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28885A - 동파 방지 수도관 - Google Patents

동파 방지 수도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28885A
KR20210028885A KR1020190109984A KR20190109984A KR20210028885A KR 20210028885 A KR20210028885 A KR 20210028885A KR 1020190109984 A KR1020190109984 A KR 1020190109984A KR 20190109984 A KR20190109984 A KR 20190109984A KR 20210028885 A KR20210028885 A KR 20210028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ground
guide
the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5672B1 (ko
Inventor
최영호
최영석
최준혁
Original Assignee
최영호
최준혁
최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호, 최준혁, 최영석 filed Critical 최영호
Priority to KR1020190109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672B1/ko
Publication of KR20210028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25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 E03B9/027Taps specially designed for outdoor use, e.g. wall hydrants, sill cocks with features preventing frost damag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4Column hyd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Safet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땅속에 일정깊이를 파고 보온통을 묻고 보온통 바닥판에 구멍을 뚫어 수도공급관을 연결하고, 보온통 속에 하단부가 수도공급관과 자라바 연결관으로 연결된 지상통수관을 내장하여 지상통수관의 상단부에 수도콕을 장치하고, 수도콕 입구에 개폐밸브를 장치하여 개폐밸브로 수도콕을 개폐하게 하고, 지상통수관 외주에 지지관을 결합하여 지상통수관을 보온통 개방부로 돌출시켜 보온통상단부에서 지상으로 돌출되게 고정하거나, 보온통속에 내장하고, 보온통 개방부에 보온덮개를 씌워 내부를 밀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겨울철 기온이 내려갈 때 수도관의 지상통수관을 보온통내에 수납하여 보관함으로써, 수도관의 동파를 방지하게 한 동파 방지 수도관이다.

