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842B1 - 빨대포장지 - Google Patents

빨대포장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842B1
KR920005842B1 KR1019880000483A KR880000483A KR920005842B1 KR 920005842 B1 KR920005842 B1 KR 920005842B1 KR 1019880000483 A KR1019880000483 A KR 1019880000483A KR 880000483 A KR880000483 A KR 880000483A KR 920005842 B1 KR920005842 B1 KR 920005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space
straight tube
flexibl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0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0995A (ko
Inventor
해칸슨 쟌
Original Assignee
로비 테크닉 아크티에보라그
궤스타 세브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비 테크닉 아크티에보라그, 궤스타 세브렐 filed Critical 로비 테크닉 아크티에보라그
Publication of KR8800109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09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4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increments of material, in webs, e.g. folded or tubular webs, or by subdividing tubes filled with liquid, semi-liquid, or plastic materials
    • B65D75/42Chains of interconnected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22Details
    • B65D77/24Inserts or accessori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filling of containers
    • B65D77/28Cards, coupons, or drinking stra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Separable, striplike plur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Bag Fram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빨대포장지
제1도는 종래의 주름형 빨대에 대한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주름부를 부분 확대한 일부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다른 막형태의 빨대포장치에 대한 일부 정면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각각 제3도의 빨대포장지에 대한 IV-IV선, V-V선, VI-VI선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빨대포장지를 종래형의 포장용기에 부착하는 방법을 설명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빨대 2 : 빨대포장지
1a : 긴 직선형관부 1b : 짧은 직선형관부
1c : 가요성 중앙관부 1a', 1b' : 자유단부
3, 4 : 가요재막 5, 5' : 모서리
6 : 종방향 밀봉점 7 : 횡방향 밀봉점
8 : 폐공간 8a, 8b, 8c : 공간부
본 발명은 두개의 직선관부를 주름형의 중간관부를 개재하여 서로 가요하게 일체로 연결한 빨대를 위생적으로 보호하는 한편, 빨대를 포장용기의 일측면에 부착시키는 막형의 포장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포장지는 2장의 가요재막으로 구성되며, 이 가요재막을 횡 및 종방향으로 밀봉 접합시킴으로서 내부에 빨대를 밀봉 수용하게 된다. 포장용기의 내용물, 예컨데 주우스등을 용이하게 마실 수 있도록 외부에 빨대를 부착한 소위 1회용의 포장용기가 제시된 바 있다. 이러한 포장용기에 부착된 빨대는 가요성이지만 비교적 딱딱한 플라스틱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용기벽중에서 얇고 약한 부분을 뚫어서 삽입시킬 수 있다.
이러한 빨대를 종래의 평행 6면체형의 포장용기에 부착시킬때 빨대는 위생상의 이유로 인하여 가요성의 보호막으로 싸이고 포장용기의 측변중 일면에 대각선 형태로 통상 부착된다. 따라서 포장용기를 이송하거나 저장하는 등의 취급중에 방해되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하려면, 빨대를 용기벽외로 조금도 돌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빨대의 길이는 포장용기의 측벽중에서 제일 넓은 측벽상 양 모서리간의 대각선 거리를 초과할 수 없게 되고, 그러므로 빨대를 측벽으로부터 분리하여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마시는데 사용할때 빨대가 짧아서 불편을 주게 되며, 특히 일정형태 및 크기를 가진 포장용기에 있어 더욱 그러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여 포장용기의 측벽중에서 가장 큰 측벽의 포면상의 대각선 길이보다 긴 빨대를 부착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방법이 제시되었다. 즉, 주름형태의 가요성 중앙부를 구비한 빨대를 가요성의 보호막으로 싼 다음 접어서 포장용기벽에 부착함으로서 포장용기벽과 모서리내에 여유있게 수용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빨대를 접은 상태에서 포장하는 일이 용이하지 않고, 가요성이 막형태인 포장지로 포장하는 일은 거의 불가능하여 빨대를 포장용기에 부착시키기 이전의 요건인 가요성 막포장지로 포장하는 일이 허용될 수 없었다. 또한 이러한 빨대를 접은 상태로 포장하였다 할지라도 사용시에 빨대로부터 외부막을 간단히 벗겨내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불편을 주게 되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상의 단점들은 청구범위 제1항에 상세하게 기술되는 특징을 가지며 서두에서 밝힌바 있는 형태의 포장지를 제공하는 본 발명에 따라서 효과적으로 해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빨대포장지의 양호한 실시예는 그 특징을 종속항에서 상술하였다. 이제부터 본 발명은 특히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2개의 직선형관부(1a) 및 (1b)를 가요성 중앙관부(1c)로서 서로 가요하게 연결한 종래의 빨대(1)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빨대(1)는 가요적이지만 비교적 단단한 플라스틱 재료를 사출하여 형성되며, 가요성 중앙관부(1c)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가열 및 기계적 처리함으로서 제2도에 상세히 도시된 주름진 관형의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빨대(1)의 2개의 직선형관부(1a) 및 (1b)중 직선형관부(1a)는 돌중에서 약간 긴데 이러한 의도는 빨대를 포장용기내의 내용물을 마시기 위한 용도로 사용할때 삽입단부로서 이용하기 위함이다.
