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5627B1 - 지엽류 취급장치, 지엽류 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및 현금자동취급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취급장치, 지엽류 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및 현금자동취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5627B1
KR920005627B1 KR1019890009652A KR890009652A KR920005627B1 KR 920005627 B1 KR920005627 B1 KR 920005627B1 KR 1019890009652 A KR1019890009652 A KR 1019890009652A KR 890009652 A KR890009652 A KR 890009652A KR 920005627 B1 KR920005627 B1 KR 920005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paper
sensor
banknotes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9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218A (ko
Inventor
모도오 우노
마스오 후루도노
미쓰요시 사또
겐지 다구찌
도시오 오가다
아끼히사 우에다
히로시 기다하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31687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67508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322035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7063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00002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5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9/00Counting coins; Handling of coin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07D11/237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for detecting transport malfunctions, e.g. jams or misfee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6Servicing, repairing or coping with irregularities, e.g. power failure or vandalis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0Associated with forming or dispersing groups of intersupporting articles, e.g. stacking patterns
    • Y10S414/12Associated with forming or dispersing groups of intersupporting articles, e.g. stacking patterns including means pressing against top or end of grou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엽류 취급장치, 지엽류 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및 현금자동취급장치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를 구비한 현금자동거래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금고의 제1의 지폐수납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금고의 제2의 지폐수납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도는 제2도에 있어서의 파지수단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6도는 제5도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
제7도 내지 제26도는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파지수단의 각 구조의 각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27도 내지 제30도는 지폐환류기구에 의한 출금동작의 설명도.
제31도 내지 제38도는 지폐환류기구에 의한 입금동작의 설명도.
제39도 내지 제54도는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각종 동작의 동작 시켄스를 나타내는 도면.
제55도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비한 현금자동거래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
제56도는 제55도에 있어서의 금고의 제1의 지폐수납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7도는 제55도에 있어서의 파지수단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58도는 제57도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
제59도는 제57도의 요부의 일부 단면도.
제60도 내지 제74도는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파지수단의 각 구조의 각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제75도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비한 현금자동거래장치의 일부 절결 사시도.
제76도는 제75도의 파지수단부분의 상세도.
제77도 및 제78도는 지폐검지센서의 배치도.
제79도 내지 제88도는 지폐이상상태의 설명도.
제89도는 출금동작의 이상회복처리동작의 플로차트.
제90도, 제91도는 입금동작의 이상회복처리동작의 플로차트.
제92도는 이상검지관련도.
제93도는 이상회복처리도.
제94도는 지폐정렬기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95도는 제94도의 측면도.
본원 발명은 지엽류(紙葉類) 취급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지엽류의 수수(授受)를 행하는 장치 예를들면 현급자동취급장치에 적합한 지엽류 취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엽류 취급장치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소 60(1985)-137738호 공보, 동 특개소 61(1986)-291370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지엽류의 퇴적부와 수납부 사이를 복수매의 지엽류를 일괄해서 이송하는 이송수단 및 지엽류 수납부로부터 소정 매수의 지엽류를 분리하는 지엽류 분리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지엽류 분리수단에 의해서 지엽류는 지엽류 퇴적부로부터 일괄해서 상기 이송수단에 수수된다.
상기 종래예에서는 지엽류 분리수단 또는 수납수단을 지엽류 퇴적부에 배설하기 때문에, 지엽류 취급장치전체의 형상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예에서는 장치내의 각 구성요소와 지엽류 파지수단간의 지엽류의 수수시, 파지되는 지엽류의 상태에 대해서는 고려되어 있지 않으며, 예를들면 파지된 지엽류가 이상(異常)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주고받는데 미스를 야기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주고받는데 실패하면 동작을 정지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장치의 가동율이 저하될 염려가 있다.
본원 발명의 목적은 지엽류의 퇴적부로부터 소정 매수의 지엽류를 분리하는 수단을 파지이송수단에 설치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소형하는데 있다.
또, 본원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지수단에 의한 지엽류의 수수이상(技受異常)을 검지하여 이상의 종류에 따라 회복처리를 행함으로써, 장치 전체의 장해율을 감소시키는데 있다.
또, 본원 발명의 목적은 지엽류를 일괄해서 파지하여 이송하는 파지이송수단을 소형화함으로써 현금취급장치 전체를 소형으로 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장치는 복수매의 지폐를 일괄적으로 파지하여 이송하는 이송수단을 구성하는 파지수단에 지폐퇴적부에 퇴적된 퇴적지폐중에서 소정 매수의 지폐를 분리하는 지폐분리수단 및 지폐퇴적부에 퇴적된 퇴적지폐중에 소정 매수의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수납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 파지수단에 파지된 지엽류의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수단을 배설하고, 이것에 의해 지엽류의 엇갈림, 부품음, 늘어짐 등의 이상(異常)의 종류를 검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지엽류의 이상상태, 발생장소에 따른 이상회복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치에 있어서, 지폐분리수단은 퇴적지폐군에 돌입하여 지엽체의 소정 개소에 간극을 형성한다. 이 간극에 지폐파지부재가 진입하여 소정 매수의 지폐를 파지하여 이송한다. 또, 지폐수납수단은 퇴적지폐군을 구속하여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에 파지부재가 진입하여 파지이송한 지폐를 수납한다.
또, 파지수단에 장착된 검지수단은 파지수단이 협지(狹持)한 지엽의 상태를 검지하기 위해, 지엽류의 주변을 포위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지엽류가 횡방향(좌우), 전후방향으로 엇갈려 있는지 검지할 수 있다. 또, 파지수단의 하측 및 상측에 검지수단을 장착하고 있으므로, 지엽류의 늘어짐, 부풀음을 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엽류의 이상상태가 식별되므로 그것에 대응한 이상회복처리를 행함으로써 장해율을 감소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원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원 발명의 장치의 일실시예를 구비한 현금자동거래장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대(1)위에 설치한 케이스(2)내에는 입출금부(3), 지폐이송수단을 구성하는 승강기(4)와 파지수단(5), 지폐분리부(6), 감별부(7), 제3의 퇴적부(8) 및 금고(9)가 배설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에서 나타낸 본원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입출금부(3)는 제1의 모터(32)에 의해 요동구동되는 제4의 퇴적부(33) 및 입출금부(34)를 구비하고, 축(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며, 케이스(2)의 앞면 및 파지수단(5)에 대항하여 위치 결정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지폐이송수단을 구성하는 승강기(4)는 레일(41) 및 대차(42)에 의해 지지되고, 제2의 모터(43) 및 밸브(44)에 의해 구동되며, 케이스(2)내를 승강가능한 구조로되어 있다. 지폐이송수단을 구성하는 파지수단(5)은 승강기(4)에 배설된 레일(45)에 지지되고, 제3의 모터(46) 및 벨브(47)에 의해 구동되며,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지폐분리부(6)는 파지수단(5)에 대향해서 배설되고, 제1의 퇴적부(61) 및 제2의 퇴적부(62)를 구비하고 있다. 감별부(7)는 지폐분리부(6)에 접속설치되어 지폐를 감별하는 것이며, 상술한 지폐분리부(6)와 후술하는 제3의 퇴적부(8) 사이의 반송로(10)에 배설되어 있다. 제3의 퇴적부(8)는 3개의 스톡부(stock)(81),(82),(83)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은 파지수단(5)에 대향 배치되어 있으며, 스톡부(81)은 반송로(84)에 접속설치된 위조권 또는 식별불능권이라고 판정된 지폐의 스톡부이며, 스톡부(82),(83)은 스톡부(81)의 위쪽에 차례로 배설되고, 각기 반송로(85),(86)에 접속설치된 금전종류별 스톡부이다. 이들 반송로(84),(85),(86)은 상술한 반송로(10)에서 분기되어 있으며, 그들 분기부에는 게이트(87),(88)이 배설되어 있다. 게이트(87) 및 (88)은 감별부(7)의 지령에 의해 지폐를 반송로(84),(85) 및 (86)으로 분별한다. 금고(9)는 지불용 지폐 및 환류(還流) 이용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제1의 지폐수납부(91)와 지불용 지폐를 수납하는 제2의 수납부(92) 및 리젝트지폐 및 비환류지폐를 수납하는 제3의 수납부(93)를 구비하고 있다. 제1의 지폐수납부(91)는 압판(押板)(19)과 하판(下板)(20)을 가지며, 이 사이에 지폐(11)가 협지되어 퇴적된다.
또, 제2의 지폐수납부(92)는 상판(上板)(22)과 간막이판(23)을 가지며, 이 사이에 지폐(11)가 협지되어 퇴적된다. 또, 제1의 지폐수납부(91)의 지폐출입구(24)에는 셔터(25)가 설치되어 있으며, 도 제2의 지폐수납부(92)의 지폐출입구(26)에는 셔터(27)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금고(9)의 제1의 수납부(91)의 일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제3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제2도와 동일 부분은 같은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압판(19)은 복수의 홈(101)을 구비하고,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턱이 있는 축(102)에 의해 압판지지판(103)에 지지되어 있다. 턱이 있는 축(102)은 상부에 스토퍼(104)가 장착되어 압판(19)이 압판지지판(103)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압판지지판(103)은 금고케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홈(101)은 후술하는 파지수단(5)에 구비된 포크형의 평행한 파지상지(上指)(51)의 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하판(20)은 하단(20)의 하면에 배설된 복수(이 예에서는 4개)의 안내축(105)에 의해 하판구동판(100)에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있다. 이들 안내축(105)은 그 선단측이 하판구동판(100)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하판(20)과 하판구동판(100) 사이에 압축스프링(107)이 끼워져 있다. 상술한 하판구동판(100)에는 볼나사(108)가 연결되어 있으며, 이 볼나사(108)는 금고케이스에 고정된 하판구동판 구동용의 제4의 모터(109)의 회전에 의해 상하동하고, 하판구동판(100)을 상하로 구동한다. 지폐(11)는 하판(20)위에 퇴적되어 있으며, 하판(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하판구동판 구동용의 제4의 모터(109) 및 볼나사(108)에 의해 상하동하는 하판구동판(106)에 압축스프링(107)을 통해서 지지되게 된다.
한편, 압판(19)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턱이 있는 축(102) 및 그 상부에 접속된 스토퍼(104)에 의해 압판지지판(103)에 걸쳐져 있으며, 제4의 모터(109)의 회전에 의해 하판(20) 및 퇴적지폐(11)가 상승하면, 압판(19)이 퇴적지폐(11)에 의해 밀어져서 압판지지판(103)에 대해 상승하고, 퇴적지폐(11)에는 압판(19)의 자중(自重)에 의해 일정 하중이 가해진다. 제3도는 이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압판(19)은 턱이 있는 축(102)의 스트로크만큼 상하동 가능하며, 하판(20)은 하판구동판(106)에 압축스프링(107)을 통해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퇴적지폐(11)는 일정한 압축력과 일정한 콤플라이언스(compliance)로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지폐출입구(24) 및 셔터(25)는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금고(9)의 제2의 수납부(92)의 일실시예의 상세한 구성을 제4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제2도와 동일부분은 같은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상판(22)은 복수의 절결(111)을 가지며, 지폐출입구(26)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간막이판(23)은 복수의 절결(112)을 구비하여 지폐출입구(26)에 배설되어 있다. 셔터(27)는 복수의 절결(113)을 가지며, 지폐출입구(26)을 따라 상하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판(22)의 절결(111)의 위치 및 형상은 후술하는 파지수단(5)에 구비된 포크형의 평행한 파지상지(51)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또, 간막이판(23)의 절결(112)은 역시 파지수단(5)에 구비된 포크형의 평행한 파지하지(下指)(52)의 위치 및 형상에 대응하고 있다. 또, 셔터(27)의 절결(113)의 위치 및 폭은 파지수단(5)에 구비된 포크형의 평행한 파지상지(51) 및 파지하지(52),(53)의 위치 및 폭에 대응하고 있으며, 셔터(27)가 지폐출입구(26)를 따라서 파지수단(5)의 위치에 하강했을 때, 셔터(27)와 상기 파지상지(51) 및 파지하지(52)가 간섭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판(22)은 제1의 수납부(91)의 하판(20)과 마찬가지로 예를들면 스프링과 볼나사를 사용한 기구이고, 콤플라이언스를 가지며, 또한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구동되나, 구동기구는 도면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샤터(27)를 상하 구동하는 구동기구도 생략되어 있다.
