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133Y1 -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 Google Patents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133Y1
KR200485133Y1 KR2020160006335U KR20160006335U KR200485133Y1 KR 200485133 Y1 KR200485133 Y1 KR 200485133Y1 KR 2020160006335 U KR2020160006335 U KR 2020160006335U KR 20160006335 U KR20160006335 U KR 20160006335U KR 200485133 Y1 KR200485133 Y1 KR 200485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eat
hydrant
fire hydrant
toi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3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성
Original Assignee
(주)화이어대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이어대상 filed Critical (주)화이어대상
Priority to KR20201600063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1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1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화전덮개를 제거한 후 시트렌치를 이용하여 링볼트를 밸브통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밸브대를 소화전몸체의 상부로 승강시킴에 따라 연장통까지 굴착하거나 밸브통과 연장통을 분리하지 않고도 구성부품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변좌가 밸브통 내에 회전될 수 없게 안착지지됨에 따라 승강조절구의 조작에 의한 개폐밸브의 개폐시에 변좌의 유동에 의해 링볼트가 풀리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은, 지하에 배치되고 상수도 배관과 연결되는 밸브통과, 지상에 노출되고 소방호스가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되는 소화전몸체과, 상기 밸브통과 상기 소화전몸체를 연결하는 연장통과, 상기 소화전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소화전덮개와, 상기 밸브통의 상단 내측에 나사결합되고 내부에 다각형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링볼트와, 상기 밸브통의 내벽에 안착지지되어 상기 링볼트의 하부에 위치되며 외측 상단에는 상기 밸브통의 회전방지홈에 안착되는 회전방지돌기가 돌출형성되는 변좌와, 상기 밸브통 내에 설치되고 승강 작동에 의해 소화전 용수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변받이와 디스크와 디스크누르개가 차례로 결합되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에 하단이 연결되는 밸브대와, 상기 소화전덮개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이 상기 밸브대의 상단과 나사결합되어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밸브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조절구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Fire hydrant with easy maintenance}
본 고안은 소방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지상식 옥외소화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화전덮개를 제거한 후 시트렌치를 이용하여 링볼트를 밸브통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밸브대를 소화전몸체의 상부로 승강시킴에 따라 연장통까지 굴착하거나 밸브통과 연장통을 분리하지 않고도 구성부품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변좌가 밸브통 내에 회전될 수 없게 안착지지됨에 따라 승강조절구의 조작에 의한 개폐밸브의 개폐시에 변좌의 유동에 의해 링볼트가 풀리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전은 소방호스를 연결하기 위한 소방시설로서, 화재 초기에 소방대상물의 거주자가 소화전에 비치되어 있는 호스 및 노즐을 이용하여 소화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소방법상 각 노즐 끝의 방수압력이 1.7kg/cm2이고, 방수량이 130ℓ/min 이상이어야 하는 옥내 소화전과, 예를 들어 차도와 보도 사이와 같이 옥외에 설치되며 소방법상 각 노즐 끝의 방수압력이 2.5kg/cm2 이상이고 방수량이 350ℓ/min 이상이어야 하는 옥외 소화전으로 구분된다.
또한 옥외소화전은 차도와 보도의 경계에 지상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소방호스의 장착구가 구비된 지상식 소화전과, 보도가 없는 도로의 지하에 설치되며 그 속에 호스를 장치하는 데 필요한 접속구 등을 가설한 지하식 소화전으로 구분된다.
지상식 옥외소화전은 야간 또는 눈 내릴 때에도 쉽게 발견할 수 있고 작업도 빨리 할 수 있으며 청소나 표지 등에 비용이 들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겨울철에 동결될 염려가 있다.
이러한 지상식 옥외소화전의 일 예로, 한국 특허공개 제10-2011-0121902호(2011.11.09)에는 커버, 미들보디, 연결보디, 밸브통으로 이루어진 본체와, 상기 밸브통의 상부 측면에는 본체에 잔류하는 소화용수를 배수할 수 있도록 내부에는 은구슬과 스프링이 삽입되어 개폐밸브의 승강 작동시 디스크누르개의 상하 동작으로 은구슬을 간섭 및 해지하면 은구슬이 좌우로 이동하여 배수공을 개폐하는 드레인과, 상기 밸브통의 내부에는 승강 작동에 의해 소화전 용수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디스크와 디스크누르개가 결합된 개폐밸브와, 상기 본체 내부에는 커버에 상부 로드가 장착되어 연결핀에 의해 하부 로드의 상부와 결합되고, 하부 로드의 하부는 개폐밸브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개폐밸브를 승하강 작동시키는 밸브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식 소화전이 개시된다.
