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4005B1 - 직류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직류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4005B1
KR920004005B1 KR1019880006798A KR880006798A KR920004005B1 KR 920004005 B1 KR920004005 B1 KR 920004005B1 KR 1019880006798 A KR1019880006798 A KR 1019880006798A KR 880006798 A KR880006798 A KR 880006798A KR 920004005 B1 KR920004005 B1 KR 920004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supply
input
output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1255A (ko
Inventor
토미오 나까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미츠오까덴끼세이 사쿠쇼
오까가미 야스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미츠오까덴끼세이 사쿠쇼, 오까가미 야스히꼬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미츠오까덴끼세이 사쿠쇼
Publication of KR890001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1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4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02M7/0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arranged for operation in paralle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05F1/563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including two stages of regulation at least one of which is output level responsive, e.g. coarse and fine reg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Rectifiers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직류 전원 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제 2a, b 도는 100V계의 입력전압시의 동작설명을 위한 파형도.
제 3 도는, 100V계의 입력전압시의 정류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도면.
제 4a, b 도는, 200V계의 입력전압시의 동작설명을 위한 파형도.
제 5a 도는, 200V계의 입력전압시의 동작설명도, (b)는, 200V계의 입력전압시의 동작설명도.
제 6 도는, 200V계의 입력전압시의 충전루우프(loop)의 전류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
제 7 도는, 200V계의 입력전압시의 충전 루우프의 전류의 방향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정류평활회로부 2 : 다이오드 브리지(diode bridge)회로
3 : 전압검출회로부 4 : 정전압안정화 회로부
5 : 다이오드(D5)에 접속되는 배선 6 : 정류평활회로부(1)의 출력선
7 : 주평활용콘덴서(C2)의 출력선 8 : 공통선
10 : 교류전압파형 11 : 점선파형
12 : 시간축 13, 25 : 전압레벨을 나타내는 세로축
14 : 정류평활회로부(1)의 출력전압 20 : 전압파형
21 : 전압파형 22 : 출력전압
23 : 충전전압파형 24 : 시간축
25 : 세로축 A1, A2: 전원트랜스(T)의 1차측 입력단자
T : 강압용의 전원트랜스 H, G : 2차측권선의 양단의 출력단자
L : 2차측권선의 중간탭의 출력단자 D1, D2, D3, D4, D5, D7: 정류용 다이오드
D6: 발광다이오드 또는 정전압다이오드
Tr1, Tr2, Tr3: 트랜지스터 Tr4: 스위칭용 트랜지스터
Tr5: 추력제어용 트랜지스터 C1: 입력전압검출용의 보조평활콘덴서
C2: 주평활콘덴서 C3: 콘덴서
C4: 출력평활용콘덴서 C5, C6, C7: 잡음흡수용콘덴서
+Va : 정류평활부의 출력전압 +Vc : 주평활콘덴서(C2)의 충전전압
+Vd : 저항기(R1)의 단자전압 +Vs : 기준전압
Vout : 출력전압 VBE: 베이스에미터전압
R1, R2: 저항기 OUT : 출력단자
COM : 공통선의 출력단자 a : 파형(21)의 파고치
2a : 파형(20)의 파고치
본 발명은, 교류입력으로부터 직류출력을 얻는 직류전원장치로서, 특히 정격전압이 다른 여러종류의 가정용상용전원에 그대로 접속할 수 있는 교류직류변환용의 직류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장치내부에 2차측 권선에 복수의 출력단자를 가지는 전원트랜스와, 이 복수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정류회로계와, 1차 입력전압의 소정의 레벨을 검출하는 입력전압검출회로와, 이 입력전압검출회로에 따라 동작하여 정류회로의 전기 통로의 개폐를 행하는 스위칭 회로를 가지고, 1차 입력전압의 고저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한 전원트랜스의 2차측 권선의 출력단자와 정류회로계의 선택전환을 행하고 직류전압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교류입력으로부터 직류출력을 얻는 직류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정격전압이 다른 여러종류의 가정용 상용전원에 그대로 접속할 수 있는 교류직류변환용의 직류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에, 세계각국에 있어서, 그의 급전방식, 전압치등은 통일되어 있지 않고, 각국의 역사, 사회, 경제적인 배경으로부터, 여러종류의 정격전압의 상용전원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들면, 일반가정용전원에 있어서, 100V계의 전원에 있어서는 100 내지 120V로, 200V계의 전원에 있어서는 200 내지 240V의 범위로 그의 정격전압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고, 또한 100V계의 전원과 200V계의 전원이 혼재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같이, 복수의 다른 전압의 상용전원이 있는 중에서, 전자기기등의 직류전원장치에는 상기한 다른 전압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되고 있고, 고저 2종류의 다른 전압에 대응할 수 있는 직류전원장치로서는 스위칭레귤레이터(switching regulator)가 알려져 있다.
