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561B1 - 텔레비젼신호의 움직임 검출회로 - Google Patents

텔레비젼신호의 움직임 검출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561B1
KR920004561B1 KR1019890008202A KR890008202A KR920004561B1 KR 920004561 B1 KR920004561 B1 KR 920004561B1 KR 1019890008202 A KR1019890008202 A KR 1019890008202A KR 890008202 A KR890008202 A KR 890008202A KR 920004561 B1 KR920004561 B1 KR 920004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correlation
inter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8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1263A (ko
Inventor
이사오 나까가와
사다오 구보따
도오루 스자끼
도시미쯔 오자와
마사하루 야오
히로시 이또
요시테루 스즈끼
다쯔오 시바따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미쓰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미다 가쓰시게, 미쓰비시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시기 모리야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00001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1/00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11/06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 H04N11/20Conversion of the manner in which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are combined, e.g. conversion of colour television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20Analysis of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144Movement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Conversion between an interlaced and a progressive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텔레비젼 신호의 움직임 검출회로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검출회로의 1실시예의 블럭도.
제 2 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비월/비비월신호 변환회로의 블럭도.
제 3 도는 필드간 보간의 동작과 필드내 보간의 동작을 설명한 도면.
제 4 도 a 내지 d는 한계수직해상도를 갖는 신호의 플리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5a,b 도는 한계수직해상도의 신호와 중간 또는 저해상도의 신호의 필드간 차를 비교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6 도는 본 발명에서의 비선형 처리회로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
제 7 도는 본 발명에서의 합성회로의 1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제 8 도 및 제 9 도는 제 7 도의 합성회로내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
제 10 도는 본 발명에서의 합성회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제 11 도는 제 10 도의 합성회로내의 특성을 도시한 도면.
제 12 도는 제 1 도의 실시예의 회로에 부가하는 회로의 블럭도.
제 13 도는 본 발명에 있어서 필드간 상관검출 회로부의 실시예의 블럭도.
제 1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월/비비월신호 변환회로의 1실시예의 블럭도.
제 15 도는 본 발명에 적용된 비월/비비월신호 변환회로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
제 16 도, 제 17a,b 도는 본 발명의 회로에 있어서 시공간 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입력단자 2 : 필드메모리
4 : 감산기 6 : 정류회로
7 : 비선형처리회로 8 : 출력단자
11 : 라인메모리 18 : 합성회로
22 : 가산기 23 : 혼합기
26 : 움직임량 검출회로 27,28 : 시간축 압축기
29 : 전환회로 31 내지 33 : 합성회로의 입력단자
56 : 고립점 제거회로 69 : 색신호처리회로
본 발명은 화상의 움직임 또는 이동검출회로에 관하여, 특히 텔레비젼신호를 비월주사에서 순차(또는 비비월)주사로 하는 주사의 비월순차(또는 비비월)변환을 위한 움직임 적응형 주사선보간에 적당한 움직임 검출회로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본, 미국, 캐나다, 한국 및 대만에서 사용되고 있는 컬러텔레비젼신호는 NTSC 방식이다. NTSC 신호는 2필드의 화상으로 1프레임의 화상을 구성하는 비월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의 향상과 함께 라인 플리커등의 비월이 현저히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텔레비젼학회 전국대회 논문예고집, 49~52페이지(1986.8) "IDTV와 디지탈 기술"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움직임 적응형 비월/비비월 변환에 의한 비월장해를 제거하는 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움직임 적응형 비월/비비월변환의 1예가 제 2 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2 도에 있어서, 입력단자(19)에서, 예를 들면 휘도신호가 입력된다. 입력된 휘도신호는 한편으로 필드메모리(20)에 의해 263H(H : 1수평주사주기)만큼 지연되고, 다른 한편으로 라인메모리(21)에 의해 1H만큼 지연된다.
제 3 도는 비월방식에 있어서 필드의 수평주사선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 3 도에 있어서, 가로는 시간, 세로는 화면의 수직위치(또는 수평주사선)를 각각 나타낸다. 여기서 입력된 휘도신호가 제 n번째 라인의 정보라고 하면 라인 메모리(21)의 출력은 (n-1)번째 라인의 정보이고, 필드메모리(20)의 출력은 (n-263)번째 라인의 정보이다.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이 정지(또는 고정)화상인 경우 (n-263)번째라인의 정보에 따라 n번째 라인과 (n-1)번째 라인의 중간의 위치에서 정보를 보간하고, (n-263)번째라인과 (n-264)번째 라인의 중간위치에는 (n-526)번째 라인의 정보를 보간하는 처리에 의해 비비월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신호처리를 필드간 보간이라 한다. 즉, 정지 화상의 경우는 2개의 인접 필드간의 신호의 상관이 매우 높기 때문에 앞의 필드의 신호를 그 다음 피드의 라인사이에 보간하여 완전한 화상을 재생할 수 있다. 제 2 도에 도시한 회로에 있어서 비비월신호는 입력단자(19)의 비월신호와 필드메모리(20)의 출력 신호를 각각 시간축 압축기(27),(28)을 통과시켜 전환회로(29)로 양신호를 1수평주사 주기마다 교대로 출력하는 방식으로 얻는다.
상술한 상기 비월/비비월변환에 의해서 정지화상의 비월장애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필드주기보다 빠른 정지(또는 이동)화상에 있어서는 화상의 위치편차가 인접필드간에 존재하므로 상술한 필드간 보간은 2중화상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어 화질을 저하시킨다. 움직임 화상부분에는 같은 필드내의 인접한 상하 주사선의 정보의 평균값에 의해 보간신호를 발생한다. 이것을 필드내 보간이라 한다.
제 2 도에 도시한 회로에 있어서, 가산기(22)가 상하의 라인 정보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평균값으로 표시된 신호는 전환회로(29)에 의해 입력단자(19)의 비월신호의 라인사이에 삽입된다. 혼합기(23)은 필드메모리(20)의 출력(또는 정지화상의 보간신호)과 가산기(22)의 출력(또는 움직임 화상의 보간신호)을 혼합하기 위해 마련된다. 그 2개의 보간신호의 혼합비율은 움직임의 정도(양)에 따라 제어된다. 즉, 움직임이 큰 경우에는 가산기(22)의 출력의 혼합비율을 매우 크게 하고, 움직임이 작은 경우에는 필드메모리(20)의 출력의 혼합비율을 크게 한다. 이와같이 화상의 움직임에 따라 보간신호를 산출하는 비월/비비월변환을 움직임 적응형 비월/비비월변환이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움직임 적응형 변환을 행하기 위한 움직임 양의 검출은 프레임간의 상관성을 판정하여 행한다. 즉, 필드메모리(20)의 출력신호는 필드메모리(24)에 의해 262H 만큼 더 지연되므로 필드메모리(24)의 출력신호는 (n-525)번째 라인의 정보이다. 따라서, 감산기(25)에서는 1프레임차의 신호사이의 감산을 수행한다. 서로 감산된 신호사이의 상관이 높을 경우에는 신호사이의 차가 적고, 상관이 낮을 경우에는 크기 때문에움직임량 판정회로(26)은 감산기(25)의 출력의 절대값이 크면 움직임이 있다고 판정되고, 작으면 움직임이 없다고 판정한다. 혼합기(23)의 입력신호(또는 필드메모리(20)의 출력신호 및 가산기(22)의 출력신호)의 혼합비율은 움직임량 판정회로(26)에 의해 판정된 결과에 따라 제어되어 보간신호를 생성한다.
