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649B1 - 가이던스(guidance)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가이던스(guidance)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649B1
KR920004649B1 KR1019880009491A KR880009491A KR920004649B1 KR 920004649 B1 KR920004649 B1 KR 920004649B1 KR 1019880009491 A KR1019880009491 A KR 1019880009491A KR 880009491 A KR880009491 A KR 880009491A KR 920004649 B1 KR920004649 B1 KR 920004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switch
guidance
determination means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685A (ko
Inventor
마사히로 우시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시끼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전기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890010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6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7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using the raster scan of a cathode-ray tube [CRT]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member, e.g. light pens cooperating with CRT moni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Multi Process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가이던스(guidance)의 표시장치
제 1 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이던스 표시장치의 기능구성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가 적용되는 무정전 전원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실시예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 4 도는 종래의 가이던스 표시장치를 포함시킨 모니타링(monitoring)장치의 기능 구성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표시장치의 표시예를 표시한 도면.
제 6 도는 제 2 도의 종래 동작을 표시한 플로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A/D 변환기 3 : 비트입력기
4 : 시스템상태판정수단 5 : 다음조작판정수단
6 : 표시용데이터변환수단 7 : CPU
8 : 표시장치 9 : 다음조작판정수단
30 : 동작방향판정수단
이 발명은 조작자에 대하여 실행할 조작을 화면표시시켜 설명하는 가이던스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그 시스템의 상태 판정에 관한 것이다. 제 4 도는 일본국 특원소 61-266218호에 표시된 모니타링(monitoring)장치에 대한 기능 구성도이다.
모니타링 장치의 기능으로서는, 조작 가이던스 표시, 계측치 표시가 있으나, 이 도면에서는 이 발명에 관한 조작가이던스 장치에 한정시켜 설명한다. 도면에서, 1은 가이던스 장치에 실행시키는 기능을 지정하는 스위치, 2는 대상 시스템의 계측치 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기, 3은 대상 시스템의 운전상태등의 상태신호를 입력시키는 비트입력기, 4는 이 비트입력기(3)에서 얻어진 대상 시스템의 상태신호로부터 그 상태를 판정하는 시스템판정수단, 5는 시스템판정수단(4)에 의하여 판정된 시스템 상태에서 조작자가 다음에 행할 조작을 판정하는 다음 조작판정수단, 6은 다음조작판정수단(5)에 의하여 판정된 다음조작정보를 대응하는 가이던스 메시지(guidance message)로 변환시키는 표시용 데이터 변환수단, 7은 스위치(1)에 의하여 지정된 기능과 A/D 변환기(2)나 비트입력기(3), 표시용 데이터 변환수단(6)에 의하여 얻어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연산하는 CPU, 8은 CPU(7)의 연산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이다.
또 제 2 도는 이 장치가 적용되는 무정전 전원장치를 표시한 것인데, 도면에 있어서, 교류입력단자(27)에 공급된 본래의 교류입력은 스위치(21)를 통하여 정류기(23)에 공급되며 이 정류 출력은 인버터(24)에 의하여 교류로 변환되고, 스위치(25a), 출력(29)를 통하여 부하에 공급됨과 동시에 스위치(22)를 통하여 베터리(28)의 충전에 사용된다. 또, 바이페스입력(26)에 상기 교류입력과는 별도의 교류를 입력함으로써 이 무정전 전원장치의 고장시, 점검시등인 경우에도 부하에 대한 교류 공급을 정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이 바이페스 입력은 스위치(20) 및 (25b)를 통하여 부하에 공급된다.
다음에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장치를 제 2 도에 표시한 무정전 전원장치의 기동, 정지의 조작가이던스에 적용시킨 경우를 생각해 본다.
제 5 도는 이때 제 4 도의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가이던스메뉴(guidance menu)를 표시하고 있으며, 가이던스 기능으로서, 스타트(기동), 스톱(정지)이외에 통상의 교류입력과 바이페스 입력의 절환 작작수순을 표시하는 트랜스퍼, 베터리의 충전조작수순을 표시하는 차지(charge) 바이패스 입력의 투입 수순을 표시하는 바이페스의 가이던스가 있지만, 다음의 설명에서는 상기 기동가이던스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먼저 조작원이 무정전 전원장치를 기동하기 위한 조작 가이던스를 얻기 위하여 제 5 도에 표시된 가이던스 메뉴중에서 스위치 Ⅰ의 기동가이던스를 선택한다. 기동가이던스가 선택된 것은 스위치 Ⅰ의 입력에 의하여 CPU(7)에서 판단하고, 이후 다음 조작판단수단(5)은 기동방향에만 판정하도록 설정된다.