또한 한국 특허등록 제10-1556955호(2015.09.24)에는 지하에 배치되는 상수도 배관과 연결되는 베이스부와,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마련되며 소화용수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마련된 소화용수 배출부와, 상기 소화용수 배출부의 상측부에 마련되는 캡 바디가 구비된 소화전 본체와, 상기 소화전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상수도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소화용수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볼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 개폐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상수도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소화용수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볼과, 상기 개폐볼과 일체로 연장 마련되어 상기 개폐볼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며,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소화용수가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개폐 바디를 포함하는 옥외 소화전이 개시된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 제10-2015-0105890호(2015.09.18)에는 지상식 소화전에 있어서 캡의 개방없이도 물이 통과할 수 있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있는 밸브막대와 상기 밸브막대 상부 유출구의 내부에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볼트와 너트식으로 형성된 차단용 볼밸브를 나사조임식으로 결합하고, 상기 볼밸브에 수압을 확인할수 있는 압력게이지를 조임 체결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식 소화전이 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지상식 옥외 소화전은, 지하에 배치되고 상수도 배관과 연결되는 밸브통과, 지상에 노출되고 소방호스가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되는 소화전몸체와, 상기 밸브통과 상기 소화전몸체를 연결하는 연장통과, 상기 소화전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소화전덮개와, 상기 밸브통의 상단 내측에 나사결합되고 내부 양측에 ㄷ자형 지지구가 구비되며 소화전의 사용 후 밸브 폐쇄시에 상기 연장통과 상기 소화전몸체 내의 물이 배수되도록 하는 물배출구가 관통형성되는 변좌와, 상기 밸브통 내에 설치되고 승강 작동에 의해 소화전 용수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변받이와 디스크와 디스크누르개가 차례로 결합되며 상기 디스크누르개에는 상기 변좌의 ㄷ자형 지지구에 끼워져 승강작동을 가이드하는 U자형 지지구가 구비되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에 하단이 연결되어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밸브대와, 상기 소화전덮개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이 상기 밸브대의 상단과 나사결합되며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밸브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조절구가 포함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지상식 옥외 소화전의 경우에는 변받이와 디스크와 디스크누르개로 형성되는 개폐밸브가 연장통의 내경보다 크거나 또는 밸브의 개방시 밸브대의 회전으로 인해 변좌까지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변좌가 U자형 지지구의 단부로부터 이탈하여 소화전의 개폐가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변좌 외주연과 밸브통의 내주연의 나사산이 본딩처리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개폐밸브와 관련된 구성부품을 교체하거나 유지보수하고자 할 경우에는 연장통의 하단까지 굴착하여 밸브통과 연장통을 분리해야만 하므로 구성부품의 교체 및 유지보수작업이 매우 힘들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소화전을 매립하는 경우 그 주변에 자갈을 이용하여 매립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설치 장소에 따라 충분한 자갈을 사용하지 못하고 일반 흙으로 매립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드레인밸브는 소화전 사용 후 소화전 몸체 내부에 있는 소화전 용수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기존의 소화전에서는 밸브통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외부에 드레인밸브가 설치되는 경우 드레인밸브 외측 입구에 있는 흙 등이 입구를 막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발생하게되며 이로 인해 소화전 몸체 내부에 있는 소화전 용수를 배출하지 못해 겨울에는 동파가 발생하거나 또는 땅꺼짐의 문제점이 있었다.
