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696B1 - 인쇄제어 방식 - Google Patents

인쇄제어 방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696B1
KR920007696B1 KR1019860009293A KR860009293A KR920007696B1 KR 920007696 B1 KR920007696 B1 KR 920007696B1 KR 1019860009293 A KR1019860009293 A KR 1019860009293A KR 860009293 A KR860009293 A KR 860009293A KR 920007696 B1 KR920007696 B1 KR 920007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print
register
printing
l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9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322A (ko
Inventor
아쓰시 마끼구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도시바컴퓨터 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이와세 마사히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와다리 스기이찌로오, 도시바컴퓨터 엔지니어링 가부시기가이샤, 이와세 마사히로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70005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impact or pressure on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8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f building-up characters or image elements applicable to two or more kinds of printing or marking proce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인쇄제어 방식
제1도는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의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상기 실시예의 LIB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상기 실시예의 인쇄제어레지스터 영역의 레지스터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상기 실시예의 행 수식정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상기 실시예의 취급하는 한자코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상기 실시예의 행수식된 각종 문자의 가로방향의 문자 사이즈를 도시하는 도면.
제7도는 상기 실시예의 행수식된 각종 문자의 존을 도시하는 도면.
제8도는 상기 실시예의 라인버퍼상의 문자패턴의 배열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9도는 상기 실시예의 라인버퍼상의 문자배치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10도는 상기 실시예의 세로가로 변환인쇄처리의 동작 설명도.
제11도-제16도는 각각 상기 실시예의 세로가로 변환인쇄 처리를 도시하는 플로우차아트.
제17도는 표준인쇄의 가로쓰기 및 세로쓰기와 세로가로 변환인쇄의 가로쓰기 및 세로쓰기를 대비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SI(대규모 집적회로 장치) 11 : CPU
12 : 주변제어회로(PPI) 13 : 디코더(DCE)
14 : RAM 15 : ROM
16 : 카세트인터페이스회로(CMT-INTF)
17 : LCD제어회로(LCDC) 18 : 프린터 제어기(PRTC)
19 : 클럭발생기(CG) 20 : 발진기(OSC)
30 : 키보드(KB) 40 : 데이타 레코더(CMT)
41 : CMT어댑터 50 : 액정디스플레이(LCD)
51 : LCD 드라이버(LCD-DRV) 60 : 시리얼프린터(PRT)
61 : 플로피디스크 드라이버(FDD) 71 : 플로피디스크제어기(FDC)
140 : 행 이미지버퍼(D-BUF) 141 : 라인버퍼(LB)
LIB : 행정보 블록 PL : 개행위치 영역
PC : 디지트 번호 영역 PI : 존 번호 영역
RO-R14 : 레지스터 SC : 스케일
본 발명은 행(行)수식된 문서의 가로세로 변환인쇄기능을 실현한 문서작성 장치의 인쇄제어방식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그 기술적 배경과 문제점을 설명한다.
종래, 일본어 워드 프로세서등의 문서작성장치는 문서표시 기구에 CRT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문서파일기구에 플로피디스크 장치등의 외부 기억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장치구성이 대형화되고 가격면에서도 값이 비싼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표시기구에 LCD(액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여 문서파일 기구에 CMT(카세트식 자기테이프 장치), 또는 마이크로플로피디스크드라이버를 사용하는 등, 여러 가지의 연구, 개량을 하고 소형이고 또 경량의 가격이 저렴한 이른바 퍼스널워드프로세서로 불리우는 문서작성장치가 실현되게 되었다.
이와같이 저렴하고 소형경량의 문서작성장치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입력기구가 되는 LCD의 표시 화면 사이즈에도 큰 제약을 받고, 행수가 1행 내지 2행, 자수가 10자 내지 수십자 정도의 작은 화면 사이즈의 것이 사용된다.
또, 인쇄기구에 있어서도 취급이 가능한 용지 사이즈에는 큰 제약을 받고, 예를들면 B4사이즈의 용지를 가로방향으로 급지부(給紙部)에 삽입할 수 있는 인쇄기구를 구비하는 것은 장치의 대형화 및 중량화, 고가격하를 초래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그러므로, B4 용지를 세로방향으로 삽입해도 가로방향으로 삽입했을때와 같이 인쇄할 수 있는 이른바 세로가로 변환인쇄방식이 실현되었다.
그러나, 보통의 인쇄방식에 의한 인쇄에서는 인쇄기구의 인쇄 가능 범위에 따라 용지의 디지트 방향의 인쇄가능 범위가 제한되는 것에 대하여 상기 세로가로 변환인쇄방식에 의한 인쇄에 있어서는 용지의 행방향의 인쇄범위가 제한된다. 이때의 표준인쇄와 세로가로 변환인쇄의 각 인쇄형태를 제17도(a) 내지 (d)에 도시한다. 즉, 동도면(a)은 표준 가로쓰기 인쇄, 동도면 (b)은 표준 세로쓰기 인쇄, 동도면(c)은 세로가로 변환 가로쓰기 인쇄, 동도면(d)은 세로가로 변환 세로쓰기 인쇄의 각 형태를 도시한다.
