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830Y1 - 동파방지용 보온재 - Google Patents

동파방지용 보온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830Y1
KR200468830Y1 KR2020130005568U KR20130005568U KR200468830Y1 KR 200468830 Y1 KR200468830 Y1 KR 200468830Y1 KR 2020130005568 U KR2020130005568 U KR 2020130005568U KR 20130005568 U KR20130005568 U KR 20130005568U KR 200468830 Y1 KR200468830 Y1 KR 2004688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on
insulating material
water meter
thermal insulation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5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그린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13963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68830(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그린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린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55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8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8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8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E03B9/08Underground hydrants
    • E03B9/10Protective plates or cov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수량계의 동파방지용 보온재에 있어서, 보온재의 몸체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보온재의 중앙에 수량계 확인용 관통구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는 보온재가 충전된 뚜껑을 구비하고, 보온재의 외주연은 수량계 보호통의 내벽에 밀착되어 보온재를 탄력 지지하는 밀착돌기를 형성하며, 보온재의 하부면에는 수량계가 끼워져 보온재를 탄력지지하는 제1삽입구와 수도관이 끼워져 보온재를 탄력 지지하는 장홈을 형성하고, 장홈의 좌우측 단부에 수도관 개폐밸브가 끼워져 보온재를 탄력지지하는 제2삽입구를 형성하며, 보온재의 상부 양측에 보온재 인출용 인출손잡이를 포함하여 형성하여, 우기에 보호통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보온재가 부력에 의해 수량계 보호통 상측으로 부상되지 않도록 하고, 보온 효과를 향상시키며, 보온재 부품수를 간단화하고, 보온재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보온재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발생되도록 동파방지용 보온재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동파방지용 보온재{Heat Insulating Materials}
본 고안은 수량계 보호통의 내부에 수납되는 보온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량계를 보온하여 동절기에 동파를 방지하고, 우기에 수량계 보호통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충전될 경우 보온재가 부력에 의해서 부상되어 보온재와 수량계 보호통의 외부 뚜껑이 함께 물에 떠내려가 유실되거나 수량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된 동파방지용 보온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 사용처에는 사용하는 수돗물의 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량계를 지표면의 하부에 설치하는데, 이러한 수량계를 보호하기 위하여 수량계 보호통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수량계의 동파를 방지하는 동파방지용 보온재를 내삽하여 설치하고 있다.
상기 동파방지용 보온재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0141(2013. 1. 11. 공고)호의 보온 덮개 고정장치가 구비된 수량계 보호통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량계(100)가 수납되는 수량계 보호통(1)이 구비되고, 상기 보호통의 하방에는 입수관(101) 및 출수관(102)이 수납되는 보호 관체(2, 2a)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통의 상부에는 외부 덮개(3)가 구비되며, 상기보호통의 내측에는 보온 및 단열을 위하여 보온 본체(4)와 보온 덮개(5)로 이루어는 보온재가 수납되고, 상기 보온 덮개(5)의 중앙에는 검침구가 형성되며, 상기 검침구에는 보온 마개(6)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량계 보호통에 설치되는 보온 본체(4)와 보온 덮개(5) 및 보온 마개(6)는 스티로폼 소재(보온재)이고, 보온 덮개 및 보온 마개 외면에는 사출 성형된 합성수지재의 보호 커버(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량계 보호통(1)의 내벽 상부에는 톱니형 고정부(10)를 형성하고, 보온 덮개(5)에는 상기 톱니형 고정부(10)와 걸림되는 고정장치(7)가 구비되어 있고, 장마기에 상기 수량계 보호통으로 빗물이 유입되더라도 보온 덮개가 부력에 의해서 상승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처럼 상기 종래기술의 수량계 보호통에 수납되는 보온재는 보온 본체(4)와 보온 덮개(5)로 나누어져 있어서, 보온재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또한 보온 본체(4)는 입수관(101) 및 출수관(102)에 수량계(100)를 설치하기 이전에 장착하여야 하므로 보온재 장착 작업과정이 번거로우며, 상기 보온 본체(4)가 스티로폼으로 형성되어 쉽게 훼손됨에 따라 훼손된 보온 본체(4)를 교체하여야 할 경우에는 수량계(100) 및 밸브가 조립되는 부위를 취거한 이후에나 가능하기 때문에 보온 본체(4) 교체 작업이 어려워 보온 기능이 