Description

동파 방지 수도관{Water pipe heating freeze broken}
본 발명은 땅속에 일정깊이를 파고 보온통을 묻고 보온통 바닥판에 구멍을 뚫어 수도공급관을 연결하고, 보온통 속에 하단부가 수도공급관과 자라바 연결관으로 연결된 지상통수관을 내장하여 지상통수관의 상단부에 수도콕을 장치하고, 수도콕 입구에 개폐밸브를 장치하여 개폐밸브로 수도콕을 개폐하게 하고, 지상통수관 외주에 지지관을 결합하여 지상통수관을 보온통 개방부로 돌출시켜 보온통상단부에서 지상으로 돌출되게 고정하거나, 보온통속에 내장하고, 보온통 개방부에 보온덮개를 씌워 내부를 밀봉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겨울철 기온이 내려갈 때 수도관의 지상통수관을 보온통내에 수납하여 보관함으로써, 수도관의 동파를 방지하게 한 동파 방지 수도 급수관을 제공한다.
종래의 동파방지 수도관은 수도공급관과 연결되어 지상에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지상통수관을 설치하여 지상통수관 외주에 보온재를 피복하고, 지상통수관의 상단부에서 측방으로 수도콕을 설치하여 수도콕과 지상통수관이 접속되는 연결부에 개폐밸브를 장치하여 수도콕을 개폐할 수 있게 하고, 지상통수관 하단부와 수도공급관이 연결되는 위치에 부동전을 장치하여 부동전을 개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동파방지수도관은 지상통수관과 수도공급관 사이에 부동전을 설치하여 겨울철 수도물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부동전과 지상통수관 연결부를 개방하여 지상통수관 내부에 남아 있는 수도물을 역류시켜 지중으로 흘러보내고, 수도공급관에서 지상통수관으로 공급되는 물이 부동전에서 차단되어 지상통수관으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여 지상통수관의 내부를 비워둠으로써, 동파를 방지하는 구성이라 부동전을 통해 지상통수관으로 물을 공급하고, 차단해야 하므로 일일이 부동전을 개폐하게 되므로 그때마다 수도물의 낭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부동전을 지상통수관 하단부에 별도로 장치하여 열고 닫아야 하므로 비용과 관리에 경제적 부담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8-0001703
본 발명은 상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수도관의 지상통수관을 보온통속에 넣어 냉기의 접근을 차단하고, 수도물을 사용할 때, 지상통수관을 인출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별도의 부동전을 설치하지 않고, 수도관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땅속에 일정깊이를 파고, 내통과 외통 사이에 보온재가 개입된 이중관체로 된 원통형 보온통을 상단개방부가 지면에 노출되게 매설하고, 보온통의 하단부에 이중관을 고정시키는 바닥판을 결합하여 바닥판에는 주벽에서 상면으로 향하게 구멍을 뚫어 수도공급관을 연결하고, 보온통 상단에 보온덮개가 착탈되며, 내부에는 하단부가 수도공급관과 자바라 관체로 된 연결관으로 연결된 지상통수관을 배치하여 지상통수관의 상단부에 지상통수관과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도콕을 부착하여 수도콕과 지상통수관이 연통하는 연결부에 개폐밸브를 장치하여 개폐밸브의 손잡이를 지상통수관의 상단중심부로 돌출시켜서 개폐밸브를 개폐할 수 있게 하고, 지상통수관 외면에는 수도콕이 장치된 외주에서 하단으로 파이프로 된 지지관을 부착하여 지지관의 하단부에 보온통의 내통 내주벽에 외주가 접촉하는 안내부를 형성하고, 내통내면에는 개방부에서 바닥쪽으로 연결되는 안내돌편을 형성하여 안내부의 외주일측에 내통의 안내돌편에 결합하는 안내홈을 형성하여 승강되게 하고, 안내부의 안내홈 외측외주면에는 외주에서 안내홈 중심부로 향하는 고정홈을 형성하여 고정홈의 개방부와 대면하는 보온통 상단개방부 외주벽에 코일스프링에 탄발되는 출입형 스토퍼를 장치하여 수도관의 지상급수관을 보온통의 개방부 상단으로 돌출시킬 때, 지지관의 고정홈에 출입형 스토퍼가 결합하여 수도관을 보온통 상단에 고정시키고, 기온이 내려가 동파위험이 있을 때는 수토퍼를 외향시켜 수도관을 보온통속에 밀어 넣고 보온통의 상단개방부에 보온덮개를 결합하여 보온통 내부를 외부와 차단되게 밀봉시킬 수 있게 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보온통이 내통과 외통으로 구성되어 그 사이에 보온재가 개입된 보온통으로 되어 지중에 매설된 보온통의 하단에는 보온통 고정용 바닥판이 부착되어 바닥판에는 주벽에서 바닥판 상면으로 연통하게 구멍을 뚫어 수도공급관을 장치하고, 보온통의 내부에는 수도관을 구성하는 지상통수관을 개입하여 지상통수관의 하단부와 수도공급관 사이를 보온통의 길이보다 길고 후렉시불한 자바라 관체로 된 연결관으로 연결하여 지상통수관을 보온통속에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게 되며, 지상통수관은 상단부에 수도콕을 연결하고, 개폐밸브를 장치였기 때문에 지상통수관에 공급된 수도물을 사용하거나 잠글 수 있게 되고, 수도관의 지상통수관을 보온통내에 수용하고, 보온덮개를 덮어 보온통 내부에 수용하거나 덮개를 벗기고 지상으로 인출하면 지지관이 지지부가 내통을 따라 상향이동하면서 지지부 외주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스토퍼의 내측단이 결합하여 지지관이 보온통의 개방부 상단에서 지상으로 돌출되게 고정되므로 지상통수관의 수도콕을 열어 물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온이 따뜻할 때는 일반수도관과 같이 지지관을 지상에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되고, 겨울철에 기온이 내려갈 때만 지상통수관의 지지관지지부를 스토퍼에서 이간시키고, 보온통속에 수납함으로써, 지상통수관이 동파되는 위험을 배제할 수 있고, 또, 본 발명은 수도공급관과 지상통수관이 연결되는 연결부에 별도로 부동전을 장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부동전을 장치함으로 인해 일어나는 문제 즉 부동전의 비용을 절약하고 장치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개폐장치 설비가 필요 없게 되므로 비교적 염가이면서 물의 낭비가 없고 동파 위험이 없는 수도관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뚜껑을 개방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지상통수관과 지지관을 보온통 상부로 돌출시킨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지관의 안내부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단면도
도 6은 도 3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땅속에 일정깊이를 파고, 보온통(1)이 매설된 본 발명의 보온통은 내통(10)과 외통(20) 사이에 보온재(30)가 개입되는 이중관체로 되어 하단부에 이중관 고정용 바닥판(1a)이 부착되고, 상단개방부(1b)에 지지구(1d)가 장치되어 내통과 외통이 지지되는 보온통(1)과,
보온통의 개방부에 착탈되는 보온덮개(1e)와,
보온통(1)의 바닥판(1a) 주벽에서 상면으로 향해 구멍(1c)을 뚫고 구멍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수도공급관(4)과,
보온통 내부에 수납되고, 수도공급관에 하단이 연결되는 후렉시불한 자라바 관체로 된 연결관(5)과,
연결관(5)의 출구에 연결되고, 상단부 측면에 수도콕(6a)이 부착되어 내부에 개폐밸브(6b)가 장치되고, 개폐밸브 작동손잡이(6c)가 상부로 노출되는 관체로 된 지상통수관(6)과,
지상통수관(6) 보다 직경이 크고 내통 보다 직경이 적어 내통속에 수납되고, 수도콕(6a) 부착부 외주에 상단이 부착되어 하단이 지상통수관 외주에 피복되며, 관체 하단에 부착되어 보온통(1)의 내통(10) 내주면에 외주가 밀착하고, 원통체로 되어 외주면 일측에 내통(10)의 내주면 개방부에서 바닥판으로 형성된 안내돌편(10a)에 결합하는 안내홈(7b)이 형성된 안내부(7a)를 구비하는 지지관(7)과, 지지관(7)의 안내부(7a) 외면에서 안내홈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중심부로 형성된 고정구멍(7c)과, 고정구멍(7c) 입구와 일치하는 보온통(1)의 상단 지지구(1d) 외벽에서 보온통의 직경방향으로 부착되게 안내관(8)이 형성되어 안내관의 중심부에 수납되어 양측이 안내공(8a)(8b)에 지지되고, 내부에 코일스프링(8c)이 장치되어 코일스프링에 의거 내통쪽으로 탄발되며, 외측단이 안내공(8b) 외부로 노출되어 손잡이(9c)를 형성하고, 내측단(9a) 저면이 경사면(9b)으로 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지지관(7) 안내부(7a)의 고정구멍(7c)에 착탈가능케 결합되는 스토퍼(9)를 갖추어서 되는 구성이다.
1 : 보온통 1a : 바닥판
1b : 개방부 1c : 구멍
1d : 지지구 1e : 보온덮개
4 : 수도공급관 5 : 연결관
6 : 지상통수관 6a : 수도콕
6b : 개폐밸브 6c : 작동손잡이 7 : 지지관 7a : 안내부
7b : 안내홈 7c : 고정구멍
8 : 안내관 8a,8b : 안내공
8c : 코일스프링 9 : 스토퍼
9a : 내측단 9b : 경사면
9c : 손잡이 10 : 내통
10a : 안내돌편 20 : 외통
30 : 보온재

