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737Y1 -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자동 입력선택회로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자동 입력선택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737Y1
KR920007737Y1 KR2019890016929U KR890016929U KR920007737Y1 KR 920007737 Y1 KR920007737 Y1 KR 920007737Y1 KR 2019890016929 U KR2019890016929 U KR 2019890016929U KR 890016929 U KR890016929 U KR 890016929U KR 920007737 Y1 KR920007737 Y1 KR 920007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ording
selection
inpu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69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738U (ko
Inventor
홍권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강진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900169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7737Y1/ko
Publication of KR9100097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7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73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2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using processor, e.g. microcomput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자동 입력선택회로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자동입력선택회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자동입력선택회로의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이크로프로세서 20 : 키보드
30 : 기록재생수단 40 : 동조수단
50 : 비디오카메라 60, 61 : 제1, 제2접속수단
70 : 신호선택수단 80 : 선택제어수단
90 : 표시수단
본 고안은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기록할 입력신호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기록재생계에 공급하는 회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기록재생장치로는 캠코더 및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ideo Tape Recorder : 이하 VTR라고 함)를 비롯하여 많은 종류가 있다.
상기 기록재생장치는 기록용 입력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라인이 있으며 이들 입력라인들 중 어느 한 입력라인을 선택스위치에 의해 선택하여 기록재생계에 연결한다.
일예로 캠코더의 경우를 살펴보면 자체내에 내장된 동조기로부터 수신되는 방송프로그램용 영상신호, 비디오카메라로 부터 생성된 피사체에 대한 영상신호와 외부의 다른 VTR이나 캠코더로부터 인입되는 영상신호들중 어느 한 영상신호를 선택스위치에 의해 선택하여 기록계에 공급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기록재생장치는 기록시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스위치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신호를 선택하므로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을 주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입력신호를 선택하기 위해 입력라인을 잘못 선택하면 기록매체에 아무런 신호도 기록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라인중 입력신호의 유무를 검사하여 입력신호가 있는 입력라인을 자동으로 선택하고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종류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기록시 자동입력선택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자동입력선택회로는 다수의 기록용 입력신호원으로부터 기록용 입력신호를 각각 입력하기 위한 입력라인들을 구비하여 상기 입력라인들을 통해 인입되는 기록용 입력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기록재생수단에 공급하는 신호선택수단과, 상기 신호선택수단의 각 입력라인상에 기록용 입력신호의 유무를 판별하여 상기 신호선택수단으로 하여금 기록용 입력신호가 존재하는 입력라인을 선택하도록 상기 신호선택수단을 제어하는 선택제어수단과, 상기 선택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신호선택수단으로 인가되는 선택제어신호들에 의해 기록용 입력신호의 선택 및 인입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자동입력선택회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회로도로서 캠코더에 있어서 기록시 입력신호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기록계에 공급하는 자동입력선택회로의 회로도이다.
제1도에 의하면,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키보드(20)로 부터 인입되는 키데이타에 의해 시스템을 제어처리한다.
기록재생수단(3)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제어하에 두 라인(L1, L2)을 통해 인입되는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기록매체에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매체로 부터 재생되는 영상정보 및 음성정보를 상기 두 라인(L1, L2)을 통해 송출한다.
동조수단(40)은 방송되는 방송프로그램중 시청자가 지정하는 방송채널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각 출력라인(L3, L4)을 통해 송출한다.
비디오카메라(50)는 피사체와 피사체의 음성을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영상신호는 라인(L5)을 통해 송출하고 음성신호는 라인(L6)을 통해 송출한다.
제1접속수단(60)은 외부의 다른 비디오카메라나 VTR등과 같은 외부 영상 및 음성신호원으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인입하여 영상신호는 라(L7)을 통해 송출하고, 음성신호는 라인(L8)을 통해 송출한다.
제2접속수단(61)은 라인(L9)상의 영상신호와 라인(L10)상의 음성신호를 외부의 텔레비젼이나 다른 캠코더 또는 VTR등으로 송출한다.