따라서, 종래에 있어서는 세로 가로 변환인쇄에 의하여 인쇄했을 때 행피치가 고정되거나 또 변경이 가능할 때도 인쇄가능한 범위를 넘는 행피치가 지정될 때는 전혀 인쇄를 하지 않는 기능으로 구성했었다. 또 종래의 세로가로 변환인쇄에서는 상기 행피치에 한정되지 않고, 문자사이즈나 문자사이 간격, 행 사이간격등도 고정되고, 따라서 세로가로 변환인쇄시는 보통의 인쇄와 완전히 다른 인쇄결과를 초래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고려하여 연구된 것으로 행을 단위로, 복수종류의 문자가 혼합된 문서를 보통 인쇄와 같은 인쇄결과가 되도록 세로가로 변환인쇄할 수 있는 인쇄제어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특히 인쇄가능범위를 넘는 문서를 행단위로 잘라버리도록 구성하고 인쇄행이 용지사이즈를 초과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행을 단위로 복수종류의 문자가 혼합된 문서의 세로가로 변환인쇄를 할 수 있는 인쇄제어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행수식설정수단과, 세로가로 변환인쇄의 지정수단과 세로가로 변환인쇄 모드에 있어서 인쇄용 지상의 선두행 위치를 지정하는 수단과, 이 지정된 선두행 위치에서 인쇄가능범위를 구하는 수단과, 이 이 인쇄가능범위에서 행수식에 따른 인쇄가능 행수를 구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문자수식이 다른 문서인쇄에 있어서의 인쇄기구의 급지부에 세로방향으로 삽입된 용지위에, 마치 용지를 가로방향으로 삽입한 것과 같이 인쇄가능범위를 초과하는 문서를 행단위로 잘라 버리는 구성으로 한 것으로, 이로인해 퍼스널워드프로세서에 있어서 폭이 좁은 급지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인쇄행수가 용지사이즈를 초과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행을 단위로 복수종류의 문자가 혼합된 문서를 보통의 인쇄와 동일한 인쇄결과가 되도록 세로가로 변환인쇄가능하고, 인쇄기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1도에서 (10)은 키보드(KB), 외부기억이 되는 오디오 카세트 자기테이프 장치를 사용한 데이터 레코더(CMT) 및 3.5인치 마이크로 플로피디스크(FDD), 액정디스크플레이(LCD), 시리얼 프린터(PRT) 등 기구부 각각의 입출력제어를 하는 입출력제어 회로부의 각각을 제어대상으로 하고, 장치 전체의 제어를 관장하는 처리장치(CPU), 게다가 사서(辭書) 영역, 문자 폰트(font) 영역, 프로그램영역 등을 가지는 ROM 및 RAM으로 구성되는 내부기억부등과 함께 1칩화한 대규모회로장치이고, 실제로는 100핀의 단자구조를 가지고 구성되고, 일본특원소 59-204455호, 일본특원소 59-204456호, 일본특원소 59-204462호 등에 표시되는 반도체집적회로 기술을 기초로 실현하고 있다. 이하 이 대규모집적회로 장치를 슈퍼인테그레이션 또는 SI로 호칭한다.
(11) 내지(19)는 각각 상기 SI(10)의 내부구성요소이다. 이중 (11)은 장치전체의 제어를 관장하는 CPU이고, 여기에서는 키 입력판별, 가나(名:일본글자) 한자(漢字) 변환, 문서의 편집 교정등의 처리 이외에 행속성(行屬性) 정보에 따르는 문자 수식, 및 인쇄정지제어를 포함하는 행수식처리를 실행한다. 또 실제에 있어서는 CPU(11)를 Z 90상당의 논리구조로 하고 있다. 또, 도면에서는 SI(10) 내부의 시스템버스에 연결되는 외부의 버스, 접속단자, 또 SI(10) 내부에 설치되는 카운터/타이머 등, 본 발명에 직접 관계가 없는 로직을 생략해서 표시하고 있다.
(12) 내지 (18)은 각각 상기 CPU(11)의 내부 시스템버스에 접속되는 SI(10)의 내부구성요소이다. 이중, (12)는 주변제어회로(쌍방향 인터페이스회로)이고, 3포트 중의 1개포트가 키보드 스캔데이타의 출력(4비트)과 카세트 기입데이타의 출력(1비트)에 사용되고, 다른 1개의 포트가 키보드리턴신호의 입력(8비트)에 사용된다. 이 주변제어회로를 이하 PPI로 호칭한다. 실제에 있어서는 이 PPI(12)를 8255상당의 논리구조로 하고 있다.
(13)은 상기 PPI(12)의 키보드 스캔데이타출력(4비트)을 받아서 그 데이터를 디코드하고, 9종류의 스캔신호로서 키보드에 송출하는 디코더(DCE)이다.
(14)는 RAM이고, 여기에서는 문서버퍼영역, 행수식정보영역, 외자(外字) 패턴영역, 잠정사서(暫定辭書)영역등 이외에 입력 문서의 행을 단위로 개행위치/디지트(digit) 번호/존번호를 포함하는 행정보블록(Line Information Block ; 이하 LIB로 호칭), 및 행피치/문자사이/문자사이즈를 포함하는 수식정보의 각 영역(LIB 버터, 및 행수식버퍼)이 확보되는 동시에 세로가로 변환인쇄를 포함하는 인쇄실행시에 있어서의 각 종류의 변수, 포인터치등을 저장하는 인쇄제어레지스터 영역(R0-R14)이 확보되고, 또 행이미지버퍼(D-BUF)(140),라인버퍼(LB)(141)등의 영역이 확보되는 것이다. 그 LIB 버퍼에 저장된 LIB, 행수식 버퍼에 저장된 행수식정보, 및 인쇄제어레지스터영역(RO-R14)의 상세한 것이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된다.
(15)는 ROM이고, 여기에서는 시스템프로그램, 사서, 영문폰트를 포함하는 문자폰트, 변환테이블, 복수 화면의 메시지등이 저장된다.
(16)은 CPU(11)의 제어하에 외부기억이 되는 오디오카세트 자기테이프장치를 사용한 데이터레코더(CMT)의 판독/기입제어를 하는 카세트 인터페이스회로(CMT-INTF)이고, 데이터 기입시에는 기입개시에 앞서 리드부로서 약 10초간 모두 "1"의 데이터를 출력하고, 그후 PPI(12)로부터 출력되는 비트시리얼의 카세트 기입데이타(행수식 영역데이타/문서 영역데이타/외자 페턴 영역데이타/어구 등록 영역데이타/잠정사서영역 데이터등)를 출력하고, 그후에 트레일러부로서 약 2초동안 모두 "0"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17)은 LCD 제어회로(LCDC)이고, RAM(14)내에 설치되는 행 이미지버퍼(140)를 액세스하여LCD표시데이타를 출력한다.
(18)은 프린터제어기(PRTC)이고 CPU(11)의 제어하에 RAM(14)을 개재하여 프린트 이미지데이타를 출력한다.
(19)는 클럭발생기 (CG)이고, 외부의 발진기(OSC)(20)에서 출력되는 기본클력을 받아서 소정의 분주클럭, 타이밍신호등을 출력한다.
(20)은 기본클력을 생성하여 SI(10) 내부의 클럭발생기(19)에 공급하는 발진기 (OSC), (30)은 동일하게 SI(10) 내부의 PPI(12) 및 디코더(13)에 접속된 키보드(KB), (40)은 기입데이타를 녹음 가능한 아날로그량의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와 재생된 아날로그량의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를 가지고 구성 되는 CMT 어댑터(41)를 개재하여 SI(10) 내부의 카세트인터페이스회로(16)에 접속된 오디오 카세트 자기테이프 장치를 사용해서 구성되는 데이터 레코더(CMT), (50)은 LCD 드라이버(LCD-DRV)(51)를 개재하여 SI(10) 내부의 LCD 제어회로(17)에 접속된 액정디스플레이 (이하 LCD로 칭함), (60)은 동프린터제어기(18)에 접속된 시리얼프린터이다. (70)은 3.5인치의 마이크로플로피디스크드라이버(FDD)이고, 플로피디스크제어기(FDC)(71)를 개재하여 SI(10) 내부의 CPU(11)의 내부시스템버스에 접속된다.
