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634B1 - 도로 표시병 장치 및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표시병 장치 및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634B1
KR920003634B1 KR1019880002499A KR880002499A KR920003634B1 KR 920003634 B1 KR920003634 B1 KR 920003634B1 KR 1019880002499 A KR1019880002499 A KR 1019880002499A KR 880002499 A KR880002499 A KR 880002499A KR 920003634 B1 KR920003634 B1 KR 920003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air
road surface
bottle
road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2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4839A (ko
Inventor
고명덕
Original Assignee
고명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명덕 filed Critical 고명덕
Priority to KR1019880002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634B1/ko
Priority to PCT/KR1989/000005 priority patent/WO1989008743A1/en
Priority to US07/411,505 priority patent/US5013180A/en
Publication of KR890014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4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01C11/26Permanently installed heating or blowing devices ;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40Arrangements responsive to adverse atmospheric conditions, e.g. to signal icy roads or to automatically illuminate in fo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heating or dry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Road Repair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도로 표시병 장치 및 설치방법
제 1 도는 본 장치의 설치 상태를 예시한 설치 단면도.
제 2 도 내지 제 5 도는 본 장치의 설치 과정을 나타낸 예시 단면도.
제 2 도는 도로면의 하부에 설치구멍을 형성한 상태도.
제 3 도는 제 2 도에 예시된 설치구멍에 설치용 닥트관을 삽입설치한 상태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닥트관 내부에 열풍 공급용 공급관과 분배관을 설치한 상태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분배관의 상단부에 노즐을 설치하고, 그 주연부에 프리캐스트 블록을 설치한 상태도.
제 6 도는 본 장치에 사용되는 열풍공급 장치의 배관설치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로 표시병 20 : 도로면
30 : 열공급장치 40 : 터널
50 : 프리캐스트 블럭 12 : 열풍 흐름공간부
13 : 분출구멍 31 : 열공기 압축기
32 : 열풍공급관 33 : 분배관
34 : 분사노즐 41 : 수평터널
42 : 수직터널 43, 45 : 닥트관
44 : 고정링 51 : 결착구멍
본 발명은 자동차가 운행되는 각종 도로 즉, 일반도로, 고속도로, 강변도로, 고가도로 등의 도로변이나 차선부분 특히, 도로의 커브지역이나 급경사지역등에 설치하여 차선경계용으로서의 도로 표시병 기능을 물론, 강설이나 강우등과 같은 외기 환경에 따라 도로 표시병 상부 또는 주연부의 눈을 제설하거나 빗물을 건조시켜주므로서 보다 효과적인 도로 표시병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제설기능을 갖춘 도로 표시병 장치 및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각종 도로면에는 차선 경계용의 도로 표시병이 설치되었으나, 이러한 것들은 단순하게 돌출설치되어 표시기능을 하면서 그 표면부에 반사면을 형성하거나 형광액을 도포하는 수단에 의해 도로 표시병의 기능을 수행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외기 환경에 따라 강설 또는 강우시에는 도로 표시병이 눈에 묻히거나 또는 빗물에 의해 가려져서 도로상을 운행하는 운전자들이 도로 표시병의 위치는 물론, 도로 경계선을 식별할 수 없었던 것이며, 특히 급경사길이나 커브길의 경우에는 도로 경계선을 식별치 못하므로서 발생되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컸던 것이다.
