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755B1 - 고력이득밸브 - Google Patents

고력이득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755B1
KR920005755B1 KR1019840000923A KR840000923A KR920005755B1 KR 920005755 B1 KR920005755 B1 KR 920005755B1 KR 1019840000923 A KR1019840000923 A KR 1019840000923A KR 840000923 A KR840000923 A KR 840000923A KR 920005755 B1 KR920005755 B1 KR 920005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housing
fluid
forc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0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7946A (ko
Inventor
씨. 알렉시우스 리차드
Original Assignee
마틴 마리에타 코오포레이션
게이 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틴 마리에타 코오포레이션, 게이 친 filed Critical 마틴 마리에타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840007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7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9/00Devices for relieving the pressure on the sealing faces
    • F16K39/02Devices for relieving the pressure on the sealing faces for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 Valv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력이득밸브
제1도는 본 발명의 고력이득밸브에서 게이트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고력이득밸브에서 게이트가 열린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포핏밸브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밸브에서 게이트와 유체분류기에 대한 힘 및 균형 영역을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게이트의 유체 분류기와 리브에서 슬롯을 도시한 사시도.
제6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력이득밸브 12 : 하우징
18 : 유입구호스 20 : 노즐
22 : 노즐의 유입구 24 : 유체분류기
25 : O형링 밀봉부 28 : 이동식 게이트
32 : 전원 34 : 코일
38 : 축 44 : 스프링
P1, P2: 유압 F1: 작용력
AO: 구멍면적 AS: 축의 단면적
At: 포핏의 총단면적 Ag: 게이트벽 면적
Ak: 스포크 면적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특유의 힘균형에 의해 신속하고 용이하게 개폐되는 고력이득밸브에 관한 것이다.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데에는 여러가지 종류의 밸브가 있으나, 고압유체를 조절하는 밸브에는 특이한 난점이 있다. 역이득(force-gain)이란 입력힘에 대한 출력힘의 비로서 정의할 수 있다. 여러가지 구조를 갖고 있는 종래 밸브는 낮은 역이득이므로 유체흐름을 변화시키는 밸브부품에 노출되는 고압유체의 힘을 극복하기 위해 비교적 강력한 작동기가 요구된다. 예를들면, 역이득이 단지 1.5인 종래의 포핏밸브는 3000psi의 유체에 대해 2.54㎠(lin2)의 포핏을 개방시키기 위해서 작동기는 908kg(2000파운드)의 힘을 공급해야 한다. 이러한 강력작동기는 그 비용과 크기에 비해서 중량이 큼으로서 비행체 또는 유도미사일과 같이 밸브의 전체 중량이 중요한 인자가 되는 경우에는 하나의 단점이 된다. 또한 이러한 강력작동기를 필요로 함으로서 솔레노이드와 캠과 같은 더 작고 낮은 동력의 값싼 작동기를 선택할 여지가 배제된다.
어떤 밸브응용장치는 밸브가 급격하게 개폐되고 또한 정확히 위치되기를 요구한다. 예를들면, 미사일 추진과 그 제어시스템에서 방향제어 추력기에 사용되는 밸브에서는 정확한 시간에 짧은 폭발의 고압유체가 분출되어야 한다. 그러나 고압유체의 흐름을 조절하기 위해 많은 종래의 밸브에 사용되는 상기의 크고 강력한 작동기는 솔레노이드 및 소형의 서보작동기와 같이 보다 낮은 동력의 작동기보다 신속히 개폐되지 못한다. 따라서 고압밸브에서는 신속한 작동을 얻기가 어렵게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첫째,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비교적 낮은 동력의 작동기를 사용하여 고압유체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는 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둘째, 중간지점에 정확히 위치되며 신속하게 개폐되는 고압유체용 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고 세째, 가볍고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고압유체용 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체흐름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고력이득밸브이다.
