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823B1 - 유체 흐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유체 흐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823B1
KR920005823B1 KR1019900004156A KR900004156A KR920005823B1 KR 920005823 B1 KR920005823 B1 KR 920005823B1 KR 1019900004156 A KR1019900004156 A KR 1019900004156A KR 900004156 A KR900004156 A KR 900004156A KR 920005823 B1 KR920005823 B1 KR 920005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outlet
fluid
reservoir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3994A (ko
Inventor
엠. 스프랜거 더글라스
디. 커크 3세 칼
코헨 로버트
제이. 켈러 3세 프레스톤
에이.스타인 제프리
Original Assignee
화이자 호스피탈 프로덕츠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앨린 제이.스피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이자 호스피탈 프로덕츠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앨린 제이.스피겔 filed Critical 화이자 호스피탈 프로덕츠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00013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3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36Other treatment of blood in a by-pass of the natural circulatory system, e.g. temperature adaptation, irradiation ; 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1Extra-corporeal blood circuits
    • A61M1/3627Degassing devices; Buffer reservoirs; Drip chambers; Blood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2Blood transfusio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0Containers for suction drainage, adapted to be used with an external suction source
    • A61M1/63Containers for suction drainage, adapted to be used with an external suction source with means for emptying the suction container, e.g. by interrupting su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287Liquid level responsive or maintaining systems
    • Y10T137/7313Control of outflow from tank
    • Y10T137/7323By float
    • Y10T137/7326Low level safety cut-of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Flow Control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Nozzles (AREA)
  • Float Valve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체 흐름 조절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혈액을 배출구 영역에도 도입시키기 전에 밀폐된 배출구를 갖는 비동작 위치 및 휴식 위치에서 저장소 혈액 배출구 부분 및 혈액 흐름 조절 장치의 상세한 구조를 도시하는 혈액 수집 저장소의 부분 단면도.
제2도는 혈액을 배출구에 도입시킨 작동중의 배출구 조절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제3도 내지 제5도는 배출구를 통한 혈액의 흐름을 도시한 도시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배출구를 통한 혈액의 흐름뒤에 배출구가 밀폐된 후 저장소 배출구 위에 유지된 혈액 레벨을 도시한 도시도.
제7도는 제4도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저장소 배출구 조절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시도.
제8도 내지 제11도는 배출구 밀봉부를 개방시키도록 설계된 장치의 작동을 확대 도시한 도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챔버 16 : 배출구 조절 장치
18 : 배출구 20 : 밸브
28 : 방아쇠 30 : 스프링
34, 34' : 플로우트 38, 38' : 레버
46, 46' : 태브 48 : 작동기
50 : 포올 54 : 슬롯
본 발명은 유체 흐름 조절 특히, 유체 수집 저장소를 벗어난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혈액 수집 및 이송 저장소로부터 혈액 유출의 조절에 사용시 특히 적합하다.
