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685Y1 - 녹크식 샤아프펜슬 - Google Patents

녹크식 샤아프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685Y1
KR920004685Y1 KR2019890017790U KR890017790U KR920004685Y1 KR 920004685 Y1 KR920004685 Y1 KR 920004685Y1 KR 2019890017790 U KR2019890017790 U KR 2019890017790U KR 890017790 U KR890017790 U KR 890017790U KR 920004685 Y1 KR920004685 Y1 KR 9200046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cylinder
locking sleeve
carver
spring
delivery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17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8929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다다요시 에비누마
웬 죤즈 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가게야마 도시히코,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to KR2019890017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4685Y1/ko
Publication of KR9100089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89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6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68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16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tepwise feed of writing-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녹크식 샤아프펜슬
제 1 도는 본 고안 녹크식 샤아프펜슬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반단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필심송출기구를 조립설치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있어서, 필심송출기구를 조립설치하는 도중의 상태 및 조립설치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제 4 도는 카버의 선단부가 외통의 선단가까이까지 끼워넣어져있는 제 2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제 5 도는 카버가 플라스틱재지로 된 제 3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제 6a, b 도는 각각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필심송출기구를 조립 설치하기 전 및 조립설치가 완료된 상태의 요부 단면도.
제 7a, b 도는 각각 본 고안에 있어서, 걸림슬리이브의 설명도.
제 8 도는 제 4 실시예의 요부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제 9 도는 카버가 금속재질로 사용되고 걸림슬리이브와 일체로 된 경우의 제 5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 10 도는 본 고안에 있어서, 카바의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필심송출기구
3 : 연결부재 5 : 탄성체(스프링)
6 : 선단부 7 : 앞쪽구멍부
8 : 바깥계단부 10 : 걸림슬리이브
11 : 걸림부 13 : 필심파이프
19 : 카버 19a : 선단부
19b : 플랜지부
본 고안은 필심송출기구가, 카버와 이 카버에 뒤쪽으로 탄발되는 스프링 및 앞쪽구멍부가 뒤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 슬리이브 등에 의해 외통에 조립되도록 된 녹크식 샤아프펜슬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종래의 샤아프펜슬로서는 예컨대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소 63-182182호에 기재된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는바, 이러한 종래의 샤아프펜슬을 제 1 도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외통(1)의 뒷끝으로부터 필심송출기구(2)를 끼우고 나서 이 필심송출기구(2)를 구성하는 연결부재(3)와 외통(1) 내면의 앞쪽이동방지부 사이에다 스프링(5)을 끼우고, 이어 상기 연결부재(3)에 연결설치된 선단구(6) 앞쪽의 앞쪽구멍부(7)와 그 뒤쪽의 바깥 계단부(8) 사이에 걸림슬리이브 (10)를 끼워 이 걸림슬리이브(10)의 앞끝쪽에 형성된 걸림부(11)를 상기 선단구(6)의 앞쪽구멍부(7)와 외통(1)의 앞끝사이에다 끼워 장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예에 있어서는, 필심송출기구(2)를 그 연결부재(3)와 외통(1)의 내면에 형성된 앞쪽이동방지부사이에 끼워진 스프링(5)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외통(1)의 뒤쪽으로부터 밀어넣으면, 연결부재(3)에 연결된 선단구(6)의 앞쪽구멍부(7)와 그 뒤쪽의 바깥계단부(8)사이에 끼워진 걸림슬리이브(10)의 뒷끝이 바깥계단부(8)에 의해 밀려져 걸림슬리이브(10)의 앞끝쪽에 형성된 걸림부(11)가 외통(1)의 앞쪽끝으로부터 돌출하게 되고, 이때 미는 동작을 멈추면 스프링(5)에 의해 걸림부(11)가 선단구(6)의 앞쪽구멍부(7)와 외통(1)의 앞끝사이에 끼워지게 되어 필심송출기구(2)가 외통(1)에 조립되게 된다.