텔레비젼신호 회로의 움직임 검출회로의 다른 예는 1984년 9월 14일 소니(주)에 의해 일본에 일본에 특허출원되고, 1986년 4월 11일에 공개된 공보 JP-A-61-70882,1986년 8월 26일에 일본 Victor(주)에 의해 일본에 특허출원되고, 1988년 3월 10일에 공개된 공보 JP-A-63-56088 및 1986년 10월 6일 에 히다찌(주)등에 의해 일본에 특허출원되고, 1988년 4월 21일에 공개된 공보 JP-A-63-90987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기술은 한계수직해상도(525TV 선)에 가까운 해상도를 갖는 정교한 화상의 영상신호를 재생하는 경우에 문제점이 생긴다. 한계수직해상도에 가까운 해상도를 갖는 신호가 미소한 움직임을 포함하는 경우(예를 들면, 화상이 카메라의 진동에 의해 생기는 미소한 상하 움직임을 포함하는 경우)를 고려한다. 움직이는 화상으로 판정되면 필드내(라인사이)보간이 실행되고, 한계수직 해상도에 가까운 신호부분의 화상이 격력하게 플리커되어 화질이 저하된다.
예를 들면, 제 4a 도에 도시한 한계수직해상도를 갖는 큰 진폭신호(525개의 흑백수평선)의 경우, 전 필드(예를 들면, (n-263)번째 라인, (n-262)번째 라인 등)는 백의 정보를 포함하고, 현재 필드(예를 들면, (n-1)번째 라인, n번째 라인 등)는 흑의 정보를 포함하나. 정지화상의 필드간 보간이 수행되면 연속적인 라인의 한계수직해상도를 갖는 신호가 흑백정보를 교대로 포함하며 제 4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떤 필드에 대해 정확히 재생된다. 한편, 움직이는 화상의 필드내 보간이 수행되면, 전의 필드는 제 4c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의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라인에 신호를 공급하고 동시에 현재 필드는 제 4d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흑의 정보를 포함하는 모든 라인에 신호를 공급한다. 결국 1필드 주기마다 흑백신호가 화면에 교대로 표시된다.
따라서 한계해상도에 가까운 움직이느 화면의 보간처리(필드내 보간)는 플리커를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카메라가 수직방향으로 미소진동하는 경우, 제 5a 도에서 명백한 것과 같이 주사선 사이의 약간의 위치 편차(예를 들면 1/3정도)가 프레임간의 매우 큰 차를 발생한다. 따라서, 움직임 큰 움직임 화면으로 판정하여 필드간 보간에 대한 필드내 보간의 비율을 크게 하고, 필드간에서 플리커를 발생하면 화질이 현저하게 저하된다.
역으로 필드간 보간을 필드간 차가 큰 상술한 경우를 포함하는 모든 경우에 적용하면 한계수직해상도 이하의 해상도를 갖는 화상으로 표시되는 보통의 작은 진폭신호가 움직일 경우에는 2중 화상과 같은 실제적으로 질이 나쁜 화상이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보통의 움직임 화상의 경우에 있어서 2중 화상등의 화질 저하를 발생하지 않고 한계수직해상도에 가까운 신호의 플리커를 크게 줄이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필드간 상관값에 따라서 프레임간 상관의 검출감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한게수직해상도 또는 그것에 가까운 해상도를 갖는 신호가 제 5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드간 상관이 적다(또는 필드간 큰차)는 현상을 이용하고, 동시에 화면이 미소하게 움직일 때 제 5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 또는 저해상도를 갖는 보통의 신호가 필드간 상관이 크다(또는 필드간 적은 차)라는 현상을 이용한다.
필드간 상관은 인접 필드간의 서로 근접한 라인 사이의 차를 검출하여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며, 제 4a 도의 n번째 라인과 (n-263)번째 라인의 신호사이의 차가 결정되면 필드간의 상관이 작기 때문에 필드간의 큰 차가 출력된다. 예를 들면, 제 4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계해상도에 가까운 해상도를 갖는 신호의 경우 또는 큰 진폭의 움직임 화상의 경우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필드간 큰 차가 검출되면, 필드메모리(20)의 출력에 대한 가산기(22)의 출력(필드내 보간신호)의 비율을 작게 하기 위해 움직임량 판정회로(26)의 출력이 혼합기(23)에서 제어된다. 즉, 프레임간의 차(또는 프레임간의 상관)에 의해 움직임량 판정회로의 출력이 임의적으로 결정되고, 또한 움직임량 판정회로의 출력특성(또는 감도특성)이 필드간의 상관(또는 필드간의 차)값에 의해 변화된다. 따라서, 한계수직해상도에 가까운 해상도를 갖는 큰 진폭신호의 경우 움직임 검출감도가 낮기 때문에, 미소한 움직임도 정지화상으로 판정된다. 따라서 필드간 보간이 수행되어 플리커가 크게 감소된다. 한편, 움직이는 화상의 경우에 있어서, 즉 큰 진폭신호가 큰 움직임을 갖는 경우는 충분히 큰 프레임간의 차가 발생되기 때문에 정지화상으로 오판정하지 않는다. 또한 작은 진폭신호의 경우에 있어서, 움직임 검출감도는 필드간의 적은 차로 발생되기 때문에 높다. 따라서 작은 진폭신호가 크게 움직이는 경우에도 움직임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1 도에 있어서 (1)은 입력단자, (2)는 입력시호를 263H 만큼 지연시키는 제 1 필드메모리, (3)은 제 1 필드메모리(2)의 출력을 262H 만큼 더 지연시키는 제 2 필드메모리, (4)는 입력단자(1)의 입력신호와 제 2 필드메모리(3)의 출력신호를 감산하는 제 1 감산기, (5)는 제 1 감산기(4)의 출력의 고주파성분을 제거하는 제 1 저역필터 LPF, (6)은 제 1 LPF(5)의 출력신호의 절대값(또는 진폭)을 구하는 제 1 정류회로, (7)은 제 1 정류회로(6)의 출력신호를 비선형으로 처리하여 움직임량과 같은 비선형출력을 산출하는 비선형처리회로, (8)은 출력단자, (9)는 입력단자(1)에서 입력신호의 수평방향 윤곽(또는 진폭의 변화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검출하는 대역필터 BPF, (10)은 BPF(9)의 출력신호의 절대값을 구하는 제 2 정류회로, (11)은 입력단자(1)의 입력신호를 1H 만큼 지연시키는 라인메모리, (12)는 라인메모리(11)의출력과 입력을 감산하는 제 2 감산기, (13)은 제 2 감산기(12)의 출력의 고주파성분을 제거하는 제 2 LPF, (14)는 제 2 LPF(13)의 출력신호의 절대값을 구하는 제 3정류회로, (15)는 제 1필드메모리(2)의 입력신호와 그것의 출력신호사이의 차를 구하는 제 3 감산기, (16)은 제 3 감산기(15)의 출력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제 3 LPF, (17)은 제 3 LPF의 출력신호의 절대값을 구하는 제 4 정류회로, (18)은 제 2, 제 3 및 제 4정류회로(10), (14) 및 (17)의 입력신호에 의해 비선형처회로(7)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합성회로이다.
