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359Y1 - 감압밸브 - Google Patents

감압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359Y1
KR920006359Y1 KR2019850016500U KR850016500U KR920006359Y1 KR 920006359 Y1 KR920006359 Y1 KR 920006359Y1 KR 2019850016500 U KR2019850016500 U KR 2019850016500U KR 850016500 U KR850016500 U KR 850016500U KR 920006359 Y1 KR920006359 Y1 KR 9200063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ressure reducing
reducing valve
piston
pi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65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8074U (ko
Inventor
다께시 요꼬야마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데이 에루부이
후지와라 가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419070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6733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5139846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54498Y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데이 에루부이, 후지와라 가쓰지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데이 에루부이
Publication of KR8600080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80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3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3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9/00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 F16J9/28Piston-rings, e.g. non-metallic piston-rings, seats therefor; Ring sealings of similar construction of non-met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9/00Devices for relieving the pressure on the sealing fa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2Modifications to reduce the effects of instability, e.g. due to vibrations, friction, abnormal temperature, overloading or imbala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0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 G05D16/10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 G05D16/107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out auxiliary power the sensing element being a piston or plunger with a spring-loaded piston in combination with a spring-loaded slideable obturator that move together over range of motion during normal oper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14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 G05D16/1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derived from the controlled fluid
    • G05D16/166Control of fluid pressure with auxiliary non-electric power derived from the controlled fluid using pistons within the main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Fluid Pressure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Safety Valv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감압밸브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감압밸브의 축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감압밸브의 피스톤-실린더구조의 일부분확대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감압밸브의 파일럿(Pilot)식 밸브구조의 일부분 확대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주밸브 6 : 피스톤
7 : 판스프링 8, 9 : 밀폐부재
9 : 실린더 10 : 오리피스(Orifice)
11 : 파일럿밸브 16 : 스템(Stem)안내부
17 : 파일럿 스템 20 : 슬리이브(Sleeve)
61 : 환형홈 62 : 한부분
본 고안은 소정의 설정값으로서 제2차 유체압력을 보존키위하여 증기, 압축공기 또는 그와같은 것의 배관계통에 사용하는 파일럿시의 감압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감압밸브를 조절하기 위하여 주(主)밸브 혹은 파일럿밸브와 일체로 결합된 플런저구조의 개.페부분에서 사용되는 밀폐수단의 계량에 관한 것이다.
실예로서, 일본 실용신안공보 소화 제45-27184호에 개시된 파일럿식의 감압밸브는 파일럿밸브와 주밸브를 포함하고 있으며, 전기한 주밸브는 제1차측과 그것을 조절하기 위하여 주밸브와 일체로 결합된 피스톤 위쪽의 공간과를 연통시키는 유체 통로에 배치되어 있다.
전기한 파일럿 밸브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윗쪼가공간내로 흐르는 유제의 양을 조절하도록 주밸의 제2차측에서의 유체압력에 용해서 편위되는 다이아프램에 의해서 조절되며, 이에 의해서 피스톤의 상부표면과 제2차 대기압내에 있는 저부표면과의 사이의 압력차에 따라 전기한 피스톤과 그것과 함께 연결된 주밸브가 구동된다.
이와같은 형식의 감압밸브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제1, 2차측에 따른 정밀작동에 효과적이며 실제적으로 밸브 그 자체의 작동특성에 영향을 주는 피스톤과 파일럿밸브를 포함한다.
좀더 상세하게 피스톤에 관해서 설명하면, 그 상부표면에 작용하는 유체압력은 전기한 피스톤과 실린더사이의 간극을 통하며, 파일럿 밸브를 경유해서 피스톤 윗쪽공간부내로 흐르는 제1차 유체를 누출시키는 것에 의해서 조절된다.
만약, 간극이 작으면 유체의 누출은 역시 적고, 이것으로 인하여 주밸브가 개방된체로 남게되고 또는 피스톤이 실린더에 타서 불게된다고하는 결과를 초래하게된다.
만약, 간극이 타서 달라붙는다고 하는 상기한 바와같은 문제를 방지하고져 충분히 넓엉진다면, 그 누출은 주밸브를 구동키위한 힘의 감소를 증대시키게 될 것이다.