긴 직선형관부(1a)를 용기벽내로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긴 직선형관부(1a)의 자유단부(1a')는 경사지게 절단하여 예리한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물론 빨대(1)의 크기는 빨대(1)를 부착하는 포장용기의 형에 따라 가변적이지만, 예컨데 용기의 상부벽상에 마련되는 빨대구멍을 통하여 포장용기내로 삽입되는 긴 직선형관부(1a)는 포장용기의 저면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충분히 길어야 한다. 예컨데 250ml 용량의 Tetra Brik(등록상표)의 평행육면체 포장용기에 부착되는 빨대는 전장이 150mm이고, 긴 직선형관부(1a)의 길이가 106mm이며, 짧은 직선형관부(1b)의 길이는 35mm이고, 9개의 환형주름(1c)으로 구성된 가요성 중앙관부(1c)는 약 9mm의 길이이다. 또한 빨대(1)는 직경 4mm(단, 가요성 중앙관부(1c)의 직경은 1mm이상 더 굵다)의 원형의 기하학적 외형을 취하며, 두께(d)는 빨대 전장에 걸쳐서 약 0.2mm로서 균일하다. 빨대(1)의 제조용 재료로서 갖추어야할 요건은 이미 언급한 바 있듯이 가요성이 있고 형태가 안정적인 플라스틱재이어야 하며, 예컨데 폴리프로피렌, 폴리스티렌, HDPE(high desity polyethylene 고밀도 폴리에틸렌)등을 들 수 있다. 긴 직선형관부(1a)의 삽입단부는 수평선에 대하여 약 30°각도의 사선을 따라 절단하여 용기벽의 약화부분을 통하여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삽입중에 찌그러지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충분히 단단해야 한다.
제3도는 상기에서 기술한 형태의 빨대(1)용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막형의 빨대포장지(2)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명확히 알수 있는 바와같이, 빨대포장지(2)는 2장의 가요재막(3) 및 (4)으로 구성되며, 이들 가요재막(3) 및 (4)사이에 빨대(1)가 배치되는데 빨대(1)는 가요재막(3) 및 (4)의 종방향의 모서리(5) 및 (5')에 대해 동일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가요재막(3) 및 (4)은 밀봉 가능한 플라스틱재, 예컨데 폴리프로필렌로 제조한 것이기 때문에 가열밀봉처리에 의해서 서로 접합되며, 따라서 모서리(5) 및 (5')를 따라서 좁은 축방향 밀봉점(6) 및 (6')이 형성되고, 각각의 빨대(1)간의 부위에 횡방향 밀봉점(7)이 형성된다. 가요재막(3) 및 (4)간의 밀봉은 상기한 밀봉점(6), (6') 및 (7)들이 접합됨으로서 형성되고, 이에 따라서 폐공간(8)이 형성되며, 이 폐공간(8)내에 빨대(1)가 배치된다.
제3도에서 알수 있듯이 빨대(1)는 자유단부(1a') 및 (1b')를 각각 모서리(5') 및 (5)쪽으로 뻗고 있다. 개별포장지(10)는 본 발명에 따라서 마련된 빨대(1)간으 분할선(9)을 따라서 포장지(2)로부터 절단 형성되어, 제7도에 도시된 방식으로 주우스같은 음료를 담은 포장용기(11)의 외부면에 부착된다.