스위칭레귤레이터는 주지하는 바와같이, 상용전원을 트랜스없이 직접 정류하여 직류로 변환후에, 인버어터에 의하여 고주파의 교류로 변환하고, 고주파트랜스로서 필요로 하는 값으로 강압한 후에 정류평활을 행하여 직류출력을 얻는 것이고, 출력전압의 조절은 스위칭용의 파워트랜지스터의 펄스폭의 제어에 의하여 행한다.
이와같은 스위칭레귤레이터방식의 경우, 원칙적인 면에서, 교류입력전압의 폭넓은 변화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가 있고, 또한, 높은 효율이기 때문에, 다른 전압에 대응할 수 있는 반면, 파워트랜지스터의 스위칭동작에 의한 스위칭잡음이 항상 문제가 되고, 이 스위칭잡음은 스위칭주파수 성분뿐만 아니라 라디오주파수대역도 포함하는 고주파 영역까지의 광범위한 잡음성분을 함유하고 있고, 라디오 수신기등의 잡음의 영향을 받기쉬운 기기에 대하여서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다른 전압에 대응하는 수단으로서 강압용의 전원트랜스와 정류평활회로와 시리즈레귤레이터(series regulator)에 의하여 직류전원장치를 구성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시리즈레귤레이터식의 직류전원장치는 주지하는 바와같이 상용전원을 전원트랜스에 의하여 필요로 하는 값으로 강압정류하고 직류로 변환후에, 메인회로중의 파워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미터사이의 전압강하에 의하여 직류출력전압이 안정화를 달성하고 있고, 스위칭잡음의 발생은 없지만, 이 방식에서는, 파워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미터사이의 전압강하분과 부하전류의 곱한것에 의존하는 파워손실이 항상 발생하고, 입력전압이 상승하면 할수록, 파워트랜지스터가 부담하여야할 전압강하분이 증대하여 파워손실이 커지게되고, 더우기 방열의 문제가 크게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 방식의 경우, 원칙적으로, 교류입력전압의 폭넓은 변화에는 대응할 수가 없고, 종래에는, 전원트랜스의 1차측 입력권선에 복수의 탭(tap)과 전환스위치를 설치하고, 수동에 의하여 상용전원의 각종의 정격전압에 따라서 전환조작을 행하고 있었다.
상기한 종래예의 스위칭레귤레이터식의 전원장치는 스위칭잡음에 의하여 라디오수신기등의 직류전원 장치로서는 사용이 곤란한 것이외에, 장치가 복잡하고 고가로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시리즈레귤레이터식의 직류전원장치의 경우, 입력용전원트랜스의 1차측권선에 다른 전압의 대응을 위한 복수의 탭과 전환스위치를 형성하고 수동조작으로 입력전원의 정격전압에 대응하여 이 스위치를 전환하거나, 전환스위치를 형성하지 않고, 입력전원전압이 높은 전압인 경우와 낮은 전압인 경우의 양쪽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부품정격, 방열설계의 여유도를 취하고, 파워손실의 증가를 사용하는 회로설계로 할 필요가 있지만, 후자의 방식에서는, 코스트, 크기, 중량의 증가와 효율의 현저한 저하를 초래하여, 현실적이지 못하고, 전자의 방식에서는 전환스위치의 전환조작상의 번거로움이 있고, 또한 오조작에 의한 장치의 파괴등도 문제가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스위칭잡음이 발생하지 않는 시리즈레귤레이터식의 직류전원장치로서 소형경량 및 경제적이고 또한 전환스위치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 직류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바와같이, 2차측 권선에 복수의 출력단자를 가진 전원트랜스와, 이 출력단자에 접속되는 복수의 정류회로계와 1차입력전압의 소정의 레벨을 검출하는 회로와 이 입력전압검출회로가 검출하는 레벨에 따라서 동작하여 정류회로의 전기통로의 개폐를 행하는 스위칭회로를 형성하고, 1차입력전압의 