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7560B1 - 이중 체인상 봉합재봉기의 하사(下絲)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체인상 봉합재봉기의 하사(下絲)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7560B1
KR920007560B1 KR1019850004341A KR850004341A KR920007560B1 KR 920007560 B1 KR920007560 B1 KR 920007560B1 KR 1019850004341 A KR1019850004341 A KR 1019850004341A KR 850004341 A KR850004341 A KR 850004341A KR 920007560 B1 KR920007560 B1 KR 920007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spreader
thread
sewing machin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4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435A (ko
Inventor
함펠 크라우스
골드벨커 빌후리드
Original Assignee
콕흐스 아들러 아게
율겐샥크, 한스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콕흐스 아들러 아게, 율겐샥크, 한스숄 filed Critical 콕흐스 아들러 아게
Publication of KR860000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7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7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1/00Loop holders; Loop spreaders; Stitch-forming fing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2Loop takers, e.g. loopers for chain-stitch sewing machines, e.g. oscil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중 체인상 봉합재봉기의 하사(下絲)의 제어장치
제1도는 이중 체인상 봉합재봉기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서 화살표 II의 방향에서 본 이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주요 소자를 보이는 투시도.
제3도는 스프레더(spreader)의 운동경과를 구동장치의 회전각에 관하여 보인 선도.
제4도는 제1도에서 화살표 IV의 방향에서 본 이중 체인상 봉합의 봉목선의 봉목 형성과정을 보이는 개략적인 사시도.
제5도는 전동장치 연쇄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베드 3 : 지주
4 : 아암 14 : 축
15 : 재료이송치 24 : 실안내도관
31 : 루우퍼 42 : 레바
43 : 스프레더 46, 47 : 스파이랄기어
48 : 횡축 53 : 실공급판
56 : 실안내장치 57 : 편심륜
67 : 기본 4개봉연개 71 : 연결편
72 : 2개링크그룹
실공급기를 포함하는 실안내장치와, 재봉방향에서 진동적으로 구동되어질수 있는 루우퍼와, 그리고 관절전동장치에 의해 재봉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진동적으로 구동되어질 수 있는 루우퍼용, 그리고 관절 전동장치에 의해 재봉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진동적으로 구동되어질 수 있는 하사용(下絲用) 스프레더(spreader)를 가지는 봉목길이의 변화 가능한 이중체인상 봉합재봉기의 하사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 체인상 봉합재봉기에서의 그러한 장치는 봉목의 형성중에 루우퍼에의 하사의 도입과 도출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이때에 스프레더는 루우퍼 첨단으로부터 나오며 돌자 구멍으로 상부를 향하여 이동하고 있는 실을 측방에 편향시키든가 또는 인출해서 하강하는 바늘첨단이 이실과 루우퍼와의 사이를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이순간에 하사가 약간 팽팽하여져서 소위 돌출을 행하여서 즉 상사의 2개의 변과 하사로부터 형성되는 실감각형에 바늘첨단이 확실히 들어가게 한다.
이러한 구조양식의 재봉기는 흔히 봉성물의 이송장치가 장비되어지며 이송은 바늘이 재료를 관통할 때 동시에 이루어진다. 그러한 이송장치는 예를 들어서 독일특허출원 P 34 11 217.0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한 소위 바늘이송 재봉기의 경우에 봉목길이가 상위하면 스프레더의 도움으로 형성된 실의 삼각형에 들어갈 때 즉 삽입운동의 동안에 바늘이 상이한 위치를 가지며, 그것에 의하여 특히 6mm이상의 큰 봉목길이의 경우에 삽입정확도가 감소한다. 삼입작업후에 하사가 루우퍼운동에 의하여 스프레더로부터 인출될 때 스프레더가 하사를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스프레더가 하사에 작용할때 전술한 과정으로부터 스프레더의 운동경과에 대하여 어떤 요구가 생긴다. 루우퍼의 바로 가까이에 무효상태로 있는 스프레더의 다른 운동경과는 어떠한 경우에도 루우퍼와의 충돌이 방지되도록 하지 않으면 안된다.