다음, 기동가이던스를 실제로 얻기까지의 동작을 시스템 상태판정수단(4), 다음 조작판정수단(5), 표시용 데이터 변환수단(6)을 제 6 도의 플로차트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6 도에서, A/D 변환기(2)로부터 전압, 전류의 계측치의 디지털 신호와 비트 압력기(3)로부터 스위치(20), 스위치(22)의 온/오프 상태의 신호를 입력한다(스텝 30). 여기서 온시는 H신호, 오프시는 L신호를 스위치(20), (21), (22)가 출력한다.
입력된 상태 신호와 전회 샘플링한 상태의 신호의 비교에 의하여 상태신호의 변화를 판단한다.(스텝 31). 시스템에 변화가 없다고 판단되면 스텝(36)으로 이행하고 현재와 같은 가이던스 메시지를 표시한다.
시스템의 상태 변화를 검출하면은 스텝(32A), 스텝(32B), 스텝(32C)로 진행하며, 시스템의 상태에서 다음 조작을 판정한다. 가령 스텝(32A)에서 모든 스위치가 오프로 판정되면 스텝(32A)로 진행하여 "다음 조작 온 스위치(20)를 온"이 된다.
다음 스텝(34)에서는 "스위치(20)를 온"의 가이던스 메시지를 작성하고 스텝(35)에서 현상태로 기억시킨 후 스텝(36)에서 가이던스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 모든 스위치가 오프 아닌 경우 "스위치(20)만 온 인가"를 판단하고(스텝 32B) Yes의 경우는 다음 조작을 "스위치(21)온"으로 판정하여 가이던스 메시지를 작성하며(스텝 33B, 스텝 34) No의 경우 "스위치(20), (21)가 온인가"를 판단하여(스텝 32C) Yes의 경우 다음 조작을 "스위치(22)온"으로 판정하여 가이던스 메시지를 작성한다(스텝 32C, 스텝 34).
종래의 장치에서는, 기동시에 조작가이던스와 정지시의 조작가이던스가 독립하여 존재하고 조작자가 조작가이던스를 얻기 위하여는 기동시와 정지시에 따라서 가이던스메뉴로부터 조작가이던스를 선택하는 조작이 필요하였다. 이 때문에 조작자의 기동/정지시의 판단착오나 가이던스의 선택 착오등으로 인하여 잘못된(역방향의) 조작가이던스를 얻게 됨으로써 오조작의 우려가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스템 동작 방향 판정수단을 구비하여 대상 시스템의 동작 방향을 판정하고, 기동시와 정지시의 양방향의 조작 가이던스를 표시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이던스 메뉴에 의한 기동시와 정지시의 조작을 불필요하게 하고 상술한 판정착오나 선택착오로 인한 오조작이 방지되는 가이던스 표시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한 가이던스 표시장치는 종래의 조작가이던스장치의 판정수단에 대상시스템에 부가하여 현재 상태신호와 과거 상태신호에 의하여 대상 시스템의 동작의 이행하는 방향을 판정하는 동작방향 판정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이 발명의 가이던스 표시장치는 상기 동작방향 판정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대상 시스템의 이행하는 방향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조작자가 대상시스템의 운전상태를 판정하지 않아도 대상시스템의 동작 이행방향에 대하여 확실한 조작가이던스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 1 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가이던스 표시장치를 표시한 것인데, 이 도면에 있어서, 2는 대상 시스템의 관측점에 있어서 계측치등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기, 3은 대상 시스템의 상태신호를 입력시키는 비트입력기, 4는 이 비트입력기(3)에 의하여 입력된 시스템의 상태신호와, A/D 변환기(2)에 의하여 얻어진 디지털 신호로부터 대상시스템의 상태를 판정하는 시스템판정수단, 30은 시스템상태판정수단(4)에 의하여 판정된 상태에서 대상시스템의 이동하는 동작방향을 판정하는 동작방향판정수단, 5는 이동작방향 판정수단(4)에 의하여 판정된 시스템 동작의 이행하는 방향에 있어서 요구되는 다음 조작을 판정하는 다음 조작판정수단, 6은 다음 조작판정수단(5)에 이하여 판정된 다음의 조작을 가이던스메시지로서 표시용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표시용 데이터변환수단, 7은 시스템판정수단(4), 동작방향판정수단(30), 다음조작판정수단(5), 표시용데이터변환수단(6)등의 일련의 제어를 하는 CPU, 8은 CPU(7)의 연산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이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 장치를 제 2 도에 표시한 무정전 전원장치의 기동, 정지의 조작가이던스에 적용시킨 경우를 생각해 본다.
