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3311B1 - 수도계량기 보호통 - Google Patents
수도계량기 보호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13311B1 KR100513311B1 KR1020050000780A KR20050000780A KR100513311B1 KR 100513311 B1 KR100513311 B1 KR 100513311B1 KR 1020050000780 A KR1020050000780 A KR 1020050000780A KR 20050000780 A KR20050000780 A KR 20050000780A KR 100513311 B1 KR100513311 B1 KR 1005133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pe
- water meter
- water
- outlet
- protectiv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4—Casings, e.g. of special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동절기에 수도계량기, 입수관 또는 출수관이 동결되거나 동파됨을 방지하도록 지열포집판을 구비하여 바닥판 하부에 설치하고, 설치시 시공성을 향상시키도록 입수 및 출수유도관을 바닥판과 보호통몸체 사이에서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게 구성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지열포집판으로부터 공급되는 지열 및 지중 수증기를 보호통 내로 전달되게 하고, 속뚜껑의 하측부 길이를 길게 형성하므로 혹한기의 아주 낮은 기온하에서도 수도계량기, 입수관 및 출수관이 동결되거나 동파되지 않게하며, 입수관 및 출수관을 위한 입수 및 출수유도관을 탈부착방식으로 구성하므로 지중에서 수도계량기를 보호통몸체내로 설치시 시공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충진재가 충진된 뚜껑을 구비하므로 지상으로부터 전해지는 차가운 냉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동절기에 수도계량기, 입수관 또는 출수관이 동결되거나 동파됨을 방지하도록 지열포집판을 구비하여 바닥판 하부에 설치하고, 설치시 시공성을 향상시키도록 입수 및 출수유도관을 바닥판과 보호통몸체 사이에서 끼움 방식으로 조립되게 구성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것이다.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지중에 매설되어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 수도계량기가 동파되거나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일반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별도의 열공급원이 없거나 단열재가 구비된 경우라도 보호통과 단열재가 연접되어 혹한기의 아주 낮은 기온하에서 수도계량기가 동파되는 문제가 빈번했으며, 단열재를 보호통 내부에 별도로 투입 내지 제거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의 선행기술인 실용신안 등록 제 0364584호의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보호통바디의 내부에 동절기 외부기온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보호통바디의 두께(T)보다 상당한 두께(T1)를 가지는 단열재로 단열수단을 더 구비하고, 단열수단은 보호통바디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상하부바디를 각각 분리하여 구성하는 단열바디와 상기 상하부 바디 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켜 형성하는 단열공간과 상기 보호통바디의 내부 상단에는 고정수단으로 단속되어 단열바디의 노출과 이탈을 방지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채택하여 보호통 내부에 단열수단을 대폭 개선함으로서 별도의 단열부재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통상 지하 1m 이하의 지층에서는 지열이 존재하여 지상에서 영하의 온도라도 지중에는 평균 7 ℃의 온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기술의 경우,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지중의 지열 에너지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으며, 또한 유도관이 바닥판과 보호통몸체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보호통 내에 입수관 및 출수관을 설치할 때, 시공자는 상기 유도관을 보호통몸체와 바닥판에서 분리하고 입수관과 출수관 각각을 설치한 후 다시 조립하므로 보다 간편하게 시공하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열포집판, 탈부착 방식의 입수 및 출수유도관 및 충진재가 채워진 뚜껑 등을 구비하여 자연적으로 지중에 존재하는 지열을 이용하여 혹한기의 낮은 기온하에서도 수도계량기, 입수관 또는 출수관이 동결되거나 동파되지 않게 하고, 시공성과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킨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뚜껑과 보호통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보호통의 바닥판 하부에 바닥관통공을 형성하며,
상협하광한 박스형태로 하방이 개방된 포집판프레임의 수평부에 하나 이상의 포집관통관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부 하부에 다수 개의 포집파이프를 형성하여 상기 바닥관통공에 끼움 방식으로 설치되는 지열포집판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의 바닥관통공을 향해 관통되는 다수 개의 지열포집측공을 형성하거나,
상기 뚜껑은 충진재를 위한 빈공간부를 형성하되, 하측부에 출입공을 형성하여 캡으로 개폐되게 구성하고, 상기 보호통은 보호통몸체와 둘레부 외측부에 다수 개의 간격유지돌기가 각각 형성된 상,하부내측몸체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내측몸체는 중앙부에 장착홈을 형성하고, 장착홈 둘레면에 단턱을 형성하며, 둘레부 하부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부면에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 하측부에 단턱을 형성하며 하측으로 적어도 10cm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내측뚜껑을 상기 장착홈에서 탈부착되게 구성하며, 상기 하부내측몸체는 둘레부 상부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내측몸체가 안착되게 구성한다.
