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793B1 -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793B1
KR920003793B1 KR1019860002250A KR860002250A KR920003793B1 KR 920003793 B1 KR920003793 B1 KR 920003793B1 KR 1019860002250 A KR1019860002250 A KR 1019860002250A KR 860002250 A KR860002250 A KR 860002250A KR 920003793 B1 KR920003793 B1 KR 920003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ment
hanger
support block
movable rail
processing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7566A (ko
Inventor
모도아끼 무라까미
Original Assignee
노오리쓰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니시모도 간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오리쓰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니시모도 간이찌 filed Critical 노오리쓰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7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7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03D3/08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 G03D3/12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for plates, films or prints spread onto belt convey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03D3/08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 G03D3/1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for plates, films, or prints held individual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03D3/08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graphic Processing Devices Using Wet Method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
제 1 도는 특히 복수의 디스크 필름이 실린 두 행거가 본 발명의 장치의 도움으로 단계적으로 이송되는 것을 보여주는 한 행거가 처리액조내에 침지되어 있는 현상장치의 약시적 단면 평면도이다.
제 2 도는 특히 본 발명장치의 작동 방법을 예시하는 제 1 도의 II-II선을 따른 현상장치의 단면도이다.
제 3 도는 특히 운동레일에 대해 지지블록 변위 기구를 어떻게 제작하는가를 보여주는 배면에서 본 제 1 도의 현상장치의 단편 후면도이다.
제 4 도는 특히 운동부재가 기구내에 어떻게 설치되는가를 보여주는 제 2 도의 기구의 확대 측면도이다.
제 5 도는 특히 연결봉이 운동부재에 어떻게 작동적으로 연결되는가 하는것과 운동부재가 스프로켓 주위로 주행하는 무한 체인에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보여주는 제 3 도에 있는 기구의 단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n : 처리액조 10 : 행거
15 : 구동기어 16 : 무한벨트
20 : 가동레일 25 : 지지블록
30 : 브래켓 31, 32 : 축
42a, 42b, 42c, 42d : 스프로켓 43 : 체인
46a : 베벨기어 46b : 기어
47 : 기어 50 : 운동부재
55 : 연결봉 60 : 스토퍼
61, 62 : 축 100 : 디스크 필름
본 발명은 디스크 필름이라 불리는 원반상 사진 필름을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것으로, 이 장치는 감광재료처리장치 특히 디스크 필름 현상장치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 분야의 전문가는 잘알고 있듯이, 디스크 필름 현상장치는, 암상자와 복수의 현상, 표백, 정착, 필름안정화 및 경화단계가 행해지고 각 인접처리단 사이에 수세 단계가 행해지는 일련의 처리 액조와, 길이가 긴 사진 필름을 사진학적으로 처리하는 종래의 현상장치의 경우와 거의 같은 방식으로 디스크 필름을 처리액조내에 연속적으로 침지시키는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와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디스크 필름을 각처리 액조내에 침지시키고 거기서 꺼내기 위한 승강운동과 디스크 필름을 다음 처리액조에 이송시키기 위한 전진운동등 복수의 운동을 일어나게하는 종래의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로는, 미국특허 제4,502,772호, 영국특허 제2,122,771B호 및 캐나다 특허 제1,191,732호로 특허된 발명을 본 발명자들이 이미 제안한바 있다.
종래의 이송장치의 구성을 보면, 이 장치에는 복수의 행거를 활주적으로 재치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상승운동, 전진운동, 하강운동, 후퇴운동 및 가동레일의 최하위치에서의 일시적 정지등의 일련의 운동을 반복수행하기에 적합하고, 일련의 처리액조의 배열방향으로 보아 최전단 및 최후단에 있는 스프로켓 휘일 주위로 주행하는 무한체인이 장착되어 있는 가동레일이 있으며, 각 행거는 그 하단에는 처리할 복수의 디스크 필름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지지축이 장착되어있고, 또한 상기 이송장치에는 가동레일이 최하위치에 도착하기 조금전에 있어서의 행거의 전진후퇴 운동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행거이동 방지부재가 있으며, 각행거 이동방지부재에는 회전력을 디스크 필름용 지지축에 전달해주는 회전력 전달기구가 장착되어 있으며, 거기서 가동레일의 일시정지시 지지축이 디스크 필름과 함께 각 처리액조내에서 회전되는 동안 필요한 처리가 행해지고 그런뒤 행거의 상승, 전진 및 하강 운동동안 행거는 한 구간의 거리만큼 전진하게 되어있다.
