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672B1 - 미공성 시이트 물질과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공성 시이트 물질과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672B1
KR920005672B1 KR1019830004254A KR830004254A KR920005672B1 KR 920005672 B1 KR920005672 B1 KR 920005672B1 KR 1019830004254 A KR1019830004254 A KR 1019830004254A KR 830004254 A KR830004254 A KR 830004254A KR 920005672 B1 KR920005672 B1 KR 920005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film
microporous
sheet material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150A (ko
Inventor
에이치.쉬프만 젠
Original Assignee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크루잔 알렉산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364872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92000567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크루잔 알렉산더 filed Critical 미네소타 마이닝 앤드 매뉴팩츄어링 컴패니
Publication of KR840006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23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 B01D67/0025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mechanical treatment, e.g. pore-stretching
    • B01D67/0027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inducing porosity into non porous precursor membranes by mechanical treatment, e.g. pore-stretching by stre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0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2After-treatment of expandable particles; Forming foamed products
    • C08J9/228Forming foamed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28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by elimination of a liquid phase from a macromolecular composition or article, e.g. drying of coagul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12Specific ratios of component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4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elimination of a liquid or solid component, e.g. precipitation, leaching out, evaporation
    • C08J2201/054Precipitating the polymer by adding a non-solvent or a different solvent
    • C08J2201/0542Precipitating the polymer by adding a non-solvent or a different solvent from an organic solvent-based polymer composition
    • C08J2201/0543Precipitating the polymer by adding a non-solvent or a different solvent from an organic solvent-based polymer composition the non-solvent being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1/00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 C08J2201/04Foams characterised by the foaming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elimination of a liquid or solid component, e.g. precipitation, leaching out, evaporation
    • C08J2201/054Precipitating the polymer by adding a non-solvent or a different solvent
    • C08J2201/0545Precipitating the polymer by adding a non-solvent or a different solvent from an aqueous solvent-based polymer composition
    • C08J2201/0546Precipitating the polymer by adding a non-solvent or a different solvent from an aqueous solvent-based polymer composition the non-solvent being organ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미공성 시이트 물질과 이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미공성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하는 장치의 개략도이다.
제2도는 종방향으로 50% 연신시킨 본 발명에 따른 폴리 프로필렌 미공성 시이트의 내부 구조를 1000X 배율로 확대한 현미경 사진이다.
제3도 및 제4도는 제2도에서와 동일한 대상을 각각 5000X 및 10,000X 배율로 더 확대한 현미경 사진이다.
제5도의 좌측부는 제2도에서와 동일한 대상을 5000X 배율로 확대한 현미경 사진이며, 우측부는 시이트 물질내의 입자간 피브릴을 상세히 살펴보기 위해 좌측의 일부분(좌측부에 직사각형으로 표시된 부분)을 25000X 배율로 더 확대한 현미경 사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축연신된 폴리에틸렌 미공성 시이트 물질의 표면을 5000X 배율로 확대한 현미경 사진이다.
본 발명은 미공성(microporous) 시이트 물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물질로 만든 제품에 관한 것이다.
미공성 필름 또는 막(membranes)은 그것을 통해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효과적인 기공의 크기는 최소한 유동분자의 평균 자유 행로의 수배, 즉 수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00Å이다. 이런 시이트는 투명 물질로 만들어진 경우에도 거의 불투명한데, 그 이유는 표면 구조와 내부 구조가 가시 광선을 산란시키기 때문이다.
미공성막 또는 필름은 고체의 여과, 콜로이드 물질의 한외 여과 뿐만 아니라, 전기 화학 전지에 있어서 또는 직물 라미네이트(cloth laminate) 및 합성 가죽의 제조시 확산 장벽 또는 분리자(separator)로서 사용된다. 물론, 라미네이트 물질은 합성피 구두, 레인코오트, 외투, 캠핑 장비(예 탠트)등으로 사용할 경우 수증기 투과성을 요구한다. 미공성 필름 또는 막은 때때로 항생 물질, 맥주, 기름, 세균브로쓰의 정제필터, 뿐만 아니라 공기, 미생물 시료, 간액(interveneous fluids), 왁찐등의 분석용으로서도 이용된다. 또한, 미공성 막 또는 필름은 외과용 드레싱, 붕대 제조용으로 및 다른 유체를 전달시키는 내과용으로서도 이용된다. 미공성 막 또는 필름을 다른 제품에 적층시켜 특수 용도를 갖는 적층물을 얻을 수도 있다. 이러한 적층물은 유용한 피복 물질을 수득하기 위해 외피 층과 미공성 층을 포함한다. 또한, 미공성 필름 또는 막은 유체 전달체, 좌상 드레싱 또는 헤어 세트 테이프(hair set tape)등과 같은 제품의 제조시 이장테이프(type backing)로서 이동된다.
