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972Y1 - 샤아프 펜슬 - Google Patents

샤아프 펜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972Y1
KR880000972Y1 KR2019850005937U KR850005937U KR880000972Y1 KR 880000972 Y1 KR880000972 Y1 KR 880000972Y1 KR 2019850005937 U KR2019850005937 U KR 2019850005937U KR 850005937 U KR850005937 U KR 850005937U KR 880000972 Y1 KR880000972 Y1 KR 8800009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end cap
inner end
tip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5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1698U (ko
Inventor
히데헤이 가게야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수한양행, 윤휘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수한양행
Publication of KR8600116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16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9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972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샤아프 펜슬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1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내부선단캡과 필심파이프에 대한 부분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고안에 따른 내부 선단캡과 필심파이프에 대한 제2실시예의 부분 종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B선 단면도.
제6도는 본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부분 평면도이다.
*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외통 2 : 내부선단캡
2a : 나선결합부 3 : 필심송출기구
4 : 필심파이프 4a : 회전방지스톱퍼
5 : 걸림홈 6 : 와셔
7 : 경사돌기부 8 : 필심
9 : 안내파이프 10 : 고무팩킹
11 : 리이드 척 12 : 척링
13 : 스프링 14 : 슬릿(slit)
본 고안은 샤아프 펜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과정을 간소화하여 작업 능률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고 필기도중에 필심파이프가 회전 한다거나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토록한 샤아프 펜슬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샤아프 펜슬의 제작공정과 조립과정을 간소화시키기 위해 외통 안쪽벽에다 턱이나 혹은 걸림구멍을 형성시키고 이곳에다 필심송출기구의 일부를 걸려지도록 한 샤아프 펜슬이 개발되어 있으나, 스톱퍼를 외통걸림구멍등에다 끼워넣게 되는 경우에는 필심파이프를 속에 끼워넣으면서 상기 스톱퍼를 누르게 되는 가느다란 관모양의 조립기구가 필요하게 되어 조립능률이 나빴다.
또 종래의 샤아프 펜슬은 필심저장파이프의 회전방지기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필심파이프 후단을 손으로 돌리던가 하면 리이드척에 끼워 잡혀져 있는 필심과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서 필기자에게 신경을 쓰이게 한다던지 필기할때 필심파이프가 흔들리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제반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심파이프 선단에 장착된 와셔를 외통이나 내부선단캡의 경사부에 걸리게 고정시켜 필심파이프의 흔들림을 방지하고 조립능률의 향상을 꾀하는 한편, 필심파이프의 회전을 확실하게 방지하도록 한 샤아프 펜슬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그 목적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내에는 그 선단부근에 형성된 나선결합부(2a)에 의해서 고정되어지는 내부선단캡(2)과 상기 내부선단캡(2)에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설치되고 필심송출기구(3)를 구비하고 있는 필심파이프(4)가 넣어져 있다.
상기 내부선단캡(2)에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심파이프(4)의 회전을 방지하가 위한 회전방지돌기(4a)와 걸려맞춰지는 걸림홈(회전방지걸림부, 5)이 형성되어 있고, 그 선단 부근에는 다음에 설명될 와셔(6)가 걸리게 되는 경사돌기부(7)가 돌설되어 있고, 또 상기 내부선단캡(2)의 선단부에는 필심(8)을 보호하는 필심안내파이프(9)와 필심(8)에다 일정한 마찰력을 주도록된 고무패킹(10)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필심파이프(4)의 내부선단캡(2)쪽 끝에는 필심송출기구(3)가 장착되어 있는바, 이 필심송출기구(3)는 필심파이프(4)의 선단에 끼워 맞춰져서 필심을 집어잡는 리이드척(11)과 상기 리이드척(11)의 머리를 바깥둘레에서 감싸 상기척을 죄어주는 척링(12), 상기 척링(12)의 후단에 맞닿게 되면서 슬리이브기능까지도 겸하는 와셔(6) 및 상기 와셔(12)와 필심파이프(4) 사이에 설치되어 척을 죄어주기 위한 스프링(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필심파이프(4) 선단과 와셔(6) 사이의 거리(11)와 스프링(13)이 눌려질때 압축되는 거리, 즉 스프링 압축거리(X) 및 노크작용 누름시에 리이드척(11)의 선단이 앞쪽으로 이동하는 거리(L2) 사이에는 L2L1-X의 관계가 있게된다.
