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731B1 - 칼러 화상표시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칼러 화상표시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731B1
KR920003731B1 KR1019880016133A KR880016133A KR920003731B1 KR 920003731 B1 KR920003731 B1 KR 920003731B1 KR 1019880016133 A KR1019880016133 A KR 1019880016133A KR 880016133 A KR880016133 A KR 880016133A KR 920003731 B1 KR920003731 B1 KR 920003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or
data
clock signal
phase c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6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1421A (ko
Inventor
조지 무라까미
미노루 와노
Original Assignee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후지쓰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스 가부시끼가이샤
시무라 도시유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모도 다꾸마, 후지쓰 마이크로컴퓨터 시스템스 가부시끼가이샤, 시무라 도시유끼 filed Critical 후지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1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1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러 화상표시 제어장치
제 1 도는 종래의 NTSC 방식에 따른 칼러 바아의 벡터선도.
제 2 도는 종래 기술의 복합 영상신호 파형도.
제 3 도는 청색에 가까운 색에 대한 칼러 바아의 벡터선도.
제 4 도는 청색에 가까운 색에 대한 복합 영상신호 파형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모식도.
제 6 도는 제 5 도의 장치에 있는 칼러 데이타 발생회로와 타이밍 데이타 발생회로의 구성도.
제 7 도는 제 5 도의 장치에 있는 청색신호 발생회로의 구성도.
제 8 도는 제 5 도의 장치에 있어서 몇몇의 제어신호들을 발생하기 위한 회로의 구성도.
제 9 도는 청색신호에 대한 합성 파형도.
제 10 도는 칼러 버어스트 신호에 대한 합성 파형도.
제 11 도는 청색신호의 칼러 버어스트 신호의 형성 설명도.
제 12 도는 레벨 선택회로와 래더 저항의 구성도.
제 13 도는 복합영상신호의 파형도.
제 14 도는 종래의 PAL 방식에 따른 백터선도.
제 15 도는 PAL 방식에 있어서 수평주사 n과 n+1에서의 칼러 버어스트 신호 설명도.
제 16 도-제 21 도는 PAL 방식에서의 신호 파형 설명도.
제 22 도는 복합 영상신호의 형성 설명도.
본 발명은 칼러 화상표시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예를 들면, 비디오 장치, 텔레비젼 기록가 표시장치 등등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장치의 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3-상 클럭신호(Ø1, Ø2, Ø3)는 부반송파 주파수(3.5MHz)fs의 2배인 기준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기초로 하여 2상 클럭신호(Ø1(fs), Ø2(fs)) 또는 3배의 주파수 클럭신호로부터 만들어진다. 복합 영상신호를 얻기 위해서, 소정의 진폭과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3-상 클럭신호(Ø1, Ø2, Ø3)들을 조합함에 따라 다양한 색신호들과 칼러 버어스트 신호가 만들어 진다.
그러나, 종래의 화상 제어장치에서는 그들 사이에 정확한 위상차를 갖는 신호의 발생을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기며, 또한 색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생기므로 수평 주사선을 따라 요구된 위치에서 정확한 색표시를 만들 수가 없다. 또한 부반송파의 3개인 주파수를 갖는 3상 클록신호를 사용하는 PAL 시스템에 의한 표시를 수행할 수 없다는 문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호 정확한 위상각을 갖는 색신호들이 발생되게 하는 개선된 칼러 화상표시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종래의 기술의 단점을 제거시킨 개선된 칼러 화상표시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칼러 화상표시 제어장치는 복수의 탭들이 있는 래더 저항 장치, 부반송파 주파수의 4배인 주파수를 갖는 클럭신호로부터 부반송파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4-상 클럭신호를 발생하는 클럭신호 발생장치, 및 표시된 색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수신하고, 4-상 클럭신호와 동기화하여 표시색에 대응하는 래더 저항장치들의 탭들의 순차선택하여 색신호들을 발생하는 색신호 발생장치등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서술하기 전에, NTSC 방식에 따른 칼러 바아의 벡터선도와 종래 기술에서의 복합 영상신호 파형도를 제 1 도, 제 2 도, 제 3 도, 제 4 도에 의거하여 서술할 것이다.