도시한 포장용기(11)는 사각측벽(제7도에서는 포장용기(11)의 2개의 큰 측벽(12)중 하나만을 도시하였음)으로 구성된 Tetra Brik(등록상표)형의 종래적 평행육면체 용기를 인용하여 도시한 것이다. 개별포장지(10)의 부착은 이른바 빨대부착기를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수행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빨대(1)의 자유단부(1a')를 용기의 저부모퉁이(15)쪽으로 향하게 하고, 가요성 중앙관부(1c)를 대각선상 반대쪽의 상부 모퉁이(16)의 부위에 배치함으로서 빨대(1)중에서 긴 직선형관부(1a)가 측벽(12)의 테두리선(13) 및 (14)내에 완전하게 배치되며, 빨대(1)중 짧은 직선형관부(1b)는 이대로 접어서 측벽(12)의 테두리선(13)과 평행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개별포장지(10)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형태로서, 이른바 가열용융되는 접착제를 바른 접착점(17)에 의해 측벽(12)에 부착된다.
한편, 개별포장지(10)중에서 가요성 중앙관부(1c)의 밀봉부위가 찢어지지 않도록 하면서 빨대(1)중 짧은 직선형관부(1b)를 아래로 접기위해서, 폐공간(8)중 빨대(1)의 가요성 중앙관부(1c)에 인근한 공간부(8a)(제5도 참조)는 단면상 면적을 다른 공간부(8b) 및 (8c)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한다.
이러한 공간부(8a)의 확대에 의한 여유공간의 형성에 의해서, 빨대(1)와 주변 빨대포장지(2)간에 상당한 여유가 생기게 됨으로서 짧은 직선형관부(1b)를 접는 일이 용이하게 된다.
제3도에서 명확히 확인할 수 있는 바와같이 공간부(8a)는 빨대(1)의 직선형관부(1a) 및 (1b)를 일부 포함하여 수용한다. 또한 공간(8)중에서 짧은 직선형관부(1b)부위에 위치하는 공간부(8b)를 빨대(1)의 길이보다 길게 축상연장시켜서, 짧은 직선형관부(1b)의 자유단부(1b')와 모서리(5)에 인근한 축방향 밀봉점(6)간에 여유공간을 형성시키는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한 짧은 직선형관부(1b)를 아래로 접는 일은 더욱 용이하게 된다. 공간부(8b)의 단면상 구경은 짧은 직선형관부(1b)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크지만, 빨대(1)중 가요성 중앙관부(1c)부위에 공간부(8a)의 단면상 구경보다 작도록 한다.
빨대(1)의 긴 직선형관부(1a)를 양호하게 부착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공간부(8c)의 외형이 긴 직선형관부(1a)의 외형과 일치하도록 하고, 공간부(8c)가 긴 직선형관부(1a)의 길이보다 길게 축상 연장되도록 함으로서 긴 직선형관부(1a)의 자유단부(1a')와 모서리(5')에 인접한 축방향 밀봉점(6')간에 축상 여유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Claims (5)

  1. 2개의 직선형관부(1a) 및 (1b)를 하향 주름진 가요성중앙관부(1c)로서 서로 가요하게 연결한 형의 빨대(1)를 포장용기에 부착하고 위생적으로 보호하는데 사용되는 가요적이고 막형태인 빨대포장지(2)로서, 2장의 가요재막(3) 및 (4)으로서 구성되고, 가요재막(2) 및 (4)을 종방향밀봉점(6) 및 횡방향밀봉점(7)을 따라서 서로 접합시킴으로서 형성되는 폐공간(8)내에 빨대(1)를 수용하는 빨대포장지(2)에 있어서, 빨대(1)의 양 직선형관부(1a) 및 (1b)의 자유단부(1a') 및 (1b')가 상기 가요재막(3) 및 (4)의 모서리(5) 및 (5')를 향하도록 하고, 상기 폐공간(8)중 공간부(8a), (8b) 및 (8c)의 단면상 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하되, 하향 주름진 가요성 중앙관부(1c)부위의 공간부(8a)가 단면상 가장 큰면적을 가지도록 하여 공간부(8a)가 2개의 직선형관부(1a) 및 (1b)중 일부를 수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포장지.