1. 한국 특허공개 제10-2011-0121902호(2011.11.09)
2. 한국 특허등록 제10-1556955호(2015.09.24)
3. 한국 특허공개 제10-2015-0105890호(2015.09.18)
따라서 본 고안은 소화전덮개를 제거한 후 시트렌치를 이용하여 링볼트를 밸브통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밸브대를 소화전몸체의 상부로 승강시킴에 따라 연장통까지 굴착하거나 밸브통과 연장통을 분리하지 않고도 구성부품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변좌가 밸브통 내에 회전될 수 없게 안착지지됨에 따라 승강조절구의 조작에 의한 개폐밸브의 개폐시에 변좌의 유동에 의해 링볼트가 풀리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변좌의 일측에는 소화전의 사용 후 밸브 폐쇄시에 상기 연장통과 소화전몸체 내의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물배출구가 관통형성되고, 물배출구에는 밸브 폐쇄시에 물배출구를 개방시키고 밸브 개방시에 물배출구를 폐쇄시키는 체크밸브 형태의 드레인밸브가 변좌의 내측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드레인밸브 입구 측에 흙이 쌓이지 않도록 함으로서 드레인 밸브의 기능이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지하에 배치되고 상수도 배관과 연결되는 밸브통과, 지상에 노출되고 소방호스가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되는 소화전몸체과, 상기 밸브통과 상기 소화전몸체를 연결하는 연장통과, 상기 소화전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소화전덮개와, 상기 밸브통의 상단 내측에 나사결합되고 내부에 다각형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링볼트와, 상기 밸브통의 내벽에 안착지지되어 상기 링볼트의 하부에 위치되며 외측 상단에는 상기 밸브통의 회전방지홈에 안착되는 회전방지돌기가 돌출형성되는 변좌와, 상기 밸브통 내에 설치되고 승강 작동에 의해 소화전 용수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변받이와 디스크와 디스크누르개가 차례로 결합되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에 하단이 연결되는 밸브대와, 상기 소화전덮개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이 상기 밸브대의 상단과 나사결합되어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밸브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조절구가 포함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링볼트, 상기 변좌, 상기 개폐밸브를 구성하는 변받이, 디스크 및 디스크누르개의 외경은 상기 연장통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링볼트의 내부에는 팔각형의 렌치결합공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밸브통의 회전방지홈과 상기 변좌의 회전방지돌기는 각각 90도 각도간격으로 1개씩 대응되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변좌의 내부 양측에는 ㄷ자형 지지구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크누르개의 상부에는 상기 변좌의 ㄷ자형 지지구에 끼워져 승강작동을 가이드하는 U자형 지지구가 상기 밸브대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변좌의 일측에는 소화전의 사용 후 밸브 폐쇄시에 상기 연장통과 상기 소화전몸체 내의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물배출구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물배출구에는 밸브 폐쇄시에 상기 물배출구를 개방시키고 밸브 개방시에 상기 물배출구를 폐쇄시키는 체크밸브 형태의 드레인밸브가 상기 변좌의 내측에서 결합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변좌의 하측 둘레에는 패킹링이 결합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링볼트는 상기 소화전덮개를 제거한 후 상기 링볼트의 렌치결합공에 결합가능한 다각형의 렌치부가 구비된 시트렌치를 투입하여 분리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시트렌치의 축에는 시트렌치의 사용시에 상기 소화전몸체의 상단에 결합되어 시트렌치의 중심을 바로잡기 위한 중심정렬툴이 상하이동가능하게 관통결합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은 시트렌치에 의해 회전구동 가능한 링볼트가 밸브통의 상단에 나사결합되고 변좌는 회전가능하게 링볼트의 하부 위치에 안착되며 링볼트, 변좌, 디스크누르개, 디스크 및 변받이의 외경 모두가 연장통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소화전덮개를 제거한 후 시트렌치를 이용하여 링볼트를 밸브통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밸브대를 소화전몸체의 상부로 승강시킴에 따라 연장통까지 굴착하거나 밸브통과 연장통을 분리하지 않고도 구성부품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은 드레인밸브가 밸브통의 외벽 등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소화전 내부, 즉 변좌의 물배출공에 설치됨에 따라 드레인밸브의 교체 또는 유지보수 시에도 소화전덮개를 제거한 후 시트렌치를 이용하여 링볼트를 밸브통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밸브대를 소화전몸체의 상부로 승강시켜 변좌를 인출하면 되므로 연장통까지 굴착하거나 밸브통과 연장통을 분리하지 않고도 드레인밸브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은 변좌의 회전방지돌기가 밸브통의 회전방지홈에 안착되어 변좌가 밸브통 내에 회전될 수 없게 안착지지됨에 따라 승강조절구의 조작에 의한 개폐밸브의 개폐시에 변좌의 유동에 의해 링볼트가 