파일럿 밸브에 관해서 설명하면, 만약 제1유체가 파일럿 스템과 스템안내부를 통하여 다이아프램(이하 오직 다이아프램 실(室)이라 칭함) 아래쪽 공간내로 흐르면, 본래 제2차 압력으로되는 다이아프램실내의 압력은 변질되고, 따라서 그 압력을 받아서 작동되는 다이아프램은 잘못작동하게 된다.
만약, 간극을 누출을 방지하고져 좁게 구성한다면, 접동저항의 증가로 인하여 그 유연한 작동을 방재하게 될것이다.
따라서, 높은 밀폐력과 낮은 접동저항을 갖는 구조로된 그와 같은 접동부를 설치하는 것이 요망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앞서 인용한 일본 공보에서는, 고정간극이 피스톤과 실린더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금속링이 피스톤 윗쪽의 유체가 그 금속링과 실린더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누출되도록 피스톤의 측멱에 형성된 환형홈내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조는 접동부의 불안정한 작동을 일으키게 되며, 따라서 전체적으로 잘못된 작동을 초래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로는 전형적으로 인청동으로 제조된 금속링은 그 외부직경의 불균일때문에 금속링과 내부 실린더 표면과의 사이에 불균일한 누출이 발생되고, 때로는 열팽창때문에 접동부가 달라불어 버리게 되며, 이러한 것들은 잘못된 동작을 발생하게 한다고 하는 결과를 초래케된다.
따라서, 낮은 탄성력과 낮은 마찰저항을 보유하는 또다른 링의 인청등링으로 대체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와같은 결점들을 해소키위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높은 밀폐력과 낮은 접동 저항력을 나타내며 열팽창으로인한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고져 변형시킨 접동부를 갖춘 개량된 감압밸브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대응되는 밸브를 조절하기 위하여 플런저구조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주 밸브와 파일럿밸브로 구성된 감압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기한 플런저의 구조는 원통상의 주면을 갖추고 있는 가동내부 부제와 내부부제의 외주면에 면하는 원통상내부면을 갖춘 고정외부 부재와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조로서 제1차부재는 그 외주면에서 각각으로 부터 축방향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적어도 2개의 환형홈을 갖추고 있으며, 각 환형홈은 그 내부에 삽입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환상의 밀폐부제를 갖추고 있다.
이 밀폐부제는 불소수지로 만들어지며 적어도 한부부이 분리되어져 있다.
실제적으로, 제1차및 제2차부재는 주밸브를 조절하기 위한피스톤과 실린더 각각을, 혹은 파일럿밸브를 조절하기 위한 파일럿 스템과 스템안내부 각각으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의 상기한 특징 및 또다른 특징과 효과들은 첨부한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어질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부품들에 대해서 동일부호로서 표시하였다.
제1도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감암 밸브는 플로오트(34)를 수용하기 위한 저부덮개(31)를 보유하는 트랩본체(29)와, 피스톤(6)을 수용하기 위한 본체(1)와, 실린더(9)와, 주밸브(5)와 와류날게(27)및 배수부재(28)를 포함하는 분리기구조와, 파일럿밸브(11)를 수용하기 위한 파일럿본체(32)와, 그리고 압력설정 스프링(14)을 수용하는 스프링 케이싱(33)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부품들은 도면에서 표시한 바와같이 그들사이에 배치한 적당한 가스킷을 갖추고 있는 플랜지에 의해서 차례대로 연결된다.
다이아프램(15)은 파일럿본체(32)와 스프링케이싱(33)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체(1)는 서로 동축으로 형성되며 밸브구멍(4)을 개재하여 서로 연결되는 입구(2)와 출구(3)을 갖추고 있다.
밸브구멍(4)의 주위에 형성된 밸브자리의 대향스프링에 의해서 윗쪽으로 향하여 부세되는 주밸브(5)는 윗쪽으로 향하여 연장되며 밸브구멍(4)내에서 피스톤(6)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피스톤핀의 저단부에 맞닿는 중앙핀을 갖추고 있다.
