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348B1 - 봉제용 컨베이어 시스템(conveyer system) - Google Patents

봉제용 컨베이어 시스템(conveyer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348B1
KR920006348B1 KR1019850003841A KR850003841A KR920006348B1 KR 920006348 B1 KR920006348 B1 KR 920006348B1 KR 1019850003841 A KR1019850003841 A KR 1019850003841A KR 850003841 A KR850003841 A KR 850003841A KR 920006348 B1 KR920006348 B1 KR 920006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lift
roller
pocket
gat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3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0985A (ko
Inventor
요시오 오오구보
죠오지 다끼자와
Original Assignee
쟈빵 아빠레투마싱 가부시끼가이샤
요시오 오오구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빵 아빠레투마싱 가부시끼가이샤, 요시오 오오구보 filed Critical 쟈빵 아빠레투마싱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0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0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JSHIFTING OR SHUNTING OF RAIL VEHICLES
    • B61J3/00Shunting or short-distance haulage devices; Similar devices for hauling trains on steep gradients or as starting aids; Car propelling devices therefor
    • B61J3/08Devices with reciprocated pushing bars or like driving mechanisms combined with the track for shunting or hauling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봉제용 컨베이어 시스템(conveyer system)
제1도 내지 제7도는 본 발명에 관한 컨베이어 시스템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1도는 요부측면도.
제2도는 평면도.
제3도는 평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요부를 확대시킨 일부 절단 측면도.
제5도는 제4도의 V-V선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요부 측면도.
제7도는 게이트판의 작동을 설명하는 요부측면도.
제8도는 종래의 예를 나타낸 요부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캐러어(carrier) 6 : 로울러(roller)
6b : 전륜부(轉輪部) 7 : 반송(搬途)레일
8 : 리프트수단(lift means) 11 : 리프트 체인(lift chain)
12 : 모터 14 : 보조게이트수단
15 : 게이트수단(gate means) 16 : 게이트판(gate plate)
16a : 보조스톱퍼면 17 : 로터리실린더
19 : 포킷(pocket) 19a : 스톱퍼면
19b : 받이면 19c : 송출면
A : 리프트위치 B : 작업위치
C : 대기위치
본 발명은 각종의 의복류의 봉제(縫製)를 흐름작업방식으로 실시하는 컨베이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련의 컨베이어라인에 있어서, 다음 공정으로 캐리어의 이송을 각 공정마다 비동기적(非同期的)으로 독립하여 실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종류의 컨베이어 시스템의 종래예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일본국 특개소 58-47653호 공보를 들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 제8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통상의 컨베이어시스템과 달리 캐리어(5)가 반송레일(7)상에서 자중으로 회전하면서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 때문에, 각 공정의 워크 포지션(work position) W끼리 다음 공정을 향하여 하향 경사의 반송레일(7)에 연락되어 있다. 캐리어(5)를 다음 공정으로 보내기 의하여 이웃한 반송레일(7), (7)의 경사하단과 경사 상단사이에 캐리어(5)를 끌어 올리는 리프트수단(lift means)(8)을 구비하고 있다. 도면에서 부호 A가 리프트위치이다, 이 리프트위치 A보다 더 높은 윗쪽의 대기위치 C에서 캐리어(5)의 이동을 정지하고, 리프트수단(8)의 리프트동작에 연동하여 캐리어(5)한개만 내보내는 게이트수단(15)이 배설되어 있다. 그 게이트수단(15)에서 한개씩 내보내는 캐리어(5)는 반송레일(7)의 경사하단에 설정한 리프트위치(A)에서 정지하고, 리프트수단(8)에서 유동(遊動)할 수 없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가공이 끝나는 것을 대기하며,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캐리어(5)에서 의복의 파트(parts)를 분리하여 제거하든가 또는 블랭크(blank)를 착탈한다. 따라서, 리프트위치 A는 즉 작업위치 B가 되었다. 이들의 리프트수단(8) 및 게이트수단(15)은 각 공정마다 독립하여 작업자의 명령에 의해 작동한다.