Claims (1)

  1. 지면에서 일정깊이로 파여진 땅속에 매설되고, 내통(10)과 외통(20) 사이에 보온재(30)가 개입되는 이중관체로 되어 하단부에 이중관 고정용 바닥판(1a)이 부착되며 상단에 개방부(1b)가 형성되어 개방부 외주에 지지구(1d)가 장치되어 내통과 외통을 지지하는 보온통(1)과,
    보온통의 개방부에 착탈되는 보온덮개(1e)와,
    보온통(1)의 바닥판(1a) 주벽에서 상면으로 향해 구멍(1c)을 뚫고 구멍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수도공급관(4)과,
    보온통 내부에 수납되고, 수도공급관에 하단이 연결되는 후렉시불한 자라바 관체로 된 연결관(5)과,
    연결관(5)의 출구에 연결되고, 상단부 측면에 수도콕(6a)이 부착되어 내부에 개폐밸브(6b)가 장치되고, 개폐밸브 작동손잡이(6c)가 상부로 노출되는 관체로 된 지상통수관(6)과,
    지상통수관(6) 보다 직경이 크고 내통 보다 직경이 적어 내통속에 수납되고, 수도콕(6a) 부착부 외주에 상단이 부착되어 하단이 지상통수관 외주에 피복되며, 관체 하단에 부착되어 보온통(1)의 내통(10) 내주면에 외주가 밀착하고, 원통체로 되어 외주면 일측에 내통(10)의 내주면 개방부에서 바닥판으로 형성된 안내돌편(10a)에 결합하는 안내홈(7b)이 형성된 안내부(7a)를 구비하는 지지관(7)과, 지지관(7)의 안내부(7a) 외면에서 안내홈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중심부로 형성된 고정구멍(7c)과, 고정구멍(7c) 입구와 일치하는 보온통(1)의 상단 지지구(1d) 외벽에서 보온통의 직경방향으로 확장되게 부착되는 안내관(8)이 형성되어 안내관의 중심공에 삽입되어 양측이 안내공(8a)(8b)에 지지되고, 내부에 코일스프링(8c)이 장치되어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내통쪽으로 탄발되며, 외측단이 안내공(8b) 외부로 노출되어 손잡이(9c)를 형성하고, 내측단(9a) 저면이 경사면(9b)으로 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지지관(7) 안내부(7a)의 고정구멍(7c)에 착탈가능케 결합되는 스토퍼(9)를 갖추어서 되는 동파 방지 수도관.
KR1020190109984A 2019-09-05 2019-09-05 동파 방지 수도관 KR102295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984A KR102295672B1 (ko) 2019-09-05 2019-09-05 동파 방지 수도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984A KR102295672B1 (ko) 2019-09-05 2019-09-05 동파 방지 수도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885A true KR20210028885A (ko) 2021-03-15
KR102295672B1 KR102295672B1 (ko) 2021-08-30

