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721B1 - 투명비누바 - Google Patents

투명비누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721B1
KR920004721B1 KR1019890003991A KR890003991A KR920004721B1 KR 920004721 B1 KR920004721 B1 KR 920004721B1 KR 1019890003991 A KR1019890003991 A KR 1019890003991A KR 890003991 A KR890003991 A KR 890003991A KR 920004721 B1 KR920004721 B1 KR 920004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composition
mixture
trialkanolamine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724A (ko
Inventor
인스톤 테리
보타레리 마르코
Original Assignee
유니레버 엔브이
에이치. 반 발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레버 엔브이, 에이치. 반 발렌 filed Critical 유니레버 엔브이
Publication of KR890014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7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0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6Shaping in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47Detergents in the form of bars or tablets
    • C11D17/0052Cast detergent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95Solid transparent soaps or deter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11D9/265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glycero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투명비누바
본 발명은 투명비누바에 관한 것이다.
투명한 비누바는 소비자에게 심미적인 매력을 준다. 또한 소비자들은 종종 투명함에 소비자의 눈에 즐거움을 주는 "자연스러움"을 연상한다. 그러므로 투명비누바에 대한 수요가 있다.
투명비누바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과거부터 많은 제안이 있어왔다. 종래의 투명비누 제조방법은 휘발성용매(보통은 에탄올)중에서 비누 및 기타성분의 용액을 만든 다음, 이 용액을 몰드 또는 틀형에 주형한 후 휘발성 용매를 증발시켜 고형화된 바형태의 비누를 제조하는 것이다. 처음 주형할때의 고화된 비누용액은 반투명이므로 투명함을 얻기 위해서는 증발에 의한 용매의 제거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그 증발량이 보통 처음 용액의 15wt% 이상되므로 이에 걸리는 시간이 수개월 정도 된다. 이러한 소위 주형방법은 증발 고형화과정에서 몰드 양면으로 부터 분리되어 수축되는 현상으로 인해 잘못된 형태의 바가 제조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 수축은 포장후에도 계속 일어나며 또한 증발에 걸리는 시간으로 인해 제조에 드는 비용이 높다. 더군다나 이렇게 제조된 비누바는 투명하기는 하나 보통 불투명 비누바에 비해 값이 비싸고 사용특성이 좋지 못한 경향이 있다. 특히 이러한 비누바는 물과 접촉시켰을때 보기에도 좋지 않은 끈적한 불투명표면층이 생기게 되며 또한 사용시 피부건조를 유발시키는 비교적 고알칼리성 제품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부분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초기의 제안은 미국특허 제2820768호(Fromont)에 발표되었다. 1958년도 미국 제2820768호에는 투명한 알칼리금속 비누와, 유리지방산(C〉18)과 과량의 트리에탄올아민의 생성물(트리에탄올아민 대 유리지방산의 몰비는 2 : 1- 3 : 1임)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비알칼리성 투명비누에 대해 발표되어 있다. 이 비누바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즉 성분들을 함께 혼합한 다음, 냉각시에도 유지되는 균질의 투명함이 얻어질때까지 또한 10% 수용액에서의 pH 값이 약 7.5가 될때까지 이 혼합물을 100°-120℃로 가열한다. 이 가열된 혼합물을 틀형에 넣고 냉각, 절단, 압축하여 케이크 또는 바형태의 제품을 만든다. 미국특허 제2820768호는 종래방법에서 생기는 알칼리성 문제가 해결되고 또한 에탄올의 사용을 피함으로써 장기간을 요하는 증발 및 그로인한 문제점이 제거된 투명비누바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미국특허 제2820768호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비누바는 "Neutrogena"라는 이름으로 구입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비누바는 사용시 여러가지 시각적, 촉감적인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특히 물과 접촉하게 되면 비누바는 그 표면이 끈끈하게 되며 불투명한 표면층이 생긴다.