고저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한 정류회로계의 선택전환을 행하여 직류출력전압의 변동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달성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직류전원장치의 1실시예로서 (1)은 정류평활회로부, (2)는 다이오드브리지회로, (3)은 전압검출회로부, (4)는 정전압안정화회로부를 표시하고, (5)는 다이오드(D2)에 접속되는 배선, (6)은 정류평활부(1)의 출력선, (7)은 주평활용콘덴서(C2)의 출력선, (8)은 공통선, 영문자부호(A1), (A2)는 전원트랜스(T)의 1차측 입력단자, (T)는 강압용의 전원트랜스, (H), (G)는 2차측 권선의 양단의 출력단자, (L)는 2차측 권선의 중간탭의 출력단자(D1), (D2), (D3), (D4), (D5)는 다이오드, (D6)는 발광다이오드 또는 정전압다이오드, (D7)은 다이오드, (Tr1), (Tr2), (Tr3)는 트랜지스터, (Tr4)는 스위칭용트랜지스터, (Tr5)는 출력제어용트랜지스터, (C1)은 입력전압검출용의 보조평활콘덴서, (C2)는 주평활콘덴서, (C3)는 콘덴서, (C4)는 출력평활용콘덴서, (C5), C6), (C7)은 잡음흡수용콘덴서, (+Va)는 정류평활부(1)의 출력전압, (+Vc)는 주평활콘덴서(C2)의 충전전압, (+Vd)는 저항기(R1)의 단자전압, (+Vs)는 기준전압, (Vout)는 출력전압, OUT는 출력단자, COM은 공통선의 출력단자를 각각 표시하고 있다.
제 1 도에 있어서 그의 구성을 설명하면, 교류 1차 입력전압은 전원트랜스(T)의 1차 입력단자(A1), (A2)에 저속되고, 2차측권선에 의하여 소요의 전압값으로 강압되고, 2차측권선의 양측의 단자(H),(G)는 다이오드(D1), (D2), (D3), (D4)로 구성되는 단상브리지 정류회로(2)의 교류입력측에 접속된다.
브리지 정류회로(2)의 정류출력은 입력전압검출용의 보조평활용콘덴서(1)로서 평활되고, 출력전압(+Va)으로서 전압검출회로부(3)에 배선(6)을 통하여 가해진다. 전압검출회로부(3)에는 입력전압검출회로와 이 검출회로에 따라서 동작하여 개폐하는 스위치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전압검출회로부(3)에 있어서, 정류평활회로부(1)의 출력전압(+Va)은, 저항기(R1),(R2)로서 분압되어 저항기(R1)의 단자전압(+Vd)으로 된다. 저항기(R1)의 일단 NPN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단자에, 타단은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단자와 공통선(8)에 접속되고, 콜렉터단자는 저항기(R3)를 개재하여 정류평활부(1)의 출력선(6)에 접속된다. 콘덴서(C7)는 잡음대책용의 것이다.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단자는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단자에 접속되고, 에미터단자는 공통선(8)에 접속되며, 콜렉터단자는 저항기(R4)를 개재하여 개폐스위치용의 트랜지스터(Tr4)의 베이스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트랜지스터(Tr4)의 에미터단자는 정류평활부(1)의 출력선(6)에 접속되고, 콜렉터단자는 주형활용콘덴서(C2)에 접속된다.
또한, 전원트랜스(T)의 2차 권선은 소정의 전압을 얻기위한 중간탭 출력단자(L)를 가지고, 이 출력단자(L)는 배선(9)에 의하여 정류용 다이오드(D5)의 애노우드 단자에 접속되고, 정류용 다이오드(D5)의 캐소우드 단자는 배선(5)을 가지고 주평활용콘덴서(C2)의 출력선(7)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전원트랜스(T)의 2차 권선의 중간탭(L)은 권선의 정확한 중간점일 필요는 없고, 전원 트랜스의 설계제작상의 관점에서, 또한, 정전압회로부(4)의 효과도 고려하여 종합적인 견지에서 결정된다.