이와같이, 각 공정마다 캐리어(5)의 이송을 독립하여 행하는 것은 첫째로 각 공정에서 작업내용에 난이(難易)의 차이가 있고, 또 작업자의 숙련도에 차이가 있어, 일정한 속도로 캐리어(5)를 보낼 수가 없기 때문이다. 둘째로 비연속적으로 캐리어(5)를 다음 공정에 보냄으로써 각 반송레일(7)상에서 다수의 캐리어(5)를 구비하고 후 공정의 처리속도가 늦어지는 경우에도 이것에 영향받는 일없이 앞공정의 작업자가 작업을 속행(續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와같은 종류의 컨베이어시스템에서는 각 공정마다 반송레일(7)상에 상당수의 캐리어(5)를 구비하는 일이 많으므로, 특히 게이트수단(15)에서 리프트수단(8)을 통과하는 사이에 캐리어(5)의 이송효율이 문제가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서는 리프트수단(8)의 작동과 동시에 게이트수단(15)이 다음의 캐리어(5)를 내보내더라도 리프트수단(8)이 앞의 캐리어(5)를 후공정의 반송레일(7)로 옮긴뒤 대기자세로 복귀하여 다음의 캐리어(5)를 포착하기까지 작업자는 캐리어(5)에서 그 블랭크(blank)나 그 파트(parts)의 분리제거를 할 수 없다. 따라서, 각 공정의 작업사이클마다 로스타임(losstime)이 발생한다. 리프트수단(8)이 캐리어(5)를 포착하기전에 캐리어(5)에서 그 블랭크나 파트(parts)의 분리, 제거가 가능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캐리어(5)가 반송레일(7)에 자중으로 매달려 있을 뿐, 그 전동용(轉動用) 로울러(6)가 반송레일(7)에서 이탈되거나 캐리어(5)가 작동하여 그 블랭크등을 제거하기가 힘들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불안감을 느껴 캐리어(5)가 리프트수단(8)에 포착되기까지 그 블랭크등을 빼낼수 없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게이트수단(15)에서 리프트수단(8)을 통과하는 사이에 캐리어(5)의 이송효율을 향상시킨다. 즉, 반송레일(7)상의 작업 위치 B에 캐리어(5)가 도달되면 작업이 끝난 캐리어(5)가 리프트수단(8)으로 다음 공정에서 들어 올려지는 것과는 관계없이 즉시 작업에 들어가도록 하고, 각 공정의 각 작업 사이클마다 발생한 로스타임(losstime)을 일소하여, 봉제의 작업능률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를 위한 구체적인 기구(機構)를 간단하게 하여 작동의 확실성을 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문제점은 리프트수단(8)으로 캐리어(5)를 들어 올려지지 않게 포착하기까지 작업자가 캐리어(5)에서 파트(parts)등을 분리, 제거시킬 수 없는 것이 최대의 요인이다. 본발명에서는 캐리어(5)를 포착하는 보조게이트수단(14)을 따로 설치하고 이것을 리프트수단(8)과 게이트수단(15)의 중간에 설치함으로써 리프트수단(8)의 동작과는 관계없이 그 블랭크나 그 파트(parts)의 착탈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반송레일(7)의 경사하단부에 설치한 리프트위치 A보다 캐리어반송방향의 윗쪽에 작업위치 B를, 또 그 윗쪽에 대기 위치 C를 설정하고 작업위치 B에 보조게이트수단(14)를, 그리고 대기위치 C에 게이트수단(15)을 각각 배설한 것이다.
또, 구체적인 실시로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채용되었던 레버링식 게이트수단을 바꾸어, 게이트수단(15) 또는 보조게이트수단(14)의 각각을 회전식으로 교환시킴으로써, 구조의 간소화와 동작의 신뢰성 향상도 실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따라 설명하면, 제3도에서 컨베이어시스템은 좌우로 긴 종방향 프레임(1)과, 프레임에서 전후로 돌출된 분기프레임(2)을 기본 구조체로 하여 양 프레임(1)(2)의 외곽선을 따라 컨베이어라인(3)이 배치되어 있다. 컨베이어라인(3)은 각 프레임(1)(2)에서 돌출된 지지암(arm)(4)에서 지지되고, 도면에서는 전체로서 십자형이 좌우로 연속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컨베이어라인(3)의 요입부(凹入部) 및 좌우 양단의 코너(4)는 각각 미싱이나 아이론대(台)등이 설치된 워크포지션(work position) W가된다. 예로서 좌측단 코너에 있어서 앞쪽의 워크포지션 W1에서, 의복의 전 파트(parts)가 부착되어 있는 캐리어(5)를 컨베이어라인(3)에 공급하고 그 캐리어(5)가 각 워크포지션 W을 통과할 때 마다 그 파트를 차례로 꿰매면서 컨베이어라인(3)을 한바퀴 돌면 의복이 완성되는 시스템을 취한다.