손상된 보온재를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동절기 수량계 동파 사고가 빈발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의 수량계 보호통에 수납되는 보온재는 우기에 보호통으로 빗물이 유입되어 보온 덮개(5)가 부력에 의해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온 덮개(5)의 상부에 보호통의 톱니형 고정부(10)에 걸림되는 고정장치(31)를 설치하여야 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온 덮개(5)의 윗면에는 ㄷ자형 고정장치(31)를 설치하기 위한 통공(30a)을 갖는 돌편(30)을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돌편을 보온 덮개에 형성할 수 있도록 보온 덮개(5)의 외면에 사출 성형 된 합성수지재의 보호 커버(8)를 더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수량계 보호통에 내삽되는 보온재를 보호통의 내벽과 수량계에 탄력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하여 우기에 보호통으로 빗물이 유입되어 보온 덮개(5)가 부력에 의해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수량계를 보온하여 동절기 수량계의 동파를 방지하는 동파방지용 보온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수량계 보호통에 내삽되는 보온재를 단열효과가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여 단일 몸체로 형성함으로써, 보온 효과를 향상시키고, 보온재 부품수를 간단화하며, 보온재 장착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동파방지용 보온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수량계의 동파방지용 보온재는 수량계 보온재의 몸체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보온재(200)의 중앙에 수량계 확인용 관통구(201)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는 뚜껑보온재가 충전된 뚜껑(202)을 구비하고, 보온재의 외주연은 수량계 보호통의 내벽에 밀착되어 보온재를 탄력 지지하는 밀착돌기(203)를 형성하며, 보온재의 하부면에는 수량계가 끼워져 보온재를 탄력지지하는 제1삽입구(204)와 개폐밸브가 끼워져 보온재를 탄력지지하는 제2삽입구 및 수도관이 끼워져 보온재를 탄력 지지하는 장홈(206)을 형성하고, 보온재의 상부 양측에 보온재 인출용 인출손잡이(207)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동파방지 보온재를 제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온재(200)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밀착돌기(203)는 외주연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복수개를 형성하며, 돌기는 보온재의 몸체부(200a)로부터 0.5cm~2cm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상기 보온재(20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수량계가 끼워지는 제1삽입구(204) 직경은 수량계의 외형 최대 칫수보다 1mm~3mm로 적게, 상기 제2삽입구 직경은 개폐밸브의 외형 최대 칫수보다 1mm~3mm로 적게 형성하며, 상기 장홈(206)은 상기 제1삽입구(204)의 좌우측으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장홈의 좌우측 단부에 제2삽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장홈과 제1삽입구 및 제2삽입구를 동일한 깊이로 형성하고, 상기 보온재 인출용 인출손잡이(207)는 보온재(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관통구(201)의 좌우측에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 형성하되, 유연성이 확보되는 일정 굵기를 가지는 합성수지재 로프를 상기 보온재(200)의 몸체부에 인서트하여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동파방지용 보온재와 뚜껑에 충전되는 보온재는 단열성과 탄성이 우수한 무가교 발포폴리에틸렌폼 또는 가교 발포폴리에틸렌폼으로 형성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수량계의 동파방지용 보온재가 수량계 보호통의 내벽에 탄력 지지되는 동시에 수량계 또는 개폐밸브 및 수도관에 탄력 지지됨으로써, 우기에 보호통으로 빗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보온재가 부력에 의해 수량계 보호통 상측으로 부상되지 않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고안은 수량계 보호통에 내삽되는 보온재를 단열효과가 우수한 소재를 사용하여 단일 몸체로 형성함으로써, 보온 효과를 향상시키고, 보온재 부품수를 간단화하며, 보온재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보온재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보온재 장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보온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동파방지용 보온재 외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동파방지용 보온재의 단면과 밑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동파방지용 보온재(200, 이하 ‘보온재’라 한다.)는 수량계 보호통(1)에 내삽되어 수량계를 보온하여 동절기에 수량계(100)가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며, 우기에 수량계 보호통으로 유입되는 빗물에 의해 동파방지용 보온재가 부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온재(200)의 몸체부(200a)는 일체로 형성하고, 보온재(200)의 중앙에 수량계 확인용 관통구(201)와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며 보온재가 충전된 뚜껑(202)을 구비하고, 보온재의 외주연은 상기 몸체부(200a)가 수량계 보호통 내벽에 밀착 지지되어 보온재를 탄력 지지하는 밀착돌기(203)를 형성하며, 상기 보온재(200)의 상부면 양측에는 보온재 인출용 인출손잡이(207)를 형성한다.