풀리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본 고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은 변좌의 일측에는 소화전의 사용 후 밸브 폐쇄시에 상기 연장통과 소화전 몸체 내의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물배출구가 관통형성되고, 물배출구에는 밸브 폐쇄시에 물배출구를 개방시키고 밸브 개방시에 물배출구를 폐쇄시키는 체크밸브 형태의 드레인밸브가 변좌의 내측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드레인밸브 입구측에 흙이 쌓이지 않도록 함으로서 드레인밸브 입구 측에 흙 등의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로 드레인밸브의 오작동으로 인한 소화전 몸체 내부에 잔여 소화전 용수 남아 겨울에 동파 되거나 또는 누수로 인한 땅거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의 단면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에 있어서, 회전방지홈이 형성된 밸브통의 상세구조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에 있어서,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된 변좌의 상세구조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에 있어서, 시트렌치를 이용한 유지보수시의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에 있어서, 시트렌치를 이용한 유지보수시의 사용상태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의 단면구조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의 부분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에 있어서, 회전방지홈이 형성된 밸브통의 상세구조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에 있어서, 회전방지돌기가 형성된 변좌의 상세구조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에 있어서, 시트렌치를 이용한 유지보수시의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에 있어서, 시트렌치를 이용한 유지보수시의 사용상태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은, 지하에 배치되고 상수도 배관과 연결되며 내주면에 회전방지홈이 형성되는 밸브통과, 지상에 노출되고 소방호스가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되는 소화전몸체와, 상기 밸브통과 상기 소화전몸체를 연결하는 연장통과, 상기 소화전몸체의 상단에 결합되는 소화전덮개와, 상기 밸브통의 상단 내측에 나사결합되고 내부에 다각형의 렌치결합공이 형성되는 링볼트와, 상기 밸브통의 내벽에 안착지지되어 상기 링볼트의 하부에 위치되는 변좌와, 상기 밸브통 내에 설치되고 승강 작동에 의해 소화전 용수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변받이와 디스크와 디스크누르개가 차례로 결합되는 개폐밸브와, 상기 개폐밸브에 하단이 연결되는 밸브대와, 상기 소화전덮개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이 상기 밸브대의 상단과 나사결합되어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밸브대를 승강시키는 승강조절구가 포함된다.
여기서부터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치(1)에 대한 구성요소들과 그 구성요소 간의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전술한 밸브통(10)은 내부에 개폐밸브(70)가 수용되어 내부에 개폐밸브(70)의 승강 작동에 의해 소화전 용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밸브작동이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지하에 매설배치된다.
밸브통(10)은 일측은 상수도 배관과 연결되고 상측은 차후에 설명될 연장통(30)과 연결되도록 직각의 앵글관체로 형성된다.
밸브통(10)의 내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회전방지홈(11)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함입형성되는데, 이 회전방지홈(11)는 자후에 설명될 변좌(60)의 회전방지돌기(62)가 안착됨에 따라 개폐밸브(70)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변좌(60)가 상기 밸브통(10) 내에서 회전될 수 없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방지홈(11)은 일정 각도간격마다 1개씩, 특히 90도 각도간격으로 1개씩 변좌(60)의 회전방지돌기(62)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화전몸체(20)는 필요시에 개폐밸브(70)의 승강을 위한 조작이 행해지는 부분으로 소방호스가 연결될 수 있도록 지상에 노출된다. 그리고 소화전몸체(20)는 수직의 원형관체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필요시 개방되어 소방호스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구(21)가 돌출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연장통(30)은 전술한 밸브통(10)의 상단에 하단이 플랜지연결되고 전술한 소화전몸체(20)의 하단에 상단이 플랜지연결됨에 따라 지하에 매설배치되는 밸브통(10)과 지상에 노출되는 소화전몸체(20)를 연통되게 연결하는 것으로, 하측 대부분은 지하에 매설되고 상측 일부분만 지상에 노출된다.
이때 전술한 연장통(30)은 수직의 원형관체로 형성되며, 상측 외주 둘레에는 지면높이를 표시하여 어느 정도까지 지하에 매설되어야 하는지를 표시하는 표시선(31)이 돌출형성된다.
또한 서로 플랜지연결되는 연장통(30)과 밸브통(10) 사이, 그리고 서로 플랜지연결되는 연장통(30)과 소화전몸체(20) 사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패킹링이 개재된다.