제 1 도에는 NTSC 방식에 따른 칼러 바아신호의 벡터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1 도에서, 가로 좌표는 B-Y측, 세로좌표는 R-Y축을 나타낸다. 칼러 버스트 신호의 위상각은 180°이고, 휘도신호(EY)의 진폭은 1로 가정한다. 머젠터(magenta)색, 적색, 황색, 녹색, 시안(cyan)색, 청색들에 대한 반송파 색신호들의 상태진폭은 각각 0.59, 0.63, 0.44, 0.59, 0.63, 0.44이고, 머젠터색, 황색, 녹색, 시안색, 청색들에 대한 반송파 색신호들의 위상각은 각각 60.6°, 103.5°, 167.6°, 240.6°, 283.5°, 347.6°이다.
제 2 도에는 종래의 NTSC 방식에 따른 복합 영상신호의 파형이 설명되어 있다. 제 2 도에는 그의 상대적 진폭값을 갖는 휘도신호 EY의 파형(1), 그의 상대적 진폭값을 갖는 색신호 EC의 파형(2), 그의 상대적 진폭값을 갖는 복합 영상신호 EM의 파형(3)들이 도시되어 있다. 복합 영상신호 EM은 휘도신호 EY와 색신호 EC의 합, 즉 EM=EY+EC이다.
제 2 도의 파형 (1)은 휘도신호 EY의 상대적 진폭을 도시하고 있다. 백색에 대한 상대적 진폭을 1로 가정하면 황색, 시안색, 녹색, 머젠터색, 적색, 청색, 흑색등에 대한 색도신호들의 상대적 진폭은 각각 0.89, 0.70, 0.59, 0.41, 0.30, 0.11이고, 수평 동기신호에 대한 상대적 진폭은 "-0.4"이다.
제 2 도의 파형(2)은 색신호 EC의 상대적 진폭을 도시하고 있다. 인간의 색도 식별원리를 이용하여 색들의 진폭을 수정하여, 황색, 시안색, 녹색, 머젠터색, 적색, 청색, 흑색에 대한 색신호들의 상대적 진폭은 각각 0.44, 0.63, 0.59, 0.59, 0.63, 0.44이다. 수평동기신호와 색신호의 열사이에 칼러 버어스트 신호를 삽입하면, 색동기신호의 상대적 진폭은 0.2이다.
제 2의 파형(3)은 복합 영상신호 EM의 상대적 진폭을 도시하고 있다. 백색, 황색, 시안색, 녹색, 머젠터색, 적색, 청색, 흑색들에 대한 복합 영상신호의 상대적 진폭은 각각 1.00, 1.33~0.45, 1.33~0.7, 1.18~0, 1.00~-1.8, 0.93~-3.3, 0.55~-3.3, 0이다. 칼러 버어스트 신호를 수평동기신호와 색신호들 사이에 삽입하며, 수평동기신호와 칼러 버어스트 신호의 상대적 진폭은 각각 -0.4와, 0.2~-0.2이다.
제 3 도에는 청색에 가까운 색에 대한 칼러 바아의 벡터선도가 도시되어 있고, 제 4 도에는 청색에 가까운 색에 대하여 얻어지는 혼합 화상신호가 도시되어 있다. 제 4 도의 파형에서, 제 1 파형은 3.58MHz인 부반송파 주파수 fs의 2배의 주파수 2fs를 갖는 기본 클럭신호이다. 기본 클럭신호의 주파수 2fs를 분할함에 따라, 제 2와 제 3 파형과 같이 각각 주파수 fs를 갖는 2-상 클럭신호 Ø1과 Ø2가 만들어진다.