입수 및 출수유도관의 실시예로서, 상기 바닥판의 바닥관통공 상부 각각에 하부연결관을 일체로 형성하고, 보호통몸체 하방 입수관통공과 출수관통관 하부 각각에 상부연결관을 일체로 형성하여, 입수관 또는 출수관을 위한 통공을 하부 일측에 형성한 입수유도관과 출수유도관을 상기 상,하부연결관 사이에서 탈부착되게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설치방법은
바닥판 및 유도관을 포함하는 보호통몸체를 지중에 매설하면서 입수관과 출수관을 상기 보호통몸체내에 설치하고, 입수관과 출수관 사이에 수도계량기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통몸체 내측으로 하부내측몸체와 상부내측몸체를 순차로 설치한 후 뚜껑을 덮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지열 및 지중 수증기를 포집하는 지열포집판을 설치한 후, 바닥판 하방에서 지열포집판의 포집관통관을 바닥판의 바닥관통공에 삽입되게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설치방법은,
상기 각각의 바닥관통공에 유도관과 보호통몸체를 순차로 안착시켜 조립한 후 입수관, 출수관 및 수도계량기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통몸체 내측에 하부내측몸체와 상부내측몸체를 순차 설치한 후 상부내측몸체의 장착홈에 내측뚜껑을 장착하는 단계;와,
충진재가 충진된 뚜껑을 상기 보호통몸체 상부에 덮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내지 도 3은 본 발명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실시예에 따른 설치단면도이고, 도4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뚜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a내지 도 5b는 밸브작동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도 1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10)과 보호통(20)으로 구성된다.
뚜껑(10)은 충진재(15)를 위해 내부에 빈공간부(13)가 형성되는데, 상기 빈 공간부(13)를 형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는 도 4a내지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10)을 상부와 하부로 이분형성하고, 상/하부뚜껑(10a)(10b)을 볼트, 피스등의 체결수단(10c)으로 체결하며, 체결부위의 기밀을 유지하여 충진재(15)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부위에는 스펀지, 고무등의 탄성을 갖는 개스킷(10d)을 부착한다. 이외에도 뚜껑(10)에 빈공간부(13)를 형성하기 위하여 해당업자라면 다양한 방법으로 응용할 수 있으며, 그 실시예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뚜껑(10)의 하측부에 충진재(15)의 충진이나 배출을 위한 출입공(11)이 형성되며, 출입공(11)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캡(12)으로 개폐된다.
상기 충진재(15)는 다공질이고 열전도율이 낮으며 무거운 질량체라면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고, 충진재(15)로 바람직한 것은 작은 돌, 합성수지재칩, 모래나 흙 등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원 뚜껑을 사용하면, 보호통몸체(40) 내에 열기나 수증기 등으로 인해 내압이 발생되더라도 상기와 같이 충진재(15)로 충진된 본원 뚜껑(10)의 중량으로 인해 뚜껑(10)이 들리지 않으므로 보호통몸체(40)와 뚜껑(10)을 고정하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지상의 차가운 공기를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13)의 두께는 적어도 5cm 이상이 되게 하고, 뚜껑(10)의 양단부 하측을 지상에서 적어도 5cm 이상 이격되게 하여 뚜껑(10)을 용이하게 여닫도록 한다.
보호통은 보호통몸체(40)와 상,하내측몸체(20)(30)로 구성하며,
상기 보호통몸체(40)는 상부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하부 양측 각각에 입수 및 출수유도관(43)(44)을 위한 상부연결관(41)이 보호통몸체(40)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그 내측으로 상기 상,하부내측몸체(20)(30)가 설치된다.