본 발명의 밸브는 둘중 하나가 유체공급원에 유체연통되는 제 1및 제2구멍과의 하우징내부에서 제2구멍과 일렬로 제위치에 고정된 유체 분류기를 포함한다. 또한 힘의 균형형상을 이루고 있는 게이트가 하우징 내부에서 분류기 주위에 근접하여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는 개방위치와 닫힌위치사이를 이동가능하며, 게이트가 닫힌위치에 있을때 제2구멍에 인접한 하우징 부분을 향하여 착좌됨으로서 유체흐름을 차단시키는 밀봉에지를 포함한다. 또한 밸브에는 개방위치와 닫힌위치사이에서 게이트를 이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정실시예에서 하우징의 일부가 노즐을 구성하며, 제2구멍은 노즐의 유입구를 구성한다. 속이 비어있고 하우징의 내부와 유체연통되는 게이트와 게이트의 경사진 밀봉에지에 의해 게이트의 힘균형이 용이해진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유체흐름을 조절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의 고력이득밸브(10)를 도시한 것이다. 밸브(10)는 적어도 제 1구멍과 제2구멍(14, 16)을 갖춘 하우징(12)을 포함한다. 구멍중의 하나, 이 경우에서는 제 1구멍(14)은 점선으로 도시된 유입구 호스(18)와 같이 유체공급원과 유체연통되고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밸브(10)는 제어추력기로서 사용되며, 하우징(12)의 일부는 나사와 같은 적절한 수단으로 하우징(12)의 나머지에 부착된 노즐(20)을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2구멍(16)은 노즐(20)의 유입구(22)를 구비한다. 물론, 밸브(10)는 여러가지 다른 용도를 가지며, 따라서 하우징(20)은 용도에 따라 다른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밸브(10)는 하우징(12)의 제위치에 고정된 유체분류기(24)를 포함하고 있다. 유체분류기(24)는 제2구멍(16)을 흐르는 유체를 분류시키고 방향성을 주는 구조이고, 제2구멍과 일렬로 설치되거나 또는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제1도의 실시예에서 유체분류기(24)는 일반적으로 원추형이며, 그 중심부의 뾰족한 부분이 유입구(22)를 지나 노즐(20)까지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분류기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도 분류기(24)는 제2구멍을 통한 순탄한 유체유동로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우징(12)에 부착되어 있다. 예를들면, 그 끝의 나사부가 하우징(12)의 나사부에 나사결합된 연장부(26)가 분류기(24)에 포함될 수도 있다. 따라서, 유체흐름을 방해할지도 모르는 어떠한 지지구조도 제2구멍을 통해 연장되어 있지 않다.
분류기(24)주위에 근접하여 하우징(12)내부에 설치된 이동식 게이트(28)에 의해 밸브(10)는 유체흐름을 변화시킨다. O형링 밀봉부(25)와 같은 밀봉부를 게이트(28)와 유체분류기(24)사이에 설치하여 그 계면을 따른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도는 닫힌 상태의 게이트(28)이고, 제2도는 열린 상태의 게이트(28)를 도시한 것이다. 게이트(28)가 제1도와 같이 닫힌 상태에 있을때, 하우징(12)의 일부, 이 경우 제2구멍(16)에 인접한 노즐(20)에 위치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의 밀봉에지(30)를 포함하여 유체의 흐름을 차단한다. 게이트(28)가 제2도의 개방위치로 이동할때, 유체흐름은 게이트와 유체분류기(24)를 지나 제2구멍(16)을 통과한다. 또한 게이트(28)를 열린 위치와 닫힌위치사이의 중간에 위치시키기 적은 양의 유체를 제2구멍으로 흐르게 할 수도 있다.
밸브(10)는 개방위치와 닫힌위치사이에서 게이트(28)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작동수단을 포함한다. 작동수단에 대한 적절한 한 예로서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포지셔너(31)가 있다. 솔레노이드 포지셔너(31)는 스위치(36)를 통해 코일(34)에 연결된 전원(32)을 구비하고 있다. 게이트(28)에는 하우징(12)의 구멍(40)을 통해 코일(34)의 중심부까지 연장된 축(38)이 포함되어 있으며, 하우징(12)에는 축(38)에 접촉하는 밀봉부(42)를 포함하여 누출을 방지하게 할 수도 있다. 제1도에서와 같이 스위치(36)가 개방되면 코일(34)이 탈여기화되어 축(38)에 설치된 스프링(44)이 축(38)의 플랜저(40)에 힘을 가함으로서 게이트(28)는 닫힌위치로 이동되어 그 위치에 유지된다. 스프링(44)은 포지셔너(31)가 제구실을 못할때 게이트(28)가 닫히게 되는 밸브의 안전특징을 부여한다. 반면에 제2도에서와 같이, 스위치(26)가 닫히면 전원(32)에 의해 코일(34)이 여기화되어 포지셔너(31)가 작동된다. 적절한 자기 재료를 만들어진 축(38)이 전기기장에 의해 스프링의 힘을 극복하고 코일(34)로 당겨 올라가게 됨으로서 게이트(28)는 개방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한 솔레노이드 포시셔너(31)는 단지 일예로서 다른 작동수단을 밸브(10)에 사용할 수도 있다.