미공성 필름 또는 막의 제조기술은 제한되어 있지 않으며, 오히려 충분히 다양한 각종 방법들이 있다. 미공성 필름 또는 막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이하의 참고 문헌에 기술되어 있다 :
1980년 2월 6일자 공고된 영국 특허출원 제2,026,381A호는 다공성 표면을 갖는 막의 제조에 대해 기술하고 있으며, 그에 따르면 중합체와 액체 성분을 혼합하여 응집액 상태에서 섞이는 부분과 섞이지 않는 부분으로 구성되는 2가지 상의 2성분계를 형성시키고, 상기의 상태에서 혼합물의 시이트를 형성시킨 후, 그 필름을 액체 성분 배쓰내로 주조한뒤, 다공성을 부여하기 위해 그 액체 성분을 제거한다. 이 결과, 수득한 비연신 다공성 시이트는 비교적 낮은 인장 강도를 지닌다.
미합중국 특허 제3, 953, 566호; 제3, 962, 153호; 제4, 096, 227호 ; 제4, 110, 392호 ; 제4, 187, 390호 및 제4, 194, 041호를 포함하여 더블유.엘.고어 앤드 어소시에이츠 인코오포레이티드(W.L. Gore and Associates Inc.)에 양도된 각종 특허문헌은 다공성 제품의 제조에 대해 개시하고 있는데, 이에는 열가소성 중합체가 아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만으로 제조한 다공성 시이트의 제조도 포함하고 있으며, 피브릴(fibrils)에 의해 연결된 중합체 노오드이(polymer nodes)를 갖는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은 제품은, PTFE 입자와 윤활제로 이루어진 페이스트(paste)를 압출시키고, 윤활제를 제거한 후, 생성물을 연신 및 어니일링(annealing) 시킴으로써 수득된다. 수득된 생성물은 소결 및 연신된 다공성 PTFE 필름이다.
몬산토 컴패니(Monsanto Company)에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3,201,364호는 폴리프로필렌과 광유의 단일상 혼합물로 이루어진 비연신의 , 비다공성 포장용 필름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 100, 238호 및 제4, 197, 148호는, 2성분 혼합물을 압출시키고, 분산되어 있는 성분중 1가지 성분을 용매에 용해시켜 여과한 후, 수득한 그 여과 필름을 신장시켜 목적하는 다공성을 수득하는 미공성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상기 혼합물은 중합체 및 침출 가능한 섞이지 않는 물질로 구성된다. 일단 분산된 침출성 중합체 상을 제거하고 그 필름을 연신시키면 결과로서 다공성 필름이 생성된다.
셀라니스 코오포레이숀(Celaness Corporation)에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3, 679, 540호는 필름 파괴(film failure)에 의해 다공성 표면이 형성될 때까지 탄성 중합체 필름을 냉각 신장시키고, 상기 냉각 신장된 필름을 피브릴과 기공 또는 개방 세포가 형성될 때까지 고온 신장시킨 후, 생성된 필름을 열경화 처리함으로써 미공성 중합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때 필름이 특정한 기공 크기를 갖도록 항상 균일하게 피브릴화되지 않으므로 이와 같은 필름 제조법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기공도를 조절하지 못한다.
몇몇 미합중국 특허는, 중합체를 섞이지 않는 침출성 미립자 물질(예 : 전분, 염등)과 혼합하여, 시이트를 형성시킨 후, 중합체 시이트로부터 미립자 물질을 침출시키는 다공성 중합체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와 같은 미합중국 특허로서는 제3, 214, 501호 및 제3, 640, 829호를 들 수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3, 870, 593호는 섞이지 않는 비-침출성 충전제를 중합체내에 혼합하고, 혼합물의 시이트를 형성시킨 후, 사이트를 신장시켜 충전제 입자의 위치에서 개시되는 기공을 형성시키는 미공성 중합체 시이트의 제조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공성 시이트 물질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제조된다 : (a) 결정질의 열가소성 중합체 30-80중량부와,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의 융점에서는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와 서로 섞일 수 있고 및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가 용해될 수 있으나, 열가소성 중합체의 융점 이하에서는 섞이지 않아, 그로부터 열가소성 중합체의 융점 이하의 온도로 냉각시킴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가 상분리를 일으키는 화합물 70-20중량부로 구성되는 용액을 수득하기 위해 용융 혼합시키는 단계; (b) 상기 용융 혼합된 용액의 시이트를 형성시키는 단계 ; (c)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와 화합물 사이의 상분리를 유발시키기 위해 화합물과 열가소성 중합체가 섞이지 않는 온도로 상기 시이트를 냉각시켜 상기 열가소성 중합체의 입자들로 구성되는 첫번째상과, 인접한 열가소성 중합체 입자들과 약간의 거리를 두고 있지만 많은 연속존들을 갖고 있는 화합물로 구성된 두번째상의 응집물로 이루어진 시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 및 (d) 인접한 열가소성 중합체 입자들을 서로 분리시켜 그들 사이에 미소 기공으로 서로 연결되는 망상 조직을 형성시키고 및 상술한 연속존내의 열가소성 중합체 물질을 영구히 가늘게하여 피브릴을 형성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최소한 한 방향으로 상기 시이트를 연신시키는 단계.