그러나, 각 디스크 필름은 피처리물로서 작은 치수로 설계되지만 행거와 함께 상승하강운동을 행하기에 적합한 가동레일은 별수 없이 넓은 운동범위를 갖지 않을 수 없고 그에 의해 이송장치를 구성하는 부재 부품들은 보다 큰 치수로 설계되며 그결과 부재 부품수가 증가하게되고 구조와 기능은 복잡해지고 경제적 효율은 저하하게되는 본질적 결함이 상기 종래의 이송장치에는 있다는것이 지적되어 왔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배경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졌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최근에 디스크 필름의 소비량이 증가추세에 있기는 해도 상품 시장에서의 전체 감광재료의 총소비량에 비해서는 디스크 필름의 소비량이 여전히 낮은 수준에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일련의 현상단계가 높은 조작효율로 디스크 필름에 대해 행해지는 것을 보장하는 디스크 필름 이송용의 개량된 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목적은, 그 소비량이 낮은 수준에 있는 소형 디스크 필름을 처리하는데 적합한 처리장치에 적합하도록 보다 작은 치수로 설계 제작될 수 있게 보장하는 디스크 필름 이송용의 개량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한 목적은 디스크 필름용 처리장치에 쉽게 조립되고 조작되는것과 그위에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되는 것을 보장하는 디스크 필름 이송용 개량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같은 현상장치내의 디스크 필름 이송용 장치를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다. 즉, 복수의 행거를 싣고 있는 가동레일이 행거의 이송방향으로 평행으로 뻗은 축을 따라 활주할수 있고 상기 축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지지블록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각 행거는 처리할 복수의 디스크 필름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그 하단이 회전축으로 장착되어 있는것과, 지지블록은 연결봉에 의해 운동부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운동부재의 상승과 하강운동중에는 연결봉으로 도움으로 지지블록을 전방향으로 돌리고 다음은 후방향으로 선회시킴으로써 행거에 실린 디스크 필름이 처리액조내에 잠입하고 그 액조로부터 인양되도록, 또한 운동부재의 전진운동중에는 행거가 다음 처리액조 상부의 다음 작동지점에 활주 변위하고 디스크 필름은 그 처리액조 상부에 위치하도록, 운동부재는 운동부재의 상승운동, 하강운동, 전진운동 및 후퇴운동을 행하게하는 체인-스프로켓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 것과, 운동부재의 후퇴운동중에는 디스크 필름은 다음 처리액조내 처리액중에 침지되어 있는채 단지 가동레일만이 후방이동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서 복수의 스토퍼가 가동레일을 따라 서로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것에 본 발명의 개량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여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관련해서 다음의 설명을 읽어봄으로써 쉽사리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도면은 디스크 필름 현상장치내에 조립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장치가 일련의 처리액조와 관련하여 어떻게 작동되는가를 개략적으로 표시한다. 그러나 당해 기술분야에서 주지된 중요치않은 부재와 부품은 되도록 간략히 표시했거나 그렇치 않으면 예시를 간략히 하기 위해 표시하지 않았다.
이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를 약시하고 있는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예시를 간략히 하기 위해 당분야의 어떤 전문인에게나 주지되어 있는 중요치 않은 본 발명장치의 구성부품은 도면에 표시하지 않음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제 1 도에 있어서, 부재번호(100)은 디스크 필름으로 호칭되는 원반상 사진 필름을 표시하는데, 이 디스크 필름의 외경은 약 6.5cm(2.56인치)이고 그의 중심부에는 내경 약 1cm(0.4인치)의 구멍이 천설되어 있고, 또한 디스크 필름은 그 외주를 따라 등 간격으로 복수의 노출부가 배치되어있다.