제 1 감산기 (4)에서는 프레임간 차의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프레임간 차의 신호는 컬러 부반송파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컬러 부반송파 성분이 제 1 LPF(5)에 의해 제거되고, 컬러 성분이 제거된 부반송파의 차신호가 제 1 정류회로(6)에 입력된다. 따라서, 제 1 정류회로(6)은 제 1 LPF(5)의 절대값을 구하여 출력한다. 결국 저주파신호 성분의 프레임간 상관이 결정된다. 한편 BPF(9)는 컬러 부반송파를 포함하지 않는 윤곽 성분의 신호가 출력되어 제 2 정류회로(10)에 교대로 입력된다. 따라서, 제 2 정류회로(10)은 수평방향의 진폭변화량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한다. 제 2 감산기(12)는 컬러 부반송파 성분을 포함하는 라인간 차신호를 출력한다. 컬러 부반송파 성분은 제 2 LPF(13)에서 제거되어 컬러 부반송파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라인간 차신호는 제 3 정류회로(14)에 입력된다. 따라서 제 3 정류 회로(14)는 수직방향의 진폭변화량의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 3 감산기(15)는 263H 떨어진 필드간 차신호를 출력하여 제 3 LPF(16)에 입력된다. 필드간 차신호에 포함도니 컬러 부반송파 성분은 제 3 LPF(16)에 의해 제거되어 컬러 부반송파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차신호가 제 4 정류회로(17)에 입력된다. 따라서, 제 4 정류회로(17)은 263H 떨어진 신호사이의 진폭변화량을 표시하는 신호, 즉 필드간 상관신호를 출력한다.
BPF(9)와 정류회로(10)으로 구성된 수평방향의 윤곽신호를 검출하는 회로부와 라인메모리(11), 감산기(12), LPF(13) 및 정류회로(14)로 구성된 필드내(또는 라인간 ) 상관신호를 검출하는 회로부는 본 발명의 움직임 검출회로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적절한 조건에서, 플리커와 2중 화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회로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합성회로(18)은 제 2 ,3 및 4 정류회로(10),(14) 및 (17)의 출력에 따라 비선형 처리회로(7)의 입출력 특성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비선형처리회로(7)의 특성은 제 6 도의 예와 같은 제어 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합성회로의 출력신호레벨 ℓ이 최소일 때, 비선형처리회로(7)은 제 6도의 a로 표시된 입출력특성을 나타낸다. 즉, 비선형처리회로(7)의 입력신호레벨 (또는 제 1 정류회로(6)에서 인가된 입력신호레벨)이 A의 값으로 될때까지 비선형처리회로(7)의 출력신호는 0(즉, 상반은 높고, 움직임량은 0)이다. 입력신호 레벨이 A보다 크면 비선형처리호로(7)의 출력레벨은 점점 증가하여(즉, 상관은 점점 낮아지고 움직임량은 점점 커진다) 결국 포화된다. 합성회로(18)의 출력신호레벨 ℓ이 커지면 비선형처리회로(7)의 임계값 A(또는 출력 신호레벨이 0으로 떨어진 입력레벨)가 제 6 도의 b,c 및 d와 같이 점점 커진다. 즉, 합성회로(18)이 출력신호레벨과 같이 큰 레벨신호(또는 큰 프레임간 차신호)가 비선형회로(7)에 입력되는 경우에는 움직임이 있다고 판정하지 않는다.
비선형처리회로의 출력을 예를 들면 제 2 도의 혼합기(23)에 인가하여 가산기(22)의 출력에 대한 필드메모리(20)의 출력의 비를 제어하면 한계수직해상도의 신호나 보통의 신호에 대해서 플리커 및 2중화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비선형처리회로(7)을 제어하는 합성회로(18)은 상술한 3개의 정류회로(10),(14)( 및 (17)의 어느 하나의 출력이 큰 경우, 큰 출력이 생성하도록 설계해도 좋다. 합성회로(18)의 실시예는 제 7 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 7 도에 있어서, (31), (32) 및 (33)은 정류회로(10),(14) 및 (17)의 출력신호가 각각 입력되는 합성회로의 입력단자를 나타낸다. (34,) (35) 및 (36)은 각각 입력된 신호의 이득을 조정하기 위한 계수기를 나타낸다. (37)은 계수기(34),(35) 및 (36)의 출력을 혼합하기 위한 혼합기 (38)은 혼합기(37)의 출력을 비선형처리하는 비선형처리회로, (39)는 합성회로(18)의 출력단자를 각각 나타낸다. 3개의 계수의 (34), (35) 및 (36)은 각각의 입력신호의 이득을 변화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들면, 한계수직해상도 근방의 미소한 플리커를 허용하여도 2중화장등에 의한 화질의 저하는 가능한 한 크게 억제하는 경우에는 계수기(34), (35) 및 (36)의 이득을 제 8 도에 도시한 계수기(35)의 입축력 특성 e의 이득보다 낮은 계수기(36)의 입출력특성 f의 이득으로 설정한다. 역으로 미소한 2중 화상은 허용하여도 플리커를 가능한 크게 억제하는 경우에는 계수기(36)의 입출력 특성의 이득을 계수기(35)의 입출력특성의 이득보다 높게 한다. 혼합기(37)은 가산기 또는 최대값 선택수단에 의해 3개의 입력신호를 1개의 신호로 혼합한다. 비선형 처리회로(38)은, 예를 들면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선형 특성 g를 마련하기 위해 설정된다. 제 9 도에 있어서, 입력레벨이 입계값 B이하인 부분에서는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것은, 예를 들면 미소한 잡음에 의한 변화를 제 1 도에 도시한 비선형처리회로(7)의 제어특성을 방지하는 수단이다. 또한 제 9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성이 포화되어 있는 부분이 제 1도의 비선형 처리회로(7)의 제어 가변단수에 필요한 비트수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합성회로(18)에 의해 신호선수를 줄이기 위해서 마련된다. 디지탈 제어의 경우에 있어서, 비선형처리회로(7)은 움직임량 검출출력을 연속적이 아닌 단계적인 이산값으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출력 ℓ을 0(정지화면)에서 1(움직임 최대)까지의 영역을 통하여 1/8단위로 출력한다. 상기 단계의 이산값의 수는 상술한 가변제어단수이다. 이 제어단수를 단계적 이산값보다 큰 비트수로 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선형 처리회로(38)의 출력(제 9 도에 도시)은 포화된 부분을 갖는다.