전술한 소화전몸체(20)의 상단에는 소화전덮개(4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이 소화전덮개(40)는 차후에 설명될 승강조절구(90)가 설치되는 설치프레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특히 개폐밸브(70)에 관계된 구성부품의 유지보수를 위해 소화전몸체(20)의 상단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소화전덮개(40)는 체결볼트의 나사결합 및 분리에 의해 소화전몸체(20)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전술한 밸브통(10)의 상단 내측에는 링볼트(50)가 나사결합되는데, 이 링볼트(50)는 변좌(60)가 더 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개폐밸브(70)에 관계된 구성부품의 유지보수시에 시트렌치(3)에 의해 분리됨에 따라 개폐밸브(70)에 관계된 구성부품, 즉 변좌(60), 변받이(71)와 디스크(73)와 디스크누르개(75)를 포함하는 개폐밸브(70) 및 밸브대(80) 등이 소화전몸체(20)의 상부로 인출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 내부에는 시트렌치(3)의 렌치부(5)가 끼워져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다각형의 렌치결합공(5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밸브통(10)의 상단 내측에나사결합되는 나사산(53)이 형성된다.
또한 다각형의 렌치결합공(51)은 사각형, 육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 경우에는 각 모서리의 각이 작아 회전력을 가할 때 약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다각형의 렌치결합공(51)은 팔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시트렌치(3)의 렌치부(5)도 렌치결합공(51)에 대응되도록 팔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밸브통(10)의 내벽에 변좌(60)가 안착지지되어 링볼트(50)의 하부에 위치되는데, 이 변좌(60)는 링볼트(50)의 하부에 위치되어 링볼트(50)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지지되며 그 하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70)의 승하강에 따른 개폐밸브(70)의 밀착여부에 따라 소화전 용수의 공급여부를 단속하는 역할을 하는 한다.
변좌(60)의 내부 양측에는 ㄷ자형 지지구(61)가 구비되는데, 이 ㄷ자형 지지구(61)는 차후에 설명될 개폐밸브(70)의 디스크누르개(75)의 상부에 구비되는 U자형 지지구(77)가 끼워짐에 따라 개폐밸브(70)의 승강이 일직선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U자형 지지구(77)에 대응되도록 변좌(60)의 내부 양측에 180도 각도각격으로 각각 1개씩 총 2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변좌(60)의 상단 외측에는 회전방지돌기(62)가 돌출형성된다. 회전방지돌기(62)는 밸브통(10)의 회전방지홈(11) 내에 대응되게 안착됨에 따라 개폐밸브(70)의 조작에도 불구하고 변좌(60)가 밸브통(10) 내에서 회전될 수 없도록 강제한다. 이러한 회전방지돌기(62)는 일정 각도간격마다 1개씩, 특히 90도 각도간격으로 1개씩 밸브통(10)의 회전방지홈(11)에 대응되게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변좌(60)의 회전방지돌기(62)와 밸브통(10)의 회전방지홈(11)의 조합에 의해 변좌(60) 밸브통 내에 회전될 수 없게 안착지지됨에 따라 승강조절구(90)의 조작에 의한 개폐밸브(70)의 개폐시에 변좌(60)의 유동에 의해 링볼트(50)가 임의로 풀리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변좌(60)의 일측에는 물배출구(63)가 관통형성되는데, 이 물배출구(63)은 소화전의 사용 후 밸브 폐쇄시에 상기 연장통(30)과 상기 소화전몸체(20) 내의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유도함에 따라 겨울철 동파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밸브통(10)에는 물배출구(63)에 연통되는 드레인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물배출구(63)에는 드레인밸브(63a)가 결합되는데, 이 드레인밸브(63a)는 밸브 폐쇄시에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개방유지되면서 물배출구(63)를 개방시키고 밸브 개방시에 스프링의 탄성보다 더 큰 수압에 의해 폐쇄유지되면서 물배출구(63)를 폐쇄시키는 체크밸브로 형성될 수 있다. 체크밸브 형태의 드레인밸브(63a)는 스프링과 볼의 조합으로 형성 가능하다.
종래에는 드레인밸브가 밸브통(10) 상에 구비됨에 따라 소화전의 시공시에 그 주위에 자갈 외 진흙과 같은 이물질이 드레인밸브 내부로 유입되는 등의 문제로 인해 드레인밸브가 제가능을 발휘하지 못해 동파를 유발하거나 누수로 인해 지반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드레인밸브(63a)가 변좌(60)의 내측에서 변좌(60)에 체결됨에 따라 이러한 문제점들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변좌(60)의 하측 둘레에는 패킹링(65)이 결합되는데, 이 패킹링(65)은 변좌(60)의 가장자리와 밸브통(10) 내의 내벽 사이의 수밀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통상의 O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밸브통(10) 내에는 개폐밸브(70)가 설치되는데, 이 개폐밸브(70)는 차후에 설명될 밸브대(80)에 의한 승강 작동에 따라 변좌(60)에 밀착되거나 분리됨에 따라 소화전 용수를 공급 및 차단하는 것으로, 실제 밸브몸체를 형성하는 디스크(73)를 중심으로 그 하부에 변받이(71)가 구비되고 디스크를 중심으로 그 상부에 디스크누르개(75)가 구비되어 형성된다.