밸브(10)의 독특한 특징은 게이트(28)가 힘의 균형을 이루는 구조이라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밸브(10)는 고력이득밸브로서 비교적 낮은 동력이고 중량이 가벼운 저렴한 작동수단을 사용하여 고압하에서도 신속하게 게이트(28)을 이동시킬 수 있다.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여 힘의 균형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힘의 균형이 형성되지 않는 종래의 포핏밸브를 도시한 것이다. F1은 하우징(50) 외부의 유압 P2보다 하우징(50)내부의 유압 P1이 클때 포핏(48)을 개방시키는데 필요한 작용력을 나타낸다. 이 경우 구멍(52)이 유체유입구이고, 구멍(54)은 유체출구이다. At는 포핏의 총 단면적, As는 축의 단면적, Ao는 포핏이 덮고 있는 구멍면적이다. 포핏(48)을 개방시키는 위해서, 작용력 F1이 포핏(48)의 노출된 내표면적(At-As)에 작용되는 유압 P1의 힘을 능가하여야 한다.
유체밸브의 일반적인 경우로서 P2가 P1에 비해 작을때, 포핏(48)의 노출면적 Ao에 작용하는 압력 P2는 작용력 F1에 거의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다. 따라서 P2의 영향과 마찰을 무시하면 포핏(48)을 개방시키기 위해 밸브작동수단은 P1(At-As)를 능가하는 작용력 F1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비교를 위해 제4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힘 균형밸브를 참조한다. 하우징(12)은 유체로 채워져 있고 게이트(28)는 완전히 그 안에 잠겨 있다. 제4도에서 축의 단면적 As와 게이트(28)의 총 단면적 At는 제3도의 포핏(48)의 As및 At와 같으며, 제2구멍(16)의 면적 Ao는 제3도의 Ao와 같다. 또한 압력 P1, P2도 두 도면에서 같다. 게이트(28)의 내부는 구멍(56)에 의해 하우징(12)의 내부와 유체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게이트(28) 내부에 압력 P1은 하우징(12)내부의 압력 P1과 같다. 제5도는 게이트(28)의 구조와 유체분류기(24)와의 관계를 상세히 도시한 것이다. 분류기(24)에는 게이트(28)의 이동방향가 길쭉한 슬로트(58)가 그 벽에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28)에는 슬로트(58)에 수용되기에 알맞은 크기와 배열의 스포크(60)를 포함하고 있다. 게이트(28)가 개방위치와 닫힌위치사이를 이동할때, 스포크(60)는 슬로트(58)내부에서 미끄럼 운동하게 된다. 게이트(28)의 내부와 하우징(12)의 내부사이를 유체연통시키는 구멍(56)은 스포크(60)간의 개방면적에 해당된다. 간단히 말해서 게이트(28)의 내부와 외부에 똑같이 작용하는 압력 P1에 의해 그 힘의 균형이 달성된다.
제4도에서 게이트(28)의 힘 균형에 경사진 게이트(28)의 밀봉에지(30)를 구비하고 있는 다른 특징이 있고, 밀봉에지(30)의 대부분은 하우징(12)내부에 유체압력(P1)에 노출되어 있다. 경사에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일 수도 있고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 경사진 형상을 할 수도 있다. 제4도에서는 밀봉에지(30)의 꼭지부분만이 게이트가 닫힌 상태에 있을때 제2구멍(16)에 인접한 하우징(12)에 위치한다. 따라서, 압력 P1은 게이트(18)의 측벽의 상단 및 하단에 모두 작용한다.
