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807B1 - 마스킹 필름 및 노출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킹 필름 및 노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807B1
KR920003807B1 KR1019890016304A KR890016304A KR920003807B1 KR 920003807 B1 KR920003807 B1 KR 920003807B1 KR 1019890016304 A KR1019890016304 A KR 1019890016304A KR 890016304 A KR890016304 A KR 890016304A KR 920003807 B1 KR920003807 B1 KR 920003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masking film
yellow
layer
mas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16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8328A (ko
Inventor
나오히꼬 기류
히로시 마루야마
에쓰꼬 미네자끼
요시노리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소마루 가부시끼가이샤
요시우라 이사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85603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0082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099789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100822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마루 가부시끼가이샤, 요시우라 이사무 filed Critical 소마루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08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CPHOTOSENSITIVE MATERIALS FOR PHOTOGRAPHIC PURPOSES; PHOTOGRAPHIC PROCESSES, e.g. CINE, X-RAY, COLOUR, STEREO-PHOTOGRAPHIC PROCESSES; AUXILIARY PROCESSES IN PHOTOGRAPHY
    • G03C7/00Multicolour photographic processes or agents therefor; Regeneration of such processing agents; Photosensitive materials for multicolour processes
    • G03C7/20Subtractive colour processes using differently sensitised films, each coated on its own base, e.g. bipacks, tripack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68Preparation processes not covered by groups G03F1/20 - G03F1/50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9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prepared by montage processes

Landscapes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 Local Oxidation Of Silic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마스킹 필름 및 노출방법
제 1a 및 1b 도는 포지티브를 형성하기 위한 네가티브 필름을 도시하고,
제 2a 및 2b 도는 그중에 제거된 부분이 없는 내광(lightsafe)마스킹 필름을 도시하고,
제 3 도는 제 2a 및 2b 도의 내광 마스킹 필름들이 겹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제 4 도는 본 발명의 마스킹 필름의 파장과 분광투과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분과투과율 도표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내광 마스킹 필름 및, 더욱 상세하게는 사진조판 재생법에 있어서 화학광선에 노출되는 동안에 광감성 불질의 일부분을 차폐하는데 사용되는 합성 내광마스킹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내광물질을 사용하는 노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한 공지된 내광 마스킹 필름을 플라스틱 필름기질과 그 위에 주어진 벗겨낼 수 있는 내광층으로 구성된다. 원하는 절단선을 손으로 또는 적당한 자동절단장치로써 내광층 위에 형성하는 경우 및 절단부분을 벗겨냄으로써 제거하는 경우, 마스킹필름 위에 원하는 투명패턴(윈도우)가 남겨진다. 다음에 광감성 물질을 얻어진 마스킹 필름과 네가티브를 통해 광에 노출시켜서 마스킹 필름의 윈도우에 해당되는 위치에서 광감성 물질상에 포지티브가 얻어진다.
내광층은 일반적으로 내광물질로서 기능하는 착색제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착색제는 광차단 특성이 우수한 적색 착색제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붉은 색상의 내광 마스킹 필름은 필름의 붉은색이 작업자의 눈을 긴장하고 피로하게 하기 때문에 절단적업 및 계속되는 필링(peeling)작업이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을 가진다, 이것은 황색 내광 마스킹 필름에도 역시 적용된다. 녹색 착색제를 사용하는 마스킹 필름을 이용하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필름은 의레히 광차단성질이 나쁜 문제점을 야기한다.
컬러사진 조판 재생법에 있어서, 처리할 원래의 컬러필름을 먼저 컬러 스캐너(color scanner)로 주사하여 청색, 자홍색, 황색 및 흑색의 개별적인 4색상 각각에 대한 단색 네가티브를 형성한다. 명(銘), 삽화, 화면음영 등의 변형을 삽입하는 경우, 해당하는 네가티브를 역시 제조한다. 다음에 이들 네가티브를 각 4색상에 대해 조립한다. 다음에 할로겐화은 타입 또는 포토레진타입 등의 광감성 물질을 조립된 각 4 네가티브를 토해 반복 노출시켜 포지티브필름을 제조한다. 이 경우, 원하는 부분의 광감성 물질을 차폐하기 위하여 내광 마스킹 필름을 사용한다.