여기에서, 상기 시리얼프린터(60)는 순방향/역방향의 종이이송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예를들면 사체(斜體) 문자를 인쇄할 때는 역방향의 종이보내기(백피이드)를 한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에 도시하는 RMA(14) 내의 LIB 버퍼에 저장된 LIB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문서의 각 행에 대응해서 설치되는 LIB는 각각 2바이트구성의 개행위치 영역 PL7비트 구성의 디지트번호 영역 PC, 6비트구성의 존(zone) 번호영역 PZ, 또, 하선 접속비트, 괘선접속비트, 우반각지정비트 등으로 구성된다. 이 LIB의 초기 설정은 디지트번호 영역 PC에만 디지트번호치「1」(제1디지트)를 설정하고, 개행 위치영역 PL,및 존번호영역PZ에 각각 「0」를 설정한다. 이 LIB 내의 각 영역은 LIB포인터에 의하여 지정된다.
제3도는 상기 제1도에 도시하는 RAM(14) 내의 인쇄제어 레지스터영역(R0-R14)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각 레지스터 R0-R14는 각각 2바이트로 구성되는 것으로, 이중 R0는 인쇄지정 행수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R1은 인쇄잔여 행수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R2는 인쇄가능 행수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R3은 인쇄개시 행번호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R4은 인쇄개시점을 저장하는 레지스터, R5은 가인쇄개시점을 저장하는 레지스터,R6은 문자전개개시점을 저장하는 레지스터, R7은 인쇄종료점을 저장하는 레지스터, R8은 인자(印字)헤드위치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R9는 개행실행위치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R10은 인쇄행번호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R11은 인쇄행수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R12는 문자 기입개시점을 저장하는 레지스터, R13은 문자기입종료점을 저장하는 레지스터, R14는 인쇄 가능범위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제4도는 상기 제1도에 도시하는 RAM(14)내의 행수식버퍼에 저장되는 행수식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여기에서는 백발(白拔)의 유무에 1비트("1" ; 유/"0 ;무)를 편집배정하고, 회전 ·사체에 3비트("000" ; 회전·사체지정 무, "001" ; 회전 1(90°), "010 ; 회전 2(180°), "011" ; 회전 3(270°),"100" ; 사체지정)를 편집배정하고, 문자사이즈에 4비트("0001" ; 사이즈1(24×24도트), "1001" ; 사이즈 9(576×576도트))를 편집배정하고, 인쇄정지의 유무에 1비트("1" ; 정지유/"0" ; 정지무)를 배정하고, 문자사이간격에 2비트("00" ; 문자사이간격 0(0도트), "1" ; 문자사이간격 3(12도트))를 배정하고, 행피치에 4비트("1111" ; 개행 B(개행량 ; -8인치/120), "0000" ; 개행 0(개행량 ; 0인치/120), "0001" ; 개행 H(개행량 ; + 8인치/120), "0010" ; 개행 K(개행량 ; +16인치/120), ,"0011" ; 개행 E(개행량 ; +20인치/120), "0100" ; 개행 1(개행량 ; +30인치/120), "0111" ; 개행 4(개행량 ; +60인치/120)를 배정하고, 용지교환의 유무에 1비트("1" ; 용지교환유/"0" ; 용지교환무)를 배정하고, 좌측디즈트 여백에 1바아트(-9∼63디지트)를 배정하고 있다.
제5도는 상기 RAM(14) 내의 문서버퍼영역에 저장되는 한자문자 코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것으로, 1문자 당 2바이트로 구성되고, 각각 7×2비트의 구(區) ·점 코드와 각 1비트의 반각지정비트 및 하선지정비트로 구성된다.
제6도는 행수식된 문자의 가로방향에 대한 문자사이드를 도시한 것으로 이곳에서는 [전각/가로쓰기 반각/세로쓰기 반각/4배각/회전/사체/백발]의 각 문자의 가로방향의 사이즈를 도시한다.
제7도는 각종 수식문자의 존의 정의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이곳에서는 전각(24×24도트)/4배각(48×48도트)/사체의 각 문자를 예로 들어 그 존 경계를 파선으로 도시한다.
또, 행수식의 지정은 실제에 있어서는 [기능]키를 아래로 내린 상태에서 특정의 제1의 문자키를 아래로 내림으로써 행수식의 지지입력을 하고 있으나, 이곳에서는 설명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행수식]키의 조작으로 행수식을 지정하기로 한다. 또, 상기 행수식의 설정시에 있어서는 상/하의 커서키조작으로 선택화면을 갱신함으로써 그 갱신 전의 선택화면의 항목 선택이 종료한 (커서위치의 항목이 선택되었음)것으로 간주하고,[선택/실행]키가 아래로 내려짐으로써 행수식의 설정이 종료된 것으로 그 행수식정보를 상기 RAM(14)내의 행수식 버퍼에 문서행에 대응시켜서 기입한다. 또 상기 행수식 표시모드시에 있어서, 비선택시에는 서식(書式) 설정에서 설정된 선택상태, 또는 전문삭제로 설정된 상태가 되어있고, 이때의 각 설정치를 이곳에서는 행수식 표준치라 칭한다.
제8도는 가로세로 변환인쇄시에 있어서의 상기 RAM(14)내의 라인버퍼(141) 상의 문자패턴의 배열상태와 각부의 명칭을 표시하는 도면이고, 제9도는 동라인버퍼(141)상의 문자배치상태아 각부의 명칭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0도는 세로가로 변환인쇄 동작의 설명도이다. 여기에서 용지상의 SC는 인쇄기구 급지부(용지삽입구)에 설치된 인쇄위치를 도시하는 스케일이고, 여기에서는 27도트의 인자폭(전각문자사이즈 ; 24도트+문자사이간격 ; 3도트의 문자피치에 해당되는 인자폭)을 단위로 0∼m(실제에서는 m=56)까지 눈금이 부여된다.
