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718B1 - 세탁용 세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세탁용 세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718B1
KR920004718B1 KR1019850006425A KR850006425A KR920004718B1 KR 920004718 B1 KR920004718 B1 KR 920004718B1 KR 1019850006425 A KR1019850006425 A KR 1019850006425A KR 850006425 A KR850006425 A KR 850006425A KR 920004718 B1 KR920004718 B1 KR 920004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detergent
water
washing
noni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6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2563A (ko
Inventor
쟝 소메르 앙드레아
본느쉐르 쥬느비에브
Original Assignee
콜 게이트-파아므올리브 캄파니
해롤드 오브스트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 게이트-파아므올리브 캄파니, 해롤드 오브스트러 filed Critical 콜 게이트-파아므올리브 캄파니
Publication of KR860002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4Mixtures with anionic, cationic or 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5Mixtures of non-ionic with cat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11D1/10Amino carboxylic acids; Imino carboxylic acids; Fatty acid condensat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2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0Beta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세탁용 세제조성물
본 발명은 세탁공정의 세척사이클(wash cycle)에서 직물을 세척하고 유연하게 하는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더 특히 본 발명은 열수를 사용하는 세탁의 세척사이클에 사용하기 적합한 유연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 조성물은 양이온 4급 암모늄 화합물 유연제와 세탁온도 이상의 클라우드점(cloud point)을 갖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직물의 유연성 및 촉감이 향상되도록 직물을 처리하는데 유용한 조성물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가정세탁에 사용될 경우 직물유연제는 보통 약 2-5분간 지속되는 헹굼 사이클중 헹굼수에 첨가된다. 결국, 소비자는 적당한 시간에 직물유연제가 첨가되도록 하기 위해선 세탁과정을 감시하거나 따로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소비자는 세탁과정중 헹굼 사이클이 시작될때 또는 시작되기 직전에 세탁기로 되돌아가야 하며, 이것은 소비자에게 성가신 일임에 틀림없다. 또한 과량사용으로 인해 직물표면상에 유성필름이 침착되어 직물이 물을 흡수치 않거나 직물이 어느정도 황변화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선 적당량의 직물유연제가 이용되도록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상기한 문제점의 해결책으로써, 유연제를 세탁과정의 세척주기 동안에 단일패키지로 세제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통상적인 세탁세제와 양립할 수 있는 직물유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런 세척 사이클에 첨가되는 직물 유연화 조성물의 예가 미국특허 제 3,351,438호, 제 3,660,286호 및 제3,703,480호에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세척사이클 직물유연화 조성물은 양이온 4급 암모늄 직물유연제와 유연화 화합물이 통상적인 세탁용 세제와 양립할 수 있게 해주는 또 다른 성분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세제-유연제 조성물 성분으로서 또는 세척사이클 유연제로서, 세척사이클에 첨가된 양이온 유연화 화합물은 세제의 세척효율 및 광택작용을 방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결과 비이온 계면활성제, 더 높은 함량의 광택제 화합물,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황변화 방지화합물, 블루잉(bluing)제등을 사용해줌으로써 세제-유연화 조성물에서의 이런 간섭을 어느정도 상쇄시키게 되었다. 그러나 그 대부분이 음이온인 각종 세제를 사용하는 세척사이클 유연화 조성물에서 거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4급 암모늄 화합물 유연제를 포함한 양이온 유연제 및 비이온 계면활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세제조성물에 관해서 이 분야에 많이 공지되어 있다. 그 대표예로 미국특허 제 4,264,457호, 제 4,239,659호, 제 4,259,217호, 제 4,222,905호, 제 357,993호, 제 3,583,912호, 제 3,983,079호, 제 4,203,872호, 제 4,264,479호, 제 3,951,879호, 제 3,360,470호, 제 3,351,483호, 제 3,644,203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종래 기술의 많은 제제들이 여러 다른 조건하에서 만족스런 세척 및/또는 유연성을 나타내나, 이들은 60℃ 및 그 이상과 같은 열수세척 조건하에서 특히 헹굼사이클에 첨가된 유연제에 상응할 만큼 충분한 유연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며 ; 양이온 화합물과의 복합체 형성이 요구되며 ; 유연성능이 낮은 수용성 예컨대 모노고급알킬 4급 암모늄 양이온 화합물을 사용하며 ; 액체 조성물에 한정되는 등의 결점을 여전히 갖고 있다.
비록 오늘날 냉수 또는 온수를 사용하여 오염된 직물 특히 상기 쉬운 직물, 세탁에 의해 마모되는 직물, 영구 가공직물등의 세탁/세척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세탁세제 조성물과 종래의 가정용 자동 세탁기가, 특히 미국에 흔히 있으나 좀더 효과적인 세척(오염 제거)을 위해선 더 높은 세탁온도가 요구되게 되었다. 더욱이 유럽 및 다른 나라에서, 가정용 세탁기는 60℃이상에서 세탁수의 비점온도까지의 고온에서 조작된다. 이들 높은 온도는 오염제거면에선 유리하나 유연성능면에선 그와 같이 유리하지 못하다.
본 발명자는 비이온 세제 화합물과 양이온 4급 암모늄 화합물 직물 유연제의 혼합물을 기재로 한 세제 시스템의 유연성능은 세탁온도 이상의 클라우드점을 갖고 있는 제한된 부류의 비이온성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상당히 향상됨을 발견하였다. 더욱이 이런 성능의 향상은 세탁성능(즉, 세척력)의 어떤 적어도 유의한 열화 없이 얻어졌다.
세척성능과 비이온/양이온 세제 혼합물의 클라우드점과의 관계는 미국특허 제 4,222,905로(Cockrell, Jr.,) 및 제 4,259,217호(Murphy)로부터 알 수 있다. 좀더 특히 멀피의 특허 5단락 40-61열에 다음과 같이 언급되어 있다 ; "우수한 기름 때 제거 및 직물 보호 이점을 제공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로 직물을 세탁하는 방법들을 여기 소개하고저 한다. 이들 방법들에서, 세탁세제 조성물들은 수성 세탁액이 비이온/양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클라우드점(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풍부한 상이 세탁액에서 분리되는 온도) 또는 그에 근사한 온도(약 20℃이내)하에 있도록 그런 온도 조건하에서 사용된다. 이것은 비이온/양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클라우드점이 0-95℃, 특히 10-70℃, 그중에서도 20-70℃, 가장 특히 30-50℃ 사이로 떨어지도록 이들 혼합물을 배합해줌으로써 바람직하게 성취될 수 있다. 세척과정중 세탁액의 온도는 이 온도 범위내에서, 클라우드점의 20℃이내로 유지시킨다. 수성세탁액의 온도가 비이온/양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클라우드점의 약 15℃, 좀더 바람직하게는 약 10℃이내에 있을때 성능이 더 향상된다."