또한 디스크누르개(75)의 상부에는 변좌(60)의 ㄷ자형 지지구(61)에 끼워져 승강작동을 가이드하는 U자형 지지구(77)가 차후에 설명될 밸브대(8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U자형 지지구(77)는 변좌(60)의 ㄷ자형 지지구(61)에 대응되도록 디스크누르개(75)의 상부에 1개가 형성된다.
변받이(71), 디스크(73) 및 디스크누르개(75)로 형성되는 개폐밸브(70)의 구성은 소화전 분야에서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개폐밸브(70)에는 밸브대(80)의 하단이 고정구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 밸브대(80)는 개폐밸브(70)와 차후에 설명된 승강조절구(90)를 구동연결함에 따라 승강조절구(90)의 회전조작에 따라 개폐밸브(70)가 승강되도록 하는 것으로, 하단은 개폐밸브(70)에 결합되고 상단은 승강조절구(90)에 결합되는 수직봉 형태로 형성된다.
전술한 소화전덮개(40)에는 승강조절구(90)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데, 이 승강조절구(90)는 밸브대(80)의 상단에 하측이 나사결합되어 작업자의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밸브대(80)를 승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밸브대(80)의 상단에 하단이 결합되는 연결로드(91)와, 상기 연결로드에 결합되고 소화전덮개(40)에 회전구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정볼트(93)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1)은 개폐밸브(70)와 관련된 구성부품을 교체하거나 유지보수하고자 할 경우에 도 6 및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화전덮개(40)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링볼트(50)의 렌치결합공(51)에 결합가능한 다각형의 렌치부(5)가 구비된 시트렌치(3)를 밸브대(80)에 끼워 하부방형으로 밀어넣음에 따라 시트렌치(3)의 렌치부(5)가 링볼트(50)의 렌치결합공(51) 내에 결합시킨 후,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시트렌치(3)를 파지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링볼트(50)를 밸브통(10)의 내벽으로부터 분리제거한 다음에, 밸브대(80)를 들어올려 변좌(60) 및 상기 개폐밸브(70)를 외부로 인출시킨 다음 개폐밸브와 관련된 구성부품을 신속용이하게 교체하거나 유지보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변좌(60) 및 상기 개폐밸브(70)가 소화전몸체(20)의 상단으로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도록, 링볼트(50), 변좌(60), 개폐밸브(70)를 구성하는 변받이(71), 디스크(73) 및 디스크누르개(71)의 외경은 연장통(3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렌치(3)의 축에는 중심정렬툴(7)이 상하이동가능하게 관통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중심정렬툴(7)은 시트렌치(3)의 사용시에 소화전몸체(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시트렌치(3)의 중심을 바로잡기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화전몸체(20)의 상단에 걸려져 지지되는 플레이트와, 소화전몸체(20)의 내벽에 지지되는 지지다리가 일체로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1)은, 시트렌치(3)에 의해 회전구동 가능한 링볼트(50)가 밸브통(10)의 상단에 나사결합되고 변좌(60)는 링볼트(50)의 하부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며 링볼트(50), 변좌(60), 개폐밸브(70)를 구성하는 변받이(71), 디스크(73) 및 디스크누르개(71)의 외경 모두가 연장통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에 따라, 개폐밸브(70)와 관련된 구성부품을 교체하거나 유지보수하고자 할 경우에 소화전덮개(40)를 제거한 후 시트렌치(3)를 이용하여 링볼트(50)를 밸브통(10)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밸브대(80)를 소화전몸체(40)의 상부로 승강시킴에 따라 연장통(30)까지 굴착하거나 밸브통(10)과 연장통(30)을 분리하지 않고도 개폐밸브(70)와 관련된 구성부품을 신속용이하게 교체하거나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1)은, 특히 드레인밸브(63a)가 밸브통(10)의 외벽 등에 장착되는 것이 아니라 소화전 내부, 즉 변좌(60)의 물배출공(63)에 설치됨에 따라 드레인밸브(63a)의 교체 또는 유지보수 시에도 소화전덮개(40)를 제거한 후 시트렌치(3)를 이용하여 링볼트(50)를 밸브통(10)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밸브대(80)를 소화전몸체(40)의 