다수의 직접 전 혈액 심장 절개 저장소, 회복할동안 저장소의 사용 방법, 환자에게 차후 복귀를 위한 혈액 수집이 일반에 도입되어 왔다. 전형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은 저장소내에 혈액 분배 및 수집을 위하여 음압력원을 이용하고, 환자에게 수집된 혈액의 복귀를 위하여 중력을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혈액 복귀를 위한 중력의 사용 대신에, 예를들어 롤러 펌프 또는 정맥 펌프가 혈액 복귀율을 증가시키도록 환자에게 수집된 혈액의 재주입을 위해 사용된다. 다른 기술은 환자로부터 미리 채집된 혈액을 환자에게 분배(양 압력하에서)하는 방법과 기중자 혈액을 환자에게 분배(음 압력하에서)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 각 시스템에서는 환자의 복귀 및 분배선내로 공기의 인로덕션(inroduction)을 예방하기 위해 극도의 주의가 발휘되어야 하는데 상기 공기의 존재는 환자를 위험하게 하는 공기 전색증을 초래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3,896,733호에 혈액 수집 및 분배 장치가 기술되어 잇다. 이러한 장치에는 챔버내 혈액 레벨을 따라 움직이는 플로우트 밸브가 2개의 혈액 수집 챔버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플로우트 밸브의 작동은 챔버내 혈액 레벨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해 전적으로 지배된다. 특히, 챔버내 유체가 챔버 바닥부에서 밸브 시트의 레벨보다 떨어질 때, 상기 밸브는 유체가 첨버로부터 유체 배출구를 차단하도록 밸브 시트를 갖는 밀봉 결합부내로 가라앉는다. 플로우트 디스크 형태를 갖는 상기 밸브는 공기가 챔버 배출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유체가 챔버내로 재유입될 때, 플로우트 밸브는 증가된 유체 레벨에 따라 상승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서술된 유체 배출구 조절 시스템의 가장 불리한 점은 플로우트 디스크가 정확하게 시트 형성되지 않을 경우 환자에게 유도된 챔버 배출구 라인내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다. 부정확한 위치 형성은 플로우트 디스크가 경사지거나 또는 기울게 되는, 예를들어 밸브 시트상의 재료 빌드업(buildup) 또는 혈액면상의 재료 빌드업 또는 챔버벽을 따른 재료 빌드업 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응고 혈액 또한 디스크 경사 또는 부정확한 배출구 밀봉을 초래할 수 있다. 혈액의 복잡한 성질 및 조성으로 인하여, 특히 상기 플로우트 밸브가 혈액 레벨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밸브 시트를 갖는 밀봉 결합부내로 밸브를 적극적으로 가압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협동하지 않을 때, 여러가지 바람직하지 못한 상황이 발생되고 공기가 환자에 연결된 선내로 유입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신뢰성 있는 저장소 유체 배출구 조절 장치 특히, 배출구를 통한 유체 통과에 대하여 저장소 배출구의 해제 가능한 밀봉을 위하여 혈액 수집 저장소에서 혈액 유출 조절에 적합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저장소내의 설정된 유체 레벨에서 배출구 조절 장치를 유체 밀봉 위치내로 가입하고 또한 환자 분배선내의 공기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양의 힘을 제공하도록 특수하게 설계된 형태의 저장소 배출구 조절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저장소내의 유체 레벨에 반응하는 이동 가능한 부재와 유체 흐름에 대한 배출구의 해제 가능한 밀봉 수단과 배출구 밀봉을 해제하기 위한 수단과 미리 설정된 저장소내 유체 레벨 위로 개구된 배출구를 유지하고 그리고 배출구 밀봉을 재형성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저장소 배출구로부터 유체 흐름 조절용 저장소 배출구 조절 장치를 위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저장소 배출구 밀봉 위치를 향하여 밀봉 수단을 가압하는 편향 수단을 부가로 포함한다. 저장소내 유체는 혈액 또는 적어도 부분적인 혈액 또는 생체에의 분배를 위한 어떠한 액체일 수 있다. 또한, 저장소에서 유출되는 유체는 고압화된다. 상기 부재는 플로우트이며 밀봉 수단은 아암을 부가로 포함한다. 밀봉 수단은 컵형 흡입디스크 형상의 자동 조절 밀봉부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아암은 탄성부재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아암은 저장소내 유체가 설정된 레벨 아래일 때 아암의 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을 부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저장소내 혈액 레벨에 반응하는 이동 가능한 플로우트 수단과 혈액 흐름에 대하여 저장소 배출구를 밀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레버 수단과 상기 레버 수단을 저장소 배출구 밀봉의 해제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한 수단과 설정된 혈액 레벨이 저장소내에 유지되고 그후에 배출구 밀봉의 재형성을 위한 레버 수단을 자유롭게 할 때까지 밀봉 해제 위치에서 레버 수단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혈액 수집 및 분배 저장소로부터 혈액 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배출구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 수단은 탄성부재이다. 