상기 화합물은 용매 추출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시이트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연신전에 형성된 시이트는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중합체 입자들의 첫번째상의 부가 화합물의 두번째상의 응집물로 이루어진 고체상태의 투명한 시이트이다. 상기 입자들은 라멜라, 스페루라이트 및 입자들 사이의 공간을 차지하는 부가 화합물과 상기 중합체의 스페루라이트의 응집물로서 기술된다. 중합체 입자와 인접한 중합체 입자와의 거리는 약간 떨어져 있지만 이들은 복수개의 연속존을 갖는다. 즉, 중합체 입자들은 일반적으로 화합물에 의해 둘러 싸이거나 피복되지만, 완전히 그런것은 아니다. 인접한 중합체 입자들 사이의 접촉부위에서는 상분리가 일어나지 않으며, 그와 같이 연속된 존에서는 한 입자로부터 다음의 인접한 입자로 중합체가 연속된다.
연신 또는 신장시, 중합체 입자는 잡아 당겨져 서로 분리되며, 연속된 존에 있는 중합체는 영구적으로 가늘어져서 피브릴을 형성하고, 피복된 입자들 사이에 미소한 공간이 형성되며, 미소기공들로 서로 연결되는 망상 조직이 형성되고, 그리하여 영구적으로 반투명한 시이트가 얻어진다. 미소 기공의 크기는 신장도, 부가 화합물의 백분율, 용융-급냉조건, 화합물의 제거 및 열-안정화 방법을 변화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조절된다. 대부분의 미소 피브릴은 신장에 의해 끊어지는 것으로 나타나지는 않으나, 탄성한계 이상으로 영구적으로 신장시키면 신장력을 제거하여도 탄성이 원래의 위치로 회복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연신" (oriention)은 시이트를 영구 고정시키거나 신장시키기 위해 탄성한계 이상으로 연장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미합중국 특허 제4,206,980호는 당해 특허에 발표된 필름의 가역적인 투명-반투명 특성을 보존시키기 위해 탄성 한계 이상으로 신장되지 않은 피브릴을 갖는 유사한 필름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시이트는 화합물로 피복되고 피브릴로 연결된 열가소성 중합체의 비다공성 입자들이 다수의 간격(입자 사이가 서로 분리되어 있음)을 가지며, 불규칙하게 분산되어 있고, 균일하지 않은 형태이며, 동일한 축(모든 방향에서 대략 같은 치수를 가진 등축장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공성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미공성 시이트 물질 제조용으로서 알맞는 결정성 중합체는 잘 알려져 있으며, 상업적으로 용이하게 입수할 수 있다. 조절된 조건하에서 결정성 중합체의 용융물을 냉각시키면, 결정성 중합체는 자발적으로 기하학적 규칙성이 있는 화학 구조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바람직한 결정성 중합체는 결정도가 높고 인장 강도가 최소한 약 70kg/㎠(1000psi)인 것이다.