신호선택수단(70)은 상기 라인(L1)과 라인(L11)사이에 접속되어 기록용 영상신호를 상기 기록재생수단(30)에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제1제어용스위치(SW1)와, 상기 라인(L2)과 라인(L12)사이에 접속되어 기록용 음성신호를 상기 기록재생수단(30)에 공급 또는 차단하는 제2제어용스위치(SW2)와, 상기 라인(L3)과 상기 라인(L11)사이에 콘덴서(C1)과 함께 직렬 접속되어 상기 동조수단(40)의 영상신호를 상기 제1제어용스위치(SW1)를 통해 상기 기록재생수단(30)으로 전송 또는 차단하는 제3제어용스위치(SW3)와, 상리 라인(L4)과 상기 라인(L12)사이에 콘덴서(C2)와 함께 직렬 접속되어 상기 동조수단(40) 음성신호를 상기 제2제어용스위치(SW2)를 통해 상기 기록재생수단(30)으로 전송 또는 차단하는 제4제어용스위치(SW4)와, 상기 라인(L5)과 상기 라인(L11) 사이에 콘덴서(C3)와 함께 직렬 접속되어 상기 비디오카메라(50)의 영상신호를 상기 제1제어용스위치(SW1)를 통해 상기 기록재생수단(30)으로 전송 또는 차단하는 제5제어용스위치(SW5)와, 상기 라인(L6)과 상기 라인(L12) 사이에 콘덴서(C4)와 함께 직렬 접속되어 상기 비디오카메라(50)의 음성신호를 상기 제2제어용스위치(SW2)를 통해 상기 기록재생수단(30)으로 전송 또는 차단하는 제6제어용 스위치(SW6)와, 상기 라인(L7)과 라인(L11) 사이에 콘덴서(C5)와 함께 직렬 접속되어 상기 제1접속수단(60)을 통해 외부로부터 인입되는 영상신호를 제1제어용스위치(SW1)를 통해 상기 기록재생 수단(30)으로 전송 또는 차단하는 제7제어용스위치(SW7)와, 상기 라인(L8)과 상기 라인(L12)사이에 콘덴서(C6)와 함께 직렬 접속되어 제1접속수단(60)을 통해 외부로 부터 인입되는 음성신호를 제2제어용스위치(SW2)를 통해 기록재생수단(30)으로 전송 또는 차단하는 제8제어용 스위치(SW8)와, 상기 라인(L1)과 상기 라인(L9)사이에 콘덴서(C7)와 함께 직렬 접속되어 상기 기록재생수단(30)에서 재생되는 영상신호를 제2접속수단(61)을 통해 외부로 전송 또는 차단하는 제9제어용 스위치(SW9)와, 상기 라인(L2)과 상기 라인(L10) 사이에 콘덴서(C8)와 함께 직렬 접속되어 상기 기록재생수단(30)에서 재생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제2접속수단(61)을 통해 외부로 전송 또는 차단하는 제10제어용스위치(SW10)와, 상기 라인(L1)과 기저전원(GND) 사이에 접속된 저항(R1)과, 상기 라인(L2)과 기저전원(GND)사이에 접속된 저항(R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신호선택수단(70)에서 콘덴서들(C1-C8)은 커플링 콘덴서로서 교류성분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만을 통과시키고 직류성분은 저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선택제어수단(80)은 상기 신호선택수단(70)의 각 입력라인상에 입력신호의 존재여부를 감지하여 입력신호가 존재하는 각각의 입력라인을 상기 기록재생수단(30)에 접속되도록 제어하는 상기 입력신호원 수만큼의 선택제어신호를 상기 신호선택수단(70)에 공급하는 신호유무검출수단(100)과, 상기 신호유무검출수단(100)의 출력인 선택제어신호들의 우선순위를 판별하여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선택제어신호들을 제외한 나머지 선택제어신호들이 신호선택수단(70)으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우선순위결정수단(110)과, 상기 신호유무검출수단(100)으로 부터 출력되는 상기 선택제어신호가 상기 신호선택수단(70)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감시하여 선택제어신호의 공급이 중단될 시 상기 신호선택수단(70)의 입력라인들이 상기 기록재생수단(30)에 개방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기록재생수단(30)의 기록작동을 중지하도록 보완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기록중지제어수단(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신호유무검출수단(100)은 상기 라인(L3)상의 전압상태 즉, 동조수단(40)의 영상출력을 적분하는 제1적분기(101)와, 상기 제1적분기(101)의 출력을 미리 자체내에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제1적분기(101)의 출력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클 경우"하이" 논리상태의 제1선택기어신호를 발생하여 라인(L13)을 통해 출력하여 상기 신호선택수단(70)의 제3, 제4제어용 스위치(SW3, SW4)를 온(ON)시키는 제1비교기(104)와, 상기 라인(L5)상의 