그리고 보온재(200)의 하부면에는 수량계가 끼워져 보온재를 탄력 지지하는 제1삽입구(204)를 형성하고, 상기 제1삽입구(204)의 좌우측에 연결되어 수도관(100a)이 끼워져 보온재를 탄력 지지하는 장홈(206)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장홈(206)의 양측 단부에는 수도라인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00b)와 수도관 엘보우 부위가 끼워져 계폐밸브가 보온재를 탄력지지하는 제2삽입구(205)를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보온재(200)에 형성되는 수량계 확인용 관통구(20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단부가 반원으로 연결되는 장방형 관통구로 형성하되 상부면으로부터 3cm~10cm의 깊이로 형성한다.
상기 관통구(201)를 개폐하는 뚜껑(202)은 상부에 반원형 손잡이(202a)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구(201)의 깊이에 밀착되면서 삽입되며 내부에 공간이 구비된 삽입부(202b)를 형성하며, 상기 삽입부(202b)의 공간에는 뚜껑보온재(202c)를 충전한다.
상기 보온재(200)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밀착돌기(203)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연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복수개를 형성하며, 돌기는 보온재의 몸체부(200a)로부터 만곡선으로 이어지고 돌출단부(203a)는 상기 몸체부(200a)의 만곡선 하단부로부터 0.2cm~2cm로 돌출된 높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온재(200) 외주연의 몸체부(200a)는 상기 수량계 보호통의 내면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고, 보온재를 수량계 보호통에 가압하여 장착하면 몸체부(200a)로부터 돌출된 밀착돌기(203)가 몸체부로 탄성 수축되면서 수량계 보호통의 내벽과 탄성 지지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수량계 보호통에 빗물이 유입될 경우 보온재가 부력에 의해 부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온재(20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수량계(100)가 끼워지는 제1삽입구(20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량계(100)의 외형 최대치수보다 1mm~3mm로 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삽입구(205)는 개폐밸브(100b)의 외형 최대 치수보다 1mm~3mm로 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수량계 외형 최대치수가 수량계 직경이고, 이 직경이 80mm라면 상기 제1삽입구(204)는 77mm~79mm로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구(204)와 제2삽입구(205)는 보온재(200)의 하부면에서 50~100mm 깊이로 형성하여 수량계(100)와 개폐밸브(100b)가 상기 제1삽입구(204) 및 제2삽입구(205)에 각각에 끼워져 결합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2삽입구(205)는 2개가 형성되지만 이 제2삽입구(205)의 어느 하나에 개폐밸브(100b)와 엘보우 부위가 끼워져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삽입구(204) 직경보다 외형이 큰 수량계(100)가 제1삽입구를 확장시키면서 끼워지면 보온재(200)가 수량계에 탄력 지지되고, 이러한 수량계에 의한 탄력 지지력이 상기 밀착돌기에 의한 탄력 지지력에 추가되어 보호통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에 의해 보온재가 부상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삽입구(205)의 직경보다 외형이 큰 개폐밸브(100b)가 제2삽입구(205)를 확장시키면서 끼워지면 보온재(200)가 개폐밸브에 의해 탄력 지지되고, 이러한 개폐밸브에 의한 탄력 지지력이 상기 밀착돌기에 의한 탄력 지지력과 수량계에 의한 탄력 지지력에 추가되어 보호통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에 의해 보온재가 부상되는 것을 더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온재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장홈(206)은 상기 제1삽입구(204) 및 제2삽입구(205)와 동일한 깊이로 형성하며, 홈의 폭을 수도관(100a) 외경보다 1mm~2mm 적게 형성하도록 한다. 