제 10 도는 합성회로(18)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 10 도에 있어서, (40),(41) 및 (42)는 입력단자 (31), (32) 및 (33)에서 각각 인가된 비선형 입력신호를 처리하기 위ㅎ나 비선형처리회로이다. 각 비선형처리회로 (40), (41) 및 (42)는 제 8 도에 도시한 특성을 갖는다. 제 10 도에 도시한 구조에 의하여, 입력단자(31), (32) 및 (33) 인가된 입력신호는 비선형처리되어 비트수를 감소시켜 혼합기(37)에 인가된다. 따라서 혼합기(37)의 회로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비선형처리회로(41)과 (42)가 제 11도와 같은 특성 h 및 i를 각각 갖도록 설정하면 제 8 도와 같이 계수기(35) 및 (36)의 특성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경우의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1 도에 있어서 비선형처리회로(41) 및 (42)의 특성 h와 i 상승점 (C,D), 기울기 및 포화레벨이 모두 서로 다르더라도 이들의 어느하나 또는 조합된 2개를 변화시켜 플리커의 저하 또는 2중 화상의 저하와 같은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복잡한 화상의 경우에 있어서, 정류회로(10)과 (17)의 각 출력값이 각 화소에 대해 크게 변한다. 따라서, 합성회로(18)의 출력을 그대로 비선형처리회로(7)에 입력하면 비선형 처리회로(7)의 출력이 자주변화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인접한 화소에 대해 아주 다른 보간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재생 화상이 부자연스러운 상태로 표시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고 또는 제 1 도의 비선형처리회로(7)의 출력이 서로 근접하거나 가까운 화소사이에서 갑자기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12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회로를 제 1 도를 도시한 실시예의 합성회로(18)과 비선형처리회로(7)사이에 삽입해도 좋다. 제 12 도에 있어서, (43)은 입력단자, (44)는 평활 회로, (45)는 클리핑회로, (46)은 출력단자를 나타낸다. 합성회로(18)의 출력신호는 입력단자(43)에서 평활회로(44)로 입력된다. 평활회로(44)는 LPF로 구성되어도 좋다. 평활회로(44)에 입력된 신호는 평탄한 신호로 변환된다. 필요하다면 비트수를 더욱 줄이기 위해 마련된 클리핑 회로 (45)로 비트수를 줄인다. 클리핑회로(45)의 출력신호가 제 1 도의 비선형처리회로(7)에 공급되어 비선형처리회로(7)을 제어한다.
제 1 도의 실시예에서는 필드간 상관의 경우를 인접한 각 필드에서 1개의 주사선의 정보를 사용하여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필드간 상관은 1개 필드 또는 각 인접필드에 다수의 주사선의 정보를 사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검출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의 필드간 상관을 결정하는 회로를 제 13 도에 도시하였다. 제 13 도에 있어서, (47)은 LPF(16)의 출력신호를 클리핑하는 클리핑회로, (48)은 클리핑회로(47)의 출력신호의 절대값을 구하는 정류회로, (49)는 1 H 전의 신호와 262H 전의 신호사이의 차를 구하는 감산기, (50)은 감산기(49)의 출력신호에서 컬러 부반송파 성분을 제거하는 LPF, (51)은 LPF(50)의 출력신호를 클리핑하는 클리핑회로, (52)는 클리핑회로(51)의 출력신호의 절대값을 구하는 정류회로, (53)은 정류회로(52)의 출력신호와 정류회로(48)의 출력신호를 혼합하는 혼합기, (54)는 출력단자를 각각 나타낸다.
제 13 도에 사용된 2개의 클리핑회로(51) 및 (47)은 각각 LPF(50) 및 (16)의 출력신호의 비트수를 줄이기 위해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정류회로(48), (52)에서 신호를 디지탈적으로 정류할 때, 각 비트수에 필요한 배타적 OR회로의 수를 쉽게 줄일 수 있다. 정류회로(48)은 제 3도의 n번째 라인과 (n-263)번째 라인사이의 상관신호를 출력하며, 동시 정류회로(52)는 (n-1)번째 라인과 (n-263)번째 라인사이의 상관신호를 출력한다. 혼합기(53)은 2개의 필드간 상관 신호를 더하거나 최대값을 선택하여 합성한다. 출력단자(54)에 공급된 혼합기(53)의 출력신호는 제 1 도의 합성회로(18)에 제 1 도의 제 4 정류회로(17)의 출력신호 대신 입력된다.
움직임 적응형 비월/비비월신호 변환회로의 1실시예를 제 14 도에 도시했다. 제 14 도의 회로는 제 2 도의 비월/ 비비월신호 변환회로에 제 1 도의 움직임 검출회로를 적용한 것이지만 제 1 도의 (9), (10), (11), (12), (13) 및 (14)가 생략되어 있다. 제 14 도에 있어서, (19) 내지 (25) 및 (27) 내지 (30)은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고, (5) 내지 (7),(15) 및 (16)은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으며, (47) 및 (48)은 제 13 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55)는 정류회로(48)의 출력신호를 비선형처리하는 비선형처리회로, (56)은 비선형처리회로(7)의 출력신호중의 고립데이타(즉, 주위의 데이타값과 크게 다른 데이타값)를 제거하는 고립점 제거회로, (58)은 고립점제거회로의 출력신호를 263H만큼 지연하는 필드메모리, (57)은 필드메모리(58)의 입력신호와 출력신호를 더하는 가산기를 각각 나타낸다. (5) 내지 (7), (56), (57) 및 (58)은 제 2도에 도시한 움직임량 검출회로(26)의 상세한 구성예를 나타낸다.