나아가서는 스프레더의 작은 진폭을 가지는 운동에 의해 하사에 스프레어다 단시간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래서 평행봉목선을 형성하기 위하여 루우퍼로부터 약간 떨어진 곳에 별도의 루우퍼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종류의 장치는 독일연방공화국 카이젤라우텐에 있는 Pfaff사의 간행물 "PFAFF adjusting instructions Pfaff 5642, No.296-12-13 924"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간행물에 의하면 스프레더는 스프레더의 운동에 관한 요구사항을 다만 제한된 범위내에서 충족시키는 관절전동장치에 의하여 구동된다. 6mm의 최대 봉목길이를 가지는 봉목을 생성하기 위하여 그 첨단이 굴곡된 스프레더가 설치되어졌다. 이들 수단은 하사의 석방에 영향을 미치며 스프레더의 운동과정에 있어서 부족한 것을 보완한 것을 보완하는 역활을 한다. 극히 신중히 조정해야 하는 이들 스프레더의 이외에 이 장치는 하사제어를 위하여 실공급기의 범위에 실통과륜(通過輪)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의 실통과륜은 설정된 봉목길이에 의존하여 서로의 관계에서 상이한 위치를 갖는다. 이들 실통과륜은 상이한 탄성의 실을 처리하기 위하여 조정되어질수 있다. 이 장치는 확실한 봉목형성을 행하고 6mm보다 상당히 더 큰 봉목길이에 대하여도 좋은 봉목의 체결을 이룰 수 있을 만큼 봉목형성을 영향하는데는 적당하지 않다.
이 발명의 과제는 구조적으로 간단히 구성되어 취급이 용이하고 상술한 봉성기술상의 요구를 충족하는 이중 체인상 봉합 재봉기의 하사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과제는 이 발명에 따라서 관절전동 장치가 6개의 링크와 3개의 고정지지체를 가지는 전동장치로서 구성되어서, 4링크 기본전동장치와 그후에 접속된 연결링크부크랭크로부터 되며 스프레더의 하사를 확장하지 않는 운동기간중, 2개의 링크가 극단위치의 범위에 안내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확장과정을 비교적 짧은 시간에 일어나는 그러한 운동이 스프레더에게 주어지도록 할 수가 있다. 스프레더는 확장중에는 비교적 빨리 움직이며 불활동의 단계중에는 강하게 감속되고 그의 극단적인 위치에서는 거의 정지상태에 있게된다. 이 발명에 따르는 장치는 단순한 설계를 가지는 스프레더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며 봉목길이의 범위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실안내소자의 이동을 불필요하게 한다. 관절전동장치의 링크의 극단적인 위치에서는 신장위치 혹은 중첩위치만이 있도록 될수가 있다.
나아가서는 이 발명에 의하여 관절전동장치와 스프레더와의 대단히 적은 유격을 보이는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 발명은 대단히 정확하고 저렴하게 만들어질 수 있는 전동장치소자들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
청구범위 제4항에 따르는 구조적인 구성에 의해서는 회전하고 있는 구동축이 동시에 회전하는 실공급판의 구동에도 안가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종류의 실공급판은 레버실공급기에 비하여 그 동작특성을 특히 단순한 방법으로 봉성기술적인 과정에 적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실공급판을 축선방향곡선통로로서 구성하면 장소를 절약하는 구조의 이점이 얻어진다.
이 발명의 또다른 장점과 특징은 우선하는 실시예와 수반하는 도면의 다음 기술로부터 명백하여진다. 도면에는 재봉기(1)이 베드(2)을 가지며 이 베드의 일단에는 상방으로 뻗어있는 지주(3)가 나사고정되어 있다.
이 지주(3)는 베드(2)에 평행하며 두부(5)에서 단부를 이루고 있는 아암(4)으로 형성되어 있다. 아암(4)내에는 아암축(6)이 회전가능하도록 피봇트 연결되어 있으며 그 일단이 핸들바퀴에 고정된 벨트풀리(8)를 가지는 핸들바퀴(7)을 수용하기 위하여 지주(3)을 통하여 돌출한다.
