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888B1 -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비상메시지의 자동 통보방법 - Google Patents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비상메시지의 자동 통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888B1
KR920006888B1 KR1019900006261A KR900006261A KR920006888B1 KR 920006888 B1 KR920006888 B1 KR 920006888B1 KR 1019900006261 A KR1019900006261 A KR 1019900006261A KR 900006261 A KR900006261 A KR 900006261A KR 920006888 B1 KR920006888 B1 KR 920006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line
trunk line
unit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20615A (ko
Inventor
이일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정용문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0000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888B1/ko
Publication of KR910020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206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비상메시지의 자동 통보방법
제1도는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중 텔레폰 유니트의 블럭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텔레폰 유니트 2 : 세큐리티 유니트
3 : 텔레콘트롤 유니트 4 : 경비실
5 : 모니터 S1-Sn : 센서
M1-Mn : 가전기기 T1-Tn : 키폰전화기
11 : 마이컴 12 : 메모리
13 : 핸드세트 14 : 스피커폰
15 : 하이브리드 16 : DTMF 센서
17 : 스위칭회로 18 : 국선 인터페이스
본 발명은 가정 자동화 시스템(Home Automation System)의 경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상 발생시 발생되는 비상 메시지를 외부로 자동 통보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가 복잡해짐에 따라 가정내에서 발생되는 위급한 상황들을 경보하기위한 방법·방재기능의 가정자동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즉, 항상 위험이 내포되어 있는 현대사회에서 만약의 경우 야기될 수 있는 가정내에서의 화재발생, 가스누출, 방법들의 비상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이를 가정자동화 시스템에서 경보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비상상황을 시스템내에 실장된 스피커를 통해 음성메시지를 발생하며, 외부로 비상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전용선을 별도로 설치하여야 했으므로 시스템의 가격이 상승되는 동시에 비상발생을 알릴 수 장소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상황을 발생하는 세큐리티 유니트에 텔레폰 유니트를 연결하여 비상 메시지 발생시 텔레폰 유니트에서 자동으로 외부에 비상상황을 알릴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큐리티 유니트에서 비상상황 발생시 텔레폰 유니트에 저장된 전화번호들을 자동 다이알링한 후, 해당 전화 가입자가 훅크 오프할 시 세큐리티 유니트의 출력을 가입자측으로 연결하여 비상메시지를 자동으로 통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로서, 키폰 전화기(T1-Tn)들이 접속되어 국선측과 텔레폰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비상 데이타 수신시 내부의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알링하여 세큐리티 유니트와 국선 가입자간에 통화로를 형성하는 텔레폰 유니트(telephone unit)(1)와 센서(S1-Sn)와 연결되며, 임의 센서에서 비상상황 감지시 이를 텔레폰 유니트(1)로 알리는 동시에 해당 센서에 의한 비상상황을 음성 메시지로 발생하는 세큐리티 유니트(security unit)(2)와, 가전기기(M1-Mn)와 연결되며, 상기 텔레폰 유니트(1)로부터 원격 제어신호 발생시, 이 신호를 분석하여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거나, 자체 콘트롤 키에 의해 해당 가전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텔레콘트롤러 유니트(telecontroller unit)(3)와, 상기 텔레폰 유니트(1)와 연결되어 비상 상황 발생을 수신하는 경비실 유니트(4)와, 상기 경비실 유니트(4)와 텔레폰 유니트(1)에 연결되어 비상상황을 표시하는 모니터(5)로 이루어진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중 텔레폰 유니트(1)의 블럭 구성도로서, 텔레폰 유니트(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11)와, 비상상황을 알리기 위한 전화 번호들을 저장하는 동시에 프로그램 수생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12)와, 핸드세트(13) 및 스피커폰(14)과, 키폰전화기(T1-Tn) 및 핸드세트(13) 또는 스피커폰(14)과 인터페이싱 동작을 수행하는 하이브리드(15)와, 상기 마이컴(16)의 제어하에 DTMF 다이알 신호를 발생하는 DTMF 센서(Dual Tone Multi Frequency Sender)(16)와, 상기 마이컴(11)의 제어하에 통화로를 형성하는 스위칭회로(17)와, 국선과 텔레폰 유니트간의 인터페이싱 동작을 수행하는 국선 인터페이스(18)와, 상기 마이컴(11)의 제어하에 핸드세트(13) 또는 스피커폰(14)의 음성통로를 온/오프시키는 아나로그 스위치(19, 20)로 구성된다. 