이 스케일 SC를 표준으로 예를들면 세로가로 변환인쇄시에 있어서의 인쇄선두행 위치등이 지정된다.
제11도 내지 제16도는 각각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세로가로 변환인쇄의 처리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제11도는 세로가로 변환인쇄 전체의 처리공정, 제12도는 상기 제11도의 단계(SI)의 처리공정, 제13도는 상기 제11도의 단계 (S4)의 처리공정, 제14도는 상기 제11도의 단계 (S16),(S22)의 처리공정, 제15도는 상기 제11도의 단계(S17)의 처리공정, 제16도는 상기 제11도의 단계(S18)의 처리공정을 각각 도시한다.
또, 문서인쇄의 지정은 실제에 있어서는 [기능]키를 아래로 내린 상태로 특정의 제2의 문자키를 아래로 내림으로써 문서인쇄의 지시입력을 하고 있으나 이곳에서는 설명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문서인쇄]키로 문서 인쇄모드를 지정하게 한다. 또, 여기에서는 문서작성중에 있어서도 임의의 행수 분의 부분인쇄가 가능해지고, 이 부분 인쇄의 지정도[기능]키와 어떤 특정키와의 조합으로 실시된다.
이들의 인쇄모드 하에 있어서 [표준인쇄/세로가로 변환인쇄], 또[가로쓰기/세로쓰기][좌측여백]등의 지정이 커서키 및 수치키의 조작과 [선택/실행]키의 조작으로 실시된다.
여기에서 상기 각 도면을 참조하여 한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한자가 혼합된 문장을 입력할때에는 키보드(30)에서 입력된 키입력신호가 SI(10) 내의 CPU(11)의 제어에 의하여 가나(名)한자 변환되어 RAM(14) 내의 문서버퍼에 저장된다. 이때 CPU(11)는 PPI(12)를 개재하여 또한 디코더(13)를 개재하여 키보드(30)에 스캔신호를 출력하고, 그 리틴신호를 PPI(12)에서 입력하여 키판별을 하여 키코드를 생성한다. 또 동키코드를 기초로 가나입력된 한자지정부분에 대하여 ROM(15)내의 사서, 나아가서는 RAM(14)내의 잠정사서등을 색인하여 가나한자 변환 처리한후, 그 변환된 한자 코드를 포함하는 입력문자코드열을 문서버퍼에 저장한다.
상기의 문서입력시에 문서버퍼에 저장되는 입력문자는 CPU(11)의 제어하에 차례로 행 이미지 버퍼(140)상에 패턴전개되어, LCD 제어회로(17)의 표시제어, 나아가서는 LCD드라이버(51)의 표시드라이브로 LCD(50) 상에 표시출력된다.
이와같이 입력된 기(旣) 입력문서는 커서키조작으로 LCD(50) 상에 소정행수의 문자열을 가지고 임의로 표시할 수 있고, 문서의 교정정정등에 제공된다.
상기의 입력문서에 대하여 행을 단위로 문자수식의 지정을 할 때는 수식할 행위치의 문자열을 커서키조작으로 선택표시하고,[기능]키와 다른 특정키와의 조합에 의한 [행수식]키조작에 의하여 행수식의 자정을 실시한다.
CPU(11)는 [행수식]키의 조작입력의 판별하면 LCD(50)의 표시 모드를 문서표시모드에서 행수식표시 모드로 절환한다. 이 행수식 표시모드에서는 구체적 예를들면 먼저 문자사이 간격 및 개행피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화면이 표시되고, 다음에 문자사이즈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화면이 표시된다. 이때의 문자사이 간격에서 개행피치에의 항목절환은 [다음 항목]키 조작으로 실시되고, 선택화면의 절환은 상하방향의 커서키 조작으로 실행된다. 그 각항목 선택은 좌우방향의 커서키조작으로 실시된다. 예를들면 문자사이 간격 및 개행피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화면이 표시된 상태로 [다음항목]키 조작 및 좌우방향의 커서키 조작에 의한 항목선택을 하지 않고, 상하방향의 커서키조작으로 선택화면 절환을 실시하면, 상기 선택화면상에 커서 표시된 문자사이 간격이 선택된 것으로서, 그 제어정보를 가지는 행수식정보가 상기 RAM(14) 내의 행수식 버퍼에 기억되고, 다음에 새로 표시된 선택화면의 항목 (여기에서는 문자사이즈)이 선택대상이 된다. 도상기 선택화면의 절환으로, 예를들어 「인쇄 정지」의 선택화면이 표시되어 커서키 조작으로 「인쇄 정지 유」가 선택되고, 그후에 [선택/실행]키가 조작되면 「인쇄 정지 유」의 제어정보를 가지는 행수식 정복 가 상기 RAM(14)내의 행수식버퍼에 기억된다.
상기의 행수식설정수단에 있어서, 문서버퍼에 저장된 문서의 임의의 행 위치에 대한 행 수식 설정이 실시된 후에는, 동 문서버퍼내의 기입력문서를 커서 조작으로 LCD(50)상에 표시함으로써 동 LCD(50)상의 안내 표시부에 표시문자열의 행, 및 디지트와 1행당의 자수가 표시되는 동시에 행수식 지시기가 선택적으로 표시된다. 즉, 커서 조작에 의한 어떤표시 문자열을 선택하면 그 커서 지정된 표시문자열의 행위, 디지트 위치 및 1행당의 수자가 표시되는 동시에 행수식버퍼에 저장된 대응되는 행위치의 행수식정보가 참조되어 동정보가 행수식 표준치와 비교되어 상기 커서의 의하여 선택된 표시 행에 대하여 행수식 설정되어 있나의 여부가 판단된다. 여기에서, 행수식이 설정되어 있지 아니하면, 즉 상기 행수식정보의 내용이 상기 행수식정보의 내용이 상기 행수식 표준치와 일치하면 행수식 지시기를 점등시키지 않고, 또 행수식이 설정되어 있으며, 즉 상기 행수식정보의 내용이 상기 행수식 표준치와 일치가 안되면, 행수식 지시기를 점등시킨다. 이와같은 행수식 지시기의 표시제어가 커서키에 의하여 선택된 표시문서의 모든 행에 대하여 실시된다. 이와같이 행 수식 지시기의 점등상태에서 행수식이 실시된 행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의 [문서인쇄]키로 문서인쇄모드를 지정했을 때, 또는 미리 정해진 [부분인쇄]지정을 위한 특정의 키 조작으로 부분 인쇄모드를 지정했을때의 세로가로 변환인쇄의 처리동작에 대하여 제2도 내지 제1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문서 인쇄] 키조작으로 문서인쇄모드가 지정되면, 또는 미리 정해진 [부분인쇄]지정을 위한 특정의 키 조작으로 부분인쇄 모드가 지정되면 LCD(50)의 표시모드가 인쇄정보의 설정모드로 절환되고, 인쇄 정보 설정을 위한 선택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에서는 우선 [표준인쇄/세로 가로변환인쇄]의 선택화면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세로 가로 변환인쇄]가 선택되면, 다음에 [세로쓰기/가로쓰기] 및 [선두행위치43]의 선택화면이 표시된다. 이때의 선택화면 및 선택항목의 절환, 항목선택등은 상기한 행수식 모드시와 동일하게 커서키, [다음 항목]키 및 [선택/실행]키등에 의하여 실시되나, [선두행위치 43]의 선택항목에 있어서, 하등 수치(2디즈트)가 설정되지 않고, 상/하의 커서키에 의하여 다음 화면으로 이행하면 여기에서는 미리 초기 설정된 수치(43)에 따르는 제43행째(눈금표시)가 세로 가로변환인쇄의 [인쇄선두행 위치]로서 설정된 것이된다.