즉, 이러한 종래의 예에 의하면, 외통(1)에 대해 필심송출기구(2)를 한번의 동작으로 흔들리지 않게 쉽게 조립할 수가 있고, 조립상태가 빠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걸림슬리이브(10)를 장착하는데 치구를 사용할 필요도 없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예에 있어서는, 걸림슬리이브(10)의 외경에 칫수오차가 생기기 쉬워, 걸림슬리이브(10)의 외경이 커지게 되면 외통(1)의 앞끝부내로 끼우기가 어렵게 되고, 외경이 너무 작으면 외통(1)으로부터 쉽게 빠지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외통(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 필심송출기구(2)를 끼워넣게 되면 아무래도 필심송출기구(2)의 축체가 흔들리게 될 뿐만 아니라, 걸림슬리이브(10)와 선단구(6)의 외경 A사이에 흔들림이 있기 때문에 축체가 외통(1)의 앞끝내경에 걸리게 되어 외통(1) 내로 필심송출기구(2)를 원활하게 조립해 넣을 수가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스프링(5)가 앞쪽이동방지부에 받쳐지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스프링(5)이 안정되게 지지되기가 어려워 필심송출기구(2)가 외통(1)에 견고히 조립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조립전, 후의 취급에 있어 걸림슬리이브(10) 및 스프링(5)을 잃어버릴 염려가 있게 되는 등의 문제도 있게 된다.
이에 본 고안 녹크식 샤아프펜슬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제 1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통(1)의 뒤쪽끝으로부터 필심송출기구(2)를 끼워넣어 조립하도록 된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필심송출기구(2)를 구성하는 연결부재(3)의 선단구(6)에 일체로 연결설치된 앞쪽구멍부(7)의 어깨턱(12)과 그 뒤쪽 선단구(6)의 바깥계단부(8) 사이에 걸림슬리이브(10)가 끼워지면서 이 걸림슬리이브(10)의 앞끝쪽에 형성된 걸림부(11)가 선단구(6)의 앞쪽구멍부(7)와 외통(1) 앞끝사이에 끼워지고, 외통(1)과 필심송출기구(2) 사이에 카버(19)가 설치되면서 이 카버(19)의 앞끝부위(19a)가 상기 걸림슬리이브(10)와 외통(1)의 앞끝부위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한편, 이 카버(19)의 뒷끝과 연결부재(3) 사이에는 스프링(5)이 설치된 구조로 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고 구성된 본 고안은, 필심송출기구(2)를 그 연결부재(3)와 필심송출기구(2)를 감싼 카버(19)사이에 끼워진 스프링(5)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외통(1)의 뒤쪽으로부터 밀어 넣으면, 연결부재(3)에 연결설치된 선단구(6)의 앞쪽구멍부(7)와 그 뒤쪽의 바깥계단부(8)사이에 끼워진 걸림슬리이브(10)의 뒷끝이 바깥계단부(8)에 의해 밀려져 걸림슬리이브(10)의 앞끝쪽에 형성된 걸림부(11)가 외통(1)의 앞끝으로부터 돌출하게 되고, 이때 미는 동작을 멈추게 되면 상기 걸림부(11)가 선단구(6)의 앞끝구멍부(7)와 외통(1)의 앞끝사이에 끼워지는 한편 걸림슬리이브(10)와 외통(1)의 앞끝부위사이에 카버(19)의 앞끝부위(19a)가 끼워지는 상태로 되어, 필심송출기구(2)가 외통(1)내에 조립되어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고안 녹크식 샤아프펜슬의 제 1 실시예 구성을 반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제 2 도는 제 1 도로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의 필심송출기구를 조립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에서의 필심송출기구를 조립하는 도중의 상태 및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단면도로서, 이들 도면에서 참조부호 1은 외통이고, 2는 이 외통(1)의 뒷끝쪽으로부터 끼워넣어지는 필심송출기구이다.