소정의 진폭과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2-상 클러신호 Ø1(fs)와 Ø2(fs)를 조합하여 제 4 도의 제 4 파형과 같이 청색에 가까운 색에 대한 복합 영상신호가 얻어진다. 수평동기신호 다음에는 칼러 버어스트 신호가 만들어지는데, Ø1(fs)의 레벨이 "하이"일때는 칼러 버어스트 신호의 레벨-1이 출력되고, 칼러 버어스트 신호 Ø2(fs)의 레벨이 "하이"일때는 칼러 버어스트 신호의 레벨-2가 출력된다. 청색에 가까운 색신호는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칼러 버어스트 신호로부터 180°의 위상차를 갖는데, Ø2(fs)의 레벨이 "하이"일때는 레벨-3의 청색에 가까운 색신호가 출력되고, Ø1(fs)의 레벨이 "하이"일때는 레벨-4의 청색에 가까운 색신호가 출력되므로, 347.6°의 위상각과 0.44의 상대적 진폭을 갖는 청색신호에 가까운 0°의 위상각을 갖는 색신호가 얻어진다.
제 4 도에 도시된 복합 영상신호에서 레벨-3과 레벨-4를 바꿈으로써, 167.6°의 위상각과 0.44의 상대적 진폭을 갖는 황색신호에 가까운 색신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103.5의 위상각과 0.63의 상대적 진폭을 갖는 적색신호에 가깝고 90°위상각을 갖는 색신호와, 283.5°의 위상각과 0.63의 상대적 진폭을 갖는 시안색신호에 가깝고 270°의 위상각을 갖는 색신호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주파수 2fs의 기본 클럭신호의 듀티 싸이클(duty cycle)은 50%이다.
제 5 도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칼러 화상표시 제어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제 6 도에는 제 5 도의 장치에 있는 타이밍 데이타 발생회로와 칼러 데이타 발생회로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제 7 도에는 제 5 도의 장치에 있는 청색신호 발생회로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고, 제 8 도에는 몇몇의 제어신호 발생회로의 구조가 도시되어있다.
제 5의 장치는 카운터 111, 디멀티플렉싱회로 112, 래치회로 113들을 갖는 클럭신호 발생회로 11, 칼러데이타 발생회로 12, 황색신호 발생회로 13, 시안색신호 발생회로 14, 녹색신호 발생회로 15, 머젠터색신호 발생회로 16, 적색신호 발생회로 17, 청색신호 발생회로 18, 단색신호 발생회로 19, 타이밍 데이타 발생회로 20, 칼러버어스트 신호 발생회로 21, 블랭킹신호 및 동기신호 발생회로 22를 포함한다. 또한 ,제 5 도의 장치는 래더 저항 41과 선택 스위칭회로 42를 갖는 레벨 선택회로 4와 래더 저항 51를 포함한다.
클럭신호 발생회로 11에서는, fs가 부반송파의 주파수인 경우에 3.58MHz인 주파수 4fs를 갖는 신호로부터 4-상 클럭신호 Ø1, Ø2, Ø3, Ø4들이 만들어 진다.
주파수 4fs를 갖는 신호를 주파수-분할하고, 주파수 2fs인 신호를 주파수-분할하고, 다이나믹 플립-프롭등의 래치회로를 통하여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4-상 클러신호 Ø1, Ø2, Ø3, Ø4들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디멀티플렉싱 회로로 구성된 칼러 데이타 발생회로 12는 문자용 어트리뷰트 비트들(attribute bits), 녹색 데이타 G, 적색 데이타 R, 청색 데이타 B로부터 황색, 시안색, 녹색, 머젠터색, 적색, 청색, 백색, 흑색 데이타를 형성한다.
황색신호 발생회로 13은 황색신호 발생 논리회로 131와 스위칭 트랜지스터 301, 302, 303등으로 구성된다.
황색신호 발생회로 13은 4-상 클럭신호 Ø1, Ø2, Ø3, Ø4 NTSC/PAL 모우드 선택 데이타, 황색 데이타등을 수신하고, 황색신호 발생 논리동작을 수행하며, 트랜지스터 301, 302, 303등을 통하여 래더 저항 41을 따라 분압된 전압을 선택하여, 황색신호를 출력한다.
각각의 시안색, 녹색, 머젠터색, 적색, 청색신호 발생회로, 14, 15, 16, 17, 18은 황색신호 발생회로 13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단색신호 발생회로 19는 단색회로 발생 논리회로 191과 스위칭 트랜지스터 349, 350, 351등으로 구성된다.