또, 지폐분리부(6)의 제1의 퇴적부(61) 및 제2의 퇴적부(62), 지폐를 스톡하는 제3의 퇴적부(8)의 각 스톡부(81),(82),(83), 입출금부(3)의 제4의 퇴적부(33)의 구조도 상술한 금고(9)의 제2의 수납부(92)와 대략 같다.
다음에, 상술한 파지수단(5)의 상세 구조를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파지수단(5)은 파지반송부, 분리부 및 수납부로 대별되며, 제5도는 파지수단의 외관을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제6도는 파지반송부, 분리부 및 수납부를 분해하여 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각 도면마다 동일 부분은 같은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먼저, 제5도에 의해 파지반송부의 파지구조를 설명한다. 파지 상판(53)에는 상술한 4개의 평행한 파지상지(51)가 배설되어 있다. 파지하판(54)에는 상술한 4개의 평행한 파지하지(52)가 배설되어 있다. 이 파지하판(54)에는 이 양단측에 제1의 축받이판(121),(122)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1의 축받이판(121),(122)과 파지상판(53) 사이에는 이것들을 연결하는 병행링크판(124),(125) 및 (126),(127)이 배설되어 있다. 병행링크판(125)과 제1의 축받이판(121)사이에는 이들을 연락하는 토선스프링(128)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으나 병행링크판(127)과 제1의 축받이판(l22) 사이에도 도시하지 않으나 이들을 연락하는 토션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다. 파지하판(54)에는 제5의 모터(129)가 장착되고, 이 제5의 모터(129)의 측에 캠판(130)이 장착되어 있다. 또, 이 파지하판(54)에는 제2의 축받이판(131)이 장착되어 있다. 링크판(132)은 축(133)에 의해 제2의 축받이판(131)에 접속되고, 캠판(130)에 접하는 캠폴로어(134)를 구비하며, 축(135)에 의해 파지상판(53)에 접속되어 있다. 또, 슬릿판(136)은 제5의 모터(129)의 측에 장착되고, 센서(137)는 제2의 축받이판(13l)에 장착되며, 상술한 슬릿판(136)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 센서(137)는 슬릿판(136)에 미리 뚫린 슬릿에 의해 동작하고, 슬릿에 대응한 회전각도로 상술한 제5의 모터(129)가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에를들면 캠판(130)의 편심량이 최대이고, 캠폴로어(134)를 한번 밀어올린 위치에 정지하면, 링크판(132)은 축(135)를 통해서 파지상판(53)을 밀어 올려, 파지상지(51)는 열린다. 반대로, 캠판(130)의 편심량이 최소의 위치에서 정지하면, 캠판(130)은 캠폴로어(134)를 밀어올릴 힘이 없어져, 토션스프링(128)에 의해 파지상지(51)는 닫힌다. 토션스프링(128)의 힘으로 닫힘으로써 파지하지(52)와 파지상지(51) 사이에 지폐블록등이 있는 경우에도 적당한 파지력으로 파지할 수 있으므로, 제5의 모터(129)나 링크판(132)에 무리한 힘이 걸리는 일은 없다.
다음에, 제6도에 의해 파지수단(5)의 전후구동부, 분리부 및 수납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각 도면마다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지하판(54)의 하부 좌우에 한쌍의 수납부재(55),(56), 하부 중앙에 분리부재(57)가 배치되어 상술한 승강기(4)에 대해 전후이동한다.
먼저, 파지수단(5)의 전후구동부에 관해 설명한다. 파지하판(54) 하부의 양단측에 배치된 베어링(141),(142)은 승강기(4)에 배치된 레일(45)에 각기 슬라이드안내된다. 제3의 모터(46)의 축에 배치된 풀리(143), 이 풀리(143) 및 풀리(144)에 걸린 벨트(145), 풀리(144)에 축(146)에 의해 연결된 풀리(147)과(148) 및 풀리(149)와 (150)에 각기 걸린 벨트(47), 벨트(47)과 베어링(141),(142)를 접속하는 체결부(151)에 의해, 파지하판(54)는 제3의 모터(46)에 의해 전후로 구동된다.
다음에, 수납부에 관해 설명한다. 한쌍의 수납부재(55),(56)은 파지하판(54)에 구비된 4개의 평행파지하지(52)와 거의 동일 형상의 수납지(收納指)(153) 및 파지하지(52)에 안내슬라이드되는 가이드(154)를 구비하고 있다. 수납수단부재(55) 및 (56)의 하부에 배치된 베어링(155),(156)은 승강기(4)에 배치된 레일(157)에 각기 슬라이드 안내된다. 상술한 파지하판(54)과 마찬가지로, 제6의 모터(158)의 축에 배치된 풀리(159), 이 풀리(159) 및 풀리(160)에 걸린 벨트(161), 풀리(160)에 축(162)에 의해 연결된 풀리(163)과(164) 및 풀리(165)와 (166)에 각기 걸린 벨트(167) 및 벨트(167)와 수납부재(55),(56)의 베어링(155),(156)을 접속하는 체결부(168) 및 (169)에 의해 수납수단부재(55),(56)은 제6의 모터(158)에 의해 파지하판(54)을 따라 전후로 구동된다.
다음에, 분리부에 관해 설명한다. 분리부재(57)는 앞부분에 돌입부재(171)와 이 돌입부재의 양측에 홈(173)을 가진 선별부재(172)가 설치되고, 그 후부에 레일(174)에 슬라이드 안내되는 베어링(175)이 배치되어 있다. 또, 이 베어링(175)의 상면에는 상술한 파지하판(54)의 끼워맞춤구멍(170)에 끼워맞추는 핀(176)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레일(174)은 승강기(4)에 배치된 축(177) 주위에 회전가능한 베어링(178)에 장착되어 있다. 솔레노이드(181)는 분리부재(57)의 앞쪽 하부의 슬라이드부(179)에 접하여 상하 구동하는 헤드(180)을 가지고 있다. 이 솔레노이드(181)의 동작에 의해 헤드(180)가 상승하면, 분리부재(57)는 축(177)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돌입부재(171)가 상승하는 동시에 핀(176)이 파지하판(54)의 끼워맞춤구멍(170)에 끼워맞추어지고, 파지하판(54)의 전후 이동과 동시에 레일(174)과 베어링(175)이 슬라이드하여, 파지하판(54)과 함께 전후로 이동한다. 솔레노이드(181)가 동작하지 않을 때는 분리부재(57)는 자중으로 하강하여 핀(176)은 파지하판(54)의 끼워맞춤구멍(170)에서 벗어나므로 파지하판(54)이 전후 이동해도 움직이지 않는다.
다음에, 파지수단(5)의 일련의 동작을 제1도 내지 제6도를 기초로 제7도 이후에 따라 설명한다. 파지수단(5)의 주된 동작은 금고(9)의 지불용 지폐 및 환류이용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제1의 지폐수납부(91)에 대해, 지불하기 위해 퇴적한 지폐를 분리하여 파지반송하는 동작 및 환류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동작 및 금고(9)의 지불용 지폐를 수납하는 제2의 수납부(92), 지폐분리부(6)의 제1의 퇴적부(61) 및 제2의 퇴적부(62), 지폐를 스톡하는 제3의 퇴적부(8), 입출금부(3)의 제4의 퇴적부(33)에 대해, 지폐블록을 꺼내거나 또는 수납하는 동작이다. 이하, 도면에 따라 설명하며, 각 도면마다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로 표시한다.
제7도 내지 제12도는 금고(9)의 지불용 지폐 및 환류이용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제1의 지폐수납부(91)에 대해, 지불하기 위해 퇴적한 지폐를 분리하여 파지반송할 때의 파지수단(5)의 파지상자(51)을 구비한 파지상판(53), 파지하지(52)를 구비한 파지하판(54), 돌입부재(171) 및 선별부재(172)를 구비한 분리부재(57), 수납지(153)를 구비한 수납부재(55),(56)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제7도는 파지수단(5)이 승강기(4)에 의해 금고(9)의 지불용 지폐 및 환류이용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제1의 지폐수납부(91)의 지폐입출구(24)의 대향해서 위치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파지상지(51)는 열려있고, 분리부재(57) 및 수납부재(55),(56)은 가장 파지수단(5)의 뒤끝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제8도는 분리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파지상지(51)가 열린채 파지하판(54), 분리부재(57) 및 수납부재(55),(56)이 전진하고, 분리부재(57)의 돌입부재(171) 및 선별부재 (172) (제7도 내지 제12도에서는 도시하지 않음)가 퇴적지폐(11)에 진입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포크형의 병행파지상지(51)는 압판(19)의 홈(101)에 따라 진입하고, 퇴적지폐(11)는 일정한 압축력과 일정한 콤플라이언스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퇴적지폐(11)는 돌입부재(171) 및 선별부재(172)의 진입과 동시에 무리없이 상하로 나누어진다.
제9도는 계속해서 파지상지(51)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10도는 인출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파지상지(51)는 닫힌 채 파지하판(54) 및 분리부재(57)가 후퇴하고, 지폐블록(12)을 제1의 지폐수납부(91)의 지폐출입구(24)로부터 인출한다. 이때 수납부재(55),(56)은 전진한 위치에 정지한채로, 제1의 지폐수납부(91) 안에 남겨진 퇴적지폐(11)가 흩어지지 않도록 그 상부를 누른다.
제11도는 암판(19)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지(153)는 포크형의 병행한 파지하지(52)과 거의 동일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압판(19)의 홈(101)은 수납지(153)를 따라 하강하고, 압판(19)은 수납부재(55),(56)에 간섭하지 않고 제1의 지폐수납부(91)안에 남겨진 퇴적지폐(11)의 상부를 일정 하중으로 누른다.
제12도는 분리동작완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수납부재(55),(56)이 후퇴한다. 이후, 파지수단(5)은 승강기(4)에 의해 이동하고, 분리된 지폐블록(12)은 파지하판(54)에 장착된 4개의 병행한 파지하지(52)와 파지상판(53)에 구비된 4개의 평행한 파지상지(51)로 파지된 소정의 퇴적부에 이송된다.
제13도 내지 제18도는 금고(9)의 지불용 지폐 및 환류이용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제1의 지폐수납부(91)에 대해, 환류하는 지폐를 수납할 때의 파지수단(5)의 파지하지(52)를 구비한 파지하판(54), 파지상지(51)를 구비한 파지상판(53), 분리부재(57), 수납지(153)를 구비한 수납부재(55),(56)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이 동작의 경우, 제6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부재(57)는 자중으로 하강하고 있으며 파지하판(54)이 전후 이동해도 움직이지 않고, 파지수단(5)의 가장 뒤끝의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제13도는 파지수단(5)이 승강기(4)에 의해 금고(9)의 지불용 지폐 및 환류이용하는 지폐를 수납하는 제1의 지폐수납부(91)의 지폐출입구(24)에 대향해서 위치결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수납하는 지폐블록(12)은 파지하판(54)에 장착된 4개의 병행한 파지하지(52)와 파지상판(53)에 구비된 4개의 병행한 파지상지(51)로 파지되고, 수납부재(55),(56)은 파지수단(5)의 가장 뒤끝에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제14도는 수납준비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수납부재(55)(56)의 수납지(153)가 전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지(153)는 포크형의 병행한 파지하지(52)과 대략 동일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수납지(153)는 압판(19)에 간섭하지 않고 압판(19)의 홈(101)에 따라서 전진한다.