상기 상,하부내측몸체(20)(30)는 입수관(70)과 출수관(80), 수도계량기(60)가 설치되는 곳으로,
상부내측몸체(20)는 하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상부면 중앙부에 장착홈(22)을 형성하고 상기 장착홈(22) 둘레면에 단턱(23)을 형성한다. 또한 둘레부 외측에는 다수 개의 간격유지돌기(21)를 형성하여 상기 보호통몸체(40) 내에 설치될 때 보호통몸체(40)와 상부내측몸체(2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며, 둘레부 하단부에 걸림턱(24)을 형성한다.
상기 장착홈(22)에 탈부착되는 속뚜껑(25)의 경우, 상부면에 손잡이(26)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26) 하측부에 단턱(27)을 형성하며, 길이(L)는 하측으로 적어도 10cm 이상되게 하며, 상기 장착홈(22)에 속뚜껑(25)을 장착하면 수도계량기(60)가 설치되는 상,하부내측몸체(20)(30)는 기밀성이 높아져 보온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속뚜껑(25)을 하방으로 길게 형성하므로 상,하부내측몸체(20)(30) 내부 공간이 좁게 구획되어지게 되어 내부 공간에서의 대류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혹한에도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하부내측몸체(30)는 상,하부면이 개방된 형태로, 둘레부 외측에는 상기 상부내측몸체(20)와 동일한 목적과 형태를 가지는 간격유지돌기(31)를 형성하며, 둘레부 상단에 걸림턱(34)을 형성하여 하단에 걸림턱(24)이 형성된 상기 상부내측몸체(20)가 안착된다. 상기 간격유지돌기(21)(31)는 상,하부내측몸체(30)의 둘레부 외측 또는 보호통몸체(40)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입수 및 출수유도관(43)(44)은 하부 일측으로 입수관(70) 및 배수관이 인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바닥판(45)은 입수 및 출수유도관(43)(44)이 끼워지도록 각각의 하부연결관(46)을 일체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보호통몸체(40)와 바닥판(45) 각각에 형성된 상,하부연결관(41)(46) 사이에서 상기 입수 및 출수유도관(43)(44)이 탈부착하며, 입수관(70) 및 출수관(80)의 위치에 따라 입수 및 출수유도관(43)(44)을 임의로 회전할 수 있다.
바닥판(45)의 경우, 그 측면에는 각각의 하부연결관(46)을 향해 다수 개의 지열포집측공(47)을 형성하여, 지중의 지열이나 수증기를 바닥판(45) 측면으로 유입되어 입수 및 출수유도관(43)(44)을 통해 보호통 내측으로 전달되게 한다.
또한, 상기 바닥판(45)은 각각의 하부연결관(46) 하부에 바닥관통공(49)을 형성하여, 지중의 지열이나 수증기를 입수 및 출수유도관(43)(44)을 통해 보호통 내측으로 전달되게 한다.
상기 바닥관통공(49)으로 더 많은 지열이나 수증기를 유입되게 하는 지열포집판(50)을 설명한다.
지열포집판(50)은 더 많은 지열이나 수증기를 포집하도록 하방으로 개방면을 가지며 상협하광한 형태로 포집판프레임을 형성하고, 상기 포집판프레임의 수평부(51) 하부에 다수 개의 포집파이프(53)를 형성하며, 지열포집판(50)과 포집파이프(53)를 통해 포집한 지열이나 수증기를 바닥판(45)에 형성된 각각의 바닥관통공(49)을 통해 보호통측으로 전달하도록 상기 포집판프레임의 수평부(51)에 상기 바닥관통공(49)에 대응되는 포집관통관(52)을 형성한다. 상기 포집관통관(52)은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하여 상기 바닥관통공(49)에 끼워지게 하며, 지열포집판(50) 및 포집파이프(53)는 열전도성과 내부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성재질로 형성한다.
한편, 상기한 보호통몸체(40)에는 도 5a내지 도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수관(70)에 설치된 개폐밸브(71)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작동간(100)이 더 설치되는데, 상기 밸브작동간(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분형성되어 일측에는 상/하로 다수개의 통공(111)이 타측에는 이에 대응되는 다른 통공(112)이 형성되어 동심상의 복수개 통공(111)(112)으로 핀(113)을 삽입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작동봉(110)과, 작동봉(110)의 하부에 형성되며 개폐밸브(71)를 파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개폐밸브(7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삽입홈과 이를 정의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파지부(120)와, 상기 작동봉(110)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부내측몸체(20)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고 작동봉(1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130)로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상부내측몸체(20)에는 상기 작동봉(110)이 관통되는 관통공(29)이 더 형성된다.