예컨대 엘보를 포함하는 가정용 수도관(100a)의 경우 수도관 직경이 13mm인 경우에는 상기 장홈(206)의 폭을 11mm~12mm로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장홈(206)의 폭보다 외경이 큰 수도관(100a)이 장홈(206)를 확장시키면서 끼워지면 보온재(200)는 수도관에 의해 탄력 지지되고, 이러한 수도관에 의한 탄력 지지력이 상기 밀착돌기에 의한 탄력 지지력과 수량계에 의한 탄력 지지력 및 개폐밸브에 의한 탄력 지지력에 추가되어 보호통 내부로 유입되는 빗물에 의해 보온재가 부상되는 것을 더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온재 인출용 인출손잡이(207)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온재(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관통구(201)의 좌우측에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 형성하되, 유연성이 확보되는 일정 굵기를 가지는 합성수지재 로프를 상기 보온재(200)의 몸체에 인서트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온재(200)와 뚜껑에 충전되는 뚜껑보온재(202c)는 모두 열전도율이 낮아 단열성과 보온성 및 탄성이 우수한 무가교 발포폴리에틸렌폼 또는 가교 발포폴리에틸렌폼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특히 수량계 보호통의 내벽에 보온재가 탄력 지지되는 동시에 수량계와 개폐밸브 및 수도관에 탄력 지지되어 우기에 보호통으로 빗물이 유입되더라도 부력에 의해 수량계 보호통 밖으로 부상되어 유실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수량계 열전도율이 낮고 탄성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여 몸체부를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보온 효과를 향상시키고, 보온재 부품수를 간단화하며, 보온재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보온재 설치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 : 수량계 보호통 100 : 수량계
200 : 보온재 201 : 관통구
202 : 뚜껑 203 : 밀착돌기
204 : 제1삽입구 205 : 제2삽입구
206 : 장홈 207 : 인출손잡이

Claims (3)

  1. 수량계 동파방지용 보온재에 있어서,
    보온재의 몸체부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보온재(200)의 중앙에 수량계 확인용 관통구(201)를 형성하며,
    상기 관통구를 개폐하는 뚜껑보온재가 충전된 뚜껑(202)을 구비하고,
    상기 보온재의 외주연은 수량계 보호통의 내벽에 밀착되어 보온재를 탄력 지지하는 밀착돌기(203)를 형성하며,
    상기 보온재의 하부면에는 수량계가 끼워져 보온재를 탄력지지하는 제1삽입구(204)와 개폐밸브가 끼워져 보온재를 탄력지지하는 제2삽입구 및 수도관이 끼워져 보온재를 탄력 지지하는 장홈(206)을 형성하고,
    상기 보온재의 상부 양측에 보온재 인출용 인출손잡이(207)를 포함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용 보온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200)의 외주연에 형성되는 밀착돌기(203)는 외주연의 상면과 하면 사이에 복수개를 형성하며, 돌기는 보온재의 몸체부(200a)로부터 0.5cm~2cm로 돌출시켜 형성하고,
    상기 보온재(200)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수량계가 끼워지는 제1삽입구(204) 직경은 수량계의 외형 최대치수보다 1mm~3mm로 적게, 상기 제2삽입구 직경은 개폐밸브의 외형 최대치수보다 1mm~3mm로 적게 형성하며,
    상기 장홈(206)은 상기 제1삽입구(204)의 좌우측으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장홈의 좌우측 단부에 제2삽입구를 형성하되, 상기 장홈과 제1삽입구 및 제2삽입구를 동일한 깊이로 형성하고,
    상기 보온재 인출용 인출손잡이(207)는 보온재(2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관통구(201)의 좌우측에 일정거리 이격된 곳에 형성하되, 유연성이 확보되는 일정 굵기를 가지는 합성수지재 로프를 상기 보온재(200)의 몸체부에 인서트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용 보온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재와 뚜껑에 충전되는 보온재는 단열성과 탄성이 우수한 무가교 발포폴리에틸렌폼 또는 가교 발포폴리에틸렌폼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파방지용 보온재.