상기 인쇄정보의 설정종료에 따르는 [선택/실행]키 조작으로 CPU(11)는 행수식버퍼에 저장된 인쇄대상이 되는 문서의 인쇄개시행(전문 인쇄시는 선두페이지 선두행, 부분인쇄시는 커서지정행)이하의 각 행수식 정보를 행순으로 참조하여 [인쇄정지 유] 또는 [용지교환 유]의 정보를 가지는 행수식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인쇄개시행에서 상기 검출행까지의 행수를 [인쇄지정행수]초기 설정된 수치(43)에 따르는 제43행째(눈금표시)가 세로 가로 변환 인쇄의 [인쇄선두행 위치]로서 설정된 것이 된다.
상기 인쇄정보의 설정종료에 따르는 [선택/실행]키 조작에 의하여 CPU(11)는 행수식 버퍼에 저장된 인쇄 대상이 되는 문서의 인쇄개시행(전문인쇄시는 선두페이지 선두행, 부분인쇄시는 커서 지정행)이하의 각 행수식정보를 행순으로 참조하여 [인쇄정지 유]또는 [용지교환 유]의 정보를 가지는 행수식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인쇄 개시행에서 상기 검출행까지의 행수를 [인쇄지정행수]로서 산출한 후, 인쇄루틴을 실행 개시한다. 이때의 세로 가로 변환 인쇄처리 동작을 제2도 내지 제16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세로 가로변환 인쇄의 전체의 처리동작을 제11도의 플로우차아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의[인쇄지정행수]의 산출후, 인쇄루틴의 실행으로 들어가서, 제11도의 플로우차아트에 표시되는 처리가 실행된다. 이때 부분인쇄이면 우선 단계(S1)에서 상기 인쇄 개시행의 행번호를 [인쇄개시행번호]로하여 상기 RAM(14)내의 인쇄제어레지스터 영역의 레지스터(R3)에 세트시키고 또 상기[인쇄선두행 위치]와, 대응하는 행위치의 행수식정보가 가지는 문자사이즈 및 행피치, 또는 라인버처(141)의 도트 구성수에 따르는 정수등을 기초로 [인쇄가능 행수]를 구하여 그 [인쇄가능 행수]를 레지스터(R2)에 세트시키는 동시에 라인버퍼(141)의 도트구성수와 전각문자인자폭(27도트)과 [인쇄 선두 행위치]에서 정해지는 [인쇄 가능 범위]와 상기[인쇄가능 행수]로부터 [문자 전개 개시점]을 구하여 이 [문자 전개 개시점]을 레지스터(R61)에 세트시킨다.
또,상기한 단계(S1)의 상세한 플로우차아트는 제12도에 도시된다.
또, 상기의 [인쇄 개시행 번호][인쇄선두행 위치][위치가능 행수][인쇄 가능 범위][문자 전개 개시점]등의 구체적인 상대위치관계는 제8도, 제9도 및 제10도에 각각 도시된다.
다음에 단계(S2)에 있어서는 인쇄제어레지스터영역의 [인자 헤드 위치]를 지정하는 레지스터(R8)에 「0」을 세트하여 [인자 헤드 위치]를 초기 설정하는 동시에 [개행 실행 위치]를 표시하는 레지스터(R9)에 「0」을 세트하여 [개방 실행 위치]를 초기설정한다.
그리고 단계 (S3)에서 LIB버퍼의 LIB를 초기화(제2도의 도시와 같이, 디지트번호 PC만을 「1」, 그밖에 전부「0」으로 설정)하고 단계(S4)에 있어서 LIB의 개행위치 P을 미리 설정된 행수식정보의 [좌측디지트 여백]에 따라 갱신한다.
또, 단계(S5)에서 레지스터(R3)에 저장된 [인쇄개시행번호]를 [인쇄행번호]로서 레지스터(R10)에 세트시키고, 레지스터(R2)에 저장된 [인쇄가능행수]를 [인쇄행수]로 하여 레지스터(R11)에 세트시키고, [문자전개시점]을 레지스터(R12) 및 레지스터(R13)에 세트시킨다. 이어서 단계(S6)에서 인쇄대상이 되는 문서에 대응하는 각 행의 LIB의 개행위치영역 P에서 개행위치의 최소치를 검출하고, 이것을 [개행실행위치]로하여 레지스터(R9)에 세트시킨다.
다음에 단계 (S9)에서, 레지스터(R9)에 유지되어 있는 [개행실행위치]가 용지 이송방향의 인쇄가능 최대도트수를 표시하는 특정치 예를들면 7FFFFFFF(H)(이하 하위 1디지트분의 "FFFF"를 생략하고 표시함)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인자가능 최대도트수에 도달되어 있으면 그대로 처리를 종료하겠으나, 인자 가능 최대 도트수에 도달안되어 있으면 다음 단계 (S8)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8)에서는 레지스터(R9)에 유지되어 있는 [개행 실행위치]로부터 레지스터(R8)에 저장하고 있는 [인자 헤드 위치]를 감산하여 그 감산결과를 「인치」로 변환한 후 단계(S9)에서 개행을 실행한다.
상기 개행동작을 실행한후 단계(S10)에서 LIB 포인터에 LIB선두 어드레서(제2도 M번지)를 세트시킨다.