또한, 2개의 권선으로 분할되어 있어도 좋다. 주평활용콘덴서(C2)의 출력선(7)은 정전압안정화회로부(4)에 접속된다.
정전압안정화회로부(4)는 출력전압(Vout)을 일정한 전압치로 제어하기 위한 회로로서, 이 회로는 특별한 것일 필요는 없고, 본 실시예에 나타낸 정전압 안정화회로부(4)도 지극히 통상적인 것으로서, 본 기술분야에 관계하는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즉, 발광다이오드 또는 정전압 다이오드(D6)와 콘덴서(C3)와 저항(R7)으로서 출력전압제어를 위한 기준 전압(+Vs)을 만들고, 트랜지스터(Tr3)로서 기준전압(+Vs)과 출력전압(Vout)을 비교하고, 출력제어용트랜지스터(Tr5)로서 출력전압(Vout)의 정전압제어를 행하고, 출력평활용의 콘덴서(C4)를 거쳐, 외부출력단자(OUT), (COM) 단자로서 외부의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점은, 여러 종류의 1차 입력전압에 대응할 수 있는 직류전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이하 2가지 대표적인 전압입력의 예로서, 1차 입력전압이 100V계의 경우와 200V계의 경우를 예로써 설명한다.
(1) 1차 입력전압이 100V계의 경우.
제 2a, b 도는 1차 입력전압이 100V계의 경우의 동작설명용의 파형도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10)은 전원 트랜스의 2차 권선의 단자
Figure kpo00001
사이의 교류전압파형(기호상의 화살표는 전압 벡터(Vector)의 방향을 나타낸다. 이하동일함)이고, 점선(11)은 2차 권선의 단자
Figure kpo00002
사이 또는
Figure kpo00003
사이의 교류전압 파형이고, (12)는 시간축이고, (13)은 전압레벨을 나타내는 세로축이며, (14)는 정류평활회로부(1)의 출력전압(+Va)을 나타내고 있다.
제 2a, b 도에 있어서, 2차 권선(H), (G) 단자의 전압(10)은 제 1 도의 정류평활회로부(1)이며 제 2b 도의 평활출력전압(14)(+Va)으로 된다. 이 직류출력전압(14)은 제 1 도의 저항기(R1), (R2)에 의하여 분압되고, 직류전압(+Vd)으로 된다.
입력전압이 100V계의 경우에는 직류전압(+Vd)의 레벨이 그의 리플성분도 포함하여,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미터 사이의 전압강하분(VBE)을 초과하지 않도록 저항기(R1), (R2)의 저항값이 설정되어 있어, +Vd≤VBE로 되고,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미터사이에는 거의 베이스전류는 흐르지 않고, 트랜지스터(Tr1)는 오프(OFF) 상태 그대로이다.
트랜지스터(Tr1)가 오프상태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Tr2)에 저항(R3)을 통하여 출력선(6)으로부터 베이스 전류가 흘러서, 트랜지스터(Tr2)는 온(ON) 상태로 된다. 트랜지스터(Tr2)가 온상태일때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Tr4)에는 출력선(6)으로부터 저항(R4) 및 트랜지스터(Tr2)를 통하여 베이스전류가 흘러서, 스위칭용트랜지스터(Tr4)는 온상태로 된다.
따라서, 100V 입력계의 경우에는, 정류평활회로(1)의 출력전압(+Va)은 트랜지스터(Tr4)의 VCE포화전압의 전압강하분을 감하여 평활콘덴서(C2)를 전압(+Vc)으로 충전한다. 통상 트랜지스터 VCE사이 포화전압은 출력전압(+V1)에 비교하여 충분하게 작기때문에 +Va
Figure kpo00004
+Vc, 즉 평활용 콘덴서(C2)의 충전전압 (+Vc)은 정류평활회로부(1)의 출력전압(+Va)과 동등하게 된다고 생각하여도 좋다.
상기한 상태하에서, 전원트랜스(T)의 2차측 권선의 중간 탭(L)의 단자전압
Figure kpo00005
은 제 2a 도의 점선파형(11)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2차측 권선의 단자
Figure kpo00006
의 전압(10)의 대략 절반정도로 되고, 제 1 도에서, 2차측권선의 중간탭(L)과 다이오드(D5), 다이오드(D1), (D2)에서 발생하는 충전 루우프(Loop)에 있어서는(제 5 도 참조), 주평활콘덴서(C2)의 충전전위(+Vc)에 대하여 항상 다이오드(D5)가 역방향 바이어스로 되어 충전루우프가 기능하는 일은 없으므로 회로동작상은 없다고 생각하여도 좋고, 결국 100V 입력계의 경우에는, 본 실시예의 회로는 제 3 도와 같은 등가적으로 나타내어 진다.