알맞은 결정성 중합체의 예로서는 폴리올레핀과 같은 부가 중합체 및 폴라 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와 같은 축합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유용하고 바람직한 폴리올레핀으로서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 뿐만 아니라 이소부틸렌, 1-옥텐, 스티렌, 이소프렌등의 중합체 및 중합되어 결정질 세그먼트와 비결정질 세그먼트를 함유하는, 2종 이상 이상의 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이소택틱 폴리프로필렌과 어택틱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 이소택틱 폴리스티렌과 어택틱 폴리프로필렌의 혼합물과 같은 입체 특이성 변형물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헥사메틸렌아디페이트, 폴리헥사메틸렌 숙시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가 유용하고, 폴리아미드로서는 폴리헥사메틸렌아디프아미드, 폴리헥사메틸렌세바크아미드 및 폴리카프로락탐이 유용하다. 또 다른 유용한 중합체로서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미공성 시이트 물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결정성 중합체와 혼합되는 화합물은 실온에서 액체 또는 고체 상태로서, 결정질 중합체가 그 화합물중에 용해되어 결정성 중합체의 융접 또는 그와 가까운 온도에서는 용액을 형성하나 냉각시키면 섞이지 않으며, 결정질 중합체의 융점 아래로 냉각시키면 결정성 중합체와 상분리를 일으키는 것이 적당하다. 대기압 하에서, 이들 화합물은 최소한 결정성 중합체의 융점만큼 높은 비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성 중합체의 융점보다 낮은 비점을 갖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을 이용하여 상기 화합물의 비점을 최소한 결정성 중합체의 융점 정도로 높게 상승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결정성 중합체의 용해도 변수 및 수소 결합 변수와 유사한 변수를 갖는 화합물이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미공성 시이트 물질을 제조하는데 있어서 유용한 결정성 중합체와 혼합용 화합물의 혼합물로서는 다음과 같은 예를 들 수 있다 : 폴리프로필렌과 광물성기름, 디옥틸프탈레이트 또는 광물성 주정제의 혼합물 :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 공중합체와 광물성 기름과의 혼합물 : 폴리에틸렌과 광물성기름 또는 광물성 주정제의 혼합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디에틸프탈레이트의 혼합물 : 폴리에스테르 탄성 중합체와 디옥틸프탈레이트의 혼합물 : 나일론 6(폴리카프로락탐)과 트레에틸렌 글리콜의 혼합물 :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디부틸 프탈레이트의 혼합물
30-80%중량%의 결정성 열가소성 중합체와 70-20%의 혼합용 화합물을 혼합하고,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적어도 결정성 중합체의 융점까지 가열함으로서 용융물이 수득된다. 용융물의 취급 및 주조(casting)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혼합물을 결정성 중합체의 융점보다 25℃-100℃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혼합 용액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 편리하다.
결정성 중합체와 혼합용 화합물로 이루어진 용융-혼합 용액층을 주조하고, 각 중합체의 특성에 따라, 상기 층을 냉각배쓰내에서 알맞은 온도, 바람직하기로는 결정성 중합체의 융점보다 약 90-225℃ 낮은 적당한 온도에서 적당한 냉각 률로 냉각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미공성 시이트 물질이 제조된다(예를들면, 176℃의 융점을 갖는 폴리프로필렌의 경우에는 약 40-60℃의 냉각 온도를 이용한다). 각각의 중합체-혼합용 화합물 계의 상을 최적상태로 분리하기 위한 적당한 온도 범위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약간의 실험이 필요하며, 이는 당업자들에게 주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름의 수득은 냉각률에 좌우된다. 냉각시키는 동안, 결정성 중합체의 융점에 도달할 때까지 용융-혼합 용액으로부터 열을 제거하면 중합체의 응고와 상분리가 시작된다. 냉각 온도가 결정성 중합체의 융점보다 약 225℃ 이상으로 낮을 경우, 용융물이 지나치게 빨리 냉각되어, 그 결과, 비록 강하고 투명하기는 하나(종래의 기술) 실질적으로 신장에 의해 균일한 미소 기공이 형성될 수 없는 단일상 필름이 수득된다. 결정성 중합체의 융점보다 약 90℃ 이하로 낮은 냉각 온도에서는 다량의 스페룰라이트 형성과 함께 결정성 중합체의 상분리(결정화)가 너무 느리게 진행되어, 그 결과 약한 필름이 수득된다. 상술한 바대로 알맞은 냉각률을 이용한다할지라도 지나치게 두꺼운 주조 필름(약 1000마이크로미터 이상의 두께)은 결정화가 느리게 진행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결정성 중합체와 혼합용 혼합물을 압출기(10)의 호퍼(12)에 주입하고, 바림직하기로는 압출기의 (14), (15), (16)의 3곳의 온도를 점차 상승시켜 가면서 가열시킨 압출기를 거쳐 압출기 출구(17)를 통과하여 25-1,000마이크로미터의 슬릿틈이 있는 슬롯 다이(slot die : 19)를 통과시키면서 화합물을 혼합함으로써 용융-혼합 용액이 수득된다. 이때, 결정성 중합체는 압출기의 호퍼내로 주입하고, 혼합용 화합물은 적당한 장치(13)을 이용하여 압출기의 호퍼와 압출기 출구(17)의 중간에 위치한 압출기 벽의 포트(prot)(11)를 통하여 압출기내로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출기 출구(17)과 슬롯 다이(19)사이에 위치한 정치 혼합기(static mixer : 18)과 같은 알맞은 혼합 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정치 혼합기를 장착한 압출기를 통과할때, 결정성의 중합체와 혼합용 화합물의 혼합물을 결정성 중합체의 융점보다 최소한 약 25℃ 이상의 온도(그러나, 중합체의 열분해 온도보다는 낮은 온도)로 가열하고, 혼합시켜 용융-혼합 용액을 얻은 후, 층(25)로서 슬롯 다이(19)를 거쳐 적당한 냉각제(예 : 물)를 사용하여 결정성 중합체의 융점보다 낮은 적당한 온도로 유지시킨 액체 냉각배쓰(20)로 압출시킨다. 경우에 따라(예 : 나일론과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시이트내에서 상분리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압출기내의 용액이 슬롯 다이에 도달하기전에 중합체의 융점보다 50℃만큼 더 낮은 온도로 압출기에 있는 용액을 냉각시켜야 한다. 이어서, 냉각된 필름을 냉각배쓰(20)로 부터, 종방향 연신장치(21), 횡단방향연신 장치(22)를 거친 후, 로울러(23)으로 감아올린다. 물론, 2가지 방향의 연신은 임의적으로 선택한다.
