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3614Y1 - 소화전(消火栓) - Google Patents

소화전(消火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3614Y1
KR920003614Y1 KR2019900000676U KR900000676U KR920003614Y1 KR 920003614 Y1 KR920003614 Y1 KR 920003614Y1 KR 2019900000676 U KR2019900000676 U KR 2019900000676U KR 900000676 U KR900000676 U KR 900000676U KR 920003614 Y1 KR920003614 Y1 KR 9200036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pipe
upper cover
cap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00000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4306U (ko
Inventor
오진영
Original Assignee
오진영
이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진영, 이병옥 filed Critical 오진영
Priority to KR2019900000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3614Y1/ko
Publication of KR9100143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43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36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36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 E03B9/06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14Draining devices for hyd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화전(消火栓)
제1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상부카버와 캡부분이 열린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볼밸브 부분의 평단면도로서 제3a도는 볼밸브의 열린상태의 평단면도, 제3b도는 볼밸브의 닫힌상태의 평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카버가 덮힌상태의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카버를 개방하여 소화전을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종수관 2 : 변실
3 : 변공 3' : 퇴수공
4 : 볼밸브 5 : 변간
6 : 하부커버 6' : 상부커버
6" : 걸림편 7 : 캡
7' : 내턱
본 고안은 소화전에 있어서, 소화전의 수직수관 하단부의 밸브실에 퇴수공이 형성된 볼밸브를 변간으로 개폐할 수 있게 설치하고 지상으로 노출된 종수관의 외부에는 상부카버와 하부카버를 상하로 개방할 수 있게 설치하여 상부카버의 걸림편을 변간 상단부에 유착된 캡에 지지시키어 상부카버를 일측으로 틀어 하방으로 간편히 개방하면 즉석에서 유출관에 소방호스를 관접하여 신속하게 소화작업을 할 수 있는 동시 사용후 밸브를 닫으면 종수관의 물이 퇴수되는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화전은 기본적으로 수도전과 동일하나 수도전처럼 수시로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고수압과 고수량을 요하기 때문에 종수관의 내경이 50-100m/m 정도의 대형으로 형성되어있고 밸브는 나사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개폐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종수관이 지상에 노출되어 있는 만큼 유출관의 보호를 위하여 유출관에는 각각 캡을 나사식으로 틀어 막아두고 있으나 장기간에 걸쳐 유출관에 나착된 캡이 부식되거나 늘어붙어 막상 화재의 긴급시에 유출관의 캡을 일일이 공구로 틀어 개방하기 힘들어 소방호스를 관접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밸브간을 수없이 틀어야만 비로서 물이 나오도록 되어 있기때문에 신속하게 소화전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소화전의 신속한 사용이 어려운 미비점을 시정하고 보다 안전하게 보관하면서 보다 신속하게 소화전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소화전의 종수관 하단부의 밸브실에 퇴수공이 형성된 볼밸브를 종수관의 상단부에서 변간으로 개폐할 수 있게 설치하고 지상으로 노출된 종수관 외부에는 상부카버와 하부카버를 상하로 개방할 수 있게 설치하여 상부카버의 걸림편을 변간상담부에 유착된 캡의 내턱에 괘지시키어 유출관을 캡으로 틀어 막는 일이없어 원통형의 카바에 의하여 소화전 전체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사용시에는 상부카버를 일측으로 틀어 캡에서 분리하여 하방으로 개방한다음 노출된 유출관에 즉석에서 소방호스를 간편하게 관접하여 변간을 직각방향으로 틀면 물이 다량으로 고압유출되어 보다 신속하게 소화작업을 할 수 있고 밸브를 닫아 지수하면 종수관의 물이 퇴수공으로 퇴수되어 소화전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 상부카버를 상부캡에 걸어 안전하게 소화전을 보존할 수 있게 하면서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화전에 있어서, 소화전의 종수관(1) 하단부에 형성된 변실(2) 내부에 변공(3)과 퇴수공(3')이 직각으로 형성된 볼밸브(4)를 종수관(1)으로 관통된 변간(5)으로 개폐조작할 수 있게 설치하고 지상으로 관출된 종수관(1) 외부에는 원통형의 하부카버(6)와 상부카버(6')를 상하로 개폐할 수 있어 중첩되게 설치하여 상부카버(6')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편(6")을 변간(5)의 상단부에 유착된 캡(7)의 절곡된 내턱(7')에 괘지되게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는 물의 유출관, 3"는 퇴수구, 8은 팻킹, 9는 스프링, 10은 수도관, 11은 소방호스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물의 유출관(1')에는 캡을 틀어 막지않고 개방상태로하고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카버(6')의 걸림편(6")을 캡(7)의 내턱(7')에 걸리게하여 상하의 카버(6), (6')에 의하여 소화전을 보호하고 소화작업시에는 상부카버(6')를 약간 일측으로 틀면서 캡(7)의 내턱(7')으로부터 상부카버(6')의 걸림편(6")을 분리시키어 상부카버(6')를 하부카버(6)와 중첩되게 아래로 개방하고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물의 유출관(1')에 소방호스(11)를 즉석에서 관접한 다음 소방관이 소지한 렌치(공구)로 변간(5)을 일측 직각수평 방향으로 틀면 제3a도와 같이 수도관(10)과 종수관(1) 사이의 변실(2)에서 볼밸브(4)가 개방되어 수도관(10)의 물이 변공(3)을 통하여 종수관(1)을 거쳐 유출관(1')에 관접된 소방호스(11)로 유출하여 소화작업을 하게 되고 소화작업이 끝난후 변간(5)을 원위치의 직각 수평방향으로 틀면 제3b도와 같이 변공(3)은 차폐되어 수도관(10)의 물이 종수관(1)으로 유입되지 않게되는 반면 종수관(1)에 고인물은 퇴수공(3')과 퇴수구(3")를 통하여 퇴수되어 동파를 방지하게되며 개방하였던 상부카버(6')를 다시 위로 올리어 상부카버(6')의 걸림편(6")을 캡(7)의 내턱(7')에 패지시키어 제4도와 같이 소화전을 보호하는 것으로 소화전의 종수관 하단부의 변실에 퇴수공이 형성된 볼밸브를 변간으로 개폐할 수 있게 수장하였기 때문에 변간을 직각 수평방향으로 조작하여 보다 신속하게 밸브를 개방할 수 있는 동시 사용후 밸브를 닫으면 종수관의 물이 퇴수공으로 퇴수하게되어 종수관의 동파 우려가 없고 또한 지상의 종수관 외부에 상부카버와 하부카버를 이중으로 설치하여 상부카버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편을 변간 상단부의 캡에 괘지하여 지지할수 있게 설치하였기 때문에 카버에 의하여 소화전 전체가 완전하게 밀폐상태로 보호하게 되어 종래의 것처럼 유출관에 캡을 틀어막지 않어도 유출관에 담배꽁초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일이 없고 소화전의 사용시 보다 신속하게 유출관에 소방호스를 즉석에서 관접사용할 수 있으며 카버에 시각적으로 주의를 끌수있는 색상을 표시하여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소화전에 있어서, 종수관(1)의 하단부의 변실(2)에 통상의 볼밸브(4)에 퇴수공(3')과 변공(3)과 퇴수공(3')에 형성된 볼밸브(4)를 수납하여 종수관(1) 상단부로 관출된 변간(5)으로 개폐할수 있게 설치하고 지상으로 노출된 종수관의 외부에 하부카버(6)와 상부카버(6)를 상하로 개폐할수 있게 설치하여 상부카버(6')의 걸림편(6")을 변간 상단부에 유착된 캡(7)의 내턱(7')에 걸어 고정할수 있게 구성하여서된 소화전.
KR2019900000676U 1990-01-19 1990-01-19 소화전(消火栓) KR9200036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0676U KR920003614Y1 (ko) 1990-01-19 1990-01-19 소화전(消火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00000676U KR920003614Y1 (ko) 1990-01-19 1990-01-19 소화전(消火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306U KR910014306U (ko) 1991-08-30
KR920003614Y1 true KR920003614Y1 (ko) 1992-06-01

