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7297B1 -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297B1
KR100717297B1 KR1020050115286A KR20050115286A KR100717297B1 KR 100717297 B1 KR100717297 B1 KR 100717297B1 KR 1020050115286 A KR1020050115286 A KR 1020050115286A KR 20050115286 A KR20050115286 A KR 20050115286A KR 100717297 B1 KR100717297 B1 KR 100717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drain hole
contact
delete delete
side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5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3676A (ko
Inventor
임흥호
Original Assignee
임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50109577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60063661A/ko
Application filed by 임흥호 filed Critical 임흥호
Priority to PCT/KR2005/00416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6062340A1/en
Publication of KR20060063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수로의 입구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빗물 및 오폐수(이하 "유체"라 통칭함)는 원활하게 배수되고 악취가스의 역류는 차단되도록 한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중앙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그 배수공의 4방에는 배수로의 입구에 안착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그 플랜지의 하면 4방에는 배수로에 삽입되는 측벽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플랜지의 하면 4방에 형성된 측벽 중 상호 마주보는 양 측벽에 상기 배수공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배수공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각각의 댐퍼가 고정수단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설치된 상기 각각의 댐퍼 끝부분은 상호 긴밀히 접촉되게 구성된 개폐수단과; 상기 양 측벽과 댐퍼가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는 댐퍼와 접촉되고, 타측 단부는 양 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각각의 댐퍼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다.
악취가스, 역류방지, 배수공, 개폐수단, 댐퍼, 탄성부재

Description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Fetid gas flowing backward arrester equipment of dra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를 설치한 상태의 일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측벽에 댐퍼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고정수단의 실시 예를 나타낸 요부 발췌사시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댐퍼 끝 단부 접촉상태의 여러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댐퍼 상승을 제어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 발췌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댐퍼 상부를 실링하는 구성을 나타낸 발췌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12 : 측벽
13 : 배수공 14 : 플랜지
16,24 : 단턱부 20 : 개폐수단
21 : 댐퍼 22 : 축핀
23 : 경사면 24 : 단턱
25 : 기밀유지 층 26,26a : 기밀유지 보호부재
27 : 실링부재 30 : 탄성부재
40 : 배수로 M : 고정수단
본 발명은 배수로의 입구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빗물 및 오폐수(이하 "유체"라 통칭함)는 원활하게 배수되고, 악취가스의 역류는 차단되도록 한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로의 입구에는 유체를 배수하기 위한 구조물이 설치되게 되고, 그 구조물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배수로의 입구에 다수의 유입공이 형성된 뚜껑 또는 그릴이 안착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배수로의 끝단은 하수구와 연결되도록 하여 배수로의 내부로 유입된 유체는 하수구를 통해 빠져 나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하수구에는 배수되는 유체와 함께 유입된 각종 이물질(찌꺼기)들이 누적되어 부패되므로서 악취가스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악취가스는 배수로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출되면서 대기오염은 물론, 대기환경을 해치게 된다.
한편, 상기 배수로의 끝단에 연결된 하수구의 막힘 및 악취를 예방하기 위한 방편으로 배수로의 끝단에 연결되는 하수구에 악취 방지 컵 등을 설치하여 배수로를 타고 올라오는 악취를 차폐하고, 배수로를 통해 유입되는 오물 등을 여과하도록 한 구조가 다수 제안된 바는 있으나, 이러한 것은 그 대부분이 내부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는 데는 미흡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유체가 배수공으로 유입되면 각각의 댐퍼가 개방되면서 그 유입된 유체를 배수로로 원활히 배수시키고, 상기 배수공으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으면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개방된 댐퍼가 원위치 되면서 악취가스의 역류를 차단함으로서,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의 특징적인 기술적 구성은, 중앙에 배수공(13)이 형성되고, 그 배수공(13)의 4방에는 배수로(40)의 입구에 안착되는 플랜지(14)가 형성되며, 그 플랜지(14)의 하면 4방에는 배수로(40)에 삽입되는 측벽(11,12)이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플랜지(14)의 하면 4방에 형성된 측벽(11,12) 중 상호 마주보는 양 측벽(11)에 상기 배수공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배수공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각각의 