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6132B1 - 오디오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6132B1
KR940006132B1 KR1019860002038A KR860002038A KR940006132B1 KR 940006132 B1 KR940006132 B1 KR 940006132B1 KR 1019860002038 A KR1019860002038 A KR 1019860002038A KR 860002038 A KR860002038 A KR 860002038A KR 940006132 B1 KR940006132 B1 KR 940006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player
transistor
tape record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630A (ko
Inventor
사부로 요꼬야마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7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6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8Re-recording, i.e. transcribing information from one optical record carrier on to one or more similar or dissimilar record carriers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디오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CD 플레이어부 2 : CD 플레이어 제어회로
3 :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부 4 :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제어회로
TR1, TR2, TR3, TR4, TR5, TR6, TR7 : 트랜지스터
D1, D2, D3, D4 : 다이오드 R1, R2, R3, R4, R5, R6, R7, R8 : 저항
SW1 내지 SW12 : 스위치
본 발명은, 콤팩트 디스크, 카세트 테이프를 사용할 수가 있으나 오디오 장치에 관해서, 특히 상기 콤팩트 디스크의 재생과 이 재생 신호의 상기 카세트 테이프로의 기록을 동시에 개시시키는 기능을 부가한 오디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의 재생용의 제어 신호의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기록용의 제어신호를 1개의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동시에 제어하므로써 콤팩트 디스크의 재생의 동작과 이 재생 신호의 카세트 테이프로의 기록의 동작을 동시에 개시시키도록 한 것이다.
근래에, 오디오의 분야에 있어서 원신호를 디지탈화하여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이것을 재생하는 디지탈 방식이 발전하고 있다.
디지탈 방식에 의하면 아나로그 방식에서는 얻을 수 없는 매우 넓는 다이나믹 레인지를 얻을 수가 있고, 음성이나 악기등의 음을 보다 충실하게 재생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디지탈 방식에 있어서 원판상의 디스크에 디지탈 신호를 기록하는 DAD(디지탈 오디오 디스크)에 대해서는 여러종류의 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말하자면 콤팩트 디스크(이하 CD라 씀)방식이 일반적으로 되어오고 있다. 이 CD 방식에서는, 종래의 LP 레코드보다도 외경이 적은 디스크를 채용하고, 신호의 재생에는 레이저 비임을 사용한 광학계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연주시간은 종래의 LP 레코드보다 길고, 비접촉으로 재생이 가능하기 때문에, 먼지, 티끝등의 부착이 그다지 문제로 되지 않는 등의 이 점을 갖는다.
거기에서 이오같은 이점을 활용할 CD 플레이어가 스테레오 세트 등의 오디오 장치에 채용되어 오고 있다.
그런데 통상 스테레오 세트는 튜너, 앰프, 플레이어, 테이프 데크 등의 랙 중에 배치되고, 혹은 그들이 일체로서 내장되고 있다. 그래서 튜너의 출력, 플레이어의 출력, 외부 마이크 등의 출력을 선택하여 테이프 데크를 사용해서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할 수가 있다. 이와같은 스테레오 세트에 상기 CD 플레이어를 접속한 경우, 이 CD 플레이어의 재생 신호를 상기 테이프 데크에 의해 카세트 테이프에 기록할 수 있는 것이 당연히 요구된다. 이 경우, CD의 재생과 이 재생 신호의 카세트 테이프로의 기록은 동시에 개시키는 일이 바람직하다.
거기에서 CD의 재생 신호의 기록을 재생과 동시에 행하려면, 예컨대 CD를 상기 CD 플레이어에 삽착하고, 카세트를 상기한 테이프 데크에 삽착한 후, 상기한 CD 플레이어의 재생 스위치와 상기 테이프 데크의 기록 스위치를 동시에 조작하면 가능하다. 혹은 카세트 테이프의 사용위치를 빨리 보내기 등으로 설정한후 포즈 스위치로 기록 포즈 상태로 하고, 상기한 CD 플레이어를 예컨대 곡의 두출 조작등을 한 후 포즈 스위치로 포즈 상태로 하고, 그후 양쪽의 포즈 스위치를 동시에 조작하여 포즈상태를 해제하여 CD의 재생 신호의 기록을 재생과 동시에 개시 시킬수 있다.
