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758B1 - 다단식 부동전 - Google Patents

다단식 부동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758B1
KR101535758B1 KR1020140169596A KR20140169596A KR101535758B1 KR 101535758 B1 KR101535758 B1 KR 101535758B1 KR 1020140169596 A KR1020140169596 A KR 1020140169596A KR 20140169596 A KR20140169596 A KR 20140169596A KR 101535758 B1 KR101535758 B1 KR 101535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hole
water pipe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9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호
Original Assignee
이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호 filed Critical 이병호
Priority to KR1020140169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식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과 수직하도록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수도관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T형 관, T형 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물을 차단 및 개폐하는 로드파이프 및 하부수도관 내부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상부수도관으로 구성되는 겨울철 동파 방지하는 다단식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단식 부동전{NON FREEZING MULTISTAGE VALVE FOR WATER WORK}
본 발명은 다단식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과 수직하도록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수도관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T형 관, T형 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물을 차단 및 개폐하는 로드파이프 및 하부수도관 내부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상부수도관으로 구성되는 겨울철 동파 방지하는 다단식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
부동전이란, 상수도를 공급하는 상수도관과 수도관 사이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관 형태에 밸브를 열면 수도관으로 수도를 공급하고, 밸브를 잠그면 수도공급을 중단하는 동시에 관체 내부에 남아있던 물이 땅속으로 자동 배수되게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부동전 상단부의 핸들을 돌려 밸브를 잠그면 수도관과 연결된 부위가 폐쇄되어 수도공급이 중단되면서 부동전 관체 내부에 남아있던 물이 퇴수공을 통해 외부로 자동으로 배수되고, 이를 통해 부동전의 관체 내로 남아있는 물이 없어 기온이 낮은 겨울철 물이 얼면서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며, 핸들을 반대로 돌려 밸브를 개방시키면 퇴수공을 막으면서 상수도관과 연결된 부위를 개방시켜 수도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동전은 일반적으로 밸브와 연결된 개폐봉이 부동전 하부까지 구비되면서 그 외측면으로 단순한 링 형태의 수밀링을 끼워지는 구조를 가지므로써, 밸브가 열리면 개폐봉이 밸브와 함께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수도관을 개방하는 동시에 측면의 수밀링이 퇴수공을 막아 개폐봉에 관통 형성된 유입공으로 수도가 공급되도록 하고, 이후에 밸브가 잠기면 개폐봉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수도관을 막는 동시에 함께 이동하는 수밀링이 퇴수공을 개방해 수도관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관련 선행특허문헌 :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1-0131878호 등)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부동전의 경우, 봉 형태의 개폐봉 외측면으로 별개의 수밀링을 끼워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부동전의 장시간 사용 시 수밀링 상하로 스케일 등 각종 이물질이 부착되면서 고무재질의 수밀링이 손상되거나 끊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수도가 퇴수공으로 지속적으로 새어 수도의 낭비를 초래하며, 이 수밀링이 상하로 밀리면서 본래의 위치에서 벗어나 퇴수공의 개폐를 정확히 하지 못하는 등의 오작동이 발생하여 부동전의 동파방지기능을 확실하게 수행하지 못하고 수도가 낭비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는 실정이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겨울철 동파방지를 위하여 지중에 하부수도관을 매설하고, 상기 하부수도관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T형 관, 상기 T형 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물을 차단 및 개폐하는 로드파이프 및 상기 하부수도관에 삽입되는 상부수도관을 슬라이딩시키는 새로운 구조의 다단식 부동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의 급수관에서 물을 지상으로 급수하도록 하는 부동전에 있어서, 일정 부분 이상 지중으로 매설되는 하부수도관; 수압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하부수도관에 삽입 연통되는 상부수도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수도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로드파이프; 내부에 상기 로드파이프가 슬리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로드파이프의 회전에 따라 연동 회전하며,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유출구가 존재하는 관 형상의 회전파이프; 상기 급수관의 물을 상기 회전파이프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파이프 하단부에 상기 회전파이프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유입 홀이 관통 형성되는 수밀 볼 및 제 1 T형 관홀이 상기 하부수도관과 연통되고, 제 2 T형 관홀 및 제 3 T형 관홀 중 어느 하나가 물을 공급받는 급수관의 입수로와 연통하며, 나머지 하나가 부동전 내부의 물이 배출되도록 퇴수로와 연통되는 T형 관을 포함하며, 상기 입수로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유입 홀을 따라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하부수도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회전파이프의 일방향 