상기 텔레폰 유니트(1)는 공지의 구성으로 키 텔레폰 시스템(key telephone system)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흐름도로서, 상기 세큐리티 유니트(2)로부터 비상 발생 데이타 수신시 국선 상태를 검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국선 휴지 상태일시 국선을 연결하고 저장 다이알 번호를 송출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 수행 후 국선측으로 응답신호 수신시 상기 세큐리티 유니트(2)의 출력을 국선 가입자와 연결하고 종료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 수행 후 국선 비지 상태이거나 일정시간 이상 응답 신호가 없을시 통보선을 변경하여 타 전화번호에 대한 다이알링 수행 후 상기 제2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4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국선 비지 상태일시 비상 발생중이면 국선과 내선으로 상기 세큐리티 유니트(2) 출력을 연결하여 내선으로 비상상태를 알리고 종료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국선 착신중이면 해당 국선으로 상기 세큐리티 유니트(2)의 출력을 연결하여 비상상태를 알리고 통화로를 단절한 후 상기 제2과정으로 진행하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구성에 의거 본 발명을 제1도, 제2도, 제3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텔레폰 유니트(1), 세큐리티 유니트(2) 및 텔레콘트롤러 유니트(3)의 각 구성은 공지의 기술로서, 텔레폰 유니트(1)는 공지의 키 텔레폰 기능을 수행하며, 세큐리티 유니트(2)는 센서(S1-Sn)와 연결되어 각 센서(S1-Sn)에서 비상 상황 감지시 해당 비상상황에 대한 음성 메시지를 발생하고, 텔레콘트롤러 유니트(3)는 원격 제어신호에 의해 연결된 가전기기(M1-Mn)중 해당 가전기기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본 발명과 관련되는 구성은 텔레폰 유니트(1)와 세큐리티 유니트(2)로서 상기두 유니트는 2쌍의 선로로 연결되어 있는데, 1쌍의 오디오 선로는 스위칭 회로(17)와 연결되고 1쌍의 데이타 선로는 마이컴(11)에 연결된다. 이때 상기 세큐리티 유니트(2)와 텔레폰 유니트간에는 데이타 선로를 통해 주기적인 시그날링 데이타(signalling data)를 주고 받는데, 세큐리티 유니트(2)에 연결된 센서(S1-Sn)중 임의 센서에서 비상 상황감지시 세큐리티 유니트(2)는 상기 데이타 선로를 통해 비상상태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즉, 화재발생, 방범, 가스누출등의 비상상황을 감지하면 상기 세큐리티 유니트(2)는 비상 발생 데이타를 데이타 선로를 통해 텔레폰 유니트(1)로 전송한다. 또한 텔레폰 유니트(1)와 경비실 유니트(4)간에는 오디오 신호 및 DTMF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1쌍의 선로가 연결되고, 키폰 전화기(T1-Tn)와도 1쌍의 선로가 연결된다. 이때 세큐리티 유니트(2)로부터의 비상 데이타가 발생되면 텔레폰 유니트(1)의 마이컴(11)은 데이타 선로를 통해 이를 인지하고, 스위칭 회로(17)를 제어하여 경비실 유니트(4) 및 내부 스피커폰(14)로 비상상황을 통보하는 동시에 메모리(12)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자동으로 다이알링하여 비상 메시지를 외부로 통보한다. 이때 상기 외부로 비상상황이 통보되는 과정을 제3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메모리(12)에 외부로 자동 다이알링하여 비상 메시지를 통보하기 위한 전화번호를 3개정도 기억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텔레폰 유니트(1)의 마이컴(11)과 세큐리티 유니트(2)간에는 주기적인 시그날링 데이타를 주고 받는다. 이때 세큐리티 유니트(2)에서 비상 데이타가 발생되면, 마이컴(11)은 이를 감지하고 (302)단계에서 스위칭회로(17)를 제어하여 경비실 유니트(4) 및 스피커폰(14)으로 비상상황 발생을 통보한다.
이후 마이컴(11)은 (304)단계에서 메모리(12)의 소정영역에 할당된 비상전화번호 저장영역을 리드하여 자동 통보할 전화번호가 기록되어 있는가 감사하며, 없는 경우에는 비상 메시지 통보동작을 중지하고 종료한다. 그러나, 상기 (304)단계에서 비상 메시지를 자동 통보할 전화번호가 존재하면, (306)단계에서 현재 텔레폰 유니트(1)의 국선상태가 휴지상태(idle)인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306)단계에서 휴지상태(idle)로 판명되면 (308)단계에서 국선 인터페이스회로(18)의 국선 릴레이를 "온"시켜 국선을 선택하고, 스위칭회로(17)를 제어하여 DTMF 센더(16)를 국선측에 연결한다. 그리고 (310)단계에서 메모리(12)에 기록된 전화번호중 제1번호를 리드한 후, 100㎳ 간격으로 DTMF 센더(16)를 구동하여 국선측으로 디지트 신호를 송출한다.