포지티브 패턴의 제조를 위한 상기 기재된 방법에 사용된 마스킹 필름으로서, 앞에 언급된 황색 또는 호박색의 것들이 사용되어왔다. 상이한 컷 패턴을 갖는 많은 마스크들이 각 노출단계에 사용되기 때문에, 마스킹층을 절단하고 벗겨내는 실수들이 종종 생긴다. 또한, 어느 네가티브 패턴이 "삭제"(또는 '살리다')인지 결정하기가 매우 번거롭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내광 마스킹 필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발명에 따라서, 투명기질 및 이 기질의 표면위에 벗겨질 수 있게 제공된 투명한 내광 마스킹 필름으로 구성되고 밝은 황색 착색제와 청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내광 마스킹 필름이 제공되며, 따라서 내광층의 색상은 밝은 녹색이고 내광층의 분광 튜과율은 350nm및 Lmax(Lmax는 420nm또는 그 이상)의 파장부위에 1%를 초과하지 않으나, Lmax보다 긴 파장의 부위에서 1%를 초과하고 500~570nm의 파장 부위내에서 내광층의 최대 분광투과율이 50%이상이다.
또다른 면에서, 본 발명은 원하는 부분을 내광 마스크 수단으로 차폐하면서 광감성 물질을 화학광선에 노출시키는 노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이 특징으로 하는 바는 적어도 둘의 상이하 1번째 및 2번째 마스킹층을 상기 내광 마스크 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것과, 상기 1번째 마스킹층은 밝은 녹색이고 상기 2번째 마스킹층은 황색 또는 호박색인 것과, 상기 1번째 마스킹층은 황색착색제와 녹색착색제를 함유하므로써 상기 1번째 내광층의 색상이 밝은 청색이고 1번째 마스킹층의 분광투과율이 350nm~Lmax(Lmax는 420nm또는 그 이상)의 파장부위에서 1%를 초과하지 않으나, Lmax보다 긴 파장의 부위에서 1%를 초과하고, 500~570nm의 파장 부위에서 1번째 마스킹층의 최대 분광투과율이 50%이상인 점이다.
이제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내광 마스킹 필름은 그 위에 벗길 수 있는 투명한 내광층이 주어진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된 투명기질로 이루어진다.
공지된 내광 마스킹 필름내의 기질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플라스틱 물질을 본 발명의 목적에 사용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예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및 폴리옥시벤조에이트 필름) 및 폴리카보네이트 필름과 같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기질로서 적당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연산된 필름 및 연산되지 않은 필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필름의 두께는 보통 20~300㎛, 바람직하게는 25~250㎛범위내이다.
기질 위에는 일반적으로 (ⅰ)합성고무(예 : 니트릴 고무)또는 합성수지(예 :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 공중합체 또는 염화 비닐/초산비닐공중합체)등의 결합제와 (ⅱ))내광 또는 차광물질로 구성되는 벗길 수 있는 내광층이 씌워진다. 내광층은 또한 필요하다면 통상적인 마스킹 필름에 사용되는 충진제 등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내광층은 일반적으로 20~50㎛,바람직하게는 23~43㎛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황색착색제와 청색착색제의 혼합물을 사용하므로, 이러한 혼합착색제를 함유하는 내광층은 밝은 녹색이고 내광층의 분광투과율(광 투과도)은 350~Lmax(Lmax는 420nm또는 그 이상)사이의 임의의 파장 범위에서 1%이하이다. 따라서, 본 내광층은 350~Lmax의 파장을 갖는 광선을 거의 완전히 차단하므로, 실온 광감성 필름을 UV선에 노출시킬때, 내광 마스킹 필름으로 차폐된 원하는 부분은 실질적으로 노출되지 않고 남을 수 없다. 그러나, 본 내광층의 분광 투과율은 Lmax보다 긴 파장에서 1%, 500~570nm의 파장 범위에서 50%를 초과한다. 파장 Lmax는 내광층이 실질적으로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광선의 파장 부위내에서 최대 파장을 나타내고 본 명세서에서 "최대광-차단파장"으로 지칭한다. 최대광-차단 파장은 일반적으로 420~470nm범위내이다.