좀더 개선된 성형 투명비누바를 제공하기 위해 과량의 트리에탄올아민을 사용하는 다수의 후기의 제안은 예를들면 미국특허 제3739214호(Avon Products, Inc), 미국특허 제4206069호(Colgate-Palmolive), 미국특허 제4468338호(Purex Corporation) 및 유럽특허 제71987호(Armour Dial, Inc.)에 발표되어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제조된 비누바중 단 하나도 충분히 우수한 사용특성을 가지는 것이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사용특성을 가지는 투명비누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보통의 불투명비누바에 가까운 사용특성을 가지는 투명비누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개선된 사용특성을 가지는 투명비누바의 개선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은 비누 혼합물과 용매계를 함유하는 바형태의 투명비누 조성물로서, 총 조성물에 대해 40-65wt%의 비누 혼합물과 60-35wt%의 용매계를 함유하며 여기서 용매계는 총 조성물의 5-15wt%의 단쇄(C〈4) 1가 알콜 또는 그 혼합물, 5-20wt%의 물, 15-40wt%의 트리알칸올아민과 폴리올(또는 혼합폴리올)의 혼합물로 구성되며 상기 트리알칸올아민/폴리올 혼합물에 있어서 트리알칸올아민 대 폴리올(또는 혼합폴리올)의 중량비는 1 : 3-1 : 0.25 범위이며, 또한 트리알칸올아민의 양은 총 조성물의 20wt% 이하, 바람직하게는 16.9wt% 이하인 투명비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품질의 투명비누바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닳아지는 비율, 물러지는 정도, 거품의 양과 성질면에서 보통의 불투명비누바와 유사한 사용특성을 가지는 비누함량이 비교적 높은 투명비누바를 제공한다.
본 발명자는 단쇄 1가 알콜 또는 혼합알콜의 존재가 처음에 끈적한 표면을 가지지 않고 물과 접촉시킨 후에도 끈적한 표면을 가지지 않는 본 조성물의 비누바와 같은 사용특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측한다. 어떠한 이론에 의해서도 한정되기를 원하지 않으나 본 발명자는 본 조성으로 이루어진 비누바에 있어서 1가 알콜 또는 혼합알콜이 사용후 새로이 노출되는 비누바 표면에서 증발하므로 어느 정도 건조한 외부층이 형성되어 타방법에서는 존재하는 끈적하게되는 경향을 방지하게 되는 것으로 추측한다. 본 조성물에 알콜을 함유시키는 것은 알콜이 비누바 제조후에도 보유되는 종래의 성형방법에서 함유시키는 것과는 다르다. 종래의 조성물과 본 조성물사이의 차이점은 그 제조방법에서 직접 찾아볼 수 있는 것으로 종래의 알콜 함유 조성물의 바는 처음 성형시에 반투명이며 알콜이 증발되어야만 투명해지는 반면, 본 발명의 비누바는 조성물의 동방성 투명 맬트를 냉각하여 직접 투명 비누바로 고형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적합한 비누원으로는 통상적으로 비누제조에 사용되는 물질이면 가능하며 이예는 탤로우, 코코넛유, 피마자유, 로진 및 기타 식물성, 동물성 및 광물섬유와 정제된 지방산 혼합물등이 있다. 바람직한 최장의 사슬길이는 C22이며 바람직한 최단의 사슬길이는 Cυ이다. 피마자유 비누 및 로진은 매우 투명한 비누가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비누 혼합물은 총 비누함량에 대해 25wt% 이상의 포화지방산 비누(C14이상)를 함유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포화지방산 비누함량의 바람직한 상한선은 존재하는 기타 비누부분의 종류에 좌우되지만 총 비누함량에 대해 70wt% 정도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포화장쇄(C〉14) 지방산 비누의 양은 최종 비누바제품에 있어서 사용시 바람직한 단단함을 갖도록 고려하여 선택되어야 한다. 최종 비누바는 일반적으로 장쇄에 기인하는 단단함을 가진 장쇄 비누이다. 또한 비누 혼합물은 총 비누함량에 대해 30wt% 이상의 C14이하인 포화지방산 비누 또는 불포화지방산 비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도록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비누함량의 바람직한 상한선은 비누 혼합물중에 존재하는 기타 성분에 좌우되지만 총 비누함량에 대해 약 75wt% 정도이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후자 수용성 비누부분은 제조된 비누바를 사용할때 생기는 거품의 양과 질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므로 최종제품에 있어서 원하는 거품특성을 우선 고려하여 선택된다. 필요에 따라 본 조성물은 비누 혼합물 이외에도 및/또는 일부의 대체물로서 1종 이상의 비비누성 세제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비누 혼합물은 모두 나트륨 비누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비누 혼합물의 약 10-40wt%, 특히 약 20-30wt%는 나트륨이외의 비누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트륨이외의 칼륨 및 트리알칸올아민, 특히 트리에탄올아민이 적합하다. 비-나트륨 비누의 존재는 특히 본 발명의 고함량의 비누를 함유하는 최종 제품의 투명도를 증가시킨다. 고함량의 비누를 함유하는 바는 단단함이 증가되고 기타 사용특성이 개선된 것이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트리에탄올아민 비누를 함유하는 경우 화학양론적 양의 트리에탄올아민과 지방산(예를들면 팔미트산과 스테아르산의 50 : 50 혼합물)을 혼합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건에 적합한 비누 혼합물은 탤로우와 코코닛나트륨 비누(탤로우 대 코코닛의 중량비는 100 : 0-0 : 100, 바람직하게는 50 : 50-82 : 18)의 혼합물과,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50 : 50 팔미트산 : 스테아르산 혼합물로 부터 유도되는 칼륨 비누가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나트륨 비누 대 트리에탄올아민 또는 칼륨비누의 비는 90 : 10-60 : 40, 바람직하게는 75 : 25이다.