그리고, 단계(S11)에서 LIB포인터가 표시하는 어드레스에서 개행위치영역 P의 개행위치를 CPU(11)에 로우드하고, 다음 단계(S12)의 처리로 들어간다.
이 단계(S12)에서는 상기 LIB의 개행위치와 상기 레지스터(R9)에 저장된[개행 실행 위치]가 동일 한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한 경우에는 단계(S13)에서 레지스터(R10)에 유지되어 있는 [인쇄행 번호]와 LIB의 디지트 번호 PC에 따라 RAM(14)내의 문서 버퍼에서 전개대상되는 문자코드를 로우드한다. 그후 단계(S14)에서 LIB의 하선접속비트가 ON("1")인가 아닌가의 여부를 판단하여 ON이 아니면 단계 (S15)에서 상기 문자코드의 하선비트 (제5도에 도시됨)가 ON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문자 코드의 하선비트가 ON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문자 코드의 하선비트가 ON이면 단계(S16)에 있어서 하선전개처리를 한 후, 단계(S17)에 있어서 문자전개처리를 실시한다. 또 상기 단계 (S15)에서 문자코드의 하선비트가 ON이 되어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즉시 단계(S17)의 처리를 실행하고, 그후 단계(S18)의 LIB갱신처리를 실행한다. 또 상기 단계(S14)에서 하선접속비트가 ON으로 판단된 경우는 단계(S22)에서 하선접속전개(문자사이 부분의 하선전개)처리를 실시한후, 단계 ((S18)의 LIB갱신처리를 한다.
이때의 하선전개처리, 및 하선접속전개처리의 상세한 플로우차아트 제15도에 도시되고, 문자전개처리의 상세한 플로우차아트는 제15도에 도시한다.
상기 LIB갱신처리를 종료한 후, 단계(S19)에서 레지스터(S12)에 유지되는 [문자전개 개시점]과 행수식 정보에 의하여 표시되는 세로방향 문자사이즈(용지이송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문자사이즈)를 가산하여 그 가산결과를 [문자기입 종료점]으로 레지스터((S13)에 기입한다.
다음에 단계 (S20)에서 레지스터(S11)에 저장된 [인쇄행수]를 「-1」한후 단계(S21)에서 그 [인쇄행수]가「0」이 되었나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인쇄행수]가 「0」의 경우에는 단계(S23)에서 캐리지리턴 및 인쇄를 실행하고, 그 인쇄처리 종료후 상기 단계(S5)의 처리로 복귀한다.
또, 단계(S21)에서 [인쇄행수]가 「0」이 아닌 것이 판단되면 단계(S24)에서 레지스터 (R10)에 유지되는 [인쇄행 번호]를 「+1」로 한다.
다음에 단계(S25)에서 「문자기입종료점(R +13)+행피치-세로방향 문자사이즈」의 연산을 하고, 그 연산 결과를 [문자기입 개시점]으로서 레지스터(R12)에 기입한다. 그리고 단계(S26)에서 LIB포인터의 내용을 「+4」한 후 단계(S11)의 처리로 복귀한다.
이하 동일한 처리가 반복 실행되어 레지스터(R9)에 유지되는 [개행 실행 위치]가 종이 이송방향의 최대 인쇄가능도트와 동일해지면 그 상태가 단계 (S7)에서 검출되어 세로가로 변환인쇄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상기 단계(S1), (S4), (S16), (S17), (S18), (S22)를 제12도 내지 제16도의 플로우차아트에 따라 설명한다.
제12도는 상기 제11도의 단계 (S1)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플로우챠아트이다.
이 제11도의 단계(S1)의 처리는 우선 제12도의 단계 (A1)에서 「선두행위차×27도트」를 인쇄가능범위로 하여 인쇄제어레지스터 영역의 레지스터(R14)에 세트시킨다.
이어서 단계(A2)에서 레지스터(R0)에 [인쇄지정 행수]를 세트시키는 동시에 레지스터(R1)에 [인쇄남음행수]를 세트시킨다.
또 단계 (A3)에서 레지스터(R3)에 [인쇄개시행 번호]를 세트시키고, 단계(A4)에서 레지스터(R7)에 [인쇄종료점]으로서 「0」을 세트시킨다.
다음에 단계(A5)에서 레지스터(R3)에 유지되는 [인쇄개시행 번호]로 표시되는 행의 문자의 세로 방향에 대한 문자사이즈를 로우드 한다.
다음에 단계(A6)에서 레지스터(R7)에 유지되는 [인쇄종료점]과 상기 세로방향의 문자사이즈를 가산하여 이것을 [가인쇄개시점]으로하여 레지스터(R5)에 기입한다.
그후 단계(A7)에서 상기 [가인쇄개시점]이 상기 [인쇄가능범위]보다 큰지 작은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상기[가인쇄개시점]이 상기 [인쇄가능 범위]보다 작을때는 단계(A8)에서 레지스터(R5)에 유지되는 [가인쇄개시점]을 인쇄개시점으로서 레지스터(R4)에 세트시킨다. 그리고 단계(A9)에서 레지스터(R1)에 유지되는 [인쇄잔여 행수]를 「-1」한 후 단계(A10)에서 상기 [인쇄잔여행수]가 「0」이 되었으냐의 여부를 판단하여 「0」이 아니면 단계 A11)의 처리로 들어간다.
이 단계(A11)에서는 레지스터(R3)에 유지되는 [인쇄개시 행번호]에서 그 행의 문자의 행피치를 로우드한다.
다음에 단계(A12)에서 상기 [인쇄종료점]을 상기 행피치분만 가산하여 그 생신된 [인쇄종료점]을 레지스터(R7)에 세트시키고, 단계(A13)에서 그 [인쇄종료점]이 「0」보다 작은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인쇄종료점]이 「0」보다 클때는 단계(A14)에서 레지스터(R3)에 유지되는 [인쇄개시행번호]를 「+1」하고, 그후 상기 단계(A5)의 처리로 복귀한다.
또, 상기 단계(A7)에서 상기[가인쇄개시점]이 상기 [인쇄가능범위]보다 크다고 판단되었을때는 단계(A15)에서 레지스터(R3)에 유지되는 [인쇄개시 행번호]를 「-1」하고, 그후 단계(A16)의 처리에 들어간다. 또 단계(A10)에서 상기 [인쇄잔여 행수]가 「0」이 되었다고 판단된 경우나, 또는 단계(A13)에서 상기[인쇄종료점]이 「0」보다 작다고 판단되었을 경우도 상기 단계(A16)의 처리로 들어간다.