회전 시 상기 유입 홀이 상기 입수로와 연통된 상기 제 2 T형 관홀 및 제 3 T형 관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상기 다단식 부동전은 상기 부동전 내부의 물이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입 홀을 따라 상기 퇴수로로 유출되도록, 상기 회전파이프의 타방향 회전 시 상기 유입 홀이 상기 퇴수로와 연통된 상기 제 2 T형 관홀 및 제 3 T형 관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다단식 부동전은 상기 제 1 T형 관홀과 상기 하부수도관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연결하고, 내부에 상기 회전파이프가 관통하는 홀이 존재하며, 상면에 상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존재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하부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파이프는 외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회전파이프의 일정 각도 회전 시 상기 고정부재와 접하게 되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수도관은 상기 상부수도관이 관통하는 홀이 존재하면서 상기 하부수도관 내부의 물이 상부로 유출을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단식 부동전은 상기 상부수도관은 그 하부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도관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캡의 내부 하단과 밀착되는 멈침못;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멈침못은 상기 하부수도관의 상부 내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수도관과 회전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부수도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부 캡 내측면에는 O링 홈이 형성되고, 상기 O링 홈에는 O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단식 부동전은 상기 다단식 부동전은 상기 입수로 및 퇴수로를 각각 제 2 T형 관홀 및 제 3 T형 관홀과 연통되기 위한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 홀과 접촉하는 상기 연결관 끝단은 상기 유입 홀과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다단식 부동전은 상기 상부수도관 상측에 소화전이 결합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다단식 부동전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입된 맨홀의 상단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지면과 수직하도록 지중에 하부수도관을 매설하고, 상기 하부수도관에 삽입되는 상부수도관을 슬라이딩시켜 겨울철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수도관 하단부와 연통된 T형 관과 로드파이프를 연결하여 상기 로드파이프와 연통된 회전파이프를 사용자가 회전함에 따라 물의 유입 및 차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의 단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의 회전조절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에서 회전파이프의 하단에 수밀 볼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회전파이프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의 통수 상태를 도시한 T형 관의 확대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의 단수 상태를 도시한 T형 관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의 로드파이프 와 회전파이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 상측에 소화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의 단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의 회전조절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에서 회전파이프의 하단에 수밀 볼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회전파이프의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의 통수 상태를 도시한 T형 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의 단수 상태를 도시한 T형 관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의 로드파이프 와 회전파이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 상측에 소화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1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하로 일정 부분 이상 매설되는 하부수도관(110), 수압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하부수도관(110)에 삽입되는 상부수도관(120), 회전가능도록 상부수도관(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로드파이프(130), 내부에 상기 로드파이프(130)가 슬리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로드파이프(130)의 회전에 따라 연동 회전하며,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유출구(141)가 존재하는 관 형상의 회전파이프(140), 상기 회전파이프 하단부에 상기 회전파이프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유입 홀이 관통 형성되는 수밀 볼;을 포함하며, 상기 급수관의 입수로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유입 홀을 따라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하부수도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회전파이프의 일방향 회전 시 상기 유입 홀이 상기 입수로와 연통되도록 하며, 추가로 수돗물을 공급받는 급수관(10)의 입수로(154) 및 배수되는 퇴수로(155)와 연통 가능한 T형 관(15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수도관(110)은 양쪽 말단이 열린 상태를 갖는 중공관으로써, 일단은 지중에 매설된 급수관(10)과 연통되게 설치한 T형 관(150)과 연통되어 수돗물을 유입받을 수 있고, 타단은 상기 하부수도관(11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상부수도관(120)과 연통되게 하여 상기 하부수도관(110)에 유입된 수돗물을 상기 상부수도관(120)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부수도관(120)은 하부수도관(110)에 삽입되고, 그 상단은 지상측에 위치하며, 하부수도관(110) 내부의 수압에 의해 승강 및 하강이 가능하다.