벨트폴리(8)는 재봉기(1)의 구동장치의 벨트(9)가 연결되어 있다. 아암축(6)의 타단(도시하지 않음)은 두부(5)에서 끝나고 있으며 침봉(10)을 상하왕복운동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표시되지 않은 크랭크가 통상적인 방법으로 설치되어 있고 표시되지 않는 소자들을 거쳐서 실인상레바(112)이 설치되어 있다. 침봉(10)은 표시되지 않은 요동 후레임 내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요동 후레임은 재봉방향 또는 이송방향(V)에서 또는 반대방향에서 표시되지 않은 소자들을 거쳐서 요동할 수 있도록 구동된다. 침봉(10)의 하단에는 바늘(12)이 부착되어 있다.
아암축(6)은 차차 전동벨트(13)(변속비 1 : 1)을 거쳐서 축(14)에 피봇트 연결되어 있으며 이 축(14)은 베드(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주(3) 및 베드(2)의 내부에는 표시되지 않은 이송장치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 이송장치는 바늘(12)의 범위안에 있는 재료이송치(15)에 구동결합되어 있다. 그러한 종류의 이송장치는 예를 들면 독일특허출원 제P 34 11 217.0호에 기재되어 있다.
제1도에 의하면 지주(3)의 전방측에는 개구(1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개구를 통하여 재료이송치(15)의 이송증분을 변동하기 위한 설정레바(17)가 돌출하고 있다. 설정레바(17)의 설정은 눈금(18)을 사용하여 행하여진다.
지주(3)의 전면에는 상사(20)를 위한 실체결장치(19)와 하사(22)를 위한 실장력기(21)가 설치되어 있다.
상사(20)와 하사(22)는 각각 실공급장치에 의하여 재봉기에 공급된다. 실체결장치(19)를 통과한후에 상사(20)는 아암(4)의 전면에 위치한 안내편(23)을 거쳐서 실인상레바(11)에 그리고 그 다음에 바늘(12)에 인도된다. 실장력기(21)를 통과한후에 하사(22)는 지주(3)의 전면에 위치하여 있고 베드(2)에 도달하기 바로전에 끝나고 있는 실안내통로(24)를 통과한다. 이 범위에서 베드(2)에는 통과륜(25)에 도달한때까지 하사(22)의 통로를 위한 표시되지 않은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실통과륜(26)은 S자 모양의 실안내편(27)의 부분이며 이 S자 모양의 실안내편에는 실통과륜(26)에 추가하여 중간 실통과륜(28) 및 또다른 실통과륜(29)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통과륜(29)으로부터 하사(22)는 베드(2)에 형성된 또다른 실통과륜(30)을 지나고 마지막으로 이중체인상 봉합 루우퍼(31)에 도달한다. 제4도에 의하면 루우퍼(31)은 이송방향(V)와 반대방향으로 뻗쳐있는 루우퍼판(32)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루우퍼판(32)의 자유단은 루우퍼첨단(33)을 형성한다. 나아가서 루우퍼판(32)은 루우퍼첨단(33)의 범위에 있는 구멍(34)로부터 나올 때까지 하사(22)를 안내하기 위한 표시되지 않은 U자 모양의 홈이 설치되어 있다.
루우퍼(31)는 캐리어(35)를 거쳐서 축(36)에 결합되어 있으며 이 축은 축(14)와 평행하게 되어있고 베드(2)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베드(2)안에는 표시되지 않은 전동장치가 루우퍼(31)를 진동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기어는 축(14)에 회전 구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도에 따르면 베드(2)에 위치한 지지체(37),(38)내에 접동봉(39)이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접동봉은 축(36),(14)와 평행하게 뻗쳐있다. 축(36)과 같이 역시 접동봉(39)도 베드(2)의 중간범위로부터 벽(40)을 통하여 바늘(12)의 작동범위로 돌출한다. 접동봉(39)은 단(段)을 이루고 있는 단부(端部)(41)를 가지며 이 단부에는 레바(42)가 고정되어 있다. 이 레바(42)는 이송방향(V)로 뻗쳐 있으며 수평선에 관하여 약간 하방으로 경사되어 있다. 레바(42)의 자유단은 탄성침금으로부터 만들어졌고 첨단(44)에서 끝나는 스프레더(43)가 돌출한다. 스프레더(43)은 루우퍼(31)위에서 거의 직선적으로 뻗쳐 있으며 그이첨단(41)은 이송방향(V)에서 보아서 바늘(12)의 범위에서 끝나고 있다.
