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8446B1 - 수도계량기 보호통 - Google Patents

수도계량기 보호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8446B1
KR100738446B1 KR1020060064787A KR20060064787A KR100738446B1 KR 100738446 B1 KR100738446 B1 KR 100738446B1 KR 1020060064787 A KR1020060064787 A KR 1020060064787A KR 20060064787 A KR20060064787 A KR 20060064787A KR 100738446 B1 KR100738446 B1 KR 100738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ll
water pipe
pipe
barre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4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성
Original Assignee
조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규성 filed Critical 조규성
Priority to KR1020060064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것으로,
본인의 선등록 고안을 더욱 개량발전시켜 본인의 선등록 고안이 가지고 있는 특장점은 그대로 발휘되고 이의 문제점은 완벽하게 보안하여 결과적으로 본인의 선등록 고안보다 설치 및 사용이 더욱 더 간편하고, 물의 침투가 더욱 더 완벽하게 방지되며, 뚜껑체가 매우 튼튼하여 파손 및 교체비용의 발생이 전혀 없는 등의 여러가지 특장점이 있는 고품격 고품질의 수도계량기 보호통을 제공함으로써,
추운 겨울철과 무덥고 습기가 많은 여름철과 같이 온도와 습기 및 그 밖의 어떠한 환경조건하에서도 오랫동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도계량기 보호통{water mater preservation box }
도1은 종래 고안의 구성상태도.
도2는 본인의 선등록 고안의 구성상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예시도.
도4a,도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로서,
도4a는 사시도
도4b는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통몸체 10a:공급구멍
10b:분배구멍 11:내통
12:패킹결합요철부 20:뚜껑체
21:보강대 22:밀폐패킹
23:손잡이 30:수도관연결기둥
40:받침판 51:외벽
52:내벽 53(53a,53b,53c):보온단열재
100:계량기 110'(110'a,110'b):수도관
200:분배구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인의 선등록 고안인 실용신안등록 제298084호를 더욱 발전시켜 본인의 선등록 고안보다 설치 및 사용이 더욱 더 간편하고, 물의 침투가 더욱 더 완벽하게 방지되며, 뚜껑체가 매우 튼튼하여 파손 및 교체비용의 발생이 없도록 한 고품질 고품격의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에는 수도의 사용량이나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수도 계량기가 설치되는 바, 이와같은 수도계량기는 이를 보호하고자 만들어진 보호통속에 고정설치된다.
그런데 종래의 수도 계량기보호통들은 거의 모두가 첨부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같이 단일벽체로 된 통몸체(1) 내부에 발포폴리스티렌(스치로폴)으로된 보온단열재(4)가 외부에 드러나게 삽입된 상태이어서 장기간 사용시에는 발포폴리스티렌(스치로폴)으로된 보온단열재(4)의 특성상 내구력이 상실되어 푸석푸석해지거나 깨져서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 이었으며, 장마등으로 인하여 내부에 물이 가득 찰 경우에도 발포폴리스티렌(스치로폴)으로된 보온단열재(4)가 썩거나 더러워져 깨끗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물론 발포폴리스티렌(스치로폴)으로된 보온단열재(53) 가 부력에 의해 떠올라 뚜껑체(2)가 열리면서 뚜껑체(2)는 물론 발포폴리스티렌(스치로폴)으로된 보온단열재(4)가 물에 떠내려가서 분실될 염려가 많았다.
또한, 종래의 수도 계량기보호통들은 계량기검침후에 속뚜껑(4a)이 자주 분실되거나 제대로 뚜껑을 닫지 않아 계량기(100) 동파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그러는 한편, 종래의 수도 계량기보호통들은 통몸체(1)의 하측에 형성되어 수도관(110)이 관통하는 수도관연결기둥(3)이 2개로 분할되게 구성되어 있어서, 계량기보호통의 설치공사시 좌,우의 균형이 잘 잡히지 않아 배관연결부위의 이탈이 잦아 누수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통몸체(1)와 뚜껑체(2)가 소정 두께의 단일벽체로 되어 있어서 계량기보호통 내부의 보온효과가 크게 떨어지므로 추운 겨울철에 수도계량기가 동파발생으로 손상되는 경우가 허다하였다.