제 3 도에 있어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압검출 회로부(3)와 정전압안정화회로부(4)를 간략화하고, 다이오드(D5)는 생략되어 있다. 제 3 도는 주지하는 바와같이 단상브리지 정류회로를 구성한다.
(2) 1차 입력전압이 200V계의 경우
제 4a, b 도는 1차 입력전압이 200V계의 경우의 동작설명을 위한 파형도를 나타내고, 여기에서 (20)은 전원트랜스의 2차 권선의 단자
Figure kpo00007
사이의 전압파형이고, (21)은 2차권선의 단자
Figure kpo00008
사이 또는
Figure kpo00009
사이의 전압파형이고, (22)는 정류평활회로의 출력전압이고, (23)은 주평활콘덴서(C2)의 충전전압파형이고, (24)는 시간축이고, (25)는 전압레벨을 나타내는 세로축이고, (a)는 파형(21)의 파고치(波高値)이며, (2a)는 파형(20)의 파고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 4 도는, 100V계의 제 2a, b 도에 상응하는 것으로서, 제 2a, b 도와 비교하여 제 4 도에서는 파형의 레벨이 대략 2배로 된다. 제 4 도에 있어서, 2차 권선전압(20)은 제 1 도의 정류평활 회로부(1)에서 직류출력전압(22)으로 되고, 이 직류출력전압은 저항기(R1),(R2)에 의하여 분압되어 직류전압(+Vd)으로 된다. 200V계의 경우에는 직류전압(+Vd)의 전압레벨이 그의 리플성분을 포함하여도,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미터 사이의 전압강하분(VBE)을 초과하여 베이스 전류를 흘릴 수 있도록 저항기(R1), (R2)의 값이 설정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Tr1)는 항상 온상태로 된다.
결국, 저항기(R1), (R2)의 저항값은,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미터사이 전압(VBE)에 대하여, 100V 입력의 경우에는, 베이스 전류를 흘릴 수 없도록 설정되고, 200V 입력의 경우에는, 충분한 베이스 전류를 흘릴 수 있도록 설정된다.
트랜지스터(Tr1)가 온상태이면, 다음단의 트랜지스터(Tr2)에는 베이스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오프상태로 되고, 스위칭용트랜지스터(Tr4)도 오프상태로 되어, 정류평활회로(1)의 출력전압은 주평활콘덴서(C2)의 충전에는 기여하지 않고, 다만 전압검출용의 보조평활콘덴서(C1)에 전압검출 신호용의 직류전압(+Va)을 충전하고 있을 뿐이다.
이 경우의 보조평활콘덴서(C1)의 충전전위(+Va)는, 스위칭용 트랜지스터(Tr4)가 오프이기 때문에, 콘덴서(C1)의 방전전류는 적고 제 2b 도의 파형(14)에 비교하여 제 4b 도의 파형(22)과 같이 리플이 적다.
결국, 전압검출회로부(3)는 주평활용콘덴서(C2)의 충전에는 기여하지 않기때문에 충전계통로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압검출회로부(3)와 정전압안정화 회로부(4)와를 간략화하여 제 5a 도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제 5a 도의 회로를 보다 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요부를 추출하면, 제 5b 도의 형태로 나타내어지고, 이 회로는 소위 센터탭(center tap)형의 단상전파정류회로와 등가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구체적인 충전루우프의 전류의 방향을 제 6 도 및 제 7 도에 나타낸다. 제 6 도는, 2차 권선의 유기전압의 방향이 H〉L〉G인 경우이고, 이 경우에, 2차 권선단자(L), (G)와 다이오드(D2), (D5)에 의하여 콘덴서(C2)이 충전이 행하여지고, 반대로, 2차 권선의 유기전압의 방향이 H〈L〈G인 경우에는, 제 7 도에서와 같이 2차 권선단자(L), (H)와 다이오드(D1), (D5)에 의하여 콘덴서(C2)에 충전이 행하여진다.
