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821U -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 Google Patents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821U
KR20150003821U KR2020140006347U KR20140006347U KR20150003821U KR 20150003821 U KR20150003821 U KR 20150003821U KR 2020140006347 U KR2020140006347 U KR 2020140006347U KR 20140006347 U KR20140006347 U KR 20140006347U KR 20150003821 U KR20150003821 U KR 201500038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water pipe
rotary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호
Original Assignee
이병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호 filed Critical 이병호
Publication of KR201500038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82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과 수직하도록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수도관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T형 관, T형 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물을 차단 및 개폐하는 로드파이프 및 하부수도관 내부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상부수도관으로 구성되는 겨울철 동파 방지하는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NON FREEZING MULTISTAGE VALVE FOR WATER WORK}
본 고안은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면과 수직하도록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수도관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T형 관, T형 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물을 차단 및 개폐하는 로드파이프 및 하부수도관 내부에 슬라이딩되어 삽입되는 상부수도관으로 구성되는 겨울철 동파 방지하는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에 관한 것이다.
부동전이란, 상수도를 공급하는 상수도관과 수도관 사이를 연결하는 장치로서, 관 형태에 밸브를 열면 수도관으로 수도를 공급하고, 밸브를 잠그면 수도공급을 중단하는 동시에 관체 내부에 남아있던 물이 땅속으로 자동 배수되게 하여, 특히 겨울철 수도관 및 수도의 동파를 예방할 수 있게 한 수도 밸브를 말하는 것으로서, 통상 부동전 상단부의 핸들을 돌려 밸브를 잠그면 수도관과 연결된 부위가 폐쇄되어 수도공급이 중단되면서 부동전 관체 내부에 남아있던 물이 퇴수공을 통해 외부로 자동으로 배수되고, 이를 통해 부동전의 관체 내로 남아있는 물이 없어 기온이 낮은 겨울철 물이 얼면서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며, 핸들을 반대로 돌려 밸브를 개방시키면 퇴수공을 막으면서 상수도관과 연결된 부위를 개방시켜 수도로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동전은 일반적으로 밸브와 연결된 개폐봉이 부동전 하부까지 구비되면서 그 외측면으로 단순한 링 형태의 수밀링을 끼움한 매우 간단한 구조를 가져, 밸브가 열리면 개폐봉이 함께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수도관을 개방하는 동시에 측면의 수밀링이 퇴수공을 막아 개폐봉의 관통된 유입공으로 수도가 공급되도록 하다가, 밸브가 잠기면 개폐봉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상수도관을 막는 동시에 함께 이동하는 수밀링이 퇴수공을 개방해 수도관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부동전의 경우, 봉 형태의 개폐봉 외측면으로 별개의 수밀링을 끼워 함께 상하로 이동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부동전의 장시간 사용 시 수밀링 상하로 스케일 등 각종 이물질이 부착되면서 고무재질의 수밀링이 손상되거나 끊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수도가 퇴수공으로 지속적으로 새어 수도의 낭비를 초래하며, 이 수밀링이 상하로 밀리면서 본래의 위치에서 벗어나 퇴수공의 개폐를 정확히 하지 못하는 등의 오작동이 발생하여 부동전의 동파방지기능을 확실하게 수행하지 못하고 수도가 낭비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는 실정이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겨울철 동파방지를 위하여 지면과 수직하도록 지중에 하부수도관을 매설하고, 상기 하부수도관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T형 관, 상기 T형 관과 연결되어 유입된 물을 차단 및 개폐하는 로드파이프 및 상기 하부수도관에 삽입되는 상부수도관을 슬라이딩시키는 새로운 구조의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면과 수직하도록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수도관;
상기 하부수도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상부수도관;
상기 상부수도관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로드파이프; 및
상기 로드파이프와 연통되고 하단부 일측에 중공 된 유입구를 포함하는 관 형상의 회전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수도관은,
상기 하부수도관과 연통된 제 1 T형 관홀, 상호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제 2 T형 관홀 및 제 3 T형 관홀 중 어느 한 곳이 급수관과 연통하는 T형 관;
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파이프는 상기 로드파이프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상기 제 2 T형 관홀 및 제 3 T형 관홀 중 어느 한 곳이 일치함으로써 상기 급수관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상기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은,
상기 제 1 T형 관홀과 상기 하부수도관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캡은 상기 급수관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하부수도관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 1 T형 관홀과 상기 하부수도관을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은,
상기 하부 캡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원형판;
상기 원형판의 일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연장되어 상기 하부 캡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부재; 및
상기 회전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회전파이프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와 접하는 돌출부재;
를 포함하는 회전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회전파이프는 상기 돌출부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파이프의 하부는 다수로 형성되는 유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T형 관은