제2도에는 축(14)의 일부분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축은 베드(2)의 지지체(45)에 지지되어 있으며 구동하는 스파이랄기어(4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파이랄기어(46)는 축(14)에 관하여 직각으로 되어있고 이 축밑으로 뻗쳐있는 구동축으로로서의 횡축(48)상에 상대회전 하지 않도록 부착되어 있는 종동 스파이랄기어(47)에 물린다. 이 두 스파이랄 기어(46),(47)은 변속비가 1 : 1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횡축(48)은 지지체(38)에 결합된 지지체(49)와 그리고 베드(2)의 지지체(5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파이랄기어(47)로부터 멀리 떨어진 편의 횡축(48)의 단부(51)에는 실공급판(53)의 중심부(52)가 고정되어 있다.
실공급판(53)은 동축의 케이싱(54)을 가지고 있으며 이 케이싱의 둥근모서리로 만든 단면은 횡축(48)의 종방향으로 특수윤곽의 곡선통로(55)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케이싱(54)은 실통과륜(26),(28)이 형성된 실안내편(27)의 U자형상의 범위로 돌출한다. 실장력기(21), 실안내통로(24), 실통과륜(25), 실통과륜(26),(28),(29)를 가지는 실안내편(27), 구멍(30) 그리고 곡선통로(55)를 가지는 실공급판과 같은 하사(22)의 안내 요소들은 실안내장치(56)로서 표시되어 있다.
제2도에 의하면 횡축(48)은 지지체(49),(50)사이에서 인장봉(58)의 칼라에 의하여 돌려쌓인 편심륜(57)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핀(59)은 관절계수(61)를 형성하는 연결봉(60)를 회전가능 하도록 수용하기 위하여 인장봉(58)의 자유단에 압입되어 있다. 연결봉(60)은 지지체(62)에 의하여 핀(6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핀(63)은 베드(2)의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봉(60)은 횡축(48)에 대하여 직각으로 뻗어있으며 즉 핀(63)은 횡축(48)에 대하여 평행으로 뻗쳐있다. 연결봉(60)의 관절계수(61)에 인접하여 그리고 이것에 평행하여 관절계수(65)가 지지핀(66)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지지체(50),(64), 핀(63), 편심륜(57), 지지핀(59)를 가지는 인장봉(58), 그리고 관절계수(61)와 지지개소(62)를 가지는 연결봉(60)으로부터 되는 소자의 전체는 4링크 기존전동장치(67)를 형성하며 이 링크에서 연결봉(60)은 그의 지지개소(62)와 그의 관절계수(61),(65)와 함께 삼각형 레바의 종류의 종동요동편(68)을 형성하고 있다.
지지핀(66)은 레바(69)의 일단에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레바의 타단은 핀(70)을 회전할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다. 핀(70)은 접동봉(39)에 고정연결된 결합편(71)의 구성부분이다. 전동장치 기술상의 의미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지지체(37),(38)에서의 접동봉(39)의 지지에 의해 베드(2)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이한 길이의 연결봉의 기능을 가지는 장치가 얻어진다. 그점에 있어서는 지지체(37),(38)와 결합편(71) 및 핀(70)을 가지는 접동봉(39)에 의하여 형성된 이 상상적인 연결봉은 레바(69)와 함께 연결링크부 크랭크(72)를 형성하고 있다. 4링크 기본전동장치(67)과 그 뒤에 접속되는 연결링크부 크랭크(72)로부터 얻어지는 모든 전동장치소자의 전체는 평탄한 6링크 3관절전동장치(73)를 형성한다. 이 경우에 4링크 기본전동장치(67)을 가지는 연결링크부 크랭크(72)는 스프레더(43)이 이송방향(V)에서 볼때에 그의 좌측의 극단적인 위치를 취할 때에 레바(69)와 지지개소(62) 및 관절계수(65)를 가지는 연결봉(60)이 편심륜(57)에 의하여 거의 신장위치로 움직여지도록 배열된다.