본 발명의 필름은 결정성 중합체의 인장 강도와 연신도에 따라 최소한 약 10kg/㎠, 때로는 50kg/㎠ 또는 그 이상이 인장강도를 가진다.
필름내에 미소기공이 영구적으로 생성되거나 형성될 때까지(보통, 10%의 길이가 증가될 때까지) 필름을 신장시킴으로써, 필름에 미소 기공을 형성시킨다. 통상적으로 10% 내지 1000%의 길이가 증가되도록 신장시킨다. 실질적으로 필요한 신장길이는 필름의 구체적인 조성 및 목적하는 기공도에 따라 달라진다. 적어도, 한 방향 또는 종방향 및 횡단 방향의 두방향으로의 신장이 사용된다. 이때, 균일하고 조절된 기공도를 얻기 위해, 고르게 신장시켜야 한다. 보통 한 방향으로의 신장은 필름을 횡방향으로 좁게 만들거나 "네크(neck)" 현상을 유발하므로 50%를 증가시키기 위해 신장시킬 경우 필름의 표면적이 50% 증가되지 못한다.
본 발명의 미공성 시이트 물질은 열안정 온도로 유지시키면서 연신된 시이트를 가열하는 종래의 공지된 기술에 따라 치수를 안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제6도의 현미경 사진에서 볼 수 있는 바와같은, 본 발명의 미공성 사이트 물질은 불규칙하게 분산되어 있고, 같은 축방향이며, 불규칙한 형상을 가진, 기공이 없는 열가소성 중합체 입자들로 구성된다. 이때, 혼합용 화합물은 현미경 사진인 제2도-제6도를 찍기전에 이미 제거되었다는 것을 밝혀두는 바이다. 입자들은 서로 서로 공간을 두고 위치하여 그들 사이에 미소 기공의 망상 조직을 형성한다. 제5도에서 자세히 볼 수 있는 바와같이, 입자들은 피브릴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입자로부터 다음의 인접한 입자로 피브릴이 뻗어있다. 현미경 사진 제2도-제5도에서, 일부 입자의 표면에 나타난 다공 구조는 입자들이 다공성을 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피브릴들이 입자를 수축하여 시이트 물질이 파괴되어 내부 구조가 드러난 피브릴의 잔재들이다.
혼합용 화합물은 동일계 중합체 물질로 형성되는 독특한 미공성 시이트 물질을 수득하기 위해 미공성 시이트로부터 제거가능하다. 용매 추출법, 휘발법이나 또는 기타 다른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제거가능하다. 일단 혼합용 화합물이 제거되면, 생성된 미공성 시이트 물질에 다양한 특이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각종 물질을 흡수시켜서 독특한 기능을 가진 제품을 얻는다. 흡수되는 물질은, 예를들면 액체, 용매용액, 용매 분산액 또는 고체이다. 상기 흡수 물질은 미공성 시이트의 다공성 구조내에 상기 물질을 증착시킬 수 있는 각종 공지된 방법들을 이용하여 흡수시킨다. 일부 흡수 물질은 미공성 시이트내에 단지 물리적으로만 위치시키기도 한다. 경우에 따라, 흡수 물질로서 2개 이상의 반응성분을 사용하여 미공성 시이트 구조내에서 반응을 일으키도록 하기도 한다. 흡수물질의 예로는 의약물, 방향제, 대전방지제, 계면활성제, 농약 및 활성탄 및 안료와 같은 고체 미립자 물질을 들수 있다. 대전 방지제 또는 계면 활성제와 같은 특정한 물질은 혼합용 화합물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흡수될 수 있다.