본 발명의 용매계는 끈적거리지 않고 사용시 투명한 표면외관을 가지는 투명조성물을 얻기 위해 용매에 대한 상술한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상술한 비누함량의 조성물이 투명하면서 우수한 사용특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상기 용매계가 상기 알콜, 트리알칸올아민 및 폴리올을 상술한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용매계에 있어서 상술한 특정 단쇄 1가 알콜을 함유시킴으로써 미국특허 제2820768호에 비해 트리알칸올아민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미국특허 제2820768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고함량의 유리 트리알칸올아민은 이 화합물이 알칼리성이므로 사용시 피부에 건조감을 느끼게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화장비누로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더군다나 매우 고함량의 트리알칸올아민이 사용시의 비누바의 끈적거림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단쇄(C〈4) 1가 알콜 또는 이 혼합물로는 에탄올 및 이소프로필 알콜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탄올은 휘발특성 및 원하는 경우 적합한 향료를 사용함으로써 쉽게 그 냄새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혼합물중의 유일한 알콜로서 또는 주성분으로서 바람직하다. 주성물중 알콜의 양은 조성물에 존재하는 기타성분에 의존하나 8-12wt%정도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트리알칸올아민은 트리에탄올아민이다. 이 물질은 쉽게 구입할 수 있으며 그 냄새는 향료에 의해 쉽게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및 트리프로판올아민과 같은 기타 트리알칸올아민을 사용할 수도 있다. 조성물에는 트리알칸올아민 시중 구입제품속에 존재하는 정도의 소량의 모노알칸올아민 및 디알칸올아민이 존재할 수도 있으며 조성물중 트리알칸올아민의 양은 존재하는 모노-또는 디알칸올아민을 트리알칸올아민으로서 간주한다는 가정하에 계산된 것이다. 비-나트륨 비누가 트리알칸올아민 비누인 비누 혼합물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용매계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트리알칸올아민인 것이 적합하다.
트리알칸올아민과 폴리올 또는 혼합폴리올의 함량은 용매계중에 존재하느 트리알칸올아민 대 폴리올 또는 혼합폴리올의 비가 1 : 2-1 :0.5, 바람직하게는 1 : 1.7-1 : 0.8 범위, 가장 적절하게는 약 1 : 1.2 정도 되는 것이 적당하다. 트리알칸올아민과 폴리올의 함량은 총 바조성물에 대해 22-35wt%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올을 함유시킴으로써 사용시 비누바의 수측됨을 방지할 수 있다고 추측된다.
"폴리올"이란 비휘발성 2가 알콜 또는 고급다가 알콜, 당,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을 의미한다. 특정 예를들면 프로판-1,2-디올, 글리세롤, 솔비톨, 자당 및 평균분자량 약 4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등이 있다. 이중 글리세롤이 바람직하다.
용매계중 물함량은 총 조성물에 대해 7-15wt%, 바람직하게는 약 12%인 것이 적당하다. 엄밀한 물함량은 실지 조성물에 따라 좌우된다.
비누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소량의 통상 첨가물, 예를들면 전해질, 향료, 보존료, 염료 및 퍼얼제등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특징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등방성 투명멜트를 형성시키고 이 멜트를 몰드에 성형한 다음 고형화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투명비누바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동방성균질 투명멜트를 얻기 위해서 본 조성물을 70°-90℃, 바람직하게는 80°-85℃의 온도로 가열하여, 존재하는 고체 모두가 용해될때까지 30-60분 동안 예를들면 45분 동안 이러한 고온에서, 용액의 비등점 이하의 온도로 유지시킨다. 냉각은 대기온도까지 일정속도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하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강제냉각 시킬 수도 있다.