감산기(15)는 n번째 라인신호와 (n+1)번째 라인신호의 평균값과 (n-263)번째 라인신호 사이의 차를 발생한다. 즉, 결정된 서로 1필드만큼 떨어진 신호사이의 상관의 위치는 대체로 같다. 따라서, 더욱 정확한 필드간 상관을 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9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특성을 갖는 비선형처리회로(55)로 레벨 변화를 제거한 후 필드내 상관을 위한 비선형처리회로(7)을 제어한다. 고립점제거회로(56)에 있어서, 비선형처리회로(7)에 포함된 특이신호를 제거한후 고립점제거회로(56)의 출력을 가산기(57)과 필드메모리(58)에 공급한다. 고립점을 제거하는 것은 재생화상에 대한 인간의 시각감도를 고려한 것이며, 또한 어떤 점에서 주위의 다른 점들과 아주 다른 보간처리를 한다면 시각상 부자연스러움을 느끼게 되기 때문이다. 필드메모리(58)의 출력신호(263H전의 신호)와 고립점제거회로(56)의 출력신호가 서로 가산기(57)에서 더해져서 움직임량 신호로써 혼합기(23)에 공급된다. 이 가산기(57)의 출력신호는 보간신호를 교대로 발생하는 혼합기(23)을 제어한다.
가산기(57)에서 고립점제거회로(56)의 출력신호와 263H전의 신호를 더하는 이유는 필드간 보간처리되는 신호인 263H전의 신호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움직임량을 결정할 경우에 움직임량이 정확히 검출되기 때문이다.
제 14 도에서 필드메모리(20)은 주로 프레임간 상관을 구하고, 필드간 상관을 구하며, 필드간 보간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또한 라인 메모리(21)은 주로 필드간 상관을 구하고, 필드내 보간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이용된다. 따라서 제 14 도에서 도시한 구조는 매우 합리적이며, 저가의 비월/비비월신호 변환회로를 만드는데 유리하다.
IDTV(Improved Definition Television)라 불리우는 신호처리는 움직임 적응 비월/비비월 신호 변환과 움직임적응 휘도/색신호 분리를 조합하는 것이라고 해도 좋다.
제 15 도는 IDTV가 본 발명에 따라서 움직임 검출회로와 조합된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비록 제 15 도에서 도시한 회로는 기본적으로 제 2 도에서 도시한 비월/비비월 신호 변환회로의 조합과 제 1 도에서 도시한 움직임 검출회로를 포함하지만, 휘도/색시호 분리를 위한 빗형상 필터와 시공간 필터가 부가적으로 공급된다.
제 15 도에서 (5), (6), (7), (9), (10) 및 (13)은 제 1 도에서 도시한 (5), (6), (7), (9), (10) 및 (13) 내지 (18)과 같고, (20) 내지 (23) 및 (27) 내지 (30)은 제 2 도에서 도시한 (20) 내지 (23) 및 (27) 내지 (30)과 같으며 (56)은 제 14 도에서 도시한 (56)과 같다. (59)는 복합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자를 나타내며, (60)은 1H만큼 입력신호를 지연하는 라인메모리, (61)은 감산기, (62)는 색부반송파 주파수 대역을 인출하는 BPF, (63)은 입력신호를 263H 지연시키는 필드메모리, (64)는 필드메모리(63)의 출력신호를 262H만큼 더 지연시키는 필드메모리, (65)는 감산기, (66)는 색부반송파 주파수 대역부근의 성분을 인출하는 BPF, (67)은BPF(62)의 외출력과 BPF(66)의 출력을 혼합하는 혼합기, (68)은 입력단자(59)에 공급된 입력신호에서 혼합기(67)의 출력신호를 감산하는 감산기, (69)는 혼합기(67)의 출력신호내에 포함된 색신호성분을 복조하는 처리 및 비월/ 비비월변환 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색신호처리회로, (70)은 출력단자, (71)은 그곳에 공급된 2개의 입력신호중에서 큰쪽을 선택하는 최대값선택회로, (72)는 최대값 선택회로의 출력신호를 1H만큼 지연시키는 라인 메모리, (73)은 라인메모리(72)로부터의 출력신호와 라인메모리(72)에 입력된 신호중에서 큰쪽을 선택하는 최대값선택회로, (74)는 최대값선택회로(73)의 출력신호를 감쇠시키는 감쇠기, (75)는 감쇄기(74)의 출력신호를 263H만큼 지연시키는 필드메모리를 나타낸다.
라인메모리(60), 감산기(61) 및 BPF(62)는 색신호를 선택하는 움직임 화상부에 대한 필드내 처리용 라인 빗형상 필터를 형성한다. 필드메모리(63), 필드메모리(64), 감산기(65) 및 BPF(66)은 정지 화상부에 대한 프레임간 처리용 프레임 빗형상필터를 형성한다. 회로를 단순화하기 위해, 필드 메모리(63), 필드메모리(64) 및 감산기(65)는 또한 움직임을 검출하기 위해 프레임간 상관을 구하는데 이용되고, 감산기(65)의 출력신호는 LPF(5), 정류회로(6), 비선형 처리회로(7) 및 고립점 제거회로(56)을 거쳐서 최대값 선택회로(71)에 공급되어 혼합기(23)을 제어하는 움직임량 신호로 변환된다. 이 움직임량 신호는 최대값 선택회로(71), 라인메모리(72), 최대값 선택회로(73), 감쇠기(74) 및 필드메모리(75)에 의해 형성된 재귀형 시공간 필터에 의해 처리된다. 움직임량은 최대값 선택회로(73)에 의한 필드 주사면의 상하방향과 필드메모리(75) 및 최대값 선택회로(71)에 의한 시간방향으로 확대된다. 감쇠기(74)는 확대에 미치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마련된다.
예를 들면 감쇠기(74)에 있어서, 임의의 정수가 감쇠기(74)에 공급된 입력신호로 부터 감산되거나 입력신호에 1이하의 계수를 곱하는 것이다. 이러한 재귀형 시공간 필터로 시공간적으로 인접한 움직임의 양을 이용해서 T/C(휘도/색)분리와 주사선 보간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움직임 화상을 정지화상으로 잘못 판정하는 오검출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재귀형 시공간 필터의 동작과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움직임량은 16단계로 표시되고, 감쇠기(74)는 감산기 형태로써, 예를 들면 그곳에 공급된 입력으로 부터 3을 감산하는 감산기라 가정한다. 여기서, 제 15 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최대값 선택회로(73)의 출력이 움직임량을 공급하는 경우를 고려해 보자. 제 16 도의 각 원내에 표시된 숫자는 움직임량을 표시한다. 제 16도의 경우, 최대 움직임량 15는 n번째 라인 (k번째 필드의 )에 나타난다. 감산기(74)는 최대 움직임량(15)에서 3을 감한 12을 생성한다. 따라서, (n+262)번째 라인에서 필드메모리(75)의 출력값 12는 고립점 제거회로(56)의 출력이 0이어도 최대값 선택회로(71)로부터 출력된다. 따라서, 최대값 선택회로(73)은 (n+262)번째 라인에서 12를 출력한다. 12는 또한 라인 메모리(72)에 의해 1H (또는 1 라인)만큼 더 지연되므로, 12는 또한 (n+263)번째 라인에 출력된다. 이 12는 감쇠기(74), 필드메모리(75) 및 라인메모리(72)를 거쳐서 통과되므로 9가 (n+524)번째 라인~(n+526)번째 라인의 3개 라인에 최대값 선택회로(73)의 출력으로 나타난다. 이 방법에서 시공간 필터에 의해 k번째 필드의 n번째 라인에 나타난 움직임량은 시간적으로 k번재 필드를 따라 연속적인 4개의 필드(k+1)번째 내지 (k+4)번째 피드)에 영향을 미친다. 이 영향은 특히 공간적으로는 수직방향의 4개의 상하 라인에 영향을 미친다. 감쇠기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15가 계속 유지되므로 결국 최대움직임량 15가 모든 라인에 공급된다.