이 단계(A16)에서는 상기[인쇄가능범위]에서 레지스터(R4)에 유지되는 [인쇄개시점]을 감산하여 그 감산 결과를 [문자전개 개시점]으로하여 레지스터(R6)에 세트시킨다.
그후 단계(A17)에서 레지스터(R0)에 유지되는 [인쇄지정행수]가 레지스터(R1)에 유지되는 [인쇄잔여행수]를 감산하여 그 감산 결과를 [인쇄 가능행수]로서 레지스터(R2)에 세트시킨다.
이상으로 레지스터(R2) (R3) (R6)에 대한 데이타 세트처리를 완료하고, 제11도의 단계(S2)의 처리로 이행한다.
제13도는 상기 제11도의 단계(S4)에서의 LIB개행위치를 좌측 디지트 여백으로부터 갱신하는 경우를 상세히 도시하는 것이다.
이 LIB의 개행위치 갱신처리는 우선 단계(B1)에서 LIB포인터에 LIB톱 어드레스를 세트시키고, 또 단계(B2)에서 레지스터(R3)에 [인쇄개시행번호]를 세트시키는 동시에 레지스터(R2)에 [인쇄가능 행수]를 세트시킨다.
다음에 단계(B3)에서 최소 개행위치 (제10도에 도시하는 LIB의 개행위치 PL(1)-PL(N)중 최소의 치를 나타내는 개행위치 PL(i)에 종이 이송방향의 최대인쇄가능 도트수를 표시하는 특정치「7FFF(H)」를 세트시킨다. 다음에 단계(B4)에 있어서 인쇄 개시 위치를 구하고, LIB의 개행위치(P)에 세트시킨다.
그후, 단계(B5)의 개행위치가 최소 개행위치보다 작은가의 여부를 판단하고, 개행위치가 최소 개행위치 보다 작으면 단계(B6)에서 최소개행위치에 개행위치를 세트시킨후, 단계(B7)의 처리로 들어간다. 또 개행위치가 최소 개행위치보다 클때는 직접 단계(B7)의 처리로 들어간다. 단계(B7)에서는 레지스터(R3)에 유지되는 [인쇄개시행 번호]를 「-1」하고, 이어서 단계(B8)에서 LIB포인터에 「4」를 가산하고, 다시 단계 (B9)에 있어서 레지스터(R2)에 유지되는 [인쇄가능 행수]를 「-1」한다. 그후 단계(B10)에서 레지스터(R2)에 유지되는 [인쇄가능행수]가 「0」에 도달되고 있으면 단계(B11)의 처리로 진행된다.
이 단계(B11)에서는 LIB포인터에 LIB톤어드레스를 세트시키고, 이어서 단계(B12)에서 레지스터(R2)에 [인쇄가능행수]를 세트시킨다. 그리고 단계(B13)에서 LIB포인터가 표시하는 개행위치에서 최소 개행위치를 뺀후, 단계(B14)에서 LIB포인터에 「4」를 가한다. 또 단계(B15)에서 레지스터(R2)에 유지되는 [인쇄가능행수]를 「-1」한후 단계(B16)에서 [인쇄가능행수]가 「0」이 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인쇄가능행수]가 「0」이 아니면 단계(B13)의 처리로 복귀하여 동일한 처리를 반복실시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B13)-(B16)의 처리를 반복하고, 단계(B16)에서 [인쇄가능행수]다 「0」이 된 것으로 판단되면 좌측 디지트 여백으로부터의 개행위치 갱신처리를 완료하고, 제11도의 단계(S5)의 처리로 진행한다.
제14도는 상기 제11도에 있어서의 단계(S16)의 하선전개 처리 및 단계 (S22)의 하선접속전개처리를 상세히 도시하는 것이다. 하선전개를 할 경우에는 우선 단계 (C1)에서 하선의 길이로서 가로방향의 문자사이즈를 세트시키고, 이어서 단계(C2)에서 가로 쓰기시는 문자의 좌측, 세로쓰기는 문자의 우측에 하선전개를 실시한다. 이상으로 하선전개처리를 종료한다.
또, 하선접속전개를 할 경우는 단계(D1)에서 사선의 길이로서 문자간의 간격을 세트시키고, 그후 상기 단계(C2)의 처리를 실행하여 하선 접속 전개처리를 종료한다.
제15도는 상기 제11도에 있어서의 단계(S17)의 문자전개 처리를 상세히 도시하는 것이다. 이 문자전개처리는 우선 단계(E1)에서 개행코드인가의 여부를 찬단하여 개행코드가 아니면 단계(E2)에서 LIB의 괘선접속비트가 ON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LIB의 괘선접속 비트가 ON되고 있으면 단계(E3)에서 문자코드에 가로괘선 코드를 세트시킨후 단계(E4)의 처리로 전진하고, 또 LIB의 괘선접속비트가 ON이 아니면 즉시 단계(E4)의 처리로 진행한다.
이 단계(E4)에서는 ROM(15)으로부터 문자패턴을 로우드하고 이어서 단계(E5)에서 LIB존번호를 로우드 한다. 그리고 단계(E6)에서 문자사이즈, 회전, 백발등의 행수식정보와 존번호에서 문자를 확대처리하고, 그후 단계(E7)에서 세로괘선 코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세로쇄선코드가 아니면 처리종료가된다. 또 괘선 코드인 경우는 단계(E8)로 전진하여 행간에 세로괘선 패턴을 전개하여 처리모든 종료한다. 또 상기 단계(E1)에 있어서, 개행코드로 판단되었을 경우는 단계(E9)에서 LIB의 개행 위치에 상기 인쇄가능 최대도트수를 나타내는 특정치「7FFF(H)」를 세트시키고 문자전개 처리를 종료한다.
제16도는 상기 제11도의 단계(S18)에 도시하는 LIB갱신 처리를 상세히 도시하는 것이다. 이 LIB갱신처리는, 우선 단계(,F1), (F2)에서 가로방향의 문자사이즈에서 전개최종존인가 아닌가를 판정하여, 최종존이면 단계(F3)에서 LIB의 하선접속비트가 ON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하선접속비트가 ON이면 다시 단계(F4)에서 좌반각전개후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좌반각전개후이면 단계(F5)에서 LIB의 좌반각을 ON한후, 단계(F6)의 처리로 전진하고, 좌반각 전개 후가 아니면 즉시단계(F6)의 처리로 전진한다.