그 일단이 상기 급수관과 연통되는 입수로; 및
상기 T형 관의 타단은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는 퇴수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T형 관은
상기 하부수도관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파이프의 하부에 결합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패킹부재는 양측이 개방된 패킹구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유출구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하여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하부수도관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도관으로 흐르는 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상부수도관은
그 하부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도관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캡의 내부 하단과 밀착되는 멈침못;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멈침못은 상기 하부수도관의 상부 내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수도관과 회전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부수도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상부 캡은
그 내경에
상기 상부수도관의 외경과 밀착되는 다수의 O링; 및
상기 O링이 개재되는 다수의 O링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상기 로드파이프의 하부는 단면이 사각형 모양이고,
상기 회전파이프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파이프를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파이프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지면과 수직하도록 지중에 하부수도관을 매설하고, 상기 하부수도관에 삽입되는 상부수도관을 슬라이딩시켜 겨울철 동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수도관 하단부와 연통된 T형 관과 로드파이프를 연결하여 상기 로드파이프와 연통된 회전파이프를 사용자가 회전함에 따라 물의 유입 및 차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의 단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의 회전조절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의 통수 상태를 도시한 T형 관의 확대 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의 단수 상태를 도시한 T형 관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의 로드파이프 와 회전파이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의 단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의 회전조절부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의 통수 상태를 도시한 T형 관의 확대 단면도, 도 4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의 단수 상태를 도시한 T형 관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의 로드파이프 와 회전파이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100)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지면과 수직하도록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수도관(110), 상기 하부수도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상부수도관(120), 상기 상부수도관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로드파이프(130) 및 상기 로드파이프와 연통되고 하단부 일측에 중공 된 유입구(141)를 포함하는 관 형상의 회전파이프(14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수도관은 상기 하부수도관과 연통된 제 1 T형 관홀(151), 상호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제 2 T형 관홀(152) 및 제 3 T형 관홀(153) 중 어느 한 곳이 급수관(10)과 연통하는 T형 관(15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파이프(140)는 상기 로드파이프(1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유입구(141)와 상기 제 2 T형 관홀(152) 및 상기 제 3 T형 관홀(153) 중 어느 한 곳이 이 일치함으로써 상기 급수관(10)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유입구(141)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수도관(110)은 양쪽 말단이 열린 상태를 갖는 중공관으로써, 일단은 지중에 매설된 급수관(10)과 연통되게 설치한 T형 관(150)과 연통되어 수돗물을 유입 받고, 타단은 상기 하부수도관(110)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상부수도관(120)과 연통되게 하여 상기 하부수도관(110)에 유입된 수돗물을 상기 상부수도관(120)을 통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수도관(120)은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로드파이프(130) 및 상기 로드파이프(130)와 연통되고, 하단부 일측에 중공 된 유입구(141)를 포함하는 관 형상의 회전파이프(1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로드파이프는(130)는 상기 상부수도관(120)의 지상측 외부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파이프(140)는 상기 로드파이프(1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유입구(141)와 상기 제 2 T형 관홀(152)이 일치함으로써 상기 급수관(10)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유입구(141)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T형 관홀(151)과 상기 하부수도관(110)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캡(16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캡(160)은 상기 급수관(10)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하부수도관(110)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 1 T형 관홀(151)과 상기 하부수도관(110)을 연통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수도관(110)의 하부에 상기 하부 캡(160)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원형판(17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형판(171)의 일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연장되어 상기 하부 캡(160)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부재(172) 및 상기 