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865B1 - 수도 미터기 보호함 - Google Patents

수도 미터기 보호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865B1
KR102075865B1 KR1020190066662A KR20190066662A KR102075865B1 KR 102075865 B1 KR102075865 B1 KR 102075865B1 KR 1020190066662 A KR1020190066662 A KR 1020190066662A KR 20190066662 A KR20190066662 A KR 20190066662A KR 102075865 B1 KR102075865 B1 KR 102075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ter
water
main body
protecto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6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정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정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정산업
Priority to KR10201900666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10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 E03B7/12Devices preventing bursting of pipes by freezing by preventing freez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도 미터기 보호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함 내부에 구비된 수도 미터기를 보호하며, 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부식 방지와 보온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특히, 보호함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도 신속하게 자연 배수되도록 구성하며, 수도 미터기에 구비된 전열선을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시켜 동절기 동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은, 입,출수관(S)을 내부에 수납하는 한 쌍의 보호관체(20)가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입,출수관(S)에 양측이 연결된 수도미터기(T)를 내부에 수납하는 보호함 본체(10)와;
상기 보호함 본체(10)의 내부에 수도미터기(T)를 감싸는 보온부재(40)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함 본체(10)의 상부를 덮어 보호하는 외부덮개(30)와;
상기 입,출수관(S)의 직경에 대응해 상부끼움링(53)이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방향으로 상기 보호함 본체(10)의 바닥판(11)에 조립되는 받침부(51)가 일체로 형성된 방수커버(50)를 더 포함시켜 구성된다.

Description

수도 미터기 보호함 {Protected water meter}
본 발명은 수도 미터기 보호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함 내부에 구비된 수도 미터기를 보호하며, 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부식 방지와 보온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특히, 보호함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도 신속하게 자연 배수되도록 구성하며, 수도 미터기에 구비된 전열선을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시켜 동절기 동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다가구 주택에 공급하는 수도의 사용량을 계량하기 위하여 수도미터기가 지중(地中)에 설치되는데, 상기 수도미터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수도미터기 보호함 내부에 설치한다.
상기 수도미터기 보호함의 구성은 수도미터기가 수납되는 보호함 본체와 상기 보호함 본체의 하면에 입수관 및 출수관이 수납되는 보호관체와, 보호함 본체 상부에는 외부덮개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함 본체 내측에는 보온 및 단열을 위하여 보온통과 보온덮개가 수납되며, 상기 보온통 중앙에는 검침구가 형성되고, 상기 검침구에 착탈 가능하는 보온마개가 구비되어 달성한다.
상기 수도미터기 보호함을 구성하는 보호함 본체와 보호관체는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시켜 형성하고, 보온통과 보온덮개 및 보온마개는 스티로폼 소재(보온재)로 형성되어 보온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보온덮개 및 보온마개에는 보호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수도미터기 보호함은, 장마기에 우수가 수도미터기 보호함 본체 내부로 유입되어 물이 차게 되면 보온덮개 및 보온마개는 보온재의 부력으로 상승되면서 외부덮개를 밀어 올려 외부덮개와 보온덮개 및 보온마개는 물에 떠내려가거나 파손되는 폐단이 발생되고, 수도미터기 보호함의 본체 내에는 토사나 자갈 등이 유입되어 수도미터기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수도미터기 보호함은 보호관체의 내경과 입수관 및 출수관의 외경과 직경 차이에 따른 틈새가 발생되어, 상기 틈새를 통해 지중에 머금고 있는 물 또는 우천 시 지표로 흡수되는 물이 보호함 본채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보호함 본체 내부의 보온부재의 손상 및 토사가 적층되는 폐단이 여전하고 동절기에는 상기 유입된 물이 얼어 수도미터기의 동파에 나쁜 영향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3141호. 수도미터기 보호통에 수도관을 보호하는 지지관의 결합구조 (공개일자 2005년 08월 25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도미터기 보호함의 내부에 방수커버를 장착시켜, 보호관체를 통한 물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보호함 내부의 보온부재 및 수도미터기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함 본체 내부에 물이 유입되어도 자연 배수시킬 수 있으면서 역류 방지되는 배수부재를 더 장착시켜, 보호함 본체 내부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함 본체 내부의 물 유입 및 저장을 방지함으로써, 수도미터기에 전열수단을 더 장착 가능하여 동절기 상기 수도미터기의 동파를 방지하여 제품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출수관(S)을 내부에 수납하는 한 쌍의 보호관체(20)가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입,출수관(S)에 양측이 연결된 수도미터기(T)를 내부에 수납하는 보호함 본체(10)와;
상기 보호함 본체(10)의 내부에 수도미터기(T)를 감싸는 보온부재(40)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함 본체(10)의 상부를 덮어 보호하는 외부덮개(30)와;
상기 입,출수관(S)의 직경에 대응해 상부끼움링(53)이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방향으로 상기 보호함 본체(10)의 바닥판(11)에 조립되는 받침부(51)가 일체로 형성된 방수커버(50)를 더 포함시켜 구성된다.