제5도에는 제2도에 따르는 전동장치의 구조가 원칙적으로 연쇄에 의하여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대응하는 소자들은 같은 관련번호로 그러나 "a"를 첨가하여 표시되었다. 그위에 제5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접동봉(39a)는 레바(69a)를 거쳐서 종동요동봉(67a)에 관절결합되어 있다. 그래서 접동봉(39a)의 운동은 원호구분상에서 움직이는 관절계수(65a)로부터 나오게 된다. 하사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아암축(6)을 위하여 바늘(12)을 포함하는 침봉(10)과 실인상 레바(11)가 송강운동되어 진다. 축(14)은 치차전동벨트(13)을 거쳐서 같은 각도의 회전을 한다. 설정레바(17)의 설정에 따라서 이송장치의 축(14)의 회전운동은 재료이송치(15)에게 장방형운동을 하게 하며 이 장방형 운동은 도시하지 않은 통상적인 대향지지체와 함께 재봉되어질 재료(N)를 재봉방향 혹은 이송방향(V)에 이송한다.
이들 운동을 하는 동안에 승강하는 침봉(10)에는 이송방향(V)및 그의 역으로 뻗는 요동운동이 중첩되어 바늘(12)이 봉성물(N)에 찌를 때 항상 봉성물(N)의 이송이 행하여지도록 되어있다. 바늘(12)은 재료이송치(15)에 설치되어 있는 바늘 구멍으로 들어간다. 재봉 조작중에 바늘(12)과 이송치(15)의 상기한 공동작용은 일반적으로 소위 바늘-운송 재봉기(needle-transport sewing machines)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축(14)의 회전운동에 의하여 편심륜(57)의 구동축으로서 작용하는 횡축(48)은 스파이랄기어(46),(47)를 거쳐서 회전 구동되며 여기서 횡축(48)의 회전수는 스파이랄기어(46),(47)과 치차부 전동벨트(13)의 1:1의 변속비에 의해 아암축(6)의 회전수에 동등하다. 요동운동은 횡축(48)에 의하여 구동된 편심륜(57)에 의하여 인장봉(58) 및 핀(59)을 거쳐서 종동요동편(68)에 전달된다. 이때에 연결봉(60)이 행하는 요동운동은 지지핀(66)을 거쳐서 레바(69)로 전달되며 이 레바(69)가 다시 결합편(71)을 거쳐서 이송방향(V)에 직각으로 접동봉(39)을 왕복운동시킨다. 접동봉(39)의 이 왕복운동때문에 스프레더(43)도 역시 봉성 혹은 이송방향(V)에 대하여 직각인 진동운동을 행한다. 이 진동운동은 루우퍼(31), 바늘(12)을 가지는 침봉(10), 실인상레바(11)과 재료이송치(15)의 운동과 동일한 주기를 갖는다.
횡축(48)이 회전함에 따라서 실공급판(53)이 역시 회전하며 이 경우에 케이싱(54)의 곡선통로(55)가 실통과륜(26),(28)사이에 안내되고 곡선통로(55)에 접촉하고 있는 하사(22)에 작용한다.
실공급판(53)에 의해 실공급장치로부터 다시 하사(22)가 인출되나 또는 하사(22)가 영향을 받지않고 있거나 또는 하사(22)가 루우퍼(31)에 의하여 철거된다.
제3도에는 스프레더(43)의 운동(A)은 축(14) 혹은 횡축(48)의 회전각도(T)에 관련하여 곡선(74)에 의하여 표현된다 곡선(74)의 경로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3관절전동장치(73)이 그의 신장위치를 가지며 따라서 스프레더(43)가 시간적으로 현저한 정지상태를 가지는 극단위치A0에 있어서 스프레더(43)의 진동운동이 시작된다. 이 순간에 횡축(48)은 회전각도 T0를 갖는다. 약 90°의 회전각도 T1이 경과된후에 여기서 스프레더(43)는 그의 극단적인 위치 A0로부터 약간 떨어진후 하사(22)에 스프레더(43)가 A1에 상당하는 위치를 취하고 있을 때에 그 시점에서 스프레더(43)가 접촉한다. 계속되는 경과에 있어서 스프레더(43)가 곡선(74)의 경과에 따라서 소위 삽입의 순간이 일어나며 즉 하강하는 바늘(12)이 상사(20)의 2개의 각변과 하사(22)의 각변과에 의해 형성되는 실삼각형에 들어간다. 이 순간은 바늘(12)의 첨단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우퍼판(32)의 상측면의 높이에 위치되어 있도록 정해지고 있다. 곡선(74)의 경로에 따라서 횡측(48)은 이제 각도 T2을 취하며 이 T2는 약 180°이며 즉 스프레더(43)의 반전점에 상응한다.