상부로 승강시켜 변좌(60)를 인출하면 되므로 연장통(30)까지 굴착하거나 밸브통(10)과 연장통(30)을 분리하지 않고도 드레인밸브(63a)의 교체 및 유지보수가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1)은, 변좌(60)의 회전방지돌기(62)가 밸브통(10)의 회전방지홈(11)에 안착되어 변좌(60)가 밸브통(10) 내에 회전될 수 없게 안착지지됨에 따라 승강조절구(90)의 조작에 의한 개폐밸브(70)의 개폐시에 변좌(60)의 유동에 의해 링볼트(50)가 풀리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고안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고안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3 : 시트렌치
5 : 렌치부
7 : 축정렬툴
10 : 밸브통
11 : 회전방지홈
20 : 소화전몸체
21 : 연결구
30 : 연장통
31 : 표시선
40 : 소화전덮개
50 : 링볼트
51 : 렌치결합공
53 : 나사산
60 : 변좌
61 : ㄷ자형 지지구
62 : 회전방지돌기
63 : 물배출구
63a : 드레인밸브
65 : 패킹링
70 : 개폐밸브
71 : 변받이
73 : 디스크
75 : 디스크누르개
77 : U자형 지지구
80 : 밸브대
90 : 승강조절구
91 : 연결로드
93 : 조정볼트

Claims (9)

  1. 지하에 배치되고 상수도 배관과 연결되며 내주면에 회전방지홈(11)이 형성되는 밸브통(10);
    지상에 노출되고 소방호스가 연결되는 연결구(21)가 구비되는 소화전몸체(20);
    상기 밸브통(10)과 상기 소화전몸체(20)를 연결하는 연장통(30);
    상기 소화전몸체(20)의 상단에 결합되는 소화전덮개(40);
    상기 밸브통(10)의 상단 내측에 나사결합되고 내부에 다각형의 렌치결합공(51)이 형성되는 링볼트(50);
    상기 밸브통(10)의 내벽에 안착지지되어 상기 링볼트(50)의 하부에 위치되고 외측 상단에는 상기 밸브통(10)의 회전방지홈(11)에 안착되는 회전방지돌기(62)가 돌출형성되는 변좌(60);
    상기 밸브통(10) 내에 설치되고 승강 작동에 의해 소화전 용수를 공급 및 차단할 수 있도록 변받이(71)와 디스크(73)와 디스크누르개(75)가 차례로 결합되는 개폐밸브(70);
    상기 개폐밸브(70)에 하단이 연결되는 밸브대(80); 및
    상기 소화전덮개(4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하측이 상기 밸브대(80)의 상단과 나사결합되어 회전구동에 따라 상기 밸브대(80)를 승강시키는 승강조절구(90)가 포함되며,
    상기 밸브통(10)의 회전방지홈(11)과 상기 변좌(60)의 회전방지돌기(62)는 각각 90도 각도간격으로 1개씩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변좌(60)의 일측에는 소화전의 사용 후 밸브 폐쇄시에 상기 연장통(30)과 상기 소화전몸체(20) 내의 물이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물배출구(63)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물배출구(63)에는 밸브 폐쇄시에 상기 물배출구(63)를 개방시키고 밸브 개방시에 상기 물배출구(63)를 폐쇄시키는 체크밸브 형태의 드레인밸브(63a)가 상기 변좌(60)의 내측에서 결합되고,
    상기 링볼트(50)는 상기 소화전덮개(40)를 제거한 후 상기 링볼트(50)의 렌치결합공(51)에 결합가능한 다각형의 렌치부(5)가 구비된 시트렌치(3)를 투입하여 분리가능하며,
    상기 시트렌치(3)의 축에는 시트렌치(3)의 사용시에 상기 소화전몸체(20)의 상단에 결합되어 시트렌치(3)의 중심을 바로잡기 위한 중심정렬툴(7)이 상하이동가능하게 관통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볼트(50), 상기 변좌(60), 상기 개폐밸브(70)를 구성하는 변받이(71), 디스크(73) 및 디스크누르개(71)의 외경은 상기 연장통(3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볼트(50)의 내부에는 팔각형의 렌치결합공(5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좌(60)의 내부 양측에는 ㄷ자형 지지구(61)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크누르개(75)의 상부에는 상기 변좌(60)의 ㄷ자형 지지구(61)에 끼워져 승강작동을 가이드하는 U자형 지지구(77)가 상기 밸브대(8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변좌(60)의 하측 둘레에는 패킹링(65)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8. 삭제
  9. 삭제
KR2020160006335U 2016-10-31 2016-10-31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KR200485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335U KR200485133Y1 (ko) 2016-10-31 2016-10-31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335U KR200485133Y1 (ko) 2016-10-31 2016-10-31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133Y1 true KR200485133Y1 (ko) 2017-12-01