KR2020130005568U 2013-07-08 2013-07-08 동파방지용 보온재 KR2004688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568U KR200468830Y1 (ko) 2013-07-08 2013-07-08 동파방지용 보온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568U KR200468830Y1 (ko) 2013-07-08 2013-07-08 동파방지용 보온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8830Y1 true KR200468830Y1 (ko) 2013-09-04

Family

ID=5139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568U KR200468830Y1 (ko) 2013-07-08 2013-07-08 동파방지용 보온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8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951B1 (ko) * 2013-10-17 2015-02-02 신우산업 (주) 동파방지용 수도미터기 보온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585A (ko) * 2005-09-20 2006-03-06 (주)남신테크 수도미터기용 동파방지 장치
KR20110013081A (ko) * 2009-08-01 2011-02-09 (주)한영계기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하부 보온재의 내삽용 보온재
KR101266163B1 (ko) 2012-10-29 2013-05-21 박은선 수전 분리용 동파방지 계량기 보호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585A (ko) * 2005-09-20 2006-03-06 (주)남신테크 수도미터기용 동파방지 장치
KR20110013081A (ko) * 2009-08-01 2011-02-09 (주)한영계기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하부 보온재의 내삽용 보온재
KR101266163B1 (ko) 2012-10-29 2013-05-21 박은선 수전 분리용 동파방지 계량기 보호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7951B1 (ko) * 2013-10-17 2015-02-02 신우산업 (주) 동파방지용 수도미터기 보온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919Y1 (ko) 동결방지 파이프
KR200468830Y1 (ko) 동파방지용 보온재
RU2008104150A (ru) Корпус для изолированных труб
KR101397315B1 (ko) 지상형 보온 보호통
KR200471750Y1 (ko) 공기층부 보온재
KR101128268B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에 수납되는 단열부재의 밀봉구조
KR200471727Y1 (ko) 공기층부 보온재
KR101705984B1 (ko) 수량계의 동파 및 결로 방지용 보온재
KR200472473Y1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KR101087579B1 (ko) 보온 덮개 고정수단을 갖는 수도미터기 보호통
KR100976932B1 (ko) 상수도용 부동전
KR101257323B1 (ko) 상수도용 부동전
KR101199772B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덮개 고정장치
KR102075865B1 (ko) 수도 미터기 보호함
KR101210318B1 (ko) 수도계량기의 동파를 방지할 수 있는 보온캡
KR200375927Y1 (ko) 수도계량기용 보호통
KR20110013081A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하부 보온재의 내삽용 보온재
KR100788908B1 (ko) 볼록렌즈가 형성된 동파방지용 수도계량기
KR102228794B1 (ko) 수도미터기 보호함의 오수배출용 체크밸브
KR200379269Y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 보온뚜껑
KR200190678Y1 (ko) 아파트용 양수기함과 수도미터기 보호통
KR101856945B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
KR200422219Y1 (ko) 기밀성이 향상된 수도 계량기함
KR100432778B1 (ko) 수도 미터기 이중 보온 보호통
KR100802899B1 (ko) 동파 방지형 수도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31206

Effective date: 2014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