댐퍼(21)가 고정수단(M)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설치된 상기 각각의 댐퍼(21) 끝부분은 상호 긴밀히 접촉되게 구성된 개폐수단(20)과; 상기 양 측벽(11)과 댐퍼(21)가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는 댐퍼(21)와 접촉되고, 타측 단부는 양 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각각의 댐퍼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댐퍼 끝단이 상호 접촉된 상태의 하단은 상기 댐퍼가 설치되는 양 측벽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되게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댐퍼 끝단이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는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경사면(23)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에는 접촉력 강화를 위하여 실리콘 또는 고무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기밀유지 층(25)을 형성하고, 상기 상호 긴밀히 접촉되는 각각의 댐퍼 끝단부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기밀유지 보호부재(26)가 상기 댐퍼의 끝단부 폭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댐퍼의 상단과 배수공의 외곽에 형성된 양 측벽 간(11)에는 실링부재(27)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댐퍼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는 비틀림 스프링이고, 상기 측벽에 댐퍼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고정수단은 상기 댐퍼의 상부에 축핀(22)이 설치되고, 그 축핀의 끝단은 측벽에 설치되는데, 측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댐퍼의 양 측단면부가 접촉되는 양 측벽에는 댐퍼의 상승을 제어하는 단턱부(15)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과 플랜지 및 측벽이 형성된 본체는 종횡방향으로 적어도 2 개 이상 연속 반복되어 연이어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먼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에 배수공(13)이 형성되고, 그 배수공(13)의 4방에는 배수로(40)의 입구에 안착되는 플랜지(14)가 형성되며, 그 플랜지(14)의 하면 4방에는 상기 배수로(40)에 삽입되는 측벽(11,12)이 형성된 본체(10)가 마련되는데, 상기 배수공(13)은 유체가 유입되는 곳이고, 플랜지(14)는 본체(10)를 배수로(40)로 빠지지 않고 배수로 입구에 안착시켜 견고하게 설치하기 위한 것이며, 측벽(11,12)은 배수로(40)의 입구 내측 면과 접촉되며, 상기 본체(10)의 견고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단, 상기 플랜지(14)의 일측 하면에 형성되는 양 측벽(11)은 플랜지(14)의 타측 하면에 형성되는 양 측벽(12)보다 그 길이가 짧게 형성된다. 그 이유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각 댐퍼(21)의 양 측단면부가 상기 타측의 양 측벽(12)의 내면과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져 기밀성이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체(10)의 타측 양 측벽(12)에는 개폐수단(20)인 각각의 댐퍼(21)가 설치되는데, 그 각각의 댐퍼(21) 설치위치는 타측의 양 측벽(12) 상부에 각각 1개씩 고정수단(M)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각 댐퍼(21)가 고정수단(M)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체적인 구성은, 상기 각 댐퍼(21)의 상부에 축핀(22)이 설치되고, 그 축핀(22)의 끝단은 상기 타측의 양 측벽(12)에 끼워져서 설치되거나 또는 측벽(12)을 관통하여 회전가 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축핀(22)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댐퍼(21)의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설치되는 형태의 축핀(22a)과,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댐퍼(21)의 상부 양 측단에 돌출되게 형성된 축핀(22b)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양 측벽(12)과 각 댐퍼(21)가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는 각각의 댐퍼(21)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30)가 설치되는데, 그 탄성부재(30)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나, 그 외에 댐퍼(21)를 밀어나는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탄성부재(30) 즉, 비틀림 스프링의 경우에는 코일부분은 핀축(22)에 삽입되고, 일측 단부는 댐퍼(21)와 접촉되며, 타측 단부는 양 측벽(11)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또, 상기 타측의 양 측벽(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각각의 댐퍼(21)는 그 길이가 배수공(13)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배수공(13)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댐퍼(21)의 길이가 배수공(13)의 길이보다 짧게 되면 타측의 양 측벽(12) 내면과 댐퍼(21)의 양 측단부간에 공간이 발생하여 기밀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본 발명의 목적인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댐퍼(21)의 길이는 배수공(13)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배수공(13)의 길이보다 길어야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댐퍼(21) 끝단이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는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면(23)이 형성되는데, 이는 경사면(23)이 형성되지 못하면 상기 댐퍼(21) 끝단이 상호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지 못해 기밀성이 저하됨으로 이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악취의 역류를 방지할 수 없게 된다.
