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366U -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 - Google Patents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366U
KR20120002366U KR2020100009969U KR20100009969U KR20120002366U KR 20120002366 U KR20120002366 U KR 20120002366U KR 2020100009969 U KR2020100009969 U KR 2020100009969U KR 20100009969 U KR20100009969 U KR 20100009969U KR 20120002366 U KR20120002366 U KR 201200023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ground structure
coupled
opening
housing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9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5376Y1 (ko
Inventor
허일훈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1000099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37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3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3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3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3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03F7/02Shut-off devices
    • E03F7/04Valves for preventing return f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중 구조물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지중 구조물 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측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접속링과, 상기 접속링의 상기 결합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상기 지중 구조물에 유입된 우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로 이루어진 역류방지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와 나사결합되며, 상측면에 복수개의 필터공이 형성된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Natural draining device under ground manhole for flowing backward prevention}
본 고안은 자연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 구조물에 유입된 우수의 배수를 위한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지중에는 전력공급을 위한 배전설비가 설치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지중 구조물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의 지중 구조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지중 구조물(1)은 내부에 배전설비가 설치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2)의 상측에 위치되며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한 맨홀뚜껑(3)과, 케이블(4)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한 관로구(5)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중 구조물(1)은 전력공급의 이상시 작업자가 내부로 들어가 각종 작업을 통해 전력이 원활하게 소비자에게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지중 구조물(1)은 우수에 의한 구조물의 침수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
예컨데, 기존에는 맨홀뚜껑, 관로 등 여러 경로로 유입된 우수는 펌프 등 강제 배수장치를 통한 배수 외에는 배출 방법이 없으며, 매년 맨홀청소 및 강제 배수를 위하여 수십억원을 투자하고 있지만, 지중구조물의 침수에 대한 완전한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즉, 상기 맨홀뚜껑, 관로 등으로 유입된 우수를 배출할 수 있는 출구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한번 유입된 우수는 맨홀뚜껑을 통하여 강제 배수하지 않는 한 지중 구조물 내부에 고이게 되어 배전 작업시 작업여건의 곤란 및 지중 케이블 접속부 침수로 인해 케이블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지중구조물 내로 유입된 우수가 외부로 자연배수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중구조물 내부의 작업여건 개선 및 지중케이블의 고장요인 제거, 그리고, 지중케이블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의 자연배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중 구조물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지중 구조물 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측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접속링과, 상기 접속링의 상기 결합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상기 지중 구조물에 유입된 우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로 이루어진 역류방지밸브와,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와 나사결합되며, 상측면에 복수개의 필터공이 형성된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부측 외주면에 차수판이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밸브의 유입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링의 상기 결합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외주면에 상기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 상기 접속링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를 열십자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연결하며 상기 교차된 부분에 결합공이 형성된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밸브의 개폐부는 일단이 상기 유입부와 결합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타단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반구 형상의 상부개폐부재와 하부개폐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구 형상을 띄도록 형성된 개폐부재와, 상기 상부개폐부재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지지축이 관통결합될 수 있도록 한 중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래크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승하강관과, 상기 승하강관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래크와 치합될 수 있도록 한 피니언이 결합되게 복수개의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관의 중공을 통해 삽입결합된 지지축과 볼트 결합되는 위치구속부재와, 상기 위치구속부재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상기 끼움공에 끼움결합된 피니언과 치합되게 이송래크가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되는 무개추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물에 부식되지 않도록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하강관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관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위치구속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되게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부재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재에 대해 승하강되도록 한 무게추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되게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역류방지밸브의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 사이에는 패킹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중 구조물 내로 유입된 우수를 외부로 자연배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중 구조물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지중 구조물 내부의 작업여건을 개선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지중케이블의 고장 요인을 최소화할 수 있는 등 지중케이블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중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가 설치된 지중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에 사용된 역류방지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7a 및 7b는 도 5 "B"를 확대하여 작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및 8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의 작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100)가 설치된 지중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100)는 배전설비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지중 구조물(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맨홀뚜껑(20) 및 관로(30)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지중 구조물(10)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100)는 하우징(110)과, 접속링(120)과, 역류방지밸브(130)와, 그리고, 마개(14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10)은 밀폐된 하부에 복수개의 통공(110a)이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배수공(110b)이 형성되도록 하여 하우징(110) 내로 우수의 유입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상부측 외주면에는 차수판(112)이 확장되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차수판(112)은 지중 구조물(10)과의 결합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100)의 위치를 한정하는 동시에 하우징(110)과 지중 구조물(1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틈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 개방되게 형성된 상부 내주면에는 접속링(120)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단턱(110c)이 형성된다.