로프파이프(130)는 상부수도관(120)의 내부에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부 수도관(120)의 지상측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 등을 추가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파이프(140)는 관 형상으로, 내부에 로드파이프(13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로드파이프(130)의 회전에 따라 함께 연동 회전하며,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유출구(141)가 회전파이프(140) 외벽에 존재한다. 상기 유출구(141)는 후술하는 수밀 볼(142)의 유입홀(143)을 통해 급수관(10)의 물이 회전파이프(140) 내로 유입되고, 유출구(141)를 통하여 하부수도관(120)으로 이동하여 하부수도관(110)에 물이 차오르게 되고, 그 수압으로 인해 상기 상부하수관(110)이 상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또한, 부동전(10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상부하수관(110) 및 하부하수관(120), 회전파이프(140)에 남아있는 물이 상기 유출구(141)를 통해 수밀 볼(142)의 유입홀(143)을 거쳐 퇴수로(155)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회전파이프(140) 하단부에는 상기 회전파이프(140) 내부와 연통되도록 유입 홀(143)이 관통 형성되는 볼 형상의 수밀 볼(142)을 포함한다.
상기 수밀 볼(142)는 급수관의 입수로(154)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유입 홀(143)을 따라 상기 유출구(141)를 통해 상기 하부수도관(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회전파이프의 일방향 회전 시 상기 유입 홀이 상기 배수관(10)의 입수로(154)와 밀착되어 연통된다.
상기 수밀 볼(142)가 입수로(154)와 연통되는 방법에 있어서, T형 관(150)이 사용될 수 있는데, 상기 T형 관(150)은 제 1 T형 관홀(151), 제 2 T형 관홀(152) 및 제 3 T형 관홀(153)을 포함하며, 상기 T형 관(150)은 하부수도관(110)과 연통된 제 1 T형 관홀(151), 제 2 T형 관홀(152) 및 제 3 T형 관홀(153) 중 어느 하나는 급수관(10)의 입수로(154)와 연통하며, 나머지 하나는 부동전(100) 내부의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퇴수로(155)와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T형 관은 3개의 관홀을 가질 수 있는 관의 개념을 의미한다.)
도 1, 도 2에서는 제 2 T형 관홀(152)이 상기 입수로(154)와 연통되고, 제 3 T형 관홀(153)이 퇴수로(155)와 연통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회전파이프(140)는 로드파이프(1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회전하고, 그에 따라 유입 홀(143)과 제 2 T형 관홀(152) 및 제 3 T형 관홀(153) 중 어느 한 곳이 일치하여 연결됨으로써 수돗물을 공급받는 급수관(10)의 입수로(154)에서 유입되는 물이 유입 홀(143)을 따라 상기 유출구(141)을 거쳐 하부수도관(1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부동전(100) 내부의 물이 상기 유출구(141)를 통해 유입 홀(143)을 따라 상기 퇴수로(155)로 유출되도록, 상기 회전파이프(140)을 타방향 으로회전 시, 상기 유입 홀(143)이 상기 퇴수로(155)와 연통된 상기 제 2 T형 관홀(152) 및 제 3 T형 관홀(153)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T형 관(150)은 수밀 볼(142)과 연통되는 한 쌍의 연결관(144)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고, 한 쌍의 연결관(144)은 제 2 T형 관홀(152) 및 제 3 T형 관홀(153) 과 연통할 수 있다.