상술한 것에서 명료하게 기술한 바와 같이, 임의의 점에서의 움직임량은 몇개의 필드 및 이러한 각 필드의 몇개의 상하라인에 영향을 미친다. 한편, 임의의 점은 몇개의 필드 이전에 발생한 인접 라인의 움직임량으로 사용된다.
다음에 과거에 발생된 움직임량에 의해서 오검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한다. 여기서 제 17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밝은 배경중 검은 물체가 위로부터 아래쪽으로 이동하느 경우에 고려한다. 그러면 k번째 필드내의 n 번째 라인의 휘도레벨 Yn은 배경부의 휘도레벨을 취한다. 또, 1 프레임만큼 n번째 라인보다 앞선 (n-525)번째 라인에 대한 휘도레벨 Y(n-525)는 또한 배경 부분의 휘도레벨을 취한다.
Y(n-1)과 Y(N-525) 사이의 차는 거의 0이므로, 정지부로 판정한다. 또한, 1라인만큼 n번째 라인보다 앞선 (n-1)번째 라인에 대해서 휘도레벨 Y(n-1)은 배경부의 휘도레벨을 취하고, 휘도레벨Y(n-526)은 프레임만큼 (n-1)번째 라인보다 앞선(n-526)번째 라인의 휘도레벨 Y(n-526)도 배경부의 휘도레벨을 취한다. Y(n-1)과 Y(N-526) 사이의 차는 거의 0이므로, 정지부로 판정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어느 특별한 수단이 제공되지 않는다면, (n-1)번째 라인과 n번째 라인 사이의 주사선에 대한 보간은 필드간 보간으로 되어 앞선 필드간의 주사선((n-263)번째 라인)에 대한 정보가 보간되게 된다. 그러나, 제 17b 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n-263)번째 라인은 이동 물체가 존재하는 부분에 있으므로 필드간 보간은 곤란하다.
그러나, (n-263)번째 라인에 착안하면 이 라인의 휘도레벨은 이동 물체 부분의 휘도 레벨이며, 1개의 프레임차이로(n-263)번째 라인보다 앞선 (n-788)번째의 휘도레벨은 배경부의 휘도레벨이다. 그러므로, (n-263)번째에서 프레임 간의 차는 크고, 그것에 의해 큰 움직임량이 발생한다. 제 15 도에 도시한 시공간필터를 이용하면 감쇠기(74)에 의해 감쇠된 (n-263)번째 선의 움직임량의 변형이 제 16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n-1)번째 라인 및 n번째 라인에 이용되게 된다. 따라서, 큰 움직임량은 n번째 라인과 (n-1)번째 라인에서 얻어진다. 그러므로 필드간 보간이 실행되어 (즉, n번째 라인의 정보와 (n-1)번째 라인의 정보 사이의 평균값이 많이 이용된다)오차 검출이 저감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필드사이에서 상관이 상관이작을 때(즉, 필드 사이의 차가 클 때) 검출감도를 낮추는 수단을 이용하지만,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시공간 필터는 제 17 도 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오차 검출이 있을 때 특히 효과적이다.
Y/C 분리 처리와 보간처리는 수직 방향내의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서 실행된다. 따라서, 혼합기(67) 및 (23)에 대한 제어신호는 시공간 필터내에서 다른 위치로부터 유도된다. 즉, 혼합기(67)은 최대값 선택회로(71)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되고, 혼합기(23)은 최대값 선택회로(73)의 출력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본 실시예에서 혼합기(67)은 최대값 선택회로(71)의 출력이 0인 부분이나 높은 프레임간 상관을 가지며, 정지 화상으로 간주될 수 있는 부분은 BPF(66)(즉, 프레임 빗형상 필터의 출력신호)의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최대값 선택회로(71)의 출력이 충분히 큰 부분이나 완전한 움직임 화상으로 간주될 수 있는 부분은 BPF(62)( 즉, 일련의 빗형상 필터의 출력신호)의 출력신호를 출력하며, 상기에서 기술한 2개의 부분의 중간에는 움직임의 양에 따라서 적절하게 혼합비를 변화시켜 BPF(66)과 (62)의 출력신호의 혼합된 변형을 전달하는 방법으로 혼합기(67)은 화상의 움직임에 따라서 빗형상 필터의 특성을 변화하도록 구조된다. 그런 구조에 의해 색신호는 최적의 형태로 분리된다. 감산기(68)은 입력단자(59)로 부터의 복합신호를 포함하는 색신호를 혼합기(67)의 출력신호로써 얻어진 색신호에 의해 제거하고 휘도신호를 인출하는 것이다.
라인메모리(60)과 감산기(61)은 수직방향의 진폭변화량의 검출과 라인 빗형상 필터로 겸용되고, 필드메모리(63)은 프레임 빗형상 필터와 프레임간 상관의 검출 및 필드간 상관의 검출의 3개의 처리를 위해 겸용되며, 필드메모리(64)와 감산기(65)는 프레임 빗형상 필터와 프레임간 상관의 검출의 2개의 처리를 위해 이용되고, 움직임 검출회로는 T/C 분리 및 비월/비비월 변환을 위해 이용된다. 그래서, 회로구조는 합리적으로 되며 저가로 고성능화가 달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간 상관이 작을 때 움직임량으로 프레임간 상관의 변환감도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한계수직해상도를 가진 신호의 입력시에 발생되는 플리커를 크게 저감할 수 있는 비비월 변환회로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려가지로 변경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0)

  1. 2필드의 화상의 주사를 통하여 1프레임의 화상을 구성하는 비월주사가 실행되는 텔레비젼 신호처리회로의 화상움직임 검출회로에 있어서, 인접하는 프레임간의 화상신호의 상관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프레임간 상관 검출수단(1,2,3,4,5,6), 인접하는 필드간의 대응화소의 신호의 상관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필드간 상관 검출수단(15,16,17) 및 상기 필드간 상관 검출수단에서 출력된 필드간 상관값에 따라서 상기 프레임간 상관검출 수단의 출력을 조정하는 조정수단(7)을 포함하는 화상움직임 검출회로.