전압상태(즉 비디오카메라(50)의 영상출력)를 적분하는 제2적분기(102)와, 상기 제2적분기(102)의 출력을 미리 자체내에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제2적분기(102)의 출력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클 경우"하이"논리상태의 제2선택제어신호를 라인(L14)을 통해 출력하여 상기 신호선택수단(70)의 제5, 제6제어용스위치(SW5, SW6)을 온(ON)시키는 제2비교기(105)와, 상기 라인(L7)상의 전압상태(즉 제1접속수단(60)을 통해 인입되는 영상출력)를 적분하는 제3적분기(103)와, 상기 제3적분기(103)의 출력을 미리 자체내에 설정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제3적분기(103)의 출력이 상기 기준전압보다 클 경우 "하이"논리상태의 제3선택 제어신호를 라인(L15)을 통해 출력하여 상기 신호선택수단(70)의 제7,제8제어용스위치(SW7, SW8)를 온시키는 제3비교기(106)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1-제3비교기(104-106)들은 상기 각 라인(L3,L5,L7)상에 영상신호가 있을 때 각각"하이"논리상태의 제1-제3선택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리고 우선순위결정수단(100)은 상기 라인(L13)과 기저전원(GND)사이에 접속되어 제1선택 제어신호를 뮤트시키는 제11제어용 스위치(SW11)와, 상기 두 라인(L14,L15)상에 양입력단자를 접속하여 양입력단자중 어느 한쪽이라도 "하이"논리상태의 제2 또는 제3선택제어신호가 인입되면 상기 제11제어용스위치(SW11)를 온시키는 제1오아게이트(G1)로 이루어져 있다. 즉, 비디오카메라(50)의 출력신호 또는 제1접속수단(60)의 출력신호는 동조수단(4)의 출력신호보다 우선순위에 있으며, 비디오카메라(50) 또는 제1접속수단(60)의 출력신호와 동조수단(40)의 출력신호가 동시에 유입될 때는 동조수단(40)의 출력을 뮤트시켜 비디오카메라(50) 또는 기록재생수단(30)의 출력이 기록재생수단(30)에 입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기록중지제어수단(120)은 상기 세라인(L13-L15)상에 세입력단자를 각각 접속하여 제1 내지 제3선택제어신호를 배타 논리합하는 제1배타논리합게이트(G2)와, 상기 두라인(L14, L15)상에 두 입력단자를 각각 접속하여 제2 및 제3선택제어신호 모두가 "하이" 또는 "로우" 논리신호로 인입될 경우 "로우" 논리상태를 출력하는 제2배타논리합게이트(G3)와, 상기 제1 및 제2배타논리합게이트(G2, G3)의 출력을 논리합하는 제2오아게이트(G4)와, 상기 제2오아게이트(G4)의 출력과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로 부터 라인(L16)을 통해 인입되는 기록제어신호를 논리곱연산하여 어느 한 쪽이라도 "로우"논리상태가 될 때 "로우"논리상태의 기록중지 신호를 발생하는 제l앤드게이트(G5)와, 제1앤드게이트(G5)의 출력인 기록중지신호를 일정시간 지연한 후 라인(L17)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10) 및 상기 신호선택수단(70)의 제1, 제2제어용 스위치(S1, SW2)에 인가하여 제1, 제2제어용 스위치(SW1, SW2)에 온 상태에서 오프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지연소자(121)와, 상기 라인(L16)을 통해 인입되는 기록제어신호와 라인(L17)을 통해 상기 지연소자(121)로 부터 출력되는 기록중지신호가 모두 "하이"논리상태일 경우에만 "하이"논리상태의 출력을 발생하는 제2앤드게이트(G6)와, 제2앤드게이트(G6)의 출력과 라인(L18)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10)로부터 출력되는 재생신호중 어느 한 신호라도 "하이"논리상태의 신호일 때는 "하이"논리상태의 재생선택신호를 상기 신호선택수단(70)의 제9, 제10제어용 스위치(SW9, SW10)에 공급하는 제3오아게이트(G7)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지연소자(121)를 사용하는 이유는 기록시작시와 종료시 기록매체에 무기록구간을 영상 및 음성이 기록된 구간 양끝에 삽입하기 위함이다.
표시수단(90)은 세개의 발광다이오드(LED1-LED3) 및 트랜지스터(Q1, Q3)와 하나의 제3앤드게이트(G8) 및 일곱개의 저항(R3-R9)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3앤드게이트(G8)는 공급전원(B+)과 상기 라인(L16)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양입력단자를 접속하여 상기 라인(16)상의 기록제어신호가 "하이"논리상태일 경우 공급전원접압(B+)을 저항(R3)을 통해 세개의 발광다이오드(LED1-LED3)의 애노단딘자에 각각 공급한다.