한편, 부동전(100)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만큼 함입된 맨홀(20)에 배치되고, 상기 맨홀의 상단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 되는 커버(30)가 다단식 부동전(100)을 덮을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맨홀(10)의 내벽면은 콘크리트 또는 PVC 등으로 마감될 수 있다.(미도시)
커버(20)는 맨홀(10)의 일단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축(30)이 결합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T형 관홀(151)과 하부수도관(110)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연결하는 하부 캡(16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내부에는 상기 회전파이프가 관통하는 홀이 존재하며, 상기 하부 캡(160)을 통해 하부수도관(110)에 일정한 물을 보다 빠르게 저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 캡(160)의 상면에 상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되어 존재하는 고정부재(172) 및 회전파이프(14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되고, 회전파이프(140)가 일정 각도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72)와 접하게 되는 돌출부재(173)를 포함하는 회전조절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재(173)는 고정부재(172)와 접하는 부분에 배치됨에 따라 고정부재(172)의 일측 및 타측에 접하는 위치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돌출부재(173)는 하부 캡(160) 상부에서 상기 회전파이프(140)의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동일한 평행선상에서 소정거리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부수도관(110)의 상부에 상부 캡(190)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캡(190)은 상기 상부수도관(120)이 관통하는 홀이 존재하여 상기 상부수도관(120)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면서도 동시에 하부수도관(110) 상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하부수도관(110) 내부의 물이 흘러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부 캡(190)의 내측면에는 O링 홈(191)이 형성되고, O링 홈(191)에는 O링(192)이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상부수도관(120)과 상부 캡(190)의 내측면과의 마찰력을 높여 수밀성을 확보하고, 하부수도관(110)내부로 유입된 물이 누수 되지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부수도관(120)은 하부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하부수도관(110)의 내주면과 상부 캡(190)의 내부 하단과 밀착되는 멈침못(1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멈침못(121)은 하부수도관(110)의 상부 내측면에 장착되어 상부수도관(120)과 회전 결합함으로써 상부수도관(1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100)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T형 관홀(152) 및 제 3 T형 관홀(153)과 연통되기 위한 연결관(144)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입 홀(143)과 접촉하는 상기 연결관(144) 끝단 내부에는 패킹부재(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180)는 한 예로 유입 홀(143)과 연통되는 부분에 위치하는 패킹구(181)일 수 있는데, 이러한 패킹부재(180)는 상기 한 쌍의 연결관(144)를 통하여 상기 T형 관(150)에 삽입되고, 상기 수밀 볼(142)는 상기 한 쌍의 연결관(144) 사이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수밀 볼(142)과 상기 한 쌍의 연결관(144)의 밀착력을 크게 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밀 볼(142)은 일정한 곡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상기 입수로(154) 또는 연결관(144) 내부로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면서 상기 입수로(154), 연결관(144) 또는 상기 연결관(144) 내의 패킹구(181)과 보다 밀착성 있게 접촉되기 때문에, 일자 형태의 관에 유입홀(143)이 존재하는 것보다 상기 연결관(144) 또는 패킹구(191)과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져 밀착성이 높아지는 장점을 가진다.
패킹구(181)는 급수관(10)에서 유입되는 물이 유입 홀(143) 및 유출구(14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단식 부동전(100)은 상기 상부수도관(120) 상측에 소화전(200)이 결합되는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으로 다단식 부동전(1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 상태를 단수상태로 보았을 경우에 사용자가 커버(20) 도 2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로드파이프(1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드파이프(130)와 연통된 회전파이프(140)가 회전한다. 이때, 회전파이프(140)의 하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수밀 볼(142)이 회전됨으로써, 수밀 볼(142)의 일측에 중공된 유입 홀(143)은 제 2 T형 관홀(152) 및 상기 패킹구(181)와 일치된다.
또한, 회전조절부(170)는 유입 홀(143)과 제 2 T형 관홀(152) 및 상기 패킹구(181)와 일치시키기 위하여, 고정부재(172)가 유입 홀(143)과 제 2 T형 관홀(152) 및 상기 패킹구(181)와 일치되는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수로(154)를 통하여 유입된 물은 유입 홀(143)로 진입하게 된다. 진입한 물은 회전파이프(140)로 이동하여 다수의 유출구(141)로 유출되어 하부수도관(110)에 물이 채워질 수 있다. 하부수도관(110)에 채워진 물의 수압으로 상기 상부수도관(120)이 위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지상으로 승강되며 동시 상부수도관(120) 내부로도 물이 이동하게 된다.