이와같이 CD 플레이어를 채용한 스테레오세트 등에서는, CD의 재생과 이 재생 신호의 기록을 동시에 개시 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CD 플레이어의 스위치가 상기 테이프 데크의 스위치 양쪽을 동시에 조작할 필요가 있다. 이 조작은 번거로운 것이기 때문에, 더욱 간단하게 상기하는 재생 기록의 동시 개시가 가능한 기능(말하자면 싱크로 스타트 기능)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요망 아래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CD의 재생과 이 재생 신호의 기록을 동시에 개시 시키는 싱크로 스타트 기능을 부가하고, 조작성이 향상한 오디오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CD 플레이어와 테이프 레코더를 구비한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 상기 CD 플레이어를 재생 상태로 하고, 테이프 레코더를 기록상태로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와, 이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테이프 레코더의 포즈 신호와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와의 논리적에 의해 상기 테이프 레코더의 포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의 논리적 회로와, 상기 테이프 레코더의 포즈 신호와 상기 CD 플레이어의 포즈 신호와 상기 스위치의 제어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의 논리적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제 2 의 논리적 회로를 갖추어 구성된다.
본 발명의 오디오 장치에서는, 상기한 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제 2 의 논리적 회로의 출력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가 제어되고 이 스위칭 소자의 출력 소자에 의해상기 CD 플레이어의 재생 및 상기 테이프 레코더의 기록이 동시에 개시한다. 또한 상기 CD 플레이어가 포즈 상태에서 상기 테이프 레코더가 기록 포즈 상태인 때에는 상기 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스위칭 소자의 출력 신호에 의해 상기 CD 플레이어의 포즈 상태가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의 논리적 회로의 출력신호에 의해 상기 테이프 레코더의 기록 포즈 상태가 해제되어서 상기 CD 플레이어의 재생 및 상기 테이프 레코더의 기록이 동시에 개시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장치의 한 실시예로서, 튜너와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가 일체로서 내장되어 있는 말하자면 라디오 카세트에 CD 플레이어도 일체화시켜 내장한 장치에 대해서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을 한다. 이 장치는 CD의 재생, 카세트 테이프의 재생, 라디오 방송의 수신, CD 플레이어의 출력 신호 혹은 라디오의 수신 출력 신호 등의 카세트 테이프로의 기록 기능외에, 본 발명에 의해 표현할 수 있는 상기 CD 플레이어의 재생 및 이 재생 신호의 카세트 테이프로의 기록을 1개의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동시에 개시시키는 말하자면 싱크로 스타트 기능을 갖는다.
제 1 도는 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며, 동일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한 싱크로 스타트 기능을 주로 설명하기 위해서, 예컨대 튜너부, 스피커로의 출력 회로등은 생략하고 있다.
제 1 도에 있어서 CD 플레이어부(1)는 CD의 회전구동, 신호의 검출, 증폭 등의 동작이 CD 플레이어 제어회로(2)에 의해 제어된다. 이 CD 플레이어 제어회로(2)는 스위치 SW2, SW3, SW4, SW5의 조작에 의하여 얻어지는 접지 레벨의 전압을 검출하여 제어동작을 행한다. 여기에서 이 스위치 SW2는 재생 스위치와 포즈 스위치를 겸용하고 있는 스위치이고, 조작때마다 그 기능이 역을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SW3는 정지용 스위치, 상기 스위치 SW4는 조송용 스위치, 상기 스위치 SW5는 빠른 되돌림용 스위치이다. 상기 스위치 SW2의 조작에 의해 상기 CD 플레이어부(1)가 포즈 상태로 되어 있을 때에는 상기 CD 플레이어 제어회로(2)는 단자 2a에, 포즈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 고레벨의 전압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CD 플레이어부(1)를 사용하는 상태의 경우로서, 상기 CD 플레이어부(1)가 정지시 이외에는 단자 2b에 고레벨의 전압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CD 플레이어부(1)는 CD의 재생시에는 출력단자(1a)에서 재생 신호를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부(3)에 출력한다.
다음에 상기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부(3)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제어회로(4)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이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제어회로(4)는 플레이용 스위치 SW6, 기록용 스위치 SW7, 포즈용 스위치 SW8, 조송용 스위치 SW9, 되감는용 스위치 SW10, 정지용 스위치 SW11 등의 조작에 의하여 얻어지는 접지 레벨의 전압을 검출하여 제어동작을 행한다. 여기에서 포즈용의 상기 스위치 SW8은 조작때마다 포즈의 기능과 포즈해제의 기능이 교대로 전환된다. 또한 포즈용의 상기 스위치 SW8의 조작에 의해, 상기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부(3)가 포즈상태일때는 단자 (4a)에서 이 포즈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 고레벨의 전압이 출력된다.