게이트(28)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용력 F1의 극복해야 하는 힘에 대해 생각해 보면, 게이트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외부압력 P2의 성분은 고정된 분류기(24)에만 작용함으로 게이트 이동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게이트의 윗벽과 경사진 밀봉에지(30)에 작용하는 유체압력 P1은 게이트벽 면적 Ag에 작용한다. 게이트(28)의 내부 및 외부의 유체압력에 의해 그 상부 및 하부표면에 작용하는 유체압력 P1은 스포크면적 Ak에 작용한다. 결국 축의 하부표면적에만 유체압력 P1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마찰력을 무시하고 게이트(28)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작용력 F1
P1Ag-P1Ag+P1Ak-P1Ak-P1As=-P1As
를 능가해야 한다. 즉 게이트에 작용하는 모든 힘은 축(38)의 하부표면에 작용하는 힘 P1As를 제외하고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것으로서 모두 상쇄된다. 위쪽으로 향하는 힘 P1As는 게이트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경향이 있음으로 게이트를 개방시키는 작동수단을 실제로 돕게 된다. 제1도에 도시된 스프링(44)과 유사한 스프링이 작동수단에 포함되어 개방력 P1As와 거의 평형을 이루는 닫힘력을 부여한다. 따라서, 제1도의 코일의 여기화에 의한 것과 같은 게이트 개방작용력 F1이 상당히 작으며, 게이트(28)에 작용하는 힘은 평형상태에 있기 때문에 게이트(28)가 대단히 신속히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게이트(28)는 개방상태와 닫힌상태 및 모든 중간상태에서 힘의 평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어떤 방향으로 게이트를 이동시켜 그것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힘은 대단히 작다. 따라서 게이트(28)를 개방위치에서 닫힌위치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힘은 P1As보다 약간 큰 하방 닫힘력을 가할 수 있는 스프링을 사용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게이트의 힘의 평형은 필요한 위치에 게이트를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게 해준다. 힘 이득면에서도 밸브출력 또는 고압유체에 대한 게이트 운동은 대단히 낮은 입력 또는 작용력 F1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입력힘에 대한 출력힘의 비 값인 역이득은 꽤 높다. 결과적으로 고력이득밸브(10)의 작동수단은 제3도에서와 같이 포핏(48)을 개방시키기 위해 P1(At-As) 이상의 힘을 필요로 하는 종래의 포핏 밸브보다 작고 가벼우며 가격이 저렴하다.
밸브외부의 압력 P2가 밸브내부의 압력 P2를 능가할때 제3도의 종래 포핏밸브와 제4도의 고력이득밸브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의 포핏(48)를 닫힌위치에 유지하는데 필요한 힘은 적어도 P2Ao이어야 하며, 반면에 제4도에서 게이트(28)를 닫힌위치에 유지하는데 필요한 힘은 실질적으로 0이다. 왜냐하면 P2의 수직성분은 위치고정된 분류기(24)에만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P1이 P2보다 작든 또는 크든 제4도의 밸브는 힘의 평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작고 가벼운 작동수단을 사용하여 게이트(28)를 신속하게 개폐 및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다.