성분들은 최종제품중에 존재하게될 형태로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특정 조성물이 트리알칸올아민 비누를 함유하는 경우 가해져야할 바람직한 출발물질은 지방산과 이와 화학양론적 동량의 트리알칸올아민이며, 이는 용매계를 고려할때 조성물에 요구되는 총 트리알칸올아민의 일부로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트륨 비누는 이미 만들어진 것을 가할 수도 있고 지방산과 수산화나트륨으로 부터 자체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열분해되기 쉬운 유리지방산 및 향료등은 가열단계 이후, 멜트를 몰드에 주입하기 바로 전에 가하는 것이 적합하다.
조성물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고형화되면 몰드로 부터 분리시켜 필요한 마무리공정을 수행한다. 필요에 따라서 목적하는 최종형태로 절단하고 압축하여 포장한다.
그러나 제조된 비누바를 포장하는 수단을 동시에 가지는 개별몰드에 멜트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이 경우는 소비자가 사용직전에 이 몰드로 부터 비누바를 분리하게 된다. 이러한 수단은 제조과정중 몰드제거단계 또는 개별적 포장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이 몰드는 멜트로 완전히 채워진 다음 기밀밀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된 비누바는 몰드의 모양 및 내표면에 의해 결정되는 보기 좋은 모양과 표면외관을 가진다. 또한 기밀밀봉에 의해 저장중 비누바의 휘발성 성분이 새어나가는 경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포장역할까지도 할 수 있게 의도된 적합한 몰드의 예를 미국특허 제3149188호 및 프랑스공화국특허 제910256호의 실시예에 기술되어 있는 것과 같은 강성 또는 반강성 플라스틱 박스이다. 이와 달리 바람직한 것은 우리의 동시 계류중인 특허출원시 EP 제88 311768.1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팩내에 멜트를 주입하여 성형하는 것이다. 이 출원서에는 팩을 만드는 재료로서 유연 필름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발표되어 있다. 용융비누 조성물을 팩내에 직접 주입하여 성형한 다음 기밀밀봉한다. 유연 필름은 멜트의 열로 인해 필름팩이 조성물 주위에 주름없이 밀착되도록 열가소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한 경우 조성물이 고형화되는 동안 약간 모양을 변형시킬 수 있다. 이 필름은 제조된 제품이 보기 좋은 투명한 비누바임을 알 수 있게 하기 위해 투명한 것이 좋다.
본 명세서에서 "투명" 비누바 또는 조성물이란 14포인트 크기의 고딕활자를 그 물질의 1/4인치 단면을 통해서 쉽게 읽을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이 실험에 대해 더 세부적인 내용은 미국특허 제3274119호를 참조한다.
이제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3]
본 발명에 따르는 세가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죄종조성물에 대한 wt%로서 나타낸 조성은 다음의 표 1과 같다. 이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2는 단지 트리에탄올아민과 글리세롤의 비가 다르며, 실시예 2와 3은 존재하는 나트륨 비누의 종류가 다르다. 각 경우에 있어서, 향료와 유리지방산을 제외한 일련의 성분들을 함께 교반시키면서 용융시킨 다음 85℃에서 45분간 가열하였다. 이 가열 종반에 향료와 유리지방산을 가하고 즉시 혼합한 다음 이 멜트를 개별몰드에 따라 붓고 냉각되도록 방치하였다. 각 경우에 멜트는 등방성 투명용액이었으며 투명고체로 응고되었다.
[표 1]
Figure kpo00001
*실시예 1 및 2의 나트륨 비누는 각각 탤로우 및 코코닛유로 부터 유도된 비누의 50 : 50 혼합물이고, 실시예 3의 나트륨 비누는 각각 탤로우 및 코코닛유로 부터 유도된 비누의 60 : 40 혼합물이다. 사용되는 나트륨 비누는 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지방산을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의해 비누화반응시킨 다음 연화나트륨 용액으로 세척하여 각 비누가 약 0.5wt% NaCl과 0.04% 유리 NaOH를 함유하도록 제조하였다.