제1도에 있어서, 캐리어(5)는 다수의 파트를 지지하는 의복 행거(hanger)형상의 호울더(5a)와, 이 호울더(5a)가 행거암(hanger arm)(5b)을 통해 지지하는 로울러(6)로 구성되어 있다. 그 로울러(6)는 제5도에서와 같이 반송레일(7)을 양측에서 끼운 한쌍의 측륜부(側輪部)(6a)와, 이 측륜부(6a)의 중앙에 대향지게 돌설한 전륜부(前輪部)(6b)와, 반송레일(7)을 통해 전륜부(6b) 끼리 연결하는 보스(boss)(6c)를 일체로 되게 형성한 플라스틱 성형품이며, 그 행거 암(5b)의 상단 로울러측(5c)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의복의 파트는 통상의 수단으로 각각 호울더(5a)의 척부(chuck) 아래에서 밀어 넣어 지지되며, 상방으로 제거하는 착탈 형식을 취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컨베이어라인(3)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컨베이어라인(3)은 각 공정의 워크 포지션 W끼리를 연락하는 원형 파이프제의 반송레일(7)과, 각 반송레일(7) 사이에 설치된 리프트수단(8)으로 연결되어 있다. 캐리어(5)가 자중으로 회전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동하도록, 반송레일(7)은 다음 공정의 워크포지션 W쪽으로 향하여 6도 내지 9도(度)의 하향경사가 되어 있으며, 작업자의 위치에서 볼때(제1도에 있어서) 왼쪽 전방부근이 경사의 시발단이 되고, 경사의 종료단이 다음 공정의 작업자 위치의 왼쪽이 된다. 즉, 우측으로 하향경사지게 구성되어 있다.
리프트수단(8)은 전공정의 반송레일(7)의 경사종료단과 후공정의 반송레일(7)의 경사시발단 사이에 상향경사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그 경사하단에 있는 캐리어(5)를 다음 반송레일(7)까지 들어올려, 고도(高度)를 높히고 캐리어(5)를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각 반송레일(7)의 경사 하단부가 캐리어(5)의 리프트위치 A에 설정된다.
제4도에서 리프트수단(8)은 이웃한 각 반송레일(7)의 단부를 양측에서 끼운 한쌍의 프레임(9)과, 이 프레임(9) 사이에 스프로킷(sprocket)(10)을 통하여 지지된 리프트체인(lift chain)(11)과, 예로서 상측의 스프로킷(10)을 회전시켜 구동하는 모터(12)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리프트체인(11)의 주변에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로드 네일(load nail)(1la)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것이 로울러(6)에 걸림으로써 캐리어(5)는 그리프트체인(11)과 동행이동을 한다. 이 로드네일(1la)은 한개만으로도 가능하다.
반송레일(7)상에는 리프트위치 A에서 캐리어반송 방향의 윗쪽으로 작업위치 B와 대기위치 C를 차례로 설정하여 작업위치 B에 보조게이트수단(14)를, 대기위치 C에 게이트수단(15)를 각각 배설한다.
제5도에서, 작업위치 B에 있는 보조게이트수단(14)은 원판상의 게이트판(16)과, 이것을 정역(正逆)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로터리 실린더(Rotary cylinder)(17)로 구성되어 있고, 양 부재(16)(17)를 분리된 상태로 지지하는 브라킷(bracket)(18)을 통하여 반송레일(7)에 고정되어 있다.
게이트판(16)은 주면의 회전궤적이 로울러(6)의 전륜부(6b)의 이동 영역과 겹쳐지는 위치에 설치하고, 판면(板面)의 하부에 전륜부(6b)가 꼭 끼어있는 포킷(pocket)(19)을 형성한다. 이 포킷(19)은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전륜부(6b)를 정지시키는 스톱퍼(stopper)면(19a)과 전륜부(6b)에 접촉하여 로울러(6)의 상방으로 이동을 규제하는 원호형상의 받이면(19b)과, 전륜부(6b)를 강제적으로 포킷(19)의 외측으로 밀어내는 송출면(19c)을 형성하고 있다. 이 로터리 실린더(17)는 공기압으로 구동되어 정역(正逆)의 양방향으로 반(半)회전하며, 게이트판(16)을 제6도에 나타낸 정지자세와, 제7도에 나타낸 이탈자세를 통하여 왕복으로 회전한다. 각 공정에서는 보조게이트수단(14)의 바로 옆에 작업자가 위치하도록 워크포지션 W를 배치(layout) 한다.