클라우드점 온도 또는 그 이하의 세탁온도를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세탁수에서 계면활성제 혼합물의 클라우드점은 계면활성제 미셀이 점점 커져 이들이 용액밖으로 나와 용액이 혼탁해질 정도까지 그렇게 크게 응집되는 온도와 일치한다는 전제에 기초한다. 또 온도가 올라가면 물과 비이온 계면활성제 상이 완전히 분리되고, 그 결과 오염된 직물에 대한 세척작용 및 전체 세탁능력이 상실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멀피가 비이온/양이온 혼합물은 양이온 성분의 종류와 농도에 따라 종래 기술에 알려진 이런 양이온 물질의 이점 에컨대 직물유연 효과를 제공해줄 수 있다고 했으나 양이온 물질의 유연 효과가 고클라우드점을 가진 몇몇 비이온 물질의 사용에 의해 유의하게 향상될 수 있다는데 대해선 전혀 인식 또는 언급하지 않았다. 즉 멀피와 코크렐 쥬니어가 비이온/양이온 혼합물의 클라우드점과, 세탁온도와 세척성능과의 관계를 설명하긴 하였으나, 비이온 물질 그 자체(또는 비이온 물질과, 세탁수중에 존재하는 어떤 전해질)의 클라우드점과 세탁온도 사이에 관계가 있으며, 이들이 수불용성 양이온 4급 암모늄 화합물 유연제의 유연성능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이제야 발견되게 되었다. 고 클라우드점 온도(예컨대 약 60℃, 특히 약 90℃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00℃이상) 비이온 물질을 사용해야 하는 본 발명의 요구와는 반대로, 멀피와 코크렐 쥬니어는 비교적 저클라우드점을 가진 비이온 계면활성을 더 선호했다. 따라서 이들 특허에 언급된 조성물에서 사용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적어도 12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몰의 산화에틸렌에 의해 에톡실화된 지방알콜로서 이들은 친수-친유가(HLB)가 약 5-17, 바람직하게는 6-15이다.
따라서 양이온 유연제의 유연성능이 세탁온도 이상의 클라우드점을 가지며, 적어도 15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로 에톡실화된 고급 지방알콜을 포함한 비이온 세제를 사용함으로써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세척성능의 감소없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전혀 기대밖의 사실이었다.
본 발명은 이런 발견을 근거로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세탁성능에 유의한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4급 암모늄 화합물 유연제와 비이온세제 화합물을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의 유연성능을 증진시키는데 있다.
하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본 발명의 그밖의 목적들은 적어도 60℃부터 약 100℃의 비점까지의 고온에서 수성세탁액중에서 오염된 직물을 세척할 능력이 있는 세탁 세제조성물을 제공해줌으로써 성취되며, 이 조성물은 상기한 고온 이상의 클라우드점을 갖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세탁 직물에 유연성을 줄 수 있는, 수불용성 양이온 4급 암모늄 화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세제 조성물은 세제증강제, 농조화제, 재오염방지제, 부식방지제, 표백제, 효소, 염료, 블루잉제, 형광광택제, 향료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세제 첨가제를 함유한다.
사용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오직, 그들의 수용성 및 그들의 클라우드점 온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편리하게도, 이들 평가기준은 서로 잘 조화되며, 높은 알킬렌옥사이드 함량은 수용성 및 고클라우드점 온도 모두에 기여한다.
적당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며, 알킬렌옥사이드 또는 등가의 반응체와 반응성-수소 소수성 물질의 축합에 의해 얻어진다. 소수성 유기화합물은 지방족, 방향족 또는 헤테로 고리화합물일 수 있으나, 지방족 또는 방향족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유형의 소수성 물질은 고급 지방족 알콜 및 알킬페놀이나 카복실산, 카복사미드, 메르캅탄, 설폰아미드등과 같은 것들이 사용될 수 있다. 에틸렌옥사이드와 고급-알킬페놀 또는 고급 지방알콜과의 축합물이 바람직한 비이온 화합물 부류이다. 일반적으로 소수성 부분은 적어도 약 6개의 탄소원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며, 약 50개 정도로 많은 탄소원자를 함유할 수 있으나 약 8-22개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지방족 알콜의 경우 10-18개, 고급 알킬페놀의 경우, 12-20개 탄소원자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렌옥사이드의 양은 소수성 물질에 따라 크게 달라지나, 일반적인 안내 및 규칙에 따라서, 소수성 물질 몰당 알킬렌옥사이드 적어도 약 15몰 이상에서 약 30몰 이하가 적어도 약 60℃이상의 클라우드점 온도를 얻기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바람직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일반식(Ⅰ) 또는 (Ⅱ)로 표시될 수 있다.
RO(CH2CH2O)nH (Ⅰ)
상기식에서, R은 C8-221급 또는 2급 알킬쇄이며, n은 평균 15-30이다. ;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는 C4-121급 또는 2 급 알킬쇄이며, m은 평균 15-30이다.
그로부터 일반식(Ⅰ)의 화합물이 제조되는 바람직한 알콜에는 라우릴, 미리스틸, 세틸, 스테아릴 및 올레일과 그 혼합물이 포함된다. 특히 바람직한 R은 C10-18이며, C12-15알킬 및 그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R'는 C6-C12이며, 옥틸, 이소옥틸 및 노닐을 포함한 C8및 C9가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Ⅰ)의 비이온 화합물의 전형적인 예는 15몰의 에틸렌옥사이드와 축합된 라우릴알콜이다. 일반식(Ⅱ)의 비이온 화합물의 전형적인 예는 30몰의 에틸렌옥사이드와 축합된 이소옥틸페놀이다.
사용될 수 있는 그밖의 비이온 화합물는 고급지방산, 송진산, 톨유(tall oil)산, 석유산화 생성물로부터 얻은 산과 같은 유기산의 폴리옥시알킬렌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이들 에스테르는, 일반적으로 산부분에 약 10-22개의 탄소원자와 약 15-30몰의 산화에틸렌 또는 그 등가물을 함유한다.
그밖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렌옥사이드와 고급지방산아미드의 축합생성물이다. 지방산기는, 보통 약 8-2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며, 이것은 바람직한 예로서 약 15-50몰의 에틸렌옥사이드와 축합된다. 상응하는 카복사미드와 술폰아미드는 실질적인 등가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비이온 화합물의 양은 세탁수중에 첨가되었을때 충분한 세척성능을 제공하는 양이면 된다. 일반적으로, 조성물 중량의 약 6-30%, 바람직하게는 약 7-20%, 특히 바람직하게는 14-16%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일차적으로 높은 세탁온도, 특히 약 60℃이상, 바람직하게는 80℃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비점 예컨대, 100℃이상에서 작동되는 가정용 및 영업용 세탁기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조성물은 이들 높은 세탁온도에서 사용시 특히 효과적인 한편 또 60℃이하 -20℃ 또는 그 이하의 저온에서 사용시에도 향상된 유연성능을 나타낸다.
조성물이 섬세한 천연 및 합성섬유와 목면등과 같이 온도에 민감치 않은 직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직물에 가장 유요하게 사용될 수 있게끔 광범위한 온도범위 예컨대, 20-60℃ 및 더 고온에서 사용되도록 제제화되는 경우, 세탁수온도를 적어도 20℃까지 초과하는 클라우드점 온도, 예컨대 80-90℃의 클라우드점 온도가 얻어지도록 비이온 세제가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공업용 세탁기를 사용할 때는 물론 일반적으로 유럽의 경우와 같이 60℃이상의 고온에서 주로 사용되도록 제제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비이온 세제는 세탁온도보다 약 50℃이상 까지 높은 클라우드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약 60℃의 세탁온도에서 비이온 세제는 적어도 약 6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70℃에서 90℃까지, 바람직하게는 약 70-85℃범위의 클라우드점을 가져야 한다.