제15도는 이어서 압판(19)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것이다. 압판(19)의 하중이 없어져도 제1의 지폐수납부(91)안의 퇴적지폐(11)가 흩어지지 않도록 수납부재(55),(56)의 수납지(153)가 그 상부를 누른다.
제16도는 내민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파지상지(51)는 닫힌 채 파지하판(54)이 전진하고, 지폐블록(12)은 제1의 지폐수납부(91)의 지폐출입구(24)로부터 제1의 지폐수납부(91) 안에 있는 퇴적지폐(11)의 상부에 내민다.
제17도는 압판(19) 및 셔터(25)가 하강하고, 파지상지(51)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포크형의 병행한 파지상지(51)는 압판(19)을 간섭하지 않고, 압판(19)은 지폐블록(12)이 흩어지지 않도록 그 상부를 일정 하중으로 누른다.
제18도는 수납동작완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파지상지(51)는 열린 채 파지하판(54)은 수납부재(55),(56)와 함께 후퇴한다. 이때, 수납한 지폐블록은 셔터(25)에 의해 움직임이 구속되므로 그대로 제1의 지폐수납부(91)내에 남고, 파지하판(54) 및 수납부재(55),(56)이 지폐출입구(24)로부터 나오면 압판(19)이 수납완료한 지폐블록 및 퇴적지폐(11)의 상부에 일정 하중을 가한다.
제19도 내지 제22도는 금고(9)의 지불용 지폐를 수납하는 제2의 수납부(92)에 대해 지폐블록을 꺼낼 때의 파지수단(5)의 파지하지(52)를 구비한 파지하판(54), 파지상지(51)를 구비한 파지상판(53), 분리부재(57) 및 수납부재(55),(56)의 동작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동작의 경우, 수납부재(55),(56)는 파지하판(54)과 함께 전후로 이동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부재(55),(56)의 수납지(153)는 포크형의 병행한 파지하지(52)와 거의 동일 형상을 하고 있으므로, 외관상 일체인 것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또, 제13도 내지 제18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분리부재(57)는 자중으로 하강하고 있으며 파지하판(54)이 전진이동해도 움직이지 않고, 파지수단(5)의 가장 뒤끝의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제19도는 파지수단(5)이 승강기(4)에 의해 금고(9)의 지불용 지폐를 수납하는 제2의 지폐출입구(26)에 대향하여 위치결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파지상지(51)는 열려 있다. 이때, 파지상지(51)의 열린 정도는 지폐블록(13)의 두께보다 충분히 크다.
다음에, 제20도는 전진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파지상지(51)가 열린 채 파지하판(54) 및 수납부재(55),(56)이 전진한다.
제21도는 이어서, 승강기(4)에 의해 파지수단(5)이 약간 상승하는 동시에 파지상지(51)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파지하판(54)의 위치는 간막이판(23)의 위치보다 약간 위의 위치로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간막이판(23)의 절결(112) 및 상판(22)의 절결(111)의 위치 및 형상은 파지상지(51) 및 파지하지(52)에 각기 대응하고 있으며, 상판(22)은 예를들면 스프링과 볼나사를 사용한 기구이고 콤플라이언스를 가지며, 또한 상하로 이동가능하므로, 파지하지(52)와 간막이판(23), 파지상지(51)와 상판(22)은 간섭하지 않고, 또한 지폐블록(13)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으며, 파지수단(55)은 지폐블록(13)을 떠올릴 수 있다.
제22도는 인출동작완료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파지상지(51)는 닫은 채 파지하판(54) 및 분리부재(57)가 후퇴하고, 지폐블록(13)을 제2의 지폐수납부(92)의 지폐출입구(26)로부터 인출한다. 이후, 파지수단(5)은 승강기(4)에 의해 이동하고, 분리된 지폐블록(13)은 파지하판(54)에 장착된 4개의 평행한 파지하지(52)와 파지상판(53)에 구비된 4개의 병행한 파지상지(51)로 파지되어 소정의 퇴적부에 이송된다.
제23도 내지 제26도는 금고(9)의 지불용 지폐를 수납하는 제2의 수납부(92)에 대해, 지폐블록(13)을 수납할 때의 파지수단(5)의 파지하지(52)를 구비한 파지하판(54), 파지상지(51)를 구비한 파지상판(53), 분리부재(57) 및 수납부재(55),(56)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이 동작의 경우도 상술한 제19도 내지 제22도에서 나타낸 인출 동작과 마찬가지로, 수납부재(55),(56)은 파지하판(54)과 함께 전후로 이동한다. 분리부재(57)는 자중으로 하강하고 있으며 파지하판(54)이 전후이동해도 움직이지 않고, 파지수단(5)의 가장 뒤끝의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제23도는 파지수단(5)이 승강기(4)에 의해 금고(9)의 지불용 지폐를 수납하는 제2의 수납부(92)의 지폐출입구(26)에 대향해서 위치결정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수납한 지폐블록(13)은 파지상판(53)에 장착된 4개의 병행한 파지하지(51)와 파지하판(54)에 구비된 4개의 병행한 파지하지(52)로 파지되고, 분리부재(57)및 수납부재(55),(56)은 파지수단(5)의 가장 뒤끝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파지하판(54)의 위치는 간막이판(23)의 위치보다도 약간 위의 위치에 위치결정되고, 상판(22)은 파지상판(53)의 위치보다도 위로 위치결정되어 있으며, 간막이판(23)과 상판(22)의 간격은 지폐블록(13)의 두께보다 크다.
다음에, 제24도는 수납준비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파지상지(53)가 닫힌 채 파지하판(54) 및 수납부재(55),(56)이 전진한다.
제25도는 이어서 파지상지(51)가 열리는 동시에 승강기(4)에 의해 파지수단(5)이 약간 하강하고, 상판(22)이 하강하며, 셔터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파지하판(54)의 위치는 간막이판(23)의 위치보다 약간 아래의 위치로 된다. 이때, 간막이판(23)의 절결(112) 및 상판(22)의 절결(111)의 위치 및 형상은 파지상지(51) 및 파지하지(52)에 각각 대응하고 있으며, 상판(22)은 예를들면 스프링과 볼나사를 사용한 기구이고 콤플라이언스를 가지며, 또한 상하로 이동가능하므로, 파지하지(52)와 간막이판(23), 파지상지(51)와 상판(22)과는 간섭하지 않으며, 또한 지폐블록(13)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고, 간막이판(23)은 지폐블록(13)을 떠내고, 동시에 상판(22)이 지폐블록(13)이 흩어지지 않도록 일정한 하중을 가한다.
제26도는 수납동작완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파지하판(54)은 파지상지(51)가 열린 채 수납부재(55),(56)와 함께 후퇴한다, 이때 수납한 지폐블록(13)은 셔터(27)에 의해 움직임이 구속되므로, 그대로 제2의 지폐수납부(92)내에 남는다. 그리고, 제19도 내지 제22도 및 제23도 내지 제26도에서는 금고(9)의 지불용 지폐를 수납하는 제2의 수납부(92)에 대해 지폐블록(13)을 인출하거나 수납할때의 동작을 설명하였으나, 지폐분리부(6)의 제1의 퇴적부(61) 및 제2의 퇴적부(62), 지폐를 스톡하는 제3의 퇴적부(8)의 각 스톡부(81),(82),(83),(84), 입출금부(3)의 제4의 퇴적부(33)에 대해서도 동일한 동작으로 인출 및 수납이 가능하다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상술한 현금자동거래장치의 전체의 동작을 설명한다.
이 현금자동거래장치는 장치시동시에 먼저 금고(9)의 제1의 지폐수납부(91)에 퇴적되어 있는 지폐로부터 파지수단(5)에 의해 일정량의 지폐블록을 분리하고, 이 파지수단(5)을 승강기(4)에 의해 상승시켜서, 지폐블록을 지폐분리부(6)의 제1의 퇴적부(61)에 공급한다. 또, 역시 금고(9)의 제2의 지폐수납부(92)에 퇴적한 지폐 블록을 파지수단(5)에 의해서 파지하고, 승강기(4)에 의해 상승시켜서 이 지폐블록을 지폐분리부(6)의 제2의 퇴적부(62)에 공급한다. 여기서, 에를들면 금고(9)의 제1의 지폐수납부(91)에 퇴적한 지폐는 1만원권 지폐로 하고, 금고(9)의 제2의 지폐수납부(92)에 퇴적한 지폐는 천원권지폐로 한다.
출금동작하는 경우에는 지폐분리부(6)는 파지수단(5)에 의해서 공급된 제1의 퇴적부(61) 및 제2의 퇴적부(62)의 지폐를 소정 매수만큼 1매씩 분리하여 감별부(7)에 반송한다. 즉, 예를들면 제1의 퇴적부(61)에 1만원권 지폐가, 제2의 퇴적부(62)에 천원권 지폐가 퇴적되어 있으며, 5만 2천원의 출금요구가 있을 경우에는 제1의 퇴적부(61)에서 5매, 제2의 퇴적부(62)에서 2매의 지폐를 분리하여 반송한다. 감별부(7)는 지폐의 진권, 위조권을 감별한다. 지폐 공급 후 파지수단(5)는 제3의 퇴적부(8)로 이동한다(제27도).
감별후 반송로(10)에 의해 반송된 지폐는 상기 감별부(7)의 감별결과에 의거하여 위조권, 손권(지불용 지폐로서 부적격) 또는 감별불능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게이트(87)의 동작에 의해서 반송로(84)를 지나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1)에 집적되고, 진권이라고 판정된 지폐는 게이트(87) 및 (88)의 동작에 의해서 반송로(85)를 통과하여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2)에 집접된다(제28도).
스톡부(82)에 소정 매수의 지폐가 집적된 후, 이들 지폐는 파지수단(5)에 의해 파지되어서 승강기(4)에 의해 입출금부(3)의 위치로 이동하고, 파지수단(5)에 대향해서 위치결정된 입출금부(3)의 제4의 퇴적부(33)에 방출된다(제29도). 입출금부(3)는 축(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케이스(2)의 앞면에 위치결정되는 동시에, 제4의 퇴적부(33)는 요동모터(32)에 의해 입출금부(34)로 회전하여 고객에게 지폐를 출금한다(제30도). 또, 스톡부(81)에 집적된 상기의 위조권, 손권 또는 감별불능권은 파지수단(5)에 의해 파지되어서 승강기(4)에 의해 금고(9)의 위치로 이동하여 리젝트 지폐 및 비환류 지폐를 수납하는 제3의 지폐수납부(93)에 수납된다. 만일 지폐분리부(6)가 파지수단(5)에 의해서 공급된 제1의 퇴적부(61)의 지폐를 분리중에 제1의 퇴적부(61)의 지폐가 없어진 경우에는, 파지수단(5)을 승강기(4)에 의해 금고(9)의 위치로 하강시켜서 금고(9)의 제1의 지폐수납부(91)에 퇴적한 지폐로부터 파지수단(5)에 의해서 일정량의 지폐블록을 분리하고, 이 파지수단(5)을 승강기(4)에 의해 상승시켜서 이 지폐블록을 지폐분리부(6)의 제1의 퇴적부(61)에 공급하고, 분리를 속행한다. 만약 지폐분리부(6)가 파지수단(5)에 의해서 공급된 제2의 퇴적부(62)의 지폐를 분리중에 제2의 퇴적부(62)의 지폐가 없어진 경우에는 그 취지를 고객에게 표시하여 일단거래를 중지하고, 지폐분리부(6)의 제1의 퇴적부(61)의 지폐만의 출금동작모드 즉 금고(9)의 제1의 지폐수납부(91)에 1만원권 지폐를 퇴적한 경우에는 1만원권 지폐만을 출금하는 동작모드로 전환한다.