또, 상기 보호함 본체(10)의 바닥판(11)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드레인관(13)을 더 형성시키고, 상기 드레인관(13)에 물을 외부로 일방향 배수하는 배수부재(60)가 더 형성되어 달성한다.
또한, 상기 보호함 본체(10)의 내부에는 외부전원으로 작동 가능한 온도감지센서(71)와 전열밴드(72)가 구비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71)의 전기신호를 제공받은 제어부(73)의 인가에 따라 전열밴드(72)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전열수단(70)이 더 포함되어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덮개(30)는, 저면 둘레를 따라서 외측패킹홈(31)을 형성시켜, 눕혀진 'ㄷ' 형상을 갖고 내측에 보호함 본체(10)의 개구된 벽체 상부가 끼워지는 본체끼움홈(35a)을 갖는 외측패킹부재(35)가 더 장착된다.
또, 상기 방수커버(50)는 받침부(51)의 저면에 보호관체(20)와 입,출수관(S) 사이의 틈새에 끼워지는 하부끼움링(54)이 더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 절개된 슬릿홈(55)을 더 형성시켜, 보호관체(20)를 통해 보호함 본체(10)에 인입된 입,출수관(S)의 측면에서 상기 방수커버(50)의 슬릿홈(55)을 벌려 조립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재(60)는, 보호함 본체(10)의 바닥판(11)에 구비된 링크고정대(14)와 힌지핀(15)으로 부레링크바(62)가 연결되어, 상기 부레링크바(62) 일측에 부력으로 이동되는 부레(61)가 구비되고, 타측에 배수홀(12)을 개폐하는 배수마개(63)가 위치하며, 상기 배수마개(63)는 드레인관(13)의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받침판(16) 사이에 더 구비된 복귀스프링(64)에 지지되어, 상기 배수홀(12)을 폐쇄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함 본체(10)의 바닥판(11)에 형성된 배수홀(12)에는, 상부에 형성된 배수받침부()가 바닥판(11)에 지지되고, 하부는 상기 배수홀(12)을 통과해 보호함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된 길이를 갖고 서로 면접촉되게 오므려진 연질의 필름튜브(67)가 조립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도 미터기 보호함의 내부에서 방수커버가 장착되어 보호관체와 입,출수관의 틈새를 막아 외부에서의 물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보호함 본체 내부의 오염 및 훼손을 방지하고 보온부재 및 수도미터기를 보호할 수 있다.
또, 보호함 본체를 외부덮개의 패킹부재가 3면 접촉하며 덮여져 우천 및 물에 잠기는 경우에도 보호함 본체의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보호함 본체 내부에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도 배수부재를 이용해 일방향 자연 배수되도록 구성하여 제품의 사용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보호함 본체 내부의 수도 미터기에 전열수단을 더 장착시켜 동절기 보호함 본체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수도 미터기를 보온시킴으로써, 상기 수도 미터기의 동파를 방지하여 제품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 등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수도 미터기 보호함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수도 미터기 보호함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보호함 본체와 외부덮개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보호함 본체와 방수커버의 결합 단면도.