단색신호 발생회로 19는 백색 데이타와 흑색 데이타를 수신하고, 단색신호 발생동작을 수행하며, 트랜지스터 349, 350, 351등을 통하여 래더 저항 51을 따라 분압된 전압을 선택하여 단색신호를 출력한다.
타이밍 데이타 발생회로 20은 주파수 4fs를 갖는 신호를 수신하며, 합성 블랭킹 데이타, 합성 버어스트플래그 데이타, 수직 및 수평동기 데이타를 포함하는 합성 동기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타이밍 데이타 발생회로 20은 색신호들이 각 수평동기 데이타마다 반전되는 PAL 방식으로 전환할때 필요한 NTSC/PAL 모우드 선택 데이타를 출력한다.
칼러 버어스트 신호 발생회로 21은 칼러 버어스트 신호에 대한 논리회로 211과 스위칭 트랜지스터(도시되어 있지 않음)로 구성된다. 칼러 버어스트 신호 발생회로 21은 4-상 클럭신호 Ø1, Ø2, Ø3, Ø4 합성 블랭킹 데이타, 합성 버어스트 플레그 데이타, NTSC/PAL 모우드 선택 데이타를 수신하며, 칼러 버어스트 신호 발생 논리동작을 수행하고, 트랜지스터(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하여 래더 저항 51을 따라 분압된 전압들을 선택하여, 칼러 버어스트 신호를 출력한다.
동기 및 블랭킹 신호 발생회로 22는 합성동기/합성 블랭킹신호 발생에 대한 회로와 스위칭 트랜지스터 359로 구성된다. 동기 및 블랭킹 신호 발생회로 22는 합성동기 데이타와 합성 블랭킹 데이타를 수신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 359를 통하여 래더 저항 51을 따라 분압된 전압들을 선택하고, 합성동기 신호와 합성 블랭킹 신호를 출력한다.
청색신호 발생동작을 수행하는 논리회로를 제 7 도에 의거하여 서술한다. 흑색 데이타와 청색 데이타사이의 NAND 동작은 NAND 게이트 181(1)에서 수행되며, 얻어진 출력 인버터 181(2)에 공급된다. 각각의 3-입력 NAND 게이트 181(3)~181(10)은 제 1 입력으로서 NTSC데이타 또는 PAL 데이타를, 제 2 입력으로서 인버터 181(2)의 출력신호를, 제 3 입력으로서 4-상 클럭신호 Ø1, Ø2, Ø3, Ø4들 중의 하나를 수신한다. 얻어진 신호들은 인버터 181(11)~181(18)에 공급되고 NTSC 데이타 (1)~(4)와 PAL 데이타 (1)~(4)가 형성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 341~348을 통하여 NTSC 데이타 (1)-(4)와 PAL 데이타 (1)-(4)에 의거한 래더 저항 41을 따라 분압된 전압들을 합성함으로써, 청색신호를 형성한다.
황색신호, 시안색신호, 녹색신호, 머젠터신호, 적색신호, 단색신호들도 각각 황색신호 발생회로 13, 시안색신호 발생회로 14, 녹색신호 발생회로 15, 머젠터신호 발생회로 16, 적색신호 발생회로 17, 단색신호 발생회로 19들에서 동일 방법으로 형성된다.
칼러 버어스트 신호, NTSC 데이타 (0)~(2), PAL 데이타 (0)~(2), 하이, 미들, 로우 레벨을 갖는 합성 버어스트 신호는 제 5 도의 회로의 일부분인 제 8 도의 회로에서 형성된다. NTSC 데이타 (0)~(2), PAL 데이타 (0)~(2)는 합성동기신호(SY), 흑색 데이타(BL), PAL 명칭(1) 데이타에 의거한 논리연산에 의하여 형성된다. PAL 데이타 (0)~(2)는 합성동기신호(SY)와 흑색 데이타(BL)의 논리연산에 의하여 형성된다. PAL 명칭(1) 데이타 또는 PAL 명칭(2) 데이타는 출력측으로부터 표시된다.