파일럿밸브(11)는 주밸브(5)의 아래쪽공간을 위한 연통구멍(12)과 피스톤(6)의 윗쪽공간을 위한 또다른 연통구멍(13)사이에 배치되며, 이것으 다이아프램(15)에 대향설치된 스프링에 의해서 윗쪽으로 향하여 부세된다.
한편, 다이아프램(15)은 압축력이 조정나사(22)에 의해 조겅되는 압력설정스프링(14)에 의해서 스프링 패드(23)를 개재하여 압압된다.
다이아프램(15)의 아래쪽실(즉, 다이아프램실)은 연통구멍(26)을 개재하여 출구(3)와 연결되며, 반면에 다이아프렘(15)의 윗쪽실은 연통구멍(25)을 개재하여 외부대기압에 연통된다.
배수부재(28)는 밸브구멍(4)의 아래쪽의 공간내에서 스프린(39)과 일체로 배치되며, 또한 이 배수부제(28)는 2개의 동축 원통상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내부의 하나는 그 하단부가 넓게되어 있고, 내. 외부재사이에는 복수개의 와류날개(27)가 배치되어 있다.
트랩본체(29)내에서는, 다수의 관통구멍(36)을 보유하는 반구형의 플로오트 덮개(35)가 도면표시하지 않은 적당한 장치에 의해서 저부덮개(31)위에 지지되며, 그리고 중공(中空)의 구형상의 플로오트(34)는 플로오트덮개(35)와 저부덮개(31)사이의 공간내에서 자유롭게 수용된다.
저부덮개(31)는 밸브체로서 플로오트(34)에 의해서 평상시 패쇄되는 배수밸브자리(38)가 일체로 설치된 배수구(37)를 보유하고 있다.
작용면에 있어서, 주밸브(5)는 평상시에는 윗쪽으로 향하여 작용되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폐쇄되어 있으며, 파일럿 밸브(11)는 조겅나사(22)에 의해 미리 조정되는 압력실설스프링(14)의 사전설정된 아래쪽을 향하는 탄성력에 의해서 평상시에는 개방되어져 있는다.
수증기를 포함하는 증기류가 입구(2)를 통하여 유입되면, 그 압력은 파일럿밸브(11)의 아래쪽 공간으로 연통구멍(12)을 통하여 전달되며, 그리고나서 개방된 파일럿밸브(11)와 연통구멍(13)을 통하여 피스톤(6)의 윗쪽공간내로 전달되며, 그 피스톤(6)을 아래쪽으로 압입하는 것에 의해서 주밸브(5)는 개방된다.
따라서, 증기가 트랩본체(29)내부로 유입되어, 개방된 주밸브(5)를 경유하여 통과하며 그리고나서 출구(3)로 배출된다.
전기한 증기가 통과되는 동안에 와류날개(27)는 배수로서 트랩본체(29)의 바닥에 모이게되는 원심력에 의해서 수증기에서 분리되는 증기를 와류되게 한다.
배수가 플로오트(34)의 두개를 이겨내는 데에 충분하게 축적될시. 플로오트(34)는 배수밸브자리(38)로 부터 떨어져서 배수구(37)로 부터 방출되도록 한다.
만약, 증기압력이 사전설정치를 상승하게 되면 그것은 스프링(14)에 대향하여 다이아프램(15)울 압압하도록 연통구멍(26)을 통하여 다이아프램실로 전달된다.
이것은 도면표시한 바와같이 스프링에 의하여 윗쪽으로 압입되는 파일럿밸브(11)를 폐쇄하고 따라서 피스톤(6)의 오리피스(10)(제2도 참조)를 통한 누출때문에 피스톤(6)의 윗쪽과 아래쪽사이의 안력을 일정하게 한다.
따라서, 주밸브(5)는 증기유동을 정지시키기 위하여, 제1차측의 증기압력에 의한 뒷쪽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에 의해 폐쇄된다.
똑같은 작동이 사전설정값으로서 제2차압력을 조절하도록 제1차 증기압력에서 다양하게 반복실시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파스톤의 구조를 표시한 것으로, 이 구조는 피스톤 실린더(9)와, 그 사이에 작은 간극을 남겨두는 실린더(9)안으로 삽입되는 피스톤(6)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6)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윗쪽과 아래쪽을 연결하는 오리피스(10)를 갖추고 있다.