도 5a 및 도5b는 본 발명의 구성인 방수커버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인 배수부재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인 배수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인 수도 미터기 보호함은, 보호함 내부에 구비된 수도 미터기를 보호하며, 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부식 방지와 보온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특히, 보호함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도 신속하게 자연 배수되도록 구성하며, 수도 미터기에 구비된 전열선을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시켜 동절기 동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수도 미터기 보호함(100)은, 크게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형상을 갖고 지중(地中)에 설치되어, 가정이나 다가구 주택에 공급하는 수도의 사용량을 계량하는 수도미터기를 안전하게 보호하는데 사용되며, 내부에 보온부재(40)가 수납되고, 개구된 상부를 차폐하기 위한 외부덮개(30)가 조립된다.
상기 보호함 본체(10)는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하부 바닥판(11)에 입,출수관(S)이 삽입되는 인입구(미부호)가 형성되면서, 상기 인입구 내부에 파이프 형상을 갖는 보호관체(20)가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인입구와 보호관체(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보호함 본체(10)의 하부 양측에 구비된 보호관체(20)에 입,출수관(S)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입,출수관에 연결되는 수도미터기(T)가 보호함 본체(10)의 수용공간에 위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보호함 본체(10)의 내부에는 보온 및 단열을 위하여 보온부재(40)가 수납되는데, 상기 보온부재(40)는 크게 수도미터기(T)를 감싸는 보온통(41)과, 상기 보온통(41)의 상부에서 수도미터기(T)를 덮는 보온덮개(45)로 구성되며, 상기 보온덮개(45)의 중앙에는 검침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검침구멍에 착탈 가능하게 보온마개(47)가 더 조립되는데, 상기 보온부재(40)는 이미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 상기 보호함 본체(10)와 보호관체(20)는 합성수지재를 사출 성형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온부재(40)는 스티로폼 소재(보온재)로 성형시켜 보온 및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보호함 본체(10)의 개구된 상부에 조립되는 외부덮개(30)는, 도 3에서와 같이 저면 둘레를 따라서 외측패킹홈(31)을 형성시켜, 눕혀진 'ㄷ' 형상을 갖고 내측에 본체끼움홈(35a)이 구비된 고무재질의 외측패킹부재(35)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보호함 본체(10)의 개구된 벽체 상부에 상기 외측패킹부재(35)의 본체끼움홈(35a)이 3면이 접촉되며 끼워져 외부덮개(30)가 조립된 보호함 본체(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외부덮개(30)에는 착탈 가능한 점검덮개(33)가 더 구비되어, 상기 보호함 본체(10)에 외부덮개(30)가 조립된 상태에서도 점검덮개(33) 만을 열어 상기 보온덮개(45)의 보온마개(47)가 노출되게 한 다음 보온마개(47)를 열어 수도미터기(T)를 검침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외부덮개(30)의 중앙에는 점검구(32)를 단턱지게 형성시키고, 점검덮개(33)의 저면에 내측패킹부재(36)가 구비된 덮개삽입구(34)를 상기 점검구(32)에 끼워 외부 이물질 및 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성을 증대시키며, 상부에 만곡진 오목부에 손잡이를 형성시켜 상기 점검덮개(33)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함 본체(10)는 내부 수용공간으로 물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도 4에서와 같이 보호함 본체(10)의 바닥판(11)과 인입된 입,출수관(S)에 방수커버(50)를 각각 조립하여 보호관체(20)와 입,출수관(S)의 직경차이에 따른 틈새를 기밀되게 폐쇄시킨다.
상기 방수커버(50)는, 입,출수관(S)이 끼워지는 상부끼움링(53)이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부(52)와 보호함 본체(10)의 바닥판(11)에 체결되는 받침부(51)를 포함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연질의 고무재질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 가능함을 밝혀둔다.