제조된 비누바는 그 사용특성을 알아 보기 위한 일련의 시험이 행해졌다. 비누바의 거품시험으로서 주관적으로 기품성 및 거품량, 객관적으로 사용시의 표면의 거품량, 닳아지는 비율, 분해 및 물러짐에 대해 시험하였다. 주관적인 거품시험은 경험있는 평가진에 의해 비누바를 사용하여 자유롭게 손을 씻는 것으로서 수행되었다. 사용시의 닳아지는 비율, 분해 및 바표면의 물러짐은 1일 7회씩 4일간 일정치 않은 시간 간격으로 비누바를 물로 씻어내린 다음 그 바를 조사하고 무게를 달아봄으로써 평가하였다. 추가적으로 비누바의 물러지는 특성은 찬물에 2시간 동안 비누바를 담그어 놓은 후 그 결과 연해진 표면층을 객관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시험되었다. 각 실험에 있어서 비교용 비누바는 탤로우 비누 82wt%와 코코닛 비누 18wt%의 혼합물로 부터 유도되는 비누함량 86wt%의 종래의 불투명압출 비누바로 되어 있다. 각 비누바에 대해 평가하여 그 평가된 상대적 수치를 기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 표 2와 같다. 거품에 관계된 수치에서는 수치가 높을수록 거품특성이 우수하다. 닳아지는 비율 및 물러짐에 관계된 수치에서는 수치가 낮을수록 관찰된 특성이 우수하다.
[표 2]
Figure kpo00002
표 2의 결과로 부터 본 발명의 비누바는 비교용 비누바와 같은 우수한 사용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비누바 각각은 상기 투명성 실험에 만족할 만한 정도이며 사용시 일반적으로 끈적거리지 않는 표면을 가진다. 실시예 2는 트리에탄올아민 : 글리세롤 비가 높기 때문에 실시예 1보다 투명도가 높다.
[실시예 4]
투명비누바를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나 단 조성물은 비누혼합물 54wt%, 용매계 45wt%를 함유하였다. 조성물의 자세한 것을 다음과 같다.
나트륨 비누*37wt% 54wt%
트리에낱올아민 비누*17wt%
물 12wt%
글리세롤 12wt%
솔비톨 4wt% 45wt%
에탄올 10wt%
유리 트리에탄올아민 7wt%
향료 1wt%
*37wt%의 나트륨 비누는 피마자유로 부터 유도된 나트륨 비누 9wt%와, 탤로우 및 코코닛유로 부터 유도된 나트륨 비누 각각 82 : 18 혼합물 28wt%로 구성되어 있다. 17wt%의 트리에탄올아민 비누는 스테아르와 팔미트 유리 지방산의 50 : 50 혼합물로 부터 유도되는 트리에탄올아민 비누로 구성되어 있다.
제조된 투명 비누바에 대해 실시예 1-3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여 그 결과 실시예 1-3의 제품보다 약간 연해졌으나 투명도는 더 좋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피마자유 비누의 유무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비누바는 똑같이 물러짐 특성과 거품특서이 우수하며 물속에 담근후 끈적거리지 않는 표면을 가진다.
[실시예 5-10]
일련의 6가지 비누 조성물을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 각각은 단지 트리에탄올아민 : 글리세롤 함량비만이 다르다. 이 조성물들은 다음의 표 3과 같으며 wt%로 표시되었다.
[표 3]
Figure kpo00003
*나트륨 비누와 코코닛 비누의 82 : 18 혼합물이다.
제조된 비누바에 대해 투명도를 평가한 결과 비누바는 트리에탄올아민 : 글리세롤의 비가 감소됨에 따라 실시예 5에서 부터 실시예 10으로 갈수록 투명도가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5-7은 상기 투명도 기준을 만족시키나, 실시예 8-10 즉 트리에탄올아민 : 글리세롤의 비가 1 : 2 이하인 비누바는 만족시키지 못한다.
[실시예 11-16]
일련의 6가지 조성물을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각 조성물은 실시예 5-10에 대한 표 3에 각각 나타나 있는 조성과 같으나 단 각 경우에 있어서 글리세롤 대신 자당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5-10의 결과에서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11로 부터 16으로 갈수록 비누바의 투명도가 감소하였다. 실시예 11-13의 비누바는 상기 시험에서 허용할만한 투명도를 가지나, 실시예 14-16의 비누바 즉 트리에탄올아민 대 자당의 비가 1 : 2 이하인 비누바는 허용할만한 투명도를 가지지 못한다.