트랜지스터(Q1)는 베이스를 저항(R4)를 통해 상기 라인(L15)에 접속하고 콜렉터를 발광다이오드(LED1)의 캐소드단자에 접속하며 에미터를 기저전원(GND)에 접속하여 상기 라인(L15)상에 "하이"논리상태의 제3선택제어신호가 유기될 때 턴온되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1)의 캐소드단자를 기저전원(GND)과 도통시킨다. 이때 발광다이오드(LED1)는 전류통로가 형성됨에 따라 점등되어 제1접속수단(60)을 통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상기 기록재생수단(30)에 공급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트랜지스터(Q2)는 베이스를 저항(R6)을 통해 상기 라인(L14)에 접속하고 콜렉터를 발광다이오드(LED2)의 캐소드단자에 접속하며 에미터를 기저전원(GND)에 접속하여 상기 라인(L14)상에 "하이"논리상태의 제2선택제어신호가 유기될 때 턴온되므로 상기 발광다이오드(LED2)의 캐소드단자를 기저전원(GND)과 도통시킨다.
이때 발광다이오드(LED2)는 전류통로가 형성됨에 따라 점등되어 비디오카메라(50)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기록재생수단(30)에 공급되고 있음을 표시한다.
트랜지스터(Q3)는 베이스를 저항(R8)을 통해 상기 라인(L13)에 접속하고 콜렉터를 상기 발광다이오드(LED3)의 캐소드단자에 접속하며 에미터를 기저전원(GND)에 접속하여 상기 라인(L13)상에 "하이"논리상태의 제1선택제어신호가 유기될 때 턴온됨으로써 상기 발광다이오드(LED3)의 캐소드 단자를 기저전원(GND)과 도통시킨다.
이때 발광다이오드(LED3)는 전류통로가 형성됨에 따라 점등되어 동조수단(40)으로부터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신호선택 수단(70)을 통해 기록재생수단(30)에 공급됨을 표시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0), 기록재생수단(30), 키보드(20), 동조수단(40), 비디오카메라(50), 제1 및 제2접속수단(60,61)은 캠코더의 일반적인 구성이다.
제2도는 제1도중 마이크로프로세서(10)에 의해 수행되는 기록시 동작흐름도이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제200단계에서 키보드(20)로부터 기록기능을 기정하는 키데이타가 인임될때까지 대기한다.
상기 제200단계에서 기록기능지정용 키데이타가 인입될 시 기록재생수단(30)을 기록모드로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하이"논리상태의 기록제어신호를 라인(L16)을 통해 송출한다(제201단계).
상기 제201단계수행 후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라인(L17)을 통해 "로우"논리상태의 기록중지신호가 유입되는가 검사한다(제202단계).
상기 제202단계에서 "로우"논리상태의 기록중지신호가 유입될시 즉 동조수단(40), 비디오카메라(50)와, 제1접속수단(60)들로부터 신호선택수단(70)의 입력라인들(L3-L8)상에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공급이 중단되었을 시, 또는 동조수단(40), 비디오카메라(50) 및 제1접속수단(60)의 출력신호 모두 유입되었을 시, 또는 비디오 카메라(50) 및 제1접속수단(60)의 출력신호가 동시에 유입되었을시 마이크로프로세서(10)는 기록재생수단(3O)의 기록작동을 중지시키는 한편 "하이"논리상태로 출력중인 기록제어신호를 "로우"논리상태로 진환하여 정지모드가 되게 한다(제203단계).
상기 제201단계에서 선택제어수단(80)의 신호유무검출수단(100)은 세라인(L3, L5, L7)상에 영상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하이"논리상태의 선택제어신호들을 발생하는데 세라인(L3,L5,L7) 영상신호가 있을시는 "하이"논리상태의 제1-제3선택제어신호들을 모두 발생하고, 라인(L3)에만 영상신호가 있을 시는 "하이"논리 상태의 제1선택제어신호만을 발생하며, 라인(L5)에만 영상신호가 있을시는 "하이"논리상태의 제2선택제어신호만을 발생하고. 라인(L7)에만 모두에 영상신호가 있을시는 "하이"논리상태의 제3선택제어신호만을 발생한다.