또한, 동절기에 많은 눈이 내리는 경우에는 도로면에 설치된 도로표시병이 모두 눈에 묻히게 되어 차선경계용으로서의 기능을 전혀 알 수 없었으며, 특히 급경사길이나 커브길의 경우에는 제설하기에도 어려움이 많았고, 또한 제설을 위한 많은 인력과 장비 및 노력이 필요하였으며, 그에 따른 시간과 비용 지출이 많았던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제설 작업시 사용되는 각종 중장비나 염화칼슘등의 약품과 모래등의 살포로 인하여 도로면과 도로 표시병등의 시설물이 파손또는 마모되거나 부식,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도로 표시병의 구조를 개량시켰으며, 또한 도로 표시병의 내부에 열풍을 공급하여 이를 노면상으로 분출하도록 설치하므로서 도로 표시병이 제설등의 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즉, 도로면의 일측에 열풍 발생 장치를 설치하고, 도로면의 하부에는 수평으로 열풍 공급관을 설치한 후, 도로 표시병의 설치 위치에는 수직으로 열풍 분배관을 설치하여 열풍 공급관과 관통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열풍분배관의 상단부에는 분사 노즐을 설치하여 이를 도로 표시병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삽입 설치하므로서, 도로 표시병 본체에 형성된 분출 구멍을 통하여 열풍을 외보로 분출 할 수 있게끔 구성된 도로 표시병장치를 제공하고져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로 표시병 몸체의 분출 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열풍을 분출하므로서 도로 표시병의 상부에 쌓는 눈이나 수분등을 신속하게 제거하거나 건조시키고, 또한 도로 표시병의 주연 도로 표면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건조시켜 도로상을 운행하는 차량이 도포 표시병을 쉽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 표시병을 타고 넘는 등의 경우에 미끄러져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고져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첨부도면 제 1 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도로면에 설치한 일예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통상의 도로면(20)상에 설치되는 표시병(10)과 도로면(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열풍공급 장치(30)로서 도로표시병 장치를 구성하되, 하부에는 수개의 고정핀(1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열풍 흐름공간부(12)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흐름공간부(12)에서 외부로 관통되게끔 수개의 분출 구멍(13)을 형성시킨 표시병(10)과, 도로면(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열공기 압축기(31)에 연결 배관되어 도로면(20)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관설치되는 열풍 공급관(32)과, 상기 열풍 공급관(32)에서 상기 표시병(10)의 하부로 연결설치되는 분배관(33)과, 그 상단부에 설치된 분사 노즐(34)이 표시병(10)의 흐름공간부(1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열풍 공급장치(30)로 구성하므로서 열풍을 표시병과 그 주연부의 도로 표면부로 분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시병장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도로 표시병 장치를 도로면(20)에 시공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종 도로의 도로면(20)에서 표시병(10)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를 설정한 다음, 도로면(20)의 일측에서 굴착작업을 하여 터널(40)을 형성하되, 도로면(20)과 수평으로 수평 터널(41)을 형성한 후, 표시병(10)의 설치 위치에서 수평터널(41)의 상부로 수직터널(42)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터널(41)에 닥트관(43)을 삽입설치하였으며, 상기 수평 닥트관(43)의 내부에는 도로면(20)의 일측에 설치된 열풍 공급장치(30)의 열공기 압축기(31)에서 배관되어 나온 열풍 공급관(32)을 배관설치한 후, 수직터널(42)의 내부에 수직으로 분배관(33)을 설치하여 열풍 공급관(32)과 관통되게 하고, 그 외주연에는 고정량(44)을 끼운 다음, 수직 닥트관(45)을 설치하여 수평 닥트관(43)과 결합 고정하고, 그 주연부에 모래(46)를 다져 넣은 후, 수직 닥트관(45)의 상측에는 프리캐스트 블록(50)을 설치하고, 그 주연부의 하부는 푸티(putty) 처리하며, 상부는 모르타르나 아스팔트 등의 충진재로 충진하여 고정하고, 상기 분배관(33)의 상단부에는 분사노즐(34)를 설치하여서 외주면에 분출구멍(13)을 갖고 내부에는 열풍 흐름공간부(12)를 가진 표시병(10)의 흐름 공간부(12)내에 위치하도록 표시병(10)하부의 고정핀(11)을 프로캐스트 블럭(50)의 결착구멍(51)에 삽입 고정하므로서 도로 표시병 장치의 시공설치를 완료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도로 표시병장치는 각종 도로의 도로변이나 차선부분 특히, 급경사지역이나 커브지역의 도로변이나 차선부분에 설치하므로서 눈 또는비가 내리는 날씨에 보다 효과적으로 도로 표시병의 기능을 증대시켜주는 것으로서, 그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도료 표시병(10)이 설치되어 있는 도로면(20)상에 눈이 내려서 표시병(10)이 덮히게 되거나 강우로 인하여 표시병(10)의 식별이 어려운 경우에는, 도로면(20)의 일측에 설치된 열풍 공급장치(30)의 열공기 압축기(31)를 작동시켜 주므로서 열공기 압축기(31)에서 60-100℃의 고온 열풍을 20-30m/sec의 고압력으로 송풍하여 열풍 공급관(32)과 분배관(33)을 통하여 도로면(20)상에 설치된 표시병(10)의 내부에 위치한 분사노즐(34)로 분사되어 표시병(10)의 외주면에 형성된 분출구멍(13)을 통하여 표시병(10)의 외주연부와 도로면(2)주변에 고온 고압의 열풍을 분출하여 주므로서 강설시의 표시병과 그 주변 도로면에 쌓인 눈을 신속하게 녹여서 제설하여 주는 것이다.