이하,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설치방법을 설명한다.
수도관이 매립된 지중 1m 이하에서 지열 및 지중 수증기를 포집하는 지열포집판(50)을 설치하고, 지열포집판(50)에 형성된 각각의 포집관통관(52)을 바닥판(45)에 형성된 바닥관통공(49)에 끼워지게 하여 지열포집판(50)과 바닥판(45)을 조립한다.
상기 바닥판(45)에 돌출 형성된 각각의 하부연결관(46)에 입수 및 출수유도관(43)(44)을 끼워 조립하고 입수관(70)과 출수관(80)을 상기 각각의 유도관(43)(44) 내측으로 삽설되게 하며, 입수관(70)과 출수관(80) 둘레에 보강재(90)로 감싼 후 상기 입수 및 출수유도관(43)(44) 상부를 보호통몸체(40) 하측부에 형성된 각각의 상부연결관(41)에 삽설되게 하고, 입수관(70)과 출수관(80) 사이에 수도계량기(60)를 연결 설치한다.
상기 보호통몸체(40) 내측에 하부내측몸체(30)와 상부하측몸체(20)를 순차로 안착시키고, 상기 상부하측몸체(20) 중앙부에 형성된 장착홈(22)에 내측뚜껑(25)을 안착시킨다.
뚜껑(10)은 출입공(11)을 통해 충진재(15)를 채워넣고 캡(12)으로 막는 후 상기 보호통몸체(40) 위에 덮으면 본 발명 수도계량기(60) 보호통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지열포집판으로부터 공급되는 지열 및 지중 수증기를 보호통 내로 전달되게 하고, 속뚜껑의 하측부 길이를 길게 형성하므로 혹한기의 아주 낮은 기온하에서도 수도계량기, 입수관 및 출수관이 동결되거나 동파되지 않으며,
입수관 및 출수관을 위한 입수 및 출수유도관을 탈부착방식으로 구성하므로 지중에서 수도계량기를 보호통몸체내로 설치시 시공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충진재가 충진된 뚜껑을 구비하므로 지상으로부터 전해지는 차가운 냉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일 실시예에 따른 A-A'선 단면도.
도3은 본 발명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치단면도.
도4a내지 도4b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뚜껑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5a는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밸브작동간을 설치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5b는 도5a의 밸브작동간의 길이조절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뚜껑 11: 출입공
12: 캡 13: 빈공간부
15: 충진재
20: 상부내측몸체 21,31: 간격유지돌기
22: 장착홈 23,27: 단턱
24,34: 걸림턱
30: 하부내측몸체 40: 보호통몸체
41: 상부연결관 43: 입수유도관
44: 출수유도관 45: 바닥판
46: 하부연결관 47: 지열포집측공
49: 바닥판통공
50: 지열포집판 51: 수평부
52: 포집관통관 53: 포집파이프
60: 수도계량기 70: 입수관
80: 출수관 90: 보강재
Claims (9)
- 몸체의 상부에 속뚜껑이 설치된 보호통과,상기 보호통의 하부에 연결된 입수유도관과 출수유도관과,상기 입수유도관과 출수유도관으로 지열을 유도하기 위하여 상부에 하나 이상의 포집관통관을 형성하고 하부에 다수 개의 포집파이프를 형성하여 입수유도관 및 출수유도관의 하부에 착탈되는 지열포집판을 구비한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있어서,상기 포집관통관 및 입/출수 유도관과 관통되는 바닥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바닥관통공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지열포집측공을 형성한 바닥판이 상기 지열포집판의 상부에 끼움방식으로 안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뚜껑은 충진재를 위한 빈공간부를 형성하되, 하측부에 출입공을 형성하여 캡으로 개폐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보호통은 보호통몸체와 둘레부 외측부에 다수 개의 간격유지돌기가 각각 형성된 상,하부내측몸체로 구성하고,상기 상부내측몸체는 중앙부에 장착홈을 형성하고, 장착홈 둘레면에 단턱을 형성하며, 둘레부 하부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부면에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 하측부에 단턱을 형성하며 하측으로 적어도 10cm 이상의 길이를 가지는 내측뚜껑을 상기 장착홈에서 탈부착되게 구성하며,상기 하부내측몸체는 둘레부 상부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상기 상부내측몸체가 안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바닥판의 바닥관통공 상부 각각에 하부연결관을 일체로 형성하고,보호통몸체 하방 입수관통공과 출수관통관 하부 각각에 상부연결관을 일체로 형성하여,입수관 또는 출수관을 위한 통공을 하부 일측에 형성한 입수유도관과 출수유도관을 상기 상,하부연결관 사이에서 탈부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부와 하부로 이분형성하고, 상/하부뚜껑을 볼트, 피스등의 체결수단으로 체결하며, 체결부위의 기밀을 유지하여 