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752Y1 - 오디오 편집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편집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20006752Y1 KR920006752Y1 KR2019890016803U KR890016803U KR920006752Y1 KR 920006752 Y1 KR920006752 Y1 KR 920006752Y1 KR 2019890016803 U KR2019890016803 U KR 2019890016803U KR 890016803 U KR890016803 U KR 890016803U KR 920006752 Y1 KR920006752 Y1 KR 920006752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dio
- audio signal
- unit
- editing
- mast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22—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24—Electronic editing of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오디오편집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개요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오디오편집장치의 오디오편집제어부의 상세한 회로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오디오편집제어부의 각 부의 출력파형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마스터 데크부 20: 오디오편집제어부
30 : 편집제어키 모드설정부 40 : 슬레이브 데크부
본 고안은 오디오편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더블데크 VTR을 사용하여 영상편집이 끝난 마스터 테이프에 나레이션(화술)이나 음향, 음악 등의 오디오신호를 편집(또는 더빙, Dubbing)하는 오디오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테이프의 제작은 스튜디오안에서나 야외촬영 등에서 우선 각 컷트를 순서없이 녹화한 소재 테이프를 만들고 이 소재 테이프에 타이틀 삽입, 화면의 합성 등의 영상편집을 행하여 마스터 테이프를 만든다. 그리고 상기 마스터 테이프에 특수한 음향과 음악, 나레이션을 녹음하는 오디오 편집을 행하여 하나의 완성된 테이프로 정리된다. 이때의 편집방법은 소재 테이프에서 마스터 테이프로 신호를 계속 옮기는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즉 하나의 완성된 편집 테이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1회로 편집이 끝나는 것이 아니고 수차에 걸쳐 편집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영상신호의 경우 다수의 컷을 여러 차례 연속해서 정리하여야만 하고 오디오신호의 경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신호의 편집이 끝난 마스터 테이프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오디오신호를 원하는 위치에 더빙하게 된다. 즉 오디오신호에 더빙을 하고자 할 때에는 우선 기록동작을 스톱키나 PAUSE키를 이용하여 정지시키고, 마스터 테이프가 장착된 소스(Source) VTR에서 타켓(Target) VTR로 전달되도록 접속되어 있는 오디오전송단자를 외부에서 인가되는 오디오신호가 전송되도록 설정한 상태에서 다시 기록모드를 설정하도록 기능키를 제어하게 되므로 더빙과정이 번거로울뿐아니라 키조작과정에 의하여 다른 잡음이 첨가될 수도 있으므로 편집상태가 매끄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이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편집키 제어로 마스터 테이프에 기록되어있는 오디오신호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오디오신호를 용이하게 편집할수 있는 오디오편집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마스터 테이프의 오디오신호 및/또는 영상신호를 픽업하여 출력하는 마스터 데크부, 상기 마스터 데크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를 입력신호로 받아서 편집자가 원하는 오디오구간에 선택적으로 기록되도록 편집을 제어하기 위한 오디오편집제어부, 편집제어키의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오디오편집제어부로 출력하는 편집제어키 모드 설정부와, 상기 오디오편집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와 마스터 데크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전송받아 내장된 슬레이브 테이프에 녹음 또는 녹화하는 슬레이브 데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예시된 도면을 통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오디오편집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제1도에서 마스터 데크부(10)는 영상편집이 끝난 마스터 테이프를 안착하여 상기 마스터 테이프의 오디오트랙에 기록된 오디오신호와 영상트랙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픽업하여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오디오 편집제어부(20)는 상기 마스터 데크부(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와 잭을 통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오디오신호(B)를 입력신호로 받아서 편집자가 원하는 소정 구간에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구성한다. 즉 마스터데크부(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오디오신호를 편집을 원하는 소정 구간에 삽입되도록 구성한다. 편집제어키 모드설정부(30)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편집제어키 모드에 따른 제어신호를 상기 오디오편집제어부(20)로 출력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슬레이브 데크부(40)는 상기 오디오편집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마스터 데크부(1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전송받아 내장된 슬레이브 테이프에 녹음 또는 녹화되도록 구성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오디오편집제어부(20)의 구체적인 회로도로서, 제1도의 마스터 테크부(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는 A단자를 통해서 입력되고, 외부의 잭을 통해 인가되는 오디오신호는 B단자를 통해서 인가되며, 편집제어키 모드설정부(30)에서 출력되는 편집모드 제어신호는 E단자를 통해서 인가되고, 출력신호(OUT)는 슬레이브 데크부(40)의 오디오신호 입력단자로 인가되도록 접속된다.