도 1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식 부동전(100)은 사용자가 로드파이프(1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로드파이프(130)와 연통 된 상기 회전파이프(140)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파이프(140)의 하부 일측에 중공된 상기 유입홀(143)도 회전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유입홀(143)와 상기 제 3 T형 관홀(153)이 일치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상기 입수로(154)를 차단하고 상기 퇴수로(155)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수도관(110) 및 상기 상부수도관(120)에 남아있는 물은 상기 유출구(141)를 통해 상기 회전파이프(140)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파이프(14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유입홀(143)을 거처 연결된 퇴수로(155)로 배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하부수도관(110)의 물이 배수됨에 따라 상기 상부수도관(120)은 물의 압력이 줄어들게 되어 천천히 하강하여 상기 맨홀(20) 내부로 수납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단식 부동전(100)의 로드파이프(130)의 하부는 단면이 사각형(보다 바림직하게는 직사각형) 모양일 수 있고, 회전 파이프(140)는 단면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로드파이프(130)를 회전시킬 때 회전파이프(140)도 함께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파이프(140) 내주면에 로드파이프(130)의 모서리가 접하게 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면 마찰력에 의하여 로드파이프(130)를 회전시킬 때 회전파이프(140)도 동일한 방향으로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로드파이프(130)와 회전파이프(140)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회전파이프(140)의 상부를 로드파이프(130)의 사각형 모양 단면에 압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급수관
20 : 맨홀
30 : 커버
100 : 부동전
110 : 하부수도관
120 : 상부수도관
121 : 멈침못
130 : 로드파이프
140 : 회전파이프
141 : 유출구
142 : 수밀 볼
143 : 유입홀
144 : 연결관
150 : T형 관
151 : 제 1 T형 관홀
152 : 제 2 T형 관홀
153 : 제 3 T형 관홀
154 : 입수로
155 : 퇴수로
160 : 하부 캡
170 : 회전 조절부
171 : 고정부재
172 : 돌출부재
180 : 패킹부재
181 : 패킹구
190 : 상부 캡
191 : O링 홈
192 : O링

Claims (11)

  1. 지하의 급수관에서 물을 지상으로 급수하도록 하는 부동전에 있어서,
    일정 부분 이상 지중으로 매설되는 하부수도관;
    수압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상기 하부수도관에 삽입 연통되는 상부수도관;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상부수도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로드파이프;
    내부에 상기 로드파이프가 슬리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로드파이프의 회전에 따라 연동 회전하며, 내외부를 관통하는 다수의 유출구가 존재하는 관 형상의 회전파이프;
    상기 회전파이프 하단부에 상기 회전파이프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유입 홀이 관통 형성되는 수밀 볼; 및
    제 1 T형 관홀이 상기 하부수도관과 연통되고, 제 2 T형 관홀 및 제 3 T형 관홀 중 어느 하나가 물을 공급받는 급수관의 입수로와 연통하며, 나머지 하나가 부동전 내부의 물이 배출되도록 퇴수로와 연통되는 T형 관;을 포함하며,
    상기 입수로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유입 홀을 따라 상기 유출구를 통해 상기 하부수도관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회전파이프의 일방향 회전 시 상기 유입 홀이 상기 입수로와 연통된 상기 제 2 T형 관홀 및 제 3 T형 관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부동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전 내부의 물이 상기 유출구를 통해 유입 홀을 따라 상기 퇴수로로 유출되도록, 상기 회전파이프의 타방향 회전 시 상기 유입 홀이 상기 퇴수로와 연통된 상기 제 2 T형 관홀 및 제 3 T형 관홀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부동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식 부동전은
    상기 제 1 T형 관홀과 상기 하부수도관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연결하고, 내부에 상기 회전파이프가 관통하는 홀이 존재하며, 상면에 상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존재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하부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부동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파이프는 외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회전파이프의 일정 각도 회전 시 상기 고정부재와 접하게 되는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부동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도관은 상기 상부수도관이 관통하는 홀이 존재하면서 상기 하부수도관 내부의 물이 상부로 유출을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부동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도관은
    그 하부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도관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캡의 내부 하단과 밀착되는 멈침못;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멈침못은 상기 하부수도관의 상부 내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수도관과 회전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부수도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부동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의 내측면에는 O링 홈이 형성되고,
    상기 O링 홈에는 O링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부동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식 부동전은
    상기 입수로 및 퇴수로를 각각 제 2 T형 관홀 및 제 3 T형 관홀과 연통되기 위한 연결관을 포함하며, 상기 유입 홀과 접촉하는 상기 연결관 끝단은 상기 유입 홀과 밀착성을 높이기 위한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부동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식 부동전은
    상기 상부수도관 상측에 소화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부동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식 부동전은
    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함입된 맨홀의 상단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에 의해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식 부동전.