플로우트 수단 및 레버 수단은 설정된 혈액 레벨이 저장소내에 유지될 때까지 서로 결합하며, 상기 설정 레벨 이하에서는 밀봉을 복구하기 위하여 플로우트 수단 및 레버 수단이 분리된다. 상기 장치는 혈액이 설정된 레벨 이하일 때 레버 수단의 변위를 방지하는 수단을 부가로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레버 변위 수단을 활성화하기 위한 수단과, 레버 변위 수단을 활성화 이전 위치로 복귀시키는 수단을 부가로 포함한다. 상기 레버 변위 수단은 레버 수단상에서 태브와 결합하도록 적용된 포올이다. 또한, 포올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수단과 포올과 태브를 분리시키는 수단이 포함된다. 저장소로부터 유출된 혈액은 가압되고 밀봉 수단은 컴형 흡입 디스크와 같은 자동 조절 밀봉부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장치는 레버 수단을 저장소 배출구 밀봉 위치를 향하여 가압하는 편향 수단을 부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유입구와 수집 챔버 및 배출구를 갖는 하우징과 배출구를 통하여 혈액 흐름을 조절하는 수단과 저장소내 혈액 레벨에 반응하여 이동 가능한 플로우트 수단을 포함하는 흐름 조절 수단과 혈액 흐름에 대하여 저장소 배출구를 밀봉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레버 수단과 상기 레버 수단을 저장소 배출구 밀봉 해제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한 수단과 설정된 혈액 레벨이 저장소내에 유지되고 그후에 배출구 밀봉의 재형성을 위한 레버 수단을 자유롭게 할 때까지 상기 밀봉 해제 위치에 레버 수단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혈액 수집 저장소를 부가로 실시한다. 상기 레버 수단은 탄성부재가 양호하다. 저장소는 저장소 배출구 밀봉 위치를 향하여 상기 레버 수단을 가압하는 편향 수단을 부가로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에 서술된 도면 번호는 타도면의 부품의 도면번호와 동일하다. 제1도에서, 하우징벽(12)과 혈액 이송용 수집 챔버(14)와 도면번호 16으로 도시된 배출구 조절 장치를 갖는, 다수의 칸막이로 형성된 혈액 수집 저장소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저장소(10)는 사용전의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수집 챔버(14)위로 격벽이 설치되고 이곳으로부터 수집된 혈액이 수집 챔버(14)로 이송된다. 여기에서 혈액이라는 단어가 사용될 때, 예를들어 수집된 혈액은 거의 전체 혈액 또는 적어도 부분적인 전체 혈액임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상기 유체는 염분, 세정 유체, 헤파린 또는 외과적 절차에 관계된 다른 유체를 포함한다. 저장소에서 유출된 유체는 생체에의 최종 분배에 적합하다. 다수의 격벽이 형성된 혈액 수집 저장소가 서술되었지만, 하나의 격벽을 갖는 저장소도 혈액 및 다른 유체의 수집에 적합한 것을 인식해야 한다. 또한, 저장소(10)는 혈액과 다른 유체 취급에 적당하다. 저장소(10)는 배출구(18), 밸브(20), 밀봉링(22), 로드(24), 혈액 필터(26), 방아쇠(28), 스프링(30), 핸들(32)을 부가로 포함한다. 방어쇠(28)는 핀(29)에 의해 저장소(10)에 피봇 접속되고, 도시되지 않은 위치에서 로드(24)와 부가적으로 결합한다. 압축 스프링 등(도시되지 않음)은 도면번호 30으로 도시되어 있는 스프링 대신에 사용된다. 스프링은 방아쇠(28)를 작동전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설계된다.
배출구 조절장치(16)는 다수의 상호 관련 부품을 갖는다. 첫번째 부품은 핀(36)에 의해 저장소에 피봇 접속되는 플로우트(34)이다. 다음 부품은 도면번호 44로 도시된 밸브 시트에서 배출구를 밀봉하도록 배출구(18)와 결합하는 형태의 밸브(42)를 포함하는 레버(38)내의 핀(40)에 의해 저장소에 피봇 접속되는 레버(38)이다. 상기 레버(38)는 돌출 포스트 또는 태브(46)를 부가로 포함한다. 다른 부품으로는 핀(51)을 통하여 포올(50)과 부가로 결합하는 작동기내의 로드(24)에 접속되는 작동기(48)를 포함한다. 핀(52)은 슬롯954)을 갖는 부재(53)내에 위치되어 도시된 핀(52)을 갖는 포올(50)과 접속되는데, 이것은 상기 포올의 운동을 안내하는 슬롯(54)과 핀(52)의 협동 운동이다. 마지막으로, 저장소 배출구 밀봉 위치를 향하여 레버를 편향시키는, 레버(38)와 결합하는 스프링(56)이 있다. 플로우트(34)는 작동기(48)의 하향 운동을 멈추도록 제1도에 위치 도시된 상호 작동면(49)을 부가로 포함한다. 상기 상호 작동면(49)은 면과 작동기가 서로 결합될 때 작동기(48)의 연속운동을 저지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수집 챔버(14)내에서 유체의 설정된 레벨없이 배출구 밀봉이 부주의하게 파괴되지 않는다.
