓트의 상하단에 각각 연결하여 구성되는 후사경의 절첩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후사경 절첩장치의 횡단면도로서, 부호(10)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지칭한다.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10)에는 하우징(11)이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11)의 절첩은 브라켓트(12)와 하우징내에 설치된 회동판(13)이 힌지결합됨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회동판(13)은 부라켓트(12)에 나사결합등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부(14)와, 이 고정부(14)로 부터 길이방향으로 신장된 삽입돌기부(15)를 갖고 있다.
상기한 부라켓트(12)중간에는 연결고리(1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보면 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부라켓트(12)의 위 아래에는 연결고리(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연결고리(18)에는 링크(19)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링크(19)에는 스프링(20)이 끝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이 스프링(20)은 반송부(16)를 감싸는 상태로 되면서 홈(17)에 위치하여 왔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부라켓트(12)의 양측단에 스프링(20)은 반송부(16)를 감싸는 상태로 되면서 홈(17)에 위치하여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부라켓트(12)의 양측단에 스프링(20)이 연결되고, 회동판(13)및 연결부지(15)가 하우징(11)의 무게중심에 위치하여 있기 때문에 이들 부품의 장착하중이 균일하게 분포된다.
그리고 1개의 스프링(10)이 하우징(11)내에서 반송부(16)를 돌아오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20)의 유효감김수가 많아져 어떠한 상태로 절첩이 되어도 스프링(20)의 인장이 탄성한도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설며안 바와같이 본 고안의 후사경 절첩장치는 장착하중이 균일하게 분포되기 때문에 주행중 떨림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스프링의 길이가 극대화되었기 때문에 절첩시 발생하는 스프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도를 높일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베이스 플레이트에 하우징이 절첩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후사경에 있어서, 상기한 하우징(11)의 내측에 반송부(16)를 보유하는 회동판(13)이 설치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0)내에 고정된 부라켓트(12)의 상하단에 스프링(20)의 양끝단이 고정됨과 아울러 이 스프링(20)의 중간부위가 반송부(16)에 인장되어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사경의 절첩장치.
KR2019900021092U 1990-12-27 1990-12-27 자동차용 후사 경의 절첩장치 KR920007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1092U KR920007910Y1 (ko) 1990-12-27 1990-12-27 자동차용 후사 경의 절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21092U KR920007910Y1 (ko) 1990-12-27 1990-12-27 자동차용 후사 경의 절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812U KR920011812U (ko) 1992-07-24
KR920007910Y1 true KR920007910Y1 (ko) 1992-10-22

Family

ID=19307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21092U KR920007910Y1 (ko) 1990-12-27 1990-12-27 자동차용 후사 경의 절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91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812U (ko) 1992-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4464A (en) Vibration suppression apparatus for steering wheel with air bag
WO1998011362A3 (de) Federanordnung zur lagerung eines an einem trägerteil befestigten vibrations- oder stossempfindlichen gerätes in einem gehäuse
AU5056190A (en) Torsional spring tensioner with stabilizer
KR920007910Y1 (ko) 자동차용 후사 경의 절첩장치
CA2027961A1 (en) Support for an external rearview mirror for motor vehicles
ES2285198T3 (es) Accionamiento de tambor con dispositivo de amortiguacion para amortiguar vibraciones.
US5823587A (en) Bumper system for vehicles having bumper supporters
CA2065590A1 (en) Vibration dampened dual mirror apparatus for a vehicle
KR0120107Y1 (ko) 차량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스프링폴딩 장치
JPH0997652A (ja) 可動コネクタの回転防止構造
KR0138335Y1 (ko) 진동 감쇠형 버스 백미러 브라켓
KR200170301Y1 (ko) 자동차용 실외후사경조립구조
KR19990050295A (ko) 자동차의 에이비에스 고정 브래키트 지지장치
KR200155197Y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RU2147533C1 (ru) Держатель зеркала
KR930000323A (ko) 자동차의 콘솔복스
KR0119215Y1 (ko) 자동차의 엔진장착 구조
KR950006474Y1 (ko) 자동차용 절첩식 컵 홀더
KR200153504Y1 (ko) 완충형 벨트 가이드
KR19980051612A (ko) 에어백 커버 체결구조
KR200150874Y1 (ko) 와이어링 고정 프로텍트
KR970065008A (ko) 자동차의 스태빌라이저
KR200178450Y1 (ko) 가변식 연료탱크밴드
KR200160023Y1 (ko) 케이블 및 와이어링 고정용 더블 클립 어셈블리
KR970046869A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6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