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761B1 -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 - Google Patents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761B1
KR102363761B1 KR1020200082697A KR20200082697A KR102363761B1 KR 102363761 B1 KR102363761 B1 KR 102363761B1 KR 1020200082697 A KR1020200082697 A KR 1020200082697A KR 20200082697 A KR20200082697 A KR 20200082697A KR 102363761 B1 KR102363761 B1 KR 102363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drain
drain valve
valve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5186A (ko
Inventor
정태희
Original Assignee
(주) 삼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삼진정밀 filed Critical (주) 삼진정밀
Priority to KR1020200082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761B1/ko
Publication of KR20220005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5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7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14Draining devices for hyd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관말단에 퇴수밸브를 설치하여 개폐작업을 통해 관말단측의 사수를 외부로 손쉽고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되, 퇴수밸브를 보호하는 보호통 상단에 배출호스를 손쉽게 거치하고 탈거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개선하여 신속한 퇴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퇴수공정 후 잔여되는 퇴수관 내의 잔여사수 또한 자동적으로 외부 배출되어, 동절기시에 결빙되어 퇴수작업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A drainage valve at the end of a pipe having a drainage pipe holder and a protective pail}
본 발명은 관말단에서 설치되는 퇴수밸브를 보호하면서, 관말단 내의 사수를 배출하는 퇴수공정 진행시, 퇴수호스를 손쉽고 용이하게 지상으로 탈거하여 신속한 퇴수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오랜 기간 사용하여 낙후된 상수도관을 새롭게 교체하는 경우 또는 상수도관의 관로 청소를 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세척수 등의 오염된 물은 상수도의 관로로부터 외부로 배출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오염된 물을 상수도관으로부터 하수도로 연결하기 위한 배관을 이른바 퇴수관(退水管)이라 한다.
한편, 상수도관에는 일정 간격으로 관로를 개폐할 수 있는 밸브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퇴수관은 이 밸브들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퇴수관에도 관로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가 설치되는데, 이 밸브는 퇴수관에 설치된다고 하여 특히 퇴수밸브라 한다.
더욱이 배관의 말단에는 별도의 밸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배관의 말단에는 별도의 호스를 연결하여, 외부로 내부의 물을 배출하는 형태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관말단에서의 물이 고여 오랜시간동안 정체되고, 변질 및 적수형태가 된 물이 배관으로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에, 이러한 관말단에서의 물을 간헐적으로 손쉽고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관의 말단의 구조가 개선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60727호(2009.06.15.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수도 관말단측에 고여있게 되는 사수 및 이물질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체크밸브가 설치되고, 이러한 체크밸브는 퇴수관 및 퇴수호스와 함께 보호통에 내설되어 보호되도록 한 것이며, 상기 퇴수호스의 경우 퇴수공정시 손쉽고 신속하게 퇴외부로 탈거되어 사용되면서 거치는 용이하도록 내부의 구조를 개선하고, 퇴수공정 후의 잔여 사수의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퇴수관에서 배출되어 결빙 등으로 추후 퇴수작업시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수도 관말단(P)에 개폐가능하게 지하에 매설되어, 관말단(P) 내 사수를 지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퇴수밸브(10);
상기 퇴수밸브(10)가 내설되어 보호되도록 하는 보호통(20);
상기 퇴수밸브 보호통(21) 내 퇴수관(11)과 연결되는 퇴수호스(30);
상기 퇴수밸브 보호통(21)의 최상단에서 설치되어, 상면이 지면과 동일수평선상을 이루되, 상기 퇴수호스(30)의 관창부(32)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퇴수호스(30)가 보호통(20) 내에서 매달리는 형태를 거치가능토록 함으로써, 퇴수공정시 퇴수호스(30)를 지상으로 손쉽게 탈거되면서 신속한 퇴수공정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형 개폐부(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말단에서의 사수 및 이물질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크밸브를 보호하는 보호통 내에, 퇴수호스를 손쉽게 거치하고 탈거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퇴수관에 잔여되는 사수가 외부로 자동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동절기에 결빙되어 퇴수작업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너커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크밸브의 작동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도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는 퇴수밸브(10), 보호통(20), 퇴수호스(30), 거치대형 개폐부(40), 체크밸브(50)를 포함한다.