100℃ 세탁수 온도의 경우, 조성물의 클라우드점은 약 105-150℃, 바람직하게는 105-120℃범위에서 선택된다.
여기서 "클라우드점"은 하기 실험조건하에서 세탁수 온도에 대해 조성물의 광산란 강도를 도면에 표시해 보았을 때 그 최대치로 갑자기 증가하기 시작하는 온도를 의미한다.
광산란 강도는 모델 VM-12397 산광측정기(Photogoniodiffusometer, Societe Francaise d'instruments de control et d'analyses, France에서 제조됨)를 사용하여 특정했다(이후 이 기계를 SOFICA라 칭함). SOFICA 샘플셀과 두껑을 뜨거운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건조되게 두었다. 계면활성제 혼합물을 만든후 증류수로 1000ppm농도의 용액으로 만들었다. 용액 샘플이 약 15ml를 0.2μ누크레어포어 휠터를 가진 시린지를 사용하여 샘플셀에 넣었다. 시린지 바늘을 샘플셀 내부가 대기 먼지에 노출되지 않도록 샘플셀 두껑을 통해 넣었다. 샘플을 온도가 변하는 욕에 둔후 욕과 샘플을 일정하게 교반했다. SOFICA 히터를 사용하여 욕의 온도를 가열하고, 얼음을 첨가하여 냉각되게 하고(가열속도=1℃/분) ; 욕온도로 샘플온도를 측정했다. SOFICA에서 편광체판 없이 그린필터를 사용하여 각종 온도에서 샘플의 광산란 강도(90°각도)를 측정했다.
본 발명에서, 클라우드점은 비이온 물질(약 1중량%)의 증류수용액 및 10% NaCl을 함유하는 물중 용액에 대해 측정하였으며, 이때 물중 용액은 보통 사용되는 염 및 전해질의 양을 훨씬 초과하는게 보통이다. 따라서, 만일 10% NaCl용액중에서 측정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클라우드점이 본 발명의 클라우드점을 소요치를 충족시키는 경우, 아주 고농도 예컨대 조성물의 85%까지의 증강제염 및 기타 전해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제화하는데 문제점이 없다.
이점에 관해, 주어진 조성물의 세탁액중에서의 클라우드점 온도는, 조성물중에 포함된 양이온, 비이온 및 기타 첨가제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CMC 및 용해도 같은 것)에 따라 달라지며, 비이온 계면활성 화합물의 알킬쇄 길이를 증가시켜 주거나 또는 비이온 성분의 에톡실화도를 감소시켜 주거나 인산염, 다중인산염, 광붕산염, 탄산염, 황산염등과 같은 전해질을 비교적 소량(주어진 조성물의 약 1-15%)첨가해줌으로써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수불용성 양이온 유연화 화합물이 사용되기 때문에 양이온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의 클라우드점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사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연화 양이온 화합물은 수불용성이기때문에 총 조성물의 클라우드점 온도는 혼합물이 본래 약간 혼탁하기 때문에 측정하기 아주 힘들다. 따라서 전해질이 첨가되거나 되지 않은 비이온 화합물 클라우드점은 양이온 화합물 부재하에 측정하며, 이것은 양이온 화합물을 포함한 전체 조성물의 클라우드점이 되기에 충분히 정확한 측정치가 된다.
약 60-70℃의 세탁온도에서, 상기한 모든 비이온 계면활성제 특히, 일반식(Ⅰ) 및 (Ⅱ)의 화합물은 세탁온도를 초과하는 클라우드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71-100℃ 특히 80-100℃정도의 더 높은 세탁온도에서는 더 많이 에톡실화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예컨대 소수성 물질 몰당 에틸렌 옥사이드 25-30몰이 함유된 것이 필요하다. 이들 좀더 높은 세탁온도에서 가장 바람직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25-30몰 특히 28-30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30몰의 에틸렌옥사이드로 에톡실화된 C8-C9알킬페놀이다.
또한 이후에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어떤 비이온 계면활성제 이건간에 클라우드점은 조성물에 양성계면활성 화합물 예컨대, 카복시에틸화 고급 지방 알킬(예 : 코코) 이미다졸린 양성화합물을 조성물 중량의 0.5-30%, 바람직하게는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양으로 첨가해줌으로써, 약 40℃까지, 보통 약 5-20℃까지 상승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약 80-100℃의 고온에서 수성 세탁액중에서 오염된 직물을 세탁하는데 특히 유용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세제 조성물은 일반식(Ⅰ) 또는 (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일반식(Ⅲ) 또는 (Ⅳ)의 수불용성 4급 암모늄 화합물외에 양성 계면활성제를 조성물의 클라우드점을 80-100℃의 고온 이상으로 올려주기에 충분한 양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의 두번째 필수성분은 양이온 직물 유연제이다. 일반적으로, 양이온 직물 유연제는 음전하를 갖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관능기와 양전하를 갖고 있는 4급 암모늄 원자를 함유하는 소수성기로 구성되어 있다.
처리된 직물에 충분한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양이온 화합물은 필수적으로 수불용성이어야 한다. 여기서, 수불용성 화합물이란 세탁온도에서 물에 대한 용해도가 약 1% 이하, 바람직하게는 1/2% 이하인 화합물을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양이온 유연화 화합물은 세탁액중에서 높은 분산성을 나타내어 처리직물에 최대한으로 부착될 수 있는 형태로 조성물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 〈10-50 미크론 범위, 바람직하게는 약 〈10-20 미크론의 세탁액중 이런 분산입자의 크기가 양이온 유연화 화합물의 경우, 상기 효과 달성을 위해 사용 될 수 있다.
통상 공지되어 있는 적당한 수불용성 4급 암모늄 화합물 직물 유연제는 하기 일반식을 갖는다.
Figure kpo00002
상기식에서
R1,R2, R5, R6는 각기 독립적으로 C16-22장쇄 지방족 라디칼이며, R3, R4및 R7은 독립적으로 저급 알킬 라디칼이며 또는 R6
Figure kpo00003
기 일수 있으며(여기서 R8는 C16-22장쇄 알킬 라디칼이며, R9는 C1-32가 알킬기이다.) ; X는 할라이드, 예컨대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아이오다이드 또는 설페이트, 아세테이트, 하이드록사이드, 메토설페이트, 에토설페이트 같은 수용성염 형성 음이온이거나 또는 유사한 무기 또는 유기 가용화 일-또는 이 염기성 라디칼이다. C16-22특히 C16-20인 지방족 라디칼의 탄소쇄는 직쇄이거나 분지쇄이며, 포화되었거나 불포화되었다. 저급 알킬 라디칼은 1-4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며, 하이드록시라디칼을 함유할 수 있다. 탄소쇄는 탤로우(tallow) 및 대두유로부터 유도된 것꽈 같은 장쇄 지방산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된 "디소야"(disoys) 및 "디 탤로우(ditallow)"등의 용어는 장쇄 지방 알킬쇄가 유래된 원공급처를 나타내는 말이다. 소망에 따라 상기한 것의 혼합물 및 기타 수불용성 4급암모늄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암모늄염은 디알킬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로서, 여기서 알킬기는 수소첨가 탤로우 또는 스테아린산 또는 디고급알킬 이미다졸늄 클로라이드로부터 유래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 적합한 4급 암모늄 유연제의 구체예에는 하기의 것들이 포함된다 : 수소첨가 디탤로우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메틸 디스테아릴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메틸 스테아릴 세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디메틸디세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소야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그의 상응하는 설페이트, 메토설페이트, 에토설페이트, 브로마이드 및 하이드록사이드염등.