무정전전원장치의 조작가이던스는 시스템판정수단(4), 동작판정수단(30), 다음 조작판정수단(5), 표시용데이터변환수단(6)에 의하여 제 3 도의 플로차트에 표시한 것과 같이 판정된다.
제 2 도에 있어서, 무정전전원장치의 기동은 스위치(20), 스위치(21), 스위치(22)의 순으로 행하며, 정지는 스위치(22), (21), (20)의 순으로 행하는 것으로 한다.
제 3 도에 있어서, 우선 A/D변환기(2), 비트입력기(3)로부터 스위치(20), (21), (22)의 상태신호를 입력한다(스텝 10). 입력된 상태신호와 전변회에서 샘플링된 상태 신호의 비교에 의하여 상태신호의 변화를 판단한다(스텝 11).
시스템에 상태변화 없음이 판단되면, 스텝(17)으로 분기하여 현재와 동일한 가이던스 메시지를 표시한다.
시스템에 상태변화 있다고 판단되면, 스텝(12A), 스텝(12B), 스텝(12C)에 있어서 스텝의 상태를 판정한다.
가령, 스텝(12A)에 있어서, "모든 스위치가 오프"라고 판정되면 스텝(13A)으로 진행하여 스위치(20)의 동작방향 이행 방향을 판정을 한다.
스텝(13A)에서는 전회 샘플링환 상태신호와 현재의 상태신호중에서 스위치(20)에 대한 상태신호의 배타적 논리화를 취하여 결과가 "0"이면 전회스위치(20)는 오프상태이었으므로 기동방향으로의 이행으로 판정하고 결과가 "1"이면 스위치(20)는 온 상태이므로 정지방향으로의 이행으로 판정한다.
여기서 스위치(20)의 동작방향을 판정하는 것은 기동과 정지에 대한 스위치(20), 스위치(21), 스위치(22)의 조작순으로 표시한 전제조건하이며, 스텝(13A)의 상태에서는 다음 조작으로서는 스위치(20), 전 조작도 스위치(20)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텝(13B)의 상태에서는 다음 조작은 스위치(21), 전조작은 스위치(21)이기 때문에 스위치(21)의 동작 방향의 판정을 행하며, 스텝(13C)에서는 다음 조작은 스위치(22), 전조작도 스위치(22)이기 때문에 스위치(22)의 동작 방향의 판정을 행한다.
마찬가지로 스텝(12B)에서 "스위치(20)만 온"이라고 판정되면 스텝(3B)에서는 스위치(21)에 대한 상태신호의 변화를 전회스위치(21)가 오프상태이면 기동방향으로 이행하고, 온 상태이면은 정지 방향으로의 이행으로 판정한다. 또 스텝(12C)에서 "스위치(20), (21)이 온"으로 판정되면은 스텝(13C)에서는 스위치(22)에 대한 상태신호의 변화를 판정하고 전회스위치(22)가 오프상태이면은 기동방향으로의 이행, 온 상이면은 정지방향으로의 이행으로 판정한다. 다음 스텝(14)에서, 시스템의 동작이 행방향에 대한 다음 동작을 판정한다. 예를 들면, 스텝(13A)에서, 시스템이 기동방향으로 이행하고 있다고 판정되면은 "스위치(20)만을 온", 정지방향으로 판정되면은 "시스템정지"로 판정된다. 마찬가지로, 스텝(13B)의 판정결과에 의하여 기동방향이면 "스위치(21)을 온" 정지방향이면 "스위치(20)을 오프", 또는 스텝(13C)의 판정 결과에 의하여 기동방향이면 "스위치(22) 온" 정지방향이면 "스위치(21)오프"가 된다. 또한 스텝(15)에 있어서, 판정된 다음 조작에 대응되는 가이던스 메시지를 작성하며 가이던스 메시지에 대응되는 표기 코드를 작성한다. 다음에, 스텝(16)에 있어서 현재의 상태신호를 변화전의 상태신호로서 기억시켜 다음 회 이후의 판정에 대비한다. 스텝(17)에서는 스텝(15)에서 작성된 가이던스 메시지를 표시장치(8)에 표시, 출력시킨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무정전 전원장치에 적용시킨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다른 시스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가지며 또 가이던스 표시를 목적으로 한 것 뿐만 아니라 상태판정에 관한 다른 시스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발명에 의한 가이던스 표시장치에 의하면, 시스템 동작 방향 판정수단을 갖추어서 대상시스템의 동작 방향을 판정하여 조작시의 가이던스 표시를 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조작가는 장치의 운전 상황을 의식하지 않고 다음 조작에 대응된 가이던스 메시지가 얻게 됨으로써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또 조작이 가이던스의 종류 선택용 스위치도 불필요하게 되어 염가의 장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조작자의 조작에 따라 상태천이를 생기게 하는 시스템에 대하여 다음에 해야할 조작을 메시지 형식으로 표시하는 장치로서, 대상시스템의 상태를 입력시키는 비트입력기와, 이 비트입력시에 얻어진 신호로 대상 시스템의 상태를 판정하는 시스템상태판정수단과, 이 시스템판정수단에 의하여 판정된 상태에서 대상시스템의 동작방향을 판정하는 동작 방향판정수단과, 이 동작방향판정수단에 의하여 판정된 상태에서 조작자가 다음에 해야할 조작을 판정하는 다음조작판정수단과, 이 다음조작판정수단에 의하여 판정된 다음 조작을 표시하기 위한 문제데이터를 변환시키는 표시데이터 변환수단과, 이들의 일련의 수단의 실행을 제어하는 CPU와, 이 CPU에서 문제데이터로서 출력되는 조작가이던스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이던스 표시장치.