제6도 내지 제9도는 본 발명의 고력이득밸브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실시예에 도시된 작동수단은 게이트 또는 연장된 축과 스프링이 함께 작용하여 게이트를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스프링은 정해진 스프링력을 가지고 있어 설정된 압력의 유체가 스프링력을 극복하여 게이트를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압에 반응하에 게이트가 자동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그러나 제1도와 제2도의 솔레노이드 포지셔너(31)와 같은 다른 작동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제6도의 고력이득밸브(62)는 제1도와 유사한 것으로서 제 1구멍(66) 및 제2구멍(68)를 갖춘 하우징(64)을 포함하고 있다. 속이빈 유체분류기(70)는 제2구멍(68)의 게이트측에서 하우징(64)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고, 속이빈 이동식 게이트(72)는 분류기(70)를 밀접하게 둘러싸고 있으며, 게이트의 내부는 구멍(74)을 통해 하우징(64)의 내부와 유체연통되어 있다. 게이트(72)는 게이트에 하향 닫힘력을 가하는 스프링(78)에 연장된 축(76)을 포함하고 있다. 밸브(62)는 하우징 내부의 유압 P1이 설정된 값을 능가할 때 자동적으로 개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게이트(72)는 힘이 평형되어 있고, 게이트에 작용하는 순힘은 상방 또는 게이트 개방방향으로 축(76)의 단면적 As에 작용하는 유압 P1이다. 특정 압력 P1이상의 압력에서 게이트(72)를 자동적으로 개방시킬 필요가 있을때에는 P1As와 같은 스프링력을 가진 스프링(72)을 선택한다. P1보다 큰 압력이 스프링력을 극복하고 게이트(72)를 개방시킬 것이다. 압력이 P1이하로 떨어지면 스프링력에 의해 게이트(72)는 닫힌 위치에 유지될 것이다.
제7도의 고력이득밸브(80)는 제6도의 밸브(62)와 유사하지만 게이트(82)와 제 1구멍(84)은 밸브에 피드백 흐름을 부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게이트(82)가 힘 P1As에 의해 개방위치를 향해 이동하면, 게이트의 상단부가 제 1구멍(84)을 차단하기 시작하여 하우징(86)으로 흐르는 유체의 양을 감소시키며 동시에 제2구멍(88)을 통해 하우징을 빠져 나가는 유량은 증대된다. 따라서 하우징(86)과 게이트(82)내부의 유압 P1이 감소하면 스프링(90)의 힘에 의해 게이트가 닫힌위치로 이동하게 될 것이다.
제8도 또한 다른 실시예의 고력이득밸브(92)를 도시한 것이다. 밸브(92)는 하우징(96)외부의 유압 P2가 설정된 값을 능가할때 게이트(92)가 개방되는 것과 같이 간단히 릴리프밸브와 같은 구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밀봉에지(98)의 대부분이 제2구멍(99)에서 외부유압 P2에 노출되어 있고, 반면에 게이트의 상단부는 하우징(86)내부의 압력 P1에 노출되어 있다. 게이트(94)의 나머지 부분은 힘의 평형을 이루고 그 상부 및 하부표면에서 압력 P1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밸브(92)에는 게이트(94)의 개방에 대향하는 스프링력을 가진 스프링(100)이 하우징(96)과 게이트(4)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P2Ag가 P1Ag에 스프링력을 더한 값을 능가할때 유압 P2는 게이트(94)를 개방시킬 것이다. P2가 감소하면 스프링력과 압력 P1에 의해 게이트(92)가 닫힌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제9도 역시 다른 실시예의 고력이득밸브를 도시한 것이다. 밸브(102)는 게이트(106)를 닫힌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프링(104)의 스프링력과 같은 최소값 이상의 유압 P2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제 위치에 고정된 분류기(108)와 게이트(106)는 속이 비어있고 게이트(106)에 포함된 구멍(110)은 게이트(106)의 밀봉에지(112)를 포함하여 상부 및 하부 표면에 유압 P2가 작용하도록 해준다. 다른 실시예의 밸브에서 설명하였듯이, 게이트(106)는 힘의 평형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게이트에 작용하는 순힘은 게이트를 닫아주는 방향의 P2As이다. 반면에 분류기(108)의 연장부(115)를 거쳐 뻗어 있는 축(114)에 설치된 스프링(104)이 게이트(106)를 개방시켜준다. 유압 P2가 설정된 값 이하로 떨어지면 스프링(104)의 힘이 힘 P2As를 능가하여 게이트(106)를 개방한다. 그리고 P2보다 큰 압력 P1하의 유체가 구멍(118)을 통해 하우징(116)내부로 들어감으로서 P2As가 스프링력을 능가할때까지 유압 P2와 혼합되어 P2를 증가시켜 게이트(106)를 닫아 준다. 따라서 밸브(102)는 유압 P2를 어떤 설정된 값이상으로 유지시킨다.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지, 본 발명을 상기한 몇가지 실시예에 한정시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여러가지 다른 변경 및 그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8)

  1. 유체흐름을 조절하기 위한 고력이득밸브에 있어서, 제 1구멍과 제2구멍중의 하나는 유체공급원과 유체연통되고 상기 두 구멍을 구비한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의 제위치에 고정되고 상기 구멍과 정렬되어 있으며 하우징의 벽을 통하여 연장된 슬롯을 포함하고 있는 실제적으로 중공인 유체분류기와, 실제적으로 힘의 평형을 이루는 형상이고 중공형이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와 유체연통하여 이에 의해 힘의 균형을 용이하게 하고 개방위치와 닫힌위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고 적합한 치수와 평상을 가진 밀봉에지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가 닫힌위치에 있을때 상기 제2구멍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 부분에 대하여 착좌하고 이에 의해 유체유동이 차단되고 상기 분류기는 상기 게이트가 닫힌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구멍을 통하여 차단이 없은 유체유동로는 제공하도록 상기 제2구멍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그것의 