상기 퇴수밸브(10)는 상수도 관말단(P)에 개폐가능하게 지하에 매설되어, 관말단(P) 내 사수(관말단(P)에 정체된 물, 적수 등)를 지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밸브이다. 이러한 퇴수밸브(10)로는 제수밸브가 사용되었으나, 이는 관로의 개폐를 위한 것이라면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밸브로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퇴수밸브(10)의 일단에는 전술된 상수도 관말단(P)이 연결설치되고, 타단에는 사수를배출하기 위한 퇴수관(11)이 연통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퇴수관(11)은 후술될 보호통(20)의 공간이 작업자의 출입이 불가능한 정도로 협소한 소구경의 형상을 가짐에 따라, 상기 퇴수관(11)은 퇴수호스(30)의 타단에 일측이 연통된 상태에서, 보호통(20)의 길이방향을 향해 상부로 절곡되어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한다.
상기 보호통(20)은 지하에 매설되어 퇴수밸브(10)가 내설되어 보호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퇴수밸브 보호통(21), 퇴수호스 보호통(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퇴수밸브 보호통(21)은 보호통(20) 전체길이 중 하단부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퇴수밸브(10)가 내설되어 보호하는 부분이며, 전술된 바와 같이, 퇴수밸브(10)와 연통되어 상부를 향해 절곡된 퇴수관(11)도 이러한 퇴수밸브 보호통(21) 내에 위치되어 보호되도록 한다.
상기 퇴수호스 보호통(22)은 전술된 퇴수밸브 보호통(21) 상부에 직립설치되도록 연결설치되어, 상기 퇴수밸브 보호통(21)과 함께 일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퇴수관(11)과 연결된 퇴수호스(30)가 내부에서 퇴수호스 보호통(22) 길이방향을 향해,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되어 보관 및 보호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퇴수호스(30)는 호스(31)가 얇은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며, 끝단에는 원형의 관창부(32)가 설치되어 있는 형태이다.
상기 거치대형 개폐부(40)는 전술된 퇴수밸브 보호통(21)의 최상단에서 설치되어, 상면이 지면과 동일수평선상을 이루되, 상기 퇴수호스(30)의 관창부(32)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퇴수호스(30)가 보호통(20) 내에서 매달리는 형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퇴수공정시 퇴수호스(30)를 지상으로 손쉽게 탈거되면서 신속한 퇴수공정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거치대형 개폐부(40)는 하우징(41), 개폐커버(42), 이너커버(43)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41)은 퇴수밸브 보호통(21)(더욱 자세히는 퇴수호스 보호통(22))의 상단에 설치되는 원형 몸체이다.
상기 개폐커버(42)는 이러한 하우징(41)의 최상단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분이다.
상기 이너커버(43)는 전술된 하우징(41)의 내부 하단에서, 상기 개폐커버(42)의 하단에 이격되도록 수평설치되어 퇴수밸브(10)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개폐가능한 커버이다. 상기 개폐커버(42)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상기 이너커버(43)는 FRP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이러한 재질은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이러한 이너커버(43)는 상기 퇴수호스(30)의 관창부(32)가 매달리는 형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중앙에는 관창부(3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걸침홀(44)이 천공형성되고, 상긴 걸침홀(44)로부터 외주연까지는 직선의 절개부(45)를 절개형성하여, 상기 퇴수호스(30)의 호스(31)가 이러한 절개부(45)를 통해 삽입되어 걸침홀(44)에 거치되고, 상기 절개부(45)를 통해 탈거도 용이토록 한다. 이로써, 상기 퇴수호스(30)의 관창부(32)가 평상시 걸침홀(44)에 걸쳐져 있기에, 퇴수작업이 시행시 작업자가 이러한 관창부(32)를 잡고 퇴수호스(30)를 지상으로 빼내어 작업을 진행하면 된다.