제2도 내지 제5도에서 작동중인 저장소 및 배출구 조절 장치가 연속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손바닥에 핸들(32)을 위치시키고 방아쇠(28) 주위로 손가락을 연장시킨 작업자가 방아쇠(28)에 힘(F)을 발휘하여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방아쇠를 변위시킨다. 핀(29) 주위로 피봇되는 방아쇠(28)의 이러한 변위는 스프링(30)(도시되지 않음)의 압축을 초래하여 로드(24), 밸브(20), 작동기(48), 포올(50)의 운동을 하방으로 초래한다. 밸브(20)와 밀봉링(22) 사이의 밀봉이 파괴될 때, 혈액(B)(또는 다른 유체)은 혈액이 이미 수집되어 있는 수집 챔버(14)위의 격벽으로부터 수집 챔버(14)내로 유입되는 것이 허락된다. 수집 챔버(14)내에 수집된 혈액은 상승되어 그에 따라 플로우트(34)가 호전 및 상승한다. 플로우트(34)의 회전은 상호 작동면(49)이 작동기(48)의 하방향 운동을 더이상 방해하지 않는 위치까지 상호 작동면(49)의 회전을 초래한다. 작동기(48)의 최우단부와 상호 작동면 사이에 간극이 존재한다. 포올(50)은 제2도에서 레버가 정지 상태로 유지될 때까지 레버(38) 상에서 태브(46)와 결합된다. 배출구(18)는 밸브(42)가 밸브 시트(44)상에 위치될 때 밀봉 유지된다. 스프링(56)은 레버(38) 및 밸브(42)를 배출구 폐쇄 위치를 향하여 편향시킨다. 여기서 밸브(42)는 스토퍼로 도시되며 다행히 이것은 자동 조절 특징을 갖는 밀봉을 제공하는 컵형 흡입 디스크 형태를 갖는다.
제3도에서, 힘(F)을 제거하자마자 압축 스프링(30)(도시되지 않음)은 방아쇠(28), 로드(24), 밸브(20), 작동기 및 포올(50)을 가압하여 제1도에 도시된 이들의 본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밸브(20) 및 밀봉링(22) 사이의 밀봉이 재형성되어 챔버(14)내 혈액의 추가 유입을 억제한다. 플로우트(34)는 수집 챔버(14)내 혈액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한다. 또한 밸브(42)와 밸브 시트(44) 사이의 밀봉이 파괴되어 환자 또는 다른 저장 격벽으로의 분배를 위하여, 배출구(18)를 통하여 혈액이 수집 챔버(14) 외부로 흐르는 것을 허용한다.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태브(46)와 결합된 포올(50)과 작동기(48)의 상향 운동은 레버가 핀(40)에 대하여 피봇되기 때문에 배출구(18) 개방의 결과로 나타나는 레버(38)의 상향 변위를 초래한다. 그 흐에, 포올(50)과 태브(46)는 분리되고 스프링(56)에 의해 편향된 레버(38)는 배출구(18)를 폐쇄하도록 밸브(42)를 밸브 시트(44)로 복귀시킨다[포올(50) 및 레버(38)의 동작은 제8 내지 11도에 상세히 도시된다]. 그러나, 플로우트(34) 및 레버(38)는 도면 번호 58로 도시된 단부 위치에서 레버(38)가 그 배출구 밀봉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서로 협동하여 결합한다. 수집 챔버(14)내 혈액의 레벨에 의해 떠있는 플로우트(34)는 상호 작동면(58)에서 레버(38)의 반시계방향 운동에 저항하고 배출구는 개구 유지되어 이를 통한 혈액의 통과를 허용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집 챔버(14)는 배출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체가 대기압 이상의 압력이 되도록 가압될 수 있다. 배출구는 하우징(12)에 설치되고, 예를들어 맥압계 벌브(bulb), 압력 게이지, 상기 배출구와 연통하는 관류등이 필요한 압력 레벨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