대기위치 C에서의 게이트수단(15)은, 그 설치위치가 다른것을 제외하면, 보조게이트수단(14)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것은 하나의 부재를 공통으로 하기위해서이다. 따라서, 동일부재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게 되어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여기서 주목할 것은, 게이트수단(15)에서는 반송레일(7)상에 구비되어 있는 다수의 캐리어(5)를 한개씩 보낼 필요가 있으며, 캐리어(5)를 보낼때, 동시에 후속하는 캐리어(5)군(群)을 정지시켜 이동을 저지시켜야 하는 점이다. 이때문에 정지 작용을 게이트판(16)주면의 원호상 보조스톱퍼면(16a)에서 행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보조스톱퍼면(16a)은 기본적으로 원호면이면 족하며, 반드시 부분적으로 완전한 원형일 필요는 없다. 보조게이트수단(14)의 게이트판(16)에서는 형상적으로 그 보조스톱퍼면(l6a)이 존재하나, 특별한 작용은 없다.
그다음으로 그 작용을 설명한다.
게이트수단(15) 및 보조게이트수단(14)에서는 각각 캐리어(5)의 로울러(6)의 전륜부(6b)가 게이트판(16)의 포킷(19)내에 꼭 끼어 캐리어(5)의 이동이 저지된다. 게이트수단(15)에서는 일반적으로 약간의 캐리어(5)가 서로 로울러(6)끼리 접촉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작업위치 B에서 보조게이트수단(15)으로 포착된 캐리어(5)에서 그 블랭크와 그 파트를 분리 제거한다. 이때 그 파트를 분리 제거하는 방향이 일반적으로 상방향이므로 캐리어(5)는 상방 혹은 반송레일(7)의 경사 윗쪽으로 이탈하려고하나, 로울러(6)의 전륜부(6b)가 게이트판(16)의 포킷(19)내에 꼭끼워져 받이면(19b)에서 정지된다. 따라서, 캐리어(5)가 반송레일(7)에서 탈륜을 하거나 유동하는 일이 없다.
작업자는 가공을 한뒤, 그 블랭크를 캐리어(5)에 되돌린다. 그리고 캐리어(5)를 다음 공정으로 보내기 위해서는 다음의 캐리어(5)를 작업자 앞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예로서, 푸트스위치(foot switch)(도시생략)를 조작하여 보조게이트수단(14)과 게이트수단(15)을 작동시킨다. 작업자의 명령신호에 의하여 양 게이트수단(14)(15)은 동시에 작동하며, 로터리 실린더(17)가 제이트판(16)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동을 한다. 이로써, 포킷(19)의 개구가 제7도에서와 같이 반송레일(7)의 반송방향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그 스톱퍼면(19a)이 로울러(6)의 전륜부(6b)의 유동 영역에서 벗어난다. 이 상태에서 캐리어(5)는 원래 작업위치 B에서 리프트위치 A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으나, 보다 확실하게 캐리어(5)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포킷(19)의 송출면(19c)에서 전륜부(6b)를 밀어내어 로울러(6)에 초속도(初速度)를 제공한다. 그 캐리어(5)의 송출과 동시에 게이트판(16)은 로터리실린더(17)에서 시게 방향으로 구동되어서 원래의 정지자세로 복귀한다. 보조게이트수단(14)과 게이트수단(15)은 시간차를 갖고 작동하도록 하여도 된다. 보조게이트수단(14)에서 내보낸 캐리어(5)는 자중으로 진동하여 리프트위치 A에 도달되며, 여기서부터, 리프트수단(8)에 의하여 리프트체인(11)의 로드네일(11a)에 걸려 다음 반송레일(7)상으로 들어 올린다.