Family

ID=61259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335U KR200485133Y1 (ko) 2016-10-31 2016-10-31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13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188B1 (ko) * 2020-02-20 2020-12-01 육송(주) 회전 가능한 지상형 옥외소화전
CN114263243A (zh) * 2022-01-23 2022-04-01 芜湖市金贸流体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锁止功能稳定性高的轻型消防栓及使用方法
KR20220001811U (ko) 2021-01-15 2022-07-22 김재성 덮개일체형 소화전몸체가 구비된 소화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902A (ko) 2010-05-03 2011-11-09 신진정공 주식회사 지상 소화전
KR20130016486A (ko) * 2011-08-08 2013-02-18 (주)화이어대상 옥외소화전설비의 밸브구조
JP2015081621A (ja) * 2013-10-21 2015-04-27 岡山市 仕切弁の弁蓋撤去工法と弁撤去工法及び弁蓋撤去用アタッチメント
KR101535758B1 (ko) * 2014-12-01 2015-07-10 이병호 다단식 부동전
KR20150105890A (ko) 2014-03-10 2015-09-18 박수현 압력체크용 소화전
KR101556955B1 (ko) 2015-04-21 2015-10-05 (주) 테크센 옥외 소화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1902A (ko) 2010-05-03 2011-11-09 신진정공 주식회사 지상 소화전
KR20130016486A (ko) * 2011-08-08 2013-02-18 (주)화이어대상 옥외소화전설비의 밸브구조
JP2015081621A (ja) * 2013-10-21 2015-04-27 岡山市 仕切弁の弁蓋撤去工法と弁撤去工法及び弁蓋撤去用アタッチメント
KR20150105890A (ko) 2014-03-10 2015-09-18 박수현 압력체크용 소화전
KR101535758B1 (ko) * 2014-12-01 2015-07-10 이병호 다단식 부동전
KR101556955B1 (ko) 2015-04-21 2015-10-05 (주) 테크센 옥외 소화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5188B1 (ko) * 2020-02-20 2020-12-01 육송(주) 회전 가능한 지상형 옥외소화전
KR20220001811U (ko) 2021-01-15 2022-07-22 김재성 덮개일체형 소화전몸체가 구비된 소화전
CN114263243A (zh) * 2022-01-23 2022-04-01 芜湖市金贸流体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锁止功能稳定性高的轻型消防栓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708Y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KR101167608B1 (ko) 지상 소화전
KR200485133Y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USRE47008E1 (en) Spill containment system
KR102185188B1 (ko) 회전 가능한 지상형 옥외소화전
US5201338A (en) System and device for flushing water mains
KR101185744B1 (ko) 소화전 조립체
CA2401468C (en) Installation device for yard hydrant
US8413675B2 (en) Yard hydrant made easy
KR200455896Y1 (ko) 다기능 밸브
US2598488A (en) Water service fixture
KR101578022B1 (ko)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소화전 조립체
US3943963A (en) Frostproof hydrants for use in fluid handling
KR101440053B1 (ko)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소화전 조립체
CN109595351B (zh) 一种阀门井放空阀
KR101181865B1 (ko) 부동급수전의 교체구조
US8316876B2 (en) Flushing device with removable drain ring for potable water systems
US9765578B2 (en) Sanitary check valve to prevent well contamination
KR101355131B1 (ko) 승강식 소화전장치
KR101634486B1 (ko) 자동 퇴수밸브가 구비된 승강식 소화전
KR20220001811U (ko) 덮개일체형 소화전몸체가 구비된 소화전
JP2001073418A (ja) 不凍消火栓および不凍散水栓
KR101223965B1 (ko) 맞춤형 소화전 제조방법
WO2011086339A1 (en) Hydrant valve
KR200465376Y1 (ko)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