이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제어회로(4)와 상기 CD 플레이어 제어회로(2) 사이의 트랜지스터, 다이오드 등으로 형성되는 회로는, 상기한 싱크로 스타트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회로이고, 먼저 이 회로의 구성을 설명한다.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 TR1의 콜렉터는 다이오드 D1를 거쳐 상기한 CD 플레이어 제어회로(2)의 상기 스위치 SW2에 접속되고, 다이오드 D2, D3를 거쳐 상기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제어회로(4)의 상기 스위치 SW6, SW7에 접속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는 콘덴서 C1에 의해 접지되고,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 TR2의 콜렉터가 접속됨과 함께 다이오드 D5의 캐소드측이 접속되어 있다. 이 다이오드 D5의 양극측은 다이오드 D6의 양극측에 접속됨과 함께 저항 R8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저항 R8은 트랜지스터 TR6의 베이스에 접속된 저항 R6에 접속됨과 함께 싱크로 스타트용의 스위치 SW1에 접속되어 있다.
이 스위치 SW1는 접지측과 +B전원측으로 전환 가능한 스위치 SW12에 접속되어 있다. 이 스위치 12는 말하자면 모드 전환 스위치로서, 상기 CD 플레이어부를 사용할 경우에는 +B 전원측으로 전환되고, 상기 CD 플레이어부를 사용하지 아니할 때에는 접지측으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 TR6의 에미터는,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 TR7의 콜렉터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다이오드 D6의 캐소드측에 접속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 TR6의 콜렉터는 다이오드 D4를 거쳐 상기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제어회로(4)의 포즈용 상기 스위치 SW8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제어회로(4)의 단자(4a)는 저항 R7을 거쳐 상기 트랜지스터 TR7의베이스에 접속되고, 저항 R5을 거쳐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 TR5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 TR5의 베이스는 콘덴서 C2에 의해 접지되어 있다. 또한 이 트랜지스터 TR5의 콜렉터는 저항 R4을 거쳐 트랜지스터 TR4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 TR4는 베이스와 에미터간에 저항 R3이 설치되어 에미터는 상기 CD 플레이어 제어회로(2)의 상기 단자(2a)에 접속되고, 콜렉터는 저항 R2을 거쳐 에미터가 접지된 트랜지스터 TR3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 TR3의 콜렉터는 상기 트랜지스터 TR2의 베이스에 접속됨과 함께 저항 R1을 거쳐 상기 CD 플레이어 제어회로(2)의 상기 단자(2b)에 접속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 회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먼저 CD 및 카세트 테이프가 삽착되고, 조작 스위치 SW2, SW3,…SW11이 조작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CD 플레이어 제어회로(2)의 단자(2a), (2b)에는 함께 저레벨의 전압이 출력된다.
여기에서 모드 전환용의 상기 스위치 SW12가 +B 전원측으로 전환되면 싱크로 스타트용의 상기 스위치 SW1의 조작이 유효해진다. 즉 이 스위치 SW1를 폐쇄함으로서, +B 전원에서 상기 스위치 S12, 상기 스위치 SW1, 상기 저항 R8, 상기 다이오드 D5를 거쳐 베이스 전류가 상기 트랜지스터 TR1에 공급되고, 이 트랜지스터 TR1는 온으로 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 TR2는 상기 단자(2b)의 전압이 저레벨이므로 오프로 되어 있어, 상기 사익 트랜지스터 TR1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트랜지스터 TR1가 온으로 되고, 콜렉터 전압이 거의 0V로 되면, 이 콜렉터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다이오드 D1, D2, D3의 각각의 양극 측도 거의 0V로 되어 상기 스위치 SW2, SW6, SW7에 대해서, 이것들을 단절한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일으킨다. 즉 상기 다이오드 D1의 양극측의 거의 0V로 됨으로써 재생겸 포즈용의 상기 스위치 SW2가 조작된 경우와 같이 상기 CD 플레이어 제어회로(2)는 상기 CD 플레이어부(1)를 제어하여 재생 동작을 개시시키고, 재생 신호가 상기 CD 플레이어부(1)의 단자(1a)로부터 상기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부(3)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다이오드 D2, D3의 양극측이 각각 거의 0V로 됨으로써, 플레이용의 상기 스위치 SW6, 기록용의 상기 스위치 SW7가 조작된 경우와 같다. 기록동작이 개시하고, 상기 CD 플레이어부(1)에서 공급되는 재생 신호가 기록되어 간다.