이 필심송출기구(2)는 종래의 공지된 것과 같이, 필심파이프(13) 뒷부위를 녹크하면, 이 필심파이프(13)에 연결설치된 척(14)을, 척링(15)이 이 척링(15)에 대해 그 뒷 끝에 닿아 있는 연결부재(3)와 필심파이프(13) 앞끝사이에 끼워진 척조임스프링(16)에 대항하거나 그 탄발력에 의해 개폐시켜, 필심파이프(13)내의 필심(18)이 연결부재(3)에 나사결합 등으로 연결설치된 선단구(6)의 앞쪽구멍부(7)앞끝으로부터 소정길이만큼씩 조출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필심송출기구(2)를 구성하는 연결부재(3)에 연결설치된 선단구(6)의 앞쪽구멍부(7)와 그 뒤쪽의 바깥계단부(8)사이에는 걸림슬리이브(10)가 끼워지면서 이 걸림슬리이브(10)의 앞끝쪽에 형성된 걸림부(11)가 상기 앞쪽구멍부(7)의 어깨턱(12)과 외통(1)의 앞끝사이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앞끝부위(19a)가 걸림슬리이브(10)와 외통(1)의 앞끝부위사이에 끼워지는 금속제 카버(19)가 필심송출기구(2)의 앞쪽을 감싸도록 장착되어 있는바, 이 카버(19)의 뒷끝부위에 형성된 플랜지부(19b)와 연결부재(3)사이에는 예컨대 스프링(5) 또는 쿠션슬리이브가 끼워져 있다.
참조부호 20은 척(14)과 필심파이프(13)를 연결하는 이음부재이고, 21은 앞쪽구멍부(7) 내에 설치된 고무팩킹, 22는 캡, 23은 클립, 24는 지우개고무받침대, 25는 지우개고무자켓, 26은 지우개고무, 27은 녹크캡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서 필심송출기구(2)를 외통(1)에다 조립할려면, 필심송출기구(2)를 그 연결부재(3)와 필심송출기구(2)의 앞쪽을 감싼 카버(19)의 플랜지부(19b)사이에 설치된 스프링(5)의 탄발력에 대항해서 외통(1)의 뒤쪽으로부터 밀어넣으면, 연결부재(3)에 연결설치된 선단구(6)의 앞쪽구멍부(7)와 그 뒤쪽의 바깥계단부(8)사이에 끼워진 걸림슬리이브(10)의 뒷끝이 바깥계단부(8)에 의해 밀려져 걸림슬리이브(10)의 앞끝쪽에 형성된 걸림부(11)가 외통(1)의 앞끝으로부터 돌출하게 되는바, 이때 미는 동작을 멈추게 되면 걸림부(11)가 선단구(6)의 앞쪽구멍부(7) 어깨턱(12)과 외통(1)의 앞끝사이에 끼워지는 한편 걸림슬리이브(10)와 외통(1)의 앞끝부위사이에 카버(19)의 앞끝부위(19a)가 끼워진 상태로 필심송출기구(2)가 외통(1)에 조립되게 된다.
제 2 도는 필심송출기구(2)를 조립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 필심송출기구(2)를 외통(1)에다 최대로 밀어넣은 상태(제 3 도의 아랫쪽 반분 참조)에서 걸림슬리이브(10)의 걸림부(1)를 안쪽으로 휘게 하면 스프링(5)의 탄발력에 의해 카버(19)로 앞쪽이 감싸여진 필심송출기구(2)가 빠지게 된다.