상기 접속링(120)은 후술하는 역류방지밸브(13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110)과 접착제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이때, 본 고안에서는 상기 하우징(110)과 접속링(120)을 접착제를 통해 고정결합하도록 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 볼트를 사용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110)과 접속링(120)을 견고히 고정결합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속링(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우징(110)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110c)에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턱(120a)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내주면에는 역류방지밸브(130)를 택일적으로 구속할 수 있도록 한 결합부(12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122)는 후술하는 역류방지밸브(130)의 돌기(131b)가 삽입되도록 한 후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하우징(110)에 구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역류방지밸브(130)의 돌기(131b)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삽입구(122a)와, 원주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접속링(120)에 역류방지밸브(130)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걸림턱(122b)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100)에 사용된 역류방지밸브(13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도 3의 "B"를 확대하여 작동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b을 참고하면, 역류방지밸브(130)는 상기 접속링(120)을 통해 상기 하우징(110)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유입부(131) 및 개폐부(132)를 포함한다.
상기 유입부(131)는 상기 접속링(120)과 결합되며 상기 지중 구조물(10) 내에 고여 있는 물을 유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부(13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상기 접속링(120)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한 플랜지(131a)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측면부 양측에는 상기 접속링(120)에 형성된 결합부(122)와 접촉되어 상기 하우징(11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돌기(131b)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부(131)의 내주면은 상광하협(上廣下狹) 구조로 형성되며, 내주면 상측에는 상기 플랜지(131a)를 열십(+)자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연결되는 지지편(131c)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편(131c)은 개폐부(132)의 일부가 결합될 수 있도록 교차되는 부분에 결합공(131d)이 형성되도록 한다.
개폐부(132)는 상기 유입부(131)와 접촉되어 지중 구조물(10) 내부의 물은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하고, 지중 구조물(10) 외부의 물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지지축(133)과, 개폐부재(134)와, 승하강관(135)과, 위치구속부재(136)와, 피니언(137)과, 무게추(138)를 포함한다.
지지축(133)은 상기 유입부(131)의 결합공(131d)에 끼움결합되어 개폐부재(134)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에 헤드부(133a)가 형성되고, 타단에 볼트공(133b)이 형성된다.
개폐부재(134)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상부개폐부재(134a)와 하부개폐부재(134b)가 결합되어 구 형상을 띄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부력에 의해 물에 뜰 수 있도록 내부에 중공을 갖도록 형성되며, 접촉되는 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도록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개폐부재(134)를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재질이라면 재질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때, 상기 상부개폐부재(134a)의 상부에는 관통공(134a')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134a')을 통해 승하강관(135)이 삽입되어 너트(N)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승하강관(135)은 육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중공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지지축(133)이 관통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래크(135a)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고정래크(135a)를 상기 승하강관(135)의 외주면에 120°간격으로 3개의 고정래크(135a)를 형성하여 후술하는 무게추(138)의 승하강시 치우쳐짐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상기 육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승하강관(135)의 고정래크(135a)가 형성되지 않은 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135b)가 형성된다.
위치구속부재(136)는 고정래크(135a)가 형성된 승하강관(135)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승하강관(135)의 중공을 통해 삽입 결합된 지지축(133)과 볼트(S)결합된다. 즉, 상기 지지축(133)에 형성된 볼트공(133b)과 상응하는 위치에 볼트공(136a)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축(133)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위치구속부재(136)의 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승하강관(135)에 형성된 고정래크(135a)와 치합될 수 있도록 한 피니언(137)이 끼움되게 120°간격으로 끼움공(136b)이 형성된다.
아울러, 위치구속부재(136)의 내측에는 상기 120°간격으로 형성된 끼움공(136b) 사이사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36c)을 형성하여 상기 승하강관(135)의 가이드돌기(135b)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하강관(135)의 승하강시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무개추(138)는 상기 위치구속부재(136)를 감싸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상기 피니언(137)과 치합될 수 있도록 한 이송래크(138a)가 형성된다.