또, 상기 상부끼움링(53)은, 입,출수관(S)의 직경에 대응하는 직경을 갖게 성형시켜 입,출수관(S)에 억지 끼움 조립하거나, 상부끼움링(53)의 외경에 고정클램프(57)를 더 구비시켜 상기 고정클램프(57)의 조임으로 입,출수관에 상부끼움링(53)의 내경과 밀착되게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부끼움링(53) 및 받침부(51)에 연질의 실링부재(미도시)를 더 장착시켜 입,출수관 및 바닥판(11)과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방수커버(50)는 기밀을 위해 연질 재질로 성형되는데, 상기와같이 보호함 본체(10)의 바닥판(11)에 직접 체결하는 것보다 금속 또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가압링(56)을 받침부(51) 상면에 위치시키 다음 조립나사로 체결하여 방수커버(50)의 파손 방지 및 기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방수커버(50)는 도 5a와 같이 받침부(51)의 저면에 보호관체(20)와 입,출수관(S) 사이의 틈새에 끼워지는 하부끼움링(54)을 더 돌출 형성시켜, 상기 방수커버(50)의 조립 시에 하부끼움링(54)을 먼저 끼우고 상부끼움링(53)과 받침부(51)를 후 조립하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방수커버(50)의 일측에 절개된 슬릿홈(55)을 형성시켜, 보호관체(20)를 통해 보호함 본체(10)에 인입된 입,출수관(S)의 측면에서 상기 방수커버(50)의 슬릿홈(55)을 벌려 수평 조립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보호함 본체(10)에 입,출수관(S)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방수커버(50)의 슬릿홈(55)을 벌려 상기 입,출수관의 측면에서 상부끼움링(53)을 끼우고 바닥판(11)에 받침부(51)를 고정한 다음 상기 고정클램프(57) 및 별도의 접착부재로 슬릿홈(55)이 벌어지지 않도록 부착함으로서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보호함 본체(10)의 바닥판(11)에는 배수홀(12)을 형성하고 상기 배수홀(12)을 통해 외부와 연통되는 드레인관(13)이 보호함 본체(10)의 저면에 체결되어, 상기 보호함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외부로 일방향 배수시키는 배수부재(6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배수부재(60)는, 도 6에서와 같이 보호함 본체(10)의 바닥판(11)에 고정되어 상부로 돌출 형성된 링크고정대(14)에 부레링크바(62)가 힌지핀(15)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부레링크바(62)의 일측 즉, 보호함 본체(10)의 내부에 경량체인 부레(61)가 구비되고, 상기 부레링크바(62)의 타측에는 상기 배수홀(12)을 개폐하는 배수마개(63)가 위치한다.
또, 상기 배수마개(63)는 드레인관(13)의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받침판(16) 사이에 더 구비된 복귀스프링(64)에 지지되어, 상기 복귀스프링(64)의 탄력으로 배수홀(12)을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보호함 본체(10)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부력에 의해 부레(61)가 상승하면서 힌지핀(15)을 중심으로 부레링크바(62)에 연결된 배수마개(63)를 하향 이동시키면서 배수홀(12)이 개방되어 유입된 물을 배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수마개(63)는 복귀스프링(64)은 밀어 복원탄성력을 갖도록 함으로써, 보호함 본체(10)에 유입된 물이 배수되면 상기 복귀스프링(64)의 복원탄성력에 의해 배수마개(63)를 상향 이동시켜 배수홀(12)을 폐쇄시키도록 하는데, 상기 부레링크바(62)의 길이를 길게 연장 상형하면 비교적 적은 물에도 부레(61)가 상승하면서 배수마개(63)를 하향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보호함 본체(10)의 바닥판(11)에 형성된 배수홀(12)에는, 연질의 필름튜브(67)로 구성된 배수부재(60)가 조립되어 보호함 본체(10)에 유입된 물의 압력에 의해 자동 배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필름튜브(67)는, 상부에 형성된 배수받침부()가 바닥판(11)에 지지되고, 하부는 상기 배수홀(12)을 통과해 보호함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된 길이를 갖고 서로 면접촉되게 오므려져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필름튜브(67)는 