따라서 필심송출기구(3)를 내부선단캡(2)에 삽입한다음 필심파이프(4)를 노크로 누르면 스프링(13)이 좀더 밀리게 되어 상기 필심파이프(4)의 선단에 의해 스프링(13)이 밀착지지되어 밀려지고, 와셔 돌기부(6a)가 경사돌기부(7)를 밀어서 경사돌기부 간격을 넓히는 형태로 필심파이프(4) 및 내부선단캡(2)이 전진하므로 와셔돌기부(6a)는 상기 경사돌기부(7)에 확실하게 걸리어 고정되게 된다. 이때 경사돌기부(7)의 후방측은 선단쪽을 향하여 점차로 좁아지는 형태로 완만하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 와셔돌기부(6a)가 부드럽게 경사돌기부(7)를 밀어 넓히면서 전진할 수 있게되고, 한편 경사돌기부(7)의 전방측은 뒷쪽을 향해서 점차 좁아지는 형태로 급하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 경사돌기부(7)의 적당한 곳에서 와셔돌기부(6a)가 걸려 고정되므로 필심파이프(4)의 흔들리는 일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경사돌기부(7)가 넓혀지는 동작을 보다 확실히하기 위해서는 제2도의 예상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선단캡(2)에 슬릿(14)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또 제1도,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필심파이프(4)의 선단 바깥둘레에는 내부선단캡(2)의 걸림홈(5)에 걸어 내부선단캡(2)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회전방지돌기(4a)가 돌설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본 고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우선 필심송출기구(3)를 내부선단캡(2)의 후단으로 부터 삽입한다음 필심파이프(4)를 노크작동으로 누르면 상기 필심파이프(4)가 스프링(13)의 탄발력에 저항하여 전진하면서 스프링(13)을 밀착될 때까지 눌러 밀착시키게 된다. 이렇게 되면 밀착되어진 스프링이 와셔(6)를 밀어 이동시키게 되어 조립고정시에 별다른 조립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와셔돌기부(6a)를 경사돌기부(7)에 걸리도록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그다음에는 내부선단캡(2) 및 필심파아프(4)를 제1도에서와 같이 외통(1)에다 고정시키면 샤아프 펜슬의 조립공정을 끝마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내부선단캡(2)을 외통(1)에 고정한 다음 위에서 설명한 조작을 시도할 수도 있다. 그리고 필심파이프(4)의 회전방지스톱퍼(4a)는 내부선단캡(2)의 걸림홈(5)에 걸어 맞추어져 있게 되므로서 상기 필심파이프(4)의 회전을 확실하게 방지시킬 수 있고,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와셔(6)도 일정한 위치로 정확하게 안내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는 필심파이프(4)에 회전방지스톱퍼(4a)를 형성시키는 대신 내부선단캡(2)의 후단 및 필심파이프(4)의 선단을 각각 다각형 형상(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6각형으로 하였음)으로 된 회전방지 걸림홈(5) 및 회전방지스톱퍼(4a)를 형성시켜 필심파이프(4)의 회전을 방지하게 한 제2실시예로서,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제6도 및 제7도는 내부선단캡을 사용하지 않고, 외통(1)에다 직접 걸림홈(5) 및 경사돌기부(7)를 형성시킨 제3실시예로서, 이 실시예도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가질뿐만 아니라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7도에 있어서는 경사돌리부(7)에 와셔돌기부(6a)를 확실하게 걸리도록 하기 위해 슬릿(14)을 외통(1)에 형성시킨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필심파이프 선단에 장착된 필심송출기구의 와셔를 외통 또는 내부선단캡의 경사돌기부에 걸리게 고정시키므로서 필심파이프의 흔들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조립능률을 향상시킬 수가 있으며, 더욱 필심파이프의 일부에 내부선단캡의 회전방지 스톱퍼와 걸어 