혼합용 화합물의 제거 전 또는 후에, 공지되어 있는 각종 피복 또는 증착기술을 이용하여 각종 조성물의 시이트 물질상에 증착시킴으로써 미공성 시이트 물질을 추가로 변형시킬 수도 있다. 예를들면, 증기 증착 또는 증기 분출기술을 이용하여 미공성 시이트 물질을 금속으로 피복시킬 수 있거나 접착제, 수성 또는 용매-계 피복 조성물 또는 염료로 피복시킬 수 있다. 상기 피복은 로우 피복법, 분무 피복법, 침지피복법 또는 기타 다른 공지된 피복 기술등의 종래의 다른 피복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공성 시이트 물질은, 본 발명의 미공성 시이트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구조를 수득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른 사이트 물질과 각종 다른 구조에 적층될 수 있다. 이같은 적층화는 종래기술에 의해 수행된다.
본 발명의 미공성 시이트 물질은 미공성 구조가 유용한 광범위한 각종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이트 물질은 전지내의 확산 장벽 또는 분리자로서 콜로이드 물질의 한외 여과시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 물질을 다른 물질에 적층시켜, 생성된 적층물을 레인코우트 또는 다른 외투, 텐트 및 슬리핑 배과 같은 캠핑 장비와 같은 많은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항생물질, 맥주, 기름, 세균 브로쓰 정제용 및 대기 분석을 위한 시료 수거 및 미생물 시료 수거용 여과 물질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나아가, 외과용 드레싱, 붕대 및 기타 다른 의약 용도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밖에도, 많은 다른 미공성 시이트 물질의 용도들이 문헌에 발표되어 있다.
이하에는 실시예들을 기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하며, 이들 실시예내에서 특별한 언급이 있지 않는 한 모든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0.903g/cc의 밀도, 0.8의 용융 유동지수(melt flow index) 및 약 176℃의 융점을 갖는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허큘레스 인코오포레이티드로부터 "Profax"형 6723이란 상표로 시판되고 있음)을 물냉각 탱크위에 위치한 10.16cm×0.076cm 슬릿틈을 갖는 시이팅 다이를 장치한 2.5cm 압출기의 호퍼내로 주입한다. 폴리프로필렌을 압출기내에 주입한 후, 압출기를 60cc/분의 비율로 작동시키면 1분당 7.6m의 비유로 수거되는 폴리프로필렌시이트가 제조된다. 200℃의 비점과 38℃에서 360-390의 표준 세볼트(Saybolt)점도(약 80센티스톡크)를 갖는 광물성 기름[플로우 인코오포레이티드, (Plough Inc.)에서 "뉴졸"이란 상표로 시판하고 있음]을 70중량% 폴리프로필렌과 30중량%의 광물성 기름의 혼합물이 수득되는 비율로 주입구를 통해 압출기내에 주입한다. 상기 혼합물은 49℃로 유지된 냉수 배쓰내에서 투명한 필름으로 주조되어 1분당 7.6m의 비율로 냉각필름이 제조된다. 압출기와 시이트 다이내의 용융물은 압출 동안에 약 245℃로 유지된다. 이어서 생성된 필름을 실온에서 종방향으로 연신하여 신장도를 변화시킨다. 필름에 50cc의 공기가 통과하는 시간(초단위)을 측정하는 걸리(Gurley) 밀도계를 사용하는 ASTM-D-726-58, 방법 A에 따라 각 필름의 기공도를 측정한다. 기공도 측정 결과는 이하의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80%의 폴리프로필렌과 20%의 광물성 기름(실시예 1에서 기술한 것과 동일한 중합체 및 기름)의 혼합물을, 245℃의 용융물 온도로 필름 다이를 유지시키면서 1분당 7.6m의 비율로 수거되도록, 49℃로 유지시킨 수욕내로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대로 압출시킨다.

Claims (1)

  1. 내용 없음.