충진재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체결부위에는 스펀지, 고무등의 탄성을 갖는 개스킷을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보호통몸체에는 입수관에 설치된 개폐밸브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작동간이 더 설치되는데, 상기 밸브작동간은 이분형성되어 일측에는 상/하로 다수개의 통공이 타측에는 이에 대응되는 다른 통공이 형성되어 동심상의 복수개 통공으로 핀을 삽입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작동봉과, 작동봉의 하부에 형성되며 개폐밸브를 파지할 수 있도록 내부에 개폐밸브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삽입홈과 이를 정의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된 파지부와, 상기 작동봉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부내측몸체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잡고 작동봉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1827 | 2004-11-11 | ||
KR20040091827 | 2004-11-11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513311B1 true KR100513311B1 (ko) | 2005-09-07 |
Family
ID=37304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0780A KR100513311B1 (ko) | 2004-11-11 | 2005-01-05 | 수도계량기 보호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13311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7587A (ko) | 2017-08-12 | 2019-02-20 | 예영동 |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
KR20200041731A (ko) * | 2018-10-13 | 2020-04-22 | 이용운 |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
-
2005
- 2005-01-05 KR KR1020050000780A patent/KR10051331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17587A (ko) | 2017-08-12 | 2019-02-20 | 예영동 | 시공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
KR20200041731A (ko) * | 2018-10-13 | 2020-04-22 | 이용운 |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
KR102106221B1 (ko) * | 2018-10-13 | 2020-04-29 | 이용운 |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13311B1 (ko) | 수도계량기 보호통 | |
KR101130759B1 (ko) | 기존 우.오수받이용 동결저감장치 | |
KR102292942B1 (ko) |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 |
JP3140834U (ja) | ドレンパイプヒーター | |
KR200375927Y1 (ko) | 수도계량기용 보호통 | |
KR100641601B1 (ko) | 수도미터기 함의 지열 이용구조 | |
KR100924755B1 (ko) | 동파 방지용 수도 계량기 보호통 | |
JPS6051230A (ja) | 結氷防止鉄蓋 | |
KR100658049B1 (ko) | 부동전 | |
JP3158710U (ja) | 排水管凍結防止用枡型ヒーター | |
KR20210028885A (ko) | 동파 방지 수도관 | |
KR200308582Y1 (ko) | 아파트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장치 | |
KR100738446B1 (ko) | 수도계량기 보호통 | |
KR200468830Y1 (ko) | 동파방지용 보온재 | |
KR200291864Y1 (ko) | 조립식 수도미터기 보호통 | |
CN216407987U (zh) | 一种建筑给排水管道 | |
KR200237753Y1 (ko) | 아파트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장치 | |
KR920000737Y1 (ko) | 수도미터기 보호통 | |
KR102106221B1 (ko) |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 |
KR200302638Y1 (ko) | 수도미터 보호통의 동결방지구조 | |
KR20210075339A (ko) | 수도계량기 동파 방지 보호 장치 | |
KR200270038Y1 (ko) |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덮개 | |
KR200372345Y1 (ko) | 수도계량기 보호통 어셈블리 | |
KR100593009B1 (ko) | 수도계량기 보호통 어셈블리 | |
KR200172776Y1 (ko) | 투수성 구축물을 이용한 맨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