합성 버어스트 신호(하이 레벨, 미들 레벨, 로우 레벨)는 4-상 클럭신호 Ø1, Ø2, Ø3, Ø4 합성 블랭킹 데이타(BLNK), 흑색데이타(BL), 합성동기 데이타(SY), NTSC/PAL 명칭(1) 데이타 및 PAL 명칭(2) 데이타들의 논리연산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 5의 장치에 있는 래더 저항을 사용하여 전압 진폭의 선택에 의한 파형 합성을 제 9 도와 제 10 도에 의거하여 서술한다.
제 9 도에는 청색신호에 대한 파형합성을 도시한다. 래더 저항 41에 있어서, 한 저항 요소는 전압 e2, 두저항요소는 전압 e3, 세 저항요소는 전압 e1, 네 저항요소는 전압 e4를 각각 발생한다. Ø1일때 하이 주시 전압 e1, Ø2일때 하이주기 전압 e2, Ø3일때 하이주기 전압 e3, 그리고 Ø4일때 하이주기 전압 e4가 각각 발생된다. 따라서 청색신호는 4-상 클럭신호들을 Ø3
Figure kpo00001
Ø4
Figure kpo00002
Ø1
Figure kpo00003
Ø2의 순서로 배열함에 따라 합성된다.
제 10 도에는 칼러 버어스트 신호에 대한 파형합성이 도시되어 있다. 래더 저항 51에 있어서, 한 저항 요소는 전압 e4, 세 저항요소는 전압 e1(e3), 네 저항요소는 전압 e2를 각각 발생시킨다. Ø1일때 하이주기 전압 e1(e3), Ø2일때 하이주기 전압 e2, Ø3일때 하이주기 전압 e1(e3), Ø4일때 하이주기 전압 e4가 각각 발생된다. 따라서, 칼러 버어스트 신호는 4-상 클럭신호를 Ø1
Figure kpo00004
Ø2
Figure kpo00005
Ø3
Figure kpo00006
Ø4의 순서로 배열하여 합성한다.
제 11 도는 제 5 도의 장치에서의 칼러버어스트 신호 (BST)와 청색신호 (B(1))의 발생을 서술한다. 제 11 도는 주파수 4fs를 갖는 부반송파, 주파수 2fs를 갖는 부반송파, 주파수fs(3.58MHz)를 갖는 부반송파, 4-상 클럭신호 Ø1, Ø2, Ø3, Ø4, 칼러 버어스트 신호(BST) 및 청색신호(B(1))의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제 12 도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들과 연결된 레벨 선택회로 4의 구조가 도시도어 있다.
레벨 선택회로 4에 있는 선택 스위칭부 42는 스위칭 트랜지스터 421, 423, 425, 427, 인버터 422와 426, 레벨 고정저항 4211, 4241, 4251, 4281로 구성된다. 전압 진폭 레벨 LEVEL-H1 또는 전압 진폭 레벨 LEVEL-L1은 선택 스위칭 데이타 SW1과 선택 스위칭 데이타 SW2에 의거하여, 스위칭 트랜지스터 421, 423, 425, 427에 의해서 선택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 421과 425가 ON되면, 저항 4211과 4251에 의하여 예를들면 5V의 전원 전압을 분압할 수 있으며, 2V의 전압을 래더 저항 41 양단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칭 트랜지스터 423과 427이 ON되면, 저항 4241과 4281에 의하여 예를들면, 5V의 전원 전압을 분압할 수 있으며, 1V의 전압을 래더 저항 41 양단에 인가할 수 있다.
래더 저항 41에 따라 분압된 전압을 트랜지스터 301-348을 통하여 LEVEL-H1과 LEVEL-L1사이가 되도록 선택하고 그 선택된 전압을 합성함으로써 복합 영상신호가 얻어진다.
제 13 도에는 스위칭 데이타 SW1과 SW2의 상태에 대응하는 복합 영상신호(CVS)의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SW1과 SW2가 모두가 OFF되는 경우, 래더 저항 41에 인가된 전압 진폭이 최대가 되므로 색의 심도는 최대가 되고, 중앙 레벨에서의 휘도는 2.5가 된다.