KR1019830004254A 1982-09-09 1983-09-09 미공성 시이트 물질과 이의 제조방법 KR920005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614082A 1982-09-09 1982-09-09
US416,140 1982-09-09
US416140 1982-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150A KR840006150A (ko) 1984-11-22
KR920005672B1 true KR920005672B1 (ko) 1992-07-13

Family

ID=23648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4254A KR920005672B1 (ko) 1982-09-09 1983-09-09 미공성 시이트 물질과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105629B1 (ko)
JP (1) JPS5964640A (ko)
KR (1) KR920005672B1 (ko)
AU (1) AU559696B2 (ko)
BR (1) BR8304887A (ko)
CA (1) CA1226112A (ko)
DE (1) DE3382722T2 (ko)
HK (1) HK1007708A1 (ko)
MX (1) MX1633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5108A (ja) * 1984-05-31 1985-12-16 Mitsubishi Chem Ind Ltd 多孔化透過性フイ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841B2 (ja) * 1984-05-31 1994-01-12 三菱化成株式会社 多孔化透過性ポリエチレンフイルム
GB8424062D0 (en) * 1984-09-24 1984-10-31 Mackley M R Oriented polymer films
US4778601A (en) * 1984-10-09 1988-10-18 Millipore Corporation Microporous membranes of ultra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JPS61114701A (ja) * 1984-11-09 1986-06-02 Terumo Corp 平膜型透過性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3564078D1 (en) * 1984-11-09 1988-09-08 Terumo Corp Flat permeable membrane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JPH0655433B2 (ja) * 1985-08-12 1994-07-27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インフレ−シヨンフイルム、その製法と装置
US4609584A (en) * 1985-09-19 1986-09-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Absorptive devices
US4771078A (en) * 1985-11-12 1988-09-13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Method of producing a foam from a radiation-curable composition
US4713068A (en) * 1986-10-31 1987-12-15 Kimberly-Clark Corporation Breathable clothlike barrier having controlled structure defensive composite
US4758239A (en) * 1986-10-31 1988-07-19 Kimberly-Clark Corporation Breathable barrier
US4713069A (en) * 1986-10-31 1987-12-15 Kimberly-Clark Corporation Baffle having zoned water vapor permeability
US4726989A (en) * 1986-12-11 1988-02-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Microporous materials incorporating a nucleating agent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4874567A (en) * 1987-04-24 1989-10-17 Millipore Corporation Microporous membranes from polypropylene
US4867881A (en) * 1987-09-14 1989-09-19 Minnesota Min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Orientied microporous film
US4818600A (en) * 1987-12-09 1989-04-04 Kimberly-Clark Corporation Latex coated breathable barrier
DE3809523A1 (de) * 1988-03-22 1989-10-12 Miles Inc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roesen membranen, die damit hergestellten membranen und deren verwendung als traegermatrices in teststreifen
DE3829766A1 (de) * 1988-09-01 1990-03-22 Akzo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embranen
US4865930A (en) * 1988-10-27 1989-09-12 Hughes Aircraft Company Method for forming a gas-permeable and ion-permeable membrane
CA2021165A1 (en) * 1989-07-14 1991-01-15 Henry N. Beck Isotropic or anisotropic microporous syndiotactic polystyrene membranes and processes for preparation
CZ104394A3 (en) * 1991-11-04 1994-10-19 Minnesota Mining & Mfg Combination of a foil coated with adhesive sensitive to pressure and plasticized polyvinyl chloride substrate
EP0565938B1 (en) * 1992-03-30 1996-09-11 Nitto Denko Corporation Porous film,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JP3511398B2 (ja) * 1994-03-25 2004-03-2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U684158B2 (en) * 1994-04-12 1997-12-04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US5571415A (en) * 1994-11-02 1996-11-05 Rohm And Haas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porous polymer structures
US6037281A (en) 1996-12-27 2000-03-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loth-like, liquid-impervious, breathable composite barrier fabric
US5914184A (en) * 1996-12-30 1999-06-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laminate including filled film and continuous film
US5993954A (en) * 1997-04-29 1999-11-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Temperature-sensitive microporous film
US5976686A (en) * 1997-10-24 1999-11-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ffuse reflective articles
US6497946B1 (en) * 1997-10-24 2002-12-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ffuse reflective articles
JP3763652B2 (ja) * 1997-11-05 2006-04-05 花王株式会社 透湿フィルム