또한, 덧붙여 상기 무개추(138)의 내주면과 상기 위치구속부재(136)의 외주면에도 상기 승하강관(135)의 외주면과 위치구속부재(136)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35b) 및 가이드레일(136c)과 동일한 가이드레일(138b) 및 가이드돌기136d)을 형성하여 상기 위치구속부재(136)에 대해 상기 무개추(138)가 원활하게 승하강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역류방지밸브(130)는 초기 개폐부재(134)의 내부에 설치되는 무게추(138)의 자중에 의해 하방향에 위치되며 개폐부재(134)는 유입부(131)와 접촉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역류방지밸브(130)의 유입부(131)를 통해 물이 유입되면 유입되는 물의 하중에 의해 개폐부재(134)가 하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즉, 개폐부재(134)가 하방향으로 향하게 됨에 따라, 상기 상부개폐부재(134)의 내부에 결합된 승하강관(135)이 하방향으로 향하게 되면서 상기 승하강관(135)의 고정래크(135a)와 치합된 피니언(137)이 회전하여 무게추(138)를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후, 물이 모두 배수되면 무게추(138)의 자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향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무게추(138)가 하강하면서 상기 피니언(137)을 회전시켜 승하강관(135)이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개폐부재(134)가 상기 유입부(131)와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역류방지밸브(130)는 지중 구조물(10) 내로 유입된 물을 유입하여 하우징(110)에 형성된 배수공(110b) 및 통공(110a)을 통해 외부로 자연배수할 수 있으나, 외부로부터 지중 구조물(10) 내로 역류될 수 있는 지하수의 유입은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상기 역류방지밸브(130)의 유입부(131)와 개폐부재(134)가 접촉되는 면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부재(139a)를 구비하여 물이 역류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유입부(131)와 지지축(133)을 통해 결합된 개폐부(132)의 개폐부재(134) 사이에는 승하강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축(133) 상에 완충부재(139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킹부재(139a) 및 상기 완충부재(139b)는 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으면서 고무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140)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마개(140)는 상기 역류방지밸브(130)로 유입되는 우수와 함께 유입될 수 있는 흙, 모래, 낙엽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도록 한 필터공(14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100)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판(112)이 지중 구조물(10)의 바닥면 상측에 위치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상기 차수판(112)이 하우징(110)의 상부에서 소정거리 만큼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100)는 바각면에 대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물과 유입된 흙, 모래의 유입을 최소화할 수 잇다.
이 상태에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공(142)을 통해 하우징(110) 내로 물이 유입되면 역류방지밸브(130)의 개폐부재(134)가 물의 하중에 의해 하방향으로 향하게 되어 지중 구조물(10) 내의 물을 외부로 자연배수하게 된다.
이후, 지중 구조물(10) 내의 물 배수를 완료하게 되면, 개폐부재(134)가 상측의 유입부(131)와 접촉되어 유입부(131)의 하부를 밀폐함으로써, 외부의 지하수 등이 지중 구조물(10) 내로 유입될 수 있는 물을 차단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100)는 지중 구조물(10) 내의 물 침수시 외부로 자연배수할 수 있어 지중 구조물(10)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지중 케이블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의 실시예를 기준으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0 : 자연배수장치 110 : 하우징
110a : 통공 110b : 배수공
110c : 단턱 112 : 차수판
120 : 접속링 120a : 안착턱
122 : 결합부 122a : 삽입구
122b : 걸림턱 130 : 역류방지밸브
131 : 유입부 131a : 플랜지
131b : 돌기 131c : 지지편
131d : 결합공 132 : 개폐부
133 : 지지축 134 : 개폐부재
134a : 상부개폐부재 134a' : 관통공
134b : 하부개폐부재 135 : 승하강관
135a : 고정래크 135b : 가이드돌기
136 : 위치구속부재 136a : 볼트공
136b : 끼움공 136c : 가이드레일
136d: 가이드돌기 137 : 피니언
138 : 무게추 138a : 이송래크
138b: 가이드레일 139a : 패킹부재
139b : 완충부재 140 : 마개
142 : 필터공 N : 너트
S : 볼트

Claims (8)

  1. 지중 구조물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지중 구조물 내로 유입되는 우수를 외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측 내주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접속링;
    상기 접속링의 상기 결합부에 분리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상기 지중 구조물에 유입된 우수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유입부 및 상기 유입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로 이루어진 역류방지밸브;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상부와 나사결합되며, 상측면에 복수개의 필터공이 형성된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측 외주면에 차수판이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의 자연배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밸브의 유입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속링의 상기 결합부와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외주면에 상기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부 외주면에 상기 접속링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를 열십자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연결하며 상기 교차된 부분에 결합공이 형성된 지지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의 자연배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밸브의 개폐부는