이후 마이컴(11)는 (312)단계에서 국선의 상태를 분석하는데, 국선으로부터 링백톤(ring back tone)이 수신되면, 해당 전화번호의 가입자가 휴지중인 상태이므로 (314) 단계에서 국선측의 가입자가 훅크 오프상태로 천이되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국선측의 가입자가 훅크 오프상태로 천이되면 (316)단계에서 마이컴(11)은 스위칭회로(17)를 제어하여 세큐리티 유니트(2)의 오디오 신호를 국선 인터페이스회로(18)와 연결시켜 세큐리티 유니트(2)에서 발생하는 비상 메시지를 송출시킨다. 비상 메시지 송출 후, (318)단계에서 마이컴(11)은 메모리(12)에 저장하고 있는 모든 전화번호에 대하여 비상 메시지를 송출하였는가 검사한다. 이때 모든 전화번호에 대하여 비상 메시지가 송출되지 않는 경우에는 (322)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12)에 저장하고 있는 전화번호를 리드한 후 DTMF 센서(16)를 통해 다이알을 송출한 후 (312)단계로 되돌아간다. 또한 (312), (314)단계를 통해 링백톤이 수신되는 과정에서 훅크오프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320)단계에서 소정 시간(약 30초) 대기한 후, (322)단계로 진행하여 타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한다. 또한 상기 (312)단계에서 해당 전화번호의 가입자가 통화중 상태(busy tone 수신)이면, (322)단계에서 메모리(12)에 저장하고 있는 또 다른 전화번호를 리드하여 다이알 송출한다.
따라서 상기 (312)-(322)단계를 종합해 보면, 메모리(12)에서 리드한 후 자동 다이알링(auto dialing)하여 송출된 전화번호의 국선 가입자 상태는 3가지 경우가 있는데, 먼저 국선가입자가 통화중 상태(busy tone 수신)이면, 마이컴(11)은 통보선을 변경하여 메모리(12)에 기록된 다른 전화번호를 송출한다. 두번째로 국선 가입자가 휴지상태(ring back tone 수신)이면 30초 동안 해당 국선가입자의 훅크 오프상태 천이를 검사하는데, 국선 가입자가 30초 이상 응답하지 않으면 해당 국선 가입자가 응답할 수 없는 상태로 간주하고, 마이컴(11)은 통보선을 변경하여 메모리(12)에 기록된 또 다른 전화번호를 송출한다. 세번째로 국선 가입자가 훅크오프상태로 천이되면 마이컴(11)은 스위칭회로(17)를 제어하여 세큐리티 유니트(2)의 음성 메시지 통로를 국선 인터페이스회로(18)와 연결하므로 세큐리티 유니트(2)의 비상 메시지를 국선 가입자측으로 송출한다. 이후 비상 메시지 송출 메시지가 완료되면, 메모리(12)에 저장한 전화번호에 대한 비상 메시지 송출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또한 비상 메시지 송출과정이 종료되면 텔레폰 유니트(1)에서 비상 메시지를 국선의 외부 가입자측으로 송출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상기의 과정은 텔레폰 유니트(1)의 국선이 휴지상태일시의 동작과정이며, 비상상황 발생시 텔레폰 유니트(1)가 공교롭게도 국선 착신 상태이거나 국선 발신 상태일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06)단계에서 텔레폰 유니트(1)의 국선이 비지상태일 시 (324)단계에서 마이컴(11)은 국선이 착신상태인가 검사한다. 이때 국선착신상태(즉 국선링 신호가 수신되는 상태)일시에는 (326)단계에서 마이컴(11)은 스위칭회로(17)를 제어하여 세큐리티 유니트(2)이 음성 메시지 통로를 국선 인터페이스회로(18)로 연결함으로서, 국선 착신호를 자동 응답하여 비상 메시지를 국선 가입자측으로 송출하며, 30초가 경과되면 (328)단계에서 스위칭회로(17)를 제어하여 국선측으로 메시지 송출을 중단하고 메모리(12)에 저장된 전화번호로 비상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308) 단계로 진행한다. 즉, 비상 상황 발생시 국선 착신호가 발생되면, 국선 착신호에 자동 응답하여 세큐리티 유니트(2)의 비상 메시지를 자동 송출한 후 통화로를 단절하고 비상 전화번호를 재다이알하여 송출하는데, 이는 국선 착신가입자가 비상상황을 처리할 수 없다고 간주하고 최초 설정한 국선 가입자측으로 비상상황을 통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324)단계에서 국선 발신중이거나 통화중 상태인 경우에는 (330)단계에서 스위칭회로(17)를 제어하여 통화중인 국선 및 내선 가입자와 세큐리티 유니트(2)의 음성 메시지 통로를 연결하여 비상상황을 통보하고, 비상 메시지의 송출과정을 종료한다. 이는 비록 (302)단계에서 비상 상황 발생에 대한 내부통보는 실시한 상태이지만, 가정내에 사람이 있는 경우이므로 통화중인 국선 가입자와 내선가입자측으로 세큐리티 유니트(2)의 음성메시지를 송출한 후 비상 메시지 통로 서비스를 종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방법 및 방재기능 구현시 비상상황이 발생되면, 해당 비상상황을 원하는 외부 국선으로 자동 다이알링하여 통보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국선이 통화중이거나 착신중일시에도 효과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어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 및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센서(S1-Sn)와 