상기 신호유무검출수단(100)의 출력단에 접속된 우선순위결정수단(110)은 상기 신호유무검출수단(100)으로부터 제1-제3선택제어신호가 모두 출력될 때, 제1선택제어신호와 제2 또는 제3선택제어신호가 동시에 출력될때에는 우선순위에 의해 제1선택제어신호를 뮤트시켜 신호선택수단(70)의 입력라인들(L3-L8)중 2개의 입력라인(L3, L4)상의 제3, 제4제어용스위치(SW3, LW4)를 오프시키는 반면 4개의 입력라인들(L5-L8)상의 제5-제8제어용스위치(SW5-SW8)들을 온시켜 비디오카메라(50)측과 제1접속수단(60)측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제1, 제2 제어용 스위치(SW1, SW2)측으로 전송되도록 하거나, 제5 및 제6제어용 스위치(SW5, SW6), 또는 제7 및 제8제어용 스위치(SW7, SW8)를 온시켜 비디오카메라(50)측 또는 제1접속수단(60)측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제1, 제12제어용스위치(SW1, SW2)측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그러나, 기록중지제어수단(120)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로 부터 라인(L16)을 통해 기록제어신호를 인입하는 한편 상기 우선순위 결정수단(110)에 의해 "하이"논리상태의 제2, 제3선택제어신호를 동시 인입하거나, 또는 "하이"논리상태의 제1-제3선택제어신호중 하나를 입력하거나 제1-제3선택제어신호의 모두가 인입하지 않는 경우가 있을수 있는데 이중 단 하나의 선택제어신호가 인입될 시 "하이"논리상태 출력을 상기 신호선택수단(70)의 라인(L17)을 통해 제1 및 제2제어용스위치(SW1,SW2)에 인가하여 상기 제1, 제2제어용스위치(SW1, SW2)를 온(ON)시켜 제3-제8제어용 스위치(SW3-SW8)중 온(On) 상태가 된 제어용스위치를 통해 인입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기록재생수단(30)으로 전송하게 하는 반면, 상기 우선순위결정수단(110)에 의해 "하이"논리상태의 제2, 제3선택제어신호를 동시 인입하거나 또는 단 하나의 선택제어신호도 인입되지 않을 경우엔 "로우"논리상태의 기록중지제어신호를 라인(L17)을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10)와 상기 신호선택수단(30)의 제1, 제2제어용 스위치(SW1, SW2)에 인가하여 상기 제1, 제2제어용스위치(SW1, SW2)를 오프시켜 제3-제8어용 스위치(SW3-SW8)를 통해 인입되는 영상 및 음성신호의 기록재생수단(3)으로의 전송을 중지시키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0)로 하여금 기록재생수단(30)의 기록작동을 중지시킨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기록중지제어수단(120)은 제1 내지 제3선택제어신호가 모두 인입될 경우, 제1 내지 제3선택제어신호가 모두 인입되지 않는 경우이며, 먼저 제1내지 제3선택제어신호가 모두 "하이"신호로 인입될 경우에 기록을 중지시키며, 우선순위결정수단(110)에 의해 제1선택제어신호는 뮤트되므로 제1 내지 제3선택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1배타논리합게이트(G2)의 입력은 "로우"이며, 제2및 제3선택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제2배타논리합게이트(G3)의 출력도 "로우"이므로 제2오아게이트(G4), 제1앤드게이트(G5), 지연소자(121)를 통해 출력되는 기록중지제어신호인 "로우"논리상태의 신호를 출력함에 따라 제1 및 제2제어용스위치(SW1,SW2)를 오프시켜 기록재생수단(30)은 기록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제1 내지 제3선택제어신호가 모두 인입되지 않는 경우, 제1베타논리합게이트(G2) 및 제2배타논리합게이트(G3)의 출력이 "로우"이므로 제2오아게이트(G4), 제1앤드게이트(G5)의 출력도 "로우"이며 지연소자(121)를 통해 "로우"신호가 출력됩니다.
따라서, 동조수단(40), 비디오카메라(50), 제1접속수단(60)의 출력중 어느 한 출력신호가 기록재생수단(30)에 기록되다가 이 출력신호가 인입되지 않으면 기록중지제어신호인 "로우"논리상태의 신호에 의해 기록재생수단(3)에서 기록을 중단하다.