적당한 밝은 녹색조를 얻기 위해서, 본발명의 내광층은 하기 특성들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 (a) 청색 필터를 통한 광학 농도 Db가 0.9~2.0이고; (b) 녹색필터를 통한 광학농도Dg가 0.5 또는 그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45이고; (c) 적색필터를 통한 광학농도 Dr가 0.4 또는 그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4~2.7이고; (d) Dg/Dr비가 0.7 또는 그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6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광학 농도"는 청색 필터로서 래턴(wratten)47 및 CC-40M필터의 조합을, 적색필터로서 래턴 92필터를, 녹색필터로서 패턴 93필터를 사용하는 맥베스(Macbeth)광학 사진 농도계 TD904로 측정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특성의 결과로서, 본 발명에 따르는 내광마스킹 필름은 성질면에서 만족스러운 광-차단 성질과 독특한 색조를 나타내므로, 용이하고 효과적인 절단적업, 레이징(raising)및 필링(peeling)작업 및 마스킹 작업이 가능하다. 특히, 절단선을 형성하기 위한 암녹색 마스킹필름을 원판에 찍을때, 원판의 패턴이 희미해져 투사가 어렵다.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마스킹필름으로는, 내광층이 밝은 녹색이기 때문에 원판의 패턴이 원판위에 놓여진 마스킹 필름을 통해 선명하게 보여지므로 투사에 의한 절단선의 형성이 용이해진다. 또한, 황색 또는 호박색 등의 상이한 색상을 갖는 또다른 보통 마스킹 필름과 함께 녹색 마스킹 필름을 사용하는 것은 차폐된 네가티브를 통한 노출에 의한 포지티브 필름의 제조를 용이하게 한다.
광차단의 원하는 정도는 내광 마스킹필름이 사용되는 방식과 차폐되는 광감성 필름의 종류에 의존한다. 일반적으로, 광 노출 횟수가 1또는 2인 경우, 완전한 광차단은 필요치 않다.
즉, 내광층이 350nm~최대 광-차단 파장의 파장부위에서 그 분광투과율이 1%이하, 바람직하게는 0.5%인 내광성질을 나타내는 한, 보통 광감성 필름의 내광층으로 차폐된 부분은 실질적으로 노출되지 않은 채로 남는다. 반면에, 노출이 수차례(10번 정도)되풀이 되는 경우, 내광층은 그 분광투과율이 0.2%이하, 바람직하게는 0.1%이하인 내광성질을 나타낸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밝은황색 착색제는 420또는 그 이상의 최대 광-차단 파장을 가지고 광학농도가 청색필터를 통할때 0.9~2.0, 녹색필터를 통할때 0.5또는 그 이하, 적색 필터를 통할때 0.4이하인 레몬색 착색제가 바람직하다. 밝은 황색 착색제의 예로는 사비닐 옐로우 RLS(C.I.솔벤트 옐로우 83), 아이젠 SOT옐로우-1(C.I.솔벤트 옐로우 56), 미하라 오일 옐로우 3G, 네오 자폰 옐로우018(C.I.솔벤트 옐로우79), 오르사울 옐로우 2GLN(C.I.솔벤트 옐로우 88), 사비닐 옐로우 2GLS(C.I. 솔벤트 옐로우 79), 발리패스트 옐로우 1103, 발리패스트 옐로우2110(C.I.솔벤트 옐로우 79), 발리 패스트옐로우 1101), 발리패스트 옐로우 1105, 미하라 오일 옐로우 5G, 30미하라 오일 옐로우 10G, 카야셋 옐로우 K-RL, 오일 옐로우 101(C.I.솔벤트 옐로우 34), 오일 옐로우 107(C.I.솔벤트 옐로우 42), 오일 옐로우 D(C.I.솔벤트 옐로우 93), 네오 슈퍼 옐로우 C-131(C.I.솔벤트 옐로우21), 및 네오슈퍼 옐로우 C-132(C.I.솔벤트 옐로우 151)이 포함된다. 이들 밝은 황생착색제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모든 청색 착색제는 그것이 황색 착색제와 조합으로 사용될때 상기 언급한 특성들을 갖는 내광층을 제공할 수 있는 한 본 발명의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청색착색제의 예로는 발리패스트 블루 1505(Corlor Index(C.I.)솔벤트 블루38), 발리패스트 블루 2606(C.I.솔벤트 블루 20), 사비닐 블루 GLS(C.I.솔벤트 블루 44), 노자폰 블루 807(C.I 솔벤트 블루 70), 네오 슈퍼 블루 C-531(C.I.솔벤트 블루70), 네오 슈퍼 블루 C-551(C.I. 솔벤트 블루 70), 오라졸 블루 2GLN, 오라졸 블루 GN 및 오일 블루 BO(C.I. 솔벤트 블루 25)가 포함된다. 이들 청색 착색제는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황색 및 청색 착색제는 내광층에 바람직한 광-차단 성질을 부여하나 투명상태를 유지하는 그러한 양으로 사용된다. 내광층 내의 황색 및 정색착색제의 총량은 일반적으로 2~50중량 %, 바람직하게는 5~30중량%이다.