SW1이 ON, SW2가 OFF인 경우, 중간 전압 진폭이 래더 저항 41에 인가되므로 색의 중간심도가 얻어지고 중앙 레벨에서의 휘도는 2가 된다. SW1이 OFF, SW2가 ON인 경우, 색의 중간심도가 얻어지고 중앙 레벨에서의 휘도는 3.0이 된다. SW1과 SW2가 모두 ON되는 경우에는, 색의 최소 심도가 얻어지고 중앙 레벨에서의 휘도는 2.5가 된다.
상술한 설명은 NTSC 방식을 갖는 제 5 도의 장치의 동작이므로, 지금부터는 PAL 방식의 동작을 제 14 도-제 21 도에 의거하여 상술한다.
제 14 도에는 종래의 PAL 방식에 따른 벡터선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 14 도에서, R-Y축은 적색신호와 휘도신호에 대한 색차신호축이고, B-Y축은 청색신호와 휘도신호에 대한 색차신호축이다. 칼러 버어스트 신호(Bn)의 벡터는 수평주사 타이밍 "n"에서의 칼러 버어스트 신호 B-Y축으로부터 45°의 위상차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청색신호(PBn)의 벡터는 칼러 버어스트 신호가 수평주사 타이밍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칼러 버어스트 신호(Bn+1)와 청색신호(PBn+1)는 수평주사 타이밍 "n+1"에 있다.
제 15 도에서 수평주사 타이밍 "n"과 "n+1"에서의 칼러 버어스트 신호의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제 15 도에서 상부 세 파형들은 각각 수평주사 타이밍 "n"에서의 색차신호(B-Y), 색차신호(R-Y(Bn)), 칼러 버어스트 신호(Bn)이며, 하루 세 파형들은 각각 수평주사 타이밍 "n+1"에서의 색차 출력(B-Y), 색차신호(R-Y(Bn)) 및 컬러 버어스트 신호(Bn+1)이다. 타이밍 "n"에서, 색차신호 B-Y와 R-Y사이의 위상차는 90°이고, 레벨-1은 Ø1 하이 레벨일때에 선택되고, 레벨-2는 Ø2 하이 레벨일때, 레벨-3은 Ø3 하이 레벨일때, 그리고 레벨-4는 Ø4 하이 레벨일때에 선택된다.
타이밍 "n+1"에서, 색신호(R-Y(Bn+1))은 색신호(R-Y(Bn))의 반전이고, 레벨-2는 Ø1 하이 레벨일때, 레벨-1은 Ø2 하이 레벨일때, 레벨-4는 Ø3 하이 레벨일때, 레벨-3은 Ø4 하이 레벨일때에 각각 선택된다.
NTSC 방식과 PAL 방식의 선택은, 라인 스위치(도시되지 않았음)의 스위칭에 의하여 제 8 도에 도시된 PAL 명칭(1) 데이타와 PAL 명칭(2) 데이타를 계산하고, NTSC 데이타, PAL 명칭(1) 데이타, PAL 명칭(2) 데이타를 사용하여 수행된다.
제 16 도-제 21도에는 제 5 도의 장치에서의 PAL 방식에 따른 6가지 색에 대한 색신호들의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제 16 도에는 황색신호(Y1)에 대한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색차신호(R-Y)의 비율은 황색신호의 진폭과 기준 위상각 167.6°의 사인의 곱(product)에 의하여 구해지는 값이고, 색차신호 (B-Y)의 비율은 황색신호의 진폭과 기준 위상각 167.6°의 코사인 곱에 의하여 구해지는 값이다. 황색신호(Y1)에 대한 색차신호 R-Y의 비율과 B-Y의 비율은 각각 0.0945, -0.429이다.