그 리프트수단(8)은 캐리어(5)가 리프트위치 A에 오면 이것을 포착하여 작동한다. 그리고 캐리어(5)가 다음 반송레일(7)로 이동되면, 자동적으로 리프트수단(8)은 정지한다. 다음 반송레일(7)의 경사개시단부에는 검지수단을 갖추고 있으며, 리프트수단(8)이 작동하기전에 이 검지수단이 캐리어(5)의 존재를 검출할 경우, 즉 다음 반송레일(7)상에 캐리어(5)의 스톡(stock)량이 어떤사정으로 한계량에 이를 경우에는 리프트수단(8)의 기동을, 또 필요에 따라 양 게이트수단(14)(15)의 기동을 금지한다.
그 게이트수단(15)에서는 보조게이트수단(14)과 동시에 게이트판(16)이 작동하여 가장 앞에 있는 열(列)의 캐리어(5)를 강제적으로 내보낸다. 이때, 대기위치 C에 있는 후속 캐리어(5)도 동시에 작동하나, 가장 앞에있는 열의 캐리어(5)의 로울러(6)가 게이트판(16)의 포킷(19)에서 벗어나게 되어 밀어낼때까지는 로울러(6)의 축륜부(6a)끼리 접촉하고 있어 로울러(6)사이의 거리가 줄어드는 일은 없다. 가장 앞에있는 열의 로울러(6)가 스톱퍼면(19a)에서 걸림상태를 이탈하는것보다 그 전에, 게이트판(16) 주면의 송출면(19c)에 이어지는 보조스톱퍼면(16a)이 전륜부(6b)의 이동영역내에 들어가, 다음의 캐리어(5)는 그 로울러전륜부(6b)가 보조스톱퍼면(16a)에 정지된 상태에서, 대기위치 C에 정지된다. 게이트판(16)의 복귀동작으로 포킷(19)의 개구가 반송방향 윗쪽으로 향하게 됨으로써 전륜부(6b)가 서서히 포킷(19)내에 꼭끼게 되고, 게이트판(16)의 완전복귀에 의하여 스톱퍼면(l9a)에서 정지된다. 이와같이 게이트수단(15)은 캐리어(5)를 확실하게 한개씩 작업위치 B로 내보낸다.
대기위치 C에서 내보낸 캐리어(5)는, 이들의 이동을 작업위치 B에서 기다리고 있는 보조게이트수단(14)의 포킷(19)내에 들어가 스톱퍼면(19a)에서 정지한다. 작업자는 작업위치 B에서 리프트수단(8)의 들어올리는 동작과는 전혀 관계없이 보조게이트수단(14)으로 포착된 캐리어(5)에서 즉시 그 블랭크나 그 파트를 제거할 수 있고, 종래에 필요하였던 캐리어(5)가 포착되기까지의 로스타임을 일소 할 수 있다. 캐리어(5)는 양 게이트수단(14)(15)에서 강제적으로 내보내게 됨으로, 자중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는 경우에 비하여, 이점에 있어서도 캐리어(5)의 이송효율이 한층 높아진다.
또, 설정된 모든 워크포지션 W에 작업자가 있어, 거기서 작업이 행하여지는 것 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예비 워크포지션 W가 몇개 존재한다. 여기서는 캐리어의 송출을 앞서말한 수동에서 자동으로 절환됨으로써 반송레일(7)상의 캐리어(5)가 대기위치 C에서 작업위치 B에 대하여 리프트위치 A로 자동적으로 보내지며, 그 다음 반송레일(7)로 내보낸다. 그 다음 반송레일(7)이 그 이상의 캐리어(5)를 받을 수 없을 때에는 그 검지수단이 작동하여 리프트수단(8)이 작동되지 않는다.
위 실시예에서는 게이트판(16)을 로터리실린더(17)로 구동하였으나, 이 구동원은 왕복구동형(往復驅動型)의 실린더라도 가능하다. 원형의 게이트판(16)을 1회전시켜도 되며, 이 경우에는 구동원을 전동모터로 바꿔도 된다.