2개의 환형홈(61)은 원통형 외주벽에서 서로 분리되어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환형홈(61)내부에는 환형링모양의 밀폐부재(8)가 각각 삽입고정되어져 있다.
그 밀폐부재(8), 는 불소수지로 제조되며 적어도 한부분(62)이 떨어져 있다.
반스프링(7)은 그 사이에서 밀착된 접촉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실린터(9)의 내부표면에 대향하여 밀폐부재(8)를 압압하도록 환형을 (61)의 저벽과 밀폐부재(8)와의 사이에 배치하였다.
다음에 제3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파일럿밸브(11)구조(제1도참조)를 표시한 것으로, 그 파일럿밸브구조는 스텝안내부(16)와 후술하는 안내구멍(161)내로 삽입되는 파일럿스템(17)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밸브자리(162)는 파일럿스템(17)의 밸브체(21)와 일체로 접촉하기 위하여 안내구멍(161)의 하단부주위에 형성되어 있다.
안내구멍(161)을 가로지로는 수평관통구멍(18)은 스텝안내부(16)에 형성되며 상술한 목적을 달성키위하여 연통구멍(13) (제1도참조)에 연결된다.
파일럿스템(17)은 스템안네부(16)의 안내구멍(161)의 내부직경보다 실제적으로 적은 직경을 갖는 스핀들(271)로 구성되며, 그 스핀들(171)은 관통구멍(18)의 바로워에 형성된 플랜지모양의 확장부(172)와, 하단부에 고정된 밸브체(21)와 상부에 압입된 상부부재(173)및 전기한 확장부(172)와 상부부재(173)양사이에서 스핀들(171)에 접동가능하게 삽입된 슬리이브(20)와를 갖추고 있다.
전기한 슬리이브(20), 확장부(172)및 상부부재(173)는 안내구멍(161)의 내부 직경보다 약간 적은 직경을 이루고 있다.
슬리이브(20)와 확장부(172), 슬리이브(20)와 상부부재(173)의 사이에는 한쌍의 환형 밀폐부재(19)가 각각배치되어 있다.
각 밀폐부재(19)는 불소수지로서 만들어지며 적어도 한부분(191)이 분리되어져 있다.
밀폐부재(19)와 슬리이브(20)의 축방향칫수는 그들의 합이 확장부(172)와 상부부제(173)사이의 간격보다도 적게 설계되어 있어서, 실제적으로 밀폐부재(19)와 슬리이브(20)의 축방향 작동을 허용한다.
이와같은 설계는 축방향과 반지름방향 양쪽으로 밀폐부재(19)의 가능한한 열팽장 흡수를 할수가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타서 달라붙는다고하는 문제를 방지할수가 있는 것이다.
상부부재(175)위의 반구형캡(24)이 다이아프램(15)(제1도 참조)과 접촉시키기 위하여 삽입고정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같이, 밀폐부재(8)과 (19)는 블소수지로서 만들어지며 적어도 한부분(62)(191)이 분리되어져 있다. 따라서, 본고안은 실제적으로 접동저항을 감소시키며 그들의 열팽창 흡수를 효과적으로 할수가 있다.
설령, 있다고 하더라고 각 피스톤(6)과 혹은 파일럿스템(17)위에서의 축분리는 분균일한 접촉을 일으키는 어떠한 변헝도 피할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밸브의 유연한 작동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것은 오직 설명목적을 위하여 기재된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를 일탈하지 않는범주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할수가 있다.