[실시예 17-22]
일련의 비누바를 실시예 1-3의 방법에 따라 실시예 2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단 나트륨 비누 함량에 있어서 다음 표 4와 같이 탤로우 : 코코닛 비누 50 : 50에서 부터 점차적으로 스테아르산 : 팔미트산 : 코코닛 비누 25 : 25으로 변화시켰다.
[표 4]
Figure kpo00004
각 비누바에 대해 실시예 1-3과 같은 방법에 의한 객관적인 거품량 및 닳아지는 비율과 추가로 경도계를 사용한 연화도를 시험하였다. 각 시험에서 상대수치를 기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5와 같다. 거품에 관계된 수치에서는 수치가 높을수록 관찰된 거품특성이 우수하다. 닳아지는 비율 및 연화도에 관계된 수치에서는 수치가 낮을수록 보다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는 것이다.
[표 5]
Figure kpo00005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7에서 22로 갈수록, 즉 탤로우나트륨 비누함량이 감소될 수록 비누바의 거품량은 감소하고 연화도는 증가한다. 탤로우나트륨 비누는 근본적으로 45wt%의 장쇄 불포화비누(주로 올레산염)과 55wt%의 장쇄 포화 비누(주로 스테아르산염, 팔미트산염, 미리스트산염)로 구성되므로, 실시예 17-22는 장쇄 포화 비누의 역할이 비누바에 단단함을 제공하는 것이고 코코닛나트륨 비누에의해 제공되는 단쇄 포화 비누와 병용시킨 장쇄불포화 비누의 역할이 비누바의 거품량을 촉진시키는 것이라는 점을 설명해 준다.
[실시예 23-26]
일련의 샘플은 실시예 1-3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으며 그 조성은 wt%로서 표 6와 같다.
[표 6]
Figure kpo00006
*나트륨 비누는 탤로우나트륨 비누와 코코닛나트륨 비누의 82 : 18 혼합물이다.
실시예 23-26의 비누바는 조성에 있어서 단지 에탄올 대 물의 비만이 다르다. 투명도에 있어서, 실시예 23-25의 비누바 각각은 상기 투명도 시험의 판정기준을 만족시키거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 샘플의 투명도는 실시예 23에서 부터 25로 갈수록, 즉 에탄올함량이 감소됨에 따라 인지가능한 정도로 감소되며 실시예 26의 비누바는 상기 투명도 실험의 판정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Claims (13)

  1. 총 조성물에 대해 40-65wt%의 비누 혼합물과 60-35wt%의 용매계를 함유하는 바형태의 투명비누 조성물로서, 용매계는 총 조성물의 5-15wt%의 단쇄(C〈4) 1가 또는 그 혼합물, 5-20wt%의 물, 15-40wt%의 트리알칸올아민과 폴리올 또는 혼합폴리올의 혼합물로 구성되며 상기 트리알칸올아민/폴리올혼합물에 있어서 트리알칸올아민 대 폴리올 또는 혼합폴리올의 중량비는 1 : 3-1 : 0.25 범위이며, 또한 트리알칸올아민의 양은 총 조성물의 20wt%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형태의 투명비누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비누 혼합물은 C14이상의 포화지방산 비누를 총 비누함량에 대해 25wt%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비누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비누 혼합물은 C14이하의 포화지방산 비누 또는 불포화지방산 비누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총 비누함량에 대해 30wt% 이상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비누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비누 혼합물은 총 비누함량에 대해 나트륨 비누 90-60wt%와 트리알칸올아민 또는 칼륨 비누 또는 이들의 혼합물 10-40w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비누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올 또는 혼합폴리올은 용매계중의 트리알칸올아민 대 폴리올 또는 혼합폴리올의 비가 1 : 2-1 : 0.5 범위내에 있는 정도의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비누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용매계중의 폴리올은 프로판-1,2-디올, 글리세롤, 솔비톨, 자당 및 평균분자량 약 400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비누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계중의 알콜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비누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용매계중의 트리알칸올아민은 트리에탄올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비누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용매계중에 존재하는 물은 총 조성물의 7-15wt%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비누 조성물.