리프트수단(8)도 체인 방식일 필요는 없고, 앞서 인용한 물품 반송장치에서 나타낸것과 같이 왕복구동형식의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 보조게이트수단(14)의 구조를 내용으로 하는 본원의 두번째의 발명에서, 게이트수단(15)의 구조에 대하여 어떤 한정을 하는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게이트수단(15)의 구조를 내용으로하는 본원의 세번째의 발명에서 보조게이트수단(14)의 구조에 대하여 어떤 한정을 하는것은 아니다. 또, 위 실시예에서는 로울러(6)의 전륜부(6b)을 게이트판(16)으로 정지하도록 하였으나 전륜부(6b)이외에, 측륜부(6a), 보스(6c) 또는 로울러축(5c)를 게이트판(16)으로 정지하도록 하여도 되며, 위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수단(15)의 게이트판(16)에 대해서 포킷(19)의 받이면(19b)를 생략하여도 되며, 이 경우 포킷(19)은 간단하게 앞서 설명한 로울러(6)의 구성부재중 어느것을 수용하여 정지형상으로 하면 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발명에서는 게이트수단(15)과 리프트수단(8)사이에 보조게이트수단(14)을 배치하고, 그 보조게이트수단(14)으로 캐리어(5)를 포착하여 그 블랭크나 그 파트의 이탈, 제거가 될 수 있도록 하였으므로, 캐리어(5)는 게이트수단(15)에서 보내져 보조게이트수단(14)으로 포착됨과 동시에 리프트수단(8)을 전혀 무시하고 블랭크등을 이탈, 제거할 수 있다. 종래의 예에서와같이, 캐리어(5)가 리프트수단(8)에 포착되기까지 필요하였던 대기 시간을 없앨수 있다. 따라서, 각 공정의 각 작업 사이클마다 로스타임을 일소하여, 게이트수단(15)에서 리프트수단(8)에 이르는 동안 캐리어(5)의 이송효율을 높혀, 전체로서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보조게이트수단(14) 또는 게이트수단(15)을 각각 회전식으로 할 대에는, 게이트판(16)이 회전됨으로써 게이트판(16)에 형성한 포킷(19)이 변위하여, 캐리어(5)의 로울러(6)를 정지시키며, 또는 로울러(6)의 전동을 허용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게이트수단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격을 낮출수 있고, 작동의 신뢰성을 높힌다. 또 게이트수단(15)에 있어서는, 구비된 캐리어(5)군의 하중이 크게 작용하나 회전하는 게이트판(16)에서 로울러(6)을 정지시킴으로 다른 부위를 정지시킬 경우와 비교하여, 적은 모멘트를 부담하면 되며, 내구성에 있어서도 효과적이다.

Claims (2)

  1. 일련의 공정에서 각 공정의 워크포지션(work position) W끼리를 후 공정쪽으로 하향경사의 반송레일(7)에 연락하고, 이웃한 각 반송레일(7)(7)의 경사하단과 경사상단 사이에 캐리어(carrier)(5)를 후 공정의 반송레일(7)에서 들어올리는 리프트수단(lift meams)(8)을 배치하며, 각 워크포지션 W에서 반송레일(7)의 경사 하단부를 리프트위치 A에 설정하여 그 리프트위치 A보다 캐리어반송방향의 윗쪽에 작업위치 B에 대하여 대기위치 C를 차례로 설정하고, 작업위치 B에서 보조게이트수단(14)를, 대기위치 C에서 캐리어(5)를 정지시켜 작업위치 B에서 한개씩 내보내는 게이트수단(15)를 각각 배설하며, 그 보조게이트수단(14)은 캐리어(5)의 로울러(6)의 이동영역내에 있는 게이트판(16)과, 그 게이트판(16)을 구동시키는 구동원을 구비하여, 게이트판(16)에 로울러(6)의 적어도 일부가 전동(轉動)에 의하여 꼭끼워지는 포킷(19)를 형성하고, 그게이트판(16)은 게이트수단(15)에서 내보낸 캐리어(5)의 로울러(6)가 포킷(19)내에서 정지되는 정지자세와, 그 포킷(19)이 로울러(6)의 전동을 허용하는 이탈자세를 다같이 구동원으로 회전구동시켜 캐리어(5)가 보조게이트수단(14)에 포착된 상태에서 적어도 캐리어(5)의 상방이동을 규제하는 받이면(19b)을 포킷(19)에 형성시킴을 특징으로하는 봉제용 컨베이어시스템.