Claims (5)

  1. 주밸브(5)와 파일럿밸브(11)로 구성되며, 각 밸브는 그 밸브들을 조절하기 위하여 원통상 외주면을 보유하는 가동 내부부재와 이 내부부재의 외주면에 면하는 원통상 내주면을 보유하는 고정외부부재로 구성된 플런져구조와 관련하여 작동되는 감압밸브에 있어서, 전기한 내부부제는 그 외주면에서 상호축방향으로 분리형성된 적어도 2개의 환형홈(61)을 보유하며, 각각의 환형홈은 그내에 삽입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밀폐부재(8)를 포함하고, 그 밀폐부재는 불소수지로 제조되며 적어도 한부분(62)이 분리되도록 구성한것을 특징으로하는 감압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환형홈(61)의 저부와 밀폐부재(8)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배치되며, 이에의하여 전기한 밀폐부재를 외부부재의 내부면에 대향하여 압입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진기한 탄성부재는 환형의 판스프링(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내부부재는 피스톤(6)이고, 외부부재는 실린더(9)이며, 그 피스톤은 그 양쪽을 연통하는 오리피스(10)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압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전기한 내부부재는 파일러스 템(17)이고, 외부부재는 스텝안내부(16)이며, 그 파일러스템은 중간 부분의 양측부가 균일하면서 중간부분에 걸쳐서 감소된 직경을 보유하고, 그 중간부에는 원통형슬리이브(20)가 접동가능하게 삽입되며, 전기한 밀폐부재(19)를 약간의 축방향과 반지름 방향간극을 유지하면서 전기한 슬리이브(20)와, 균일한 직경을 보유하는 양측부 사이의 중간부 주위에 배치시킨것을 특징으로하는 감압밸브.
KR2019850016500U 1984-12-14 1985-12-10 감압밸브 KR92000635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90706 1984-12-14
JP1984190706U JPH0726733Y2 (ja) 1984-12-14 1984-12-14 減圧弁
JP1985139846U JPH0454498Y2 (ko) 1985-09-11 1985-09-11
JP???60-139841 1985-09-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074U KR860008074U (ko) 1986-07-21
KR920006359Y1 true KR920006359Y1 (ko) 1992-09-17

Family

ID=2647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6500U KR920006359Y1 (ko) 1984-12-14 1985-12-10 감압밸브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KR (1) KR920006359Y1 (ko)
CN (1) CN1004024B (ko)
AT (1) AT392546B (ko)
AU (1) AU5047785A (ko)
BE (1) BE903840A (ko)
BR (1) BR8506254A (ko)
CA (1) CA1270721A (ko)
CH (1) CH668628A5 (ko)
DE (1) DE3544177A1 (ko)
DK (1) DK166470B1 (ko)
ES (1) ES8700403A1 (ko)
FI (1) FI79395C (ko)
FR (1) FR2574896B1 (ko)
GB (1) GB2168504B (ko)
GR (1) GR853007B (ko)
IT (2) IT1215168B (ko)
LU (1) LU86199A1 (ko)
MX (1) MX161859A (ko)
NL (1) NL188712C (ko)
NO (1) NO159554C (ko)
NZ (1) NZ214483A (ko)
PH (1) PH23609A (ko)
PT (1) PT81635B (ko)
SE (1) SE4619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52643B (sv) * 1985-07-01 1987-12-07 Forsheda Ab Vridkolv for reglering av materialflode till ett sprutmunstycke
CN1005588B (zh) * 1985-10-30 1989-10-25 Tlv有限公司 减压阀
JPS6331415U (ko) * 1986-08-12 1988-03-01
ES2204226B1 (es) * 2001-04-16 2005-07-16 Hidroconta, S.A. Piloto de gobierno de valvulas con cierre de membrana o a piston.