일반식 Ⅳ의 4급 암모늄 유연제의 예에는 하기의 것들이 포함된다 : 1-메틸-1,2-디헵타데실 이미다졸리늄 클로라이드(브로마이드, 메토설페이트),1,2-디에이코실알킬 아미도 에틸-1-메틸 이미다졸리늄 클로라이드(브로마이드, 메토설페이트등), 2-헥사데실-1-메틸-1-[(2-도데코일아미도)에틸]이미다졸리늄 메틸설페이트, 헵타데실-1-메틸-1-[(2-스테아로일아미도)에틸]이미다졸리늄 메틸 설페이트, 2-노나데실/헨에이코실-1-[(2-에이코소일/도코소일 이미도)에틸]이미다졸리늄 메틸 클로라이드.
디메틸디스테아릴 암모늄 클로라이드는 그의 우수한 유연성능, 미생물 분해성, 물에 대한 낮은 용해도, 이용도, 가격면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양이온 직물 유연제양은 일반적으로 약 1-20%, 바람직하게는 4-16%, 특히 바람직하게는 6-9%(조성물 중량기준)이다.
양이온 직물 유연제에 대한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중량비는 약 1 : 1-5 : 1, 바람직하게는 약 1.5-14.5 : 1 범위이다.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자유 유동성 분말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액체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은 또한 수용성 증강제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포함한다. 세제 조성물과 함께 단독으로 또는 다른 증강제와의 혼합물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 수용성 무기알칼리 증강제염은 알칼리금속탄산염, 붕산염, 인산염, 다중인산염, 중탄산염 및 규산염이다(암모늄 또는 치환암모늄염도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염의 특수예는 삼중 인산나트륨, 탄산나트륨, 4붕산나트륨,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중탄산나트륨, 삼중인산칼륨, 헥사메타인산나트륨, 세스키 탄산나트륨, 모노 및 디오르토 인산나트륨, 중탄산 칼륨이다. 알칼리 금속규산염이 유용한 증강제염이며, 이것은 또한 조성물을 세탁기 부품에 대해 부식 방지성이 되도록 해주는 역할도 한다. Na2O/SiO2비가 1.6/1-1/3.2, 특히 약 1/2-1/2.8인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비의 규산칼륨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유용한 또 다른 부류의 증강제는 결정성 및 무정형 수불용성 알루미노 실리케이트이다. 각종 결정성 제올라이트(즉,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참고로 소개하면 영국특허 제 1,504,168호, 미국특허 제 4,409,136호 및 캐나다 특허 제 1,072,835호와 제 1,087,477호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서 유용한 무정형 제올라이트의 예는 참고로 소개하면 벨기에 특허 제 835,851호에서 발견할 수 있다. 제올라이트는 일반적으로 하기 구조를 갖는다.
(M2O)x.(Al2O3)y.(SiO2)z.WH2O
상기식에서 x는 1, y는 0.8-1.2, 바람직하게는 1이며, z은 1.5-3.5 또는 그 이상, 바람직하게는 2-3이며, W는 0-9, 바람직하게는 2.5-6이며, M은 바람직하게는 나트륨이다. 전형적인 제올라이트는 A형 또는 유사구조이며, 4A형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알루미노실리케이트는 약 200meq/g 또는 그 이상 예컨대 400의 칼슘이온 교환능력을 갖는다.
점토와 같은 특히 수불용성인 그밖의 물질이 본 발명의 조성물에 유용한 첨가물일 수 있다. 벤토나이트가 특히 유용하다. 이 물질은 주로 알루미늄원자의 약 1/6이 마그네슘원자로 치환될 수 있으며, 그와 함께 상이한 양의 수소, 나트륨, 칼륨, 칼슘등이 엉성하게 결합될 수 있는 수화된 규산알루미늄인 몬모릴로나이트이다. 세제에 적합한 좀더 정제된 형태의 벤토나이트(즉, 사암이나 모래등이 없는 것)는 적어도 50%의 몬모릴로나이트를 함유하며, 따라서 그의 양 이온교환 용량은 벤토나이트 100g당 적어도 약 50-75meg이다. 특히 바람직한 벤토나이트는 와이오밍 또는 웨스턴 U.S.벤토나이트로서 이들은 죠지아 카올린 코오포레이션에 의해 틱소-젤 1,2,3 및 4로 판매되고 있다. 이들 벤토나이트는 영국 특허 401,413(Marriott) 및 영국특허 461,221(Marriott and Dugem)에 언급되어 있는 바와 같이 직물을 유연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제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유기 및 무기 증강제와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는 유기알칼리 금속봉쇄제 증강제염은 알칼리금속, 암모늄, 또는 치환암모늄, 아미노폴리카복실레이트, 예컨대 나트륨 및 칼륨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 나트륨 및 칼륨니트로트리아세테이트 및 트리에탄올암모늄 N-(2-하이드록시에틸)-니트릴로디아세테이트이다. 이들 폴리카복실레이트의 혼합염 또한 적당하다.
유기형태의 다른 적당한 증강제에는 카복시메틸석시네이트, 타트로네이트 및 글리콜레이트가 포함된다. 폴리아세탈카복실레이트가 특히 유용하다. 폴리아세탈카복실레이트 및 세제조성물에 그를 사용하는 것이 4,144,226 : 4,315,092 및 4,146,495에 설명되어 있다. 유사한 증강제에 관한 그밖의 특허에는 4,141,676 : 4,169,934 : 4,201,858 : 4,204,852 : 4,224,420 : 4,225,685 : 4,226,960 : 4,233,422 : 4,233,423 : 4,302,564 및 4,303,777이 포함된다. 또한 유럽특허 출원번호 0015024 : 0021491 및 0063399도 관련이 있다.