게이트 측면상에 상기 하우징을 부착하고 상기 분류기내의 상기 슬롯은 상기 게이트의 이동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슬롯에 수용될 크기인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뷴류기를 밀접하게 둘러싸고 상기 하우징내에 배열된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가 개방위치와 닫힌위치 사이로 이동 및 위치시키는 작동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력이득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제 1구멍은 유체공급원과 유체연통되며 게이트의 밀봉에지는 경사져 있고 그 대부분이 하우징내부 유압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력이득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제2구멍이 노즐의 유입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력이득밸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가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작동수단에 연장된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력이득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축과 함께 작용함으로서 게이트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력은 정해진 압력의 유체가 상기 스프링력을 극복하여 게이트를 닫힌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력이득밸브.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하우징 외부에 설치되어 축과 함께 작동함으로서 게이트를 닫힌위치로 이동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력은 정해진 압력의 유체가 상기 스프링력을 극복하여 게이트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력이득밸브.
  7. 제1항에 있어서, 제2구멍이 유체공급원에 유체연통되어 있으며, 게이트의 경사진 밀봉에지는 하우징 외부의 유압에 노출되게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력이득밸브.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하우징과 게이트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어 게이트를 닫힌위치로 이동시키며, 상기 스프링의 스프링력은 정해진 압력의 유체가 상기 스프링력을 극복하여 게이트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력이득밸브.
KR1019840000923A 1983-02-28 1984-02-25 고력이득밸브 KR9200057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70,810 1983-02-28
US06/470,810 US4477056A (en) 1983-02-28 1983-02-28 High force-gain val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7946A KR840007946A (ko) 1984-12-11
KR920005755B1 true KR920005755B1 (ko) 1992-07-18

Family

ID=23869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0923A KR920005755B1 (ko) 1983-02-28 1984-02-25 고력이득밸브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477056A (ko)
EP (1) EP0137036B1 (ko)
JP (1) JPS59159473A (ko)
KR (1) KR920005755B1 (ko)
CA (1) CA1233391A (ko)
DE (1) DE3470790D1 (ko)
IL (1) IL70960A (ko)
WO (1) WO1984003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4088A (ja) * 1985-07-23 1987-02-02 Esutetsuku:Kk 制御弁
US4995587A (en) * 1989-11-03 1991-02-26 Martin Marietta Corporation Motion amplifier employing a dual piston arrangement
US5074521A (en) * 1990-04-05 1991-12-24 Martin Marietta Corporation High force-gain valve
GB2246615B (en) * 1990-08-03 1994-02-23 British Gas Plc Gas pressure control valve cartridge
USH1098H (en) 1991-02-20 1992-09-01 Hallum Charles E Integrated valve assembly
DE9306401U1 (ko) * 1993-04-28 1993-07-15 Niehueser, Hermann, Dipl.-Ing., 4831 Langenberg, De
DE59506894D1 (de) * 1995-02-15 1999-10-28 Denison Hydraulik Gmbh Direktgesteuertes hydraulisches Druckventil
US6276125B1 (en) * 1998-12-17 2001-08-21 Alliedsignal, Inc. Pressure balanced poppet valve
US20030178530A1 (en) * 2002-01-31 2003-09-25 Marotta Scientific Controls, Inc. System for decreasing the speed of a moving craft
US7016014B2 (en) 2004-02-27 2006-03-21 Asml Netherlands B.V Lithographic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7090194B2 (en) * 2004-07-27 2006-08-15 Sampson Richard J Self-priming drain valve
US10131530B2 (en) * 2014-05-23 2018-11-20 David S. Smith America, Inc. Liquid dispenser with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039A (en) * 1899-07-24 1900-01-23 William L Garrels Throttle-valve.