    일단이 상기 유입부와 결합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타단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반구 형상의 상부개폐부재와 하부개폐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구 형상을 띄도록 형성된 개폐부재와,
    상기 상부개폐부재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지지축이 관통결합될 수 있도록 한 중공이 형성되며,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래크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승하강관과,
    상기 승하강관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래크와 치합될 수 있도록 한 피니언이 결합되게 복수개의 끼움공이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관의 중공을 통해 삽입결합된 지지축과 볼트 결합되는 위치구속부재와,
    상기 위치구속부재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내주면에 상기 끼움공에 끼움결합된 피니언과 치합되게 이송래크가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승하되는 무개추를 포함하는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의 자연배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물에 부식되지 않도록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의 자연배수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관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관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위치구속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되게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의 자연배수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재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재에 대해 승하강되도록 한 무게추의 내주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대응되게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가이드레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의 자연배수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밸브의 유입부와 상기 유입부에 대해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부재 사이에는 패킹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의 자연배수장치.
KR2020100009969U 2010-09-28 2010-09-28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 KR2004653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969U KR200465376Y1 (ko) 2010-09-28 2010-09-28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969U KR200465376Y1 (ko) 2010-09-28 2010-09-28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66U true KR20120002366U (ko) 2012-04-05
KR200465376Y1 KR200465376Y1 (ko) 2013-02-15

Family

ID=46606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969U KR200465376Y1 (ko) 2010-09-28 2010-09-28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3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04Y1 (ko) * 2012-05-25 2014-05-13 (주)도원드레인 하수구 보수용 역류방지 장치
KR101965109B1 (ko) * 2018-09-04 2019-08-13 한국전력공사 지연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하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630A (ko) * 1998-09-03 1998-12-05 김종선 하수구의 악취 및 하수역류 차단장치
KR100580865B1 (ko) * 2004-02-03 2006-05-16 김하용 건축용 개량맨홀
KR100717297B1 (ko) * 2004-12-07 2007-05-15 임흥호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
KR20070108473A (ko) * 2007-06-01 2007-11-12 한상관 오염된 수질을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주는 시스템과결합하여 오염된 수질을 정화시키는 친환경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604Y1 (ko) * 2012-05-25 2014-05-13 (주)도원드레인 하수구 보수용 역류방지 장치
KR101965109B1 (ko) * 2018-09-04 2019-08-13 한국전력공사 지연 배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하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376Y1 (ko) 201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4571B2 (ja) 排水ます及びこれを備えた排水設備
ES2369191T3 (es) Sistema de boquillas de alto flujo para el control del flujo en tanques de compensación de vejiga.
US5391295A (en) Spill containment system
US10138052B2 (en) Floating roof tank having support structures for protecting the peripheral seal
ES2744609T3 (es) Aparato de prevención de flujo de retorno
JP2013190084A (ja) 空気弁
US5679246A (en) Spill containment system
KR200465376Y1 (ko)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
JP2013185386A (ja) 床ドレンファンネル
GB2464174A (en) Subsea hydrocarbon containment system and method
US10197175B2 (en) Hydrostatic tank floor relief valve
KR101253061B1 (ko) 무동력 협잡물 스크린 장치
KR200485133Y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JP6388175B2 (ja) 無動力逆流防止装置
KR101716394B1 (ko) 정합식 맨홀
JP6040201B2 (ja) 床ドレンファンネル
KR101596785B1 (ko) 우수 저류용 역류방지 맨홀 덮개
CN102297340B (zh) 一种水封排水器
CN202187414U (zh) 一种水封排水器
US9242757B1 (en) Rail car unloading catch pan system
CN202689128U (zh) 防倒灌地漏装置
JP2017179824A (ja) トイレシステム
KR200408786Y1 (ko) 채수가 용이한 양수장치용 밀폐식 상부 보호공
JP5865491B2 (ja) 取水池および排水池を備えたプラント冷却施設
KR101698686B1 (ko) 연통구를 구비한 토사 제거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토사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