좀더 상세하게는 A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베이스단에 접속한 제1트랜지스터(Q1)와, B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베이스단에 접속한 제2트랜지스터(Q2)와, E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인버터(IN1)를 통해 반전시켜 베이스단에 접속하고 콜렉터단을 제1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에 접속한 제3트랜지스터(Q3)와, 제3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단에 애노드단을 접속한 제1다이오드(D1)와, E단자를 통해 인가되는 신호를 베이스단에 접속하고 콜렉터단에 제2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단을 접속한 제4트랜지스터(Q4)와, 제4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 애노드단을 접속한 제2다이오드(D2)와, 제1 및 제2다이오드(D1, D2)의 각각의 캐소드단이 접속되어 있는 접점(F)에 접속되어 있는 커패시터(C1)와, 커패시터(C1)에 입력단을 접속하고 출력단을 슬레이브 데크부(40)의 오디오신호 입력단에 접속한 자동레벨조절기(ALC, Auto Level Controller)로 이루어진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오디오편집제어부(20)의 각 부의 출력파형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면 제2도에 도시된 회로도의 작동을 제3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A, B단자를 통해서 제3도의 (a), (b)와 같은 형태로 오디오신호가 인가되면, 제1트랜지스터(Q1) 및 제2트랜지스터(Q2)는 각각의 공급전원(Vcc)과 접지단 사이의 저항들(R2, R3)에 의하여 결정된 DC(Direct Current)값을 베이스단으로 인가된 A, B신호에 결합하여 콜렉터 출력단으로 출력한다.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 Q2)의 출력단으로 출력된 신호는 제3도의 (c), (d)와 같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 Q2)는 인가되는 오디오신호를 DC결합하여 다음단으로 전달하는 전달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마스터 데크부(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에 외부에서 인가되는 오디오신호를 편집하고자 할 때, 편집자의 제어에 의하여 편집제어키 모드설정부(30)에서 E입력단으로 출력되는 신호의 논리를 로우논리상태가 된다(편집모드설정에 따른 편집제어키 모드설정부(30)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논리상태는 시스템의 인스톨(Install)시 변결될 수 있다).
E단자로 로우논리가 인가되면, 인버터(IN1)를 통해 반전되어 제3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단으로 인가되는 동시에 제4트랜지스터(Q4)의 베이스단으로 인가된다. 이에 따라 제3트랜지스터(Q3)는 턴 온되고 제4트랜지스터(Q4)는 턴 오프되어, 제1트랜지스터(Q1)의 C접점과 제1다이오드(D1)사이에 접속된 제3트랜지스터(Q3)의 톨렉터단은 접지되고 제2트랜지스터(Q2)의 D접점과 제2다이오드(D2)사이에 접속된 제4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단은 공급전원(Vcc)이 걸린다. 이로 인하여 제1다이오드(D1)는 역바이어스가 걸려 오픈되는 반면 제2다이오드(D2)는 도통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트랜지스터(Q1)의 C접점에서 출력된 제3도의 (c)파형은 전달되지 않고 제2트랜지스터(Q2)의 D접점에서 출력되는 제3도의 (d)파형이 제2다이오드(D2)를 통해 F접점으로 인가된다. 이와같이 제3 및 제4트랜지스터(Q3, Q4)는 편집제어키 모드설정부(30)에서 E단자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술한 제1 및 제2트랜지스터(Q1, Q2)에서 전달되는 오디오신호의 전달상태를 제어하는 전달제어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F접점에 인가된 신호는 커패시턴스(C1)를 통해 교류결합(AC Coupling)하여 다음단의 자동레벨조절기(ALC)로 인가된다. 자동레벨조절기(ALC)는 인가되는 신호의 레벨을 선형적으로 조절하여 다음단의 회로가 포화상태(Saturation)이 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마스터 테이프상에 기록된 오디오신호를 그대로 사용하고자 할 때, 즉 편집을 원하지 않을 경우에는 편집제어키 모드설정부(30)는 E단자로 하이논리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는 반대로 제3트랜지스터(Q3)는 오프상태가 되고 제4트랜지스터(Q4)는 온상태가 된다. 이로 인하여 제2다이오드(D2)에 역바이어스가 걸려 제2다이오드(D2)는 오픈상태가 되는 반면 제1다이오드(D1)는 도통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트랜지스터(Q1)이 C접점을 통해 출력되는 마스터 데크부(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제3도의 (c)와 같은)가 F접점으로 전달된다.