  2. 제1항에 있어서, 짧은 직선형관부(1b)부위에 형성되는 공간부(8b)는 단면상 면적이 짧은 직선형관부(1b)의 외형면적보다 약간 넓으나, 하향주름진 가요성 중앙관부(1c)부위에 형성되는 공간부(8a)의 단면상 면적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포장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짧은 직선형관부(1b)부위에 형성되는 공간부(8b)는 짧은 직선형관부(1b)의 자유단부(1b')를 약간 지나서 축상 연장됨으로서 자유단부(1b')와 모서리(5)간에 여유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포장지.
  4. 제1항에 있어서, 긴 직선형관부(1a)부위에 형성되는 공간부(8c)는 단면상 면적이 상기 공간부(8a) 및 (8b)의 단면상 면적보다 좁으며, 이 공간부(8c)의 외형은 긴 직선형관부(1a)의 외형태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포장지.
  5. 제4항에 있어서, 긴 직선형관부(1a)부위에 형성되는 공간부(8c)는 긴 직선형관부(1a)의 자유단부(1a')를 지나서 축상 연장되어 자유단부(1a')와 모서리(5')간에 여유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포장지.
KR1019880000483A 1987-03-24 1988-01-22 빨대포장지 KR9200058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701212 1987-03-24
SE8701212A SE463970B (sv) 1987-03-24 1987-03-24 Sugroersfoerpackning
SE8701212-6 1987-03-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0995A KR880010995A (ko) 1988-10-25
KR920005842B1 true KR920005842B1 (ko) 1992-07-23

Family

ID=2036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0483A KR920005842B1 (ko) 1987-03-24 1988-01-22 빨대포장지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778053A (ko)
EP (1) EP0302991B1 (ko)
JP (1) JP2902647B2 (ko)
KR (1) KR920005842B1 (ko)
AT (1) ATE72649T1 (ko)
CA (1) CA1299532C (ko)
DE (1) DE3868454D1 (ko)
ES (1) ES2029291T3 (ko)
HK (1) HK52592A (ko)
SE (1) SE463970B (ko)
SG (1) SG29392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3216A (en) * 1991-09-05 1993-12-28 Canadian Liquid Air Ltd. - Air Liquide Canada Ltee Oxy-fuel cutting tip having swaged gas outlet passages
SE509833C2 (sv) 1997-05-16 1999-03-1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Anordning för applicering av sugrör
SE9702280L (sv) * 1997-06-16 1998-11-16 Ragnar Winberg Långsmal förpackning för sugrör avsedd att fastsättas på en dryckesförpackning
SE0001263L (sv) * 2000-04-06 2001-10-07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Sätt och arrangemang för att transportera sugrör.
US20060011210A1 (en) * 2004-07-16 2006-01-19 Basia Kaminski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teeth
US7344456B2 (en) * 2004-11-09 2008-03-18 Hayton Paul J Flexible golf tee
US8464896B2 (en) 2011-02-10 2013-06-18 Brian Beary Straw holder for beverage cup or beverage cup lid
US20120261412A1 (en) * 2011-04-18 2012-10-18 Lieb Jeremy B Ice Bin Container System and Method
US10654635B2 (en) 2014-08-08 2020-05-19 Bemis Company, Inc. Transparent retail bag-in-box package
JP6766041B2 (ja) 2014-10-17 2020-10-07 インテグリ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ディップチューブ用包装体
US20170105559A1 (en) * 2015-10-16 2017-04-20 Terence K. Watson Sanitary drinking straw dispensing assembly
JP2019513037A (ja) * 2016-03-15 2019-05-23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関節式ガイドチューブ
US11235098B2 (en) * 2016-05-30 2022-02-01 Anthony Michael Fontecchio Insulin pen holder and storag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3683A (en) * 1968-04-17 1969-05-13 Amp Inc Package facilitating assembly of connector elements onto cable
US3874554A (en) * 1973-06-25 1975-04-01 First Dynamics Inc Combination liquid container and drinking straw