다음에, 입금동작은 고객이 케이스(2)의 앞면에 위치결정된 입출금부(3)의 입출금구(34)로부터 제4의 퇴적부(33)에 지폐를 입금하면, 입출금부(3)는 축(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동시에, 제4의 퇴적부(33)는 모터(32)에 의해 요동구동되어, 파지수단(5)에 대향해서 위치결정된다. 파지수단(5)은 지폐분리부(6)의 제2의 퇴적부(62)에 퇴적한 지폐블록을 파지하고(제31도), 승강기(4)로 하강시켜서, 이 지폐블록을 금고(9)의 제2의 지폐수납부(92)에 수납한후(제32도), 승강기(4)에 의해 입출금부(3)의 위치로 이동하고(제33도), 제4의 퇴적부(33)의 지폐를 파지하여 승강기(4)에 의해 지폐분리부(6)의 위치로 하강해서 지폐분리부(6)의 제2의 퇴적부(62)에 퇴적한 지폐블록을 파지하고(제31도), 승강기(4)로 하강시켜서, 이 지폐블록을 금고(9)의 제2의 지폐수납부(92)에 수납한후(제32도), 승강기(4)에 의해 입출금부(3)의 위치로 이동하고(제33도), 제4의 퇴적부(33)의 지폐를 파지하여 승강기(4)에 의해 지폐분리부(6)의 위치로 하강해서 지폐분리부(6)의 제2의 퇴적부(62)에 이 지폐블록을 공급한다(제34도).
지폐분리부(6)의 제2의 퇴적부(62)에 공급된 지폐는 상술한 출금동작과 같이 분리 감별되어, 위조권 도는 감별불능권이라고 판정된 지폐는 게이트(87)의 동작에 의해서 반송로(84)를 지나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1)에 집적되고, 진권이라고 판정된 지폐는 1만원권 지폐가 게이트(87),(88)의 동작에 의해서 반송로(85)를 지나 스톡부(82)에, 5천원권 지폐. 천원권 지폐 및 1만원권 지폐의 손권(지불용 지폐로서 부적격)이라고 판정된 지폐는 게이트(87)(88)의 동작에 의해서 반송로(86)를 지나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3)에 집적된다(제35도). 임금거래시, 투입된 지폐에 위조권 또는 감별불능권이 없고, 고객에 의한 임금 거래확인키의 압인(押印)이 얻어진 경우에는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1)에 집적된 1만원권 지폐는 파지수단(5)에 의해서 파지되어 승강기(4)에 의해 하강하여 금고(9)의 제1의 지폐수납부(91)에 수납된다(제37도). 또,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3)에 집적된 천원, 5천원 및 1만원의 손권지폐는 마찬가지로 파지수단(5)에 의해 파지되어서 금고(9)의 리젝트지폐 및 비환류지폐를 수납하는 제3의 지폐수납부(93)에 수납된다(제38도). 입금거래시, 투입된 지폐에 위조권 또는 감별불능권이라고 판정된 지폐가 나온 경우, 그 지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1)에 집적된다. 다음에, 이 지폐군은 파지수단(5)에 의해 파지되어서 입출금부(3)에 반환되고, 고객에게 재투입을 의뢰한다. 고객이 반환되어 온 지폐를 입출금부(3)에 재투입하거나 별도의 지폐를 투입한 경우에는 이들 지폐군을 파지수단(5)으로 파지하여, 지폐분리부(6)의 제2의 퇴적부에 공급하고, 여기서 1매씩 분리 반송하여 감별부(7)에 보낸다.
이 동작후, 위조권이 발생하지 않으면 고객의 입금거래확인키의 압인에 의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2)에 퇴적되어 있는 지폐군은 금고(9)의 제1의 지폐수납부(91)에, 그리고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3)에 집적되어 있는 지폐군은 금고(9)의 리젝트지폐 및 비환류지폐용의 제3의 지폐수납부(93)에 각각 파지수단(5)에 의해 수납된다. 이외에, 입금지폐군중에 위조권 또는 감별불능권이 발생하여 고객에게 반환한 경우에 고객이 입금을 중지한 경우나 모두 진권이라고 판정하여 종료해도 장치의 표시액과 고객의 기억액에 차이가 있고 고객이 입금을 멈춘 경우에는, 고객에 의한 취소키 압인에 의해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1),(82) 및 (83)에 집적되어 있는 지폐군은 다음과 같이 해서 입출금부(3)에 반환한다. 먼저, 파지수단(5)은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3)의 지폐군을 파지하여 지폐분리부(6)의 제2의 퇴적부(62)에 공급한다. 이들 지폐군은 1매씩 분리반송되어 감별부(7)를 통과하여,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1)에 반송되어 이미 위조권 또는 감별불능권으로서 집적되어 있는 지폐군 위에 집적된다.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2)의 지폐군도 같은 동작을 행한 후, 스톡부(81)에 집적된다. 이와 같이 입금된 지폐를 일괄해서 집적한 후, 파지수단(5)으로 파지하여 입출금부(3)로 옮겨 고객에게 반환한다.
제39도 내지 제54도는 상기의 동작을 시켄스로 나타낸 것이다.
제39도는 장치의 통상 동작의 개요를 나타낸 것이다. 장치의 동작은 장치 시동시의 장진동작(1000), 거래시의 출금거래동작(2000) 및 입금거래동작(3000), 장치정지시의 수납동작(4000)으로 나누이며, 거래시의 출금거래동작과 입금거래동작의 선택은 고객의 키보드 조작에 의해 거리종료조작은 계원에 의해 행하여진다.
제40도는 장치시동시의 장진동작(1000)의 상세한 시켄스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파지수단(5)이 금고(9)의 제1의 지폐수납부(91)에 퇴적한 환류이용할 지불용 지폐 예를들면 1만원권 지폐(이하 환류권이라 함)로부터 일정량의 지폐블록을 분리하고(1005), 승강기(4)에 의해 지폐분리부(6)의 위치로 상승하여(1010), 이 지폐블록을 지폐분리부(6)의 제1의 퇴적부(61)에 공급한다(1015).
다음에, 파지수단(5)은 승강기(4)에 의해 금고(9)의 위치에 하강하고(1020), 또한 역시 금고(9)의 제2의 지폐수납부(92)에 퇴적한 에를들면 천원권 지폐(이하 비환류권이라 함)의 지폐블록을 파지하고(1025), 숭강기(4)에 의해 지폐분리부(6)의 위치로 상승하여(1030), 이 지폐블록을 지폐분리부(6)의 제1의 퇴적부(61)에 공급한다(1035).
제41도는 출금거래동작(2000)의 상세를 나타낸 것이다.
출금거래동작(2000)은 고객이 키보드에 의해 출금금액을 입력하는 금액입력(2100), 지폐분리부(6)의 제2의 퇴적부(62)에 지폐를 소정매수 만큼 1매씩 분리하여 계수하는 비환류권 출금계수동작(2200), 지폐분리부(6)의 제1의 퇴적부(61)의 지폐를 소정 매수만큼 1매씩 분리하여 계수하는 환류권 출금계수동작(2300),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2)에 집적한 출금지폐를 파지수단(5)에 의해 파지하고, 입출금부(3)의 위치로 이송하여 고객에서 지폐를 출금하는 출금동작(2400), 비환류권 출금계수동작(2200) 및 환류권 출금계수동작(2300)의 진행중 위조권, 손권(지불용 지폐로서 부적격) 또는 감별불능권이라고 판정하여,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1)에 집적한 지폐(이하 이것을 리젝트권이라 함)를 파지수단(5)에 의해 파지하여 금고(9)의 제3의 수납부(93)에 이송하는 리젝트권 회수동작(2500)으로 성립된다. 즉, 예를들면 고객이 5만 2천원의 출금금액을 키보드로 입력시킨 경우, 제2의 퇴적부(63)로부터 2매의 천원권 지폐를, 제1의 퇴적부(61)로부터 5매의 만원권 지폐를 1매씩 분리하여 출금한다.
제42도는 비환류권 출금계수동작(2200)의 상세 시켄스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지폐분리부(6)는 미리 파지수단(5)에 의해 공급된 제2의 퇴적부(62)의 비환류권 지폐를 1매씩 분리하여 감별부(7)에 반송한다(2205). 감별부(7)는 지폐의 진위와 종류를 감별하고(2210), 반송로(10)에 의해 반송된 지폐는 상기 감별부(7)의 감별결과에 의거하여 진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2217), 게이트(87) 및 게이트(88)의 동작에 의해 반송로(85)를 지나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2)에 집적되며(2220), 리젝트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2217), 게이트(87)의 동작에 의해 반송로(84)를 지나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1)에 집적된다(2225). 분리동작(2205)은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2)에 소정 매수의 지폐가 집적될 때 파지 반복된다(2230).
만약, 분리중에 제2의 퇴적부(62)의 지폐가 없어진 경우에는(2215), 그 취지를 고객에게 표시하여(2235), 일단거래를 중지하고(2240), 환류권 출금계수동작(2300)만의 출금동작모드로 전환된다.
제43도는 환류권 출금계수동작(2300)의 상세 시켄스를 나타낸 것이다.
비환류권 출금계수동작(2200)과 마찬가지로, 먼저 지폐분리부(6)는 미리 파지수단(5)에 의해서 공급된 제1의 퇴적부(61)의 환류지폐를 1매씩 분리하여 감별부(7)에 반송한다(2305). 감별부(7)는 지폐의 진위와 종류를 감별하고(2310), 반송로(10)에 의해 반송된 지폐는 상기 감별부(7)의 감별결과에 의거하여 진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2317), 게이트(87) 및 게이트(88)의 동작에 의해 반송로(85)를 지나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2)에 집적되며(2320), 리젝트권이라고 판정된 경우(2317), 게이트(87)의 동작에 의해 반송로(84)를 지나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l)에 집적된다(2325).
분리동작(2305)은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2)에 소정 매수의 지폐가 집적될때까지 반복된다(2330).
만약, 분리중에 제1의 퇴적부(61)의 지폐가 없어졌을 경우에는(2315), 파지수단(5)은 승강기(4)에 의해 금고(9)의 위치로 하강하여(2335), 제1의 지폐수납부(91)로부터 일정량의 지폐블록을 분리하고 (2340), 다시 승강기(4)에 의해 상승하여(2345), 이 지폐블록을 지폐분리부(6)의 제1의 퇴적부(61)에 공급하고(2350), 분리동작(2305)을 계속한다.
제44도는 출금동작(2400)의 상세 시켄스를 나타낸 것이다.
파지수단(5)은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2)에 집적한 출금지폐를 파지하고(2405), 승강기(4)에 의해 입출금부(3)의 위치로 하강하여(2410), 파지수단(5)에 대향해서 위치결정되어 있는 제4의 퇴적부(33)에 그 지폐블록을 방출한다(2415). 입출금부(3)는 축(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케이스(2)의 앞면에 위치결정되며(2420), 동시에 제4의 퇴적부(33)는 모터(32)에 의해 입출금부(3)에 요동위치결정되어(2425), 고객에게 소정 금액의 지폐를 출금한다(2430).
제45도는 리젝트권 회수동작(2500)의 상세 시켄스를 나타낸 것이다.
비환류권 출금계수동작(2200) 및 환류권 출금계수동작(2300)의 진행중에 위조권, 손권(지불용 지폐로서 부적격) 또는 감별불능권이라고 판정되어,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1)에 리젝트권이 집적된 경우에는(2505), 파지수단(5)은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1)에 집적한 리젝트권을 파지하고(2510), 승강기(4)에 의해 금고(9)의 위치로 하강하여(2515), 금고(9)의 제3의 수납부(93)에 이 지폐를 수납한다(2520). 리젝트권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리젝트권 회수동작(2500)은 생략된다.