이와같이 하여 싱크로 스타트용의 상기 스위치 SW1의 조작에 의해 상기 CD 플레이어부(1)에 있어서, CD의 재생 동작 및 상기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부(3)에 있어서 CD의 재생 신호의 기록동작이 동시에 개시한다. 또한, 이 개시후 상기 CD 플레이어 제어회로(2)는 단자(2b)에 고레벨의 전압을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 TR2의 베이스 전류가 공급되고, 이 트랜지스터 TR2는 온되고, 그 콜렉터는 거의 0V로 된다. 이때 싱크로 스타트용의 상기 스위치 SW1를 단절하여도 상기 트랜지스터 TR1로 베이스 전류는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이 트랜지스터 TR1는 동작하지 않고 상기 스위치 SW1의 오조작의 영향을 제거할 수가 있다.
다음으로 상기 CD 플레이어부(1)에 있어서, 곡의 머리 내밀기 등을 한후, 재생겸 포즈용의 상기 스위치 SW2에 의해 포즈상태로 하고, 상기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부(3)에 있어서 카세트 테이프의 기록위치 등을 설정하고 플레이용 상기 스위치 SW6, 기록용 상기 스위치 SW7, 포즈용 상기 스위치 SW8의 조작에 의해 기록 포즈 상태로 한 후의 싱크로 스타트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제어회로(4)의 상기 단자(4a)에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부(3)가 포즈상태임을 표시하는 고레벨의 전압이 출력되고, 이 전압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 TR7, TR5에는 베이스 전류가 공급되고 이 트랜지스터 TR7, TR5의 각각의 콜렉터는 거의 0V로 된다.
또한 상기 CD플레이어 제어회로(2)의 상기 단자(2a)에는 상기 CD 플레이어부(1)가 포즈상태임을 표시하는 고레벨의 전압이 출력되고, 상기 단자(2b)에도 고레벨의 전압이 공급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트랜지스터 TR5가 온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단자(2a)로부터 상기 트랜지스터 TR4에는 베이스 전류가 공급되어 이 트랜지스터가 동작하고, 이 트랜지스터 TR4의 콜렉터로부터 상기 저항 R2을 거쳐 상기 트랜지스터 TR3로 베이스 전류가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이 트랜지스터 TR3도 온으로 되고 그 콜렉터는 거의 0V로 된다. 이 결과 상기 트랜지스터 TR2의 베이스도 거의 0V로 되게 하기 위해서 이 트랜지스터 TR2는 오프로 되어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싱크로 스타트용의 상기 스위치 SW1를 폐쇄하면, 상기 트랜지스터 TR1으로 베이스 전류가 공급되고, 이 트랜지스터 TR1가 온으로 되어 그 콜렉터는 거의 0V로 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다이오드 D1의 양극측도 거의 0V로 되고 상기 CD 플레이어부(1)의 포즈상태는 해제된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 TR7가 온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위치 SW1를 닫혔을때 베이스 전류가 상기 트랜지스터 TR6에 흐르고 이 트랜지스터가 온으로 되고 그 콜렉터가 거의 0V로 된다. 따라서 이 콜렉터에 접속된 상기 다이오드 D4의 양극측도 거의 0V로 되고, 포즈용의 상기 스위치 SW8를 폐쇄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즉 상기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부(3)의 포즈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CD 플레이어부(1)로 부터 공급되는 재생 신호의 기록이 개시한다.
이와같이하여 상기 CD 플레이어부(1) 및 상시 카세트 레코더부(3)의 포즈상태로 부터의 싱크로 스타트가 행해진다.
또한 개시후는 상기 단자(4a)는 저레벨의 전압으로 되고, 그 결과 상기 트랜지스터 TR7, TR5는 오프로 된다. 이 트랜지스터 TR7의 오프에 의해 상기 스위치 SW1를 폐쇄시켜도 상기 트랜지스터 TR6로는 베이스 전류는 흐르지 않고, 이 트랜지스터 TR6는 동작 불능으로 되므로 상기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제어회로(4)로 포즈 신호를 공급하는 일은 없어진다.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 TR5가 오프로 되기 때문에, 상기 트랜지스터 TR4, TR3도 오프로 된다. 이 결과 단자(2b)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 TR2가 온으로 되고 상기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 전압을 거의 0V로 한다. 따라서 상기 스위치 SW1의 오조작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 TR1가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CD 플레이어부(1)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상기 스위치 SW12가 +B 전원측으로 접속되어서 상기 스위치 SW1의 조작이 유효해진다. 따라서 상기 CD 플레이어부(1)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착오로 상기 스위치 SW1를 조작하여도 싱크로 스타트 기능이 작용하는 일은 없다. 또한 재생겸 포즈용의 상기 스위치 SW2의 조작에 의해 상기 CD 플레이어부(1)가 포즈상태로 되어 있어, 상기 테이프 레코더부(3)가 포즈상태로 있지 않을 때는 상기 단자(2b)로부터 출력되는 고레벨의 전압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 TR2가 온으로 되고 상기 트랜지스터 TR1의 베이스는 거의 0V로 된다. 이 경우에 싱크로 스타트용의 상기 스위치 SW1를 조작하여도 상기 크랜지스터 TR1는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싱크로 스타트 기능은 작용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오디오 장치에서는, 싱크로 스타트용의 상기 스위치 SW1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CD 플레이어부(1)에 있어서 CD의 재생동작과, 상기 테이프 레코더부(3)에 있어서 상기 CD의 재생 신호의 기록동작과의 싱크로 스타트가 행해진다. 또한 상기 CD 플레이어부(1)가 포즈상태에 있고 상시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부(3)가 기록 포즈상태에 있을 때에는, 싱크로 스타트용의 상기 스위치 SW1의 조작에 의하여 양쪽의 포즈상태를 해제함에 의해 싱크로 스타트가 행해진다.