광-차단 성질의 향상을 위해서 본 발명의 마스킹 필름의 내광층 속에 UV 광선 흡수제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든 공지의 UV흡수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살리실산 에스테르 벤조트리아졸 및 벤조페논이 이러한 UV광선 흡수제의 예이다. 이중에서, 내광층으로부터 자유롭게 흘러나오는 이류로 벤조페논(벤조페논 또는 치환된 벤조페논)이 특히 바람직하다. UV광선 흡수제를 일반적으로 혼합된 청색 및 황색착색제를 기준으로 0.05~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0.7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된다. 혼합된 착색제와 함께 UV 광 흡수제를 사용하면 적당한 광-차단 성질을 가진 내광층을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다면, 기질과 내광층 사이에 압력 민감성 접착제층을 삽입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한번 기질로부터 벗겨낸 내광층의 일부분을 마스킹 필름의 재사용을 위해 기질에 재부착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층은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포화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 접착제, 또는 천연고무, 클로로프렌고무 또는 니트릴고무 등의 고무 접착제로 형성된다.
이러한 압력 민감성 접착제 층을 기질과 내광층 사이에 제공하는 경우, 내광층은 표면의 비점착성 향상을 위하여(A)니트릴고무,(B)니트로셀룰로오스,(C)가소제 및(D)상기 언급한 바와 같은 혼합 내광 착색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니트릴 고무(A)는 예를들면, 아크릴로니트릴과 부타디엔의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의 공중합체 또는 아크릴로 나트릴 부타디엔 및 카르복실기-함유 단량체의 삼중합체와 같은 아크릴로니트릴과 다른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공중합체이며,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19~51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니트릴고무는 적당한 접착성 및 적당한 벗겨짐 성질을 내광층에 부여한다.
니트릴로 셀룰로오스 (B)는 니트릴 고무와 협력하여 점착성 감소제로서 기능한다. 질소 함량이 10.7~12.2중량%인 니트로셀룰로오스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가소제(C)는 내광층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하여 층은 파손 또는 손상없이 벗겨내어지고 재부착을 위해 재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소제의 예로는 지방산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300~500인 것, 트리멜리트산 에스테르, 바람직하게는 분자량 500~700인 것, 에폭시화 지방 및 지방오일(글리세라이드),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약 300~1300인 것, 및 에폭시화 지방산 에스테르(비(non-)글리세라이드),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약 300~1300인 것이 포함된다. 적당한 가소제의 예로는 디(부톡시에톡시에틸)아디페이트, 트리옥틸 트리멜리테이트, 에폭시화 대두유, 에폭시화 면실유, 메틸 에폭시 스테아레이트, 부틸 에폭시스테아레이트, 옥틸 에폭시 스테아레이트 및 디(2-에틸헥실)에폭시헥사히드로프탈레이트이다.