  2.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에 있어서, 각 라인의 수평방향의 진폭변화량을 검출하는 윤곽검출수단(9,10), 각 필드의 인접 라인간의 진폭 변화량을 검출하는 필드내 상관 검출수단,(11,12,13,14), 상기 윤곽검출수단의 출력, 상기 필드내 상관검출수단의 출력 및 상기 필드간 상관 검출수단,(15,16,17)의 출력을 수신하여 그들을 1개의 복합 출력신호로서 합성하는 합성수단(18)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수단은 상기 합성수단의 복합 출력신호에 따라서 상기 프레임간 상관 검출수단의 출력을 조정하는 화상움직임 검출회로.
  3. 특허 청구의 범위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단(18)은 상기 윤관검출수단(10)의 출력에 접속되어 상기 윤곽검출수단(10)의 출력에 소정의계수를 곱하는 제 1 의 계수기(34), 상기 필드내 상관 검출수단(14)의 출력에 접속되어 상기 필드내 상관 검출수단(14)의 출력에 소정의 계수를 곱하는 제 2 의 계수기(35), 상기 필드간 상관 검출수단(17)의 출력에 접속되어 상기 필드간 상관검출수단(17)의 출력에 소정의 계수를 곱하는 제 3 의 계수기(36), 상기 제 1 제 2, 제 3의 계수기의 출력을 혼합하는 혼합기(37) 및 상기 조성수단(7)에 비선형화된 출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혼합기으 출력에 비선형 특성을 마련하는 비선형회로를 포함하는 화상움직임 검출회로.
  4. 특허청구의 범위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단(18)은 상기 윤관검출수단(10)의 출력에 접속되어 상기 윤곽검출수단(10)의 출력에 제 1의 비선형 특성을 마련하는 제 1 의 비선형회로(40), 상기 필드내 상관 검출수단(14)의 출력에 접속되어 상기 필드내 상관 검출수단(14)의 출력에 제 2의 비선형 특성을 마련하는 제 2 의 비선형회로(41), 상기 필드간 상관 검출수단(17)의 출력에 접속되어 상기 필드간 상관검출수단(17)의 출력에 제 3의 비선형 특성을 마련하는 제 3 의 비선형회로(42), 상기 제 1, 제 2, 제 3 의 비선형회로의 출력을 혼합하여 그 혼합출력을 1개의 출력신호로서 상기 조정수단(7)에 공급하는 혼합회로(37)을 포함하는 화상움직임 검출회로.
  5. 특허 청구의 범위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간 상관 검출수단은 인접하는 필드간의 대응하는 화소의 신호간의 상관값을 여러개 검출하여 출력하는 수단(15,16,47,48,49,50,51,52) 및 상기 여러개의 상관값을 혼합하여 1개의 출력신호로서 상기 조정수단(7)에 공급하는 혼합기(53)을 포함하는 화상움직임 검출회로.
  6.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필드간 상관 검출수단은 필드간 상관값의 변화를 평탄하게 하는 평활회로(44) 와 이 평활회로(44)의 출력의 진폭을 제한하는 클리핑회로(45)를 포함하는 화상움직임 검출회로.
  7. 특허청구의 범위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수단(7)은 상기 조정수단(7)의 출력과 상기 프레임간 상관검출수단(6)의 출력에 비선형특성을 마련하고 상기 복합출력신호값에 따라 상기 비선형특성을 조정하며, 상기 비선형 특성은 상기 프레임간 상관검출값이 0에서 제 1 의 값의 범위일때 상기 조정수단의 출력이 0인 특성을 갖고, 상기 조정수단의 출력은 상기 프레임간 상관값이 제 1 의 값에서 제 2의 값의 범위일때 상기 프레임간 상관값에 비례하며, 상기 조정수단(7)의 출력은 상기 프레임간 상관값이 상기 제 2 의 값 이상일 때 일정한 값으로 포화되는 화상움직임 검출회로
  8. 비월화상신호를 수신하여 이 신호에서 필드간 보간신호를 생성하는 필드간 보간신호 생성수단(20), 상기 비월화상신호를 수신하여 이신호에서 필드내의 라인간 보간 신호를 생성하는 라인간 보간신호 생성수단(21,22), 상기 필드간 보간신호와 상기 라인간 보간신호를 수신하고 이 양쪽 신호를 혼합하여 1개의 신호로서 출력하는 혼합수단(23), 상기 비월화상신호와 상기 혼합수단(23)의 출력을 수신하여 그들을 매 수평주사주기마다 교대로 출력하는 전환수단 (29), 상기 비월화상신호에 따라서 인접하는 프레임간의 화상신호의 상관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프레임간 상관검출수단 (15,16,47,48,55), 상기 비월화상신호에 따라서 인접하는 필드간의 대응하는 화소의 신호의 상관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필드간 상관 검출수단(20,24,25) 및 상기 필드간 상관검출수단(25)에서 출력된 필드간 상관값에 따라서 상기 프레임간 상관검출수단의 출력을 조정하는 조정수단(26)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수단(23)은 상기 조정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필드간 보간신호와 상기 라인간 보간신호의 혼합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텔레비젼 시스템의 비월/비비월신호변환회로.
  9. 비월복합 화상신호(59)를 수신하여 상기 비월복합화상신호를 색신호와 휘도신호로 분리하는 분리수단(60,61,62,63,64,65,66,67,68), 상기 색신호를 복조하는 복조수단(69), 상기 비월휘도 신호를 수신하여 이 신호에서 필드간 보간신호를 생성하는 필드간 보간신호 생성수단(20), 상기 비월휘도 신호를 수신하여 이 신호에서 필드내의 라인간 보간신호를 생성하는 라인간 보간신호 생성수단(21,22), 상기 필드간 보간신호와 상기 라인간 보간신호를 수신하고 이 양쪽 신호를 혼합하여 1개의 신호로서 출력하는 혼합수단(23), 상기 비월복합화상신호 및 상기 혼합수단의 출력을 수신하여 그들을 매 수평주사 주기 마다 교대로 출력하는 전환수단(29), 상기 비월 복합 화상신호에 따라서 인접하는프레임간의 화상신호의 상관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프레임간 상관검출수단(63,64,65,66), 상기 비월복합 화상신호에 따라서 인접하는 필드간의 대응하는 화소의 신호의 상관값을 검출하여 출력하는 필드간 상관검출수단(15,16,17,18,9,10,13,14), 상기 필드간 상관검출수단에서 출력된 필드간 상관값에 따라서 상기 프레임간 상관 검출수단의 출력을 조정하는 조정수단(7,56) 및 상기 조정수단의 출력을 수신하여 이 출력을 필드의 상하 공간방향 및 시간 방향으로 확대하는 재귀형 시공간필터(71,72,73,74,75)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수단 (23)은 상기 시공간필터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필드간 보간신호 및 상기 라인간 보간신호의 혼합비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텔레비젼 시스템의 비월/비비월신호 변환회로.