US1729802A (en) * 1923-11-02 1929-10-01 Wallace W Smith Appliance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US1649953A (en) * 1924-10-15 1927-11-22 Charles A Ernst Double-gate balanced valve
US1752439A (en) * 1926-10-14 1930-04-01 I P Morris And De La Vergne In Sleeve valve
US2087037A (en) * 1935-02-21 1937-07-13 Klipfel Mfg Company Valve
US2091669A (en) * 1935-09-07 1937-08-31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Elastic fluid turbine
US2638108A (en) * 1949-06-24 1953-05-12 Power Brake Equipment Co Push-pull control valve
US2921603A (en) * 1957-02-12 1960-01-19 Chaplin Fulton Mfg Company Double ported poppet valve
US3121444A (en) * 1960-07-13 1964-02-18 Bering Jorgen Dietz Balanced valves
US3680832A (en) * 1969-03-20 1972-08-01 Nikex Nehezipari Kulkere Closure device for streaming media, in particular high pressure liquids
US3601147A (en) * 1969-03-28 1971-08-24 Honeywell Inc Semibalanced plug valve
US4004605A (en) * 1973-08-02 1977-01-25 Titovi Zavodi Litostroj Ljubljana N.Sol.O. Relief valve for fluids
US3892384A (en) * 1974-04-12 1975-07-01 Honeywell Inc Double seated cage valve with flexible plug seat
JPS6113819Y2 (ko) * 1978-10-20 1986-04-28
FR2461864A1 (fr) * 1979-07-19 1981-02-06 Centre Techn Ind Mecanique Soupape anti-vibrations
IT1123188B (it) * 1979-09-17 1986-04-30 Nuovo Pignone Spa Valvola ad otturatore bilanciato
US4500070A (en) * 1981-08-25 1985-02-19 Alsthom-Atlantique Valve for adjusting the rate of flow of a gaseous flu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470790D1 (en) 1988-06-01
WO1984003344A1 (en) 1984-08-30
CA1233391A (en) 1988-03-01
EP0137036B1 (en) 1988-04-27
JPH0447194B2 (ko) 1992-08-03
EP0137036A1 (en) 1985-04-17
JPS59159473A (ja) 1984-09-10
US4477056A (en) 1984-10-16
KR840007946A (ko) 1984-12-11
IL70960A (en) 1989-09-10
IL70960A0 (en) 1984-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659B2 (en) Pilot operated spool valve
KR920005755B1 (ko) 고력이득밸브
US8322372B2 (en) Flow force reduction by incremental pressure drop
JPS5815707Y2 (ja) パイロット形方向切換弁
US5645263A (en) Pilot valve for a flow amplyifying poppet valve
JP5485706B2 (ja) 第1段パイロットバルブ
US20070210270A1 (en) Pilot operated valve with a pressure balanced poppet
KR940005910A (ko) 비례유동밸브
US6585004B1 (en) Multi-stage flow control
US3544061A (en) Integral throttle valve servo-actuator
JPS5973605A (ja) 弁組立体
US5441232A (en) Solenoid valve
US4727899A (en) Pilot valve assembly
US3771553A (en) Pilot-operated shut-off valve
US11530755B2 (en) Servo valve
US11732819B2 (en) Servo valve
US3218023A (en) Proportional flow metering valve
US3727881A (en) Fluid control switching arrangements
JPH0477840B2 (ko)
SU853271A1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клапан
JPS645190B2 (ko)
JPH057589B2 (ko)
JPH07317942A (ja) 電磁弁
KR950010610Y1 (ko) 파이로트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능절환장치
WO1986004400A1 (en) Normally closed fluid switching logic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62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