세제 제품에 기능적 또는 미적으로 바람직한 또 다른 성질을 주기 위해 세제 제품 내에 각종 다른 세제첨가제 또는 보조제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성물내에, 소량의 오염현탁제 또는 재오염방지제, 예컨대 폴리비닐알콜, 지방아미드,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즈 ; 광학광택제, 예컨대 목면, 아민 및 폴리에스테르광택제, 예컨대 스틸벤, 트리아졸 및 벤지딘설폰조성물, 특히 설폰치환트리아지닐스틸벤, 설폰화나프토트리아졸스틸벤, 벤지딘설폰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한 것은 스틸벤과 트리아졸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울트라마린블루와 같은 블루잉제 : 효소, 바람직하게는 서브틸리신, 브로멜린 파파인, 트립신 및 펩신같은 단백분해효소 및 아밀라제형효소 ; 살균제, 예컨대 테트라클로로살리실아닐리드, 헥사클로로펜 ; 살진균제 ; 염료 색소(수분산성) ; 방부제 ; 자외선흡수제 ; 황변방지제, 예컨대 나트륨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 C12-22알킬알콜과 C12-18알킬설페이트의 복합체 ; pH조절제 및 pH완충제 ; 색상 보존표백제, 향료 및 소포제 또는 거품억제제, 예컨대 실리콘화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표백제는 편리하게 염소표백제와 산소표백제로 분류할 수 있다. 염소표백제로 대표적인 것에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칼륨 디클로로이소시안우레이트(유효염소 59%), 및 트리클로로이소시안우릭산(유효 염소 85%)이 있다. 산소 표백제는 과붕산나트륨 및 칼륨과 일과황산칼륨을 대표로 들 수 있다. 산소표백제가 바람직하다. 표백제 안정화제 및/또는 활성화제, 예컨대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조성물중에 존재할 수 있는 성분들의 비율은, 최종 제품의 총중량을 기준으로, (활성성분)중량%로 나타낼때 하기와 같다. ; 비이온세제-약 5-30%, 바람직하게는 약 7-20% 특히 14-16% ; 4급 암모늄염-약 1-20% 바람직하게는 4-16%,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6-9% ; 알칼리금속 증강제염- 약 20-85%, 바람직하게는 약 35-80%,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60-75% ; 와 그 나머지 세제 첨가제, 충전제 및 수분으로 되어 있다. 적당한 세제 첨가제 범위는 ; 효소 0-2%, 특히 0.7-1.3% ; 부식억제제 약 0-40%, 바람직하게는 5-30% ; 소포제 및 거품억제제 0-15%, 바람직하게는 0-5%, 예컨대 0.1-3% ; 오염현탁 또는 재오염 방지제 및 황변방지제 0-10%, 바람직하게는 0.5-5% ; 색소, 향료, 광택제 및 블루잉제 총 0-2%, 바람직하게는 0-1% ; pH조절제 및 pH완충제 0-05%, 바람직하게는 0-2% ; 표백제 0-40%, 바람직하게는 0-25%, 예컨대 2-20% : 표백 안정화제 및 표백 활성화제 0-15%, 바람직하게는 0-10%, 예컨대 0.1-8%이다. 보조제를 선택하는데 있어, 세제 조성물의 주성분들과 양립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한다.
고 클라우드점 비이온세제가 본 발명의 조성물내에 사용되는 유일한 계면활성제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비이온, 양이온, 쯔비터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그 밖의 소량의 계면 활성화합물도 바람직하게는 20중량%까지, 특히 10%까지, 특히 바람직하게는 5중량%까지 사용될 수 있다.
그밖의 다른 비이온 화합물의 예에는 상기한 모든 것이 포함되나, 예컨대 소수성물질 몰당 알킬렌옥사이드를 15몰이하 함유한 것, 예컨대 소수성물질 몰당 에틸렌옥사이드를 5-12몰 함유한 것이 포함된다.
적당한 음이온세제의 예에는 C8-20, 바람직하게는 C10-18의 고급지방산의 나트륨, 칼륨, 암모늄, 알킬롤암모늄염과 같은 수용성염이 포함된다.
적당한 지방산은 동물 또는 식물성 오일 또는 왁스, 예컨대 탤로우, 유지, 코코낱유, 톨유 및 그 혼합물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코코낱유 및 수지로부터 유래한 지방산 혼합물의 나트륨 및 칼륨 염, 예컨대 나트륨 코코낱비누 및 칼륨탤로우 비누가 특히 유용하다.
음이온세제류에는 그들 분자 구조중에 C8-26, 바람직하게는 C12-22의 알킬라디칼을 함유하고 있는 수용성 황산화 및 설폰화합성세제도 포함된다(여기서, 알킬이란 용어는 고급아실라디칼의 알킬부분을 포함한다).
설폰화음이온세제의 예에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고급알킬기에 10-16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는 고급알킬벤젠설포네이트 같은 고급알킬단핵방향족 설포네이트, 예컨대 고급알킬벤젠설포네이트의 나트륨, 칼륨 및 암모늄염, 고급알킬톨루엔설포네이트, 고급알킬페놀설포네이트 및 고급나프탈렌설포네이트가 있다. 바람직한 설포네이트는 3-(또는 2 이상의) 페닐이성체 고함량과 상응하게 2-(또는 2이하의) 페닐 이성체 저함량을 함유하는 직쇄알킬벤젠설포네이트이며, 예컨대, 여기서 벤젠환은 알킬기의 3 또는 그 이상의 위치(예 4,5,6 또는 7)에 붙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벤젠환이 2 또는 1위치에 붙어있는 이성체함량은 상응하게 낮게 된다. 특히 바람직한 물질들이 미국 특허 3,320,174에 나타나 있다.
그밖에 적당한 음이온세제는 장쇄알켄설포네이트를 포함한 올레핀설포네이트, 장쇄하이드록시알칸설포네이트 또는 알켄-설포네이트와 하이드록시-알칸설포네이트의 혼합물이다. 이들 올레핀설포네이트세제는 탄소원자를 8-25개, 바람직하게는 12-21개 함유하며 일반식 RCH-CHR1인 장쇄올레핀(여기서 R은 C6-23)의 고급알킬기이며, R1은 C1-17알킬기 또는 수소이다)을 SO3와 반응시켜, 설톤과 알켄-설폰산의 혼합물을 생성시킨 후, 이어 처리하여 설톤을 설포네이트로 전환시켜줌으로써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설페이트 또는 설포네이트 세제의 또 다른 예는, 탄소를 10-20, 바람직하게는 15-20개 함유하는 파라핀설포네이트, 예컨대 장쇄 알파올레핀과 중아황산염을 반응시켜 제조한 1차 파라핀설포네이트 및 파라핀쇄를 따라 분포되어 있는 설포네이트기를 갖고 있는 파라핀설포네이트(미국 특허 2,503,280 ; 2,507,088 ; 3,260,741 ;3,372,188 및 독일 특허 735,096에 나타나 있음) 나트륨라우릴설페이트 및 나트륨탤로우알콜설페이트와 같이 C8-18고급알콜의 나트륨 및 칼륨설페이트 ; 아실기에 10-20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알파-설포지방산 에스테르, 예컨대 메틸알파설포미리스테이트 및 메틸-알파-설포-탤로우에이트의 나트륨 및 칼륨염, 고급지방산(C10-C18)의 모노-또는 디글리세라이드의 암모늄설페이트, 예컨대 스테아릴모노글리세라이드모노설페이트 ; 1-5몰의 에틸렌옥사이드를 고급(C8-C18)알콜 1몰과 축합시켜 얻은 알킬폴리에틸렌옥시에테르 설페이트의 나트륨 및 알킬롤암모늄염 ; 나트륨고급알킬(C10-18)글리세틸에테르 설포네이트 및 ; 몰당 1-6개의 옥시에틸렌기를 갖고 있으며 알킬 라디칼이 약 8-12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나트륨 또는 칼륨 알킬페놀폴리에텐옥시에테르설페이트이다.