맞추어지는 회전방지 걸림홈을 설치하므로서 필심파이프의 회전이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외통(1) 또는 상기 외통(1)내에 고정되는 내부선단캡(2)에 형성되어서 와셔가 걸려지도록 경사돌기부(7)를 갖춘 걸림홈(5)과, 상기 외통 또는 내부선단캡(2)내에 미끄러져 움직이도록 설치된 필심파이프(4), 상기 필심파이프(4)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필심송출기구(3) 및 상기 필심송출기구(3)의 일부로서 경사돌기부(7)에 걸리어 고정되는 와셔(6)로 이루어진 샤아프 펜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선단캡(2)은 장홈 또는 다각형이 회전방지 걸림홈(5)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선단캡(2)내에 설치된 필심파이프(4)에는 내부선단캡(2)의 회전을 방지하는 걸림홈(5)에 걸어 맞추어지도록 돌기 또는 다각형의 회전방지 스톱퍼(4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아프 펜슬.
KR2019850005937U 1985-03-29 1985-05-21 샤아프 펜슬 KR88000097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046159U JPH0413199Y2 (ko) 1985-03-29 1985-03-29
JP60-46159 1985-03-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1698U KR860011698U (ko) 1986-10-04
KR880000972Y1 true KR880000972Y1 (ko) 1988-03-17

Family

ID=3056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5937U KR880000972Y1 (ko) 1985-03-29 1985-05-21 샤아프 펜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13199Y2 (ko)
KR (1) KR880000972Y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636B2 (ko) * 1973-08-17 1977-01-28
JPS523636U (ko) * 1975-06-24 1977-01-11
JPS59240U (ja) * 1982-06-24 1984-01-05 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温度ヒユ−ズ
JPS59153283U (ja) * 1983-04-01 1984-10-15 ぺんてる株式会社 シヤ−プペンシルの振れ止め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162493U (ko) 1986-10-08
KR860011698U (ko) 1986-10-04
JPH0413199Y2 (ko) 199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3786A (en) Rotary-cam ball-point pen
KR0120875Y1 (ko) 측방녹크식 샤아프펜슬
JPH10166783A (ja) ダブルチャック式シャープペンシル
KR100350835B1 (ko) 측방녹크식 볼펜
KR880000972Y1 (ko) 샤아프 펜슬
US4929107A (en) Swing-type mechanical pencil
KR850002099Y1 (ko) 샤아프펜슬용 이중필심파이프식 카트리지
KR880001954Y1 (ko) 샤아프펜슬의 필심 송출기구
JPH0415513Y2 (ko)
EP0538503B1 (en) A rotary-cam ball-point pen
JPS5832948Y2 (ja) オシダシシキシヤ−プペンシル
JPH0440953Y2 (ko)
KR200215741Y1 (ko) 필기구의 뒷마개 부착구조
KR930003576Y1 (ko) 플로터용 샤아프펜슬
JPH0566280B2 (ko)
JPH07290880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US2563128A (en) Friction tube construction
JPH078237Y2 (ja) ノック式筆記具
KR870002710Y1 (ko) 샤아프 펜슬
KR970003358Y1 (ko) 샤아프펜슬의 슬라이더
JPH0721388U (ja) 棒状物繰り出し容器
JPH0539916Y2 (ko)
JPS5852153Y2 (ja) シヤ−プペンシル
KR920004683Y1 (ko) 필기구의 클립걸림장치
US20020031393A1 (en) Cap fixing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