이 단계(F6)에서는 LIB의 개행위치에 문자사이 간격을 가하고, 이어서 단계(F7)에서 LIB의 디지트번호를 「+1」한다. 그후 단계(F8)에서 LIB의 존번호를 「0」으로 하여 LIB갱신처리를 종료한다.
또, 상기 단계(F2)에서 최소 존이 아니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단계(F9)에서 LIB의 개행위치에 「24」를 가하고 그후 단계(F10)에서 LIB의 존번호를 「+1」하여 LIB갱신처리를 종료한다.
또, 상기 단계(F3)에 있어서 LIB의 하선접속비트가 ON되고 있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는 단계(F11)에서 LIB의 괘선 접속비트가 ON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ON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 단계 (F6)의 처리로 전진하고, ON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단계(F12)의 처리로 전진한다.
이 단계(F12)에서는 세로 괘선코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세로 괘선코드이면 단계(F13)에서 LIB의 괘선접속비트를 ON하고, 이어서 단계(F14)에서 LIB의 개행위치에 문자사이즈를 더한 후 상기 단계(F8)의 처리로 진행한다.
또, 상기 단계(F12)에 있어서 세로 괘선코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었을 경우는 단계(F15)에서 하선접속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하선접속이 필요하면 단계(F16)에서 LIB의 하선접속비트를 ON한후, 상기 단계(F14)의 처리로 전진한다.
또, 상기 단계(F15)에서 하선접속이 필요하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단계(F17)에서 LIB의 개행위치에 문자피치를 더한 후 단계(F7)에서 LIB의 디지트 번호를 「+1」하고, 다시 단계(F8)에서 LIB의 존 번호를 「0」으로하여 LIB갱신처리를 종료한다.
상기와 같은 세로 가로 변환인쇄 처리로 행을 단위로 좌측디지트 여백/행피치/문자간 간격 눈자사이즈/회전.사체/백발 등, 각 종류의 문자수식이 된 문서라도, 또한 행을 단위로 인쇄개시 디지트가 상이한 문서라할지라도 표준인쇄와 같이, 또한 임의의 지정행을 가지고 세로 가로 변환인쇄가 실행되고, 또 이때 행수식으로 인쇄대상문서가 문리적인 인쇄가능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선두행에서 인쇄가 가능한 행수만큼의 인쇄가 가능해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세로 가로 변환의 가로쓰기(제17도 (C)를 참조)를 예로하여 동작을 설명했으나 세로가로 변환의 세로쓰기에 있어서도 상기와 동일한 세로가로 변환 인쇄처리가 가능하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과 같이 본 발명의 인쇄제어방식에 의하면 행수식설정수단과 세로 가로 변환인쇄의 지정수단과, 세로 가로변환 인쇄모드에 있어서 인쇄용지상의 선두행위치를 지정하는 수단과 이 지정된 선두행위치에서 인쇄가능범위를 구하는 수단과, 이 인쇄가능범위에서 행수식에 따른 인쇄가능행수를 구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문자수식이 다른 문서인쇄에 있어서, 인쇄기구의 급지부에 세로방향으로 삽입된 용지위에 마차용지를 가로방향으로 삽입한 것처럼 인쇄가능범위를 초과하는 문서를 행단위로 절사(切捨)하는 구성함으로써 퍼스널워드프로세서에 있어서 폭이 좁은 급지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인쇄행수가 용지사이즈를 초과하는 경우라도 행을 단위로 복수종류의 문작가 혼합된 문서를 보통 인쇄와 동일한 인쇄결과가 되도록 세로 가로 변환 인쇄가 가능하고, 이로인해 인쇄기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

  1. 행수식설정수단과, 세로가로 변환인쇄의 지정수단과, 세로 가로 변환 인쇄모드에 있어서 인쇄용지상의 선두행 위치를 지정하는 수단과, 이 지정된 선두 행위치에서 인쇄가능범위를 구하는 수단과, 이 인쇄가능범위에서 행수식에 따른 인쇄가능행수를 구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문자수식이 다른 문서에 있어서의 인쇄가능 범위를 초과하는 문서를 행단위로 절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제어방식.
KR1019860009293A 1985-11-05 1986-11-05 인쇄제어 방식 KR920007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247572 1985-11-05
JP60-247572 1985-11-05
JP60247572A JPS62108066A (ja) 1985-11-05 1985-11-05 印刷制御方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322A KR870005322A (ko) 1987-06-08
KR920007696B1 true KR920007696B1 (ko) 1992-09-15

Family

ID=1716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9293A KR920007696B1 (ko) 1985-11-05 1986-11-05 인쇄제어 방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2108066A (ko)
KR (1) KR920007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2081B2 (ja) * 1987-06-12 1997-12-17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メモリのアドレス制御方式
JP2712220B2 (ja) * 1988-01-26 1998-02-1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印刷装置用画像イメージ発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2108066A (ja) 1987-05-19
KR870005322A (ko) 198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7696B1 (ko) 인쇄제어 방식
JPS60176137A (ja) 文章作成機
JPH01229673A (ja) 英殴文印刷制御方式
JPH0511319B2 (ko)
JPH0749851A (ja) 文書整形装置
JP2573174B2 (ja) 文書作成装置
JPS62108063A (ja) 印刷制御方式
JP3404770B2 (ja) 文書処理装置
JP3371435B2 (ja) 入力モード自動設定方法あるいは入力モード自動設定装置
JPS62108065A (ja) 印刷制御方式
JP2592840B2 (ja) 文字処理装置
JPS62105640A (ja) 印刷制御方式
JPS62108068A (ja) 印刷制御方式
JPH0628023B2 (ja) 文書作成装置
JPS62105641A (ja) 印刷制御方式
JP2607044B2 (ja) 文書作成装置及び文書作成装置における表示出力制御方法
JPH0666066B2 (ja) 振仮名付加機能付き文書処理装置
JPS6299154A (ja) 日本語ワ−ドプロセツサにおける印字文字サイズ変更方式
JPS59201129A (ja) 文書作成装置
JPH01193968A (ja) 文字処理装置
JPS62108067A (ja) 印刷制御方式
JPS61286177A (ja) 文書作成装置
JPH0628024B2 (ja) 文書作成装置
JPS62156768A (ja) メモ機能を有するワ−ド・プロセツサ
JPH02896A (ja) 文字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9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