두장의 필름을 맞대어 양단부만을 열융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시켜서 만들어지며, 상기 필름튜브(67) 내부로 압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얇은 판상형태로 서로 오므려진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배수홀(12)을 통해 필름튜브(67) 내부로 물이 배수되면 상기 필름튜브의 중앙으로 물이 이동하는 관 형태를 갖게 되면서 하부로 물이 배출된 다음 상기 내부에 잔존하는 수분에 의해 필름튜브(67)의 내면이 서로 접촉하며 오므려지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보호함 본체(10) 내부에는 동절기 수도미터기(T)의 동파를 방지하기 위한 전열수단(70)이 더 장착되는데, 상기 전열수단(70)의 구성으로 외부전원으로 작동 가능한 온도감지센서(71)와 전열밴드(72)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감지센서(71)의 전기신호를 제공받은 제어부(73)의 인가에 따라 전열밴드(72)를 작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즉, 보호함 본체(10)의 내부에 외부전원 및 제어부(73)와 연결된 온도감지센서(71)가 구비되어 동절기 내부 온도가 낮아지면 수도미터기(T)를 감싼 전열밴드(72)에 전기를 인가하여 상기 전열밴드(72)의 열기에 수도미터기(T)의 동파를 자동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과 함께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보호함 본체 11. 바닥판
12. 배수홀 13. 드레인관
14. 링크고정대 20. 보호관체
30. 외부덮개 31. 외측패킹홈
32. 점검구 35. 외측패킹부재
40. 보온부재 50. 방수커버
51. 받침부 53. 상부끼움링
60. 배수부재 61. 부레
62. 부레링크바 63. 배수마개
70. 전열수단 100. 수도 미터기 보호함
T. 수도미터기 S. 입,출수관

Claims (8)

  1. 입,출수관(S)을 내부에 수납하는 한 쌍의 보호관체(20)가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입,출수관(S)에 양측이 연결된 수도미터기(T)를 내부에 수납하는 보호함 본체(10)와;
    상기 보호함 본체(10)의 내부에 수도미터기(T)를 감싸는 보온부재(40)가 구비되고, 상기 보호함 본체(10)의 상부를 덮어 보호하는 외부덮개(30)와;
    상기 입,출수관(S)의 직경에 대응해 상부끼움링(53)이 일측에 구비되고, 타측방향으로 상기 보호함 본체(10)의 바닥판(11)에 조립되는 받침부(51)가 일체로 형성된 방수커버(50)를 더 포함시켜 구성되되;
    상기 보호함 본체(10)의 바닥판(11)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드레인관(13)을 더 형성시키고, 상기 드레인관(13)에 물을 외부로 일방향 배수하는 배수부재(60)가 더 형성되며,
    상기 배수부재(60)는, 보호함 본체(10)의 바닥판(11)에 구비된 링크고정대(14)와 힌지핀(15)으로 부레링크바(62)가 연결되어, 상기 부레링크바(62)의 일측에 부력으로 이동되는 부레(61)가 구비되고, 타측에 배수홀(12)을 개폐하는 배수마개(63)가 위치하며, 상기 배수마개(63)는 드레인관(13)의 내측에 구비된 스프링받침판(16) 사이에 더 구비된 복귀스프링(64)에 지지되어, 상기 배수홀(12)을 폐쇄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미터기 보호함.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보호함 본체(10)의 내부에는 외부전원으로 작동 가능한 온도감지센서(71)와 전열밴드(72)가 구비되어 상기 온도감지센서(71)의 전기신호를 제공받은 제어부(73)의 인가에 따라 전열밴드(72)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전열수단(70)이 더 포함되어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미터기 보호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덮개(30)는, 저면 둘레를 따라서 외측패킹홈(31)을 형성시켜, 눕혀진 'ㄷ' 형상을 갖고 내측에 보호함 본체(10)의 개구된 벽체 상부가 끼워지는 본체끼움홈(35a)을 갖는 외측패킹부재(35)가 더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미터기 보호함.
  5. 청구항 1에 있어서,
    방수커버(50)는 받침부(51)의 저면에 보호관체(20)와 입,출수관(S) 사이의 틈새에 끼워지는 하부끼움링(54)이 더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미터기 보호함.