회전파이프(14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회전파이프(14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172)와 접하는 돌출부재(173)를 포함하는 회전조절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173)는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172)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17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회전조절부(170)는 상기 하부 캡(160)과 이격된 상태로 상기 회전파이프(140)의 하부에 고정되는 원형판(171)을 구비하고, 상기 원형판(171)의 일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연장되어 상기 하부 캡(160) 상면의 지름 상에 위치하면서 상기 하부 캡(160)의 중심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위치하여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부재(17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파이프(14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회전파이프(14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172)와 접하는 돌출부재(17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돌출부재(173)는 상기 원형판(171) 하부에서 상기 회전파이프(140)의 외주면 양측으로부터 동일한 평행선상에서 소정거리 연장되어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173)는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172)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17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파이프(140)는 상기 돌출부재(173)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파이프(14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유출구(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출구(142)는 상기 하부수도관(110)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회전파이프(140) 내로 이동하였을 때 상기 유출구(142)를 통하여 상기 상부수도관(120)으로 통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100)은 상기 T형 관(150)은 그 일단이 상기 급수관(10)과 연통되는 입수로(154) 및 상기 T형 관(150)의 타단은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는 퇴수로(155)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제 2 T형 관홀(152)은 상기 입수로(154)이고, 제 3 T형 관홀(153)은 상기 퇴수로(155)의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T형 관(150)은 상기 하부수도관(110)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파이프(140)의 하부에 결합되는 패킹부재(18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180)는 양측이 개방된 패킹구(181)를 포함하고, 상기 급수관(10)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유출구(142) 및 상기 유입구(141)를 통하여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패킹부재(180)는 상기 제 1 T형 관홀(151)을 통하여 상기 T형 관(150)에 삽입되고, 상기 회전파이프(140)는 상기 패킹부재(180)에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회전파이프(140)와 상기 T형 관(150)과의 밀착력을 크게 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으로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1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초기 상태를 단수상태로 보았을 경우에 사용자가 도 2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로드파이프(1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로드파이프(130)와 연통된 회전파이프(140)가 회전한다. 이때, 상기 회전파이프(140)의 하단부 일측에 중공된 유입구(141)는 제 2 T형 관홀(152) 및 상기 패킹구(181)와 일치된다.
이때, 상기 회전조절부(170)는 상기 유입구(141)와 제 2 T형 관홀(152) 및 상기 패킹구(181)와 일치시키기 위하여, 상기 고정부재(172)가 상기 유입구(141)와 제 2 T형 관홀(152) 및 상기 패킹구(181)와 일치되는 수직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수로(154)를 통하여 유입된 물은 상기 유입구(141)로 진입하게된다. 진입한 물은 상기 회전파이프(140)로 이동하여 다수의 상기 유출구(142)로 유출되어 상기 하부수도관(110)에 물이 채워질 수 있다. 상기 하부수도관(110)에 채워진 물이 상기 상부수도관(120) 내부로 이동하면서 물의 압력으로 인하여 상기 상부수도관(120)을 슬라이딩시켜 지상방향으로 승강시키도록 한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100)은 상기 하부수도관(110)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도관(110)으로 흐르는 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캡(19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 캡(190)은 그 내경에 상기 상부수도관(120)의 외경과 밀착되는 다수의 O링(191) 및 상기 O링(191)이 개재되는 다수의 O링 홈(192)을 더 포함하여 상기 상부수도관(120)과 기밀을 유지하여 누수가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수도관(120)은 하부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도관(110)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캡(190)의 내부 하단과 밀착되는 멈침못(2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멈침못(200)은 상기 하부수도관(110)의 상부 내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수도관(120)과 회전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부수도관(1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로드파이프(130)의 하부는 단면이 사각형 모양이고, 상기 회전 파이프(140)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로드파이프(130)를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파이프(140)도 회전될 수 있기 위해서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파이프(140)내주면에 상기 로드파이프(130)의 꼭지점이 접하게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하면 마찰력에 의하여 상기 로드파이프(130)를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파이프(14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로드파이프(130)와 상기 회전파이프(140)의 결합력을 강화하기위하여 상기 회전파이프(140)의 상부를 상기 로드파이프(130) 사각형 모양 단면에 압착시킬 수도 있다.