제2 및 제3선택제어신호가 동시에 인입된 경우, 제2 및 제3배타논리합게이트(G3)의 출력이 "로우"가 되므로, 제2오아게이트(G4), 제1앤드게이트(G5)의 출력도 "로우"이며 지연소자(121)를 통해 "로우"신호가 출력됩니다. 따라서, 비디오카메라(50), 제1접속수단(60)의 출력신호가 동시에 인입되면 기록중지제어신호인 "로우"논리상태의 신호에 의해 기록재생수단(30)에서 기록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다수의 입력라인을 통해 인입되는 다수의 기록용 입력신호중 원하는 입력신호를 자동으로 선택하여 길고재생수단에 공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기록시 입력신호를 선택하게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다수의 입력신호원과 길고재생수단을 구비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기록용 입력신호원으로부터 기록용 입력신호를 각각 입력하기 위한 입력라인들을 구비하여 상기 입력라인들을 통해 인입되는 기록용 입력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기록재생수단에 공급하는 신호선택수단 ; 상기 신호선택수단의 각 입력라인상에 기록용 입력신호의 유무를 판별하여 상기 신호선택수단으로 하여금 기록용 입력신호가 존재하는 입력라인을 선택하도록 상기 신호선택수단을 제어하는 선택제어수단 ; 상기 선택제어수단으로부터 상기 신호선택수단으로 인가되는 제어용 선택제어신호에 의해 입력신호의 선택 및 인입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시 자동입력선택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제어수단은 상기 신호선택수단의 각 입력라인상에 입력신호의 존재여부를 감지하여 입력신호가 존재하는 각각의 입력라인을 상기 기록재생수단에 접속되도록 제어하기 위해 상기 입력신호원수만큼의 선택제어신호를 상기 신호선택수단에 공급하는 신호유무검출수단 ; 상기 신호유무검출수단의 출력인 선택제어신호들의 우선순위를 판별하여 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선택제어신호들을 제외한 나머지 선택제어신호들이 신호선택수단으로 전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우선순위결정수단 ; 상기 신호유무검출수단으로부터 상기 선택제어신호가 상기 신호선택수단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감시하여 선택제어신호의 공급이 중단될 시 상기 신호선택수단의 입력라인들이 상기 기록재생수단에 개방상태가 되도록 하고 상기 기록제어수단의 기록작동을 중지하도록 보완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기록중지제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기록시 자동입력선택회로.
KR2019890016929U 1989-11-15 1989-11-15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자동 입력선택회로 KR920007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929U KR920007737Y1 (ko) 1989-11-15 1989-11-15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자동 입력선택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6929U KR920007737Y1 (ko) 1989-11-15 1989-11-15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자동 입력선택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738U KR910009738U (ko) 1991-06-29
KR920007737Y1 true KR920007737Y1 (ko) 1992-10-17

Family

ID=19291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6929U KR920007737Y1 (ko) 1989-11-15 1989-11-15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자동 입력선택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773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738U (ko) 199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7249A (en) Power status detecting apparatus
KR100391405B1 (ko) 입력기기선택방법
US4903129A (en) Audio signal section apparatus
KR910006374B1 (ko) 영상처리 시스템의 전원공급 및 입력신호 조절회로
US6965950B1 (en) Signal input and output apparatus that discriminates between plurality of different devices each issuing unique control signals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through single transmission path
DK167419B1 (da) Forbindelsesapparat for videokomponentanlaeg
KR100263951B1 (ko) 상호 연결 시스템용 장치
JP2837363B2 (ja) オーディオ・ビジュアルシステム
KR920007737Y1 (ko)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시 자동 입력선택회로
GB2254512A (en) Selectively interconnecting units in audio-visual systems
US4428006A (en) Television receiver for receiving sound multiplex signals
EP0725491B1 (en) Video communication for interconnecting appliances that communicate using a control signal
JP3036899B2 (ja) オーディオ・ビデオ機器の相互接続制御システム
KR900004467Y1 (ko) 전자 파인더용 영상신호 선택회로
KR200183504Y1 (ko) 오디오/비디오 출력제어기능이 부가된 영상기록재생장치
JPS6325432B2 (ko)
US5301071A (en)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ing a bidirectional line to receive and transmit signals
US5262859A (en) Video signal transmitter/receiver
JPS6180583A (ja) ビデオカセツト記録およびテ−プ化装置
US5455718A (en) Double deck camcorder
KR950009207B1 (ko) 입력신호 자동선택장치
JP3249978B2 (ja) 前面入出力端子付き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2832946B2 (ja) 信号選択器
JP3237311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7203265A (ja) 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