시안색, 녹색, 머젠터색, 적색, 청색신호들에 대한 파형도 각각 제 17 도-제 21 도에 동일 방법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 5 도의 장치에 있어서의 복합 영상신호의 형성을 제 22 도에서 설명한다. 인접한 합성 동기신호들(SY)(1)사이의 복합 영상신호에 대한 한 수평주사 주기에 칼러 버어스트 신호(BST)와 합성 색신호가 존재하며, 8-12 싸이클 동안의 인접한 합성 블랭킹 신호들(BLNK(1))사이에는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로 되어 있는 합성 동기신호(SY(1)), 합성 버어스트 플래그신호(BFLG), 칼러 버어스트 신호 (BST(1))들이 존재한다.

Claims (3)

  1. 다수의 탭들이 있으며, 분압된 전압을 공급하는 래더 저항 수단(41, 51) ; 부반송파의 주파수(fs)에 4배인 주파수(4fs)를 갖는 클럭신호로부터 부반송파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가지는 4-상 클럭신호(Ø1, Ø2, Ø3, Ø4)를 발생하는 클럭신호 발생수단(11) ; 및 상기 래더 저항수단에 접속되어 있고, 표시되어야할 색에 대응하는 데이타를 수신하며, 선택 신호에 의해 래더 저항수단의 탭을 선택하고, 상기 4-상 클럭신호와 동기하여 표시되어야할 색에 대응하는 상기 래더 저항수단의 탭을 순차적으로 선택해서 색신호를 발생하는 색신호 발생수단(12, 13, 14, 15, 16, 17, 18, 19)으로 구성되는 칼러 화상표시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더 저항수단(41, 51)양단의 전압은 상기 색신호 발생수단(12, 13, 14, 15, 16, 17, 18, 19)으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변화되는 칼러 화상표시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색신호 발생수단(12, 13, 14, 15, 16, 17, 18, 19)은 상기 4-상 클럭신호(Ø1, Ø2, Ø3, Ø4)와 황색 데이타(Y)를 수신하며, 소정의 진폭을 갖는 황색신호를 발생하는 제 1 색신호 발생부(13) ; 상기 4-상 클록신호 및 시안색 데이타(C)를 수신하며, 소정의 진폭을 갖는 시안색신호를 발생하는 제 2 색신호 발생부(14) ; 상기 4-상 클럭신호와 머젠터색 데이타(M)를 수신하며, 소정의 진폭을 갖는 머젠터색신호를 발생하는 제 4 색신호 발생부(16) ; 상기 4-상 클럭신호와 적색 데이타(R)를 수신하며, 소정의 진폭을 갖는 청색신호를 발생하는 제 5 색신호 발생부(17) ; 상기 4-상 클럭신호와 청색 데이타(B)를 수신하며, 소정의 진폭을 갖는 적색신호를 발생하는 제 6 색신호 발생부(18) ; 백색 데이타(W) 및 흑색 데이타(BL)를 수신하며, 단색신호를 발생하는 제 7 색신호 발생부(19) ; 부반송파 주파수(fs)의 4배인 주파수(4fs)를 갖는 클럭신호를 수신하며, 합성동기 데이타, 버어스트 플래그 데이타 및 합성 블랭킹 데이타를 출력하는 합성 신호 출력부(20) ; 상기 4-상 클럭신호, 상기 버어스트 플래그 데이타 및 상기 합성 블랭킹 데이타를 수신하며, 버어스트 신호를 발생하는 버어스트 신호 발생부(21) ; 및 상기 합성 블랭킹 데이타, 상기 버어스트 플래그 데이타 및 상기 합성동기 데이타를 수신하며, 소정의 진폭을 갖는 합성동기 신호와 합성 블랭킹 신호를 발생하는 합성동기 신호 및 합성 블랭킹 신호 발생부(22)로 구성되는 칼러 화상표시 제어장치.