상기 4성분은 하기의 비율로 사용된다. (A)대 (B)의 중량비는 일반적으로 20:80~80:20, 바람직하게는 30 : 70~70 : 30이다. (C)의 양은 일반적으로 (A) 및 (B)내의 전체 수지 고형물 중량 100부당 0.1~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20중량부이다. 혼합된 내광 착색제의 양은 일반적으로(A) 및 (B)의 전체 수지 고형물 100중량부당 3~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20중량부이다.
4성분(A)-(D)에 추가하여, 접착제층 표면위에 주어지는 내광층은 벤조구아나민 수지 등의 유기 화합물 또는 실리카 등의 무기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은 양자 모두 4성분(A)-(D)와 비혼화성이다. 이러한 화합물의 첨가는 내광층의 표면으로부터의 광의 반사를 방지하고 그 표면의 점착성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첨가제는 (A)및 (B)내의 전체 수지 고형물 100중량부당 0.1~20 중량부로 사용된다.
내광 마스킹 필름은 임의의 공지 방식, 예를 들어 각 코우팅 조성물을 연속적으로 기질 위에 코우팅하는 것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분산액 또는 용액 형태일 수 있는 코우팅 조성물의 형성을 위해 유기용매 또는 용매들을 사용한다. 바람직하다면, 내광층속에 배합될 착색제의 일부를 내광층 위에 주어진 오버코우트층, 내광층 아래에 주어진 언더 코우트층(상기 기술된 압력 민감성 접착제층)속에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내광 마스킹 필름은 할로겐화은-타입 또는 포토래진-타입물질과 같은, 파장이 400nm이상인 광선에 민감한 실은 광감성 물질의 차폐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하기 실시예로써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부"는 중량기준이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코우티 액을 제조한다
[표 1]
Figure kpo00002
*1 : 황색착색제(오일 옐로우 101,C.I.솔벤트 옐로우34, 오리엔트 케미칼 인더스트리Co., Ltd.)
*2 : 황색착색제(발리패스트 옐로우 4120, C.I.솔벤트 옐로우 82, 오리엔트 케미칼 인더스트리 Co., Ltd)
*3 : 청색착색제(네오자폰 블루 807, C.I.솔벤트 블루 70)
*4 : 2, 2', 4, 4'-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5 : 니폴 1042(Nihon Zeon Inc., 아크릴로니트릴 함량 : 33중량%)
*6 : VYHH(Union Carbide Inc., 염화비닐 함량 : 86%)
*7 : 실리카(실로이드 74, Fuji-Devitson Inc.)
폴리에틸렌 페페프탈레이트 필름 (두께: 100㎛)의 표면에 코우팅액을 도포하고 코우팅된 층을 건조하여 25㎛ 두께의 밝은 녹색의 벗겨낼 수 있는 내광층을 갖는 마스킹 필름을 수득한다. 마스킹 필름은 파장이 450nm이하의 광을 차단할 수 있으며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545nm에서 분광 투과피크를 나타낸다.
이 피크에서 투과율은 50%를 넘는다. 마스킹 필름을 원판위에 겹쳐 놓고 나이프로 투사하여 절단선을 수동적으로 형성한다. 원판의 패턴은 필름을 통해 선명히 보여진다. 절단작업은 눈 긴장 문제를 겪지 않고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필름은 실온 광감성 물질의 차폐에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밝혀진다.
[실시예 2]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두께 : 100㎛)에 클로로프렌-함유 압력 민감성 접착제층(건조 후 두께 : 3㎛)으로 코우팅한다. 다음에 실시예 1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코우팅액을 접착제층의 표면에 도포하고 코우팅된 층을 건조시켜 접착제층 위에 벗겨낼 수 있는 내광층(두께 : 40㎛)를 갖는 마스킹 필름을 수득한다. 마스킹 필름은 실시예 1의 것과 투사한 광-차단 및 분광투과 특성을 나타낸다. 내광층의 일부를 절단하고 기질로부터 벗겨낸다. 벗겨낸 부분은 전자의 (the former)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 3]
하기 조성을 갖는 주된 액체를 제조한다 :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90부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 210부
표면 거칠음화제 3.2부
메틸에틸케톤 1141부
상기 주된 액체를 사용하여 하기 조성을 갖는 코우팅액을 제조한다 :
주된 액체 100부
오일 옐로우 101 0.9부
발리패스트 블루 2606 0.2부
코우팅액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위에 두께 25㎛까지 도포하여 내광 마스킹 필름을 수득한다. 이필름의 분광 유과율은 360~420nm의 파장 범위내에서 1 % 이하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 필름은 우수한 광-차단성질을 갖는다.