Family

ID=19295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00000676U KR920003614Y1 (ko) 1990-01-19 1990-01-19 소화전(消火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361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86Y1 (ko) * 2008-07-11 2010-06-23 중앙공업 주식회사 지상소화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4306U (ko) 199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8666B2 (en) Automatic draining back flow prevention device
US5549133A (en) Security device and syste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to and operation of fire hydrants
US4700732A (en) Faucet drain apparatus
KR200449186Y1 (ko) 지상소화전
US4512492A (en) Manhole closure with a single liquid impervious, two-way gas pressure relief valve
KR102181151B1 (ko) 누수 감지 소화전
KR920003614Y1 (ko) 소화전(消火栓)
WO2009158706A1 (en) Weeping system for fire hydrant having a protective valve or device
KR200410621Y1 (ko) 소화전 방수구
KR200411912Y1 (ko) 옥내소화전방수구
KR102318589B1 (ko) 싱크홀 방지부가 형성된 부동전 구조
KR200215397Y1 (ko) 소화전용 밸브
KR100557904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200296539Y1 (ko) 소화전
KR102363761B1 (ko)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
KR930004150Y1 (ko) 지하매설밸브의 지상개폐 표시장치
US8850628B2 (en) Pressure relief device
JPH0614780Y2 (ja) 自動警報弁
JP3854806B2 (ja) ブロー機能を有するストレーナ
JPH04117666U (ja) 寒冷地用消火装置
KR102154428B1 (ko) 탄성부재의 장력을 활용한 드레인 밸브
KR200448696Y1 (ko) 옥내소화전 방수구
CN213176919U (zh) 多保空气阻断器
CN211010391U (zh) 一种高可靠性的放空管
JP2835513B2 (ja) 非常時小規模地下貯水タン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