  10. 특허청구의 범위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 움직임 화면에 대응하는 라인 빗형상 필터(60,61,62), 정지화면에 대응하는 프레임 빗형상 필터(63,64,65,66), 상기 라인 및 프레임 빗형상 필터의 출력을 혼합하는 혼합기(67)을 포함하고, 상기 혼합기(67)은 상기 시공간 필터의 출력에 따라 상기 라인 및 프레임 빗형상 필터의 출력에 혼합비를 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기(67)의 출력은 상기 복조수단, 상기 필드간 보간신호 생성수단 및 상기 라인간 보간신호 생성수단에 공급되는 비월/비비월신호 변환회로.
KR1019890008202A 1988-06-15 1989-06-14 텔레비젼신호의 움직임 검출회로 KR920004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145769A JP2634632B2 (ja) 1988-06-15 1988-06-15 動き検出回路
JP?63-145769 1988-06-15
JP63-145769 1988-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1263A KR900001263A (ko) 1990-01-31
KR920004561B1 true KR920004561B1 (ko) 1992-06-08

Family

ID=15392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8202A KR920004561B1 (ko) 1988-06-15 1989-06-14 텔레비젼신호의 움직임 검출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924305A (ko)
JP (1) JP2634632B2 (ko)
KR (1) KR920004561B1 (ko)
CA (1) CA131040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76330B1 (en) * 1988-12-28 1996-03-06 Nec Home Electronics, Ltd. Movement detection and Y/C separation circuit and method for detecting a movement in a television display picture
JP2732650B2 (ja) * 1989-02-28 1998-03-30 株式会社東芝 垂直エッジ検出回路
JPH02226883A (ja) * 1989-02-28 1990-09-10 Toshiba Corp 付加信号多重装置
FR2645383B1 (fr) * 1989-03-31 1997-06-2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Procede et dispositif d'interpolation temporelle d'images, a compensation de mouvement corrigee
JP2522433B2 (ja) * 1990-03-27 1996-08-07 日本電気株式会社 映像動き信号検出回路
JP2827424B2 (ja) * 1990-03-31 1998-11-25 ソニー株式会社 画振れ補正装置
DE69114791T2 (de) * 1990-09-03 1996-06-27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und Anordnung zum Verarbeiten eines Bildsignals.
US5191413A (en) * 1990-11-01 1993-03-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System and method for eliminating interlace motion artifacts in captured digital video data
JP2861462B2 (ja) * 1991-04-12 1999-02-24 ソニー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GB9118782D0 (en) * 1991-09-03 1991-10-16 British Broadcasting Corp Video image processing
GB9404091D0 (en) * 1994-03-03 1994-04-20 Snell & Wilcox Ltd Video signal processing
US6611286B1 (en) * 1995-10-27 2003-08-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sensing apparatus using a non-interlace scanning type image sensing device
EP0772351B1 (en) * 1995-11-02 2000-10-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otion detection for interlaced video signals
US6542642B2 (en) * 1996-02-29 2003-04-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coding process and motion detecting process using bidirectional prediction
JP3111028B2 (ja) * 1996-03-14 2000-11-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信号処理装置及び画像信号処理方法
US6104755A (en) * 1996-09-13 2000-08-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otion detection using field-difference measurements
JP3293518B2 (ja) * 1997-05-21 2002-06-1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Yc分離装置
JP4168490B2 (ja) * 1998-09-03 2008-10-22 ソニー株式会社 動き判定装置、その方法および画像情報変換装置
JP3653450B2 (ja) * 2000-07-17 2005-05-25 三洋電機株式会社 動き検出装置
KR100421017B1 (ko) * 2001-10-18 2004-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잔상 현상 제거 장치 및 방법
US20030010345A1 (en) * 2002-08-02 2003-01-16 Arthur Koblasz Patient monitoring devices and methods
JP2006115470A (ja) * 2004-09-16 2006-04-27 Ntt Docomo Inc 映像評価装置、フレームレート決定装置、映像処理装置、映像評価方法、および映像評価プログラム
GB2444532A (en) * 2006-12-06 2008-06-11 Sony Uk Ltd Motion adaptive image processing detecting motion at different levels of sensitivity
JP2008182476A (ja) * 2007-01-24 2008-08-07 Canon Inc 変化予測値算出装置及びip変換処理装置
JP5596943B2 (ja) * 2009-07-09 2014-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9880B1 (ko) * 1983-07-25 1991-12-03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인터레이스된 텔레비젼 신호중의 화상의 움직임 검출회로
JPH0740742B2 (ja) * 1984-09-14 1995-05-01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ヨン信号の動き検出回路
JPH0738726B2 (ja) * 1985-12-27 1995-04-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輝度色信号分離回路
JP2605013B2 (ja) * 1986-04-09 1997-04-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動き適応映像信号処理回路
JPH0724418B2 (ja) * 1986-08-26 1995-03-1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動き検出方式
JP2718668B2 (ja) * 1986-10-06 1998-0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動き検出回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34632B2 (ja) 1997-07-30
CA1310401C (en) 1992-11-17
JPH01314493A (ja) 1989-12-19
KR900001263A (ko) 1990-01-31
US4924305A (en) 199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4561B1 (ko) 텔레비젼신호의 움직임 검출회로
US4754322A (en) YC-signal separation circuit responsive to magnitude of vertical correlation
US4987489A (e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nterlaced slow motion video output signal by spatial and temporal interpolation
US4860104A (en) Noise eliminating apparatus of a video signal utilizing a recursive filter having spatial low pass and high pass filters
EP0241854B1 (en) Video signal processing circuit of motion adaptive type
US54444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ra-field interpolation of video signals with adaptive weighting based on gradients of temporally adjacent fields
JPS6281888A (ja) ビデオ信号の補間器
KR970004198B1 (ko) 텔레비젼 신호 처리 장치
US5412436A (en) Motion adaptive video processing system
EP0482894A2 (en) Non-interlace television for multi color standards
JPH0832074B2 (ja) テレビジヨン装置
US5083203A (en) Control signal spreader
KR100320901B1 (ko) 움직임검출회로
US7391476B2 (en) Method and device for interpolating a pixel of an interline of a field
JP3546698B2 (ja) 走査線補間回路
JP2596166B2 (ja) 動き適応型走査線補間装置
JPH06311488A (ja) 走査線変換装置
JP2955984B2 (ja) 補間装置
JP2580891B2 (ja) 走査線補間回路
KR920008628B1 (ko) 영상신호의 라인간 보간신호 발생방법 및 회로
JPH06339124A (ja) 動き検出装置
JPH0670288A (ja) テレビ信号の信号処理方法
JPH0716255B2 (ja) 動き適応型輝度信号色信号分離装置
JPH01194693A (ja) 動き適応型走査線補間方法
JPH05219531A (ja) 動き信号発生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