  10. 총 조성물에 대해 40-65wt%의 비누 혼합물과 60-35wt%의 용매계를 함유하는 조성물로서 용매계는 총 조성물의 5-15wt%의 단쇄(C〈4) 1가 알콜 또는 그 혼합물, 5-20wt%의 물, 15-40wt%의 트리알칸올아민과 폴리올 또는 혼합폴리올의 혼합물로 구성되고, 이 트리알칸올아민/폴리올 혼합물에 있어서 트리알칸올아민 대 폴리올 또는 혼합폴리올의 중량비는 1 : 3-1 : 0.25 범위이며, 또한 트리알칸올아민의 양은 총 조성물의 20wt% 이하인 조성물의 등방성 투명맬트를 형성한 다음 이 멜트를 몰드내에 주입하여 성형한 후 고형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비누의 제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멜트는 기밀저장수단으로서 상기 몰드내에 보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몰드는 유연성 필름 재료로된 팩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유연성 필름 재료는 열가소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19890003991A 1988-03-31 1989-03-29 투명비누바 KR920004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8807754.0 1988-03-31
GB888807754A GB8807754D0 (en) 1988-03-31 1988-03-31 Transparent soap ba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724A KR890014724A (ko) 1989-10-25
KR920004721B1 true KR920004721B1 (ko) 1992-06-15

Family

ID=10634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991A KR920004721B1 (ko) 1988-03-31 1989-03-29 투명비누바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041234A (ko)
EP (1) EP0335640A3 (ko)
JP (1) JPH01292097A (ko)
KR (1) KR920004721B1 (ko)
AU (1) AU613170B2 (ko)
BR (1) BR8901470A (ko)
GB (1) GB8807754D0 (ko)
IN (1) IN170136B (ko)
MY (1) MY105164A (ko)
PH (1) PH26056A (ko)
TR (1) TR24260A (ko)
ZA (1) ZA8923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816201D0 (en) * 1988-07-07 1988-08-10 Unilever Plc Detergent bar
GB8904938D0 (en) * 1989-03-03 1989-04-12 Unilever Plc Detergent bar
GB9106959D0 (en) * 1991-04-03 1991-05-22 Unilever Plc Detergent composition
US5217639A (en) * 1991-12-05 1993-06-08 Elizabeth Arden Company, Division Of Conopco, Inc. Dual phase toilet bar containing a clear portion and an opaque portion joined along a single curvelinear shaped surface
US5417876A (en) * 1993-10-25 1995-05-23 Avon Products Inc. Transparent soap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5529714A (en) * 1993-10-25 1996-06-25 Avon Products Inc. Transparent soap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MX9700843A (es) * 1994-08-03 1997-04-30 Procter & Gamble Barra transparente para la limpieza personal.
MA23637A1 (fr) * 1994-08-03 1996-04-01 Procter & Gamble Procede exempt de monoalcool pour la production d'un pain nettoyant corporel transparent, moule par coulage
US5703025A (en) * 1994-08-03 1997-12-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onohydric alcohol-free process for making a transparent pour molded personal cleansing bar
US6107262A (en) * 1996-09-12 2000-08-22 Noble, Ii; David S. Enhanced light transmission transparent bar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6395692B1 (en) 1996-10-04 2002-05-28 The Dial Corporation Mild cleansing bar compositions
US6479441B1 (en) * 1997-03-05 2002-11-12 Cognis Corporation Process for enhancing the transparency of transparent soap bars
AU720810B2 (en) * 1997-09-05 2000-06-15 Pola Chemical Industries Inc. Transparent solid soap and transparent soap material
WO2001011001A1 (en) * 1999-08-10 2001-02-15 The Dial Corporation Transparent/translucent moisturizing/cosmetic/personal cleansing bar
US6310015B1 (en) 1999-08-10 2001-10-30 The Dial Corporation Transparent/translucent moisturizing/cosmetic/personal cleansing bar
US6689728B2 (en) 2001-04-06 2004-02-10 The Dial Company Composite transparent bar soap containing visible soap insert(s)
JP3997795B2 (ja) * 2002-02-22 2007-10-24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半導体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US6838420B2 (en) 2002-02-28 2005-01-04 Colgate-Palmolive Company Soap composition
US6706675B1 (en) 2002-08-30 2004-03-16 The Dial Corporation Translucent soap bar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50015990A1 (en) * 2003-07-25 2005-01-27 Barone Chris A. Method for producing a shaving aid cartridge
ES2249995B1 (es) * 2004-09-22 2007-06-01 Norel, S.A. Procedimiento de produccion de jabones calcicos, sodicos o magnesicos de acidos grasos o de oleinas de grasas vegetales o animales y su uso como nutrientes en alimentacion de animales monogastricos.