부재기호(X)는 복수의 처리액조(1),(2),(3)…를 포함하는 처리액조 구역을 표시하는데, 여기에는 현상, 표백, 정착, 필름 안정화 및 경화의 일련의 처리공정(단계)이 디스크 필름(100)에 대해 행해지고, 인접 공정간에는 필요한대로 수세공정이 끼인다. 그리고 부재기호(Y)는 처리액조 구역(X)에서 상기 현상처리공정을 행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이송장치(나중에 상세히 설명함)를 표시한다. 처리액조구역(X)과 이송장치(Y)와로 구성되어있는 디스크 필름 현상장치는 암상자(도면에 표시안됨)도 또한 갖추면 좋을것이며, 그것은 주지의 방식으로 설계 제작되고 제어상자가 장착된 프레임을 반드시 구비하고 있다. 명백히, 제어상자에는 장치의 시동 및 정지를 제어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와 푸시버튼이 장착된다.
다음에는 디스크 필름(100)을 차례로 처리액조(1),(2),(3),…(n)에 침지시키고 꺼내고 인접조간의 격벽을 지나 다시 침지시켜서 일련의 상기 공정을 수행하는 이송장치(Y)에 대하여 특히 그 구조와 기능에 관하여 다음에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제 1 도 내지 3 도에 나타낸것처럼, 여러개의 디스크 필름(100)이 비의도적으로 회전하지는 않도록 되어 회전축(11)상에 지지되어 있다. 도면에서 분명한 것처럼 회전축(11)은 행거(10)의 최말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행거(10)의 기저부(12)에는 가동레일(20)이 관통계합하고 직사각형상 구멍(13)과 가동레일지지봉(21)이 삽통하는 홈(14)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설명하겠지만, 가동레일(20)은 처리액조(1),(2),(3),…(n)의 배열방향에 수평으로 처리액조(1),(2),(3),…(n)의 후방 및 상당한 상부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봉(21)은 레일보지판(22)에 부착되어있고 이 판(22)은 가동레일(20)의 양단부근에 고착되어 있다. 행거(10)의 기저부(12)의 구조로 인하여 행거(10)는 가동레일(20)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다시, 부재번호(25)는 레일보지판(22)에 재치된 지지블록을 표시하는데 이 블록의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지지블록(25)에는 이의 상하부에 가동레일(20)과 평행으로 뻗는 두개의 통공이 있고 또한 연결간(55)(나중에 설명함)의 상단을 추지(피봇지지)하는 축(26)이 설치되어있다.
두 브래켓(30)사이에 뻗쳐있는 축(31)과 (32)는 지지블록(25)의 상하부에 가동레일(20)에 평행하게 형성된 구멍에 삽통하여 그리하여 지지블록(25)은 축(31)과 (32)을 따라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하부축(32)은 프레임(35)의 양단에 추지되어있는 한편 프레임은 처리액조(1),(2),(3),…(n)의 배열방향에 평행으로 뻗친 측벽(S1)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하부축(32)은 회전축 역할을 하여 브래켓(30)을 지지블록(25)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특히, 레일보지판(22)을 통하여 가동레일(20)을 지지하는 지지블록(25)은 두 브래켓(30)사이에 뻗어있는 축(31),(32)을 따른 수평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으며 더우기 이 블록(25)은 브래켓(30)과 함께 축(32)의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다음에, 지지블록(25)의 활주운동과 회전운동을 행하는 기구에 대해 설명하겠다.