이에 이와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인의 선등록 고안인 실용신안등록 제298084호가 있는데 이는 첨부도면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통몸체(10)와 그 하측에 형성되는 수도관연결기둥(30) 그리고 상기 통몸체(10)의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체(20)를 외벽과 내벽으로 형성하되 상기 외벽(51)과 내벽(52)사이에 보온단열재(53)를 충진하여서된 이중벽체로 구성하여 보온력을 높힘으로써 동파를 완벽하게 방지토록 하며,
상기 통몸체(10)를 밀폐하는 뚜껑체(20)내주연에 밀폐폐킹(60)을 다단으로 구성하여 밀폐력을 높힘으로써 물의 침투를 완벽하게 방지토록 함은 물론,
상기 통몸체(10)의 하측에 형성되는 수도관연결기둥(30)을 단일체로 형성하 고 수도관(110')을 주름관으로 연결하여 별도의 엘보등의 연결부가 없도록 하며 수도관연결기둥(30)의 하단에 형성되는 받침판(40)을 타원형의 단일체로 구성하여서 균형잡기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지반침하로 인한 연결부의 누수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등의 여러가지 기능을 발휘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본인의 선등록 고안은 상기와 같은 특장점에도 불구하고 뚜껑체(20)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쉽게 파손될 염려가 있어서 뚜껑체(20)의 파손방치에 따른 수도계량기(100)가 동파되는 현상 및 파손된 뚜껑체(20)의 교체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통몸체(10)를 밀폐하는 뚜껑체(20) 내주연에 밀폐폐킹(60)을 다단으로 구성하여 종래 보다는 밀폐력을 크게 증대시켰으나 이와같은 구조는 다단으로 구성되는 밀폐폐킹(60)의 접촉면이 직선형태로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중 결합부분의 마모가 쉽게 발생할 소지가 있어서 물이 침투하는 것과 뚜껑체(20)가 이탈되는 것을 오랫동안 완벽하게 방지하기에는 다소의 무리함이 있었다.
그러는 한편, 본인의 선등록 고안은 종래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수도계량기(100)를 하나씩만 설치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전체적으로 많은 수의 수도계량기 보호통이 설치되므로 자원의 낭비가 심하며, 검침원의 검침작업 또한 매우 더디게 진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과 본인의 선등록 고안이 가지고 있는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인의 선등록 고안을 더욱 개량발전 시켜 본인의 선등록 고안이 가지고 있는 특장점은 그대로 발휘되고 이의 문제점은 완벽하게 보안하여 결과적으로 본인의 선등록 고안보다 설치 및 사용이 더욱 더 간편하고, 물의 침투가 더욱 더 완벽하게 방지되며, 뚜껑체가 매우 튼튼하여 파손 및 교체비용의 발생이 전혀 없는 등의 여러가지 특장점이 있는 고품격 고품질의 수도계량기 보호통을 제공함으로써,
추운 겨울철과 무덥고 습기가 많은 여름철과 같이 온도와 습기 및 그 밖의 어떠한 환경조건하에서도 오랫동안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도면 도3 내지 도5에 의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도관(110')과 연결되는 계량기(100)가 수용되는 통몸체(10)와,
상기 통몸체(10)의 하측에 수직으로 길게 단일기둥으로 형성되고 단일체로된 타원형의 받침판(40)이 하단에 형성되며 내부로 수도관(110')이 연결되는 수도관연결기둥(30)과,
상기 통몸체(10)의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체(20)를 외벽(51)과 내벽(52)사이에 보온단열재(53)를 충진하여서 이중벽체로 구성된 공지의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있어서,
상기 뚜껑체(20)의 내부에는 강도보강용 보강대(21)를 형성하고 결합부분 외 면에는 고무재로된 소정갯수의 밀폐패킹(22)을 일체로 돌출형성하며,
이 뚜껑체(20)가 결합되는 통몸체(10) 내벽(52)의 개구부 내면에는 뚜껑체(20)에 돌출형성된 소정갯수의 밀폐패킹(22)이 각각 개별적으로 전부 결합되도록 소정갯수의 패킹결합요철부(12)를 돌출형성하여서 뚜껑체(20)가 다중으로 밀폐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첨부도면 도4a 및 도4b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통몸체(10)와, 이의 하측에 단일기둥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도관연결기둥(30)과, 상기 통몸체(10)의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체(20)를 중간에 보온단열재(53)가 삽입된 이중벽체로 구성하되,