제46도는 입금거래동작(3000)의 상세를 나타낸 것이다.
입금거래동작(3000)은 고객의 키보드조작에 의한 입금거래동작의 선택과 동시에 행하여지는 비환류권 퇴피동작(3100), 고객이 입금한 지폐를 입출금부(3)로부터 지폐분리부(6)의 제2의 퇴적부(62)로 이송하는 입금동작(3200), 그 지폐를 1매씩 분리하여 계수하는 입금계수동작(3300), 입금계수동작(3300)의 진행중에 위조권 또는 감별불능이라고 판정된 리젝트권이 발생한 경우(3900),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1)에 집적한 지폐를 고객에게 반환하고, 재입금을 촉구하는 리젝트권 반환동작(3400), 고객이 입금금액을 확인하는 입금거래확인(3500), 고객이 입금확인키를 눌러 입금거래가 성립된 경우(3500), 제3의 퇴적부(8)에 집적한 지폐를 환류권 예를들면 1만원권 지폐는 금고(9)의 제1의 지폐수납부(91)에, 비환류권 예를들면 천원권 지폐는 금고(9)의 제3의 지폐수납부(93)에 수납하는 수납동작(3600), 고객이 입금거래취소키를 눌러 입금거래중지된 경우(3550), 제3의 퇴적부(8)의 집적한 지폐를 고객에게 반환하는 거래중지반환동작(3700), 이상의 동작이 종료된 후, 비환류권 퇴피동작(3100)으로 퇴피한 지폐를 원래대로 복귀시키는 비환류권 복귀동작(3800)으로 성립된다. 즉, 예를들면 고객이 5만 2천원의 지폐를 입금하여 입금거래가 성립된 경우, 지불용 지폐로서 환류이용하기 위한 5매의 만원권 지폐가 금고(9)의 제1의 지폐수납부(91)에 수납되고, 환류이용되지 않는 2매의 천원권 지폐는 금고(9)의 제3의 지폐수납부(93)에 수납된다.
제47도는 비환류권 퇴피동작(3100)의 상세 시켄스를 나타낸 것이다.
비환류권 퇴피동작(3100)은 출금에 대비하여 비환류권이 퇴적되어 있는 지폐분리부(6)의 제2의 퇴적부(62)를 고객이 입금한 지폐를 계수하기 위해서 입금동작중 퇴피시키는 동작이며, 고객의 키보드조작에 의한 입금동작의 선택과 동시에 행해진다. 즉, 파지수단(5)은 지폐분리부(6)의 제2의 퇴적부(62)에 퇴적한 비환류권의 지폐블록을 파지하고(3105), 승강기(4)에 의해 금고(9)의 위치로 하강하여(3110), 이 지폐블록을 금고(9)의 제2의 지폐수납부(92)에 수납한다(3115).
제48도는 입금동작(3200)의 상세 시켄스를 나타낸 것이다.
고객이 케이스(2)의 앞면에 위치결정된 입출금부(3)의 입출금구(34)로부터 지폐를 제4의 퇴적부(33)에 입금하면(3205), 입출금부(3)는 축(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여 파지수단(5)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결정(3210)되는 동시에 제4의 퇴적부(33)는 모터(32)에 의해 파지수단(5)에 대향하는 위치에 요동위치결정된다(3215). 계속해서 파지수단(5)은 제4의 퇴적부(33)에 퇴적한 지폐블록을 파지(3220)하고, 승강기(4)에 의해 지폐분리부(6)의 위치로 하강하여 (3225), 지폐분리부(6)의 제2의 퇴적부(62)에 그 지폐블록을 방출한다(3230).
제49도는 입금계수동작(3300)의 상세 시켄스를 나타낸 것이다.
지폐분리부(6)는 상술한 입금동작(3200)으로 파지수단(5)에 의해 이송된 제2의 퇴적부(62)의 입금지폐를 1매씩 분리하여 감별부(7)에 반송한다(3305). 감별부(7)는 지폐의 진위와 종류를 감별하고(3310), 반송로(10)에 의해 반송된 지폐는 상기 감별부(7)의 감별결과에 의거하여 위조권 또는 감별불능(리젝트권)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3315), 게이트(87)의 동작에 의해 반송로(84)를 지나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l)에 집적되고(3325), 환류권이 진권이라고 판정된 경우(3320)에는 게이트(87) 및 게이트(87)의 동작에 의해 반송로(85)를 지나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2)에 집적되고(3330), 기타 즉 비환류권 또는 환류권의 손권(지불용으로 환류하는 지폐로서 부적격)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게이트(87) 및 게이트(88)의 동작에 의해 반송로(86)을 지나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3)에 집적된다(3335). 분리동작(3305)은 제2의 퇴적부(62)의 지폐가 없어질때까지 반복된다(3340).
제50도는 리젝트권 반환동작(3400)의 상세 시켄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중 다른 동작과 동일한 시켄스는 동일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입금계수동작(3300)의 진행중에 위조권 또는 감별불능이라고 판정된 리젝트권이 발생한 경우, 입금계수동작(3300) 종료 후, 파지수단(5)은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1)에 집적된 그들 지폐를 파지하고(3405), 승강기(4)에 의해 입출금부(3)의 위치에 하강하여(3410), 파지수단(5)에 대향하여 위치결정되어 있는 제4의 퇴적부(33)에 그 지폐블록을 방출한다(3415). 이하, 상술한 출금동작(2400)과 같이 입출금구(34)를 통해서 고객에게 지폐를 반환한다.
제51도는 수납동작(3600)의 상세 시켄스를 나타낸 것이다.
고객이 입금거래확인키를 눌려 입금거래가 성립된 경우, 먼저 파지수단(5)은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2)에 집적된 환류권을 파지하고(3605), 승강기(4)에 의해 금고(9)의 위치로 하강하여(3610), 이 지폐블록을 금고(9)의 제1의 수납부(91)에 수납한다(3615). 다음에, 파지수단(5)은 승강기(4)에 의해 지폐분리부(6)의 위치로 다시 상승하여(3620),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3)에 집적된 비환류권 또는 환류권의 손권(지폐로서 부적격)을 파지하고(3625), 승강기(4)에 의해 금고(9)의 위치로 하강하여(3630), 이 지폐블록을 금고(9)의 제3의 지폐수납부(93)에 수납한다(3635).
제52도는 거래중지반환동작(3700)의 상세 시켄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중 다른 동작과 동일한 시퀘ㄴ스는 동일 번호로 표시되어 있다.
고객이 입금거래취소키를 눌러 입금거래가 중지된 경우, 먼저 파지수단(5)은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3)에 집적된 비환류권 또는 환류권의 손권을 파지하고(3705), 승강기(4)에 의해 지폐분리부(6)의 위치로 하강하여(3710), 그 지폐블록을 지폐분리부(6)의 제2의 퇴적부(62)에 방출한다(3715). 지폐분리부(6)는 이 지폐를 1매씩 제2의 퇴적부(62)의 지폐가 없어질 때까지 분리하고, 분리된 지폐는 반송로(10), 게이트(87), 반송로(84)를 지나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1)에 집적된다(3720). 다음에, 파지수단(5)은 승강기(4)에 의해 제3의 퇴적부의 위치에 다시 상승하여(3725),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2)에 집적된 환류권을 파지하고(3730), 승강기(4)에 의해 금고(9)의 위치로 하강하여(3735), 그 지폐블록을 지폐분리부(6)의 제2의 퇴적부(62)에 방출한다(3740). 지폐분리부(6)는 마찬가지로 이 지폐를 1매씩 분리하여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1)에 집적한다(3745).
이와 같이 입금된 지폐가 모두 제3의 퇴적부(8)의 스톡부(81)에 집적되면, 파지수단(5)은 이 지폐블록을 파지하고(3570), 승강기(4)에 의해 입출금부(3)의 위치로 하강하여(3755), 파지수단(5)에 대향하여 위치결정되어 있는 제4의 퇴적부(33)에 그 지폐블록을 방출한다(3760). 이하, 상술한 출금동작(2400)과 같이 입출금구(34)를 통해서 고객에게 지폐를 반환한다.
제53도는 비환류권 복귀동작(3800)의 상세 시켄스를 나타낸 것이다.
비환류권 복귀동작(3800)은 비환류권 퇴피동작(3100)으로 퇴피시켜서 출금용 비환류권을 지폐분리부(6)의 제2퇴적부(62)에 복귀시키는 동작이다.
즉, 파지수단(5)은 금고(9)의 제2의 지폐수납부(92)에 퇴적된 비환류권의 지폐블록을 파지하고(3805), 승강기(4)에 의해 상승하여(3810), 이 지폐블록을 지폐 분리부(6)의 제2의 퇴적부(62)에 방출한다(3815).
제54도는 장치정지시의 수납동작(4000)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파지수단(5)은 지폐분리부(6)의 제1의 퇴적부(61)에 퇴적된 환류권의 지폐블록을 파지하고(4005), 승강기(4)에 의해 금고(9)의 위치로 하강하여(4010), 금고(9)의 제l의 지폐수납부(91)에 이 지폐블록을 수납한다(4015). 다음에, 파지수단(5)은 지폐분리부(6)의 제2의 퇴적부(62)에 퇴적된 비환류권의 지폐블록을 파지하고(4020), 승강기(4)에 의해 금고(9)의 위치로 하강하여(4025), 금고(9)의 제2의 지폐수납부(92)에 이 지폐블록을 수납한다(4030).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현금자동거래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시켄스에 의해 동작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폐퇴적부에 퇴적한 퇴적지폐중에서 소정 매수의 지폐를 분리하는 지폐분리부, 지폐퇴적부에 퇴적한 퇴적지폐중에 소정 매수의 지폐를 수납하는 지폐수납부 및 파지반송부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제55도 이하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55도는 본원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비한 현금자동거래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상술한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의 부분과 동일부분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지폐분리부(6)는 제1의 퇴적부(61)만을 가지고 있다. 또, 금고(9)는 제1의 지폐수납부(91)와 제4의 지폐수납부(94)를 가지고 있다. 이 제1의 지폐수납부(91)는 환류지폐를 수납하며, 제4의 지폐수납부(94)는 비환류 지폐 및 리젝트 지폐를 수납한다.
제56도는 제55도에 있어서의 금고(9)의 제1의 지폐수납부(91)의 상세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예에서는 압판(19)의 파지수단(5)에 대향하는 측에 절결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기타에 대해서는 제3도에 나타내는 구조와 동일하다.
제57도, 제58도 및 제59도는 제55도에 있어서의 파지수단(5)의 상세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 파지수단(5)은 파지반송부와 분리부로 대별되며, 제57도는 파지수단(5)의 외관을 사시도에 의해 나타낸 것, 제58도는 파지반송부와 분리부를 분해하여 사시도에 의해 나타낸 것, 제59도는 제57도의 요부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파지반송부의 파지기구를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각 도면에 있어서 제5도, 제6도와 동일부분 또는 상당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링크판(132)은 축(13)에 의해 제2의 축받이판(131)에 장착되고, 캠판(130)에 접하는 캠폴로어(134)를 구비하며, 파지상판(53)에 장착된 축(135)에 장공형상의 가이드(201)로 접속되어 있다. 슬릿판(136)은 제5의 모터(129)의 축(203)에 장착되어 있다. 제1의 센서(204)는 제2의 축받이판(131)에 장착되어 슬릿판(136)을 사이에 두도록 배설되어 있다.