측벽(S1)에 고정된 판(40)에는 이 판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한 네축(41a),(41b),(41c) 및 (41d)이 사각형의 각 네구석에 위치해있고, 네 스포로켓(42a),(42b),(42c) 및 (42d)이 축(41a),(41b),(41c) 및 (41d)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한편 무한체인(43)이 스프로켓(42a),(42b),(42c) 및 (42d) 주위로 주행하고 있다. 구성을 보면, 측벽(S1)에 직각으로 위치한 측벽(S2)에 고정장착된 모우터(M1)의 회전력은 모우터(M1)의 출력축(44)에 장착된 베벨기어(45), 베벨기어(45)와 일체로 만들어진 기어(46b) 및 기어(46b)와 요합하도록 공축 관계로 스프로켓(42a)와 일체로 만들어진 기어(47)를 거쳐 스프로켓(42a)에 전달된다.
확대도인 제 4 도에서 잘 알수 있는 것처럼, 체인(43)에 고정되어있는 운동부재(50)는 역 L자상의 판재로 만들어져 있으며, 이 부재(50)는 체인부착재(51)를 사용하여 체인(43)에 고정되어있고 이 부착재(51)는 운동부재(50)의 수평부에 볼트 연결되어있다. 운동부재(50)의 수직부로부터 수평으로 뻗은 연결핀(52)은 볼조인트(56)의 도움으로 연결봉(55)의 하단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 연결봉(55)의 상단은 지지블록(25)의 축(26)에 피봇식으로 연결되어있다.
그런데, 연결핀(52)의 위치는 운동부재(50)가 각 스프로켓(42a),(42b),(42c) 및 (42d) 주위를 회전하는 지점에 도달할때 연결핀의 축이 스프로켓(42a),(42b),(42c) 및 (42d)의 각축에 일치 위치하도록 결정된다. 또한, 지지판(48)은 스프로켓(42a),(42b),(42c) 및 (42d)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있는 축(41a),(41b),(41c) 및 (41d)의 최선단에 부착되어있다. 지지판(48)에는 운동부재(50)의 수직부의 최하단에 배치된 안내재(53)가 지지판(48)과 위치 결정판(49)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위치결정판(49)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가동레일(20)과 평행으로 측벽(S1)에 고정되어있는 지지프레임(S3)에는 각각 행거(10)를 후퇴 이동못하게 하는 복수의 스토퍼(60)가 설치되어 있는데 두 스토퍼(60)는 각기 처리액조(1)과 (n)의 외단에 위치해있고 다른 스토퍼는 인접처리액조(1),(2)…(n)의 사이에 위치해있다. 제 1 도에서 볼수 있듯이 스토퍼(60)는 모우터(M2)로 구성되는 회전축(6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재 역할을 한다. 복수의 디스크필름(100)을 지지하는 행거(100)의 회전축(11)을 회전시키는 무한 구동벨트(16)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동기어(15)와 기어(62)가 요합하도록 기어(62)는 인접스토퍼(60) 사이의 위치에서 회전축(61)에 고정장착되어 있다.
다음에는 디스크 필름(100)의 현상처리가 어떻게 행해지는가를 설명하겠다. 먼저 회전축(11)에 수개의 디스크 필름(100)이 장착되어 있는 행거(10)는 제 1 도의 부재번호(A1)로 표시된 위치에서 가동레일(20)에 놓여있다. 그뒤, 모우터(M1)를 작동시켜 체인(43)을 구동하고 한편으로 회전축(61)은 모우터(M2)를 회전시켜 구동한다. 운동부재(50)가 제 3 도에 표시된 위치에 있다고 가정할때 운동부재(50)는 스프로켓(42a) 주위를 90도 회전하고 그런뒤 하강운동을 시작한다. 운동부재(50)가 하강함에 따라 연결간(55)은 운동부재(50)와 함께 내려가게되고 그리하여 지지블록(25)은 브래켓(30)과 함께 축(32) 주위로 회전하여 드디어 행거(10)가 가동레일(20)의 도움으로 처리액조(1),(2),(3),…(n)위로 상승하게되며, 이 상태가 제 2 도에서 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운동부재(50)가 스프로켓(42b) 주위로 90도 회전운동하는 동안 가동레일(20)과 행거(10)는 움직이지 않는다. 운동부재(50)가 수평방향으로 스프로켓(42c) 방향으로 운동을 시작하면 운동부재(50)의 운동은 연결봉(55)을 통해서 지지블록(25)에 전해져 지지블록(25)은 축(31),(32)상에서 활동하게되고, 그에의해 가동레일(20)은 지지블록(25)에 연결되어 있기때문에 전진하게 된다. 그결과 행거(10)는 처리액조(1)위의 위치(A2)로 변위한다.