적당한 음이온세제에는 또한 C8-C18아실살코시네이트(예 나트륨 라우로일살코시네이트), 이세티온산으로 에스테르화된 분자에 8-18개의 탄소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고급지방산의 반응 생성물의 나트륨 및 칼륨염, C8-C18아실 N-메틸타우라이드의 나트륨 및 칼륨염, 예컨대 나트륨코코일메틸타우레이트 및 칼륨스테아로일메틸타우레이트가 포함된다.
양성계면활성제는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탄소원자 약 8-20개의 장쇄와 카복시, 설포, 설페이토 같은 음이온성 수용화기등을 함유하는 지방족 아민 유도체를 포함한다. 이들중에는 일반식의
Figure kpo00004
의 N-장쇄알킬아미노카복실산과 일반식 RN(R1COOM)2의 N-장쇄알킬 아미노디카복실산(여기서 R은 장쇄 알킬기이며, R1은 아미노산의 아미노부분과 카복실부분을 연결시켜 주는 2가 라디칼이며(예컨대 C1-4의 알킬렌라디칼), M은 수소 또는 염형성금속이며, R2는 수소 또는 또 다른 일가치환분(예 ; 메틸 또는 기타 저급알킬치환분)이다. 특수 세제의 예에는 N-알킬-베타-아미노프로피온산 ; N-알킬-베타-아미노디프로피온산 및 N-알킬, N, N-디메틸글리신이며, 알킬기는 예컨대 코코 지방알콜, 라우릴알콜, 미리스릴알콜(또는 라우릴-미리스틸혼합물), 수소첨가탤로우알콜, 세틸, 스테아릴 또는 이런 알콜의 혼합물로부터 유래될 수 있다. 치환 아미노프로피온산과 이미노디프로피온산은 나트륨 또는 다른 염 형태로 자주 공급되며 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특수 양성 세제는 나트륨-3-도데실아미노프로피오네이트 및 나트륨-3-도데실아미노프로판설포네이트이다.
본 발명자는 또한 비이온계면활성제 및 수불용성 양이옹 유연제와 함께 제제중에 포함된 양성계면활성제가 비이온, 양성세제의 종류 및 그 두계면활성제의 배합비에 따라 클라우드점을 약 5-40℃까지 올려주는 역할을 한다는 것도 발견하게 되었다. 따라서, 세제 조성물을 고온의 세탁수와 함께 예컨대 80-100℃세탁수 온도에서 사용하려할 경우 양성계면활성제의 첨가가 바람직한 경우가 많으며, 몇몇 예에서, 예컨대 전해질 부하량이 특히 높은 경우, 클라우드점을 세탁온도보다 높게 유지시키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또한, 비이온/양성계면활성에 혼합물은, 비이온 계면활성제만을 동일량 사용한 것과 비교했을때 예상밖으로 향상된 세척 성능을 갖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컨대 양성세제로서 카복시에틸화고급지방알킬이미다졸을 사용하는 경우, 비이온 세제 50-90%를 양성세제 약 10-40%로 대치시켜 주면 동일하거나 우수한 유연성능(세탁온도에 의존)과 세척성능이 얻어질 수 있다.
양성세제의 양은, 다른 특정성분 예컨대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성질 및 양은 물론 조성물의 사용목적 및 특성에 따라 광범위하게 달라진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총조성물의 약 0.5-30%, 바람직하게는 2-20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양성세제는 세척효능면에서 비이온세제와 상승적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제조성물중 비이온세제와 양성세제의 총량은 조성물의 1-20%, 특히 5-10%까지 크게 감소될 수 있다. 양성세제에 대한 비이온세제의 비는 특히 중요하지는 않으나 주어진 양의 비이온세제에서 클라우드점은 양성세제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양성세제에 대한 비이온세제의 비가 약 1 : 4-6 : 1, 바람직하게는 1 : 2-5 : 1,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2-4 : 1이면 향상된 세척성능 및 유연성능(비이온세제의 클라우드점을 세탁온도 이상으로 올리는 것이 필요)을 제공해준다. 또한 상기한 양 및 비내에서 혼합 비이온/양성계면활성제혼합물은 양이온 4급 암모늄유연 화합물과 잘 양립한다.
소위 이들 조성물의 활성성분외에, 다른 중요한 성분은 충전제염(들) 및 수분이다. 충전제염은 생성물의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며, 일반적으로 유속을 개선시키고 점착성이 되는 경향을 막아준다. 또 생성물이 세탁수 중에서 쉽게 용액이 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유용한 충전제염을 황산나트륨, 바람직하게는 무수물상태의 황산 나트륨이 가장 좋다. 그러나 염화나트륨, 초산나트륨 및 상기산의 알칼리금속염을 포함한 그밖의 충전제들도 사용될 수 있으며, 운반 또는 지지작용을 하는 전분, 탈크, 실리카 및 각종 다른 충전제도 사용될 수 있다. 충전제 또는 그들의 혼합물의 비율은 5-50% 범위, 바람직하게는 10-30%,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0%범위이며, 무수황산나트륨이 충전제염인 경우, 특히 바람직하다. 수분의 비율은 보통 1-15%, 바람직하게는 5-12%, 가장 바람직하게는약 8%이다. 이런 비율이 사용된 경우 입자크기 및 수분함량의 조절에 의해, 결과 얻어진 만족하게 유동성인 미립상, 분상 또는 입상제품이 과도하게 분진상으로 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세탁제제가 어떤 형태인지, 세탁과정중 그 사용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다. 미립조성물은 세탁수중 그 농도가 약 0.05-1.5% 보통 0.1-1.2% 범위에 있도록 자동 세탁기중에 있는 세탁수중에 첨가되는 것이 보통이다. 이것이 첨가되는 물은 중간 또는 낮은 경도, 즉 탄산칼슘을 기준으로 30-120ppm인 것이 바람직하나, 그 보다 더 연수이거나 경수인 물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물의 온도는 20-100℃이며, 직물이나 세탁물이 변질이나 퇴색없이 고온에 견딜 수 있는 경우 60-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온 세탁이 바람직한 경우, 온도를 20-40℃에 둘 수 있으며, 이런 조건하에서, 생성물은 고온에서 세탁했을때 만큼 세탁되지는 못하나 양호한 세척효과 및 유연효과가 얻어진다. 상기한 세제조성물 농도에서, 세탁수의 pH는 보통 7-11, 바람직하게는 8-10이다. 상기 pH에서, 조성물은 세탁되는 세탁물이나 사람피부를 과도하게 거칠게 하지않고, 효과적으로 세척 및 유연효과 얻어지게 한다. 세탁물 : 세탁수 중량비는 보통 약 1 : 4-1 : 30 또는 1 10-1 : 30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60℃이하의 클라우드점을 갖는 7-13개의 에틸렌옥사이드 단위를 갖는 직쇄 고급지방(예, C12-C15)알콜이 비이온세제인 점을 제외하곤 동일한 조성물에 비해 적어도 60의 세탁온도에 유의하게 향상된 유연성능을 제공해준다. 이 효과는 비이온세제의 클라우드점과 유연성능 사이의 상관관계가 알려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종래 기술로부터 예측할 수 없었던 효과이다.