[비교예 1]
오일 혈로우 101대신에 스필론 옐로우 C-GNH(0.83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같은 방식으로 실시예 3을 되풀이한다. 분광투과율은 350~385nm의 파장범위내에서 1%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필름은 광-차단 성질이 나쁘다
[비교예 2]
오일 옐로우 101대신에 네오자폰 옐로우 GG(0.5부)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같은 방식으로 실시예 3을 되풀이한다. 분광투과율은 350~420mn의 파장 범위에서 1%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 필름은 광-차단 성질이 나쁘다.
[실시예 4]
상기의 주된 액체와 표 2에 지적된 황색 및 청색 착색제를 사용하여, 표 2에 나타낸 조성을 갖는 코우팅액을 제조한다. 표 2에서, 청색 착색제 BL-1과 황색착색제 YL-1은 실시예 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하다. 황색착색제 YL-3은 사비닐 옐로우 RLS를 표시한다. 각 코우팅액을 100㎛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24㎛두께까지 도포하여 내광 마스킹 필름을 수득한다. 그렇게 해서 수득한 각 마스킹 필름의 분광 투과율과 광학 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가 표 2 에 주어진다.
[표 2]
Figure kpo00003
상기 마스킹필름 1~15번은 우수한 광-차단성질을 나타내지만, 마스킹필름 1번 및 7번은 그 황색으로 인하여(눈의 긴장을 초래)불리하다. 암록색인 마스킹 필름 8~15번은 투시(see-through)성질이 나쁘기 때문에 역시 불리하다.
다양한 황색 착색자들을 그들의 색도좌표(JIS Z 8722-1982에 의거), 광학농도 (맥베스 사진농도계) 및 색조(눈으로)를 시험한다. 결과가 표 3-1 및 3-2에 주어진다. 시험된 황색 착색제는 우수한 광-차단 성질을 나타내지만.황색착색제는 청색 착색제와 혼합할 때 밝은 녹색을 내지 못한다.
[표 3-1]
Figure kpo00004
[표 3-2]
Figure kpo00005
[실시예 5]
각각 패턴 (3) 및 (4)를 갖는 2개의 네가티브 필름(1) 및(2)를 처리되어질 색채상(color image)의 색 분리에 의해 제조한다. 각각의 분리된 색(청색, 자홍, 황색 및 흑색)에 대해 유사한 쌍의 네가티브 필름을 제조하여 총 8개의 네가티브 필름을 수득한다. 패턴(4)는 스테트(stet)이고 패턴(3)은 딜리(dele)이다. 패턴(3)의 오른쪽 말단의 반원형 부분은 삭제되고 스테트 패턴(4)에 의해 치환된다. 실시예 1에서 얻어진 밝은 녹색 마스킹 패턴(10)을 절단하고 벗겨내면 패턴(3)의 형상에 상응하는 투명 윈도우(30)이 남는다.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호박색 마스킹 패턴(20)을 절단하고 벗겨내면 패턴(3)의 형상에 상응하는 투명 윈도우 (40)가 남는다. 2개의 마스킹 필름(10)및 (20)이 제 3 도에서와 같이 겹쳐지는 경우, 스테트 패턴(4)에 상응하는 윈도우 부분(40)은 밝은 녹색 패턴으로서 선명하게 보여지는 한편, 딜리 패턴(3)에 상응하는 윈도우부분(30)은 호박색 패턴으로서 선명하게 보여진다. 따라서, 색상에서의 차이로 인하여, 2개의 윈도우 부분(30) 및 (40)이 최종적으로 원하는 패턴에 따라서 적절하게 형상지워졌는지 결정하기가 쉽다. 또한 겹쳐진 상태의 윈도우(30) 및 (40)사이의 색상차이로 인하여 패턴(3)이 딜리이고 패턴(4)가 스테트인 것을 판단하기가 쉽다.