제4도에서, 배출구(18)가 개방되고 혈액이 유출되어 수집 챔버(14)내 혈액 레벨이 하강하면, 플로우트(34)는 하강한 혈액 레벨에 반응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플로우트(34) 및 레버(38)는 상호 작동면(58)에서 접촉 유지되고 따라서 밸브(42)가 밸브 시트(44)로 복귀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5도는 수집 챔버(14)내 혈액 레벨의 추가 하강을 도시하며, 플로우트(34) 및 레버(38)는 배출구(18)가 개구된 위치에서 접촉 유지된다. 상기 위치에서 플로우트와 레버 사이의 접촉이 파괴되는 순간이 관찰된다. 제6도는 상기 위치에서 플로우트(34)와 레버(38) 사이에서 더이상 접촉이 형성되지 않으며, 스프링(56)에 의해 편향된 레버(38)가 회전되어 밸브(42)를 밸브 시트(44)에 복귀시키므로써 추가 혈액 유출에 대하여 배출구(18)를 밀봉하는 것이 도시된다. 공기가 배출구(18)를 통하여 유입되지 않도록 혈액 레벨이 폐쇄된 배출구 위로 유지되는 것이 관찰된다. 제2 내지 6도에 서술된 일련의 공정이 반복된다.
제7도는 배출구 조절 장치(1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배출구 조절 장치는 도면번호 16'로 도시되고, 플로우트(34'), 플로우트 피봇용 핀(36'), 레버(38'), 태브(46'), 작동기(48)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상호 작동면은 도면번호 49'로 도시되고 플로우트(34')와 레버(38')가 결합하는 위치는 도면번호 58'로 도시된다. 레버(38')는 리벳(60)에 의해 저장소에 접속된 리프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이다. 배출구 조절 장치(16')의 작동은 상기 서술된 도면번호 16의 장치와 거의 동일하다. 태브(46')와 결합하여 배출구(18)를 개구시키고 레버(38')를 상승시키는 작동기(48) 및 포올(50)의 운동이 완료된다. 여기서 혈액(B)의 레벨이 하강했을 때, 플로우트(34')가 핀(36')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도면번호 58'이 위치에서, 플로우트(34')의 삼각 섹션(62)과 탄성부재의 삼각 섹션(64)이 배출구(18)를 개구 유지하도록 미끄럼 이동되어 결합되는데 즉, 레버(38')가 하향위치에서 해제 가능하게 유지된다. 혈액 레벨이 하강되었을 때 플로우트(34')가 시계방향 회전을 계속하기 때문에, 삼각 섹션(62, 64)은 서로 미끄럼 통과되고, 그 상승된 위치로부터 해제된 레버(38')가 하향으로 이동되어 밸브는 추가 혈액 유출에 대하여 배출구(18)를 밀봉하도록 밸브 시트(44)와 결합한다. 그후에 이송 챔버의 충만 및 유출 사이클이 다시 시작된다.
제8 내지 11도는 레버 아암과의 결합 및 해체에 사용된 포올의 작동을 도시한다. 시선은 기본적으로 포올에서 우에서 좌방향이다. 제8도는 제1도의 위치 즉, 포올(50)의 작동 이전의 위치를 도시한다. 포올(50)의 상하 운동은 슬롯(54)을 따라 이동하는 핀(52)의 운동에 지배된다. 제9도는 태브(46)와 결합하기 바로 전의 포올을 도시하며 점선은 태브(46)(제2도에 도시된)와 가상적으로 래치 결합된 포올을 도시한다. 제10도는 포올(50)이 태브(46)와 결합하여 상향 이동되려는 순간을 도시한다. 태브(46)와 래치 결합된 포올(50)의 상향 운동은 레버 아암의 변위와 배출구(28)의 개구를 초래한다. 제11도는 포올(50)의 잠금 동작과 태브(46)의 해제를 도시한다. 기본적으로 레버(38)는 제3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다. 포올(50)은 제1도 및 제3도 내지 제8도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하도록 상향으로 계속 움직인다.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인용하여 기술하였다.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에 이탈함이 없이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고,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은 때때로 다른 특징의 대응적 사용없이 유리하게 사용된다.