  6. 청구항 1에 있어서,
    방수커버(50)는 일측에 절개된 슬릿홈(55)을 더 형성시켜, 보호관체(20)를 통해 보호함 본체(10)에 인입된 입,출수관(S)의 측면에서 상기 방수커버(50)의 슬릿홈(55)을 벌려 조립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미터기 보호함.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보호함 본체(10)의 바닥판(11)에 형성된 배수홀(12)에는, 상부에 형성된 배수받침부()가 바닥판(11)에 지지되고, 하부는 상기 배수홀(12)을 통과해 보호함 본체(10)의 외부로 연장된 길이를 갖고 서로 면접촉되게 오므려진 연질의 필름튜브(67)가 조립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 미터기 보호함.

KR1020190066662A 2019-06-05 2019-06-05 수도 미터기 보호함 KR102075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662A KR102075865B1 (ko) 2019-06-05 2019-06-05 수도 미터기 보호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662A KR102075865B1 (ko) 2019-06-05 2019-06-05 수도 미터기 보호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865B1 true KR102075865B1 (ko) 2020-02-10

Family

ID=69627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662A KR102075865B1 (ko) 2019-06-05 2019-06-05 수도 미터기 보호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8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794B1 (ko) * 2020-08-25 2021-03-17 주식회사 안정산업 수도미터기 보호함의 오수배출용 체크밸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874Y1 (ko) * 1993-11-16 1996-05-14 최귀분 수도 계량기의 개량 보호통
KR20030039111A (ko) * 2001-11-12 2003-05-17 주식회사 안전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50083141A (ko) 2005-07-27 2005-08-25 김하용 수도미터기 보호통에 수도관을 보호하는 지지관의 결합구조
KR101194229B1 (ko) * 2011-12-05 2012-11-08 주식회사 청안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장치
JP2016211627A (ja) * 2015-04-30 2016-12-15 丸一株式会社 逆流防止弁を備えた配管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3874Y1 (ko) * 1993-11-16 1996-05-14 최귀분 수도 계량기의 개량 보호통
KR20030039111A (ko) * 2001-11-12 2003-05-17 주식회사 안전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50083141A (ko) 2005-07-27 2005-08-25 김하용 수도미터기 보호통에 수도관을 보호하는 지지관의 결합구조
KR101194229B1 (ko) * 2011-12-05 2012-11-08 주식회사 청안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장치
JP2016211627A (ja) * 2015-04-30 2016-12-15 丸一株式会社 逆流防止弁を備えた配管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794B1 (ko) * 2020-08-25 2021-03-17 주식회사 안정산업 수도미터기 보호함의 오수배출용 체크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865B1 (ko) 수도 미터기 보호함
KR100788885B1 (ko) 수도계량기의 동파방지용 보온커버
KR101397315B1 (ko) 지상형 보온 보호통
KR200460919Y1 (ko) 동결방지 파이프
KR102552139B1 (ko) 방수어셈블리가 구비된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하부 방수구조
KR101128268B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에 수납되는 단열부재의 밀봉구조
KR101705984B1 (ko) 수량계의 동파 및 결로 방지용 보온재
KR101936545B1 (ko) 수도계량기 보온재의 부력 방지용 뚜껑
KR102228794B1 (ko) 수도미터기 보호함의 오수배출용 체크밸브
KR102083367B1 (ko) 수도 계량기 보온재
KR100487271B1 (ko) 검침이 용이한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덮개
KR101611074B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
KR100788908B1 (ko) 볼록렌즈가 형성된 동파방지용 수도계량기
US6353708B1 (en) Apparatus for mounting an electrical heater through a water tank drain plug opening
KR200468830Y1 (ko) 동파방지용 보온재
KR102554040B1 (ko) 수도계량기 보호통의 하부 방수구조
KR200163413Y1 (ko) 수도계량기용보온커버
KR101856945B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용 보온재
KR102616904B1 (ko) 수도미터기용 원격송수신 보호통
KR200422219Y1 (ko) 기밀성이 향상된 수도 계량기함
KR200346620Y1 (ko) 수도미터기의 보호통
KR200144486Y1 (ko) 수도미터기 보호통의 뚜껑 밀봉구조
KR100432778B1 (ko) 수도 미터기 이중 보온 보호통
KR100886893B1 (ko) 수도 미터기 보호통용 보온 뚜껑
KR100947541B1 (ko) 수도계량기용 동파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