포지티브의 형성을 위한 리드형(Lith-type)필름 위에 마스킹 필름(30)을 씌우고, 그 위에 네가티브 필름(1)을 또 겹쳐 놓는다. 리드형 필름을 UV광에 노출시킨다. 마스킹 필름(40) 및 네가티브 필름(2)로 마스킹 필름(30) 및 네가티브 필름(1)을 대치하고, 두번째 노출을 수행한다. 그 다음에 리드형 필름을 현상하여 포지티브 필름을 수득한다. 상기 과정을 상이한 개별적인 4색상 각각에 대해 되풀이하여 총 4개의 포지티브 필름을 수득한다.

Claims (11)

  1. 투명기질 및 이 기질의 표면위에 벗겨질 수 있게 주어지고 밝은 황색 착색제 및 청색 착색제를 함유하는 투명한 내광층으로 구성되면, 그리하여 내광층의 색상은 밝은 녹색이고 내광층의 분광 투과율은 350nm와 Lmax(Lmax는 420nm또는 그 이상)사이의 파장부위에서 1%를 초과하지 않으나, Lmax보다 긴 파장 부위에서 1%를 초과하고 500~570nm의 파장 부위에서 내광층의 최대분광 투과율이 50%이상인, 내광 마스킹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Lmax가 420~470nm인 내광 마스킹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광층이 UV광 흡수물질을 또한 함유하는 내광 마스킹 필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UV광 흡수물질이 벤조페논 또는 치환된 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지는 내광 마스킹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광층이 하기 색상 특성을 갖는 내광 마스킹 필름 : (a) 청색필터를 통한 색농도 Db가 0.9~2.0이고 ; (b) 녹색필터를 통한 색농도 Dg가 0.5이하이고 ; (c) 적색필터를 통한 색농도Dr가 0.4이상이고 ; (d) Dg/Dr비가 0.7이하이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질과 상기 내광층 사이에 주어진 압력 민감성 접착제층을 또한 포함하는 내광 마스킹 필름.
  7. 적어도 2개의 상이한 1번째 및 2번째 마스킹 필름이 상기 내광 마스크, 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것과, 상기 1번째 마스킹 필름이 밝은 녹색이고 상기 2번째 마스킹 필름이 황색 또는 호박색인 것과 상기 1번째 마스킹 필름이 밝은 황색착색제와 청색 착색제를 함유하여 상기 1번째 마스킹 필름의 색상이 밝은 녹색이고 1번째 마스킹 필름의 분광 투과율이 350nm와 Lmax(Lmax는 420nm또는 그 이상)사이의 파장 부위에서 1%를 초과하지 않으나, Lnax보다 긴 파장 부위에서 1%를 초과하고, 500~570nm의 파장부위에서 1번째 마스킹 필름의 최대분광 투과율이 5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 광감성 물질을 그중 원하는 부분을 내광 마스크 수단으로 차폐하면서 화학광선에 노출시키는 노출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Lmax가 420~470nm인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번째 마스킹 필름이 UV광 흡수물질을 또한 함유하는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UV광흡수물질이 벤조페논 또는 치환된 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1번째 마스킹 필름이 하기의 색상 특성을 갖는 방법 : (a)청색 필터를 통한 색농도 Db가 0.9~2.0이고 ; (b) 녹색필터를 통한 색농도Dg가 0.5이하이고 ; (c) 적색필터를 통한 색농도 Dr가 0.4이상이고 ; (d) Dg/Dr비가 0.7이하이다.