KR1020140169596A 2014-12-01 2014-12-01 다단식 부동전 KR101535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596A KR101535758B1 (ko) 2014-12-01 2014-12-01 다단식 부동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9596A KR101535758B1 (ko) 2014-12-01 2014-12-01 다단식 부동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758B1 true KR101535758B1 (ko) 2015-07-10

Family

ID=53792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9596A KR101535758B1 (ko) 2014-12-01 2014-12-01 다단식 부동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7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133Y1 (ko) * 2016-10-31 2017-12-01 (주)화이어대상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KR20210028885A (ko) * 2019-09-05 2021-03-15 최영호 동파 방지 수도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725U (ko) * 1996-10-19 1998-07-15 박동복 개량 부동전
JP2001073418A (ja) * 1999-07-06 2001-03-21 Hokkaido Suido Kizai Kk 不凍消火栓および不凍散水栓
KR100949366B1 (ko) * 2009-04-21 2010-03-25 원승연 승강식 소화전 조립체
KR100993001B1 (ko) * 2010-05-20 2010-11-08 한희철 부동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1725U (ko) * 1996-10-19 1998-07-15 박동복 개량 부동전
JP2001073418A (ja) * 1999-07-06 2001-03-21 Hokkaido Suido Kizai Kk 不凍消火栓および不凍散水栓
KR100949366B1 (ko) * 2009-04-21 2010-03-25 원승연 승강식 소화전 조립체
KR100993001B1 (ko) * 2010-05-20 2010-11-08 한희철 부동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133Y1 (ko) * 2016-10-31 2017-12-01 (주)화이어대상 유지보수가 용이한 소화전
KR20210028885A (ko) * 2019-09-05 2021-03-15 최영호 동파 방지 수도관
KR102295672B1 (ko) 2019-09-05 2021-08-30 최영호 동파 방지 수도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5758B1 (ko) 다단식 부동전
KR101654426B1 (ko) 부동전 겸용 수도
KR100712707B1 (ko) 배출수 내부 저장형 부동 급수주
KR20160002521U (ko)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KR100672275B1 (ko) 공동주택 단지내 하수처리용 우수토실
KR20160001400U (ko) 상수도용 부동전
KR102147767B1 (ko) 상수도용 부동전
KR20150087167A (ko)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KR102085963B1 (ko) 드레인 기능을 갖는 절수형 수전을 이용한 온수관 내 냉수 재활용 시스템
US4760614A (en) Drainage pipe stoppage displacer
KR20150003821U (ko)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KR20170081374A (ko) 저층수 배출용 수문장치
KR101806977B1 (ko) 부동전
JP6832754B2 (ja) 地下灌漑システム
KR20070037275A (ko) 퇴수 역류방지 밸브 부착형 부동급수전
US20060144454A1 (en) Quarter Turn Bath Spout Diverter
JP3590001B2 (ja) ヘッダー配管用不凍給水栓
KR200475898Y1 (ko) 대중 급수시설용 부동전
KR100562522B1 (ko) 동파방지용 부동 급수주
KR102438273B1 (ko) 침수 저감을 위한 저류시스템
KR102432874B1 (ko) 다기능 관세척 시스템 및 방법
KR101988044B1 (ko) 다목적 수문
KR102370200B1 (ko) 침수 저감을 위한 빗물받이
KR200462905Y1 (ko)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JP2019082045A (ja) 水の噴き出し防止構造を備える不凍水栓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