상기 각각의 댐퍼(21)의 끝단 경사면(23)에는 그 경사면(23) 상호간의 접촉력 강화를 위하여 실리콘 또는 고무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기밀유지 층(25)을 형성하는데, 그 기밀유지 층(25)을 형성하는 이유는 상기 각각의 댐퍼(21) 끝단 접촉력을 더욱 강화시켜 기밀성을 강화시킴으로서 악취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실리콘 또는 고무재는 그 재질의 특성상 상호간의 접촉력이 좋아 기밀성 유지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 상기 댐퍼(21)의 끝단 경사면(23)에는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밀유지 보호부재(26)가 설치되는데, 기밀유지 보호부재(26)의 재질은 실리콘 또는 고무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길이는 상기 상호 긴밀히 접촉되는 각각의 댐퍼 끝단부 즉, 댐퍼(21)의 경사면 폭보다 길게 형성하여 상기 기밀유지 보호부재(26)간의 접촉면적을 더욱 많이 확보함으로서 긴밀한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기밀유지 보호부재(26) 외에도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은 기밀유지 보호부재(26a)가 각각의 댐퍼 끝단부에 형성되는데, 이의 경우에는 기밀유지 보호부재(26a)가 댐퍼(21) 끝단부에서 상호 접촉되지 않고 상기 댐퍼(21)의 끝단 하부에 위치하는 기밀유지 보호부재(26a)끼리만 접촉되어 더욱 긴밀한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단, 상기 도 4b 및 도 4c의 실리콘 또는 고무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 어진 기밀유지 보호부재(26,26a)는 댐퍼(21) 끝단부에서 그 댐퍼와 일체가 되도록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도 5a 내지 도 5c는 댐퍼(21) 끝단부분이 상호 접촉되는 시점에서 상기 댐퍼의 상승을 제어하는 실시 예를 나타낸 발췌 단면도로서, 이는 먼저 도 5a에 나타낸 양 측벽(12)의 일부 발췌도와, 도 5b에 나타낸 도 5a의 A-A선상 단면도에서와 같이, 댐퍼(21)의 양 측단면부가 접촉되는 양 측벽(12)에는 댐퍼(21)의 상승을 제어하는 단턱부(15)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댐퍼(21)의 끝단부분이 상호 접촉된 상태에서는 댐퍼(21)가 단턱(15)에 의해 더 이상 상승하지 않고 안정된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또, 다른 실시예의 댐퍼 제어수단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측의 댐퍼(21) 하부 표면에 단턱부(24)를 형성하여, 상기 일측의 댐퍼(21) 끝단이 상기 타측의 댐퍼에 형성된 단턱부(24)에 걸려서 정지되므로서, 그 이상으로는 더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댐퍼(21)의 상단과 배수공(13)의 외곽에 형성된 양 측벽(11)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리콘 또는 고무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실링부재(27)를 설치하여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또, 상기 배수공(13)과 플랜지(14) 및 측벽(11,12)이 형성된 본체(1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횡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연속 반복되어 연이어지게 형성시켜서 사용할 수 도 있다. 단, 상기 본체(10)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횡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연속 반복되어 연이어지게 형성된 경우에도 이들의 각 배수공(13) 하부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폐수단(20)과 탄성부재(30)가 양 측벽(11)에 설치되어 댐퍼(21)를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작동시킨다.(도 8참조)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배수로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는 배수공(13)으로 유체가 유입되면, 그 유입되는 유체의 압에 의해 상기 각각의 댐퍼(21)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긴밀히 접촉되어 있던 댐퍼(21)의 끝단이 개방되어 유체가 배수로(40)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30)는 압축되어 더욱 강한 탄성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공(13)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유입이 끝나면, 상기 댐퍼(21)에 미치는 유체 압은 발생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압축되어 있던 탄성부재(30)의 탄성력에 의해 댐퍼(21)가 원위치 되면서 댐퍼(21)의 끝단 경사면(23)이 상호 긴밀히 접촉되어 기밀성을 유지하게 됨을 악취가스의 역류가 차단된다.
한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배수공(13)이 1개로 형성된 본체(10)의 경우에는 배수로(40)의 직경이 작은 경우에 적용함이 바람직하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공(13)이 종횡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연속 반복되어 연이어지게 형성된 경우에는 배수로(40)의 직경이 큰 경우에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는 유체가 배수공으로 유입되면 각각의 댐퍼가 개방되면서 그 유입된 유체를 배수로로 원활히 배수시키고 상기 배수공으로 유체가 유입되지 않으면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개방된 댐퍼 가 원위치 되면서 악취가스의 역류를 차단함으로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중앙에 배수공이 형성되고 그 배수공의 4방에는 배수로의 입구에 안착되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그 플랜지의 하면 4방에는 배수로에 삽입되는 측벽이 형성된 본체와; 플랜지의 하면 4방에 형성된 측벽 중 상호 마주보는 양 측벽에 상기 배수공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배수공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는 각각의 댐퍼가 고정수단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설치된 상기 각각의 댐퍼 끝부분은 상호 긴밀히 접촉되게 구성된 개폐수단과; 양 측벽과 댐퍼가 연결 설치되는 부위에 설치되며, 일측 단부는 댐퍼와 접촉되고, 타측 단부는 양 측벽에 고정되어 상기 각각의 댐퍼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를 구성하되,
    상기 각각의 댐퍼 끝단이 상호 접촉된 상태의 하단은 댐퍼가 설치되는 양 측벽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되게 구성되며,