중량% 농도의 각종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클라우드점(℃)을 증류수 및 10% NaCl중에서 측정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 증류수 10%NaCl
C12-C15지방알콜 EO 7 : 1 43±2 〈 25
C12-C15지방알콜 EO 11 : 1 85±2 59±2
C12-C15지방알콜 EO 15 : 1 〉100 〉60
이소옥틸페놀 EO 30 : 1 〉100 〉72
노닐페놀 EO 20 : 1 〉100 72
노닐페놀 EO 15 : 1 91 70
노닐페놀 EO 8 : 1 45 30
본 발명에 따른 분말 세제-유연 조성물의 대표적인 조성물을 하기에 나타냈으며, 모든부 및 퍼센트는 중량기준이다.
조성물 A
이소옥틸페놀 EO 30 : 1(70% AI) 21.6
메타규산나트륨 8.0
삼중인산나트륨 28.0
피로인산나트륨·10H2O 24.0
오르토인산나트륨 0.5
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NTA) 8.0
디메틸 디스테아릴암모늄 클로라이드(93% AI) 8.0
기타(예 : 향료, 광학광택제, 수분등) 나머지량
오염된 직물을 조성물 A 약 100g을 사용하여 겔론당 7그레인 경도 이온을 함유하는 물 약 20l중 60℃에서 세탁했다.
세탁된 직물을 중복 세탁후 다수의 제품에 대한 4명의 전문가의 기록에 의해 유연성에 대해 평가했다. 비교용으로, 조성물 A 에서 이소옥틸페놀 EO 30 : 1대신 동일량의 이소옥틸페놀 EO 8 : 1 C12-15지방알콜 EO 11 : 1 또는 C12-15지방알콜 EO 7 : 1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곤 동일한 조성물을 제조했으며, 각 조성물을 조성물 A에서와 같은 식으로 평가했다. 각 조성물은 1-10점으로 등급을 나누었으며 "10"는 가장 높은 등급으로 동일한 세제 조성물(양이온 유연제를 포함하지 않은 것)과 헹굼사이클 첨가 유연제를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 클로라이드) 나타낸다. 여기서 조성물 A는 5-6점 이었으며 각 비교조성물은 오직 2-3점이었다.
이소옥틸페닐 EO 30 : 1을 동량의 노닐페놀 EO 15 : 1, 노닐페놀 EO 20 : 1 또는 C15-C12지방알콜 20 : 1로 치환해주었을때도 5-6점이 얻어졌다.
디메틸 디스테아릴암모늄 클로라이드를 디메틸 수소첨가디탤로우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에틸디소야암모늄 클로라이드, 디메틸스테아릴아세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20헥사데실-1-메틸-1[2-도데코일 아미도)에틸]이미다졸리늄 메틸설폰 및 그의 상응하는 브로마이드, 설페이트 및 하이드록사이드염으로 치환시켰을 때도 유사하게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상기한 조성물의 제법은 이 분야 공지되되어 있으며 특히 미국특허 4,269,722(Joshi)를 참고로 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비교적 고밀도의 증강된 비이온세제 분말이 비이온세제(색소, 향료, 광택제, 표백제 등과 같은 통상적인 소량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가 그위에 분무되어 있는 분무건조된 베이스비이드로부터 제조된다.

Claims (12)

  1. 적어도 약 60℃의 높은 세탁온도에서 수성 세탁액중에서 오염된 직물을 세척해줄 수 있는 세탁용 세제조성물로서, 상기한 높은 세탁온도 이상의 클라우드점을 갖는 수용성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 하기 일반식(Ⅲ) 및 (Ⅳ)로 표시되는 화합물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세탁직물에 유연성을 부여해줄 수 있는 수불용성 양이온 4급 암모늄 화합물로 구성되며, 이때, 양이온 화합물에 대한 비이온 계면 활성제의 중량비가 1 : 1-5 : 1범위인 세탁용 세제조성물.
    Figure kpo00005
    그리고
    Figure kpo00006
    상기식들에서, R1,R2,R5및 R6는 각기 독립적으로 C16-22장쇄지방족라디칼이며, R3,R4및 R7은 각기 독립적으로 저급 알킬라디칼이며 ; 또는 R6
    Figure kpo00007
    기일 수 있으며, 여기서 R8은 C16-C22장쇄지방족라디칼이며, R9는 C1-3의 2가 알킬라디칼이며, X는 염형성 음이온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하기 일반식(Ⅰ) 및 (Ⅱ)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조성물 :
    Figure kpo00008
    상기식들에서 R은 C8-22의 1급 또는 2급 알킬쇄이며, R1은 C4-12의 1급 또는 2급 알킬쇄이며 n과 m은 각기 평균 15-30이다.
  3. 제 2 항에 있어서, R이 C12-15알킬이며 R1이 C8-9알킬인 조성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양이온화합물이 디메틸 디스테아릴 암모늄 클로라이드인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양이온화합물이 디메틸 디스테아릴 암모늄 클로라이드인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세제 증강제염, 유기 세제증강제염, 오염현탁제, 재오염방지제, 지방아미드, 거품억제제, 소포제, 광학광택제, 염료, 색소, 블루잉제, 황변방지제, 효소, 부식방지제, pH조절제, pH완충제, 살균제, 살진균제, 방부제, 표백제, 표백 안정화제, 표백 활성화제, 향료 및 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세제첨가제가 포함되는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활성물중량기준으로
    (a) 약 5-30%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b) 약 1-20%의 양이온 유연제
    (c) 약 20-85%의 세제 증강제염
    (d) 0-약 40%의 부식방지제
    (e) 0-약 40%의 표백제 및 활성화제
    (f) 0-약 10%의 오염현탁 또는 재오염방지제
    (g) 0-약 10%의 황변방지제
    (h) 각기 0-약 2%의 광학광택제, 착색제, 블루잉제, 살균제, 살진균제 및 효소중 적어도 하나
    (i) 0-약 15%의 소포제 또는 거품억제제
    (j) 각기 0-약 5%의 pH조절제 및 pH완충제
    (k) 나머지 량의 물로 구성되어 있는 조성물.
  8. 제 4 항에 있어서, 활성물중량 기준으로
    (a) 약 7-20%의 상기한 비이온 계면활성제
    (b) 약 4-16%의 상기한 양이온 화합물
    (c) 약 35-70%의 알칼리금속 포스페이트, 폴리포스페이트, 니트릴로트리아세테이트 및 실리케이트와 그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증강제염.
    (d) 나머지량의 세제첨가제, 충전제 및 수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a) 약 14-16%
    (b) 약 6-9%
    (c) 약 60-75% 및
    (d) 나머지량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c)가 주로 나트륨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및 나트륨오르토포스페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조성물.