제3도는 스프레더(43)이 비교적 단기간동안 하사(22)에 작용하는 것을 보인다. 스프레더(43)는 그의 진동운동이 70 내지 80%를 약 90°의 회전각을 행한다. 곡선의 계속되는 경과에서 스프레더(43)는 활발하지 않은 운동을 행하며 여기서 상기 스프레더는 하사(22)와의 어떤 접촉도 없이 횡축(48)의 회전각도 T0'에 상응하는 극단적인 위치 A0'에 곡선(74)의 나머지 경로에 따라서 감속되어 돌아온다. 곡선(74)의 경로에 따르는 스프레더(43)의 운동에 의하여 재봉작업에 유리한 스프레더 운동이 봉목길이의 비교적 넓은 범위에 걸쳐서 이루어진다. 스프레더(43)의 감속된 혹은 가속된 운동 경과에 의해 한편으로는 장소를 절약하는 진동폭이 얻어지며 다른 한편으로는 회전각도에 걸쳐서 또는 스프레더(43)의 작용하는 T1부터 T2까지의 시기에 걸쳐서 실공급판(53)의 상응하는 형성에 의하여 하사(22)를 팽팽하게 유지하게하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래서 삽입정확성은 더 증대된다.

Claims (5)

  1. 실안내장치와, 이송방향에서 진동구동가능한 루우퍼와, 관절전동장치에 의하여 이송방향에 직각으로 진동구동가능하며 재봉기의 아암축을 가지고 구동연결에 있는 하사용 스프레더를 가지며 봉목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이중체인상 봉합재봉기의 하사의 제어를 위한 장치에 있어서, 6개링크(2,57,58,60,69,39')로서 관절전동장치를 가지는 점동장치가 3개의 고정지지체(50,63,38)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으며 이 링크장치는 4개의 링크(2,57,58,60)로 부터 되어있는 기본전동장치(67)와 그뒤에 접속된 2개의 링크(69,39)로된 연결링크부 크랭크(72)로 부터되며 이중에서 제1링크(레바 69)는 기본 전동장치(6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제2링크(접동봉)가 스프레더(43)를 가지며 여기서 연결링크부 크랭크(72)의 양링크(69,39)는 하사(22)를 확정하지 않는 스프레더(43)의 운동도중에 극단적인 위치의 범위에 안내되어지며 그리고 나아가서 스프레더(43)는 아암축(6)의 90°회전의 동안에 하사(22)를 확정하고 있는 운동의 대부분을 행하는 이중체인상 봉합재봉기의 하사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4링크 기존전동장치(67)는 종동 요동편(68)을 가지며 이종동요동편에는 연결링크부크랭크(72)의 제1링크(레바 69)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링크부 크랭크(72)의 제2링크는 접동봉(39)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관절전동장치는 이송방향(V)에 평행한, 회전구동이 가능한 구동축을 가지는 평탄한 전동장치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실안내장치(56)는 이송방향(V')에 반대방향의 구동축(횡방향축 48)의 단부에 배열된 실공급판(53)을 가지며 이 실공급판은 축방향으로 뻗쳐있는 동축의 곡선 통로(5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850004341A 1984-06-28 1985-06-19 이중 체인상 봉합재봉기의 하사(下絲)의 제어장치 KR9200075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43423753 DE3423753A1 (de) 1984-06-28 1984-06-28 Vorrichtung zum steuern des greiferfadens einer doppelkettenstich-naehmaschine
DEP3423753.4 1984-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435A KR860000435A (ko) 1986-01-28
KR920007560B1 true KR920007560B1 (ko) 1992-09-07

Family

ID=623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4341A KR920007560B1 (ko) 1984-06-28 1985-06-19 이중 체인상 봉합재봉기의 하사(下絲)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643114A (ko)
JP (1) JPS6113996A (ko)
KR (1) KR920007560B1 (ko)
BR (1) BR8503086A (ko)
DE (1) DE3423753A1 (ko)
IT (1) IT118512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0586B2 (en) 2014-03-13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iving unit and cleaning robot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713500U1 (ko) * 1987-09-29 1987-12-03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De
US5431118A (en) * 1994-08-12 1995-07-11 James Cash Machine Co., Inc. Dry sewing machine including loop spreader
JP2001314681A (ja) * 2000-05-02 2001-11-13 Yamato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KR100465457B1 (ko) * 2001-08-17 2005-01-13 오의택 스팡글 띠