    상기 각각의 댐퍼 끝단이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는 긴밀한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는 접촉력 강화를 위하여 실리콘 또는 고무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기밀유지 층이 형성되었으며,
    각각의 댐퍼 끝단부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기밀유지 보호부재가 댐퍼의 끝단부 폭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호 긴밀히 접촉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댐퍼의 상단과 배수공의 외곽에 형성된 양 측벽 간에는 실리콘 또는 고무재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 실링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댐퍼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는 비틀림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상기 측벽에 댐퍼를 회동가능하게 설치하는 고정수단은 댐퍼의 상부에 축핀이 설치되고, 그 축핀의 끝단은 측벽에 설치되었으며,
    상기 댐퍼의 양 측단면부가 접촉되는 양 측벽에는 댐퍼의 상승을 제어하는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과 플랜지 및 측벽이 형성된 본체는 종횡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 연속 반복되어 연이어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50115286A 2004-12-07 2005-11-30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 KR100717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5/004162 WO2006062340A1 (en) 2004-12-07 2005-12-06 Fetid gas flowing backward arrester equipment of dr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716 2004-12-07
KR1020040102716 2004-12-07
KR1020050109577 2005-11-16
KR1020050109577A KR20060063661A (ko) 2004-12-07 2005-11-16 배수로용 악취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676A KR20060063676A (ko) 2006-06-12
KR100717297B1 true KR100717297B1 (ko) 2007-05-15

Family

ID=37159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5286A KR100717297B1 (ko) 2004-12-07 2005-11-30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29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25B1 (ko) * 2013-04-11 2013-07-23 (주)맵시전자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KR101634204B1 (ko) 2016-02-22 2016-06-28 박형순 배수구 악취 방지 및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WO2017119772A1 (ko) * 2016-01-06 2017-07-13 오정순 도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1851670B1 (ko) 2017-03-09 2018-06-07 지금배 배수로의 악취 및 역류 차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442B1 (ko) * 2009-06-04 2011-06-16 권혁중 가변 조립식 악취차단장치
KR200465376Y1 (ko) * 2010-09-28 2013-02-15 한국전력공사 역류방지용 지중 구조물 자연배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5193U (ko) * 1991-01-11 1992-08-17 이정진 배수 마개의 개폐장치
KR19990022650U (ko) * 1999-04-01 1999-07-05 이송성 하수역류방지및악취차단장치
KR20000005950U (ko) * 1998-09-05 2000-04-06 권혁중 침사조 및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보유한 배수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5193U (ko) * 1991-01-11 1992-08-17 이정진 배수 마개의 개폐장치
KR20000005950U (ko) * 1998-09-05 2000-04-06 권혁중 침사조 및 악취 역류방지기능을 보유한 배수구
KR19990022650U (ko) * 1999-04-01 1999-07-05 이송성 하수역류방지및악취차단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025B1 (ko) * 2013-04-11 2013-07-23 (주)맵시전자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WO2017119772A1 (ko) * 2016-01-06 2017-07-13 오정순 도로 배수구 악취 차단 장치
KR101634204B1 (ko) 2016-02-22 2016-06-28 박형순 배수구 악취 방지 및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KR101851670B1 (ko) 2017-03-09 2018-06-07 지금배 배수로의 악취 및 역류 차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676A (ko) 2006-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7297B1 (ko) 배수로의 악취가스 역류 방지장치
JP5661781B2 (ja) 一般的に床ドレンに挿入するための枢動フラップ型の逆止弁アセンブリ
KR102053107B1 (ko) 맨홀 악취 방지 장치
JP2013508625A5 (ko)
KR20060083777A (ko) 맨홀 장치
US8439078B2 (en) Odour trap
KR200265950Y1 (ko) 악취방지용 배수구
KR200437512Y1 (ko) 하수구의 악취 역류차단구
KR101540783B1 (ko) 악취차단용 빗물받이
DE502004002965D1 (de) Rückflussverhinderer
KR20100110933A (ko) 배수관의 악취 역류 차단용 트랩
EP0727531A1 (en) Air admittance valve
KR102556058B1 (ko) 빗물받이 악취차단 장치
KR101042442B1 (ko) 가변 조립식 악취차단장치
KR200351993Y1 (ko) 역류방지용 배수장치
KR20090048527A (ko) 하수구용 악취 차단 및 유해가스 배출 장치
WO2006062340A1 (en) Fetid gas flowing backward arrester equipment of drain
KR200208323Y1 (ko) 하수관의 악취 역류 방지용 역지변
KR200282286Y1 (ko) 배수용 트랩의 소음차단장치
KR200446680Y1 (ko) 냄새역류방지를 위한 배수관 연결장치
KR20090080772A (ko) 역류방지장치
KR20010038379A (ko) 악취 차단 장치
KR200372630Y1 (ko) 방수 맨홀뚜껑
KR200255663Y1 (ko) 배수용 덮개 구멍 개폐장치
KR101539980B1 (ko) 맨홀 악취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3