DE102005024709A1 (de) * 2005-05-30 2006-12-21 Robert Bosch Gmbh Druckregelventileinrichtung
JP5475716B2 (ja) * 2011-04-27 2014-04-16 株式会社コガネイ 内部パイロット式減圧弁
JP5740402B2 (ja) * 2011-05-17 2015-06-24 株式会社コガネイ パイロット式減圧弁
CN103644307A (zh) * 2013-12-07 2014-03-19 四川锦宇化机有限公司 高温高压减温减压阀
CN103697207A (zh) * 2013-12-27 2014-04-02 李潘宝 一种先导式调压阀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5906C (ko) *
GB622556A (en) * 1947-03-26 1949-05-04 British Oxygen Co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ressure reducing valves
DE898238C (de) * 1951-09-14 1953-11-30 Philips Nv Heissgaskolbenmaschine
GB1020332A (en) * 1962-04-14 1966-02-16 Yazaki Meter Co Ltd A flow meter for propane or the like gas with a safety device combined therewith
BE651009A (ko) * 1963-07-27
US3348573A (en) * 1965-04-19 1967-10-24 Grove Valve & Regulator Co Fluid pressure regulator having a guided pressure responsive member
CA884121A (en) * 1968-08-02 1971-10-26 Texaco Canada Limited Safety valve
CA922752A (en) * 1969-05-22 1973-03-13 Sievenpiper Ward Seal ring
IT979247B (it) * 1972-07-12 1974-09-30 Ato Inc Sistema di tenuta ad anelli per pistone
US4206930A (en) * 1977-05-31 1980-06-10 Chemprene, Inc. Circumferentially compressed piston ring assembly and method
US4522230A (en) * 1983-02-23 1985-06-11 Rockwell International Corporation Orifice plate seal ring for controlled closure check valve
NZ209289A (en) * 1983-10-27 1987-03-31 Tlv Co Ltd Gas pressure reducing valve with liquid sepa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8074U (ko) 1986-07-21
CN1004024B (zh) 1989-04-26
IT1215168B (it) 1990-01-31
GR853007B (ko) 1986-04-11
PH23609A (en) 1989-09-11
ATA359585A (de) 1990-09-15
IT8554189V0 (it) 1985-12-10
NO159554C (no) 1989-01-11
CH668628A5 (de) 1989-01-13
PT81635B (pt) 1987-09-18
FI854841A (fi) 1986-06-15
NZ214483A (en) 1987-11-27
BR8506254A (pt) 1986-08-26
FR2574896A1 (fr) 1986-06-20
IT8568032A0 (it) 1985-12-10
NO159554B (no) 1988-10-03
NO855032L (no) 1986-06-16
DE3544177A1 (de) 1986-06-26
DK577985A (da) 1986-06-15
ES549898A0 (es) 1986-10-01
ES8700403A1 (es) 1986-10-01
GB2168504B (en) 1988-09-07
GB8528556D0 (en) 1985-12-24
PT81635A (en) 1986-01-02
NL188712B (nl) 1992-04-01
NL8503446A (nl) 1986-07-01
FI79395C (fi) 1989-12-11
DK166470B1 (da) 1993-05-24
CA1270721A (en) 1990-06-26
FI854841A0 (fi) 1985-12-09
BE903840A (fr) 1986-04-01
AU5047785A (en) 1986-06-19
SE8505883L (sv) 1986-06-15
DE3544177C2 (ko) 1989-07-27
NL188712C (nl) 1992-09-01
FR2574896B1 (fr) 1989-06-30
AT392546B (de) 1991-04-25
MX161859A (es) 1991-01-30
LU86199A1 (fr) 1986-04-14
DK577985D0 (da) 1985-12-13
SE461933B (sv) 1990-04-09
FI79395B (fi) 1989-08-31
GB2168504A (en) 1986-06-18
CN85108998A (zh) 1986-06-10
SE8505883D0 (sv) 1985-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6208A (en) Pressure regulator
US3735777A (en) Automatic valve
US10309544B2 (en) Valve assembly
US3236256A (en) Pressure protection valve
KR920006359Y1 (ko) 감압밸브
RU2635339C2 (ru) Разгруженный клапанный канал для регулятора жидкости
JP2008309255A (ja) 逃がし弁
US2752941A (en) Balanced pressure regulator
US4274433A (en) Packed plug for a fluid valve
US4217934A (en) Pilot valve mechanism for high or low pressure cut-off control
US2693823A (en) Pilot controlled diaphragm valve and pressure regulator
US4712769A (en) High temperature balanced valve trim
US2727530A (en) Regulator valve
US2700983A (en) Fluid pressure regulator
US5492150A (en) Combination control valve, particularly suitable for thermoelectric power plant
JP7197132B2 (ja) レギュレータ
US3620501A (en) Nonchattering pressure relief valve
US2920859A (en) Balanced valve means
KR960008275B1 (ko) 개선된 유동 특성을 지닌 이중 폐쇄형 벤트 밸브 장치
US3575213A (en) Control valves with balanced action
US2793656A (en) Relief valve
US3665964A (en) Steam turbine control valve structure
GB2298026A (en) Pressure reducing valve
CA1112632A (en) Valve packing
US3318326A (en) Relief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