MD4187C1 (ro) * 2011-03-24 2013-06-30 СИЛОЧ Харалампие Procedeu de formare a cusăturilor încheiate în două fire într-un rând şi/sau mai multe rânduri de cusături în lanţ cu un singur fir, legate cu un fir suplimentar şi dispozitiv pentru realizarea acestuia la maşini de cusu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49073A (en) * 1933-05-12 1934-02-27 Horace F Gruman Sewing machine
US3093821A (en) * 1952-07-01 1963-06-11 Frederick C Alpers Control system for homing guided missile
US3783810A (en) * 1970-11-18 1974-01-08 Rimoldi C Spa Virginio Looper driving device with periodically variable speed in zig-zag chainstitch sewing machines
DE3070979D1 (en) * 1980-08-22 1985-09-19 Pfaff Ind Masch Feed foot for sewing machine
DE3411217A1 (de) * 1984-03-27 1985-10-10 Kochs Adler Ag, 4800 Bielefeld Doppelkettenstich-naehmas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0586B2 (en) 2014-03-13 2018-04-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riving unit and cleaning robot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63239B2 (ko) 1988-12-06
BR8503086A (pt) 1986-03-11
KR860000435A (ko) 1986-01-28
DE3423753A1 (de) 1986-01-09
JPS6113996A (ja) 1986-01-22
DE3423753C2 (ko) 1987-04-16
IT8521326A0 (it) 1985-06-27
US4643114A (en) 1987-02-17
IT1185125B (it) 1987-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2995A (en) Sewing machine having a driven feed roller
KR920007560B1 (ko) 이중 체인상 봉합재봉기의 하사(下絲)의 제어장치
US6568051B2 (en) Apparatus for needling a non-woven material
US4422398A (en) Top feed device for a sewing machine
US4974534A (en) Double chain stitch sewing machine having a looper and a looper thread spreader
US4347797A (en) Sewing device for producing fastening stitches and tack stitches
EP2615199A1 (en) Buttonholing machine
GB1350007A (en) Sewing machines
GB1477790A (en) Apparatus for deriving an angular oscillatory motion from a continuous rotary motion
US4599957A (en) Looper actuating device for sewing machines
US4439175A (en) Apparatus for forming thermal insulation blocks
JP2730784B2 (ja) 下部布送り装置を備えたミシン
US3835716A (en) Crank-driven reciprocating mechanisms
KR920007559B1 (ko) 체인상 봉합 재봉기
KR960001822B1 (ko)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는 바늘대를 구비한 재봉기
GB2312686A (en) Thread control device
KR860009169A (ko) 편물 결합용 봉합기
KR20060106868A (ko) 루퍼 구동 장치
ITTO941007A1 (it) Macchina da cucire con meccanismo di alimentazione inferiore.
US3150622A (en) Reverse feed two thread chainstitch sewing machines
US4838047A (en) Operating device for thread guide rails in crochet galloon looms
US2619058A (en) Tissue feed-dog driving mechanism of sewing machines
US4604958A (en) Feed drive for the work holder of a zig-zag sewing machine
US4641593A (en) Zigzag and transport device for sewing machines
SU753951A1 (ru) Швейна машина цепного стеж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8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