US20080045438A1 (en) * 2006-08-21 2008-02-21 D/B/A Unilever, A Corporation Of New York Softening laundry detergent
US20130193025A1 (en) * 2012-02-01 2013-08-01 Stephenson Group Limited Pack of a Personal Cleaning Product; Its Manufacture; and Its Use
CN107849501A (zh) 2015-07-29 2018-03-27 荷兰联合利华有限公司 低总脂肪物质(tfm)清洁条
FR3047995B1 (fr) * 2016-02-19 2020-01-03 Rampal Patou Procede de fabrication de savo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1853A (en) * 1933-04-24 1936-02-25 Armour & Co Packaging molten soap
US2404298A (en) * 1945-08-10 1946-07-16 Alrose Chemical Company Saponaceous detergent having improved hard-water characteristics
NL94081C (ko) * 1952-05-13
DE1149846B (de) * 1958-11-07 1963-06-06 Dr Paul Schmitt Herstellung verpackter Transparent-seifenstuecke
US3562167A (en) * 1966-10-28 1971-02-09 Revlon Solid transparent detergent composi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793214A (en) * 1971-10-22 1974-02-19 Avon Prod Inc Transparent soap composition
US4206069A (en) * 1976-04-22 1980-06-03 Colgate-Palmolive Company Transparent detergent pellets
US4165293A (en) * 1977-05-16 1979-08-21 Amway Corporation Solid transparent cleanser
US4297230A (en) * 1979-02-06 1981-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on-crystallizing transparent soap bars
US4273684A (en) * 1979-05-03 1981-06-16 Ajinomoto Co., Inc. Transparent detergent bar
DE3272256D1 (en) * 1981-04-07 1986-09-04 Mitsubishi Chem Ind Soap composition
US4474683A (en) * 1981-08-10 1984-10-02 Armour-Dial, Inc. Soap making process
US4493786A (en) * 1982-09-02 1985-01-15 Colgate-Palmolive Company Translucent soap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thereof
US4490280A (en) * 1982-09-02 1984-12-25 Colgate-Palmolive Company Process for manufacturing translucent antibacterial soap
US4584126A (en) * 1982-09-02 1986-04-22 Colgate-Palmolive Company Translucent soaps and processes for manufacture thereof
US4468338A (en) * 1983-06-13 1984-08-28 Purex Corporation Transparent soap composition
JPS6126699A (ja) * 1984-07-17 1986-02-05 カネボウ株式会社 透明石鹸の製造法
JPS6198800A (ja) * 1984-10-19 1986-05-17 乾 恵美子 造形物内包石鹸の製造方法
ES2034203T3 (es) * 1988-03-31 1993-04-01 Unilever Nv Barra de jabon transparente.
JPH0739646Y2 (ja) * 1988-08-15 1995-09-13 ハマダ印刷機械株式会社 ターンバー部の自動紙通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8901470A (pt) 1989-11-14
AU3223489A (en) 1989-10-05
GB8807754D0 (en) 1988-05-05
KR890014724A (ko) 1989-10-25
ZA892356B (en) 1990-12-28
EP0335640A2 (en) 1989-10-04
US5041234A (en) 1991-08-20
JPH01292097A (ja) 1989-11-24
PH26056A (en) 1992-01-29
TR24260A (tr) 1991-07-29
EP0335640A3 (en) 1990-10-10
IN170136B (ko) 1992-02-15
MY105164A (en) 1994-08-30
AU613170B2 (en) 1991-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721B1 (ko) 투명비누바
CA2084393C (en) Two-phase clear-opaque soap
US6462002B2 (en) Monohydric alcohol-free transparent moisturizing bar soap with plastic packaging mold
CA2011126C (en) Detergent bar
KR100235691B1 (ko) 투명한 개인용 세정 바의 제조 방법
KR100736667B1 (ko) 투명고형 비누 조성물
KR100235692B1 (ko) 투명한 개인용 세정 바
US6395692B1 (en) Mild cleansing bar compositions
US5002685A (en) Translucent detergent bar having a reduced soap content
AU603853B2 (en) Process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transparent soap
JP2574592B2 (ja) 石鹸組成物及び固形石鹸製造方法
US5417876A (en) Transparent soap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5529714A (en) Transparent soap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010180381A (ja) 透明固形石鹸組成物の製造方法
JPS5941679B2 (ja) 透明石けん
WO1995003391A1 (en) Process for making transparent soaps
MXPA99003199A (en) Mild cleansing bar compositions
JP2012087252A (ja) 枠練り石鹸
JPS61190597A (ja) 透明せっけ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5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