이상 기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1개의 스위치의 조작으로 CD 플레이어의 재생동작과 테이프 레코더의 기록 동작을 동시에 개시시키는 싱크로 스타트 기능을 실현할 수가 있다. 따라서 오디오 장치로서의 조작성이 향상하고, 본 발명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Claims (1)

  1.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와 테이프 레코더를 구비한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를 재생상태로 하여 테이프 레코더를 기록상태로 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와, 이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와, 상기 테이프 레코더의 포즈 신호와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와의 논리적에 의해 상기 테이프 레코더의 포즈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 1 의 논리적 회로와, 상기 테이프 레코더의 포즈 신호와 상기 콤팩트 디스크를 플레이어의 포즈 신호와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얻어지는 신호와의 논리적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는 제 2 논리적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위칭 소자를 제어하여 상기 콤팩트 디스크의 재생과 상기 상기 테이프 레코더의 기록을 동시에 개시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장치.
KR1019860002038A 1985-03-20 1986-03-19 오디오 장치 KR9400061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894 1985-03-20
JP60056894A JPH0746461B2 (ja) 1985-03-20 1985-03-20 オ−デイオ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630A KR860007630A (ko) 1986-10-15
KR940006132B1 true KR940006132B1 (ko) 1994-07-06

Family

ID=13040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038A KR940006132B1 (ko) 1985-03-20 1986-03-19 오디오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46461B2 (ko)
KR (1) KR9400061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5448U (ko) * 1988-10-14 1990-04-20
JPH0814974B2 (ja) * 1989-02-07 1996-02-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テープ編集方法
JPH03108158A (ja) * 1989-09-22 1991-05-08 Pioneer Electron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630A (ko) 1986-10-15
JPS61216147A (ja) 1986-09-25
JPH0746461B2 (ja)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209B1 (ko) 동기기록회로
KR940006132B1 (ko) 오디오 장치
KR920010343B1 (ko) 메모리를 이용한 음성기록 장치
JPH07312020A (ja) 記録再生装置
JP2975851B2 (ja) 音響機器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KR950010535Y1 (ko) Vcr및 오디오 카세트에서의 더빙회로
JPH0516678Y2 (ko)
KR910003573Y1 (ko) 오토메틱 뮤직 프로그램 센서를 이용한 턴테이블 녹음제어회로
KR950003894Y1 (ko) 어학학습용 오디오 시스템
JPH087550A (ja) タイマ付き電子機器
KR910005613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기능 선택회로
JP2901440B2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H0341283Y2 (ko)
KR950004050Y1 (ko) 오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믹싱장치
KR930004043Y1 (ko) 음성 편집기능을 가진 vtr
KR910004225Y1 (ko) 디스크의 곡과 곡사이의 뮤팅회로
KR880002802Y1 (ko) Vtr에서 테이프가 드럼에 로딩 또는 언로딩시 멜로디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로
KR860001636Y1 (ko) 컴포넌트 시스템의 테이프 모니터 제어회로
KR880000654Y1 (ko) 동기녹음 제어회로
KR860002472Y1 (ko) 음향기기의 기능 키버튼 자동 선택 장치
KR960005405B1 (ko) 브이 씨 알의 재생시 소거 방지 회로
KR970005028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스캔방법
KR890002621Y1 (ko) 더블 데크 카세트 녹음기의 더빙 제어회로
JP3106696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930006885Y1 (ko) 더블 카세트 레코더의 작동 모드 절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3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