상기 통몸체(10)와 수도관연결기둥(30)은 단일기둥으로 형성된 수도관연결기둥(30)내에 수도관(110')이 배관되는 배관용 보온단열재(53a)를 삽입설치하고,
그 상측의 통몸체(10)내에는 속이 빈 몸통보온용 보온단열재(53b)를 삽입설치하며,
상기 몸통보온용 보온단열재(53b) 내부에 수도관설치용 구멍이 구비된 내벽형성용 내통(11)을 삽입하여 이중벽체로 구성하고,
상기 뚜껑체(20)는 상면에 손잡이(23)가 구비되고 저면에는 강도보강용 보강대이 구비되며 외연은 하향절곡된 스테인레스재 외벽(51)의 하측으로 보온단열재(53c)가 결합된 플라스틱재 내벽(52)을 볼트(24)로 고정체결하여 이중벽체로 구성하여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상기 내벽형성용 내통(11)의 상단외연은 통몸체(10)상단에 열융착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할 수 도 있음은 물론, 수도관(110') 및 보온단열재(53a,53b)들의 교체가 편리하도록 나사(미도시)체결하여 고정설치하거나 또는 착탈식으로 구성할 수 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일체형으로 고정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통몸체(10)의 내부 바닥면 일측에는 수도물공급용 수도관(110'a)이 삽입설치되는 공급구멍(10a)을 1개 설치하고 타측에는 수도물분배용 수도관(110'b)이 삽입설치되는 분배구멍(10b)을 2개 설치하여,
통몸체(10) 내부로 삽입되는 각각의 수도관(110'a)(110'b)중 수도물공급용 수도관(110'a) 상단은 분배구(200)의 인입공(210)에 연결하고,
수도물분배용 수도관(110'b)은 각각 수도계량기(100)를 결합한 상태에서 분배구(200)의 배출공(220)에 연결설치하여,
하나의 보호통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건물에 각각 물을 분배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수도계량기 보호통은 통몸체(10)와 그 하측에 형성되는 수도관연결기둥(30) 그리고 상기 통몸체(10)의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체(20)가 모두 외벽(51)과 내벽(52)사이에 보온단열재(53)를 충진하여서된 이중벽체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통몸체(10)내부에 별도로 발포폴리스티렌(스치로폴)등으로된 보온단열재(53)를 삽입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치가 매우 용이하며 미관이 매우 아름다울 뿐만아니라 보온단열재가 충진된 이중벽체에 의해 보온단열효과가 뛰 어나서 추운 겨울철에도 수도계량기(100)가 동파되어 손상되는 경우가 전혀 없게 된다.
그리고, 보온단열재(53)가 외부에 접촉되지 않기때문에 내구력이 증대되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발포폴리스티렌(스치로폴)등로된 보온단열재(53)가 훼손되어 교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전혀 없게 되는 것은 물론 통몸체(10)의 내부가 항상 깨끗하게 보존된다.
또한, 뚜껑체(20)를 닫게되면 다수개의 밀폐폐킹(60)에 의해 통몸체(10) 내부가 완벽하게 밀폐되므로 물의 침투가 완벽하게 방지된다.
그러는 한편, 상기 통몸체(10)의 하측에 형성되는 수도관연결기둥(30)을 단일기둥으로 형성하고 이를 통해 수도계량기(100)에 주름관으로된 수도관(110')을 절곡하여 연결함으로서 별도의 엘보등의 연결부가 없도록 함은 물론 단일기둥으로 된 수도관연결기둥(30)의 하단에 형성되는 받침판(40)을 타원형의 단일체로 구성하여서 계량기보호통의 설치공사시에도 좌,우의 균형이 잘 잡히게 되므로 설치가 용이하고 지반침하로 인한 연결부의 누수사고가 미연에 방지된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기본적인 사항 이외에 가장 특징적인 사항은,
뚜껑체(20)를 닫으면 상기 뚜껑체(20)의 결합부분 외면에 돌출형성된 고무재로된 소정갯수의 밀폐패킹(22)이 각각 통몸체(10) 내벽(52) 또는 내벽형성용 내통(11)의 개구부 내면에 돌출형성한 패킹결합요철부(12) 사이사이에 개별적으로 전부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통몸체(10)내부가 다중으로 완벽하게 밀폐결합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물이 전혀 침투 할 수 가 없게 된다.