F접점에 전달된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패시터(C1)을 통해 교류결합하여 제3도의 (g)와 같이 다옴단의 자동레벨조절기(ALC)로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키조작에 의하여 기록모드중에도 마스터 테이프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오디오 신호간의 절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손쉽게 편집모드를 제어할 수 있으며 다수의 키조작에 의하여 편집상태가 매끄럽지 못한 단점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 마스터 테이프의 오디오신호를 꺼내서 출력하는 마스터 데크부(10) ; 상기 마스터 테크부(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와 외부에서 인가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신호로 받아서 편집자가 원하는 오디오신호 구간에 선택적으로 기록되도록 편집을 제어하는 오디오편집제어부(20) ; 편집제어키의 모드를 선택하여 상기 오디오편집제어부(20)로 출력하는 편집제어키 모드설정부(30) 상기 오디오편집제어부(2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와 마스터 데크부(1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전송받아 내장된 슬레이브 테이프에 녹음 또는 녹화하는 슬레이브 데크부(4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편집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편집제어부는 상기 마스터 데크부(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다음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1전달수단과, 상기 외부에서 인가되는 오디오신호를 입력신호로 하여 다음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제2전달수단과, 상기 편집제어키 모드설정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상기 제1전달수단과 상기 제2전달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각각 상기 슬레이브 데크부(40)로 선택적으로 인가되도록 전달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전달제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편집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90016803U KR920006752Y1 (ko) | 1989-11-14 | 1989-11-14 | 오디오 편집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90016803U KR920006752Y1 (ko) | 1989-11-14 | 1989-11-14 | 오디오 편집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9778U KR910009778U (ko) | 1991-06-29 |
KR920006752Y1 true KR920006752Y1 (ko) | 1992-09-26 |
Family
ID=1929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90016803U KR920006752Y1 (ko) | 1989-11-14 | 1989-11-14 | 오디오 편집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20006752Y1 (ko) |
-
1989
- 1989-11-14 KR KR2019890016803U patent/KR920006752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10009778U (ko) | 1991-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96947A (en) | Function switching system for an audio/video apparatus | |
KR920006752Y1 (ko) | 오디오 편집 장치 | |
US5189563A (en) | Video tape editor with fade control functions | |
US4542490A (en) | Radio - cassette tape recorder/player system | |
KR930006587Y1 (ko) | 간차 슬로우 모드 제어회로 | |
KR910008983Y1 (ko) | 자동 녹음 레벨 조절 회로 | |
JPH028458Y2 (ko) | ||
KR200147768Y1 (ko) | 외부마이크를 이용한 캠코더용 가라오케 믹스장치 | |
KR970004408Y1 (ko) | 조도적응형 음량조절장치 | |
JPH0115025Y2 (ko) | ||
KR910004668Y1 (ko) | 더블 카세트 녹음기용 마이크 더빙 제어장치 | |
US5602687A (en) |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uting the output of a recording device during recording | |
JPS5919993Y2 (ja) | プログラム再生装置 | |
JPH0749663Y2 (ja) | オ−ディオシステム装置 | |
JPS5923267Y2 (ja) | プログラム再生装置の設定回路 | |
JPH0110761Y2 (ko) | ||
KR920005118Y1 (ko) | 자기기록재생장치의 녹화편집제어회로 | |
KR850001159Y1 (ko) | (vtr)의 녹화 및 재생제어회로 | |
KR900010114Y1 (ko) | 비데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부분 반복 재생회로 | |
KR880002802Y1 (ko) | Vtr에서 테이프가 드럼에 로딩 또는 언로딩시 멜로디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로 | |
JPH0210588Y2 (ko) | ||
KR900004467Y1 (ko) | 전자 파인더용 영상신호 선택회로 | |
KR910003395Y1 (ko) | 더블 데크의 자동 테이프 선택회로 | |
KR860002472Y1 (ko) | 음향기기의 기능 키버튼 자동 선택 장치 | |
KR890004967Y1 (ko) | 비데오 시스템의 절환회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830 Year of fee payment: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