제 3 도의 윗쪽 반분은 필심송출기구(2)를 외통(1)에 조립완료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외통(1)에 대해 앞쪽이 카버(19)로 감싸여진 필심송출기구(2)를 구성하는 연결부재(3)를 스프링(5)에 대항해서 밀어넣었다 놓기만 하면, 연결부재(3)에 연결설치된 선단구(6)의 앞쪽구멍부(7)와 그 뒤쪽의 바깥계단부(8)사이에 끼워진 걸림슬리이브(10)의 걸림부(11)가 선단구(6)의 앞쪽구멍부(7) 어깨턱(12)과 외통(1)의 앞끝 사이에 끼워지게 됨과 더불어, 걸림슬리이브(10)와 외통(1)의 앞끝부위(19a) 사이에 카버(19)의 앞끝부위(19a)가 끼워진 상태로 외통(1)에 필심송출기구(2)가 조립될수 있게 되므로, 필심송출기구(2)를 밀어넣었다 놓는 동작만으로 필심송출기구(2)의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고, 또 걸림슬리이브(10)와 외통(1)의 앞끝부위 사이에 카버(19)의 앞끝부위(19a)가 끼워짐과 더불어 앞쪽구멍부(7)의 어깨턱(12)과 외통(1)의 앞끝사이에 걸림슬리이브(10)의 걸림부(11)가 끼워지는 것만으로 쉽게 흔들리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외통(1)으로부터 필심송출기구(2)가 이탈하지도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슬리이브(10)의 장착은 외통(1)에다 필심송출기구(2)를 조립하기 전에 이 걸림슬리이브(10)의 가용성을 이용해서 앞쪽구멍부(7)쪽으로부터 끼움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카버(19)의 장착은 필심송출기구(2)의 앞쪽을 감싸도록 끼우기만 하면되므로, 치구를 쓸 필요가 없게 됨은 물론 앞쪽구멍부(7)가 느슨해져 필심이 부러지거나 빠져나가지도 않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걸림슬리이브(10)를 카버(19)의 앞끝부위(19a)가 감싸고 있기 때문에 걸림슬리이브(10)의 외경을 규제할 수 있고, 축체의 중심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외통(1)에 필심송출기구(2)를 쉽고 안정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 카버(19)가 설치되기 때문에 걸림슬리이브(10)의 외경에 오차가 있어도 걸림슬리이브(10)를 외통(1)의 앞끝부위내에 카버(19)의 앞끝부위(19a)와 함께 쉽게 끼워넣을 수 있게 되고, 외통(1)으로부터 빠져나갈 염려도 없게 된다.
그리고 카버(19)가 설치되어 있어서 선단구(6)의 바깥계단부(8)에 의한 계단차로 말미암은 약점이 없어지게 되고, 외통(1)의 내경과의 사이에서 필심송출기구(2)의 축체가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축체가 외통(1)의 내경에 접촉해서 걸리는 일이 없게 되어 외통(1)내로의 필심송출기구(2) 조립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우기 스프링(5)이 카버(19)에 받쳐지기 때문에 스프링(5)의 지지가 쉽고 안정되게 이루어지게 되어, 필심송출기구(2)가 외통(1)에 견고히 조립될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버(19)가 설치됨으로써 조립하기 전, 후의 취급에서도 걸림슬리이브(10) 및 스프링(5)의 분실염려가 없게 되는 등의 효과도 있게 된다.