Claims (10)

  1. 유입구를 갖는 하우징(12)과 수집 챔버(14)과 배출구(18)와 배출구(18)를 통하는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배출구 조절 장치(16)를 포함하는 유체 수집 저장소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조절 장치(16)는 상기 유체 수집 저장소(10) 내에서 유체의 레벨에 반응하여 작동 가능한 플로우트(34)와 배출구(18)를 통한 유체흐름에 대해 상기 저장소의 배출구(18)를 해제 가능하게 밀봉하기 위하여 밸브(42)와 함께 작동하는 레버(38)와 상기 저장소(10)의 배출구 밀봉부를 설정된 유체 레벨 위로 해제시키는 위치로 상기 레버(38)를 변위시키기 위하여 상기 레버(38)와 함께 작동되는 작동기(48)와 저장소(10)내에 유체의 최소 설정 레벨이 유지될 때까지 상기 레버를 상기 배출구(18)를 통하여 유체가 흐르게 하는 상기 밀봉 해제 위치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로우트(34) 및 레버(38)를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상호 작동면(58)을 포함하며, 상기 상호 작동면(58)은 상기 레버(38)를 해제시켜 상기 배출구(18)의 밀봉을 재형성시키는 유체의 최소 레벨에서 분리되도록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집 저장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38)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집 저장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작동면(58)은 저장소(10) 내에서 유체의 설정 레벨이 유지될 때까지 서로 결합하여 위치된 플로우트(34) 및 레버(38)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 레벨 이하에서는 플로우트(34)와 레버(38)가 밀봉을 재형성하도록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집 저장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가 설정된 레벨 이하일 때 레버(38)의 변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작동기(48)의 이동을 저지하는 상호 작동면(4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집 저장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48)를 작용시키기 위하여 스프링(30)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집 저장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48)를 활성화 이전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스프링(30)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집 저장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48)는 레버(38) 상에서 태브(46)와 결합하는 포올(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집 저장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포올(5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핀(52) 및 슬롯(54)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집 저장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핀(52) 및 슬롯(54)은 포올(50)과 태브(46)를 분리시키기 위하여 스프링(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집 저장소.
  10. 제1항에 있어서, 저장소 배출구 밀봉 위치를 향하여 상기 레버(38)를 가압하는 스프링(56)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수집 저장소.
KR1019900004156A 1989-03-29 1990-03-28 유체 흐름 조절 장치 KR9200058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330,399 US4994055A (en) 1989-03-29 1989-03-29 Fluid flow control apparatus
US330,399 1989-03-29
US330399 1989-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3994A KR900013994A (ko) 1990-10-22
KR920005823B1 true KR920005823B1 (ko) 1992-07-20

Family

ID=23289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156A KR920005823B1 (ko) 1989-03-29 1990-03-28 유체 흐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4994055A (ko)
EP (1) EP0390380B1 (ko)
JP (1) JPH0622599B2 (ko)
KR (1) KR920005823B1 (ko)
AT (1) ATE112492T1 (ko)
AU (1) AU623237B2 (ko)
BR (1) BR9001420A (ko)
CA (1) CA2013019C (ko)
DE (1) DE69013036T2 (ko)
ES (1) ES2065480T3 (ko)
FI (1) FI901545A0 (ko)
IE (1) IE66514B1 (ko)
IL (1) IL93848A (ko)
NO (1) NO901410L (ko)
NZ (1) NZ233111A (ko)
PT (1) PT93578B (ko)
ZA (1) ZA9023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3519A (en) * 1995-10-03 2000-09-26 Terumo Kabushiki Kaisha Delivery blood storing member-equipped blood reservoir tank and blood delivery instrument for extracorporeal circulation circuit