다음에 운동부재(50)가 스프로켓(42c) 주위로 90도 회전운동을 하는 동안은 가동레일(20)과 행거(10)는 움직이지 않는다. 운동부재(50)가 스프로켓(42d)을 향해 상방향으로 운동을 시작하면, 운동부재(50)의 운동은 연결봉(55)을 통해 가동레일(20)에 전해지며 그에의해 행거(10)는 가동레일(20)과 함께 행거(10)를 처리액조(1)내에 침지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운동부재(50)가 그 방향으로 운동을 다한뒤 스프로켓(42d)에 도달하면, 행거(10)는 침지된 상태로 처리액조(1)내에 유지된다. 이 순간기어(62)는 기어(15)와 요합하게 되며 그로인해 무한벨트(16)는 구동되어 디스크 필름(100)을 회전시킨다. 그리하여, 처리액조(1)내에서 현상처리가 행해진다. 이순간 행거(10)는 두 인접스토퍼(60)의 사이에 위치한다.
운동부재(50)가 스프로켓(42d) 주위로 90도 회전운동을 하는동안 가동레일(20)과 행거(10)는 움직이지 않는다. 그런뒤, 운동부재(50)가 스프로켓(42a)을 향해 이동해갈때 연결봉(55)은 가동레일(20)과 함께 뒤로 이동한다. 그러나 행거(10)는 스토퍼(60)의 억제 작용으로 인해 침지된 상태로 처리액조(1)내에 머물러 있는다. 상기한 침지된 상태는 운동부재(50)가 스프로켓(42a)로부터 하강운동을 시작할때까지 계속된다.
운동부재(50)가 하강하는 동안 행거(10)는 스토퍼(60)에서 해방될때까지 처리액조(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그런뒤 상기한 일련의 운동이 반복되고 그럼에 의해 디스크 필름(100)은 행거(10)의 회전운동에 의해 계속적으로 처리액조(2),(3)…(n)내에 침지하게 된다. 그 결과 원하는 현상처리가 완료된다.
운동부재(50)가 스프로켓(42d)에 도달하는 시각과 그것이 스프로켓(42a)을 떠나는 시각사이의 시간동안에 디스크 필름(100)의 처리가 완수될 수 없는 경우에는 모우터(M1)의 작동을 중지시킬 필요가 있다.
지지블록(25)은 스프로켓(42a),(42b),(42c) 및 (42d)의 반경에 대응하여 그의 상승, 하강, 전진, 후퇴운동을 시작하기전에 비작동 기간을 갖기 때문에 지지블록(25)의 운동제어는 대단히 원활히 행해질 수 있다. 더우기, 디스크 필름(100)에 대한 일련의 현상공정동안 행거(10)의 운동은 축(32) 주위의 회전운동과 축(31),(32)을 따른 수평 직선운동이 최소한으로 제한되므로 처리장치내 행거(10)의 운동을 수행하는데 요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전체장치가 컴팩트한 구조로 보다 작은 크기로 설계, 제작 될 수 있다는 이점이 생긴다. 또한, 지지블록(25)은 위치조정이 가능한 레일보지판(22)의 사용으로 가동레일(20)에 계합해 있으므로 가동레일(20)은 행거(10)에 대해 최적 위치를 갖는것이 보장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분명히 알수 있듯이, 본 발명의 특징은, 복수의 디스크 필름이 재치된 행거와 함께 지지블록이 활동하는 두축중의 한축 주위로 단지 행거가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처리액조내에 행거가 들어가고 행거에서 벗어나오는 것이 최소의 조작범위이내에서 수행될 수 있고 그로인해 전체장치가 보다 작은 치수로 설계되고 제작될 수 있으며, 더우기 지지블록은 그 위치조정이 가능한 레일보지판의 도움으로 가동레일에 계합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레일은 행거에 대해 최적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일 실시예에 대해서만 위에 설명했지만 그것은 단지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변경 또는 수식을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청구범위에 정의한 어떤 적합한 방식으로 행할 수 있음을 물론 이해해야 할것이다.