전원트랜스의 2차 권선의 단자(HL), (LG)의 각 권선이 교호로 콘덴서(C2)를 충전함으로써, 단자(HL), (LG)에 유기되는 전압은 단자(H), (G) 사이의 유기전압의 1/2로 되어 있고, 주평활콘덴서(C2)에로의 충전 전압파형은 제 4b 도의 번호(23)로 나타내는 충전전압파형으로 되어 100V계 입력의 경우의 제 2b 도의 파형(14)과 동일한 값으로 된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전압이 100V계 이거나, 200V계 이더라도, 제 2 의 평활용 콘덴서(C2)에로의 충전전압은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어, 이 주평활용 콘덴서(C2)에 접속되어 있는 통상의 안정화 전원회로부(4)에 의하여 최종의 정전압출력을 얻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히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고, 회로구성의 방식에는 여러가지의 방법이 용이하게 생각되고, 또한 1차 입력전압이 200V계와 400V계의 경우에도 적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직류전원장치는, 스위칭 레귤레이터에서 발생하는 것과 같은 스위칭 잡음의 발생이 없고, 또한, 소형이면서 경량이므로, 종래에서와 같은 전환스위치의 조작이 필요없고, 또한 전환조작시의 오조작에 의한 장치파괴의 가능성도 없는 것이다.

Claims (4)

  1. 교류입력에서 직류출력을 얻는 교류직류변환용의 직류전원장치로서, 이 장치는, 2차측 권선에 복수의 출력단자(H),(G),(L)를 가진 전원트랜스(T)와, 이 출력단자(H), (G), (L)에 접속되는 복수의 정류회로계(1)와, 입력교류전압의 소정의 레벨을 검출하는 입력전압검출회로(3)와, 이 입력 전압검출회로(3)에 따라 동작하여 정류회로의 전기통로의 개폐를 행하는 스위칭 회로와는 구비하고, 입력교류전압의 고저의 변화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정류회로계(1)로부터 특정의 정류회로계를 선택함으로써 출력전압의 변동을 억제하는 직류전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교류전압이 저압인 경우에는, 전원트랜스(T)의 2차측 권선의 양단의 출력단자(H), (G)와 이들에 접속되는 정류기군에 의하여 단상 브리지 정류회로계를 형성하고, 입력교류전압이 고압인 경우에는, 전원트랜스(T)의 2차측 권선의 양단의 출력단자(H), (G)와 중간탭단자(L)와 이들에 접속되는 정류기군에 의하여 센터탭형 단상전파정류회로계가 형성되는 직류전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전원트랜스(T)의 2차측 권선의 양단의 출력단자(H), (G)는 단상브리지 정류회로의 교류측입력점에 접속되고, 이 단상브리지 정류회로의 직류출력은 제 1 의 평활콘덴서(C1)를 개재하여 입력 전압 검출회로(3)에 입력됨과 동시에 입력전압검출회로(3)에 따라 동작하여 개폐하는 스위칭 회로를 거쳐 제 2 의 평활콘덴서(C2)에 접속되고, 전원트랜스(T)의 중간탭(L)은 정류기를 개재하여 상기 제 2 의 평활콘덴서(C2)에 접속되어 있는 직류전원장치.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정류회로계(1)에 정전압안정화회로(4)를 접속한 직류전원장치.
KR1019880006798A 1987-06-13 1988-06-07 직류 전원 장치 KR920004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47689 1987-06-13
JP147689 1987-06-13
JP62147689A JPS63311419A (ja) 1987-06-13 1987-06-13 直流電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1255A KR890001255A (ko) 1989-03-20
KR920004005B1 true KR920004005B1 (ko) 1992-05-21

Family

ID=15436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798A KR920004005B1 (ko) 1987-06-13 1988-06-07 직류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47313A (ko)
JP (1) JPS63311419A (ko)
KR (1) KR920004005B1 (ko)
GB (1) GB2206982B (ko)
MY (1) MY1033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054B1 (ko) * 2006-11-01 2007-09-14 박청용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905641D0 (en) * 1989-03-11 1989-04-26 Smiths Industries Plc Power supplies
US5499187A (en) * 1995-04-03 1996-03-12 Arinc Research Corporation Voltage sensing, autoselecting aircraft power supply interface
ES2113293B1 (es) * 1995-07-28 1999-01-16 Aragones Jose Ignacio Morales Circuito de conversion corriente alterna/corriente continua; con reduccion de la tension mediante cadenas rectificadoras de condensadores en serie.