제60도 및 제61도는 슬릿판(136)의 형성 및 동작과, 제1의 센서의 동작, 캠판(130)의 동작 및 파지하판(54)과 파지상판(53)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제60도는 원점위치를 나타낸 것이며, 파지하지(52) 및 파지상지(51)는 열린상태이고, 제1의 센서(204)의 2개의 광축은 제5의 모터(129)의 축(203)에 장착된 제1의 슬릿판(202)의 장공(長孔)(205)에 의해 양쪽 모두 온되어서 제5의 모터(129)는 정지하고 있다. 이때, 제5의 모터(129)의 축(203)에 장착된 캠판(130)은 캠폴로어(134)를 밀어올림으로써, 링크판(132)은 장공형상의 가이드(201)을 통해서 파지상판(53)에 장착된 축(135)를 밀어올려 파지하지(52) 및 파지상지(51)는 열린다. 제61도는 파지하지(52) 및 파지상지(51)는 닫힌상태이고, 원점위치에 대해 제5의 모터(129)는 180°회전하고, 제1의 센서(204)의 2개의 광축중 제5의모터(129)의 축(203)에 장착된 제1의 슬릿판(202)의 단공(短孔)(206)에 의해 한쪽만이 온되어서 제5의 모터(129)는 정지하고 있다. 이때, 제5의 모터(129)의 축(203)에 장착된 캠판(130)은 캠폴로어(34)를 밀어올릴 힘이 없어져 토션스프링(128)에 의해 파지하지(52) 및 파지상지(51)는 닫힌다.
따라서, 파지하지(52)와 파지상지(51) 사이에 지폐블록등이 있는 경우에는 적당한 파지력으로 파지할 수 있으므로, 제5의 모터(129)나 링크판(132)에 무리한 힘이 걸리는 일이 없다.
다음에, 분리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여기서도 제5도, 제6도와 동일부분 또는 상당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분리부재(57)은 돌입부재(171)와, 이 돌입부재(171)를 재치하고, 파지하판(54) 및 그것에 접속된 파지하지(52)에 안내슬라이드하는 선별부재(211)를 가지고 있다. 제7의 모터(212)는 파지하판(54)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제7의 모터(212)의 축(213)에 제1의 마찰륜(214)이 돌입부재(171)에 접촉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안내륜(215)은 제3의 축받이판(131)에 접속되어 있으며, 제8의 모터(216)는 파지하판(54)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8의 모터(216)는 파지하판(54)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2의 마찰륜(218)은 제8의 모터(216)의 축(217)에 접속되고, 선별부재(211)에 접촉하도록 배설되어 있다.
분리부재(57)는 선단중앙에 돌입부재(171), 선단 좌우에 에지부(221), 후단 하부에 스토퍼(222) 및 제2의 슬릿판(223)을 구비하고 있다. 선별부재(211)는 가이드부(224),(225), 가이드부(224)와 (225)를 연결하는 연결부(226)로 구성되며, 가이드부(224) 및 (225)는 선단에 밀어헤침 에지부(227),(228), 전방 하부에 스토퍼(229),(230), 좌우단에 슬라이드가이드(231),(232)를 구비하며, 연결부(226)의 하부에는 제3의 슬릿판(233) 및 제4의 슬릿판(234)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파지하판(54)은 선별부재(211)의 위치하는 하부에 있어서 연결부재(235)에 의해 오목한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235)에는 스테이터(236)를 통해서 돌입부재(171)에 구비된 제2의 슬릿판(223)의 운동궤적상의 이것을 사이에 둔 위치에 제2의 센서(237), 선별부재(211)에 구비된 제3의 슬릿판(233)및 제4의 슬릿판(234)의 운동궤적상의 이것을 사이에 둔 위치에 제3의 센서(238) 및 제4의 센서(239)가 구비되어 있다. 또, 돌입부재(171)위에는 제3의 축받이판(240)이 설치되어 있다. 협지지(狹持指)(241)는 제3의 축받이판(240)에 대해 제2의 병행링크판(242),(243),(244),(245)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이 병행링크판(243)과 제3의 축받이판(240)은 제2의 토션스프링(246)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제9의 모터(247)은 제3의 축받이판(240)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 제9의 모터(247)의 축(248)에는 제2의 캠판(249)가 장착되어 있다. 또, 제9의 모터(247)의 축(248)에는 제5의 슬릿판(250)이 장착되어 있으며, 제5의 센서(251)와 제6의 센서(252)가 제5의 슬릿판(250)을 사이에 두고 제9의 모터(247)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분리부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62도 내지 65도는 돌입부재(171) 및 선별부재(211)의 동작과, 제1의 마찰륜(214) 및 제2의 마찰륜(218)의 동작 및 돌입부재(171)에 구비된 제2의 슬릿판(223), 선별부재(211)에 구비된 제3의 슬릿판(233) 및 제4의 슬릿판(234)과 연결부재(235)에 장착된 제2의 센서(237), 제3의 센서(238) 및 제4의 센서(239)와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는 알기 쉽도록 각 센서의 높이방향의 위치를 엇갈리게 하여 도시되어 있다.
제62도는 돌입부재(171) 및 선별부재(211)가 파지수단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즉 원점위치에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돌입부재(171)의 스토퍼(222)와 선별부재(211)의 연결부(226)가 접하고, 제3의 슬릿판(233)이 제3의 센서(238)를 온으로 하고 있다.
제63도는 돌입부재(171) 및 선별부재(211)가 파지수단으로부터 가장 돌출하여 위치하고 있는 경우, 즉 돌출위치에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제62도의 원점위치로부터 제1의 마찰륜(214)이 제7의 모터(212)에 의해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것에 접하고 있는 돌입부재(171)가 전진하여 돌입부재(171)의 스토퍼(222)가 선별부재(211)의 연결부(226)를 밀어 선별부재(211)도 전진한다. 제7의 모터(212)는 선별부재(211)에 장착된 제4의 슬릿판(234)이 제4의 센서(239)를 온으로 하면 정지한다. 제64도는 돌입부재(171)가 후퇴하고, 선별부재(211)만이 가장 파지수단으로부터 돌출하여 위치하고 있는 경우, 즉 인입위치에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제63도의 돌출위치로부터 제1의 마찰륜(214)이 제7의 모터(212)에 의해 도면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것에 접하고 있는 돌입부재(171)만이 후퇴하고, 선별부재(211)는 돌입위치에 남게 된다. 제7의 모터(212)는 돌입부재(171)에 장착된 제2의 슬릿판(223)이 제2의 센서(237)를 온으로 하면 정지한다.
제64도는 선별부재(211)도 후퇴한 경우, 즉 파지위치에서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제63도의 인입위치로부더 제3의 마찰륜(218)이 제8의 모터(216)에 의해 도면에 있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이것에 접하고 있는 선별부재(211)가 후퇴한다. 제8의 모터(216)는 선별부재(211)의 연결부(226)가 돌입부재(171)의 스토퍼(222)를 밀고 돌입부재(171)에 장착된 제2의 슬릿판(223)이 제2의 센서(237)를 오프하면 정지한다. 또한, 제3의 마찰륜(218)이 제8의 모터(216)에 의해 도면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것에 접하고 있는 선별부재(211)가 선별부재(211)의 연결부(226)에 의해 돌입부재(171)의 스토퍼(222)를 밀고, 선별부재(211)에 장착된 제3의 슬릿판(223)이 제3의 센서(237)가 온으로 할때까지 회전함으로써 제62도의 원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다음에, 협지동작을 설명한다. 제66도 및 제67도는 제9의 모터(247)의 축(248)에 장착된 제5의 슬릿판(250), 제9의 모터(247)에 장착되어 제5의 슬릿판(25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5의 센서(251) 및 제6의 센서(252)의 상대위치관계와 제9의 모터(247)의 축(248)에 장착된 제2의 캠판(249) 및 협지지(241)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제66도는 원점위치를 나타낸 것이며, 협지지(241)는 열린 상태로 제9의 모터(247)의 축(248)에 장착된 제5의 슬릿판(250)의 구멍에 의해 제5의 센서(251)는 은, 제6의 센서(252)는 오프로 되어서 제9의 모터(247)는 정지되어 있다. 이때, 제9의 모터(247)의 축(248)에 장착된 제2의 캠판(249)은 협지지(241)를 밀어 연다. 제67도는 협지지(241)가 닫힌 상태이고, 원점위치에 대해 제9의 모터(247)는 180°회전하고, 제9도의 모터(247)의 축(248)에 장착된 제5의 슬릿판(250)의 구멍에 의해 제5의 센서(251)는 오프, 제6의 센서(252)는 온으로 되어서 제9의 모터(247)는 정지되어 있다. 이때, 제9의 모터(247)의 축(248)에 장착된 제2의 캠판(249)은 협지지(241)를 밀어올리는 힘이 없어져 제2의 토션스프링(246)에 의해 닫힌다. 따라서, 협지지(241)과 돌입부재(171) 사이에 지폐블록 등이 있는 경우에는 적당한 파지력으로 파지할 수 있고, 제9의 모터(247)에 무리한 힘이 걸리지는 않는다.
다음에, 파지수단(5)의 일련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68도 내지 제73도는 파지상지(51), 돌입부재(171), 선별부재(211) 및 협지지(241)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제68도는 원점의 상태, 즉 파지상지(51)가 개방, 협지지(241)가 개방, 돌입부재(171) 및 선별부재(211)가 파지수단의 가장 안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낸것이다. 이것은 상술한 제60도, 제62도, 제66도에 대응한다.
다음에, 제69도는 돌입상태이며, 파지상지(51)가 열려있고, 협지지(241)가 열린 채 돌입부재(171) 및 선별부재(211)가 파지수단으로부터 가장 돌출하여, 돌입부재(171) 및 선별부재(211)가 퇴적지폐(11)에 진입하고, 협지지(241)가 압판(19)의 절결(110)에 진입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퇴적지폐(11)는 일정한 압축력과 일정한 콤플라이언스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퇴적지폐(11)는 돌입부재(171) 및 선별부재(211)의 진입과 동시에 무리없이 상하로 나뉘인다. 이어서, 협지지(241)가 닫히고 제70도의 협지상태로 이행한다. 이것은 제67도에 대응한다. 제71도는 인출상태이며, 협지지(241)가 닫힌 채 돌입부재(171)가 후퇴하고, 소정 매수의 지폐가 파지수단내에 인입된다. 이것은 제64도에 대응한다. 이때, 선별부재(211)는 정지한 채이고, 선별부재(211)의 전방 하부에 있는 스토퍼(229),(230)이 선별부재의 아래에 있는 잔류퇴적지폐(11)가 들떠 오르거나 금고에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제72도 및 제73도는 파지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제72도에서 파지상지(51)가 닫히고, 분리지폐(13)를 파지하는 동시에, 압판(19) 이 하강하여 잔류퇴적지폐(11)에 가중시킨다. 이어서, 제73도에서 선별부재(211)가 후퇴하고, 협지지(241)가 열린다. 이들은 제61도, 제65도 및 제66도에 대응한다.
제74도는 반송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파지상지(51)가 폐쇄, 협지지(241)가 개방, 돌입부재(171) 및 선별부재(211)가 파지수단의 가장 안쪽의 원점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분리지폐(13)는 파지하판(54)에 장착된 4개의 병행파지하지(52)와 파지하판(54)에 구비된 4개의 병행파지상지(51)로 파지되어 반송된다.
제55도에 나타낸 현금자동거래장치의 전체의 동작은 상술한 제2도에 나타낸 현금자동거래장치의 경우와 환류지폐로서 취급하는 돈의 종류가 다르기 때문에, 그 관계의 지폐분리부(6)나 금고(9) 등의 지폐의 수납분리 등이 다를 뿐이고, 기타에 대해서는 거의 동일하다.
또한, 제2도에 나타낸 장치에 있어서의 파지수단의 구조 및 제55도에 나타낸 장치에 있어서의 파지수단의 구조는 각각 각 장치의 조치에 고유의 구조는 아니며,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의하면, 퇴적된 지폐군으로부터 소정 매수의 지폐를 분리하는 분리부와, 지폐를 파지하는 파지수단이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지 전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 지엽류를 일괄해서 이송하는 기구를 소형화함으로써 현금취급장치 전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75도 이하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파지수단(5)의 프레임부(50) 및 상대구성요소(310)에 지폐의 이상상태를 검지하기위한 지폐검지수단으로서의 지폐검지센서(300)(이하 단지 센서라 함)를 배설한 것이다.