US3910410A (en) * 1974-03-19 1975-10-07 Continental Can Co Resealable package
US4036392A (en) * 1976-11-01 1977-07-19 Martin Marvin C Disposable beverage container cover element carrying folded drinking straw
SE424847B (sv) * 1978-01-30 1982-08-16 Tetra Pak Int Maskin for applicering av sugror pa forpackningsbehallare
US4158408A (en) * 1978-06-05 1979-06-19 Thiessen Fred L Package for candy canes
SE425896B (sv) * 1979-05-23 1982-11-22 Tetra Pak Int Sett och anordning for att tillverka bandformigt sammanhengande forpackningar for sugror
JPS601206B2 (ja) * 1979-07-11 1985-01-12 テトラ パツク インタ−ナシヨナル アクチボラグ フィルムによる棒状物の包装装置
US4260058A (en) * 1979-10-12 1981-04-07 Seymour Paull Electronic thermometer
JPS5810293B2 (ja) * 1980-02-22 1983-02-25 テトラ パツク インタ−ナシヨナル アクチボラグ 連続包装物の切断供給方法及びその装置
JPS5810294B2 (ja) * 1980-02-22 1983-02-25 テトラ パツク インタ−ナシヨナル アクチボラグ 搬送・接着装置
SE8008411L (sv) * 1980-12-01 1982-06-02 Tetra Pak Int Forpackningsbehallare for sugror samt sett att tillverka densamma
SE450889B (sv) * 1982-10-21 1987-08-10 Tetra Pak Ab Sugrorsforpackning
JPS5975475U (ja) * 1982-11-10 1984-05-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体包装容器
JPS59187527A (ja) * 1983-03-25 1984-10-24 トキワ工業株式会社 棒状包装物の容器への貼着方法
DE3477728D1 (en) * 1983-05-31 1989-05-24 Showa Denko Kk A rod-like body
SE454681B (sv) * 1983-06-23 1988-05-24 Tetra Pak Ab Anordning for applicering av foremal pa forpackningsbehallare
JPS6027061U (ja) * 1983-07-29 1985-02-23 株式会社ヤクルト本社 曲面を有する飲料・飲食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29291T3 (es) 1992-08-01
EP0302991A1 (en) 1989-02-15
SE8701212D0 (sv) 1987-03-24
KR880010995A (ko) 1988-10-25
SE8701212L (sv) 1988-09-25
JPS63258772A (ja) 1988-10-26
EP0302991B1 (en) 1992-02-19
SE463970B (sv) 1991-02-18
CA1299532C (en) 1992-04-28
US4778053A (en) 1988-10-18
JP2902647B2 (ja) 1999-06-07
DE3868454D1 (de) 1992-03-26
HK52592A (en) 1992-07-24
SG29392G (en) 1992-05-15
ATE72649T1 (de) 199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33015B1 (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packages for liquid products, especially liquid foodstuffs, a package obtained through this method
EP1889793B1 (en) Packaging member with easy-opening means
KR920005842B1 (ko) 빨대포장지
US5222813A (en) Packaging bag having tear-open means
US4713839A (en) Resealable reusable flexible plastic bag with loop handle
US5433526A (en) Flexible bag
CA1248060A (en) Thermoplastic bag pack
US6652144B2 (en) Beverage container pouch
US4410128A (en) Packing container provided with tear-up opening arrangement
JPH06511452A (ja) 特に衛生タオル及び類似物用の筒形フィルムの袋状包装
JP2011251774A (ja) 複合容器
WO2001064536A1 (fr) Sachet interieur d'une caisse-outre
US4927028A (en) Package having a tear-open strip
US4781297A (en) Readily tearable package for sterile articles
IE54873B1 (en) Opening arrangement for packages
US20110233267A1 (en) Pack having tear-open aid
US5318818A (en) Strip of material
JP3760307B2 (ja) 破損のない側マチ付きプラスチック袋体
JPH111250A (ja) 口栓付きパウチ容器
JPH055146Y2 (ko)
JP3247068B2 (ja) 容器及びその製袋充填方法
JP3093829B2 (ja) ガゼット袋
JP2011063325A (ja) 複合容器
JP2011063326A (ja) 複合容器
JP2011063319A (ja) 複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1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