연결되어 방범 및 방재기능에 대한 비상상황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음성 메시지를 발생하는 세큐리티 유니트(2)와, 키폰 전환기(S1-Sn)와 연결되어 국선측과 통화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세큐리티 유니트(2)와 주기적으로 데이타를 통신하는 동시에 내부에 비상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텔레폰 유니트(1)를 구비한 가정자동화 시스템의 메시지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큐리티 유니트(2)로부터 비상 발생 데이타 수신시 국선 상태를 검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국선 휴지 상태일 시 국선을 연결하고 저장 다이알 번호를 송출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 수행 후 국선측으로 응답신호 수신시 상기 세큐리티 유니트(2)의 출력을 국선 가입자와 연결하고 종료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2과정 수행 후 국선 비지상태이거나 일정시간 이상 응답신호가 없을시 통보선을 변경하여 타 전화번호에 대한 다이알링 수행 후 상기 제2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4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국선 비지 상태일시 국선 발생중이면 국선과 내선으로 상기 세큐리티 유니트(2) 출력을 연결하여 내선으로 비상상태를 알리고 종료하는 제5과정과, 상기 제5과정에서 국선 착신중이면 해당 국선으로 상기 세큐리티 유니트(2)의 출력을 연결하여 비상상태를 알리고 통화로를 단절한 후 상기 제2과정으로 진행하는 제6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 메시지 자동 통보방법.
KR1019900006261A 1990-05-03 1990-05-03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비상메시지의 자동 통보방법 KR920006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6261A KR920006888B1 (ko) 1990-05-03 1990-05-03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비상메시지의 자동 통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06261A KR920006888B1 (ko) 1990-05-03 1990-05-03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비상메시지의 자동 통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615A KR910020615A (ko) 1991-12-20
KR920006888B1 true KR920006888B1 (ko) 1992-08-21

Family

ID=1929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6261A KR920006888B1 (ko) 1990-05-03 1990-05-03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비상메시지의 자동 통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88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20615A (ko) 1991-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0627B1 (ko) 전화·팩시밀리절환방식
KR920006888B1 (ko) 가정 자동화 시스템에서 비상메시지의 자동 통보방법
GB2298552A (en) Cordless radio telephone system with a plurality of portable units
JPS628061B2 (ko)
JP3889159B2 (ja) 発信番号通知サービスモニタ機能付き通信端末
KR0134721B1 (ko) 교환 시스템의 직접 내선 가입자 직접 호출 제어 방법
JPH04331550A (ja) 加入者装置
KR0175448B1 (ko) 자동중계대에서 재착신 호 인지 방법 및 그에 따른 전환응답 방법
JP4941739B2 (ja) 通報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用いた通報装置
JP4638363B2 (ja) 端末網制御装置
JPH0420318B2 (ko)
JP3648899B2 (ja) 通報装置
JP2691624B2 (ja) 緊急通報用電話端末装置
JPH04243372A (ja) 画像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960015873B1 (ko) 전화응답 소형교환기
JP2725296B2 (ja) 通話転送装置
JP4472852B2 (ja) 回線端末装置
JP3009313B2 (ja) 情報送信装置
JPH02214358A (ja) 電話交換システム
KR20040032002A (ko) 일반전화기를 이용한 휴대폰 통화장치 및 그 방법
JPH07264289A (ja) 回線閉塞装置
JP2007104269A (ja) 端末網制御装置
JPS61219254A (ja) 加入者回線断線自動通報装置
JPH11261735A (ja) 情報送受信装置
JPS63151256A (ja) 端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