제75도는 이 지폐검지수단을 구비한 현금자동거래장치의 전체도를 나타내며, 제76도는 파지수단(5)의 부분을 나타내며, 또 제77도와 제78도는 센서(300)의 배치를 나타낸 것이다. 센서(300)는 프레임(50)과 상대구성요소(310)의 복수개소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예에서는 프레임부(50)에 센서(300-a)-(300-k)의 11개, 상대구성요소(310)에 센서(300-1)의 1개가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 센서(300-a)-(300-k)중, 센서(300-a)-(300-h)는 지폐의 치수 a,b에 대해, 지폐를 파지수단(5)이 협지했을 때 지폐의 정상적인 수수가 가능한 엇갈림영역의 한계치수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센서(300-i)-(300-k)는 비정상적인 수수를 야기시킬 원인이 되는 지폐를 협지했을 때의 늘어짐, 부품음을 검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를 센서(300)는 지폐를 협지한 파지수단(5)이 프레임(50)내를 전후 이동시킴으로써 또는 정지상태에서 지폐의 비정상을 검지한다.
다음에, 각 센서(300)의 기능에 대하여 제79도-제88도에 의해 설명한다. 센서(300-a),(300-b)는 파지수단(5)과 상대구성요소(310)와의 지폐의 수수상태를 파지수단(5) 이동중의 센서(300)의 변화 즉 수광소자의 수광상태의 변화에 의해 검지한다.
즉, 지폐(12)를 상대구성요소(310)로부터 파지수단(5)이 인출하는 경우, 센서(300-a),(300-b)는 지폐없음(라이트)에서 지폐있음(지폐가 수광을 저지하여 다크)으로, 다시 지폐없음(라이트)으로 변화하게 되어있다. 그러나, 지폐의 수수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센서(300-a),(300-b)가 올바르게 변화하여도 상대구성요소(310)의 센서(300-1)이 다크인 채로 되어 있을때는 지폐(12)가 파지수단(5)과 상대구성요소(310)로 분리될 염려가 있다(제81도).
또, 상대구성요소(310)의 센서(300-l)이 라이트로 되어도 센서(300-a),(300-b)가 다크일 때는 인출 불완전이라고 간주한다(제82도). 또, 파지수단(5)의 지폐(12)를 상대구성요소(310)에 수수할 때 센서(300-l)은 다크로 되었으나, 파지수단(5)이 후퇴중에 센서(300-a),(300-b)가 다크를 검지했을때는 삽입불완전이라고 간주한다(제83도).
또한, 상대구성요소(310)에서 지폐(12)를 인출하는 경우에 센서(300-a),(300-b)가 라이트인 채로이고, 센서(300-l)이 다크일 때는 지폐(12)가 파지수단(5)에 전혀 이동하지 않았다는 것이 된다(제84도).
또, 파지수단(5)의 지폐(12)를 상대구성요소(310)에 수수할 때, 파지수단(5) 전진중에 센서(300-a),(300-b)가 라이트인 채로이고, 센서(300-l)도 라이트일 때는 삽입이동 없음으로 간주한다(제85도).
또한, 센서(300-c),(300-d) 및 (300-e),(300-f)는 파지수단(5)이 지폐(12)를 협지한 상태에서 다크일때는 지폐 엇갈림으로 간주한다(제79도, 제80도). 여기서, 센서(300-c),(300-d)는 지폐(12)의 엇갈림이 약간 밖에 허용되지 않는 상대구성요소(310)일때에 사용하며, 센서(300-e),(300-f)는 비교적 엇갈림이 커도 되는 경우에 사용한다. 또, 센서(300-i),(300-j),(300-k)는 지폐(12)의 늘어짐, 부풀음을 검지한다(제86도, 제87도) .
여기서, 센서(300-i)는 지폐량이 많을 때, 센서(300-j)는 지폐량이 적을때의 부풀음 검지에 사용한다. 또, 파지수단이 수직으로 이동중일 때에, 지폐(12)가 낙하했는지 여부를 검지하기 위해 센서(300-a),(300-b)를 사용한다. 즉, 센서(300-a),(300-b)가 일정시간 다크로 되고 나서 라이트로 변화했을 때에 낙하라고 간주한다(제88도). 그리고, 제79도는 횡엇갈림, 제80도는 후부엇갈림의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에, 이상을 검지한 경우의 이상회복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제89도는 출금동작의 플로차트이다. 즉, 계수된 스태커에 반송된 지폐를 파지수단(5)이 인출할 때, 지폐의 이동없음, 불완전, 분리를 체크하고, 이동없음인 때는 재인출을 행하지 않는다. 그래도 이상이면 정지, 정상이면 다음 동작으로 이행한다(제89도 스텝 102, 103). 또, 인출불완전, 인출분리시에는 정지한다(스텝 103, 104).
다음에, 파지수단(5)은 지폐를 협지하여, 입출금구로 이동하는데, 그 전에 지폐의 엇갈림, 늘어짐, 부풀음을 검지하고, 그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파지수단(5)이 탑재하고 있는 지폐정렬기구(후술)에 의해 지폐를 가지런히 하여, 파지수단(5)를 입출금구에 이동시킨다(스텝 106,107,108,130,109). 그리고, 지폐정렬 후에는 재차 센서에 의해서 정렬이 가능했는지 여부가 판정되고, 정렬되어 있으면 스텝(109)로 이동하고, 정렬되어 있지 않으면 스텝(132)에서 카세트에 회수된다. 여기서, 지폐정렬은 이상회복의 1차 대응 동작이며, 카세트회수는 2차 대응 동작이다. 다음에, 파지수단이 이동중에 지폐의 낙하가 있었는지를 체크하고, 낙하일 때는 정지한다(스텝 110). 마지막으로, 지폐를 입출금부로 보내줄 때 지폐의 엇갈림을 체크하고, 엇갈렸을 때는 지폐정렬을 행하며 지폐를 입출금부에 보내준다. 그때, 지폐가 이동없음일 때는 정지(스텝 113), 삽입 불완전일때는 재삽입을 행한다(스텝 114,150). 이때의 지폐정렬 후에도 상기 스텝(130)-(131)-(132)와 같이 이상회복을 위한 1차와 2차의 대응 동작을 행한다.
다음에, 입금시의 이상회복처리에 대하여 제90도 및 제91도에 의해 설명한다. 입금시에는 지폐분리부(6)에 있는 출금용 천원을 인출함으로써 고객의 입금지폐를 받아들여 계수할 수 있다. 이때, 인출이동없음일때는 재인출을 행하고, 그래도 이상일 때는 정지한다(제90도 스텝 202,300). 또, 인출불완전, 인출분리일때는 정지한다(스텝 203,204). 다음에, 파지수단이 금고(9)로 이동하기 전에 지폐엇갈림, 늘어짐, 부풀음을 검지했을 때는 지폐정렬을 행한다(스텝 206,310).
다음에, 파지수단(5)이 금고(9)로 이동한 후에 지폐의 낙하체크를 행하여 낙하일 때는 정지한다(스텝 208). 금고(9)에 천원권 지폐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삽입전의 엇갈림을 검지했을 때는 지폐정렬을 행하고(스텝 209,320), 삽입시는 이동없음과 불완전을 검지하여 어느 한쪽인 경우는 정지한다(스텝 211,212). 상기스텝 310,320 후에도 상기 스텝 130-132와 마찬가지로 대응동작을 행한다.
다음에, 파지수단(5)은 입출금구로 이동하여 고객의 임금지폐를 인출하며, 인출중에 엇갈림을 검지한 경우에는 파지수단(5)의 후퇴를 도중에 정지하고, 입출금구로 복귀시킨다(스텝 215,330). 또 파지수단 후퇴후의 이동없음, 분리, 불완전을 검지했을때도 입출금구로 복귀시킨다(스텝 216,240). 고객이 넣은 지폐는 접힘자국이나 구김이 심한 것을 생각할 수 있으므로, 장치가 장해로 다운되지 않도록 고려되어 있다. 다음에, 고객의 지폐를 정상적으로 수취한 후에는 계수기에 보내주고, 계수기로 계수하여 퇴적부에 반송한다. 또, 계수 후 금고(9)에 퇴피해 있던 천원권 지폐를 인출하여 계수기의 지폐분리부(6)에 복귀시키거나, 이때 금고에서 인출이동없음일 때는 재인출을 행하고(스텝 225,370), 인출분리일 때는 정지(스텝 226), 불완전일때는 금고에 회수한다(스텝 227,380). 스텝 218,220에서 나누어서 행해지는 지폐정렬 후에는 이상처리를 위한 2차 대응동작으로서 지폐의 입출금구 반환이 행하여진다. 입금거래시에는 입출금구에서 얻어진 지폐는 계수기로 계수가 완료하기 전까지는 고객의 소유물로서 취급되기 때문에, 이상발생기의 최종 대응둥작으로서 입출금구 반환이 이루어진다. 다음에, 고객의 지폐는 계수되어 환류권과 비환류권으로 나누어 퇴적부에 퇴적되어 있다.
이들 2종류의 지폐는 파지수단(5)으로 인출되어 금고(9)에 수납된다. 이하, 인출시의 이상검지 및 이상회복처리는 제90도 및 제91도의 플로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행하여진다.
다음에, 지폐검지센서와 각 구성요소의 조합에 의한 이상검지의 관련을 제92도에 나타낸다. 도면중 O표가 붙어 있는 곳이 이상검지를 실시하는 개소이다.
또한, 제93도에 이상회복처리의 내용을 나타낸다. 즉, 파지 수단과 각 구성요소간의 지폐수수에 있어서의 이상검지와 그 회복처리의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과 같이, 각 구성요소와 파지수단(5)간의 지폐의 수수상태를 센서(300)에 의해 검지함으로써, 이상의 종류에 상응한 이상회복처리가 가능해지고, 장치 전체의 장해율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제94도, 제95도는 종향(縱向)상태의 지폐정렬기구를 나타낸다.
즉,(501)은 J방향으로 이동하여 지폐의 단부를 정돈하는 앞누르기, (502)는 지폐의 옆끝면을 화샅표 k방향으로 누르는 횡정렬판, (503)은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여 지폐의 상면을 누르는 위누르기, (504)는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하여 지폐의 하측단부를 누르는 뒤누르기, (505)는 횡향(橫向) 상태에서의 지폐의 늘어짐을 누르는 늘어짐방지이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의하면, 지엽취급장치의 각 구성요소와 파지수단 사이의 지엽수수의 이상상태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그것들에 대응한 회복처리가 가능하게 되고, 장치 전체의 장해율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퇴적부에 퇴적한 지엽류의 지엽류 사이에 돌입하여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돌입부재를 가진 분리부와,이 분리부에 의해 형성된 퇴적지엽류의 간극에 진입되는 파지부재와 상기 퇴적부의 퇴적 지엽류의 최상위에 진입되는 파지부재에 의해 지엽류군을 파지하여 반송하는 파지반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분리부와 파지반송부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일체적 구조체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이송장치.
  3. 퇴적부에 퇴적한 지엽류의 지엽류 사이에 돌입하여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돌입부재를 가진 분리부와, 이 분리부에 의해 형성된 퇴적 지엽류의 간극에 진입되는 파지부재와 상기 퇴적부의 퇴적 지엽류의 최상위에 진입되는 파지부재에 의해 지엽류군을 파지하여 반송하는 파지반송부와, 상기 분리부에 의해 형성된 퇴적지엽류의 간극에 진입되어 퇴적 지엽류의 들떠오름을 방지하는 수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분리부와 파지반송부와 수납부는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일체적 구조체가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이송장치.