Claims (9)

  1. 일련의 처리액조가 있는 현상장치내에 설치되는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행거를 싣고 있는 가동레일이 행거의 이송방향으로 평행으로 뻗은 축을 따라 활주할 수 있고 상기 축주위로 회전하기에 적당한 지지블록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각 행거는 처리할 복수의 디스크 필름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그 하단이 회전축으로 장착되어있고 상기 가동레일을 따라 활주할 수 있게되어 있는 것과, 지지블록은 연결봉에 의해 운동부재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운동부재의 상승과 하강운동중에는 지지블록을 연결봉의 도움으로 전방향으로 선회시키고 다음은 후방향으로 선회시킴으로써 행거에 실린 디스크 필름이 처리액조내에 잠입하고 그 액조로부터 인양되도록, 또한 운동부재의 전진운동중에는 행거가 다음 처리액조상부의 다음 작동지점에 활주 변위하고 디스크 필름은 그 처리액조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운동부재는 운동부재의 상승운동, 하강운동, 전진운동 및 후퇴운동을 행하게 작용하는 체인-스프로켓 기구에 의해 구동되는것과, 운동부재의 후퇴운동중에는 디스크 필름은 다음처리액조내 처리액중에 침지되어 있는채 단지 가동레일만이 후방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복수의 스토퍼가 가동레일을 따라 격치된 관계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가동레일은 위치조정이 가능한 레일보지판을 사용하여 지지블록으로 지지되어있고, 상기 레일보지판은 가동레일에 고정 결합되어있는 레일지지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필름이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블록에는 가동레일에 평행으로 뻗은 두통공이 그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지지블록에는 연결봉이 피봇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축이 설치되어있으며, 상기 통공에는 그 양단이 브래켓에 고정 결합되어있는 축을 따라 지지블록이 활주할 수 있도록 상기 두 브래켓사이에 뻗쳐있는 각각의 축이 삽설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브래켓은 처리액조에 배열방향으로 평행으로 뻗은 케이싱벽에 고정부착 되어있는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있고 한편으로 하부측의 양단은 브래켓에 고정결합되어 있어 지지블록은 하부축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 스프로켓 기구는 사각형의 네구석에 위치한 지점에 수평방향으로 케이싱벽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네축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네스프로켓과 상기 스프로켓 주위로 뻗쳐있는 무한체인으로 되어있으며, 네스프로켓중의 하나에는 모우터의 회전력이 스프로켓에 전달될 수 있도록 공축관계로 기어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운동부재는 역 L자 형상을 가진 판재로 만들어져 있고 수평부분과 수직부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수평부분에는 운동부재를 작동적으로 체인에 연결시키는 체인 부착재가 장착되어있고 상기 수직부분에는 운동부재를 볼조인트에 의해 연결부재의 하단에 작동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연결핀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운동부재의 수직부분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상기 연결핀은 이 연결핀이 네스프로켓의 각각에 도달할때 그 스프로켓의 각축과 일치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운동부재의 수직부분은 지지판과 위치결정판 사이에 위치하는 그의 최하부 자유단에 안내부재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각 스토퍼는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형으로 설계되며, 행거가 하강하여 디스크 필름이 각 처리액조내 처리액중에 침지될 때 복수의 디스크 필름을 실은 행거에 있는 회전축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에는 회전축을 따라 대략 등간격으로 배설된 복수의 기어가 설치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
KR1019860002250A 1985-03-26 1986-03-26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 KR920003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2379 1985-03-26
JP42379(U) 1985-03-26
JP1985042379U JPS61160442U (ko) 1985-03-26 1985-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7566A KR860007566A (ko) 1986-10-15
KR920003793B1 true KR920003793B1 (ko) 1992-05-14

Family