JP4397121B2 (ja) * 1998-03-24 2010-01-13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微多孔膜
TW581709B (en) 1999-10-22 2004-04-01 Asahi Kasei Corp Heat-resistant microporous film
EP1413350B1 (en) 2001-08-01 2011-12-14 Asahi Kasei Medical Co., Ltd. Multilayer microporous film
JP4016712B2 (ja) * 2002-05-13 2007-12-05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チウムイオン導電性ポリマー電解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ポリマー電解質電池
CN1283702C (zh) * 2002-06-14 2006-11-08 东丽株式会社 多孔质膜及其制造方法
JP4699207B2 (ja) 2002-10-18 2011-06-08 旭化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親水性微多孔膜
EP2143481A1 (en) 2003-02-19 2010-01-13 Natrix Separations Inc. Composite materials comprising supported porous gels
WO2005097304A1 (en) 2004-04-08 2005-10-20 Mcmaster University Membrane stacks
JP4806401B2 (ja) 2004-06-07 2011-11-02 ナトリックス セパレイ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支持型多孔質ゲルを含む安定な複合材料
JP5767584B2 (ja) 2008-09-02 2015-08-19 ナトリックス セパレイ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クロマトグラフィー膜、それを含む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CA2836460C (en) 2011-05-17 2021-09-21 Natrix Separations Inc. Methods of using a fluid treatment device
JP6285637B2 (ja) * 2013-04-08 2018-02-28 帝人株式会社 反射偏光フィルム積層体、それからなる液晶ディスプレイ用光学部材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
WO2019216883A1 (en) * 2018-05-08 2019-11-14 W.L. Gore & Associates, Inc. Flexible printed circuits for dermal applications
JP7085023B2 (ja) * 2018-05-08 2022-06-15 ダブリュ.エル.ゴア アンド アソシエイツ,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伸長性基材及び非伸長性基材上の可撓性かつ耐久性プリント回路
EP3791697A1 (en) * 2018-05-08 2021-03-17 W. L. Gore & Associates Inc Flexible and stretchable printed circuits on stretchable substrat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78507A (en) * 1961-12-20 1968-04-16 Gen Electric Producing microporous polymers
FR1515826A (fr) * 1963-08-07 1968-03-08 Grace W R & Co Séparateur pour batterie et procédé pour sa fabrication
GB1044502A (en) * 1964-03-23 1966-10-05 Grace W R & Co Stretched polyolefin compositions
JPS50148480A (ko) * 1974-05-20 1975-11-28
GB1587058A (en) * 1976-06-15 1981-03-25 Beecham Group Ltd Oxiranylmethyltetrahydropyran derivatives
JPS5335132A (en) * 1976-09-10 1978-04-01 Sekisui Chemical Co Ltd Method of producing battery separator
JPS5939460B2 (ja) * 1976-12-10 1984-09-22 日石三菱株式会社 多孔膜の製法
US4206980A (en) * 1978-04-24 1980-06-1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Reversibly transparent-translucent film and method of making same
NO153879C (no) * 1978-07-31 1986-06-11 Akzo Nv Fremstilling av en membran med poroes overflate.
JPS5560537A (en) * 1978-10-30 1980-05-07 Teijin Ltd Preparation of porous membrane
US4237083A (en) * 1979-02-13 1980-12-02 Evans Products Company Process of manufacturing a microporous sheet material
DE3032380A1 (de) * 1979-09-04 1981-03-19 Celanese Corp., 10036 New York, N.Y. Verfahren zur herstellung hydrophiler mikroporoeser folien
JPS58198536A (ja) * 1982-05-14 1983-11-18 Sekisui Chem Co Ltd 通気性にすぐれた多孔質フイル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59696B2 (en) 1987-03-19
HK1007708A1 (en) 1999-04-23
EP0105629B1 (en) 1993-12-01
EP0105629A2 (en) 1984-04-18
CA1226112A (en) 1987-09-01
JPS5964640A (ja) 1984-04-12
KR840006150A (ko) 1984-11-22
BR8304887A (pt) 1984-04-24
EP0105629A3 (en) 1988-06-01
AU1892683A (en) 1984-03-15
MX163312A (es) 1992-04-15
DE3382722D1 (de) 1994-01-13
DE3382722T2 (de) 1994-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672B1 (ko) 미공성 시이트 물질과 이의 제조방법
US4539256A (en) Microporous sheet material, method of making and articles made therewith
EP0309136B1 (en) Oriented microporous film
KR950011717B1 (ko) 핵형성제를 함유하는 미공성물질(microporous material) 및 그것의 제조방법
US4863792A (en) Multi-layer laminates of microporous films
US5238618A (en) Method for preparing oriented microporous film
US5120594A (en) Microporous polyolefin shaped articles with patterned surface areas of different porosity
US5238623A (en) Method for preparing microporous polyolefin shaped articles
DE69911624T2 (de) Perforationsbeständige polyolefinmembranen
DE2751075C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ermeablen Membranen
US6824680B2 (en) Preparation of microporous films from immiscible blends via melt processing and stretching
CN102317370A (zh) 由乙烯-三氟氯乙烯共聚物所得的微孔材料及其制备方法
WO1999021914A1 (fr) Procede de preparation d'un film polyolefinique microporeux hautement permeable
CA2257503C (en) Method of producing microporous polyolefin membrane
Chandavasu et al. Preparation of microporous films from immiscible blends via melt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