본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60-100℃의 고온 열풍을 20-30m/sec의 고압력으로 송풍하여 분출시킬 경우에 대략 10-14cm의 적설층이 제설되는데 20-30분 정도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때, 통상적으로 도로면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아스팔트의 최소.최저 온도가 120℃이상 이므로 포장층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로 표시병을 각종 도로에 전체적으로 설치하면 가장 이상적이나, 설치, 운영상의 경제성 등을 고려 하여서 특히, 급경사 지역이나 커브지역에만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종 중장비와 많은 인력의 동원이 불필요하며, 약품등의 살포도 불필요하므로서 차량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도로 표시병의 식별이 용이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기존의 도로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로면의 일측에서 굴착 작업과 설치작업을 행하므로서 차량의 통행에 불편을 주지 않고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설치 점유면적이 작고 노상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서 실용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신설도로는 물론, 기존도로에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종래의 많은 중장비와 인력을 동원하거나 약품을 살포하는 소요비용에 비하여 장기적으로 저럼한 비용으로 설치 운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제설장치를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일 뿐만 아니라, 표시병의 구조역시 종래의 돌출 구조와 동일하여 차량의 통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도 효율적인 차선 경계용 도로 표시병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도로면(20)상에 설치되는 표시병(10)과 도로면(20)의 하부에 설치되는 열풍 공급장치(30)로서 도로 표시병 장치를 구성하되, 하부에는 수개의 고정핀(1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열풍 흐름공간부(12)가 형성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흐름공간부(12)에서 외부로 관통되게끔 수개의 분출 구멍(13)을 형성시킨 표시병(10)과, 도로면(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열공기 압축기(31)에 연결 배관되어 도로면(20)의 하부에 수평으로 배관설치되는 열풍 공급관(32)과, 상기 열풍 공급관(32)에서 상기 표시병(10)의 하부로 연결설치되는 분배관(33)과, 그 상단부에 설치된 분사노즐(34)이 표시병(10)의 흐름공간부(1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열풍 공급장치(30)로 구성하므로서 열풍을 표시병과 그 주연부의 도로표면부로 분출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시병 장치.
  2. 도로면(20)에서 표시병(10)을 설치하고자 하는 위치를 설정한 다음, 도로면(20)의 일측에서 굴착작업을 하여 터널(40)을 형성하되, 도로면(20)과 수평으로 수평 터널(41)을 형성한 후, 표시병(10)의 설치위치에서 수평 터널(41)의 상부로 형성하고, 상기 수평 터널(41)에 닥트관(43)을 터널(42)을 삽입 설치하였으며, 상기 수평 닥트관(43)의 내부에는 도로면(20)의 일측에 설치된 열풍 공급장치(30)의 열공기 압축기(31)에서 배관되어 나온 열풍 공급관(32)을 배관설치한 후, 수직터널(42)의 내부의 수직으로 분배관(33)을 설치하여 열풍 공급관(32)과 관통되게 하고, 그 외주연에는 고정링(44)를 끼운 다음, 수직 닥트관(45)을 설치하여 수평닥트관(43)과 결합 고정하고, 그 주연부에 모래(46)을 다져 넣은 후, 수직 닥트관(45)의 상측에는 프리캐스트 블록(50)을 설치하고, 그 주연부의 하부는 푸티(putty)처리하며, 상부는 모르타르나 아스팔트 등의 충진제로 충진하여 고정하고, 상기 분배관(33)의 상단부에는 분사노즐(34)을 설치하여서 외주면에 분출구멍(13)을 갖고 내부에는 열풍 흐름공간부(12)를 가진 표시병(10)의 흐름공간부(12)내에 위치하도록 표시병(10)하부의 고정핀(11)을 프리캐스트 블럭(50)의 결착구멍(51)에 삽입 고정하므로서 도로 표시병 장치의 시공설치를 완료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표시병 장치의 설치방법.