ID=12634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2250A KR920003793B1 (ko) 1985-03-26 1986-03-26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55575A (ko)
JP (1) JPS61160442U (ko)
KR (1) KR920003793B1 (ko)
CA (1) CA1262066A (ko)
DE (1) DE3610026A1 (ko)
FR (1) FR2579779B1 (ko)
GB (1) GB2173018B (ko)
IT (1) IT11886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91527B (it) * 1986-03-24 1988-03-23 Gretag San Marco Spa Macchina per il trattamento di pellicole fotografiche
JPH0350510Y2 (ko) * 1986-06-24 1991-10-29
JPH0350511Y2 (ko) * 1986-06-24 1991-10-29
US5752123A (en) * 1996-12-02 1998-05-12 Cheng; Jeng-Kuo Automatic X ray develop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2452A (en) * 1977-03-07 1978-09-05 Eastman Kodak Company Apparatus for processing photographic film
FR2503401A1 (fr) * 1981-04-03 1982-10-08 Kis France Sa Appareil automatique pour developper des films photographiques ou similaires
US4431293A (en) * 1981-05-15 1984-02-14 Riekkinen Martti O Film developing apparatus including a series of processing tanks and means for indicating and controlling location of film therein
GB2108706B (en) * 1981-11-06 1985-11-20 Wainco Prod Ltd Film processor
IT1161192B (it) * 1982-05-17 1987-03-11 Noritsu Kenkyu Center Co Apparecchiatura per il trattamento di materiale fotosensibile
JPS5930538A (ja) * 1982-08-12 1984-02-18 Fc Seisakusho:Kk 写真用デイスクフイルムの現像機
US4429980A (en) * 1982-10-05 1984-02-07 Pako Corporation Magnetic drive mechanism for film disc proc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610026C2 (ko) 1987-12-23
GB8607078D0 (en) 1986-04-30
KR860007566A (ko) 1986-10-15
GB2173018A (en) 1986-10-01
US4655575A (en) 1987-04-07
IT1188620B (it) 1988-01-20
DE3610026A1 (de) 1986-10-02
FR2579779A1 (fr) 1986-10-03
GB2173018B (en) 1989-02-01
CA1262066A (en) 1989-10-03
IT8619851A1 (it) 1987-09-25
FR2579779B1 (fr) 1990-01-26
JPS61160442U (ko) 1986-10-04
IT8619851A0 (it) 1986-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3696A (en) Tray unloading device
KR970003868B1 (ko) 입체주차설비
KR920003793B1 (ko) 디스크 필름 이송장치
KR20200071163A (ko) 폭 조절이 가능한 선박 지지장치
US3590587A (en) Floating platform with horizontally movable columns
KR100374755B1 (ko) 계단승강장치
JP2903983B2 (ja) コンベヤ装置
JP2985644B2 (ja) コンベヤ装置
US5152840A (en) Coating method and facility for vehicle structural components
US5264252A (en) Coating method and facility for vehicle structural components
KR100372713B1 (ko) 로타리스토커
KR100294472B1 (ko) 전진입고와전진출고를위한주차장치
KR100288651B1 (ko) 반도체 장치 생산라인의 카세트 이송장치
JPH0616475U (ja) バレル式表面処理装置における被処理物の液切り装置
JPS6239038Y2 (ko)
KR0125949Y1 (ko) 다목적 신체운동기의 경사대 승강구조
JPS5928044Y2 (ja) バレル式表面処理装置
JP2024058483A (ja) 昇降搬送装置
SU1010000A1 (ru) Грузо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S6048814A (ja) 電子部品塔載用コンベア
SU1433720A1 (ru) Кантователь дл сварки
JPH0238310B2 (ko)
SU866111A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лавучих буровых установок
KR950009912Y1 (ko) 차량 주차용 입 · 출고 장치
SU162216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термообработки печатных фор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