Family

ID=75134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984A KR102295672B1 (ko) 2019-09-05 2019-09-05 동파 방지 수도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5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00763A (zh) * 2023-05-19 2023-07-07 长江水利委员会长江科学院 一种冬季输水明渠动态控制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380U (ko) * 1995-07-27 1997-02-21 문희수 스프링 클러에 물을 공급하는 호스의 연결관
KR101185744B1 (ko) * 2011-05-23 2012-09-25 원승연 소화전 조립체
CN203247643U (zh) * 2013-05-03 2013-10-23 孟令彪 户外防冻水管装置
KR101535758B1 (ko) * 2014-12-01 2015-07-10 이병호 다단식 부동전
KR20150083546A (ko) * 2014-01-10 2015-07-20 방병민 높이가 조절되는 지상 부동전 보온관과 보온카버
KR20180001703U (ko) 2016-11-30 2018-06-08 박남태 상수도용 부동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380U (ko) * 1995-07-27 1997-02-21 문희수 스프링 클러에 물을 공급하는 호스의 연결관
KR101185744B1 (ko) * 2011-05-23 2012-09-25 원승연 소화전 조립체
CN203247643U (zh) * 2013-05-03 2013-10-23 孟令彪 户外防冻水管装置
KR20150083546A (ko) * 2014-01-10 2015-07-20 방병민 높이가 조절되는 지상 부동전 보온관과 보온카버
KR101535758B1 (ko) * 2014-12-01 2015-07-10 이병호 다단식 부동전
KR20180001703U (ko) 2016-11-30 2018-06-08 박남태 상수도용 부동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00763A (zh) * 2023-05-19 2023-07-07 长江水利委员会长江科学院 一种冬季输水明渠动态控制方法
CN116400763B (zh) * 2023-05-19 2023-09-01 长江水利委员会长江科学院 一种冬季输水明渠动态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672B1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70003A (en) Frostproof hydrant
US4014475A (en) Combined manway and collection tank for sewage grinder
KR20210028885A (ko) 동파 방지 수도관
US8413675B2 (en) Yard hydrant made easy
KR101255036B1 (ko) 개량 부동급수전
CA2297867C (en) Pullout faucet valve body with integral vacuum breaker hub
JP4967090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KR100658049B1 (ko) 부동전
KR102167374B1 (ko) 지열흡수수단을 가진 부동급수전
KR200494314Y1 (ko) 수도 부동 급수전의 개폐장치
KR100924755B1 (ko) 동파 방지용 수도 계량기 보호통
KR200180790Y1 (ko) 부동전의 잔류수 퇴수장치
KR102260392B1 (ko) 부동급수전의 냉기지연차단구조
KR200327504Y1 (ko) 부동전
CN108720616B (zh) 一种便携式带收纳水管功能的给排水装置
KR100513311B1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291864Y1 (ko) 조립식 수도미터기 보호통
GB2094902A (en) Improvements in standpipes
KR20200001822U (ko) 부동급수전 장치대
JP3764571B2 (ja) 散水栓用箱
JP3055378U (ja) 立ち上げ式散水栓筐
KR200332761Y1 (ko) 부동전
KR100783055B1 (ko) 온수 배출 시스템 및 온수 배출 시스템을 위한 온수저장탱크
RU2042018C1 (ru) Водоразборная колонка
KR100370600B1 (ko) 부동전의퇴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