KR1019880016133A 1987-12-04 1988-12-03 칼러 화상표시 제어장치 KR920003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07929 1987-12-04
JP87-307929 1987-12-04
JP62307929A JP2589330B2 (ja) 1987-12-04 1987-12-04 カラー画像表示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421A KR890011421A (ko) 1989-08-14
KR920003731B1 true KR920003731B1 (ko) 1992-05-09

Family

ID=17974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6133A KR920003731B1 (ko) 1987-12-04 1988-12-03 칼러 화상표시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60054A (ko)
EP (1) EP0319431B1 (ko)
JP (1) JP2589330B2 (ko)
KR (1) KR920003731B1 (ko)
DE (1) DE385517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51687B1 (en) * 1996-12-27 2005-08-10 SANYO ELECTRIC Co., Ltd. Circuit for generating PAL chrominance signals
US6850985B1 (en) 1999-03-02 2005-02-01 Microsoft Corporation Security and support for flexible conferencing topologies spanning proxies, firewalls and gateways
US7136062B1 (en) * 1999-09-14 2006-11-14 Microsoft Corporation Scalable multiparty conferencing and collaboration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allocating system resources and providing true color support in same
US7969448B2 (en) 2003-11-20 2011-06-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of converting image signal for six color display device, and six color display device having optimum subpixel arrangement
US7543473B2 (en) * 2006-08-01 2009-06-09 Analog Devices, Inc. Sensor self-test transfer standar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582A (en) * 1978-07-13 1980-01-30 Sanyo Electric Co Ltd Color television receiver
US4262302A (en) * 1979-03-05 1981-04-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ideo display processor having an integral composite video generator
US4464676A (en) * 1980-12-15 1984-08-07 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Digital color modulator
US4374395A (en) * 1980-12-24 1983-02-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Video system with picture information and logic signal multiplexing
US4547797A (en) * 1982-10-12 1985-10-15 Sperry Corporation Apparatus for color tracking and brightness correction for multi-gun color cathode ray tube display
US4578673A (en) * 1983-07-08 1986-03-25 Franklin Computer Corporation Video color generator circuit for computer
US4686520A (en) * 1983-12-06 1987-08-11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Digital color encoder
JPS6184197A (ja) * 1984-09-29 1986-04-28 Victor Co Of Japan Ltd ビデオ信号デイジタル処理方法
JPS6184198A (ja) * 1984-09-29 1986-04-28 Victor Co Of Japan Ltd ビデオ信号デイジタル処理回路
JPS61131991A (ja) * 1984-11-30 1986-06-19 Victor Co Of Japan Ltd ビデオ信号デイジタル処理方法
US4626835A (en) * 1984-11-06 1986-12-02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RGBI digital video control system having intensity level control and overall image strength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1421A (ko) 1989-08-14
US5060054A (en) 1991-10-22
EP0319431B1 (en) 1996-04-03
JP2589330B2 (ja) 1997-03-12
JPH01147591A (ja) 1989-06-09
DE3855175T2 (de) 1996-08-29
DE3855175D1 (de) 1996-05-09
EP0319431A2 (en) 1989-06-07
EP0319431A3 (en) 1991-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8098A (en) Apparatus for combining a video signal with graphics and text from a computer
US4442428A (en) Composite video color signal generation from digital color signals
EP0096627A2 (en) Interactive computer-based information display system
EP0369471B1 (en) Superimposing system
JPH038633B2 (ko)
KR920003731B1 (ko) 칼러 화상표시 제어장치
US4686520A (en) Digital color encoder
US5907368A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capable of displaying image by television signal
KR930001681B1 (ko) 영상신호 처리장치
KR100265153B1 (ko) Pal 방식의 색 신호 발생 회로
US6292231B1 (en) Color signal generation circuit
US5917555A (en) Composite video signal generator
US4956701A (en) Frequency converter for a digital chrominance modulator
KR100206807B1 (ko) 영상기기의 수퍼임포우즈 장치
JP3021140B2 (ja) 色信号処理装置
JP2745510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H0718222Y2 (ja) 色信号発生回路
JP3296738B2 (ja) 色信号発生回路
JP3296744B2 (ja) 色信号発生回路
US5181099A (en) Composite video signal generator
JP3454652B2 (ja) 色信号発生回路
JPH0138627Y2 (ko)
JPS61200794A (ja) Pal方式クロマ信号発生回路
JPH10191382A (ja) 色信号発生回路
GB2197767A (en) Chrominance standard conver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