GB0215814D0 (en) * 2002-07-09 2002-08-14 George Richard W Isolating power supply
EP1381144A3 (en) 2002-07-09 2004-10-06 Richard Warrington George Isolating power supply
CN103427671B (zh) * 2012-05-25 2016-08-10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直流电压产生装置
CN102707107A (zh) * 2012-06-07 2012-10-03 湘煤立达矿山装备股份有限公司 用于变频器测试的便携式可调直流电压源
FR2993662B1 (fr) * 2012-07-23 2015-05-15 Msc & Sgcc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la detection notamment de defauts refractants
CN104850163B (zh) * 2015-05-12 2016-07-06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直流稳压电源电路
CN104967340A (zh) * 2015-06-18 2015-10-07 周玉林 大功率可调直流稳压电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0452A (en) * 1968-03-13 1969-09-30 Westinghouse Electric Corp Regulated power supply having a tapped line transformer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dc voltage levels
DE1919434A1 (de) * 1969-04-17 1971-01-07 Wandel & Goltermann Wechselspannungsgespeister Gleichspannungs- und/oder -stromstabilisator mit einem laengs eingeschalteten,reglerbetaetigten Stellglied
US3720868A (en) * 1972-01-10 1973-03-13 Zenith Radio Corp Multiple input voltage source power supply
JPS5096864A (ko) * 1973-12-27 1975-08-01
US3979661A (en) * 1974-12-30 1976-09-07 Dictaphone Corporation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an output voltage within a limited range regardless of input voltage variations and having minimal power dissipation
US4013941A (en) * 1976-03-26 1977-03-22 Moore Charles R Transformer voltage regulator responsive to input variations
US4090234A (en) * 1976-10-12 1978-05-16 Amp Incorporated Input tap changer
AU578389B2 (en) * 1984-06-14 1988-10-20 Sharp Kabushiki Kaisha Rectified power supply with automatic selection of different ac input voltage levels
US4733158A (en) * 1986-08-21 1988-03-22 Datametrics Corporation Control circuit for tap-switching power supplies and multi-tap transformers
US4780805A (en) * 1987-07-21 1988-10-25 Ncr Corporation Low/high input voltage power supp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054B1 (ko) * 2006-11-01 2007-09-14 박청용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03302A (en) 1993-05-29
GB8813770D0 (en) 1988-07-13
US4947313A (en) 1990-08-07
KR890001255A (ko) 1989-03-20
GB2206982A (en) 1989-01-18
JPS63311419A (ja) 1988-12-20
GB2206982B (en) 199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6598A (en) Voltage-converting circuit for the power supply of an electrical consumer of high output, particularly a bobbin winding machine
KR100221705B1 (ko) 교류.직류 변환용 전원 회로
US6388902B1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JPH07177745A (ja) スイッチングレギュレータ
KR920004005B1 (ko) 직류 전원 장치
US7158389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US6282103B1 (en) Switching power supply using an inductor device to prevent harmonic current generation
US11356029B2 (en) Rectifying circuit and switched-mode power supply incorporating rectifying circuit
US20040190311A1 (en) Switching power supply unit
KR20030047787A (ko) 스위칭 전원회로
US5327334A (en) Zero current switching DC-DC converter incorporating a tapped resonant inductor
KR100386865B1 (ko) 평활용 초크 코일 인덕턴스 가변 회로를 가지는 전원 회로
JPH08331846A (ja) 電源装置
JP2500989Y2 (ja) スイッチング電源
JPS61277372A (ja) 電源装置
KR0134332Y1 (ko) 강압형 스위칭 레귤레이터
JPH0576175A (ja) スイツチング電源装置
JPS61207168A (ja) 電源装置
JPH07337010A (ja) スイッチング電源回路
SU1056172A1 (ru) Стабилизированный источник питани
JPH0956157A (ja) 電源装置
JPH0787729A (ja) 電源装置
JPH0576174A (ja) スイツチング電源装置
JPH0525274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の補助電源回路
JPH07281770A (ja) 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