  2. 일련의 공정에서 각 공정의 워크 포지션(work position) W끼리를 후 공정쪽으로 하향 경사의 반송레일(7)에 연락하고, 이웃한 각 반송레일(7)(7)의 경사하단과 경사상단사이에 캐리어(5)를 후 공정의 반송레일(7)에서 들어올리는 리프트수단(8)을 배치하며, 각 워크포지션 W에 반송레일(7)의 경사하단부를 리프트위치 A에 설정하고 그 리프트위치 A보다 캐리어 반송방향의 윗쪽에 작업위치 B에 대하여 대기위치 C를 차례로 설정하며, 작업위치 B에서 보조게이트수단(14)을, 대기위치 C에서 캐리어(5)를 한개씩 내보내는 게이트수단(15)을 각각 배설하여, 게이트수단(15)은 캐리어(5)의 로울러(6)의 이동영역에 있는 게이트판(16)과, 그 게이트판(16)을 구동하는 구동원을 구비하고, 게이트판(16)에 로울러(6)의 적어도 일부가 전동에 의하여 꼭 끼워지는 포킷(19)을 형성하고, 게이트판(16)은 캐리어(5)의 로울러(6)가 포킷(19)내에 정지된 정자자세와, 포킷(19)이 로울러(6)의 전동을 허용하는 이탈자세를 다같이 회전구동시켜, 게이트판(16)에 포킷(19)이 이탈자세로 이동할때 후속되는 캐리어(5)의 로울러(6)을 정지시키는 원호상의 보조스톱면(16a)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용 컨베이어시스템.
KR1019850003841A 1984-07-09 1985-06-01 봉제용 컨베이어 시스템(conveyer system) KR920006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9143088A JPS6121857A (ja) 1984-07-09 1984-07-09 縫製用コンベアシステム
JP59-143088 1984-07-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0985A KR860000985A (ko) 1986-02-22
KR920006348B1 true KR920006348B1 (ko) 1992-08-03

Family

ID=15330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3841A KR920006348B1 (ko) 1984-07-09 1985-06-01 봉제용 컨베이어 시스템(conveyer system)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21857A (ko)
KR (1) KR9200063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707U (ja) * 1984-07-13 1986-02-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ハンガ−コンベアにおけるハンガ−間歇送り装置
JPS62181090A (ja) * 1986-02-05 1987-08-08 工業技術院長 柔軟布の搬送装置
JPH0512166Y2 (ko) * 1987-12-26 1993-03-29
JPH01314590A (ja) * 1988-06-16 1989-12-19 Naigai Tokushu Senko Kk 布帛端末の縫製連接方法
JPH07112520B2 (ja) * 1990-05-21 1995-12-06 工業技術院長 上衣等のストッ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21857A (ja) 1986-01-30
KR860000985A (ko) 1986-02-22
JPH0336712B2 (ko) 199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06646A (en) Conveyor apparatus
US4718533A (en) Transport installation for a production line having parallel-arranged processing stations
JPH08169536A (ja) ワークの自動搬送方法および装置
KR101784660B1 (ko) 허브 부재용 이송장치
US4817778A (en) Arrangement for conveyor systems
JPH06102485B2 (ja) 衣料工業の製造ラインにおける工作材料の搬送を制御管理する方法とその装置
KR920006348B1 (ko) 봉제용 컨베이어 시스템(conveyer system)
US5715669A (en) Bobbin transporting system for roving and spinning machines with apparatus to exchange bobbins of differing pitches
JPH02198984A (ja) ケンス運搬車
US5544389A (en) Sliver piecing in spinning machines
US65169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textile articles, especially for loading articles on hosiery machines
USRE31945E (en) Conveyor apparatus
EP0719883A2 (en) Device for conveying, to a final station, loose textile articles fed selectively by at least two feed stations
JP2752504B2 (ja) 紡績機械と巻取り機械との間の機械結合部
US6016903A (en) Conveyor track for pallets
JP2000044047A (ja) 移載装置の自動ストッパー機構
JPH05238519A (ja) ハンガー搬送装置
JP2593628B2 (ja) ハンガー搬送装置
EP3398712A1 (en) System and method of discharging parts
JPH0316811Y2 (ko)
JP2532680Y2 (ja) 物品移載装置
JPH0724332Y2 (ja) ワークの搬送装置
US2958411A (en) Conveyor system
KR0112806Y1 (ko) 텔레비젼 캐비넷 자동 도장 시스템의 제품 이송장치
JP2536232B2 (ja) 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