  5. 예입지폐를 지불에 환류이용하는 형식의 현금취급장치에 있어서, 지불지폐를 퇴적하는 제1의 퇴적부, 지불지폐 및 예입지폐를 퇴적하는 제2의 퇴적부, 이들 제1의 퇴적부와 제2의 퇴적부의 퇴적된 지폐를 선택적으로 분리이송하는 분리부, 이 분리부에 의해서 분리된 지폐를 감별하는 감별부, 이 감별부에 의해시 감별된 지폐를 각각 퇴적하는 제3의 퇴적부, 장치 외부에 대해 예입지폐를 받아들이고, 지불지폐를 방출하는 제4의 퇴적부를 가진 입출금구, 지불을 위한 지폐 및 예입된 지폐중 환류이용 가능한 지폐를 수납하는 제1의 수납부와 지불을 위한 지폐를 수납하는 제2의 수납부와 예입된 지폐중 환류이용하지 않는 지폐를 퇴적하는 제3의 수납부를 가진 금고, 상기 제1,제2,제3 및 제4의 퇴적부 및 제1,제2 및 제3의 수납부간에 있어서 복수매의 지폐를 일괄적으로 파지하여 이송하는 지폐이송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취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퇴적부에 퇴적된 지폐로부터 소정 매수의 지폐군을 분리하고, 이것을 파기하여 이송하는 지폐이송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취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지폐이송장치는 퇴적부에 퇴적된 지폐 사이에 돌입해서 지폐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소정 매수의 지폐를 구별하는 분리부와, 상기 구별한 지폐를 파지하여 반송하는 파지반송부를 구비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취급장치.
  8. 최소한 지불지폐를 퇴적하는 퇴적부와, 이 퇴적부에 퇴적된 지폐를 분리이송하는 분리부와, 이 분리부에 의해서 분리된 지폐를 감별하는 감별부와, 감별부에 의해서 감별된 지폐를 감별결과에 따라 퇴적하는 퇴적부와, 최소한 장치 외부에 대해 방출하는 지불지폐의 퇴적부를 가진 입출금구와, 최소한 지불되기 위한 지폐를 소정 구분마다 수납하는 수납부를 가진 금고와, 상기 퇴적부와 금고사이에 있어서 복수매의 지폐를 일괄적으로 파지하여 이송하는 지폐이송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취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퇴적부에 퇴적된 지폐로부터 소정 매수의 지폐군을 분리하고, 이것을 파지하여 이송하는 지폐이송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취급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지폐이송장치는 퇴적부에 퇴적된 지폐 사이에 돌입해서 지폐 사이에 간극을 형성하여 소정 매수의 지폐를 구별하는 분리부와, 상기 구별한 지폐를 파지하여 반송하는 파지반송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취급장치.
  11. 지엽의 수입(受入) 또는 불출(拂出)을 행하는 입출금구부와, 지엽을 계수하는 계수부와, 지엽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각 부의 사이에서 소정의 순서로 이동하여 복수매의 지엽을 일괄적으로 수수하는 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수단은 상기 지엽의 수수에 있어서 수수되는 지엽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를 가지며, 상기 센서에서 검출된 이상(異常)의 종류에 의거한 회복동작과, 이 회복동작의 결과에 의거한 다음의 처리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은 상기 센서에서 검출된 이상의 종류에 의거한 회복동작과, 이 회복동작 후의 상기 센서에서의 재체크결과에 의거한 다음의 처리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은 상기 센서에서 검출된 이상의 종류에 의거한 회복동작과, 이 회복동작 후의 상기 센서에서의 이상검출에 의거한 이상처리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은 상기 센서에서 검출된 이상에 의거하여 회복을 위한 지엽의 정렬동작과, 이 정렬동작 후의 상기 센서에서의 이상검출에 의거하여 이상처리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은 상기 센서에서 검출된 이상에 의거하여 회복을 위한 지엽의 수수 재시도동작과, 이 수수재시도동작 후의 상기 센서에서의 이상검출에 의거하여 이상처리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16. 지엽의 수입 또는 불출을 행하는 입출금구부와, 지엽을 계수하는 계수부와, 지엽을 수납하는 수납부와, 상기 각 구성요소부의 사이에서 소정의 순서로 이동하여 복수매의 지엽을 일괄적으로 수수하는 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반송수단은 상기 지엽의 수수에 있어서 수수되는 지엽이 수수허용범위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센서를 가지며, 상기 센서에서 검출된 이상의 종류에 의거한 회복동작과, 이 회복동작의 결과에 의거한 다음의 처리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반송수단과 지엽의 수수를 행하는 상기 구성요소부의 수수간구(間口)의 치수에 따른 수수허용범위를 설정하도록 상기 반송수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반송수단과 지엽의 수수를 행하는 상기 구성요소부의 수수간구의 치수에 따른 복수의 수수허용범위를 설정하도록 상기 반송수단에 복수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수수되는 지엽의 적후(積厚)방향의 수수허용범위를 설정하도록 상기반송수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수수되는 지엽의 적후방향의 수수허용범위를 복수조 설정하도록 상기반송수단에 복수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은 상기 센서에서 검출된 이상에 의거하여 회복을 위한 지엽의 정렬동작과, 이 정렬동작 후의 상기 센서에서의 이상검출에 의거하여 이상처리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수단은 상기 센서에서 검출된 이상에 의거하여 회복을 위한 지엽의 수수재시도동작과, 이 수수재시도동작 후의 상기 센서에서의 이상검출에 의거하여 이상처리동작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KR1019890009652A 1988-07-08 1989-07-07 지엽류 취급장치, 지엽류 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및 현금자동취급장치 KR9200056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68736 1988-07-08
JP63168736A JP2675083B2 (ja) 1988-07-08 1988-07-08 紙葉類移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現金取扱装置
JP63220353A JPH0270638A (ja) 1988-09-05 1988-09-05 紙葉取扱い装置の異常処理方式
JP63-220355 1988-09-05
JP63-220353 1988-09-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218A KR900002218A (ko) 1990-02-28
KR920005627B1 true KR920005627B1 (ko) 1992-07-10

Family

ID=2649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9652A KR920005627B1 (ko) 1988-07-08 1989-07-07 지엽류 취급장치, 지엽류 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및 현금자동취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101979A (ko)
KR (1) KR9200056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5457A (en) * 1992-10-08 1995-06-20 Williams; Scott V. Document mailbox device
US6293469B1 (en) 1994-12-20 2001-09-25 Dh Technology Inc. Transaction printer
IT1285719B1 (it) * 1996-05-24 1998-06-18 Gd Spa Dispositivo per la formazione ed il trasferimento di pile ordinate di foglietti, in particolare banconote
US5850075A (en) * 1996-11-27 1998-12-15 Interbold Receipt transport and retrieval system for automated banking machine
KR20020046402A (ko) * 2000-12-14 2002-06-21 박동휘 입체형 합성수지 로고라벨의 부착방법
AU2002357186A1 (en) * 2001-12-13 2003-06-30 General Binding Corporation Transportation system for sheet delivery between sheet or sheet stack processing equipment
US20050042072A1 (en) * 2002-12-13 2005-02-24 Samuel Amdahl Transportation system for sheet delivery between sheet or sheet stack processing equipment
JP4247406B2 (ja) * 2003-03-11 2009-04-02 旭精工株式会社 紙幣収納装置における状態検知装置
ATE399653T1 (de) 2003-05-12 2008-07-15 Kern Invest Consulting Man Ltd Vorrichtung zum einfüllen von blättern in ein kuvert
US7628279B2 (en) * 2004-10-04 2009-12-08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Currency sorter
KR100721652B1 (ko) * 2006-06-14 2007-05-2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몰드물 고정구조
GB0723795D0 (en) * 2007-12-05 2008-01-16 Air Tube Conveyors Ltd Cash handling system
US9033214B2 (en) 2007-12-05 2015-05-19 Airtube Technologies Limited Cash handling system
US8146804B2 (en) * 2007-12-21 2012-04-03 Nautilus Hyosung Inc. Cash transaction machine
JP5452349B2 (ja) * 2010-05-11 2014-03-2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被処理体の搬送方法、被処理体の搬送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159180B2 (en) * 2011-12-20 2015-10-13 Ncr Corporation Media conveying
DE102012008242A1 (de) * 2012-04-25 2013-10-31 Giesecke & Devrient Gmbh Greifeinrichtung zum Greifen von Blattgut
JP6178215B2 (ja) * 2013-11-11 2017-08-09 株式会社東芝 紙葉類投入装置及び紙葉類処理装置
DE102017004641A1 (de) * 2017-05-15 2018-11-29 Giesecke+Devrient Currency Technology Gmbh Befüllen von Wertdokumentkassetten
JP6587326B1 (ja) * 2018-05-22 2019-10-09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ロボットハンド
US10890025B2 (en) * 2018-05-22 2021-01-12 Japan Cash Machine Co., Ltd. Banknote handling system for automated casino accounting
JP6870040B2 (ja) * 2019-07-23 2021-05-12 日本金銭機械株式会社 ロボットハンド
US11279571B1 (en) * 2021-02-09 2022-03-22 Capital One Services, Llc Instrument conveyance using a shutt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1806A (en) * 1966-12-19 1968-07-09 Xerox Corp Separator-transfer apparatus
US3966059A (en) * 1974-10-03 1976-06-29 Eizo Sase Paper feeding apparatus for an automatic plane type paper punching machine
CH582104A5 (ko) * 1975-05-09 1976-11-30 Schneider Willi
JPS60137738A (ja) * 1983-12-26 1985-07-22 Honshu Paper Co Ltd パルプシ−ト等の平板の供給装置
US4551053A (en) * 1984-05-29 1985-11-05 Fuji Photo Film Co. Ltd. Sheet sub-stack separating and feeding apparatus
JPS61188342A (ja) * 1985-02-14 1986-08-22 Yoda Kikai Kogyo Kk 自動給紙装置
JPH08640B2 (ja) * 1985-06-17 1996-01-1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取引装置
KR940011424B1 (ko) * 1985-06-17 1994-12-15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지폐류의 취급장치 및 그 취급방법
JPS62244832A (ja) * 1986-04-14 1987-10-26 Kanzaki Paper Mfg Co Ltd 紙束供給装置
US4820909A (en) * 1986-06-04 1989-04-11 Hitachi, Ltd. Transacting device
US5019249A (en) * 1987-09-18 1991-05-28 Hitachi, Ltd. Apparatus for handling sheets of pa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101979A (en) 1992-04-07
KR900002218A (ko) 199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627B1 (ko) 지엽류 취급장치, 지엽류 취급장치의 이상처리방식 및 현금자동취급장치
KR910008806B1 (ko) 거래처리장치
JP2728425B2 (ja) 紙幣取扱装置
US6516998B2 (en) Self-service terminal
JPS58221490A (ja) 入出金装置
KR101543468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JPH0479037B2 (ko)
JPH0351031B2 (ko)
JP4686940B2 (ja) 表裏反転機構
JP2512026B2 (ja) 自動取引装置
KR101917091B1 (ko) 지폐 번들용 입금기의 지폐 분리장치 및 지폐 분리방법
JPH04205088A (ja) 自動入出金取引装置
WO2023149190A1 (ja) 紙幣処理装置
JP2675083B2 (ja) 紙葉類移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現金取扱装置
KR102030518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JP2680336B2 (ja) 自動取引装置
JPH0250020B2 (ko)
JPS6351228A (ja) リジエクト紙幣処理方式
JP2022084246A (ja) 媒体集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2539510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H11272904A (ja) 紙幣一括払出装置のリジェクト装置
JPH0544718B2 (ko)
JPH0831149B2 (ja) 貨幣処理装置の取忘れ貨幣回収装置
JPS62186394A (ja) 紙幣自動入出金装置
JPS61296493A (ja) 紙幣取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