제 4 도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카버(19)의 앞끝부위(19a)가 외통(1)의 앞끝 가까이까지 끼워넣어진 상태로 도시한 것으로, 제 1 도 내지 제 3 도에서는 외통(1)의 앞끝안쪽과 카버(19)의 앞끝부위(19a)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형성되도록 되어있으나,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카버(19)의 앞끝부위(19a)가 외통(1)의 앞끝내면과 접촉하거나 또는 걸림부(11)의 폭 X(제 7a 도 참조)보다 작게되어 있다. 이렇게 외통(1)의 앞끝내면과 카버(19)의 앞끝부위가 접촉되나 걸림부(11)의 폭 X보다 작게됨으로서, 외통(1)에 필심송출기구(2)가 원활히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외통(1)의 앞끝부위의 벽두께 등에 오차가 없다면 제 4 도로 도시된 본 제 2 실시예쪽이 외통(1)에 필심송출기구(2)을 조립하기가 보다 쉽다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에는 금속제 카버(19)를 사용하도록 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제 5 도는 카버를 플라스틱제로 된 것을 사용한 제 3 실시예로서 필심송출기구가 조립되기 전의 상태 및 조립도중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제 6a, b 도는 각각 이 제 3 실시예에서 필심송출기구(2)를 조립되기 전의 상태 및 조립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인바, 이 제 3 실시에에서는 카버(19)가 플라스틱제로 되어 있다는 점 외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마차가지로 구성되어 같은 작용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는 걸림슬리이브(10)를 금속제로 한 경우의 예로서, 이는 두께를 얇게 할 수는 있고, 또 제 7a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릿(28)을 형성시키면 가요성이 향상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걸림슬리이브(10)를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만들어도 좋은데, 이 경우에는 제 7b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슬릿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제 7c 도는 걸림슬리이브(10)을 성형으로 형성시킨 예로서, 슬릿(29)을 1 개 이상 형성시킨 경우이다.
이와 같이 걸림슬리이브(10)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또는 고무등으로 만들어져도 좋으므로 재질은 상관이 없다. 또 걸림슬리이브(10)에 슬릿이 형성되거나 형상되지 않아도 상관없는바, 만일 슬릿이 형성되지 않는 경우에는 비교적 탄성을 가진 재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8 도는 제 4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것으로, 제 4 실시예는 걸림슬리이브(10)와 카버(19) 및 스프링(5)을 성형방법으로 일체로 형성시킨 경우의 예인바, 이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 작용효과가 있는 외에 부품의 갯수가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제 9 도는 제 5 실시예의 요부를 도시한 것으로, 카버(19)와 걸림슬리이브(10)가 일체로 구성된 예이고, 제 10 도는 본 고안에서의 카버(19)의 정면도로서, 참조부호 30은 걸림부(11)쪽에 형성된 절결홈이다.
이 제 5 실시예에서는 걸림슬리이브(10)와 카버(1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와 마찬가지 작용효과가 있는 외에, 제 4 실시예에 비해 부품이 1개 늘기는 하지만 역시 부품수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제 1 제 5 실시예에서 제 6a 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필심송출기구(2)가 카버(19)로 싸인 기구전체를 제 6 도(bS)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외통(1)내에다 뒤쪽으로부터 조립해 넣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외통(1)에 대해 필심송출기구(2)를 한번이 조작으로 흔들리지 않도록 쉽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된 필심송출기구(2)가 빠질 염려도 없고, 걸림슬리이브(10)의 장착에 치구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앞쪽구멍부(7)가 느슨해져 필심이 부러지거나 빠지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음은 물론, 걸림슬리이브(10)에 카버(19)의 앞끝부위(19a)가 감싸져 있기 때문에 걸림슬리이브(10)의 외경을 규제할 수 있어 축체의 중심이 쉽게 정할 수가 있어 외통(1)에 필심송출기구(2)를 쉽고 안정되게 조립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카버(19)가 설치됨으로써 걸림슬리이브(10)의 외경이 어긋나게 되더라도 걸림슬리이브(10)를 외통(1)의 앞끝부위내에다 카버(19)의 앞끝부위(19a)와 함께 쉽게 끼워넣을 수가 있고, 또한 외통(1)으로부터 빠질 염려도 없게 된다.