DE69830533T2 (de) * 1997-04-08 2006-05-11 Terumo K.K. Blutbehälter, Aufbewahrungs- und Abgabe-Vorrichtung , und Antriebseinheit
JP2008018101A (ja) * 2006-07-13 2008-01-31 Terumo Corp 気泡除去装置
JP2007275473A (ja) * 2006-04-11 2007-10-25 Terumo Corp 気泡除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08785A (en) * 1939-06-27 1940-07-23 Adam E Armstrong Valve operating mechanism
US2296219A (en) * 1941-03-27 1942-09-15 Badger Meter Mfg Co Snap action float valve
US2542591A (en) * 1946-08-09 1951-02-20 Walter B Streety Automatic cutoff valve for tanks
US3216419A (en) * 1963-10-17 1965-11-09 Abbott Lab Apparatus for administering a parenteral solution provided with a diaphragm float valve
AU6460274A (en) * 1973-02-01 1975-07-17 Controls Co Of America Oil level control
US3896733A (en) * 1973-10-18 1975-07-29 Pall Corp Autotransfusion apparatus
DE2503302C3 (de) * 1975-01-28 1978-07-20 Gestra-Ksb-Vertriebsgesellschaft Mbh & Co Kg, 2800 Bremen Ventil, insbesondere schwimmergesteuerter Kondensatableiter
AU547921B2 (en) * 1979-08-20 1985-11-14 Robert W. Coughlin Electrowinning metals
US4731060A (en) * 1986-11-17 1988-03-15 Catalano Marc L Hydrostatic float valve and intravenous system supplied therewi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93848A0 (en) 1990-12-23
EP0390380B1 (en) 1994-10-05
IE66514B1 (en) 1996-01-10
ATE112492T1 (de) 1994-10-15
AU623237B2 (en) 1992-05-07
FI901545A0 (fi) 1990-03-28
NO901410L (no) 1990-10-01
JPH02297376A (ja) 1990-12-07
CA2013019A1 (en) 1990-09-29
EP0390380A2 (en) 1990-10-03
KR900013994A (ko) 1990-10-22
ES2065480T3 (es) 1995-02-16
ZA902380B (en) 1991-11-27
NZ233111A (en) 1993-02-25
PT93578B (pt) 1998-02-27
CA2013019C (en) 1995-08-22
BR9001420A (pt) 1991-04-09
EP0390380A3 (en) 1991-03-20
DE69013036D1 (de) 1994-11-10
AU5233390A (en) 1990-10-04
IL93848A (en) 1995-07-31
PT93578A (pt) 1991-11-29
JPH0622599B2 (ja) 1994-03-30
DE69013036T2 (de) 1995-04-20
IE901140L (en) 1990-09-29
US4994055A (en) 1991-02-19
NO901410D0 (no) 1990-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78563A (en) Disc valve in a container for dispensing liquids
US4453578A (en) Automatic shut-off dispensing nozzle responsive to liquid in a tank reaching a predetermined level and to a supply pressure
US4299248A (en) Diaphragm valve air vent device for water systems
JPH0672500A (ja) 改良燃料分与ノズル
KR920005823B1 (ko) 유체 흐름 조절 장치
JPS6358267B2 (ko)
US4809367A (en) Cistern flushing apparatus
US6450196B1 (en) Float valve
US3938539A (en) Apparatus for leading off air in connection with the measuring of the flow of a liquid
US2913068A (en) Air eliminator
US3035575A (en) Manually-operable blood pump
US3247866A (en) Pipette
US3273609A (en) Dispensing nozzle hold-open catch
US4809740A (en) Excess flow limiter
US5234019A (en) Fill control valve for refrigerant container
US4098488A (en) Nozzle latch mechanism
US3178072A (en) Dispensing apparatus
JPS5822475Y2 (ja) 過充填防止用弁装置
JPS60173373A (ja) 手動式デイスペンサ−
KR830000831Y1 (ko) 최대 액체 레벨 조정밸브
US3420416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US1192020A (en) Air-valve.
JPS6330368Y2 (ko)
JPS6056956B2 (ja) フロ−ト式スチ−ムトラツプ
US1820403A (en) Safety val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7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