그러는 한편, 본 발명을 도4a 및 도4b와 같이 별도로 제작된 내벽형성용 내통(11)을 이용하여 상기 통몸체(10)와, 이의 하측에 단일기둥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도관연결기둥(30)을 중간에 보온단열재(53)가 삽입된 이중벽체로 구성되므로 그 제작 및 조립이 매우 편리하며, 특히 뚜껑체(20)의 외벽(51)이 스테인레스재이며 저면에는 강도보강용 보강대(21)이 구비되어 있어서, 부식에 잘 견디며,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견디는 힘이 강하여 뚜껑체(20)가 훼손되는 경우가 전혀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도계량기(100)를 하나씩만 설치하여 사용할 수 도 있는 것은 물론, 도5와 같이 2개의 분배구멍(10b)에 각각 수도물분배용 수도관(110'b)을 삽입설치한다음 각각 수도계량기(100)를 결합한 상태에서 이를 수도물공급용 수도관(110'a)과 연결된 분배구(200)에 연결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보호통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건물에 물을 효과적으로 분배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설치갯수를 줄여 주어 자원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며, 검침원의 검침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설치후 뚜껑체의 결합부분 외면에 돌출형성된 고무재로된 소정갯수의 밀폐패킹이 각각 통몸체 내벽의 개구부 내면에 돌출형성한 패킹결합요철부 사이사이에 개별적으로 전부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통몸체내부가 다중으로 완벽하게 밀폐결합되기 때문에 뚜껑체의 밀폐가 완벽하여 통몸체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완벽하게 차단되며, 보온력이 뛰어나서 겨울철 수도관의 동파를 효과적 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는 한편, 별도로 제작된 내벽형성용 내통을 이용하여 상기 통몸체와 이의 하측에 단일기둥으로 일체로 형성된 수도관연결기둥을 중간에 보온단열재가 삽입된 이중벽체로 간단하게 구성하므로 그 제작 및 조립이 매우 편리하다.
또한, 뚜껑체의 외벽이 스테인레스재이며 저면에는 강도보강용 보강대이 구비되어 있어서, 부식에 잘 견디며,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견디는 힘이 강하여 뚜껑체가 훼손되는 경우가 전혀 없으므로 뚜껑체의 파손에 따른 수도계량기의 동파현상이 방지되고 뚜껑체의 교체비용발생 또한 전혀 없게 된다.
그리고, 통상적인 방법으로 수도계량기를 하나씩만 설치하여 사용할 수 도 있는 것은 물론, 하나의 수도계량기 보호통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건물에 물을 분배공급할 수 있으므로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설치갯수가 줄어들어 자원의 낭비가 방지되며, 검침원의 검침작업 또한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등의 여러가지 효과가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설치 및 사용이 간편하고, 물의 침투가 완벽하게 방지되며, 뚜껑체가 매우 튼튼하여 파손 및 교체비용의 발생이 없고 전체적으로 추운 겨울철에도 동파의 위험이 전혀 없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매우 획기적인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수도관(110')과 연결되는 계량기(100)가 수용되는 통몸체(10)와,
    상기 통몸체(10)의 하측에 수직으로 길게 단일기둥으로 형성되고 단일체로된 타원형의 받침판(40)이 하단에 형성되며 내부로 수도관(110')이 연결되는 수도관연결기둥(30)과,
    상기 통몸체(10)의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체(20)를 외벽(51)과 내벽(52)사이에 보온단열재(53)를 충전하여서 이중벽체로 구성하되,
    상기 뚜껑체(20)의 내부에는 강도보강용 보강대(21)를 형성하고 결합부분 외면에는 고무재로된 소정갯수의 밀폐패킹(22)을 일체로 돌출형성하며,
    이 뚜껑체(20)가 결합되는 통몸체(10) 내벽(52)의 개구부 내면에는 뚜껑체(20)에 돌출형성된 소정갯수의 밀폐패킹(22)이 각각 개별적으로 전부 결합되도록 소정갯수의 패킹결합요철부(12)를 돌출형성하여서 뚜껑체(20)가 다중으로 밀폐결합되도록 이루어진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있어서.