KR1019890016304A 1988-11-10 1989-11-10 마스킹 필름 및 노출방법 KR9200038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416388 1988-11-10
JP284,163 1988-11-10
JP8560389A JPH06100821B2 (ja) 1988-11-10 1989-04-03 薄グリーン系遮光性マスキングフィルム
JP85,603 1989-04-03
JP9099789A JPH06100822B2 (ja) 1988-11-10 1989-04-11 カラー製版用ポジフィルムの作成方法
JP90,997 1989-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8328A KR900008328A (ko) 1990-06-03
KR920003807B1 true KR920003807B1 (ko) 1992-05-15

Family

ID=27304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6304A KR920003807B1 (ko) 1988-11-10 1989-11-10 마스킹 필름 및 노출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368630B1 (ko)
KR (1) KR920003807B1 (ko)
AT (1) ATE138209T1 (ko)
AU (1) AU616321B2 (ko)
CA (1) CA2002502A1 (ko)
DE (1) DE68926488T2 (ko)
DK (1) DK563089A (ko)
FI (1) FI895377A0 (ko)
NO (1) NO894458L (ko)
NZ (1) NZ2313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144C (zh) * 1993-06-05 1997-02-26 中国人民解放军总参谋部测绘研究所 刻图膜片及其制法
EP0802065B1 (en) * 1996-04-19 2000-06-28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Thermal dye transfer sheet and method f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02811A (en) * 1954-12-08 1958-10-15 Caribonum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ated paper
DE1572097A1 (de) * 1966-02-18 1970-02-19 Keuffel & Esser Co Lichtempfindliches Gravierschichtmaterial
US3619335A (en) * 1969-04-21 1971-11-09 Minnesota Mining & Mfg Unitary laminate
US3892900A (en) * 1972-11-02 1975-07-01 Daicel Ltd Masking films
JPS61166549A (ja) * 1985-01-18 1986-07-28 Somar Corp 遮光性マスキングフイルム
JP2592666B2 (ja) * 1988-09-27 1997-03-19 ソマール 株式会社 グリーン系遮光性マスキングフィルム
FR2735782A1 (fr) * 1995-06-26 1996-12-27 Rohm & Haas France Peinture de signalisation routiere et procede pour empecher son jauniss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68630A2 (en) 1990-05-16
AU616321B2 (en) 1991-10-24
NO894458L (no) 1990-05-11
KR900008328A (ko) 1990-06-03
EP0368630A3 (en) 1991-06-12
EP0368630B1 (en) 1996-05-15
DK563089A (da) 1990-05-11
DE68926488D1 (de) 1996-06-20
FI895377A0 (fi) 1989-11-10
DE68926488T2 (de) 1996-12-19
ATE138209T1 (de) 1996-06-15
CA2002502A1 (en) 1990-05-10
NO894458D0 (no) 1989-11-08
NZ231328A (en) 1991-10-25
AU4452889A (en) 1990-05-17
DK563089D0 (da) 1989-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59572B1 (en) Photographic color effects lighting filter system
JPS62267738A (ja) ポジ型カラ−プル−フ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法
EP0452027A2 (en) Correction of defects in colour filters
KR920003807B1 (ko) 마스킹 필름 및 노출방법
EP0360943B1 (en) Lightsafe masking film
US5368962A (en) Masking film
US3902901A (en) Photomechanical process
EP0372129B1 (en) Lightsafe masking film
DE3730881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rbbilds
US4937116A (en) Lightsafe masking film
JPS62267736A (ja) フォトポリマーカラープルーフフイルムおよび重ね刷りカラープルーフの作成方法
AU618150B2 (en) Masking films
JPH06100822B2 (ja) カラー製版用ポジフィルムの作成方法
US2161399A (en) Photomechanical color reproduction
JP3005004B2 (ja) 遮光性マスク材料
US3001311A (en) Fluorescent article for use in the graphic arts and method of making same
DE1282447B (de) Feste, fotopolymerisierbare Schicht zur Erzeugung von Bildern oder Druckplatten
JPH06100821B2 (ja) 薄グリーン系遮光性マスキングフィルム
JPH02222949A (ja) カラー製版用ポジフイルムの作成方法
JP3066869B2 (ja) 遮光性マスキングフィルム
US5889628A (en) Multicolor antiquation screen
CA1307981C (en) Lightsafe masking film
Jolliff et al. A permanent color alternative to diazo 2× 2 slide transparencies
DE1140815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hoto-graphischen Bildern mit farbigem Licht, insbesondere fuer die Herstellung von Masken fuer die Reproduktion von Farbenbildern
JPS613025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