도 1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100)은 사용자가 로드파이프(13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로드파이프(130)와 연통 된 상기 회전파이프(140)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파이프(140)의 하부 일측에 중공된 상기 유입구(141)도 회전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유입구(141)와 상기 제 3 T형 관홀(153)과 일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입수로(154)를 차단하고 상기 퇴수로(155)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수도관(110) 및 상기 상부수도관(120)에 남아있는 물은 상기 유출구(142)를 통해 상기 회전파이프(140)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파이프(140) 내부로 유입된 물은 개방된 퇴수로(155)를 따라 상기 하부수도관(110)에 남아있는 물을 모두 배수시킬 수 있다. 상기 하부수도관(110)의 물이 배수됨에 따라 상기 상부수도관(120)은 물의 압력이 줄어들게 되어 천천히 하강하여 단수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 내에서 당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부동전
110 : 하부수도관
120 : 상부수도관
130 : 로드파이프
140 : 회전파이프
141 : 유입구
142 : 유출구
150 : T형 관
151 : 제 1 T형 관홀
152 : 제 2 T형 관홀
153 : 제 3 T형 관홀
154 : 입수로
155 : 퇴수로
160 : 하부 캡
170 : 회전 조절부
171 : 원형판
172 : 고정부재
173 : 돌출부재
180 : 패킹부재
181 : 패킹구
190 : 상부 캡
191 : O링
192 : O링 홈
200 : 멈침못

Claims (12)

  1. 지면과 수직하도록 지중에 매설되는 하부수도관;
    상기 하부수도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상부수도관;
    상기 상부수도관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로드파이프; 및
    일측에 유입구가 관통형성되고, 상기 로드파이프와 연통되는 관 형상의 회전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수도관은,
    상기 하부수도관과 연통된 제 1 T형 관홀, 상호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제 2 T형 관홀 및 제 3 T형 관홀 중 어느 한 곳이 급수관과 연통하는 T형 관;
    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파이프는 상기 로드파이프가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서 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유입구와 상기 제 2 T형 관홀 및 제 3 T형 관홀 중 어느 한 곳이 일치함으로써 상기 급수관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은,
    상기 제 1 T형 관홀과 상기 하부수도관 사이에 위치하는 하부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캡은 상기 급수관에서 유입되는 물이 상기 하부수도관으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 1 T형 관홀과 상기 하부수도관을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은,
    상기 하부 캡과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는 원형판;
    상기 원형판의 일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연장되어 상기 하부 캡에 고정되는 다수의 고정부재; 및
    상기 회전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소정거리 연장되고 상기 회전파이프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와 접하는 돌출부재;
    를 포함하는 회전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다수의 고정부재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파이프는 상기 돌출부재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파이프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유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관은
    그 일단이 상기 급수관과 연통되는 입수로; 및
    상기 T형 관의 타단은 유입된 물을 배수시키는 퇴수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파이프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로드파이프와 연통 된 상기 회전파이프가 회전하여 상기 입수로를 차단하고 상기 퇴수로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유입구를 따라 수돗물을 배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형 관은
    상기 하부수도관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파이프의 하부에 결합되는 패킹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부재는 양측이 개방된 패킹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수도관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도관으로 흐르는 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상부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수도관은
    그 하부 내측면에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하부수도관의 내주면과 상기 상부 캡의 내부 하단과 밀착되는 멈침못;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멈침못은 상기 하부수도관의 상부 내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수도관과 회전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부수도관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캡은
    그 내경에
    상기 상부수도관의 외경과 밀착되는 다수의 O링; 및
    상기 O링이 개재되는 다수의 O링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파이프의 하부는 단면이 사각형 모양이고,
    상기 회전파이프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로드파이프를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파이프도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KR2020140006347U 2014-04-09 2014-08-26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KR20150003821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879 2014-04-09
KR20140002879 2014-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821U true KR20150003821U (ko) 2015-10-20

Family

ID=5443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347U KR20150003821U (ko) 2014-04-09 2014-08-26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82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80364C (en) Purge/fill valve
US20110163171A1 (en) Primary/secondary piping loop interface apparatus
US20100252129A1 (en) Primary/secondary loop adapter
KR101073522B1 (ko) 동파 방지용 볼 밸브
WO2015173811A1 (en) Fluid pipe hub
US8408238B1 (en) Yard hydrant with improved valve
KR20150003821U (ko) 수도용 다단식 부동전
KR101535758B1 (ko) 다단식 부동전
KR101354105B1 (ko) 복수개의 급수구를 갖는 부동급수전
KR20160002521U (ko)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US11180906B2 (en) Supply assembly for use with multiple lines of a hydrant
KR200462905Y1 (ko) 수도관 동파 방지장치
KR20150087167A (ko) 원터치 상수도용 부동급수전
KR102147767B1 (ko) 상수도용 부동전
KR101325726B1 (ko) 정수기용 음료토출장치
KR102440380B1 (ko) 단수와 퇴수가 가능하게 개폐 가능한 밸브
KR102288578B1 (ko) 자연 배수 기능을 갖는 볼 밸브
KR200475898Y1 (ko) 대중 급수시설용 부동전
CN203176475U (zh) 一种自动排水阀
KR200440794Y1 (ko) 4웨이 밸브
KR101806977B1 (ko) 부동전
JP2007247195A (ja) 水栓
JP6649339B2 (ja) 水の噴き出し防止構造を備える不凍水栓柱
JP2020008125A (ja) 湯水抜きバルブ
KR20160000697A (ko) 동결방지용 음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