    상기 통몸체(10)와 수도관연결기둥(30)은 단일기둥으로 형성된 수도관연결기둥(30)내에 수도관(110')이 배관되는 배관용 보온단열재(53a)를 삽입설치하고,
    그 상측의 통몸체(10)내에는 속이 빈 몸통보온용 보온단열재(53b)를 삽입설치하며,
    상기 몸통보온용 보온단열재(53b) 내부에 수도관설치용 구멍이 구비된 내벽형성용 내통(11)을 삽입하여 이중벽체로 구성하고,
    상기 뚜껑체(20)는 상면에 손잡이(23)가 구비되고 저면에는 강도보강용 보강대(21)가 구비되며 외연이 하향절곡된 스테인레스재 외벽(51)의 저면에 보온단열재(53c)가 결합된 플라스틱재 내벽(52)을 볼트(24)로 고정체결하여 이중벽체로 구성하여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일측에는 수도물공급용 수도관(110'a)이 삽입설치되는 공급구멍(10a)을 1개 설치하고 타측에는 수도물분배용 수도관(110'b)이 삽입설치되는 분배구멍(10b)을 2개 설치하여,
    통몸체(10) 내부로 삽입되는 각각의 수도관(110'a)(110'b)중 수도물공급용 수도관(110'a) 상단은 분배구(200)의 인입공(210)에 연결하고,
    수도물분배용 수도관(110'b)은 각각 수도계량기(100)를 결합한 상태에서 분배구(200)의 배출공(220)에 연결설치하여,
    하나의 보호통을 이용하여 각기 다른 건물에 각각 물을 분배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 보호통.
KR1020060064787A 2006-07-11 2006-07-11 수도계량기 보호통 KR100738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787A KR100738446B1 (ko) 2006-07-11 2006-07-11 수도계량기 보호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4787A KR100738446B1 (ko) 2006-07-11 2006-07-11 수도계량기 보호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8446B1 true KR100738446B1 (ko) 2007-07-11

Family

ID=3850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4787A KR100738446B1 (ko) 2006-07-11 2006-07-11 수도계량기 보호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84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731B1 (ko) 2012-05-10 2012-07-05 박상신 수도미터기 보호통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960A (ko) * 1998-05-29 1999-12-15 임삼식 보온성이 향상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177676Y1 (ko) 1999-11-05 2000-04-15 임삼식 단열기능이 보강된 수도 계량기 보호통의 뚜껑
KR200271452Y1 (ko) 2002-01-11 2002-04-09 이.엠 주식회사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298084Y1 (ko) 2002-09-10 2002-12-12 조규성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30039111A (ko) * 2001-11-12 2003-05-17 주식회사 안전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379269Y1 (ko) 2004-12-24 2005-03-17 예영동 수도미터기 보호통 보온뚜껑
KR200422219Y1 (ko) 2006-05-04 2006-07-25 김선용 기밀성이 향상된 수도 계량기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6960A (ko) * 1998-05-29 1999-12-15 임삼식 보온성이 향상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177676Y1 (ko) 1999-11-05 2000-04-15 임삼식 단열기능이 보강된 수도 계량기 보호통의 뚜껑
KR20030039111A (ko) * 2001-11-12 2003-05-17 주식회사 안전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271452Y1 (ko) 2002-01-11 2002-04-09 이.엠 주식회사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298084Y1 (ko) 2002-09-10 2002-12-12 조규성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379269Y1 (ko) 2004-12-24 2005-03-17 예영동 수도미터기 보호통 보온뚜껑
KR200422219Y1 (ko) 2006-05-04 2006-07-25 김선용 기밀성이 향상된 수도 계량기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731B1 (ko) 2012-05-10 2012-07-05 박상신 수도미터기 보호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8446B1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310438Y1 (ko) 상수도용 부동전
KR101422783B1 (ko) 라이닝 판넬을 갖는 저장탱크
KR102081531B1 (ko) 스테인레스 강판재 조립식 물탱크
KR200269746Y1 (ko) 수지재 이중 파이프
KR200298084Y1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379269Y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 보온뚜껑
CN205940677U (zh) 防冻水表
CN211341849U (zh) 一种建筑工程预埋件外漏钢筋防锈装置
KR200384179Y1 (ko) 지열을 이용한 수도계량기용 보호통
KR102292942B1 (ko) 지열을 이용한 수도미터기 보호통
KR200375927Y1 (ko) 수도계량기용 보호통
JP3092962U (ja) 燃料油タンクの給油口キャップ
KR100924755B1 (ko) 동파 방지용 수도 계량기 보호통
KR200310432Y1 (ko) 수도 계량기 보호통
KR200422219Y1 (ko) 기밀성이 향상된 수도 계량기함
KR200177676Y1 (ko) 단열기능이 보강된 수도 계량기 보호통의 뚜껑
KR200408228Y1 (ko) 수도계량기용 뚜껑
KR200485170Y1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커버
KR200294608Y1 (ko) 물탱크
CN215931003U (zh) 一种防冻水表箱
KR200468830Y1 (ko) 동파방지용 보온재
KR100432778B1 (ko) 수도 미터기 이중 보온 보호통
CN217736562U (zh) 具有优良保温效果的保温管结构
KR790001559Y1 (ko) 양수기 보호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