그리고 카버(19)가 설치됨으로써 걸림슬리이브(10) 및 걸림부(11)의 외경에 오차가 생기지 않도록 규제해서 칫수의 안정화를 꾀할 수 있고, 더구나 걸림슬리이브(10)와 선단구(6) 외경 A 사이에 흔들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외통(1)의 내경과의 사이에서 필심송출기구(2)의 축체가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축체가 외통(1)의 앞끝내경에 걸리지 않아 원활히 외통(1)내로 필심송출기구(2)를 조립해 넣을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스프링(5)을 카버(19)의 플랜지부(19b)가 받쳐주기 때문에 스프링(5)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가 있어서 필심송출기구(2)를 외통(1)에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버(19)가 설치되어 있어서 조립전·후의 취급에 있어 걸림슬리이브(10) 및 스프링(5)을 분실할 염려도 없는 등의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외통(1)의 뒷끝으로부터 필심송출기구(2)를 끼워넣어 조립하도록 된 녹크식 샤아프펜슬에 있어서, 필심송출기구(2)를 구성하는 연결부재(3)의 선단구(6)에 일체로 연결설치된 앞쪽구멍부(7)의 어깨턱(12)과 그 뒤쪽에 위치하는 선단구(6)의 바깥계단부(8)사이에 앞끝쪽에 형성된 걸림부(11)가 상기 선단구(6)의 앞쪽구멍부(7)와 외통(1)의 앞끝사이에 끼워지도록 걸림슬리이브(10)가 끼워지고 상기 외통(1)과 필심송출기구(2)사이에는 카버(19)가 그 앞끝부위(19a)가 상기 걸림슬리이브(10)와 외통(1)앞끝부위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카버(19)의 뒷끝과 연결부재(3) 사이에는 스프링(5)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크식 샤아프펜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버(19)의 뒷끝부위에 스프링(5)을 받쳐주는 플랜지부(19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크식 샤아프펜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슬리이브(10)와 카버(19)가 일체로 되고, 그 뒤에 스프링(5)이 별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크식 샤아프펜슬.
  4. 제 1 항에 있어서, 외통(1)의 앞끝내면과 카버(19)의 앞끝부위(19a)가 상호접촉하거나 또는 그들 사이가 걸림부(11)의 폭 X보다 작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크식 샤아프펜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슬리이브(10)와 카버(19) 및 스프링(5)이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녹크식 샤아프펜슬.
KR2019890017790U 1989-11-29 1989-11-29 녹크식 샤아프펜슬 KR9200046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7790U KR920004685Y1 (ko) 1989-11-29 1989-11-29 녹크식 샤아프펜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17790U KR920004685Y1 (ko) 1989-11-29 1989-11-29 녹크식 샤아프펜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929U KR910008929U (ko) 1991-06-27
KR920004685Y1 true KR920004685Y1 (ko) 1992-07-13

Family

ID=19292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17790U KR920004685Y1 (ko) 1989-11-29 1989-11-29 녹크식 샤아프펜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468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8929U (ko) 199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93815B2 (en) Propelling pencil
EP0806305A1 (en) Side-knock mechanical pencil
KR920004685Y1 (ko) 녹크식 샤아프펜슬
US6935799B2 (en) Stick-like object receiving member and barrel provided with stick-like object receiving member
KR900010160Y1 (ko) 녹크식 샤아프펜슬
US5165813A (en) Container with snap-in chuck and chuck ring
JPH0732129Y2 (ja) ノ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CN112841142B (zh) 钓竿
JP7241523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及び出没式筆記具並びにシャープペンシル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860003286Y1 (ko) 샤아프 펜슬
JP4736219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S5852958Y2 (ja) シヤ−プペンシル
JP2018140512A (ja) 筆記具の尾栓取付構造
JPS5852153Y2 (ja) シヤ−プペンシル
KR0119113Y1 (ko) 흔들어식 샤아프펜슬
US4806038A (en) Knock type mechanical pencil connection
KR870002713Y1 (ko) 샤아프 펜슬
JP3596823B2 (ja) 中通し竿のトップガイドおよび中通し竿
KR200215741Y1 (ko) 필기구의 뒷마개 부착구조
JPS59240Y2 (ja) シヤ−プペンシル
JP3870908B2 (ja)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プペンシル
KR880000972Y1 (ko) 샤아프 펜슬
KR910001044Y1 (ko) 흔들어식 샤아프펜슬
KR200224607Y1 (ko)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분필펜
JP2000085294A (ja) 筆記具等のクリップ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