KR1019880009491A 1987-12-16 1988-07-27 가이던스(guidance)의 표시장치 KR9200046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318185 1987-12-16
JP62318185A JPH01159755A (ja) 1987-12-16 1987-12-16 ガイダンス表示装置
JP?62-318185 1987-12-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685A KR890010685A (ko) 1989-08-10
KR920004649B1 true KR920004649B1 (ko) 1992-06-12

Family

ID=18096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9491A KR920004649B1 (ko) 1987-12-16 1988-07-27 가이던스(guidance)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01159755A (ko)
KR (1) KR920004649B1 (ko)
CA (1) CA1307592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436B1 (ko) * 2001-08-09 2008-10-20 주식회사 포스코 간지 삽입장치의 간지코일 에지부 종이가루 흡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159755A (ja) 1989-06-22
KR890010685A (ko) 1989-08-10
CA1307592C (en) 199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87503A (en) Running data central display arrangement for motor vehicles and the like
EP0403273B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ransmission for vehicles
EP0115178B1 (en) Digital controller
KR920004649B1 (ko) 가이던스(guidance)의 표시장치
US6529858B1 (en) Method of controlling step switches
JPH09219936A (ja) 充電制御方法とそれを用いた充電制御装置
JP2910041B2 (ja) スイッチ開閉状態モニター装置
JPS63120309A (ja) モニタリング装置
JP3180880B2 (ja) アナログ−ディジタル変換装置の監視回路と監視方法
JPS5739413A (en) Numerical control device equipped with supply voltage diagnostic function
KR0169623B1 (ko) 펜을 입력수단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시스템의 배터리 잔류전원 검출장치 및 그 방법
JPS5821281B2 (ja) 演算装置
JPS632881Y2 (ko)
JP2715589B2 (ja) センサー切替装置
JPS62129725A (ja) ロ−ドセル式秤
JPH08272514A (ja) アナログ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
KR850000341B1 (ko) 공정제어용 제어기
JPH07153635A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の異常監視装置
KR0164361B1 (ko) 무선호출기에서 건전지 전압상태 표시장치 및 방법
JPS5866101A (ja) 制御装置
JPH09283347A (ja) 負荷時タップ切換変圧器のタップ位置検出装置
JPH0556556A (ja) 電動機の電流表示兼用過電流保護装置
JPH0526908A (ja) 保護リレーの電流検出回路
JPS5854803A (ja) スイツチ要素の制御装置
JPH0758654B2 (ja) 負荷時タップ切換変圧器のタップ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5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