상기 체크밸브(50)는 전술된 퇴수관(11)의 하단 외주연에 설치되어, 퇴수공정 완료후 퇴수관(11) 내에 잔여되는 사수가 외부로 자동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물질 축적 또는 잔여 사수의 결빙으로 인한 퇴수공정상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체크밸브(50)는 전술된 퇴수관(11)의 외주연에 끼움결합되거나 또는 퇴수관(11)에 별도로 체크밸브(50) 설치를 위해 외부로 돌출형성하는 설치부(12)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부(51), 천공홀(53), 수평홀(55), 탄성부재(56), 오링(58, O-Ring), 끼움부(59)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51)는 설치부(12) 내에 상단이 대응되며 끼움고정되는 것으로, 중단에 걸림턱(42)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42)까지 몸체부(51)가 설치부(12)에 끼움고정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몸체부(51)는 설치부(12)에 나사체결되거나, 외주연에 볼팅을 통해 설치부(12)와 고정되는 등 사용자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설치부(12)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천공홀(53)은 몸체부(51)의 중앙 내부를 수직 관통하되, 중단에 턱(44)이 형성되며 상단부의 직경보다 하단부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더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홀이다.
상기 수평홀(55)은 설치부(12) 외부로 돌출 몸체부(51)의 하단에서, 상기 천공홀(53)에 직각으로 연통되도록 외주연에 수평천공되는 홀이다.
상기 탄성부재(56)는 천공홀(53) 내부에 장착되는 스프링이며, 상기 볼부재(57)는 천공홀(53) 내부 상단부에 위치되도록, 탄성부재(56) 상부에 설치되는 볼이며, 이러한 천공홀(53) 내부에서 완전히 천공홀(53)을 막지않고 천공홀(53) 내에서 승, 하강 될 수 있게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오링(58)은 천공홀(53) 내부 턱(44)에 설치되어, 상기 볼부재(57) 접촉시 볼 주변을 밀폐하여 천공홀(53)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연통되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것이며, 상기 끼움부(59)는 몸체부(51)의 최상단의 외주연에서 내부로 별도의 핀이 돌출되도록 끼워지는 부분으로, 상기 천공홀(53) 내에서 승하강되는 볼부재(57)가 몸체부(51)의 개구된 상부를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체크밸브(50)는 전술된 퇴수밸브(10)가 개방되어 퇴수관(11)을 통해 관말단(P) 내 물이 외부로 배출시에는, 배출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내부의 볼부재(57)가 탄성부재(56)를 압축시키고, 볼부재(57)는 오링(58)에 접촉되면서 천공홀(53)을 밀폐하는 것이고,
상기 퇴수관(11)과 퇴수호스(30)를 통한 퇴수공정이 완료되어 퇴수밸브(10)가 밀폐되는 경우에는, 상기 탄성부재(56)가 원상복귀되면서 천공홀(53)을 밀폐하고 있는 볼부재(57)를 밀어올려, 볼부재(57) 주변으로 퇴수관(11) 내의 잔존되어 있는 물이 천공홀(53)과 수평홀(55)을 통해 퇴수관(11)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퇴수밸브 11: 퇴수관
20: 보호통 21: 퇴수밸브 보호통
22: 퇴수호스 보호통 30: 퇴수호스
31: 호스 32: 관창부
40: 거치대형 개폐부 41: 하우징
42: 개폐커버 43: 이너커버
44: 걸침홀 45: 절개부
50: 체크밸브 51: 몸체부
52: 걸림턱 53: 천공홀
54: 턱 55: 수평홀
56: 탄성부재 57: 볼부재
58: 오링 59: 끼움부
P: 관말단

Claims (4)

  1. 상수도 관말단(P)에 개폐가능하게 지하에 매설되어, 관말단(P) 내 사수를 지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퇴수밸브(10);
    상기 퇴수밸브(10)가 내설되어 보호되도록 하는 보호통(20);
    상기 퇴수밸브 보호통(21) 내 퇴수관(11)과 연결되는 퇴수호스(30);
    상기 퇴수밸브 보호통(21)의 최상단에서 설치되어, 상면이 지면과 동일수평선상을 이루되, 상기 퇴수호스(30)의 관창부(32)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퇴수호스(30)가 보호통(20) 내에서 매달리는 형태를 거치가능토록 함으로써, 퇴수공정시 퇴수호스(30)를 지상으로 손쉽게 탈거되면서 신속한 퇴수공정이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형 개폐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거치대형 개폐부(40)는
    최상단에서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커버(42);
    상기 개폐커버(42)의 하단에 이격되도록 수평설치되어 퇴수밸브(10)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하며, 상기 퇴수호스(30)의 관창부(32)가 매달리는 형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중앙에는 관창부(32)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걸침홀(44)이 천공형성되고, 상긴 걸침홀(44)로부터 외주연까지 직선의 절개부(45)를 형성하여 퇴수호스(30)의 거치 및 탈거가 용이토록 하는 개폐가능한 이너커버(43);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통(20)은