KR1019880002499A 1988-03-10 1988-03-10 도로 표시병 장치 및 설치방법 KR920003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2499A KR920003634B1 (ko) 1988-03-10 1988-03-10 도로 표시병 장치 및 설치방법
PCT/KR1989/000005 WO1989008743A1 (en) 1988-03-10 1989-03-06 A raised pavement marking apparatus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US07/411,505 US5013180A (en) 1988-03-10 1989-03-06 Raised pavement mar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2499A KR920003634B1 (ko) 1988-03-10 1988-03-10 도로 표시병 장치 및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4839A KR890014839A (ko) 1989-10-25
KR920003634B1 true KR920003634B1 (ko) 1992-05-04

Family

ID=19272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2499A KR920003634B1 (ko) 1988-03-10 1988-03-10 도로 표시병 장치 및 설치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013180A (ko)
KR (1) KR920003634B1 (ko)
WO (1) WO19890087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64922A1 (en) * 2010-01-05 2011-07-07 David Michael Moxlow Roadway marker and reflector guard
HUP1000666A2 (en) * 2010-12-15 2012-06-28 Richard Magony Surface blowing device
CN102635085B (zh) * 2012-03-27 2014-05-14 中国民航大学 智能式机场跑道融雪剂喷洒装置
CN103938521B (zh) * 2014-05-14 2016-04-13 上海海事大学 高速公路除冰雪系统及其除雪方法
CN110396887A (zh) * 2019-08-06 2019-11-01 深圳港湾建设有限公司 一种市政沥青混凝土道路及施工方法
CN110565768B (zh) * 2019-09-03 2021-07-30 广东潮鑫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排水系统
US11566388B2 (en) * 2020-01-10 2023-01-31 Qatar University Road marker de-ic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89270A (en) * 1924-04-08 Signal device for roadways
GB812654A (en) * 1956-06-12 1959-04-29 Friedrich Nallinger Improvements relating to aircraft-runway constructions
FR1411081A (fr) * 1964-07-08 1965-09-17 Comp Generale Electricite Perfectionnements aux bobinages alternatifs
DE1634026A1 (de) * 1965-09-24 1970-10-22 Helmut Cremers Vorrichtungen zur wahlweise alleinigen oder kombinierten Entwaesserung,Bewaesserung,Schneeabschmelzung,Enteisung,Erwaermung oder Entnebelung von Sportfeldanlagen,Flugzeugpisten,Strassenfahrbahnen und sonstigem Nutzflaechenboden
US3612035A (en) * 1970-01-29 1971-10-12 Albert Kronen System for clearing snow and ice from a surface
CA1124147A (en) * 1979-11-14 1982-05-25 Thomas J. Bentham Frost removal system
ATA122284A (de) * 1984-04-11 1988-10-15 Naegele & Co Bau Anordnung zur beheizung von verkehrsflaechen
GB2177742A (en) * 1985-06-14 1987-01-28 Sec Dep For Transport The Vehicle pathway lane control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13180A (en) 1991-05-07
KR890014839A (ko) 1989-10-25
WO1989008743A1 (en) 1989-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1015B1 (ko) 유출지하수 및 빗물을 이용한 도로용 비산 미세먼지 저감 장치
KR100806933B1 (ko) 도로 융설장치
KR920003634B1 (ko) 도로 표시병 장치 및 설치방법
US8092116B1 (en) Slab raising method
KR102315782B1 (ko) 매립 고정식 쿨링클린로드 시스템 및 공법
KR101280979B1 (ko) 융설액 분사 경계블록 및 이를 포함한 융설액 분사 경계블록 시스템
US2634659A (en) Snow removal construction
KR200313924Y1 (ko) 미끄럼방지제와 히팅코일을 이용한 도로의 결빙방지 시설
KR100386819B1 (ko) 아스콘 포장 도로용 살수장치
KR100225035B1 (ko) 도로의 제설제 살포장치
KR200427777Y1 (ko) 횡단보도를 포함한 노면 표시와 미끄럼 방지부를 시공하는장치
KR200411543Y1 (ko) 도로 교량의 보행자 미끄럼방지구조
KR200314039Y1 (ko) 배수 박스를 이용한 보행자 도로 시설물
JP3673701B2 (ja) 路面に凍結防止液を吐出する路面凍結防止法
KR101014603B1 (ko) 교량 연석부의 열화방지 커버와 이 설치방법
KR100942930B1 (ko) 교통안전을 위한 제설장치
KR20020057771A (ko) 자동돌출 안전 도로 표지병
KR200230189Y1 (ko) 도로의 도색선 제거장치
KR102578279B1 (ko) 클린 로드 장치 및 시공 방법
CN110130173B (zh) 一种用于铺设沥青路的装置及施工工艺
KR20000024440A (ko) 빙판길 히터라인
KR200486350Y1 (ko) 제설제 살포장치용 비산방지장치
KR20110127367A (ko) 제설차량
KR200229384Y1 (ko) 도로용 안전장치
FI109551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struktuurimerkinnän tekemiseksi ja struktuurimerkint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10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