  10. 직물을, 제 1 항의 조성물의 수용액중에서 세탁하는 것으로 구성된, 적어도 약 60℃이상의 온도에서 수성 세탁액중에서 오염된 직물을 세척하고 유연하게 해주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세탁수 온도가 약 100℃이며, 비이온 계면활성제가 약 25-30몰의 에틸렌옥사이드와 축합된 C8-C9알킬페놀인 방법.
  12. 80-100℃의 고온에서 수성세탁액중에서 오염된 직물을 세척하는데 사용되는 세제조성물로서,
    (a) 하기 일반식(Ⅰ) 또는 (Ⅱ)의 수용성 비이온 계면활성제 적어도 하나와,
    (b) 하기 일반식(Ⅲ) 또는 (Ⅳ)의 수불용성 양이온 4급 암모늄 화합물 적어도 하나와
    (c) 조성물이 상기한 고온 이상의 클라우드점을 갖도록 해주는 양성 계면활성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 있는 세제 조성물 :
    Figure kpo00009
    상기식들에서, R은 C8-22의 1급 또는 2급 알킬쇄이며 R1은 C7-12의 1급 또는 2급 알킬쇄이며 n과 m은 각기 평균 15-30의 수이다.
    Figure kpo00010
    상기식들에서, R1,R2,R5및 R6는 각기 독립적으로 C16-22장쇄지방족 라디칼이며, R3,R4및 R7은 각기 독립적으로 저급알킬라디칼이며 또는 R6
    Figure kpo00011
    의 기이며, 여기서 R8은 C16-22의 장쇄지방족 라디칼이며 R9는 C1-3의 2가 알킬라디칼이며 X는 염형성음이온이다.
KR1019850006425A 1984-09-04 1985-09-03 세탁용 세제조성물 KR920004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4659484A 1984-09-04 1984-09-04
US646,594 1984-09-04
US646.594 1984-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2563A KR860002563A (ko) 1986-04-26
KR920004718B1 true KR920004718B1 (ko) 1992-06-15

Family

ID=24593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6425A KR920004718B1 (ko) 1984-09-04 1985-09-03 세탁용 세제조성물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JP (1) JPS6166796A (ko)
KR (1) KR920004718B1 (ko)
AT (1) AT396478B (ko)
AU (1) AU587785B2 (ko)
BE (1) BE903174A (ko)
CH (1) CH669209A5 (ko)
DE (1) DE3530464A1 (ko)
DK (1) DK403785A (ko)
FI (1) FI86741C (ko)
FR (1) FR2569717B1 (ko)
GR (1) GR852121B (ko)
IT (1) IT1182850B (ko)
LU (1) LU86066A1 (ko)
MX (1) MX162752A (ko)
NL (1) NL8502422A (ko)
NO (1) NO165247C (ko)
NZ (1) NZ213225A (ko)
PT (1) PT81067B (ko)
SE (1) SE8504061L (ko)
ZA (1) ZA8564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26350B2 (en) 2015-12-08 2020-04-21 Ecolab Usa Inc. Pressed manual dish detergen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07763A (en) * 1969-12-05 1971-09-21 Colgate Palmolive Co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laundering compositions
US4203872A (en) * 1975-08-01 1980-05-20 Flanagan John J Surfactant system
EP0000234A1 (en) * 1977-06-29 1979-0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phosphate detergent composition for fabric washing
EP0006268B2 (en) * 1978-06-20 1988-08-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shing and softening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making them
CH641833A5 (en) * 1978-12-18 1984-03-15 Bullen Chemical Co Midwest Inc Surface-active composition
DE2918364A1 (de) * 1979-05-07 1980-11-20 Henkel Kgaa Waschmittel fuer textilien
ZA837830B (en) * 1982-11-05 1985-06-26 Colgate Palmolive Co Detergent softener composition
US4873002A (en) * 1982-11-23 1989-10-10 Beecham Inc. Liquid detergent fabric conditioning compositions
SE8504661L (sv) * 1984-10-17 1986-04-18 Colgate Palmolive Co Mjukgorande och antistatisk vetskeformig detergentk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853381L (fi) 1986-03-05
FI86741C (fi) 1992-10-12
NZ213225A (en) 1988-04-29
IT1182850B (it) 1987-10-05
FR2569717A1 (fr) 1986-03-07
CH669209A5 (de) 1989-02-28
AU4699585A (en) 1986-03-13
AU587785B2 (en) 1989-08-31
LU86066A1 (fr) 1986-04-03
DK403785D0 (da) 1985-09-04
FI853381A0 (fi) 1985-09-03
DE3530464A1 (de) 1986-03-13
MX162752A (es) 1991-06-24
SE8504061L (sv) 1986-03-05
FR2569717B1 (fr) 1990-08-03
NO853465L (no) 1986-03-05
NO165247C (no) 1991-01-16
ZA856447B (en) 1987-04-29
BE903174A (fr) 1986-03-04
FI86741B (fi) 1992-06-30
NO165247B (no) 1990-10-08
GR852121B (ko) 1986-01-07
KR860002563A (ko) 1986-04-26
SE8504061D0 (sv) 1985-09-02
PT81067B (pt) 1987-10-20
AT396478B (de) 1993-09-27
IT8548516A0 (it) 1985-09-03
DK403785A (da) 1986-03-05
NL8502422A (nl) 1986-04-01
PT81067A (en) 1985-10-01
ATA257985A (de) 1993-01-15
JPS6166796A (ja) 198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5696B1 (ko) 세탁용 세제-유연제 조성물
US3762859A (en) Enhancing the apparent whiteness of fabrics by applying an effective amount of an alkali and heat stable water soluble disazo blue dyestuff fabric softening and detergent composition therefor
KR940010122B1 (ko) 안정화제를 함유하는 증강 세제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세탁 방법
JPS6052191B2 (ja) 洗剤組成物
JPH04257380A (ja) 織物処理方法及び組成物
US3897347A (en) Washing agents containing a textile softener and process of washing and softening textiles
US3607765A (en) Detergent softener compositions
JPH03121199A (ja) 非イオン洗濯用洗剤組成物
CA1331680C (en) Laundry compositions
KR930000925B1 (ko) 세탁용 세제 조성물
KR920004718B1 (ko) 세탁용 세제조성물
CA1238255A (en) Detergent compositions
JPH03128999A (ja) ビルダー配合液状洗剤組成物
JPS601918B2 (ja) 再汚染の少ない無燐洗剤組成物
CA1235860A (en) Liquid detergent fabric conditioning composition
US4806253A (en) Laundry compositions
GB2163771A (en) Wash cycle detergent-softener compositions
AU598489B2 (en) Detergent composition of improved oily soil removing capability
JP3938445B2 (ja) 洗浄剤
GB2391552A (en) A method of laundering articles
GB2201172A (en) No phosphate fabric softening and detergent composition
CA1197956A (en) Antistatic laundry treatment
JPH02113096A (ja) 繊維材料用の水含有液状洗剤
JPH10330787A (ja) 洗剤組成物
JPH0364573A (ja) 高温清浄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