    내설되는 퇴수밸브(10)가 보호되며, 퇴수밸브(10)가 연통된 퇴수관(11)이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설치보호되는 퇴수밸브 보호통(21);
    상기 퇴수밸브 보호통(21) 상부에 직립설치되어, 퇴수관(11)과 연결된 퇴수호스(30)가 지그재그 형태로 적층되어 보관 및 보호되는 퇴수호스 보호통(22); 으로 구성되며,
    작업자의 출입이 불가능한 소구경의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퇴수관(11)의 하단 외주연에 설치되어, 퇴수공정 완료후 퇴수관(11) 내에 잔여되는 사수가 외부로 자동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물질 축적 또는 잔여 사수의 결빙으로 인한 퇴수공정상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체크밸브(5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
  4. 삭제
KR1020200082697A 2020-07-06 2020-07-06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 KR102363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697A KR102363761B1 (ko) 2020-07-06 2020-07-06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697A KR102363761B1 (ko) 2020-07-06 2020-07-06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186A KR20220005186A (ko) 2022-01-13
KR102363761B1 true KR102363761B1 (ko) 2022-02-17

Family

ID=7934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697A KR102363761B1 (ko) 2020-07-06 2020-07-06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76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985B1 (ko) * 2005-02-04 2005-10-06 강두석 소화전
KR102015231B1 (ko) * 2018-12-31 2019-08-27 한국안전시스템 주식회사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60727A (ko) 2007-12-10 2009-06-15 안재엽 누수탐지새들 및 이를 이용한 퇴수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985B1 (ko) * 2005-02-04 2005-10-06 강두석 소화전
KR102015231B1 (ko) * 2018-12-31 2019-08-27 한국안전시스템 주식회사 지중 매설용 소화전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5186A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15891A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uel spillage
US7802486B2 (en) Portable discrete groundwater sampling system
US20080017589A1 (en) Water flushing system providing treated discharge
US7497228B2 (en) Freeze and backflow protection for a subterranean water flushing system
US9016303B2 (en) Automatic air evacuation appratus for swimming pool and spa filters
KR102363761B1 (ko) 퇴수관 거치대 및 보호통을 갖는 관말단 퇴수밸브
KR101041191B1 (ko) 지하수 송수관 동결시 수중모터펌프 및 지하수 상부보호공 내부에 설치된 양수장치 구성품 보호장치
US7434781B2 (en) Remotely actuated quick connect/disconnect coupling
US7093608B2 (en) Vacuum pressure breaker and freeze protection for a water flushing system
KR102044018B1 (ko) 차집시설 수질검사장치
CN205055540U (zh) 一种过滤器
KR102368134B1 (ko) 제수밸브 및 체크밸브 일체형 사수방지 소화전 시스템
KR200415971Y1 (ko) 부력볼밸브를 장착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상부덮개.
KR102236012B1 (ko) 관말단의 밸브실 내의 퇴수밸브 시스템
US8701695B2 (en) Wastewater valve arrangement
KR100993838B1 (ko) 내부 청소가 가능한 밀폐식 관정 상부 보호 장치
KR20160001400U (ko) 상수도용 부동전
RU2644423C2 (ru) Лопастная машина с уплотнительным узлом, способ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а также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KR100809647B1 (ko) 관세척용 쓰리웨이 볼밸브
CN211111179U (zh) 油液自动分离器
KR920003614Y1 (ko) 소화전(消火栓)
CA2353068C (en) Cap for a well casing, and method to retrofit a well casing with a cap
EP3823858B1 (en) Tank filling device
KR101352582B1 (ko) 배출 기능을 갖는 배관 연결구
KR20120002366U (ko)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